KR102482236B1 - 그립 상태 조절 구조의 골프 장갑 - Google Patents

그립 상태 조절 구조의 골프 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2236B1
KR102482236B1 KR1020220042250A KR20220042250A KR102482236B1 KR 102482236 B1 KR102482236 B1 KR 102482236B1 KR 1020220042250 A KR1020220042250 A KR 1020220042250A KR 20220042250 A KR20220042250 A KR 20220042250A KR 102482236 B1 KR102482236 B1 KR 102482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glove
finger
string
tab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2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창선
Original Assignee
임창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창선 filed Critical 임창선
Priority to KR1020220042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22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2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2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4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 A63B71/141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in the form of gloves
    • A63B71/146Golf glov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47Protective gloves with grip improv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80Friction or grip reinforc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립 상태 조절 구조의 골프 장갑에 관한 것이다. 그립 상태 조절 구조의 골프 장갑은 적어도 하나의 장갑 손가락(12a 내지 12e)의 뒤쪽 부분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조절 탭(13a, 13b, 13c); 조절 탭(13a, 13b, 13c)을 경유하여 연장되는 조절 스트링(14); 장갑 엄지(12e)에 형성되어 조절 스트링(14)을 유도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유도 탭(22a, 22b, 22c); 및 조절 탭(22a, 22b, 22c)에 의하여 유도된 조절 스트링(14)을 조이거나, 조임 상태를 해제하는 당김 조절 수단(23)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그립 상태 조절 구조의 골프 장갑{A Golf Groove with a Capable of Regulating a Grip Condition}
본 발명은 그립 상태 조절 구조의 골프 장갑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골프 클럽을 쥐는 손가락의 당김을 조절하여 그립 상태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그립 상태 조절 구조의 골프 장갑에 관한 것이다.
골프 장갑은 골퍼의 손을 보호하면서 그립에 대한 접지 수준을 높여 스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필수적인 골프 용품에 해당한다. 이와 같은 골프 장갑은 그립 수준 또는 그립 감각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유리하다. 골프 장갑과 관련된 다양한 기술이 이 분야에 공지되어 있고, 특허등록번호 10-1397968은 골프채 손잡이를 쥘 때 약지와 소지의 두 손가락 끝 마디에서 쉽게 힘이 집중될 수 있도록 하는 골프 장갑에 대하여 개시한다. 또한 특허공개번호 10-2014-0066202는 안정된 그립이 가능하도록 하는 골프 장갑에 대하여 개시한다. 골프에서 좋은 스코어의 획득을 위하여 기본적으로 공을 멀리 그리고 똑바로 정확하게 보낼 필요가 있다. 그러나 그립 파지 시 손힘이 약한 경우 클럽의 스윙 과정에서 손이 미끄러질 수 있고, 타격 시 견고하지 못한 그립 상태로 인하여 손이 뒤틀려 잘못된 타격이 발생될 수 있다. 선행기술 또는 공지 기술의 골프 장갑은 소재의 변화 또는 구조 변화를 통하여 밀착 특성을 향상시켜 골프 장갑의 그립 수준은 높여 왔지만 이와 같은 소재 변화에 의하여 제한적인 향상만이 가능하다. 강한 그립 수준의 제공을 위하여 손가락의 그립 능력을 높일 필요가 있지만 다섯 개의 손가락 중 소지, 양지 또는 중지는 구조적으로 강한 그립 능력을 제공하기 어렵다는 단점을 가진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손가락에 대하여 강제적으로 강한 힘을 제공할 수 있는 수단이 제공되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진 골프 장갑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선행기술1: 특허등록번호 10-1397968(이광호, 2014.05.27. 공고) 골프장갑 선행기술2: 특허공개번호 10-2014-0056202(홍두호, 2014.05.09. 공개) 콕킹용 골프장갑
본 발명의 목적은 강제적으로 손가락에 의한 그립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그립 상태 조절 구조의 골프 장갑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그립 상태 조절 구조의 골프 장갑은 적어도 하나의 장갑 손가락의 뒤쪽 부분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조절 탭; 조절 탭을 경유하여 연장되는 조절 스트링; 장갑 엄지에 형성되어 조절 스트링을 유도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유도 탭; 및 조절 탭에 의하여 유도된 조절 스트링을 조이거나, 조임 상태를 해제하는 당김 조절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장갑 손가락은 소지, 약지 및 중지가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유도 탭의 적어도 하나는 엄지에 형성되고, 당김 조절 수단은 손이 삽입되는 장갑 손목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당김 조절 수단은 한쪽 방향으로 회전되지만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는 구조가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조절 스트링은 선형으로 연장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교차 연장 부분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그립 상태 조절 구조의 골프 장갑은 강제적으로 손가락의 그립이 적절하게 유지되도록 만들어주고 이에 의하여 초보 또는 숙련자가 힘을 뺀 상태에서 강한 그립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장갑은 아마추어 골퍼에게 골프 클럽을 부드러우면서 강한 클럽 그립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장갑은 클럽 그립 시 힘을 가하기 어려운 소지, 약지 또는 중지를 강제적으로 당기는 것에 의하여 이러한 손가락에 의한 그립 능력이 향상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다른 골프 장갑은 조절 다이얼이 감기는 방향으로 회전되지만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어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감김 가능 상태가 풀림 상태로부터 강제적으로 설정되도록 하여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장갑은 다양한 소재로 만들어지면서 그립 향상 또는 접지 수준의 향상을 위한 다양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은 제한되지 않는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립 상태 조절 구조의 골프 장갑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장갑에서 손가락 조절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장갑에서 손가락을 당기기 위한 조절 스트링이 조절 다이얼로 유도되는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장갑에 적용되는 조절 다이얼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장갑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립 상태 조절 구조의 골프 장갑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1 및 2는 각각 손등 및 손바닥 방향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그립 상태 조절 구조의 골프 장갑은 적어도 하나의 장갑 손가락(12a 내지 12e)의 뒤쪽 부분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조절 탭(13a, 13b, 13c); 조절 탭(13a, 13b, 13c)을 경유하여 연장되는 조절 스트링(14); 장갑 엄지(12e)에 형성되어 조절 스트링(14)을 유도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유도 탭(22a, 22b, 22c); 및 조절 탭(22a, 22b, 22c)에 의하여 유도된 조절 스트링(14)을 조이거나, 조임 상태를 해제하는 당김 조절 수단(23)을 포함한다.
골프 장갑은 손에 착용이 가능한 형상이 될 수 있고, 손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골프 장갑의 각 부위의 명칭은 손에 대하여 사용되는 명칭이 적용된다. 예를 들어 손가락(12a 내지 12e)은 손가락이 끼워지는 부분을 의미하고, 손등(11) 또는 손바닥(21)은 손등 또는 손바닥을 덮는 부분을 의미한다. 장갑의 다른 부분의 명칭에 대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방법이 적용된다. 도 1 및 2는 각각 손등(11) 및 손바닥(21)의 형상을 나타낸 것으로 손등(11) 또는 손바닥(21)은 다양한 장갑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12a 내지 12e)에 조절 탭(13a, 13b, 13c)이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소지(12a), 약지(12b) 및 중지(12c)의 손가락 등 또는 손가락 뒤쪽 부분에 조절 탭(13a, 13b, 13c)이 형성될 수 있다. 조절 탭(13a, 13b, 13c)은 예를 들어 각각의 손가락(12a, 12b, 12c)의 중간 마디 부분 또는 그 위쪽에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각각의 조절 탭(13a, 13b, 13c)에 조절 홀이 형성될 수 있고, 조절 홀을 통하여 조절 스트링(14)이 유도될 수 있다. 조절 스트링(14)은 줄, 끈, 와이어 또는 이와 유사한 선형 부재가 될 수 있고, 각각의 조절 탭(13a, 13b, 13c)을 통과하면서 연장될 수 있다. 조절 스트링(14)이 당겨지면, 조절 탭(13a, 13b, 13c)에 힘이 가해지면서 소지(12a), 약지(12b) 및 중지(12c)가 구부려지는 형태로 압력을 받을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소지(12a), 약지(12b) 및 중지(12c)에 의한 그립 수준이 향상될 수 있다. 조절 스트링(14)은 당김 조절 수단(23)으로부터 연장되어 조절 탭(13a, 13b, 13c)을 경유하여 유도 탭(22a, 22b, 22c)으로 연장된 이후 다시 당김 조절 수단(23)에 연결될 수 있다. 유도 탭(22a, 22b, 22c)은 엄지(12e)에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엄지(12)의 안쪽 측면으로 당김 조절 수단(23)을 향하여 선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유도 탭(22a, 22b, 22c)은 배치 위치를 제외하고, 조절 탭(13a, 13b, 13c)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골프 장갑의 엄지(12e)에 고정된 고정 부분과 조절 스트링(14)이 관통하는 관통 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당김 조절 수단(23)은 조절 스트링(14)의 잡아 당겨 조임 상태가 되도록 하거나, 조절 스트링(14)의 당김 상태를 해제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당김 조절 수단(23)은 예를 들어 장갑에 손을 삽입하는 입구가 되는 장갑 손목(18)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엄지(12e)가 연장되는 선에 위치하는 장갑 손목(18)의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조절 스트링(14)의 한쪽 끝이 당김 조절 수단(23)에 고정되면서 조절 스트링(14)이 연장되어 세 개의 조절 탭(13a, 13b, 13c)을 통과하여 연장할 수 있다. 이후 조절 스트링(14)이 연장이 계속 연장되어 세 개의 유도 탭(22a, 22b, 22c)을 경유하여 당김 조절 수단(23)에 이르도록 연장될 수 있고, 당김 조절 수단(23)에 조절 스트링(14)의 다른 끝이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당김 조절 수단(23)의 양쪽으로 조절 스트링(14)이 연장되면서 폐곡선을 형성할 수 있다. 당김 조절 수단(23)은 조절 스트링(14)을 예를 들어 내부에 배치된 롤러에 감을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조절 스트링(14)을 당길 수 있다. 당김 조절 수단(23)은 잠금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잠금 상태에서 당김 조절 수단(23)은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조절 스트링(14)이 당겨지면서 조임 상태가 되어 소지(12a), 약지(12b) 및 중지(12c)를 당길 수 있다. 당김 상태에서 그립이 안정적으로 될 수 있고, 클럽의 스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당김 상태에서 골프 클럽의 스윙이 이루어진 후 잠금 상태가 해제되면 조절 스트링(14)의 당김 상태가 해제되어 조절 스트링(14)이 다시 풀어질 수 있다. 당김 조절 수단(23)은 조절 스트링(14)을 당겨 조임 상태로 만들거나, 조임 해제 상태로 만들 수 있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12a 내지 12e)에 신축 분리 부분(15a, 15b, 15c)이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 조절 탭(13a, 13b, 13c)이 형성된 소지(12a), 약지(12b) 및 중지(13c)에 신축 분리 부분(15a, 15b, 15c)이 형성될 수 있다. 신축 분리 부분(15a, 15b, 15c)은 조절 스트링(14)이 당겨져 구부려지는 경우 장갑의 다른 부분이 당겨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신축 분리 부분(15a, 15b, 15c)은 조절 탭(13a, 13b, 13c)의 아래쪽 부분에 절개 부분을 형성하고, 절개 부분을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또는 이와 유사한 신축성을 가진 소재로 덧대어 연결하는 방법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손가락(12a 내지 12e)과 손등(11)의 경계 부분에 신축 분리 부분(15a, 15b, 15c)과 유사한 경계 분리 부분(16)이 형성될 수 있다. 경계 분리 부분(16)은 구체적으로 소지(12a)가 연장되는 손등(11)의 한쪽 경계로부터 엄지(12e)를 향하는 선형 절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신축 분리 부분(15a, 15b, 15c)과 유사하게 선형 절개 구조의 안쪽에 폴리우레탄, 신축 섬유 또는 이와 유사한 신축섬유가 덧대어져 선형 절개 부분이 연결될 수 있다. 골프 장갑은 그립 특성 또는 접지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조 또는 소재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은 제한되지 않는다. 골프 장갑을 끼거나, 벗기 위한 과정에서 사용되는 체결 패드(17)는 벨크로 구조 또는 이와 유사한 다양한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은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장갑에서 손가락 조절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조절 탭(13a, 13b, 13c)이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장갑 손가락(12a 내지 12e)은 소지(12a), 약지(12b) 및 중지(12c)가 될 수 있다. 각각의 조절 탭(13a, 13b, 13c)은 소지(12a), 약지(12b) 및 중지(12c)의 뒤쪽 또는 손가락 등에 형성될 수 있다. 조절 탭(13a, 13b)은 손가락의 둘째 마디 또는 그 위쪽에 형성될 수 있고, 별도로 만들어진 조절 탭(13a, 13b, 13c)이 손가락에 형성된 받침 패드(131)에 접착 또는 봉재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각각의 조절 탭(13a, 13b, 13c)은 조절 스트링(14)이 마찰이 없이 이동할 수 있도록 견고한 합성수지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사각 판 형상의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끝 부분이 접착되면서 터널 형상의 관통 홀이 형성될 있다. 이와 같은 터널 형상의 관통 홀에 의하여 조절 스트링(14)이 정해진 방향을 따라 안정적으로 당겨지거나 풀어질 수 있다. 조절 스트링(14)이 당겨지는 경우 소지(12a), 약지(12b) 또는 중지(12c)에 압력을 가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손가락에 대한 압박이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압박을 방지하기 위하여 받침 패드(131)는 탄성을 가진 부드러운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스펀지 또는 폼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는 받침 패드(131)의 내부에 스펀지 또는 폼 패드가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압력 또는 압박은 서로 다른 손가락 사이에 발생될 수 있다. 서로 다른 손가락 사이의 압박을 완화하기 위하여 약지(12a)의 한쪽 측면, 약지(12b)의 양쪽 측면 그리고 중지(12c)의 양쪽 측면에 사각 판 형상의 완충 패드(32)가 배치될 수 있다. 완충 패드(32)는 받침 패드(131)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 또는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본 발명은 완충 패드(32) 또는 받침 패드(131)의 소재 또는 구조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각각의 조절 탭(13a, 13b, 13c)을 통하여 연장된 조절 스트링(14)은 검지(12d)의 앞쪽 또는 뒤쪽을 경유하여 엄지(12e)의 측면으로 유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장갑에서 손가락을 당기기 위한 조절 스트링이 조절 다이얼로 유도되는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유도 탭(22a, 22b, 22c)의 적어도 하나는 엄지(12e)에 형성되고, 당김 조절 수단(23)은 손이 삽입되는 장갑 손목(18)에 형성된다.
엄지(12e)의 안쪽 측면으로부터 장갑 손목(18)을 향하는 부분에 변형 제한 부분(41)이 형성될 수 있다. 변형 제한 부분(41)은 신축성이 작은 소재로 만들어지면서 경계 부분을 따라 이중으로 재봉선(411)이 형성되어 손바닥(21)의 다른 부분의 신축 또는 이와 유사한 변형에 대하여 영향을 받지 않는 구조가 될 수 있다. 변형 제한 부분(41)은 예를 들어 엄지(12e)의 아래쪽으로 시작되어 손바닥(21)의 경유하여 장갑 손목(18)의 앞쪽 부분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유도 탭(22a, 22b, 22c)이 변형 제한 부분(4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서로 분리되어 선형으로 배치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 세 개의 유도 탭(22a, 22b, 22c)이 변형 제한 부분(41)에 형성될 수 있다. 유도 탭(22a, 22b, 22c)은 예를 들어 엄지(22a)의 측면에 제1 유도 탭(22a)이 형성되고, 손바닥(21)에 해당되는 부분에 제2, 3 유도 탭(22b, 22c)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도 탭(22a, 22b, 22c)은 스윙을 위하여 골프 클럽을 손에 쥔 상태에 조절 탭의 배치 방향과 나란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각각의 유도 탭(22a, 22b, 22c)은 변형 제한 부분(41)에 고정되는 고정 부분(221) 및 고정 부분으로 연장되어 터널 형상이 되는 유도 홀(2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위에서 설명이 된 것처럼, 조절 탭이 유도 탭(22a, 22b, 22c)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유도 탭(22a, 22b, 22c)에 의하여 유도된 조절 스트링(14)이 당김 조절 수단(23)에 고정될 수 있고, 당김 조절 수단(23)은 다이얼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당김 조절 수단(23)은 장갑 손목(18) 또는 손바닥(18)의 끝 부분에 고정되면서 유도 탭(22a, 22b, 22c)을 연결하는 직선 위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세 개의 유도 탭(22a, 22b, 22c)을 통과한 조절 스트링(14)의 한쪽 끝이 안정적으로 당김 조절 수단(23)에 고정될 수 있다. 당김 조절 수단(23)이 회전 가능한 다이얼이 형성된 다이얼 회전 구조가 될 수 있고, 한쪽 방향으로 회전되지만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아래에서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당김 조절 수단(23)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장갑에 적용되는 조절 다이얼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당김 조절 수단은 조절 다이얼이 될 수 있고, 조절 다이얼은 회전 다이얼(51); 회전 다이얼(51)의 내부에 결합되는 롤러(52); 및 회전 다이얼(51)이 결합되면서 장갑에 고정되는 받침 블록(53)을 포함한다. 회전 다이얼(51)은 실린더 형상의 수용 몸체(511); 및 수용 몸체(511)를 회전시키는 다이얼(5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롤러(52)은 실린더 형상의 롤러 몸체(521); 롤러 몸체(521)의 둘레 면에 대하여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롤러 몸체(521)를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된 다수 개의 고정 홀(H_K); 롤러 몸체(521)의 아래쪽 및 위쪽 면에 형성된 제한 날개(522a, 522b); 적어도 하나의 제한 날개(522a, 522b)의 표면을 따라 원형으로 형성된 제한 돌기(523)를 포함한다. 받침 블록(53)은 장갑에 고정되는 고정 베이스(531); 고정 베이스(531)의 내부에 형성되어 수용 몸체(511)가 결합되는 결합 몸체(532); 조절 스트링(14a, 14b)을 유도하는 한 쌍의 유도 홈(533a, 533b); 회전 다이얼(51)이 잠금 상태가 되거나 해제 상태가 되도록 하는 한 쌍의 잠금 탭(534, 535)을 포함한다. 롤러(52)에 형성된 서로 다른 고정 홀(H_K)에 조절 스트링 양끝(14a, 14b)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고, 조절 스트링 양끝(14a, 14b)은 각각 유도 홈(533a, 533b)을 통하여 외부로 연장되어 서로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폐곡선을 형성할 수 있다. 도 5의 오른쪽에 도시된 것처럼, 롤러(51)가 회전 다이얼(51)에 결합될 수 있고, 회전 다이얼(51)에 잠금 탭(534, 535)에 결합되는 체결 탭(513, 514)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 다이얼(51)의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압력을 가하면 잠금 탭(534, 535) 및 체결 탭(513, 514)이 결합되면서 회전 다이얼(51)에 형성된 맞물림 이빨이 제한 돌기(523)에 맞물려 회전 다이얼(51)의 회전에 의하여 롤러(52)가 회전되면서 조절 스트링이 롤러 몸체(521)에 감길 수 있다. 조절 다이얼은 역회전 방지 수단을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체결 탭(513, 514) 또는 잠금 탭(534, 535)이 역회전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조절 스트링의 잠금을 해제하여 조절 스트링을 풀기 위하여 회전 다이얼(51)이 위쪽으로 강제적으로 이동될 수 있고, 제한 돌기(523)와 맞물림 이빨이 분리되어 롤러 몸체(521)가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조절 스트링을 당기면 롤러 몸체(521)가 회전되면서 조절 스트링이 풀림 상태가 될 수 있다. 당김 조절 수단은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장갑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조절 스트링(14)은 선형으로 연장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교차 연장 부분을 가진다. 소지(12a), 약지(12b) 또는 중지(12c)에 다수 개의 조절 탭(13a 내지 13k)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지(12b) 및 중지(12c)에 각각 두 개의 조절 탭(13a 내지 13k)이 형성될 수 있고, 이와 같은 구조에서 조절 스트링(14)은 약지(12b)와 중지(12c)의 사이에서 X 형상 또는 교차되는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각각의 조절 스트링(14)에 형성되는 조절 탭(13a 내지 13k)의 개수는 제한되지 않고, 조절 스트링(14)은 다양한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은 제한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엄지(12a) 또는 약지(12b)와 손등(11)과 손가락(12a 내지 12k)의 경계 부분에 분리 변형 부분(62)이 형성될 수 있다. 분리 변형 부분(62)은 신축성을 가진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소지(12a) 및 약지(12b)의 중간 부분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부분과 손가락(12a, 12b)과 손등(11)의 경계 부분을 따라 연장되는 부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분리 변형 부분(62)의 형성에 의하여 그립 과정에서 발생되는 압력이 감소될 수 있다. 그립 수준 또는 접지 수준의 향상을 위한 다양한 부가 수단이 장갑에 형성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은 제한되지 않는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1: 손등 12a 내지 12e: 손가락
13a, 13b, 13c: 조절 탭 14: 조절 스트링
18: 장갑 손목 21: 손바닥
22a, 22b, 22c: 유도 탭 23: 당김 조절 수단

Claims (5)

  1. 적어도 하나의 장갑 손가락(12a 내지 12e)의 뒤쪽 부분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조절 탭(13a, 13b, 13c);
    조절 탭(13a, 13b, 13c)을 경유하여 연장되는 조절 스트링(14);
    장갑 엄지(12e)에 형성되어 조절 스트링(14)을 유도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유도 탭(22a, 22b, 22c); 및
    조절 탭(13a, 13b, 13c)에 의하여 유도된 조절 스트링(14)을 조이거나, 조임 상태를 해제하는 당김 조절 수단(23)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장갑 손가락(12a 내지 12e)은 소지(12a), 약지(12b) 및 중지(12c)가 되고, 조절 탭(13a, 13b, 13c)은 각각의 손가락(12a, 12b, 12c)의 중간 마디 부분에 조절 스트링(14)이 유도되도록 형성되는 조절 홀을 포함하고,
    유도 탭(22a, 22b, 22c)의 적어도 하나는 엄지(12e)에 형성되고, 당김 조절 수단(23)은 손이 삽입되는 장갑 손목(18)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 상태 조절 구조의 골프 장갑.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당김 조절 수단(23)은 한쪽 방향으로 회전되지만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는 구조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 상태 조절 구조의 골프 장갑.
  5. 청구항 1에 있어서, 조절 스트링(14)은 선형으로 연장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교차 연장 부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 상태 조절 구조의 골프 장갑.
KR1020220042250A 2022-04-05 2022-04-05 그립 상태 조절 구조의 골프 장갑 KR102482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2250A KR102482236B1 (ko) 2022-04-05 2022-04-05 그립 상태 조절 구조의 골프 장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2250A KR102482236B1 (ko) 2022-04-05 2022-04-05 그립 상태 조절 구조의 골프 장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2236B1 true KR102482236B1 (ko) 2022-12-27

Family

ID=84568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2250A KR102482236B1 (ko) 2022-04-05 2022-04-05 그립 상태 조절 구조의 골프 장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223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7507Y1 (ko) * 2003-10-02 2003-12-31 김찬영 음향 출력 기능을 갖는 장갑
KR20140056202A (ko) 2012-10-22 2014-05-09 홍두호 콕킹용 골프장갑
KR101397968B1 (ko) 2013-08-26 2014-05-27 이광호 골프장갑
KR20170109518A (ko) * 2017-09-20 2017-09-29 김석환 끈 조임장치
KR102206484B1 (ko) * 2019-12-30 2021-01-2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착용형 장갑 로봇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7507Y1 (ko) * 2003-10-02 2003-12-31 김찬영 음향 출력 기능을 갖는 장갑
KR20140056202A (ko) 2012-10-22 2014-05-09 홍두호 콕킹용 골프장갑
KR101397968B1 (ko) 2013-08-26 2014-05-27 이광호 골프장갑
KR20170109518A (ko) * 2017-09-20 2017-09-29 김석환 끈 조임장치
KR102206484B1 (ko) * 2019-12-30 2021-01-2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착용형 장갑 로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90625A (en) Golfer's glove
US7572198B2 (en) Training grip for a baseball bat
US2852779A (en) Adjustable elastic gripping member
US5898944A (en) Athletic glove for gripping bats, clubs and racquets
US5232225A (en) Golf club grip positioning aid
US20060163890A1 (en) Grip assist and glove
US20040123429A1 (en) Protective strap for handle
US20090222972A1 (en) Left-Handed Golf Glove Having Grip Fixing Band
US9610487B2 (en) Swing sport instrument training device and method of using same
US5472190A (en) Racket handle grip
KR102482236B1 (ko) 그립 상태 조절 구조의 골프 장갑
US5083777A (en) Conditioning aid for racquet sports
US20040018899A1 (en) Athletic glove for racquet sports
US6299557B1 (en) Racket gripping device
US8613675B2 (en) Golf strap
US6210289B1 (en) Golf grip hand alignment device in combination with a golf club grip
US20050060785A1 (en) Golf gloves
KR100976036B1 (ko) 스트롱 그립퍼를 구비한 골프장갑 및 스트롱 크립퍼를 이용한 골프 클럽의 그립 방법
KR200495833Y1 (ko) 볼링 손목보호대에 결합되는 손가락 각도 유지부재
KR20090093272A (ko) 골프장갑
US9089762B1 (en) Golf glove
KR101830578B1 (ko) 손가락절곡유지수단과 이를 구비한 골프용 장갑
KR200245109Y1 (ko) 골프 클럽의 벨크로 그립
KR20020094685A (ko) 그립 고정용 골프장갑
KR200215440Y1 (ko) 골프용 손목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