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5766B1 - 여러 레이어에 대한 연속적인 공간 연산과 분석을 하는 기능을 갖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여러 레이어에 대한 연속적인 공간 연산과 분석을 하는 기능을 갖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5766B1
KR101565766B1 KR1020150134848A KR20150134848A KR101565766B1 KR 101565766 B1 KR101565766 B1 KR 101565766B1 KR 1020150134848 A KR1020150134848 A KR 1020150134848A KR 20150134848 A KR20150134848 A KR 20150134848A KR 101565766 B1 KR101565766 B1 KR 101565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mounting mechanism
hole
fastening
buoya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4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영진
이준섭
Original Assignee
(주)지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트 filed Critical (주)지트
Priority to KR1020150134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57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5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5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G09B29/006Representation of non-cartographic information on maps, e.g. population distribution, wind direction, radiation levels, air and sea routes
    • G09B29/007Representation of non-cartographic information on maps, e.g. population distribution, wind direction, radiation levels, air and sea routes using computer methods

Abstract

본 발명은 여러 레이어에 대한 연속적인 공간 연산과 분석을 하는 기능을 갖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좌표정보와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수치지도를 제작할 때 지형지물의 정확한 속성자료를 확보하고 이를 여러 레이어에 대한 연속적인 공간 연산과 분석을 통해 정확한 수치지도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한 여러 레이어에 대한 연속적인 공간 연산과 분석을 하는 기능을 갖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여러 레이어에 대한 연속적인 공간 연산과 분석을 하는 기능을 갖는 시스템{The system has a function of a continuous spatial operations and analysis on the different layers}
본 발명은 여러 레이어에 대한 연속적인 공간 연산과 분석을 하는 기능을 갖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좌표정보와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수치지도를 제작할 때 지형지물의 정확한 속성자료를 확보하고 이를 여러 레이어에 대한 연속적인 공간 연산과 분석을 통해 정확한 수치지도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한 여러 레이어에 대한 연속적인 공간 연산과 분석을 하는 기능을 갖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형지물에 대한 공간정보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수치지도는 수치지도는 기존의 아날로그 형태의 종이지도를 측량지도, 항공사진, 위성영상 등에 의해 얻어진 각종 지형자료를 해석하여 수치 편집하여 디지털 형태의 지도로 제작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수치지도의 구축 과정은 먼저, 종이지도를 디지타이징(digitizing)이나 스캐닝(scanning)하여 수치지도 제작을 위한 도화 이미지를 생성하고, 이렇게 생성된 도화 이미지에 좌표 변환을 통해 사용자의 목적에 맞도록 실제 좌표계로 변환한다.
이후, 공간 객체 간의 상호 위치성과 연관성을 파악하기 위한 위상 구조를 정립한 수치지도에 속성자료를 입력한다.
이때, 상기 속성자료는 다양한 식별자 정보들이 포함되며, 일 예로써 국토지리정보원의 수치지도의 지형지물에 대한 식별자로는 지형지물 전자식별자(UFID :Unique Feature Identifier)가 사용되는데, 이는 지형물에 부여되는 위치정보, 관리기관, 타 속성정보 등을 나타내는 단일 식별자로 지형지물에 유일하게 부여되는 식별자를 말하며, 기관코드, 도엽번호, 지형지물 식별코드, 일련번호 필드 등으로 구성되어 지형지물의 관리, 검색 및 활용을 위해 다른 지리정보와의 연계 또는 지형지물 간의 상호 참조를 위한 식별자로 사용된다.
그러나, 생성된 도화는 항공사진, 위성영상의 판독을 통해 입력되기 때문에 도화의 지형지물의 정확도를 보장하기 어려우며, 또한 이에 따라 각 지형지물에 부여되는 속성자료의 정확도도 보장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수치지도 제작자들은 수치지도의 정확도를 보장하기 위해 도 1에 기재하고 있는 수치지도 생성 방법의 과정을 통해 정확한 수치지도를 제작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수치지도 제작자는 측량지도, 항공사진, 위성영상 등 디지타이징(digitizing)이나 스캐닝(scanning)을 통해 생성된 도화를 종이에 프린트하여(S1), 프린트된 도화의 해당 지역으로 현장조사를 수행한다(S2).
이때, 상기 현장조사에서는 프린트된 도화에 표시된 건물, 도로, 철도, 공원, 하천, 산, 논, 밭 등의 다양한 인공지물과 자연지형이 실제로 존재하는지, 또는 실제 장소에 위치하는 인공지물과 자연지형의 크기, 방향, 형태가 도화에도 정확히 표시되어 있는지 등을 직접 확인하고, 다른 부분이 있으면 도화에 수작업으로 직접 수정한다.
아울러, 해당 인공지물 및 자연지형의 상호, 명칭 및 기본정보(건물의 층수, 도로나 하천의 폭 등) 등의 속성자료를 도화의 해당 위치에 일일이 수작업으로 표기한다.
이렇게 현장조사를 통해 도화에 잘못 묘사된 인공지물 및 자연지형과, 각 인공지물과 자연지형의 속성자료들의 표기가 완료되면, 상기 표기된 도화를 이용하여 전산화 작업을 통한 최초 생성된 도화에 상기 변경정보 및 속성자료를 표시하여 도화 및 지도입력 성과를 수정하고 보완함으로써, 지형, 지물의 지리적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정위치 편집을 수행한다(S3).
이어, 상기 정위치 편집을 통해 편집된 지형, 지물을 기하학적 형태로 구성하고 필요한 대상을 점, 선, 면 및 네트워크 영역분할의 모델 또는 이를 조합한 기하모델로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정의한 점, 선, 면 형태화를 기반으로 일일이 해당되는 인공지물 및 자연지형에 전산화 작업을 통한 수작업으로 표시하고 편집하는 구조화 편집을 수행한다(S4).
이때, 상기 구조화 편집에서는 도화에 표시되는 속성자료는 숨겨진(화면에 표시되지 않고 저장된) 상태로 편집이 이루어진다.
이렇게 상기 구조화 편집까지 완료되면,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치지도를 제작 및 인쇄하여 수치지도 제작을 요청한 요청자에게 제공한다(S5).
이때, 상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구조화 편집된 도화를 정의된 형태로 변경시키는 프로그램으로 이는 통상적으로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공하는 공지된 프로그램을 이용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수치지도 제작은 현장조사를 실시할 시, 야간에 장비 정리를 용이하게 하기가 어려웠으며, 주변에 물가가 있을 경우, 물가에서 바라보는 지형지물을 현장조사 하기 어려워 지형지물의 위치 등을 정확하게 확인하기 어려웠고, 정확한 속성 자료를 확보하기가 쉽지 않아, 정확성이 높은 수치지도를 제작하기가 어려웠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233104호(2013.02.07), "지형지물 관리를 통한 수치지도 정확성 향상시스템"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런데, 상기 등록특허의 경우 현장조사장치를 구성하는 설치기구 및 부력기구 상에 소파(breakwave) 기능이 구현되어 있지 않아 강가나 해안가 등에서 수중에 진입하여 현장 정보를 취득할 때 바람의 영향으로 물결이 심하게 일렁이거나 물결파가 강하게 부딪힐 경우 장치의 파손위험성이 높고, 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없어 장치의 수명이 단축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등록특허를 기반으로 제작된 수치지도를 활용할 때에도 연관 공간검색(공간연산을 통한 검색, 버퍼링 검색, 다중레이어 검색 등)이 되지 않아 공간적인 연관관계를 분석하여 관련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기획해야 하는 업무, 이를 테면 사업비 산출, 총 물량 추정, 공간통계 산출 등의 업무 수행에 차질이 생기는 단점도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233104호(2013.02.07) "지형지물 관리를 통한 수치지도 정확성 향상시스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현장조사장치를 부득이하게 강이나 해안가 등에 수중에 띄워 정확한 위치를 잡을 필요가 있을 때 특히, 수중에서 발생되는 파력에 의한 장비 파손을 방지하여 장비를 보호하고, 나아가 신속하되 정확한 데이터 확보가 가능하도록 지형지물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 확보가 가능한 수치지도 제작장치를 포함한 여러 레이어에 대한 연속적인 공간 연산과 분석을 하는 기능을 갖는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GPS위성(G)으로부터 현재 위치값을 수신받아 현재 위치값과 저장된 절대값을 상호연산하여 GPS보정값을 무선송출하는 기준국(100)과: 중심부에 상하로 관통형성된 제1관통홀(211a)과, 상하로 형성되며 제1관통홀(211a)의 좌우측방에 각각 구비되는 제1,2가이드홈(211b,211c))과, 좌우측방에 각각 형성되며 제1,2가이드홈(211b,211c)의 상방에 구비되는 제1,2체결홈(211d,211e)과, 제1,2가이드홈(211b,211c)의 내측면과 연통되며 제1,2체결홈(211d,211e)의 하방에 구비되는 제3,4체결홈(211f,211g)과, 제1관통홀(211a)의 전후방에 각각 구비되는 제2,3관통홀(211h,211i)을 갖춘 설치기구바디부(211), 상하로 형성되어 설치기구바디부(211)의 제1관통홀(211a)과 연통되는 지지부재삽입홀(212a)과, 측방으로 관통형성되는 고정홀(212b)를 갖추고서 설치기구바디부(211)의 상방에 구비되는 고정부(212)를 갖춘 설치기구(210); 중심부에 상하방으로 관통형성된 설치기구삽입홀(221a)과, 내부에 형성된 부력체수용공간(221b)을 구비한 부력기구바디(221), 제1,2체결홀(222a,223a)을 각각 구비하고 부력기구바디(221)의 내측 상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며 설치기구삽입홀(221a)을 중심으로 상호 대향되게 구비되는 제1,2고정플레이트(222,223), 제1,2고정플레이트(222,223)의 하방에 배치되며 설치기구의 제1,2가이드홈(211b,211c)에 각각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2가이드플레이트(224,225), 부력기구바디(221)의 부력체수용공간(221b)에 수용되는 부력체(226), 제1,2고정플레이트(222,223)의 제1,2체결홀(222a,223a)과 설치기구바디(211)의 제1,2체결홈(211d,211e) 또는 제1,2고정플레이트(222,223)의 제1,2체결홀(222a,223a)과 설치기구바디(211)의 제3,4체결홈(211f,211g)에 삽입되어, 제1,2고정플레이트(222,223)를 설치기구바디(211)에 각각 고정하는 제1,2체결부재(227,228)를 갖춘 부력기구(220); 설치기구(210)의 제2,3관통홀(211h,211i)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2닻부재(231,232), 제1,2닻부재(231,232)에 각각 연결되는 제1,2와이어(233,234), 설치기구바디(211)의 전후방에 배치되며 제1,2와이어(233,234)를 각각 감거나 푸는 제1,2윈치(235,236)를 갖춘 닻기구(230); 부력기구바디(221)의 하부에 설치되는 바퀴(240);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고정홀(251a1)이 형성되는 지지부(251a)와, 둘레부에 외측방으로 개구된 삽입홈(251b1)이 형성되며 지지부(251a)의 상부에 구비되는 연결부(251b)를 갖추고서, 설치기구 고정부(212)의 지지부재삽입홀(212a)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지지부재(251), 지지부재(251)의 연결부(251b)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홀(252a)을 구비한 토탈스테이션설치부재(252), 지지부재(251)의 고정홀(251a1) 및 설치기구 고정부(212)의 고정홀(212b)에 삽입되어 지지부재(251)를 고정하는 고정부재(253)를 갖춘 토탈스테이션고정기구(250); 토탈스테이션설치부재(252)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지형지물을 측정하는 토탈스테이션(260); 토탈스테이션설치부재(252)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실제 장소에 위치하는 지형지물이 실제로 존재하는가를 나타내는 지형지물 차이데이터 및 실제 장소에 위치하는 지형지물의 크기ㆍ 방향ㆍ형태ㆍ상호ㆍ명칭ㆍ건물의 층수ㆍ도로의 폭을 나타내는 속성정보데이터가 입력되는 입력장치(290); 입력장치(290)에 설치되며, 입력장치(290)로부터의 지형지물 차이데이터 및 속성정보데이터를 송출하는 송신장치(270); 둘레부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지지부재(251)의 고정홀(251a1)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양단이 고정홀(251a1)로부터 돌출되는 볼트체(281), 빛을 발광하는 조명등(282a,283a)과, 조명등(282a,283a)의 측단에 구비되며 볼트체(281)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는 너트체(282b,283b)를 구비하여, 볼트체(281)의 양단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2조명기구(282,283)를 갖춘 조명장치(280);를 갖춘 현장조사장치(200)와: 현장조사장치(200)의 송신장치(270)로부터 지형지물 차이데이터 및 속성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기(310); 수신된 지형지물 차이데이터 및 속성정보데이터를 이용하여 최초 도화 이미지를 수정하고 보완하는 정위치 편집모듈(321), 정위치 편집모듈을 통해 편집된 지형지물을 기하학적 형태로 구성하는 구조화 편집모듈(322), 구조화 편집된 도화 이미지를 이용하여 수치지도를 제작하는 수치지도 제작모듈(323)를 구비한 수치지도 제작기(320);를 갖춘 수치지도 제작센터(300): 를 포함하되,
상기 수치지도 제작기(300)는 수지지도 DB와 DB커넥터를 통해 연결되고, DB커넥터는 공간질의부, 영역관리부, 버퍼링연산부, 레이어관리부, 공간연산부, DB질의부를 포함하고 있어 공간적인 연관 관계 분석을 위해 질의할 때 다중레이어 검색, 버퍼링 검색, 공간영역 검색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부력기구(220)의 둘레에는 90°간격을 두고 1/4 원형상의 소파부재(500)을 구비하며; 상기 소파부재(500)는 전후진실린더(510)에 의해 부력기구(220)와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전후진실린더(510)는 부력기구(220)의 상면에 고정되며; 상기 전후진실린더(510)에는 실린더로드(520)가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로드(520)의 선단에는 제1나사산(522)이 형성되며; 상기 소파부재(500)는 1/4 원형상의 내측부재(500a)와, 1/4 원형상의 외측부재(500b)와, 내측부재(500a)와 외측부재(500b)를 간격유지시키도록 결속하는 연결부재(500c)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측부재(500a)의 내측면 중앙부에는 블럭홈(600)이 형성되며; 상기 블럭홈(600)은 내측부재(500a)의 하단까지 연장되어 하부가 완전히 뚫린 상태로 유지되고; 블럭홈(600)의 전면에는 가이드슬릿(610)이 형성되며; 상기 블럭홈(600)에는 유동블럭(530)이 끼워지고; 상기 유동블럭(530)에는 상기 가이드슬릿(61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노출된 단부에는 상기 제1나사산(522)과 반대방향으로 제2나사산(542)이 형성된 블럭로드(540)가 형성되며; 상기 제1,2나사산(522,542)에는 접속부재(550)가 연결되고; 상기 외측부재(500b)는 다수의 소파공(620)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500c)의 일단은 상기 내측부재(500a)의 외측면에 나사체결되고, 타단은 상기 외측부재(500b)를 관통한 다음 너트 체결되며, 상기 내측부재(500a)와 외측부재(500b) 사이에는 스프링(SP)이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러 레이어에 대한 연속적인 공간 연산과 분석을 하는 기능을 갖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좌표정보와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수치지도를 제작할 때 지형지물의 정확한 속성자료를 확보하고 이를 여러 레이어에 대한 연속적인 공간 연산과 분석을 통해 정확한 수치지도를 제작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수치지도를 활용할 때에도 연관 공간검색이 가능토록 하여 공간적인 연관관계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관련정보를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현장조사장치를 나타낸 정단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3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조명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3의 X-X선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3의 Y-Y선 단면도이고,
도 10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8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상술한 등록특허 제1233104호에 개시된 대부분의 구성을 그대로 인용하는데, 이는 본 발명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현장조사장치를 포함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시스템은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국(100)과, 현장조사장치(200) 및, 수치지도 제작센터(300)간의 상호 시스템적 작용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기준국(100)은, GPS안테나(111)를 갖추고서, GPS인공위성(G)로부터 위치값을 수신받는 GPS수신기(110)와, GPS수신기(110)로부터 전달받은 현재의 위치값과 저장된 절대값을 상호 연산하여 GPS보정값을 출력하는 제어부(120)와, DGPS안테나(131)를 갖추고서, 제어부(120)로부터 GPS보정값을 전달받아 외부로 무선송출하는 DGPS송신기(130)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기준국(100)의 제어부(120)를 통해 연산된 GPS보정 값(즉 위치 값)은 DGPS송신기(130)로 전달되고, DGPS송신기(130)와 연결된 DGPS안테나(131)를 통해 이후에 설명되는 토탈스테이션(260)의 DGPS안테나(261a)로 무선송출하게 된다.
상기 현장조사장치(200)는 설치기구(210)와, 부력기구(220)와, 닻기구(230)와, 바퀴(240)와, 토탈스테이션고정기구(250)와, 토탈스테이션(260), 입력장치(290), 송신장치(270) 및, 조명장치(280)를 갖춘다.
상기 설치기구(210)는 설치기구바디부(211)와, 고정부(212)를 갖춘다.
상기 설치기구바디부(211)는 중심부에 상하로 관통형성된 제1관통홀(211a)과, 상하로 형성되며 제1관통홀(211a)의 좌우측방에 각각 구비되는 제1,2가이드홈(211b,211c))과, 좌우측방에 각각 형성되며 제1,2가이드홈(211b,211c)의 상방에 구비되는 제1,2체결홈(211d,211e)과, 제1,2가이드홈(211b,211c)의 내측면과 연통되며 제1,2체결홈(211d,211e)의 하방에 구비되는 제3,4체결홈(211f,211g)과, 상하로 관통형성되며 제1관통홀(211a)의 전후방에 각각 구비되는 제2,3관통홀(211h,211i)을 갖춘다.
상기 고정부(212)는 상하로 형성되어 설치기구바디부(211)의 제1관통홀(211a)과 연통되는 지지부재삽입홀(212a)과, 측방으로 형성되는 고정홀(212b)를 갖추고서, 설치기구바디부(211)의 상방에 구비된다.
상기 부력기구(220)는 부력기구바디(221)와, 제1,2고정플레이트(222,223)와, 제1,2가이드플레이트(224,225)와, 부력체(226)와, 제1,2체결부재(227,228)를 갖춘다.
상기 부력기구바디(221)는 중심부에 상하방으로 관통형성된 설치기구삽입홀(221a)과, 내부에 형성된 부력체수용공간(221b)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부력기구바디(221)는 부력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설치기구삽입홀(221a)은 사각홀 형상을 이룬다.
상기 제1,2고정플레이트(222,223)는 제1,2체결홀(222a,223a)을 각각 구비하고 부력기구바디(221)의 내측 상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며 설치기구삽입홀(221a)을 중심으로 상호 대향되게 구비된다.
상기 제1,2가이드플레이트(224,225)는 제1,2고정플레이트(222,223)의 하방에 배치되며 설치기구의 제1,2가이드홈(211b,211c)에 각각 이동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부력체(226)는 부력기구바디(221)의 부력체수용공간(221b)에 수용된다.본 실시예에서 부력체(226)는 스티로폼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물에 뜰 수 있는 재질을 포함하는 것이면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상기 제1,2체결부재(227,228)는 제1,2고정플레이트(222,223)의 제1,2체결홀(222a,223a)과 설치기구바디(211)의 제1,2체결홈(211d,211e) 또는 제1,2고정플레이트(222,223)의 제1,2체결홀(222a,223a)과 설치기구바디(211)의 제3,4체결홈(211f,211g)에 각각 삽입 체결되어, 제1,2고정플레이트(222,223)를 설치기구바디(211)에 각각 고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체결방식은 나사산 체결방식이 적용된다.
상기 닻기구(230)는 일정 하중을 가지며 설치기구(210)의 제2,3관통홀(211h,211i)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2닻부재(231,232)와, 일단이 제1,2닻부재(231,232)에 각각 연결되는 제1,2와이어(233,234)와, 설치기구바디(211)의 전후방에 배치되며 제1,2와이어(233,234)를 각각 감거나 푸는 제1,2윈치(235,236)를 갖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설치기구바디(211)에는 제2관통홀(211h) 및 제3관통홀(211i)를 개폐하며, 제1닻부재(231) 및 제2닻부재(232)가 안착되는 도어(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퀴(240)는 부력기구바디(221)의 하부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바퀴(240)는 네 개가 구비되며, 상호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토탈스테이션고정기구(250)는 지지부재(251)와, 토탈스테이션설치부재(252) 및, 고정부재(253)를 갖춘다.
상기 지지부재(251)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고정홀(251a1)이 형성되는 지지부(251a)와, 둘레부에 외측방으로 개구된 삽입홈(251b1)이 형성되며 지지부(251a)의 상부에 구비되는 연결부(251b)를 갖추고서, 설치기구 고정부(212)의 지지부재삽입홀(212a)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토탈스테이션설치부재(252)는 지지부재(251)의 연결부(251b)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홀(252a)을 구비하여, 지지부재(251)에 설치된다.
상기 고정부재(253)는 지지부재(251)의 고정홀(251a1) 및 설치기구 고정부(212)의 고정홀(212b)에 삽입되어, 지지부재(251)를 고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방식은 나사산 방식이 적용된다.
상기 토탈스테이션(260)은, 토탈스테이션부재(252)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기준국(100)으로부터 GPS 보정 값과 위성(G)로부터 받은 GPS 값을 연산하여, 자신의 정밀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정밀위치를 기준으로 측정점의 좌표를 연산처리하기 위해 측정점의 각도와 거리를 정밀 측위한다.
이때 상기 토탈스테이션(260)은, DGPS안테나(261a)를 갖추고서, 기준국(100)의 DGPS송신기(130)로부터 GPS보정값을 수신받는 DGPS수신기(261)와, GPS안테나(262a)를 갖추고서, 위성(G)으로부터 현재 위치값을 수신받는 GPS수신기(262)와, 일측에 렌즈부를 갖추고서, 측정점의 각도와 거리를 정밀측정할 수 있도록 된 측정장치부(263)와, DGPS수신기(261)로부터 받은 GPS보정 값을 이용하여 GPS안테나(262a)의 정밀위치 연산을 통해 토탈스테이션(260)의 정밀위치를 확인하고, 측정장치부(263)로부터 측정된 측정점의 각도와 거리를 입력받아 상기 정밀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측정점의 위치좌표를 연산처리하는 제어부(264)를 갖춘다.
한편, 상기 토탈스테이션(260)은 측지 측량에 사용되는 통상의 것으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입력장치(290)는 토탈스테이션설치부재(252)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지형지물 차이데이터 및 속성정보데이터가 입력된다.
상기 지형지물 차이데이터는 실제 장소에 위치하는 인공지물과 자연지형이 실제로 존재하는가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즉, 실제 지형지물과 최초 도화 이미지의 차이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또한, 속성정보데이터는 실제 장소에 위치하는 인공지물과 자연지형의 크기, 방향, 형태, 상호, 명칭, 건물의 층수, 도로의 폭 등을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상기 송신장치(270)는 입력장치(290)에 설치되며, 입력장치(290)로부터의 지형지물 차이데이터 및 속성정보데이터를 송출한다.
상기 조명장치(280)는 토탈스테이션고정기구(250)의 지지부재(25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볼트체(281)와, 볼트체(281)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제1,2조명기구(282,283)를 갖춘다.
상기 볼트체(281)는 둘레부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지지부재(251)의 고정홀(251a1)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양단이 고정홀(251a1)로부터 돌출된다.
상기 제1,2조명기구(282,283)는 빛을 발광하는 조명등(282a,283a)과, 조명등(282a,283a)의 측단에 구비되며 볼트체(281)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는 너트체(282b,283b)를 구비하여, 볼트체(281)의 양단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2조명기구(282,283) 및 볼트체(281)의 결합방식은 볼팅 방식을 채택하였지만, 착탈가능한 결합이 가능한 것이면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또한, 조명등(282a,283a)은 내부에 충전지 등을 포함하여 전력을 공급받는다.
상기 수치지도 제작센터(300)는, 현장조사장치(200)로부터 지형지물 차이데이터 및 속성정보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기(310)과, 수신기(310)로부터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수치지도를 제작 또는 업그레이드하는 수치지도제작기(320)를 갖춘다.
상기 수신기(310)는 현장조사장치(200)의 송신장치(270)로부터 지형지물 차이데이터 및 속성정보데이터를 수신한다.
본 실시예에서 수신기(310)는 수치지도 제작센터(300)에 구비되기만 하면 되는 것으로, 별도의 설치위치는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수치지도 제작기(320)는 정위치 편집모듈(321), 구조화 편집모듈(322), 수치지도 제작모듈(323) 및, 인쇄모듈(324)을 갖춘다.
상기 정위치 편집모듈(321)은 수신된 지형지물 차이데이터를 이용하여 최초 도화 이미지에 잘못 묘사된 지형지물(인공지물 및 자연지형) 및 각 지형지물의 속성정보를 전산화 표기하여, 최초 도화 이미지를 수정 보완함으로써, 지형지물의 지리적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정위치 편집을 수행한다.
상기 구조화 편집모듈(322)은 상기 정위치 편집모듈(321)을 통해 편집된 지형지물을 기하학적 형태로 구성하고, 필요한 대상을 점,선,면 및 네트워크 영역분활의 모델 또는 이를 조합한 기하모델로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정의한 점, 선, 면 형태화를 기반으로 일일이 해당되는 지형지물에 전산화 작업을 통해 구조화 편집을 수행한다.
상기 수치지도 제작모듈(323)은 국토지리정보원 등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치지도를 제작한다.
이때, 상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구조화 편집된 도화 이미지를 정의된 형태로 변경시키는 프로그램으로, 이는 통상적으로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치지도 인쇄모듈(324)은 수치지도 제작모듈(323)를 통해 제작된 수치지도를 출력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수치지도 제작기(320)는 수치지도 제작센터(300)에 구비되기만 하면 되는 것으로, 별도의 설치위치는 한정하지 않으며, 수치지도 제작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것으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10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현장 조사자는 도화 이미지를 가지고서, 현장 조사를 위한 장소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현장 조사자는 현장 조사를 위한 지형지물을 관찰하고, 지형지물에 대한 자료를 수집할 준비를 한다.
그리고 현장 조사자는 확인하고자 하는 지형지물이 강가 또는 해변 가에 위치할 경우 현장조사장치(200)를 강가 또는 해변 가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현장조사장치(200)는 작업자에 의해 직접 수면으로 옮겨지거나, 인양 장치 등을 통해 수면으로 옮겨진다.
그러면 상기 작업자는 수면에 뜬 현장조사장치(200)를 도 10과 같이 조사위치로 옮긴다.
이후, 상기 작업자는 닻기구(230)의 제1윈치(235) 및 제2윈치(236)를 동작시킨다.
그러면 제1닻부재(231) 및 제2닻부재(232)는 하방으로 이동하여 도 11과 같이 수저에 안착된다.
계속해서, 상기 작업자는 부력기구(220)의 제1체결부재(227)를 제1고정플레이트(222)와 설치기구바디(211)로부터 분리하고, 부력기구(220)의 제2체결부재(228)를 제2고정플레이트(223)와 설치기구바디(211)로부터 분리하면, 설치기구바디(211)는 자중에 의해 도 12와 같이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작업자는 다시 제1체결부재(227) 및 제2체결부재(228)를 통해 제1,2고정플레이트(222,223)을 설치기구바디(221)에 결합한다.
그러면, 현장조사장치(200)가 안정적이 자세를 취하게 된다.
한편, 작업자는 제1,2윈치(235,236)을 작동하여 제1,2와이어(233,234)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작업자는 토탈스테이션고정기구(250)의 지지부재(251)를 설치기구바디(211)의 제1관통홀(211a)에 삽입한다.
이후, 작업자는 도 13과 같이 고정부재(253)을 통해 지지부재(251)를 설치기구바디(211)에 고정한다.
이때, 고정부재(253)는 지지부재(251)의 가장 하방에 위치한 고정홀(251a1)에 체결되어 구비되거나, 별도의 보관함에 구비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작업자는 도 14와 같이 토탈스테이션(260) 및 입력장치(290)를 토탈스테이션설치부재(252)에 설치하고, 토탈스테이션(260)를 이용해 도 15와 같이 주변을 측정한다.
이때, 상기 현장 조사자는 토탈스테이션(260)을 통해 측정 지형지물의 위치를 확인하고, 최초 도화 이미지와 관측 지형지물 간에 차이가 발생할 경우, 해당 지형지물의 위치정보(지형지물 차이데이터)를 입력장치(290)에 입력한다.
또한, 상기 현장 조사자는 지형지물의 명칭, 기본정보(건물일 경우 층수, 건물의 높이)과 같은 속성정보데이터를 입력장치(290)에 입력한다.
이때, 건물의 층수는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며, 건물의 높이는 토탈스테이션(260)을 통해 건물의 하점과 상점을 측정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입력장치(290)에 입력된 지형지물 차이데이터 및 속성정보데이터는 송신장치(270)를 통해 송출되며, 수치지도 제작센터(300)의 수신기(310)는 상기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러면, 상기 수치지도 제작센터(300)에 구비된 수치지도제작기(320)는 지형지물 차이데이터 및 속성정보데이터를 바탕으로 정위치 편집, 구조화 편집 과정을 수행하여, 수치지도를 제작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현장조사를 완료하고 현장을 정리할 시, 장시간의 작업시간으로 인해 시간이 저녁으로 접어들 수 있다.
이럴 경우, 작업자는 현장조사장치(200)를 마무리 정리하는 데 있어 어려움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 이러한 경우, 별도의 보관함에 보관된 조명장치(280)를 도 16과 같이 현장조사장치(200)에 설치한 후 구동시켜, 주변을 밝게 함으로써, 작업자가 현장 정리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자는 조명장치(280)를 통해 주변을 밝게 함으로써, 물 밖으로 보다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현장조사장치(200)는 노면을 이동할 시, 이동성 향상을 위해 도 17과 같이 바퀴(240)가 노면에 닿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현장조사 작업을 정리할 시, 주변이 어두워도 안전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형지물을 현장조사장치(200)를 이용해 현장조사를 할 시, 강가 또는 해변 가와 같이 지형지물을 확인하기 위한 충분한 위치가 보장되지 못할 경우, 수중에 진입하여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때 안정적인 자세로 지형지물을 현장조사 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하게 현장조사를 수행할 수 있고, 현장조사를 통해 확보한 데이터를 수치지도 제작센터(300)로 실시간으로 송출할 수 있어, 보다 신속하게 수치지도 제작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장조사장치를 지상에서도 활용할 수 있으며, 지상에서의 이동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수치지도 제작기(300)는 수지지도 DB(미도시)와 연결되는데, DB커넥터를 통해 연결되며, DB커넥터는 공간질의부, 영역관리부, 버퍼링연산부, 레이어관리부, 공간연산부, DB질의부를 포함하고 있어 공간적인 연관 관계 분석을 위해 질의할 때 다중레이어 검색, 버퍼링 검색, 공간영역 검색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수지지도 DB에는 DB 저장시 데이터에 검색할 수 있는 공간영역이 설정되며, 특정키값으로 저장되어 질의문에 특정키값이 포함될 경우 해당키값에 맞는 공간영역이 검색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뿐만 아니라, 공간검색 영역에 대한 버퍼값들도 함께 관리되도록 하여 버퍼링연산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또한 검색영역을 다중 레이어로 분리하여 저장되게 함으로써 특정 영역들만 레이어별로 떼어내어 검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다만, 이러한 검색 및 관리, 저장 방식은 DB 관련 분야에서 이미 공지되어 있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비록 공지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당해 분야에 적용하고 응용한 예는 없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이를 활용한 것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은 또다른 특징으로, 도 18 및 도 19에서와 같이, 부력기구(220) 상에 착탈가능한 소파부재(500)가 더 구비된다.
이때, 상기 소파부재(500)는 전후진실린더(510)에 의해 부력기구(220)와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전후진실린더(510)는 부력기구(220)의 상면에 고정되고, 전후진실린더(510)에는 실린더로드(520)가 구비되는데 상기 실린더로드(520)의 선단에는 제1나사산(52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소파부재(500)의 일측, 더 정확하게는 상기 부력기구(220)와 마주하는 면 중앙에는 유동블럭(530)이 끼워지고, 상기 유동블럭(530)의 일측면 중앙에는 블럭로드(540)가 돌출되며, 상기 블럭로드(540)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나사산(522)과 반대방향으로 나선이 형성된 제2나사산(542)이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제1,2나사산(522,542)에는 양측 내경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접속부재(550)가 나사체결되어 상기 실린더로드(520)와 상기 블럭로드(540)를 상호 결속함으로써 전후진실린더(510)의 동력이 상기 블럭로드(540)까지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전후진실린더(510)가 동작하여 실린더로드(520)가 전진하면 소파부재(500)는 부력기구(220)로부터 멀어지면서 부력기구(220)와 소파부재(500)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게 되는데, 수중, 특히 해상에서는 이 공간이 정온해역이 된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소파부재(500)로 하여금 정온해역을 만들도록 동작하여 부력기구(220)가 물결의 파동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동작하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부력에 의한 상하운동, 핏치(Pitching), 롤(Roll and Sway), 히빙(Heaving) 등 모든 운동방향 요소를 최소화시켜 억제하게 되므로 안정성이 증대된다.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소파부재(500)가 파동을 소파시키는 것이 가장 크며, 그 다음으로 정온해역을 구성하기 때문인데, 여기에서 정온해역(Quiet Zone)이란 파고가 거의 없이 잔잔한 해상상태를 말한다.
한편, 상기 소파부재(500)는 도 18의 (b)에서와 같이, 부력기구(220)의 둘레를 따라 다수개, 바람직하게는 90°간격을 두고 4개 설치되며, 1/4 원호 형상의 내측부재(500a)와, 동일 형상을 갖고 간격을 둔 외측부재(500b) 및 내측부재(500a)와 외측부재(500b)를 결속하는 연결부재(500c)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내측부재(500a)의 내측면 중앙부에는 블럭홈(600)이 형성되고, 상기 블럭홈(600)은 내측부재(500a)의 하단까지 연장되어 하부가 완전히 뚫린 상태로 유지되고, 블럭홈(600)의 전면에는 가이드슬릿(61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유동블럭(530)은 상기 블럭홈(600)에 끼워지고, 상기 블럭로드(540)는 상기 가이드슬릿(610)에 끼워져 상하로 유동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가 필요한 이유는 내측부재(500a)는 부력체로 구성되기 때문에 수중에 잠겼을 때 일정 부분 뜨게 되므로 부상할 때 유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상기 외측부재(500b)는 상하길이 절반 상측에만 다수의 소파공(620, 도 18 참조)이 형성되는데, 상기 소파공(620)은 외측부재(500b)의 바깥쪽에서 파고에 의해 물이 튀어 밀려 올 때 물의 일부가 소파공(620)을 통해 빠져나가 내측부재(500a)와 외측부재(500b) 사이의 공간으로 낙하하면서 에너지를 소진시켜 소파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특히 바람직하기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소파공(620)의 경우, 바깥쪽 직경이 크고 안쪽을 향해 서서히 작아지는 직경의 콘 형상을 갖도록 하면 소파기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파공(620)을 외측부재(500b)의 절반 이상의 상측에만 형성하는 이유는 하측은 물에 잠기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500c)의 일단은 상기 내측부재(500a)의 외측면에 나사체결되고, 타단은 상기 외측부재(500b)를 관통한 다음 너트 체결되며, 상기 내측부재(500a)와 외측부재(500b) 사이에는 스프링(SP)이 개재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렇게 구성하면, 파고에 의해 외측부재(500b)에 충돌에너지가 전달될 때 외측부재(500b)가 스프링(SP)을 압축하면서 밀렸다 벌어졌다를 반복하게 되므로 충격을 흡수하여 충돌에너지를 저감시켜 소파 기능을 증대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SP)은 당연히 연결부재(500c)에 끼워져 있는 상태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부력기구(220)의 둘레를 따라 다수 설치된 소파부재(500)를 통해 부력기구(220)와의 간격을 벌렸다 좁혔다 하면서 정온해역 생성이 가능하고, 또한 파고에 의하 파소기능을 수행하므로 부력기구(220)가 큰 유동없이 안전하게 측정작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100: 기준국 200: 현장조사장치
300: 수치지도 제작센터

Claims (1)

  1. GPS위성(G)으로부터 현재 위치값을 수신받아 현재 위치값과 저장된 절대값을 상호연산하여 GPS보정값을 무선송출하는 기준국(100)과: 중심부에 상하로 관통형성된 제1관통홀(211a)과, 상하로 형성되며 제1관통홀(211a)의 좌우측방에 각각 구비되는 제1,2가이드홈(211b,211c))과, 좌우측방에 각각 형성되며 제1,2가이드홈(211b,211c)의 상방에 구비되는 제1,2체결홈(211d,211e)과, 제1,2가이드홈(211b,211c)의 내측면과 연통되며 제1,2체결홈(211d,211e)의 하방에 구비되는 제3,4체결홈(211f,211g)과, 제1관통홀(211a)의 전후방에 각각 구비되는 제2,3관통홀(211h,211i)을 갖춘 설치기구바디부(211), 상하로 형성되어 설치기구바디부(211)의 제1관통홀(211a)과 연통되는 지지부재삽입홀(212a)과, 측방으로 관통형성되는 고정홀(212b)를 갖추고서 설치기구바디부(211)의 상방에 구비되는 고정부(212)를 갖춘 설치기구(210); 중심부에 상하방으로 관통형성된 설치기구삽입홀(221a)과, 내부에 형성된 부력체수용공간(221b)을 구비한 부력기구바디(221), 제1,2체결홀(222a,223a)을 각각 구비하고 부력기구바디(221)의 내측 상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며 설치기구삽입홀(221a)을 중심으로 상호 대향되게 구비되는 제1,2고정플레이트(222,223), 제1,2고정플레이트(222,223)의 하방에 배치되며 설치기구의 제1,2가이드홈(211b,211c)에 각각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2가이드플레이트(224,225), 부력기구바디(221)의 부력체수용공간(221b)에 수용되는 부력체(226), 제1,2고정플레이트(222,223)의 제1,2체결홀(222a,223a)과 설치기구바디(211)의 제1,2체결홈(211d,211e) 또는 제1,2고정플레이트(222,223)의 제1,2체결홀(222a,223a)과 설치기구바디(211)의 제3,4체결홈(211f,211g)에 삽입되어, 제1,2고정플레이트(222,223)를 설치기구바디(211)에 각각 고정하는 제1,2체결부재(227,228)를 갖춘 부력기구(220); 설치기구(210)의 제2,3관통홀(211h,211i)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2닻부재(231,232), 제1,2닻부재(231,232)에 각각 연결되는 제1,2와이어(233,234), 설치기구바디(211)의 전후방에 배치되며 제1,2와이어(233,234)를 각각 감거나 푸는 제1,2윈치(235,236)를 갖춘 닻기구(230); 부력기구바디(221)의 하부에 설치되는 바퀴(240);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고정홀(251a1)이 형성되는 지지부(251a)와, 둘레부에 외측방으로 개구된 삽입홈(251b1)이 형성되며 지지부(251a)의 상부에 구비되는 연결부(251b)를 갖추고서, 설치기구 고정부(212)의 지지부재삽입홀(212a)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지지부재(251), 지지부재(251)의 연결부(251b)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홀(252a)을 구비한 토탈스테이션설치부재(252), 지지부재(251)의 고정홀(251a1) 및 설치기구 고정부(212)의 고정홀(212b)에 삽입되어 지지부재(251)를 고정하는 고정부재(253)를 갖춘 토탈스테이션고정기구(250); 토탈스테이션설치부재(252)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지형지물을 측정하는 토탈스테이션(260); 토탈스테이션설치부재(252)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실제 장소에 위치하는 지형지물이 실제로 존재하는가를 나타내는 지형지물 차이데이터 및 실제 장소에 위치하는 지형지물의 크기ㆍ 방향ㆍ형태ㆍ상호ㆍ명칭ㆍ건물의 층수ㆍ도로의 폭을 나타내는 속성정보데이터가 입력되는 입력장치(290); 입력장치(290)에 설치되며, 입력장치(290)로부터의 지형지물 차이데이터 및 속성정보데이터를 송출하는 송신장치(270); 둘레부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지지부재(251)의 고정홀(251a1)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양단이 고정홀(251a1)로부터 돌출되는 볼트체(281), 빛을 발광하는 조명등(282a,283a)과, 조명등(282a,283a)의 측단에 구비되며 볼트체(281)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는 너트체(282b,283b)를 구비하여, 볼트체(281)의 양단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2조명기구(282,283)를 갖춘 조명장치(280);를 갖춘 현장조사장치(200)와: 현장조사장치(200)의 송신장치(270)로부터 지형지물 차이데이터 및 속성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기(310); 수신된 지형지물 차이데이터 및 속성정보데이터를 이용하여 최초 도화 이미지를 수정하고 보완하는 정위치 편집모듈(321), 정위치 편집모듈을 통해 편집된 지형지물을 기하학적 형태로 구성하는 구조화 편집모듈(322), 구조화 편집된 도화 이미지를 이용하여 수치지도를 제작하는 수치지도 제작모듈(323)를 구비한 수치지도 제작기(320);를 갖춘 수치지도 제작센터(300): 를 포함하되,
    상기 수치지도 제작기(300)는 수지지도 DB와 DB커넥터를 통해 연결되고, DB커넥터는 공간질의부, 영역관리부, 버퍼링연산부, 레이어관리부, 공간연산부, DB질의부를 포함하고 있어 공간적인 연관 관계 분석을 위해 질의할 때 다중레이어 검색, 버퍼링 검색, 공간영역 검색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부력기구(220)의 둘레에는 90°간격을 두고 1/4 원형상의 소파부재(500)을 구비하며; 상기 소파부재(500)는 전후진실린더(510)에 의해 부력기구(220)와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전후진실린더(510)는 부력기구(220)의 상면 일측에 방사선상으로 고정되며; 상기 전후진실린더(510)에는 실린더로드(520)가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로드(520)의 선단에는 제1나사산(522)이 형성되며; 상기 소파부재(500)는 1/4 원형상의 내측부재(500a)와, 1/4 원형상의 외측부재(500b)와, 내측부재(500a)와 외측부재(500b)를 간격유지시키도록 결속하는 연결부재(500c)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측부재(500a)의 내측면 중앙부에는 블럭홈(600)이 형성되며; 상기 블럭홈(600)은 내측부재(500a)의 하단까지 직선형상으로 연장되어 하부가 완전히 뚫린 상태로 유지되고; 블럭홈(600)의 내측방향 전면에는 가이드슬릿(610)이 형성되며; 상기 블럭홈(600)에는 유동블럭(530)이 끼워지고; 상기 유동블럭(530)에는 상기 가이드슬릿(61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노출된 단부에는 상기 제1나사산(522)과 반대방향으로 제2나사산(542)이 형성된 블럭로드(540)가 형성되며; 상기 제1,2나사산(522,542)에는 접속부재(550)가 연결되고; 상기 외측부재(500b)는 다수의 소파공(620)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500c)의 일단은 상기 내측부재(500a)의 외측면 일부분에 나사체결되고, 타단은 상기 외측부재(500b)를 관통한 다음 너트 체결되며, 상기 내측부재(500a)와 외측부재(500b) 사이에는 스프링(SP)이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러 레이어에 대한 연속적인 공간 연산과 분석을 하는 기능을 갖는 시스템.
KR1020150134848A 2015-09-23 2015-09-23 여러 레이어에 대한 연속적인 공간 연산과 분석을 하는 기능을 갖는 시스템 KR101565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4848A KR101565766B1 (ko) 2015-09-23 2015-09-23 여러 레이어에 대한 연속적인 공간 연산과 분석을 하는 기능을 갖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4848A KR101565766B1 (ko) 2015-09-23 2015-09-23 여러 레이어에 대한 연속적인 공간 연산과 분석을 하는 기능을 갖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5766B1 true KR101565766B1 (ko) 2015-11-05

Family

ID=54600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4848A KR101565766B1 (ko) 2015-09-23 2015-09-23 여러 레이어에 대한 연속적인 공간 연산과 분석을 하는 기능을 갖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57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0937B1 (ko) 2015-09-23 2016-02-02 주식회사 지트 여러 공간정보 응용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한 다중 정밀 현장조사 위치정보가 통합된 수치지도 제작서비스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126B1 (ko) 2012-10-10 2013-01-17 주식회사 고원항공정보 지형지물변화와 지피에스 위치확인을 통한 정밀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KR101238306B1 (ko) 2012-11-06 2013-03-11 서광항업 주식회사 영상도화이미지의 비교 판단을 이용한 수치지도 정밀 업데이트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126B1 (ko) 2012-10-10 2013-01-17 주식회사 고원항공정보 지형지물변화와 지피에스 위치확인을 통한 정밀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KR101238306B1 (ko) 2012-11-06 2013-03-11 서광항업 주식회사 영상도화이미지의 비교 판단을 이용한 수치지도 정밀 업데이트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0937B1 (ko) 2015-09-23 2016-02-02 주식회사 지트 여러 공간정보 응용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한 다중 정밀 현장조사 위치정보가 통합된 수치지도 제작서비스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8306B1 (ko) 영상도화이미지의 비교 판단을 이용한 수치지도 정밀 업데이트 시스템
KR101590937B1 (ko) 여러 공간정보 응용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한 다중 정밀 현장조사 위치정보가 통합된 수치지도 제작서비스 시스템
US10761233B2 (en) Sondes and methods for use with buried line locator systems
KR101223126B1 (ko) 지형지물변화와 지피에스 위치확인을 통한 정밀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US11226412B2 (en) Use of multi-beam sonar systems to generate point cloud data and models, and data registration in underwater metrology applications
CN106500674B (zh) 一种基于市政工程的测绘方法
CN109579712A (zh) 基于无人机非接触式高边坡表面位移监测方法及监测系统
CN101158993A (zh) 土木建筑工程gps-rtk测量一体化pda装置
CN110207681A (zh) 基于无人机的地面变形监测方法
US20210293540A1 (en) Sensor rod assembly for measuring elevations
KR101223125B1 (ko) 정밀 수준측량에 따른 표고정보 업데이트시스템
CN103234525B (zh) 地质拍摄仪
KR101233104B1 (ko) 지형지물 관리를 통한 수치지도 정확성 향상시스템
CN1928586A (zh) 基于rtk-gps技术的海拔高测量设备及其测量方法
CN109345082A (zh) 井位勘定定量化数值筛选评价方法
KR101565766B1 (ko) 여러 레이어에 대한 연속적인 공간 연산과 분석을 하는 기능을 갖는 시스템
Jaud et al. Adequacy of pseudo-direct georeferencing of terrestrial laser scanning data for coastal landscape surveying against indirect georeferencing
CN108613657A (zh) 一种测绘装置及一种基于市政工程的测绘方法
KR101009355B1 (ko) 수치정보에 따른 지형이미지의 삼차원 공간 영상도화시스템
KR101899363B1 (ko) 지하시설물과 지형지물 영상촬영 데이터의 3차원 정밀 처리를 위한 측량 시스템
RU2612625C2 (ru) Объединенная система моделирования земной поверхности
CN103438873A (zh) 一种电力线路勘察测量技术
KR101189793B1 (ko) 토탈스테이션을 이용한 기준점기반 지형지물의 측지측량 처리시스템
KR101349146B1 (ko) 위치정보와 촬영이미지 합성을 기반으로 한 수치지도 제작용 영상처리 시스템
JP3197633U (ja) 水陸両用建設機械の施工支援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