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5668B1 - 아스팔트 및 역청의 착색을 위한 특정 왁스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각 형태의 오일- 및 왁스-함유 제제 - Google Patents

아스팔트 및 역청의 착색을 위한 특정 왁스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각 형태의 오일- 및 왁스-함유 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5668B1
KR101565668B1 KR1020137020066A KR20137020066A KR101565668B1 KR 101565668 B1 KR101565668 B1 KR 101565668B1 KR 1020137020066 A KR1020137020066 A KR 1020137020066A KR 20137020066 A KR20137020066 A KR 20137020066A KR 101565668 B1 KR101565668 B1 KR 101565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x
fischer
formulation
mixing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0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2774A (ko
Inventor
크쥐시토프 클로펙
위르겐 키쉬케비츠
루츠 코네르트
홀거 인덴
Original Assignee
란세스 도이치란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란세스 도이치란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란세스 도이치란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30122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27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5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56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1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0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 C04B20/10Coating or impregnating
    • C04B20/1018Coating or impregnating with organic materials
    • C04B20/1022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0/1025Fats; Fatty oils; Ester type waxes; Higher fatty acids;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6/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only organic binders, e.g. polymer or resin concrete
    • C04B26/02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6/26Bituminous materials, e.g. tar, pitch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0/00Processes, in general, for influencing or modifying the propertie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mpositions, e.g. their setting or hardening ability
    • C04B40/0028Aspects relating to the mixing step of the mortar preparation
    • C04B40/0039Premixtures of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5/00Compositions of bituminous materials, e.g. asphalt, tar, pitch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22Compounds of ir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22Compounds of iron
    • C09C1/24Oxides of ir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34Compounds of chromium
    • C09C1/346Chromium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36Compounds of titanium
    • C09C1/3607Titanium dioxi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82Recycling of unreacted starting or intermediate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igments, Carbon Blacks, Or Wood Stains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종 이상의 무기 안료, 1종 이상의 오일, 1종 이상의 피셔-트롭쉬(Fischer-Tropsch) 왁스 및 1종 이상의 제2 왁스를 포함하는 제제, 그의 제조 방법, 및 건축 자재, 바람직하게는 아스팔트, 역청, 역청 혼합물, 타르 및 타르-함유 조성물의 착색을 위한 그의 용도, 및 건축 자재의 착색 방법, 및 이 제제로 착색된 건축 자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아스팔트 및 역청의 착색을 위한 특정 왁스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각 형태의 오일- 및 왁스-함유 제제 {OIL- AND WAX-CONTAINING AGENTS IN PIECE FORM COMPRISING PARTICULAR WAX MIXTURES FOR THE COLORING OF ASPHALT AND BITUMEN}
본 발명은 1종 이상의 무기 안료, 1종 이상의 오일, 1종 이상의 피셔-트롭쉬(Fischer-Tropsch) 왁스 및 1종 이상의 제2 왁스를 함유하는 제제, 그의 제조 방법, 및 건축 자재, 바람직하게는 아스팔트, 역청, 역청 혼합물, 타르 및 타르-함유 조성물의 착색을 위한 그의 용도, 및 또한 건축 자재의 착색 방법, 및 이 제제로 착색된 건축 자재에 관한 것이다.
사용 분야
최적의 색상 효과를 성취하기 위한 안료의 가공은 안료를 분쇄하여 1차 입자를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생성된 분말은 분진화(dusting) 되기가 매우 쉽고, 이들의 미세한 세분된 상태로 인해서, 서로에 그리고 패키징, 기계 부품 및 칭량 장비에 달라붙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생성된 분진으로 인한 인간 및 환경에 대한 임의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서, 독성학자에 의해서 위험물로서 인식되는 물질은 가공 중에 측정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산화철 안료와 같은 관심이 없는 불활성 물질의 경우도, 시장에서는 분진 유해성 제어의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따라서, 우수한 유동 특성으로 인해서 분진을 방지하고, 칭량을 개선하여 건축 자재 및 무기 매질에서 사용 시에 질적으로 균일한 색상 효과를 성취하는 것이 안료 취급의 목표이다. 이러한 목표는 과립화 공정을 안료에 적용함으로써 거의 성취된다.
어떤 방법에 의해서 이들이 제조되던지 간에, 과립화 안료는 원칙적으로 2가지의 모순되는 특성, 즉, 과립의 부분에 대한 기계적 안정성 (마모 안정성) 및 사용된 매질 중에서의 우수한 분산 특성을 갖도록 시장에서 요구된다. 기계적 안정성은 안료가 사용되는 경우 생산자와 사용자 간의 이송에 관련된 우수한 이송 특성뿐만 아니라 우수한 개량 및 유동 특성을 초래한다. 기계적 안정성은 높은 결합력으로 인한 것이며, 예를 들어 결합제의 양 및 유형에 좌우된다. 한편, 분산성은 과립화 전에 우수한 분쇄 (습식 및 건식 분쇄)에 의해서, 특정 응용 매질에 혼입 시의 기계적 에너지 (전단력)에 의해서, 그리고 매질에 혼입되는 동안 펠릿 내의 결합력을 즉시 감소시키는 분산 조제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 최적의 색상 효과가 성취되려면, 안료 과립은 1차 입자로 분할되어야 한다. 무기 안료의 경우, 비교적 많은 양의 분산 조제의 사용은 보조제/안료의 비용비에 의해서 제한된다.
예를 들어, 건축 자재, 예컨대 아스팔트의 착색의 경우, 안료는 일부 예에서 여전히 분말상 상태로 사용된다. 이들은 분쇄 시 분산성이 우수한 이점을 갖는다. 이러한 분말상 무기 안료의 아스팔트 혼합물 중에서의 완전하고 균일한 분산은 단 시간 내에 - 일반적으로는 1분 내에 수행된다. 이러한 미세한 분말의 단점은 이들이 우수한 유동성을 갖지 않고, 적절하지 않게 저장될 경우 이들은 자주 케이크화되고, 함께 뭉치기 쉽다는 것이다. 이들은 패키징 및 기계 부품에 달라붙고, 이것은 가공 동안 정확한 칭량을 불가능하게 한다. 분말을 사용하는 것의 추가의 단점은 이들이 분진화되기 쉽다는 것이다.
선행 기술
유기 매질, 특히 아스팔트의 착색을 위해서 안료를 사용하는 경우 분진 방지 및 개선된 칭량이 주요 목적인데, 그 이유는 아스팔트-혼합 시설이 주택지에 매우 자주 위치하기 때문이다.
US 3,778,288에 따라서, 과립은 가열가능한 혼합기를 통해서 점진적인-응집화 방법(progressive agglomeration process)으로 왁스를 첨가함으로써 "마스터배치"로서 제조될 수 있다. 반응 조건에 따라서 상이한 입자 크기가 수득된다. 이러한 과립은 중합체, 예컨대 플라스틱, 왁스 또는 수지의 착색에 사용된다. 상기 응용에 사용되는 과립을 위한 최적의 입자 크기는 0.2 내지 2 mm (70 내지 10 메시)이다. 결합제로서 사용되는 왁스는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26% 내지 65%의 농도로 사용된다. 이러한 높은 결합제 분율은 건축 자재의 착색에서 사용하기에 바람직하지 않은데, 그 이유는 결합제가 건축 자재의 특성에 악영향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동일한 착색 효과를 성취하기 위해서는 분말상 무기 안료에 비해서 상당히 많은 양의 "마스터배치"가 필요하며, 이것은 그의 사용을 비경제적으로 만든다.
EP 0 567 882 A1에는 무기 안료 과립을 사용하여 아스팔트 및/또는 역청을 착색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으며, 여기서, 과립은 오일 및/또는 왁스를 첨가하여 형성될 수 있다. 언급된 첨가제의 양 (안료를 기준으로 0.01 내지 10 중량%)은 역청 중에서 과립의 분산성을 개선시키지만, 이러한 방법은 충분한 기계적 안정성을 갖는 과립을 제공할 수 없다.
EP 1 598 395 A1에는 아스팔트에 대한 혼합물로서 유용한 에틸 비닐 아세테이트의 공중합체를 기재로 하는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압출 과립이 여기에서 고려된다. 당업자는 산화철을 갖는 플라스틱 압출물은 안료의 마모 특성으로 인해서 아스팔트-가공 장비에 상당한 마모를 유발한다는 것을 인식한다.
US 6,706,110 B2 및 US 6,780,234 B2에는 극성 매질을 위한 분산제 및 왁스를 첨가함으로써 비극성 매질, 예컨대 아스팔트 및 역청을 착색하기 위한 안료 과립이 개시되어 있다. 그의 제조 방법은 수성계의 분무-과립화 방법이다. 분무 과립화는 소적화(dropletization)가 예상되고, 따라서 상당히 유동성인, 즉 액체, 현탁액의 사용이 필요하다. 그러나, 건조를 위해서는 비교적 많은 양의 물이 증발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 방법은 에너지 집중적이고, 따라서 이들의 제조 방법으로 인해서, 특히, 과립화될 안료가 습식 상, 예를 들어 수성 현탁액 또는 페이스트로 존재하는 경우 사용하기에 이롭다. 건식 제조 방법, 예를 들어, 하소를 통해서 수득된 안료의 경우, 분무 과립화는 추가적인 조작인데, 그 이유는 수득된 건식 안료를 물 중에 재현탁시키고 건조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분무 과립화를 통해서 수득된 과립은 입자 크기가 20 내지 500 μm이고, 이것은 칭량 첨가에서 상당한 분진화를 유발한다. 크기가 1 mm 미만인 입자는 아스팔트 가공에 종사하는 노동자를 보호하려는 관점에서 볼 때 여전히 분진으로서 포함된다.
선행 기술에서 제공된 안료 조성물은 주위보다 높은 온도에서 가공되는 건축 자재, 예컨대 아스팔트, 역청, 역청 혼합물, 타르 및 타르-함유 조성물의 착색에서 안전하고 경제적으로 사용하기에 부적합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는, 무기 안료를 함유하고, 경제적인 방식으로 입수가능하고, 주위보다 높은 온도에서 가공되는 건축 자재의 착색에 유용하고, 건축 자재의 기계적 강도에 이상적으로 악영향을 갖지 않는 저-분진성의 쉽게 칭량될 수 있는 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놀랍게도, 언급된 것은 1종 이상의 무기 안료 및 1종 이상의 오일 이외에 2종 이상의 상이한 왁스를 함유하는 제제를 제공함으로써 해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Figure 112013068465771-pct00001
1종 이상의 무기 안료,
Figure 112013068465771-pct00002
1종 이상의 오일,
Figure 112013068465771-pct00003
응고점(congealing point)이 50 내지 140℃,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20℃,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10℃, 가장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10℃이며 25℃에서의 침입도(needle penetration)가 1 mm 이하, 바람직하게는 0.7 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4 mm 이하인 1종 이상의 피셔-트롭쉬(Fischer-Tropsch) 왁스, 및
Figure 112013068465771-pct00004
응고점이 50 내지 140℃,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20℃,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10℃, 가장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10℃이며 피셔-트롭쉬 왁스 및 폴리올레핀 왁스 둘 다 아닌 1종 이상의 제2 왁스
를 함유하며, 제제의 50 중량% 이상이 1 mm 이상,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 mm의 입자 크기를 갖는 것인 제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제는 바람직하게는 오일, 피셔-트롭쉬 왁스 및 제2 왁스를 함유한다. 제제의 70 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중량% 이상이 1 mm 이상,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 mm의 입자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제는 비과립화 안료 분말에 비해서, 응용 매질 중의 분산성 및 착색된 응용 매질 중에서 수득된 색조(hue)에 관한 요건을 완전히 충족시키고, 제제로 착색된 건축 자재의 특성 (예를 들어, 기계적 하중 하에서의 아스팔트의 강도)에 악영향을 갖지 않는다. 기계적 강도는 아스팔트의 본질적인 특성이다. 기계적 강도의 감소는 예를 들어, 차량이 아스팔트로 피복된 도로 또는 길을 통과할 때 생성되는 바퀴 자국의 경향성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제제는 조각(piece) 형태이다. 이하에서 "제제"는 1차 입자의 응집체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며, 이러한 응집체는 이들의 최대 공간적 크기(maximum spatial extent)가 1차 입자의 것과 상이하다. "제제"는 또한 과립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의 내용에서 "과립" 또는 "과립 형태로"는 처리 단계에 의해서, 출발 물질에 비해서 평균 입자 크기가 증가된 임의의 물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따라서, "과립" 또는 "과립 형태로"는 단지 분무된 과립, 압축된 과립 (압착되거나 또는 브리켓화된 과립) 또는 점진적인-응집화 과립일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후속 분쇄로 습식 또는 수분 처리된 생성물, 및 건조 또는 본질적인 건조 가공 단계의 생성물, 예를 들어, 건식-제조된 과립, 브리케팅된 물질 등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제제는 바람직하게는 점진적인-응집화 과립, 보다 바람직하게는 가열가능한 혼합기를 통해서 제조된 점진적인-응집화 과립이다.
본 발명의 제제는 바람직하게는 구형 응집체의 형태이며, 이들은 구형 형상일 뿐만 아니라 타원형 및 또한 이들의 중간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주는 또한 바람직한 범위의 조합을 비롯한 모든 특징을 위해서 언급된 범위의 임의의 바람직한 조합을 포함함을 주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제에서, 무기 안료는 바람직하게는 산화철, 산화철 수화물, 산화크로뮴, 이산화티타늄 및/또는 금속 산화물 기재의 혼합-상 안료의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산화철은 예를 들어, 적철석 (산화철 레드) 또는 자철석 (산화철 블랙)을 포함한다. 산화철 수화물은 예를 들어, 침철석(goethite) (산화철 옐로우)을 포함한다. 금속 산화물 기재의 혼합-상 안료는 예를 들어, 아연 페리트 (산화아연 및 산화철로부터의 혼합-상 안료) 또는 망가니즈 페리트 (산화망가니즈 및 산화철로부터의 혼합-상 안료)이다. 본 발명의 제제는 1종 이상의 무기 안료를 함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제제는 1종의 무기 안료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제제는 1종 이상의 오일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내용에서 오일은 실온에서 액체이고 휘발성이 아닌 비극성 물질이거나 또는 약간 극성인 물질이다. 이러한 부류 중에서 합성 오일, 미네랄 오일 (석유 또는 석탄으로부터 수득됨), 동물 오일 또는 식물 오일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오일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40℃에서 동점도가 1.6 내지 1500 mm²/s (DIN 51562에 따라서 측정)인 오일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제는 탄화수소를 기재로 하는 합성 오일, 또는 미네랄 오일 (석유 또는 석탄으로부터 수득됨)을 함유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제에서, 오일 및 오일들의 총량은 제제의 총량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5.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 중량%이다. 본 발명의 제제는 1종 이상의 오일을 함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제제는 1종의 오일을 함유한다.
왁스는 분해되지 않고 40℃보다 높은 온도에서 미세 결정질 용융물로 거칠어지는 물질을 지칭하며, 용융 온도를 약간 초과할 때도 저품질이 아니며, 비교적 낮은 점도이다.
피셔-트롭쉬 왁스는 고분자량을 갖고, 탄소 원자 20 내지 120개의 쇄 길이를 갖는 합성 지방족 탄화수소, 즉, 합성 파라핀 왁스이다. 피셔-트롭쉬 왁스는 소위 피셔-트롭쉬 방법을 통해서 촉매의 존재 하에서 합성가스 (수소, 일산화탄소)로부터, 석탄 기화로부터 또는 천연 가스로부터 제조된다. 피셔-트롭쉬 왁스의 부류는 또한 산화된 피셔-트롭쉬 왁스를 포함한다. 피셔-트롭쉬 왁스는 일반적으로 응고점이 70℃를 초과한다. 융점보다 왁스의 가공에 기술적으로 더 중요한 응고점은 융점 대신에 종종 측정되는 왁스의 물리적 특성이다. 응고점은 ISO 2207 또는 ASTM D 938에 따라서 측정될 수 있다.
피셔-트롭쉬 왁스는 비교적 경질이고, 이것은 25℃에서의 "mm" 단위의 침입도를 통해서 측정될 수 있다. 피셔-트롭쉬 왁스는 65℃에서의 침입도가 바람직하게는 3 mm 이하이다.
상이한 온도, 예를 들어, 25℃ 또는 65℃에서의 침입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예를 들어, ASTM D 1321 또는 DIN 51579의 방법을 포함한다. 피셔-트롭쉬 왁스에 대한 25℃에서의 침입도의 전형적인 값은 0.1 mm 내지 1 mm 범위이다. 본 발명의 제제는 1종 이상의 피셔-트롭쉬 왁스를 함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제제는 1종의 피셔-트롭쉬 왁스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제제 중의 "제2 왁스"는 피셔-트롭쉬 왁스 또는 폴리올레핀 왁스가 아니다. 폴리올레핀 왁스는 쇄 성장 부가 중합에 의해서 제조된, 유도체화되거나 또는 유도체화되지 않은 알켄, 예를 들어, 에틸렌, 프로필렌 또는 스티렌 (페닐에텐)의 중합체에 의해서 형성된 왁스이다.
제2 왁스는 바람직하게는 미네랄 왁스, 몬탄 왁스, 식물 왁스 및/또는 동물 왁스의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미네랄 왁스는 노말(normal), 분지쇄 또는 고리형의 포화 탄화수소의 혼합물이며, 이것은 화석 기원의 왁스, 예를 들어, 세레신을 정제함으로써 수득된다. 몬탄 왁스는 갈탄 부류로부터 추출될 수 있는 천연 왁스이다. 이러한 천연 왁스는 수지, 왁스 및 제3기 식물(tertiary plant)의 지방으로부터 형성되었다. 사탕수수 왁스 및 카르나우바 왁스는 식물 왁스의 예이다. 동물 왁스는 고래왁스, 라놀린 및 밀랍을 포함한다.
제2 왁스로서 특히 유용한 왁스는 상기에 언급된 부류로부터 유래되며, 120℃에서의 동적 점도가 800 mPas 미만, 바람직하게는 300 mPas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0 mPas (DIN 53019에 따라서 측정)이다. 제2 왁스로서 사용하기에 미네랄 왁스가 바람직하며, 미세 결정질 경질 왁스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은 미네랄 왁스의 부류의 일부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제제는 "제2 왁스"로서 120℃에서의 동적 점도가 1 내지 100 mPas인 미세결정질 경질 왁스를 함유하는 것이 매우 특별하게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제는 1종 이상의 "제2 왁스"를 함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제제는 1종의 "제2 왁스"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제제 중의 피셔-트롭쉬 왁스의 비율은 피셔-트롭쉬 왁스 및 제2 왁스의 총량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65 중량%이다. 본 발명의 제제 중의 피셔-트롭쉬 왁스 및 제2 왁스의 총량은 제제의 총량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8 내지 2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8 중량%이다.
피셔-트롭쉬 왁스 및 제2 왁스는 원래대로, 즉, 화학적으로 개질되지 않은 형태로, 또는 화학적으로 개질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제는 추가의 보조제 물질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지만, 이것은 제제의 특성, 예컨대 이들 제제로 착색된 아스팔트의 분진 특징, 투여성 및 분산성 및 또한 기계적 강도를 감소시키지 않아야 하거나, 또는 본 발명의 제제는 이들 추가의 보조제 물질을 단순히 함유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제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산화철 또는 산화크로뮴, 미네랄 오일, 피셔-트롭쉬 왁스 및 미세결정질 경질 왁스의 조합물을 함유한다.
본 발명은 또한
a) 1종 이상의 무기 안료를 1종 이상의 오일과 혼합하는 단계,
b) 단계 a)의 혼합물을 1종 이상의 피셔-트롭쉬 왁스 및 1종 이상의 제2 왁스와 혼합하는 단계, 및
c) 단계 b)의 혼합물을 피셔-트롭쉬 왁스 및 제2 왁스의 응고점보다 높은 온도에서 추가로 혼합하는 단계 (변형예 A),
또는
a') 1종 이상의 무기 안료를 1종 이상의 피셔-트롭쉬 왁스 및 1종 이상의 제2 왁스와 혼합하는 단계,
b') 단계 a')의 혼합물을 1종 이상의 오일과 혼합하는 단계, 및
c') 단계 b')의 혼합물을 피셔-트롭쉬 왁스 및 제2 왁스의 응고점보다 높은 온도에서 추가로 혼합하는 단계 (변형예 B),
또는
1종 이상의 무기 안료를 1종 이상의 오일 및 1종 이상의 피셔-트롭쉬 왁스 및 1종 이상의 제2 왁스와 동시에 혼합하는 단계, 및 이어서, 혼합물을 피셔-트롭쉬 왁스 및 제2 왁스의 응고점보다 높은 온도에서 추가로 혼합하는 단계 (변형예 C)
를 특징으로 하는, 3가지의 대안적인 실시양태 (변형예 A, B 또는 C)로 본 발명의 제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제제의 형성 방법은 본 발명의 내용에서 또한 점진적인 응집화에 의해서 과립을 구조화하는 것으로서 지칭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변형예 A, B 및 C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오일, 피셔-트롭쉬 왁스 및 제2 왁스로서 본 발명의 제제의 설명에서 이들 일반적인 용어 하에 개시된 구체적인 제품을 사용한다.
변형예 A, B 및 C의 제조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형성된 제제를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고, 이어서 제제의 5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70 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중량% 이상이 1 mm 이상,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 mm의 입자 크기를 갖도록 하는 입자 크기 범위로 체질(sieving)하는 것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 단계를 포함하지 않는다. 제제를 주위 온도로 냉각하는 것은 진동 컨베이어 또는 유동층 냉각기 또는 액체 또는 기체성 매질을 갖는 일부 다른 방식으로 수행하거나, 또는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변형예 A, B 및 C의 제조 방법은 또한 체질 후 수득된 큰 크기 및/또는 작은 크기, 즉, 목적하는 입자 크기보다 크고/크거나 작은 제제를 제제의 제조 방법으로 재순환시키거나 또는 재순환시키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제조 방법 동안, 재순환된 큰 크기 및/또는 작은 크기를 방법에 도입된 다른 성분과 배합하여 본 발명의 제제를 형성한다.
오일 또는 오일들, 피셔-트롭쉬 왁스 및 제2 왁스를 연속적으로 무기 안료에 첨가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양태 (변형예 A 및 B)에서 단계 a) 또는 a')는 바람직하게는 피셔-트롭쉬 왁스 및 제2 왁스의 응고점보다 낮은 온도에서 수행된다. 변형예 A에서 무기 안료에 오일 또는 오일들을 첨가하는 것, 또는 변형예 B에서 무기 안료에 왁스를 첨가하는 것은 혼합 작동 전 또는 혼합 작동 중에 수행될 수 있다. 변형예 A에서, 오일은 혼합 작동 동안 무기 안료 중에 균일하게 분산된다. 분말은 작동에서 유동성이다. 이어서, 단계 b) 또는 b') 이전에, 혼합물을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50℃의 범위의 온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40℃의 범위의 온도로 가열한다. 이어서, 변형예 A에서, 분말, 플레이크, 조각의 형태로, 또는 용융된 형태로 왁스를 오일-처리된 무기 안료에 첨가하거나, 또는 변형예 B에서, 오일 또는 오일들을 왁스와 혼합된 무기 안료에 첨가한다. 그 후, 혼합물의 온도를 피셔-트롭쉬 왁스 및 제2 왁스의 응고점보다 높은 온도로 추가로 증가시킨다. 단계 c) 또는 c')는 바람직하게는 110℃ 내지 230℃에서 수행한다.
온도 증가는 혼합 작동 동안의 전단력 및/또는 열의 외부 공급으로 인한 것이다. 왁스는 용융되고, 오일-처리된 무기 안료 중에 분산되어 제제를 형성한다.
오일 또는 오일들, 피셔-트롭쉬 왁스 및 제2 왁스를 무기 안료에 동시에 첨가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양태 (변형예 C)에서 무기 안료를 오일(들), 피셔-트롭쉬 왁스 및 제2 왁스와 블렌딩하는 것은, 왁스의 응고점보다 낮거나 또는 높은 온도에서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무기 안료를 오일(들), 피셔-트롭쉬 왁스 및 제2 왁스와 혼합하는 것은 왁스의 응고점보다 낮은 온도에서 수행한다. 이어서, 혼합물의 온도를 피셔-트롭쉬 왁스 및 제2 왁스의 응고점보다 높은 온도, 바람직하게는 110℃ 내지 230℃ 범위의 온도로 증가시키고, 혼합 작동을 계속한다. 온도 증가는 혼합 작동 동안의 전단력 및/또는 열의 외부 공급으로 인한 것이다. 왁스는 용융되고, 오일과 함께 무기 안료 중에 분산되어 제제를 형성한다.
충분한 혼합 효과 및 충분한 전단력을 제공하는 다양한 가열가능한 혼합 어셈블리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열가능한 헨쉘(Henschel) 혼합기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제의 입자 크기는 변형예 A, B 및 C의 제조 방법의 혼합 작동 동안 단조롭게 증가한다. 따라서, 혼합 작동을 제 시간에 적합한 지점에서 중지한다. 혼합 작동을 너무 짧은 시간 동안 수행하는 경우, 너무 작은 입자 크기를 갖는 제제가 수득된다. 혼합 시간이 너무 긴 경우, 제제는 너무 거칠어지고, 이것은 아스팔트 중의 분산성에 악영향을 가질 수 있다. 이것은 아스팔트의 불균일한 착색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입자 크기가 1 mm 이상,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 mm인 제제가 제제의 총량을 기준으로, 최대 % 분율에 도달하면, 혼합 작동을 중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의 변형예 A, B 및 C에서 혼합 작동을 중지한 후, 본 발명의 제제를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고, 그 후, 제제의 50 중량% 이상이 1 mm 이상의 입자 크기, 바람직하게는 제제의 70 중량% 이상이 1 mm 이상의 입자 크기,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제의 80 중량% 이상이 1 mm 이상의 입자 크기를 갖거나,
또는
제제의 50 중량% 이상이 1 내지 10 mm 범위의 입자 크기, 바람직하게는 제제의 70 중량% 이상이 1 내지 10 mm 범위의 입자 크기,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제의 80 중량% 이상이 1 내지 10 mm 범위의 입자 크기를 갖거나,
또는
제제의 50 중량% 이상이 1 내지 6 mm 범위의 입자 크기,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제의 70 중량% 이상이 1 내지 6 mm 범위의 입자 크기,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제의 80 중량% 이상이 1 내지 6 mm 범위의 입자 크기를 갖도록 하는 입자 크기 범위로 체질한다.
본 발명의 제제는 우수한 유동성, 낮은 분진 함량, 우수한 마멸 안정성 및 또한 역청-함유 또는 타르-함유 건축 자재 중의 높은 분산성, 및 또한 비과립화 무기 안료와 비교하여 응용 매질에서 유사하게 강하고 대등한 색조, 및 또한 본 발명의 제제로 착색된 아스팔트가 그의 기계적 강도를 유지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본 발명은 또한 건축 자재, 바람직하게는 아스팔트, 역청, 역청 혼합물, 타르 및 타르-함유 조성물의 착색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제의 용도를 제공한다. 그의 사용 시, 응고점보다 낮은 온도에서 혼합함으로써 본 발명의 제제를 건축 자재에 첨가한다. 혼합 작동은 건축 자재의 균일한 착색이 수득될 때까지 계속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제제를 건축 자재와 그의 연화점보다 높은 온도에서 혼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건축 자재, 바람직하게는 아스팔트, 역청, 역청 혼합물, 타르 및 타르-함유 조성물의 착색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에서, 건축 자재의 균일한 착색이 수득될 때까지 건축 자재를 제제와 혼합한다.
본 발명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제제로 착색된 건축 자재, 바람직하게는 아스팔트, 역청, 역청 혼합물, 타르 및 타르-함유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주제는 개별 특허청구범위의 주제뿐만 아니라 개별 특허청구범위와 각각 또는 서로와의 조합으로부터 명백할 것이다. 이는 설명 및 그의 임의의 조합에 개시된 모든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실시예 및 방법
I. 사용된 측정 방법 및 시험 방법의 설명
실시예 1 내지 5에 관련된 측정 결과를 표 1에 요약한다.
I.1 아스팔트 중의 분산성
아스팔트 중의 분산성을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집합체(aggregate) (아스팔트를 제조하기 위한 미네랄 충전제)를 가열가능한 실험실 혼합기 (레고(Rego) 제품)에서 피그멘탈(Pigmental)® 50/70 도로건설 역청 (토탈 비투멘 도이칠란트 게엠베하(TOTAL Bitumen Deutschland GmbH)로부터의 상업적인 제품)과 함께 180℃에서 30초 동안 균일화하였다. 그 후, 측정될 안료 샘플, 즉, 실시예에 따른 제제를 첨가하고, 이어서 이를 180℃에서 추가로 120초 동안 혼합하였다. 첨가된 안료 샘플의 양은 각 경우 총 조성물을 기준으로 3 중량%였다. 혼합물을 사용하여 마샬(Marshall) 시편을 제조하였다 (문헌 ["The Shell Bitumen Handbook, Shell Bitumen U.K., 1990, pages 230-232]). 풀 쉐이드(full shade)에서의 적색 값 a* 대 동일한 양의 베이페록스(Bayferrox)® 130 분말 (란세스 도이칠란트 게엠베하(LANXESS Deutschland GmbH)로부터의 산화철 레드 안료, 색상 측정 절대 값 Rx = 6.46, Ry = 5.12, Rz = 3.92인 2001 표준품)을 사용하여 제조된 마샬 시편을 비교함으로써 마샬 시편들 간의 색조 차이를 비색적으로(colorimetrically) 평가하였다 (미놀타 크로마미터(Minolta Chromameter) II, 표준 조명(standard illuminant) C, CIELAB 시스템, DIN 5033, DIN 6174을 사용하여 측정). a* 값 차이 (Δa* 값)가 1.0 단위 미만이면 육안으로 구분되지 않는다. 측정될 샘플로 착색된 시험 시편의 a* 값의 양이 베이페록스® 130 분말 기준품으로 착색된 시험 시편의 a* 값보다 작은 경우, 이것은 분말 기준품에 비해서 측정될 샘플의 부품에 대한 분산성이 낮은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측정에서 Δa* 값의 양이 작을 수록, 상이한 측정품들의 색조는 더 유사하며, 이것은 측정될 샘플의 분산성이 베이페록스® 130 분말 기준품과 약간 차이가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I.2 제제의 입자 크기 분율의 측정
1 및 6 mm의 체 세트 (DIN ISO 3310에 따른 체 세트)가 있는 레츠쉬 바이브트로닉 VE 1 체 바이브레이터(Retsch Vibtronic VE 1 sieve vibrator)를 사용하여 입자 크기 분율을 측정하였다. 조각 형태의 제제 (50.0 g)를 최상부의 최대 체 상에서 칭량하였다. 체 세트 타워를 1 mm 진동 강도에서 2분 동안 진동시켰다. 그 후, 각각의 개별 체를 칭량하고, 체 분율을 측정하였다.
I.3 제제의 마멸값의 측정
레움 LPS 200 MC 에어 제트 시버(Rhewum LPS 200 MC air jet siever)를 사용하여 마멸값을 측정하였다. 다음 세팅을 선택하였다: 노즐 1 mm, 부피 유량 35 m3/h, 1 mm 체, 회전 속도 18 rpm. DIN ISO 3310에 따른 빈 체를 칭량하고, 이어서 샘플 20 g이 있는 체를 칭량하였다. 그 후, 시버의 스위치를 켜고, 샘플을 응력 1, 2, 3, 4 및 5분 하에 두었다 (체질된 물질은 에어 제트에 의해서 상향으로 선회함). 매 분 후, 샘플을 갖는 체를 칭량하고, 그 후 시버 상에 놓고, 약간 더 체질하였다.
보정: (20 g (본래 중량) - 최종 중량) / 본래 중량 20 g x 100 =
서브크기(subsize)의 중량% (마멸값)
이 시험에 따른 우수한 마멸 안정성 (= 낮은 마멸값)은, 체질된 물질을 5분 동안 상향 선회시킨 후 측정된 서브크기가 10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5 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중량%의 양인 것으로 정의된다 (= 5분 후 마멸값, 표 1 참고).
I.4 침입도의 측정
정의된 혼합된 물질 (Th-아스팔트(Th-Asphalt), 엠에이 에스헨나우, 호르메르스도르프, 지른도르프(MA Eschenau, Hormersdorf, Zirndorf)로부터의 50/70 도로 역청을 갖는 AC 8 DN 아스팔트 콘크리트 커버 층, "Technical Supply Conditions for Asphalt Mix Material for the Construction of Traffic Surfaces, TL Asphalt-StB 07"에 따름)을 사용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 실시예에 따른 제제의 농도는 전체 착색된 아스팔트 혼합물 중에서 2.73 중량%였다. 실시예에 따른 제제를 방법 I.1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혼합 시간 동안 동일한 온도에서, 혼합된 물질 중에 분산시켰다. DIN EN 1426에 따라서, 회수된 결합제 (TP 아스팔트-StB에 따름) 중에서 침입도를 측정하였다.
I.5 고리 및 볼 연화점의 측정
정의된 혼합된 물질 (Th-아스팔트, 엠에이 에스헨나우, 호르메르스도르프, 지른도르프로부터의 50/70 도로 역청을 갖는 AC 8 DN 아스팔트 콘크리트 커버 층, "Technical Supply Conditions for Asphalt Mix Material for the Construction of Traffic Surfaces, TL Asphalt-StB 07"에 따름)을 사용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 실시예에 따른 제제의 농도는 전체 착색된 아스팔트 혼합물 중에서 2.73 중량%였다. 실시예에 따른 제제를 방법 I.1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혼합 시간 동안 동일한 온도에서, 혼합된 물질 중에 분산시켰다. DIN EN 1427에 따라서, 회수된 결합제 (TP 아스팔트-StB에 따름) 중에서 고리 및 볼 연화점을 측정하였다.
I.6 공극 함량의 측정
시험을 위해서, 정의된 혼합된 물질 (Th-아스팔트, 엠에이 에스헨나우, 호르메르스도르프, 지른도르프로부터의 50/70 도로 역청을 갖는 AC 8 DN 아스팔트 콘크리트 커버 층, "Technical Supply Conditions for Asphalt Mix Material for the Construction of Traffic Surfaces, TL Asphalt-StB 07"에 따름)을 사용하여 TP 아스팔트-StB에 따라서 마샬 시편을 수행하였다. 실시예에 따른 제제의 농도는 전체 착색된 아스팔트 혼합물 중에서 2.73 중량%였다. 실시예에 따른 제제를 방법 I.1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혼합 시간 동안 동일한 온도에서, 혼합된 물질 중에 분산시켰다. 시험을 위해서, 안료처리된 아스팔트 혼합 물질의 겉보기 밀도 및 안료처리된 아스팔트 시편의 봉입 밀도(envelope density) (둘 다 TP 아스팔트-StB에 대한 특성임)를 측정하였다. 공극 함량 V를 하기 식에 따라서 아스팔트 혼합 물질 (pm)의 겉보기 밀도 및 시험 시편의 봉입 밀도 (pb)로부터 계산하였다.
V = ((pm-pb)/pm) * 100
II: 실시예
사용된 무기 안료, 오일 및 왁스의 특성
란세스 도이칠란트 게엠베하로부터의 베이페록스® 130 안료 분말: BET 표면적 (DIN ISO 9277에 따름)이 7 내지 9 m2/g인 적철석 (산화철 레드)
BP로부터의 에너골(Energol) RC-R 100: 40℃에서 동점도 (DIN 51562)가 약 100 cSt인 미네랄 오일
사소비트(Sasobit)®: 사솔(Sasol)로부터의 피셔-트롭쉬 왁스; 특성: 응고점 (ASTM D 938) 약 100℃, 25℃에서의 침입도 (ASTM D 1321) 0.1 mm, 65℃에서의 투과도 (ASTM D 1321) 1.3 mm
테세로® 30332: 바흐-유. 세레신-파브리켄 트. 체. 트롬 게엠베하(Wachs- u. Ceresin-Fabriken Th. C. Tromm GmbH)로부터의 미세결정질 왁스; 특성: 응고점 (ISO 2207): 90 내지 95℃, 25℃에서의 투과도 (DIN 51 579) 0.4 내지 0.7 mm, 120℃에서의 점도 (DIN 53 019) 7 내지 11 mPas.
실시예 1
실온에서 베이페록스® 130 산화철 레드 안료 15.0 kg에 에너골 RC R 100 압축기 오일 0.150 kg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약 100℃로 가열하고, 약 5분 동안 75 L FM75 헨쉘 혼합기 내에서 혼합하였고, 이어서 테세로와치스(Tecerowachs)® 30332 왁스 1.32 kg 및 사소비트® 1.32 kg을 첨가하고, 전체 혼합물을 약 15분 동안 추가로 혼합하고 (장치 속도 약 780 rpm), 공정에서 약 200℃ 이하로 가열하였다. 생성물 내에서 온도를 측정하였다.
이어서, 밸브를 통해서 제제를 방출하고, 냉각시키고, 체질하고, 칭량하였다. 1 내지 6 mm의 전체 입자-크기 범위에 대해서 제제의 수율을 계산하였다 (표 1).
실시예 2
실온에서 베이페록스® 130 산화철 레드 안료 15.0 kg에 에너골 RC R 100 압축기 오일 0.150 kg, 테세로와치스® 30332 왁스 1.32 kg 및 사소비트® 1.32 kg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약 15분 동안 75 L FM75 헨쉘 혼합기 내에서 혼합하고 (장치 속도 약 780 rpm), 공정에서 약 200℃ 이하로 가열하였다. 생성물 내에서 온도를 측정하였다.
이어서, 밸브를 통해서 제제를 방출하고, 냉각시키고, 체질하고, 칭량하였다. 1 내지 6 mm의 전체 입자-크기 범위에 대해서 제제의 수율을 계산하였다 (표 1).
실시예 3
실온에서 베이페록스® 130 산화철 레드 안료 15.0 kg에 에너골 RC R 100 압축기 오일 0.150 kg, 테세로와치스® 30332 왁스 1.32 kg 및 사소비트® 1.32 kg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약 35분 동안 75 L FM75 헨쉘 혼합기 내에서 외부에서 가열하지 않고 약 130℃ 이하에서 혼합하였다 (장치 속도 약 780 rpm). 생성물 내에서 온도를 측정하였다.
이어서, 밸브를 통해서 제제를 방출하고, 냉각시키고, 체질하고, 칭량하였다. 1 내지 6 mm의 전체 입자-크기 범위에 대해서 제제의 수율을 계산하였다 (표 1).
실시예 4
실온에서 베이페록스® 130 산화철 레드 안료 15.0 kg에 에너골 RC R 100 압축기 오일 0.150 kg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약 100℃로 가열하고, 약 5분 동안 75 L FM75 헨쉘 혼합기 내에서 혼합하고, 이어서 테세로와치스® 30332 왁스 1.19 kg 및 사소비트® 1.46 kg을 첨가하고, 전체 혼합물을 약 15분 동안 추가로 혼합하고 (장치 속도 약 780 rpm), 공정에서 약 200℃ 이하로 가열하였다. 생성물 내에서 온도를 측정하였다.
이어서, 밸브를 통해서 제제를 방출하고, 냉각시키고, 체질하고, 칭량하였다. 1 내지 6 mm의 전체 입자-크기 범위에 대해서 제제의 수율을 계산하였다 (표 1).
실시예 5
실온에서 베이페록스® 130 산화철 레드 안료 15.0 kg에 에너골 RC R 100 압축기 오일 0.150 kg, 테세로와치스® 30332 왁스 1.19 kg 및 사소비트® 1.46 kg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약 15분 동안 75 L FM75 헨쉘 혼합기 내에서 혼합하고 (장치 속도 약 780 rpm), 공정에서 약 200℃ 이하로 가열하였다. 생성물 내에서 온도를 측정하였다.
이어서, 밸브를 통해서 제제를 방출하고, 냉각시키고, 체질하고, 칭량하였다. 1 내지 6 mm의 전체 입자-크기 범위에 대해서 제제의 수율을 계산하였다 (표 1).
실시예 1 내지 5는, 1 내지 6 mm의 입자 크기 분율이 70%를 초과하는 수율을 갖고, 우수한 색상 특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제를 제공한다. 비색적으로, 샘플은 베이페록스® 130 분말 (2001 표준품)에 대등하였다. 이러한 제제는 매우 높은 마멸 안정성 (= 낮은 마멸값) 및 이로운 아스팔트-기술 특성을 갖는다 (표 1). 측정된 아스팔트-기술 특성은 본 발명의 제제로 착색된 아스팔트의 부품에 대한 적절한 강도의 우수한 지표이다.
Figure 112013068465771-pct00005
nd => 측정되지 않음
a) ≤는 침입도가 안료처리되지 않은 아스팔트의 침입도 이하인 것을 나타낸다.
b) ≥는 고리 및 볼 연화점이 안료처리되지 않은 아스팔트의 고리 및 볼 연화점 이상인 것을 나타낸다.
c) 측정된 값은 차이 Δa* (= 델타 a*) = 역청에서의 a* 값 (제제) - 역청에서의 a* 값 (기준품)임. 기준품: 베이페록스 130 분말 2001 표준품
실시예 6 (비교 실시예)
특허 문헌 EP 0 567 882 B1의 실시예 1 (팬(pan) 과립화를 통한 제제의 제조)를 반복하였다. 베이페록스® 130 분말 (2001 표준품)에 대한 색 이동 Δa*는 -0.6 CIELAB 단위인 것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제제는 단지 매우 낮은 마멸 안정성 (5분 후 마멸값은 20 중량% 이상임)을 갖는다.

Claims (14)

  1. Figure 112013068465771-pct00006
    산화철, 산화철 수화물, 산화크로뮴, 이산화티타늄 및/또는 금속 산화물 기재의 혼합-상 안료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무기 안료,
    Figure 112013068465771-pct00007
    1종 이상의 오일, 및
    Figure 112013068465771-pct00008
    응고점(congealing point)이 50 내지 140℃이며 25℃에서의 침입도(needle penetration)가 1 mm 이하인 1종 이상의 피셔-트롭쉬(Fischer-Tropsch) 왁스, 및 응고점이 50 내지 140℃이며 피셔-트롭쉬 왁스 및 폴리올레핀 왁스 둘 다 아닌 1종 이상의 제2 왁스
    를 함유하는 제제이며,
    제제의 50 중량% 이상이 1 mm 이상의 입자 크기를 갖는 것인 제제.
  2. 제1항에 있어서, 피셔-트롭쉬 왁스 및 제2 왁스의 총량에 대한 피셔-트롭쉬 왁스의 비율이 20 중량% 내지 8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오일 또는 오일들의 총량이 제제의 총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5.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2 왁스가 미네랄 왁스, 몬탄 왁스, 식물 왁스 및/또는 동물 왁스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피셔-트롭쉬 왁스 및 제2 왁스의 총량이 제제의 총량을 기준으로 5 내지 2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
  6. a) 1종 이상의 무기 안료를 1종 이상의 오일과 혼합하는 단계,
    b) 단계 a)의 혼합물을 1종 이상의 피셔-트롭쉬 왁스 및 1종 이상의 제2 왁스와 혼합하는 단계, 및
    c) 단계 b)의 혼합물을 피셔-트롭쉬 왁스 및 제2 왁스의 응고점보다 높은 온도에서 추가로 혼합하는 단계,
    또는
    a') 1종 이상의 무기 안료를 피셔-트롭쉬 왁스 및 제2 왁스와 혼합하는 단계,
    b') 단계 a')의 혼합물을 1종 이상의 오일과 혼합하는 단계, 및
    c') 단계 b')의 혼합물을 피셔-트롭쉬 왁스 및 제2 왁스의 응고점보다 높은 온도에서 추가로 혼합하는 단계,
    또는
    1종 이상의 무기 안료를 1종 이상의 오일, 1종 이상의 피셔-트롭쉬 왁스 및 1종 이상의 제2 왁스와 동시에 혼합하는 단계, 및 이어서 혼합물을 피셔-트롭쉬 왁스 및 제2 왁스의 응고점보다 높은 온도에서 추가로 혼합하는 단계
    를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제제의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형성된 제제를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고, 이어서 제제의 50 중량% 이상이 1 mm 이상의 입자 크기를 갖도록 하는 입자 크기 범위로 체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의 제조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단계 a) 또는 a')를 피셔-트롭쉬 왁스 및 제2 왁스의 응고점보다 낮은 온도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의 제조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단계 b) 또는 b') 이전에 혼합물을 60℃ 내지 150℃ 범위의 온도로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의 제조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단계 c) 또는 c')를 110℃ 내지 230℃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의 제조 방법.
  11. 제6항에 있어서, 오일 또는 오일들, 피셔-트롭쉬 왁스 및 제2 왁스를 무기 안료에 동시에 첨가한 후 혼합물의 온도를 110℃ 내지 230℃ 범위의 온도로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의 제조 방법.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제제를 건축 자재와 그의 연화점보다 높은 온도에서 혼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건축 자재의 착색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 자재가 아스팔트, 역청, 역청 혼합물, 타르 및 타르-함유 조성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건축 자재의 착색 방법.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제제로 착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자재.
KR1020137020066A 2010-12-30 2011-12-30 아스팔트 및 역청의 착색을 위한 특정 왁스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각 형태의 오일- 및 왁스-함유 제제 KR1015656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0197397.2 2010-12-30
EP10197397A EP2471877A1 (de) 2010-12-30 2010-12-30 Öl- und wachshaltige Mittel in stückiger Form mit bestimmten Wachsmischungen für die Asphalt- und Bitumeneinfärbung
PCT/EP2011/074308 WO2012089834A1 (de) 2010-12-30 2011-12-30 Öl- und wachshaltige mittel in stückiger form mit bestimmten wachsmischungen für die asphalt- und bitumeneinfärb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2774A KR20130122774A (ko) 2013-11-08
KR101565668B1 true KR101565668B1 (ko) 2015-11-03

Family

ID=43734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0066A KR101565668B1 (ko) 2010-12-30 2011-12-30 아스팔트 및 역청의 착색을 위한 특정 왁스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각 형태의 오일- 및 왁스-함유 제제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20140069298A1 (ko)
EP (2) EP2471877A1 (ko)
JP (1) JP5784145B2 (ko)
KR (1) KR101565668B1 (ko)
CN (1) CN103282445B (ko)
AU (1) AU2011351381B2 (ko)
BR (1) BR112013016327B1 (ko)
CA (1) CA2823275C (ko)
DK (1) DK2658930T3 (ko)
ES (1) ES2629011T3 (ko)
NZ (1) NZ612049A (ko)
PL (1) PL2658930T3 (ko)
WO (1) WO20120898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15506A1 (de) * 2015-07-07 2017-01-11 Wachs-Chemie Elsteraue e.K. Zuckerrohrwachs bestehend aus langkettigen fettsäuren, langkettigen alkoholen und langkettigen aliphatischen kohlenwasserstoffen und deren mischungen mit anderen wachsen zur bitumenmodifikation, hergestellt aus dem nachwachsenden biorohstoff (pressmus, bagasse), der nach der zuckerherstellung aus zuckerrohr gewonnen wird
WO2018044273A1 (en) * 2016-08-30 2018-03-08 Colgate-Palmolive Company Stable whitening dentifrice composition with colorant-containing particles
CN112417745B (zh) * 2020-11-02 2022-06-17 浙江大学 一种沥青混合料模型随机空隙生成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37867B2 (ja) 2000-04-04 2011-12-14 エクソンモービル リサーチ アンド エンジニアリング カンパニー フィッシャー−トロプシュワックスの硬度をブレンドにより調整す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78288A (en) 1971-11-15 1973-12-11 Coal Oil And Gas Corp Ltd Methods for preparing master batches of additive concentrates
DE4214195C2 (de) * 1992-04-30 1995-06-08 Bayer Ag Verfahren zur Einfärbung von Asphalt
DE4336613C1 (de) * 1993-10-27 1995-02-09 Bayer Ag Verfahren zur Einfärbung von Baustoffen
GB9819591D0 (en) * 1998-09-08 1998-11-04 Elementis Uk Limited Granular pigments
DE10066190B4 (de) * 2000-01-21 2004-11-04 Brockhues Gmbh & Co. Kg Verwendung einer Kombination aus Erdalkali-Ionen bindenden Verbindungen und Mono- oder Polyhydroxyverbindungen zur Herstellung von Pigmentgranulaten
DE10003248B4 (de) 2000-01-26 2008-05-29 Brockhues Gmbh & Co. Kg Pigmentgranulat zur Einfärbung von unpolaren Medien sowie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DE10062942A1 (de) * 2000-12-16 2002-07-11 Degussa Perlruß
WO2004076554A1 (ja) 2003-02-25 2004-09-10 Toda Kogyo Corporation 舗装用樹脂組成物、舗装用アスファルト組成物及び舗装用アスファルト組成物の製造方法
JP5172689B2 (ja) * 2005-11-10 2013-03-27 シエル・インターナシヨネイル・リサーチ・マーチヤツピイ・ベー・ウイ ビチュメン組成物
US7815725B2 (en) * 2007-09-07 2010-10-19 Alm Holding Co. Warm asphalt binder compositions containing lubricating agents
DE102008045121A1 (de) * 2008-09-01 2010-03-04 Lanxess Deutschland Gmbh Pigmentgranulate, die anorganische Filterhilfsmittel enthalte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37867B2 (ja) 2000-04-04 2011-12-14 エクソンモービル リサーチ アンド エンジニアリング カンパニー フィッシャー−トロプシュワックスの硬度をブレンドにより調整す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3016327A2 (pt) 2016-10-04
WO2012089834A1 (de) 2012-07-05
JP2014501311A (ja) 2014-01-20
JP5784145B2 (ja) 2015-09-24
ES2629011T3 (es) 2017-08-07
CA2823275A1 (en) 2012-07-05
NZ612049A (en) 2015-07-31
BR112013016327B1 (pt) 2021-04-06
US20140069298A1 (en) 2014-03-13
AU2011351381A1 (en) 2013-07-25
CA2823275C (en) 2018-11-06
DK2658930T3 (en) 2017-08-28
PL2658930T3 (pl) 2017-10-31
EP2658930B1 (de) 2017-05-03
AU2011351381B2 (en) 2016-02-25
EP2658930A1 (de) 2013-11-06
CN103282445A (zh) 2013-09-04
KR20130122774A (ko) 2013-11-08
EP2471877A1 (de) 2012-07-04
CN103282445B (zh) 2015-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70718B2 (en) Process for colouring building materials
KR101676936B1 (ko) 중합체 개질 바인더 및 아스팔트용 공장 혼합식 개질제 및 그 생산 방법
DK2593509T3 (da) Fremgangsmåde til fremstilling af agglomerater med gummi og voks, agglomerater fremstillet ifølge nævnte fremgangsmåde samt brug af agglomerater i asfalt- eller bitumenmasse
JP2010059422A (ja) 無機濾過助剤を含む顔料粒状物
KR101565668B1 (ko) 아스팔트 및 역청의 착색을 위한 특정 왁스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각 형태의 오일- 및 왁스-함유 제제
EP2173793B1 (en) Masterbatch preparation process
KR101565669B1 (ko) 아스팔트 및 역청의 착색을 위한 조각 형태의 오일- 및 왁스-함유 조성물
WO2002092702A2 (en) Coated carbon black pellets and methods of making same
EP0770107B1 (en) Dispersible carbon black pellets
CA2762659C (en) Toilet sealing ring
CN117178016A (zh) 含氧的锌化合物的包覆颗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