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5587B1 - 충전용 커넥터단자와 이를 이용한 충전용 커넥터 및 충전용 커넥터단자 설계방법 - Google Patents

충전용 커넥터단자와 이를 이용한 충전용 커넥터 및 충전용 커넥터단자 설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5587B1
KR101565587B1 KR1020140093826A KR20140093826A KR101565587B1 KR 101565587 B1 KR101565587 B1 KR 101565587B1 KR 1020140093826 A KR1020140093826 A KR 1020140093826A KR 20140093826 A KR20140093826 A KR 20140093826A KR 101565587 B1 KR101565587 B1 KR 1015655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terminal
sectional area
charging
vertical cross
charging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3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웰 포인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웰 포인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웰 포인트
Priority to KR1020140093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55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5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55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485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01R13/08Resiliently-mounted rigid pins or blades

Abstract

이 발명은 충전용 커넥터단자와 이를 이용한 충전용 커넥터 및 충전용 커넥터단자 설계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 등의 휴대용기기에 사용되는 2차전지를 충전하기 위한 5핀(PIN) 커넥터에 사용되는 단자의 구조 및 설계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이 발명은 충전용 커넥터단자를 설계 및 제조함에 있어, 커넥터단자의 길이방향에 대한 수직단면적을 충분히 확보함으로써, 충전시 발생되는 열로 인한 제품의 소손이나 화재의 발생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커넥터단자의 단면적 확장을 통하여, 보다 많은 양의 전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2차전지의 충전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더불어, 기본적인 보호회로나 보호소자만으로도 충분한 발열방지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휴대용 전자기기나 2차전지의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및 2차전지의 충전과 관련된 분야는 물론, 휴대용 전자기기 분야 및 2차전지 분야 등의 유사 내지 연관된 분야에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충전용 커넥터단자와 이를 이용한 충전용 커넥터 및 충전용 커넥터단자 설계방법{Connector terminal for charging and charging connector and design method for connector terminal}
이 발명은 충전용 커넥터단자와 이를 이용한 충전용 커넥터 및 충전용 커넥터단자 설계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 등의 휴대용기기에 사용되는 2차전지를 충전하기 위한 5핀(PIN) 커넥터에 사용되는 단자의 구조 및 설계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이 발명은 충전용 커넥터단자를 설계 및 제조함에 있어, 커넥터단자의 길이방향에 대한 수직단면적을 충분히 확보함으로써, 충전시 발생되는 열로 인한 제품의 소손이나 화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충전용 커넥터단자와 이를 이용한 충전용 커넥터 및 충전용 커넥터단자 설계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는 이동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2차전지를 전원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2차전지는 주로 상용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충전기나, USB 커넥터 등을 이용하여 충전하게 된다.
한편, 휴대용 전자기기나 2차전지의 내부에는 과충전, 과전압 및 과열 등으로 인한 제품의 소손이나 화재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보호회로나 보호소자가 구성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마트폰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의 충전시 화재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점을 감안하면, 보호회로나 보호소자는 과열방지를 위한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는 못함을 알 수 있다.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65270호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 플러그'(이하, '선행기술'이라 함)는, 커넥터 단자의 중앙부 상측에 탄성접지단을 형성하여 쇼트(Short)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부품의 파손 및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선행기술에서도 과열방지를 위한 기술에 대해서는 나타나 있지 않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65270호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 플러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 발명은 스마트폰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의 충전시 발생되는 발열량 자체를 최소화함으로써, 과열방지를 위한 근본적인 해결책을 제공할 수 있는 충전용 커넥터단자와 이를 이용한 충전용 커넥터 및 충전용 커넥터단자 설계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충전시 최초 발화가 일어나는 위치는 주로 휴대용 전자기기와 충전용 커넥터의 연결부분이며, 2차전지의 충전에 사용되는 커넥터의 단자를 통해 충전전류가 과도하게 흐름에 따라, 커넥터단자의 내부저항으로 인해 많은 양의 열이 발생하기 때문이며, 커넥터단자의 내부저항은 커넥터단자의 재질은 물론, 전류가 통과하는 커넥터단자의 체적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에, 이 발명은 커넥터단자의 길이방향에 대한 수직단면적이 일정한 크기 이상으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커넥터단자의 내부저항을 최소화하여 발열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충전용 커넥터단자와 이를 이용한 충전용 커넥터 및 충전용 커넥터단자 설계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커넥터하우징의 내부에 충전용 커넥터단자가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충전용 커넥터단자의 길이방향에 대한 수직단면적이 최소요구전력에 대응하여 설정된 최소요구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는 충전용 커넥터단자의 설계방법에 있어서, 충전용 커넥터단자의 설계정보를 수신하여 분석하는 설계정보 확인단계; 분석된 상기 설계정보로부터 충전용 커넥터단자의 길이방향에 대한 수직단면적을 순차적으로 확인하는 수직단면적 확인단계; 확인된 상기 수직단면적 중 최소크기의 수직단면적을 확인하는 최소수직단면적 확인단계; 및 확인된 상기 최소수직단면적과 최소요구단면적을 비교하고, 상기 최소수직단면적이 최소요구단면적보다 작은 경우, 상기 최소수직단면적이 최소요구단면적보다 커지도록 상기 충전용 커넥터단자의 설계정보를 보정하는 설계보정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설계보정단계는, 커넥터하우징의 설계정보를 호출하여 상기 충전용 커넥터단자가 설치되는 내부공간을 확인하는 커넥터하우징 설계정보 분석과정; 분석된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내부공간 중 상기 충전용 커넥터단자의 최소수직단면적에 대응하는 위치의 내부공간을 확인하는 보정공간 확인과정; 및 변경될 상기 충전용 커넥터단자의 높이가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내부공간 높이보다 낮은 경우, 상기 충전용 커넥터단자의 높이를 변경하여, 상기 최소수직단면적이 최소요구단면적보다 커지도록 충전용 커넥터단자의 설계정보를 보정하고, 변경될 상기 충전용 커넥터단자의 높이가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내부공간 높이보다 높은 경우, 상기 충전용 커넥터단자의 높이 및 폭을 변경하여, 상기 최소수직단면적이 최소요구단면적보다 커지도록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설계정보 보정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최소요구단면적은, 단자재질에 따른 전기저항 및 최소요구전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설계보정단계 이후에, 상기 보정된 최소수직단면적에 대응하여 상기 충전용 커넥터단자의 전체 형상을 재구성하는 설계정보 재구성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수단에 의해, 이 발명은 전원을 공급하는 커넥터단자의 길이방향에 대한 수직단면적을 충분히 확보함으로써, 충전시 발생되는 열로 인한 제품의 소손이나 화재의 발생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기본적인 보호회로나 보호소자만으로도 충분한 발열방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통해, 휴대용 전자기기나 2차전지의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이러한 커넥터단자의 단면적 확장을 통하여, 보다 많은 양의 전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2차전지의 충전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및 2차전지의 충전과 관련된 분야는 물론, 휴대용 전자기기 분야 및 2차전지 분야 등의 유사 내지 연관된 분야에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이 발명에 따른 충전용 커넥터단자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난 충전용 커넥터단자의 측면도, 평면도 및 사용상태도이다.
도 3은 이 발명에 따른 충전용 커넥터단자 설계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난 단계 'S200'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난 단계 'S400'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3에 나타난 단계 'S400'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이 발명에 따른 충전용 커넥터단자 설계방법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 발명에 따른 충전용 커넥터단자와 이를 이용한 충전용 커넥터 및 충전용 커넥터단자 설계방법에 대한 예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이 발명에 따른 충전용 커넥터단자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난 충전용 커넥터단자의 측면도, 평면도 및 사용상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충전용 커넥터단자(100)는 접점부(110), 탄성부(120), 고정부(130), 절곡부(140) 및 연결부(150)가 일체로 이어지도록 형성된다.
접점부(110)는 도 2의 (b)와 같이 커넥터하우징(200)의 일측(도 2에서 우측) 개방부(미부호)를 통해 외부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외부단자는 스마트폰의 충전용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2의 (b)에 나타난 커넥터하우징(200)이 스마트폰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에 연결되면, 휴대용 전자기기에 구성된 충전용 단자와 접점부(11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탄성부(120)는 접점부(110)와 외부단자 간의 접촉이 긴밀하게 유지되도록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고정부(130)와 일정한 각도(θ)로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130)는 도 2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커넥터하우징(200)에 고정되도록 결합된다.
절곡부(140)는 도 2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접점부(110)와 연결부(150)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예를 들어, 5PIN 컨넥터의 경우, 각 커넥터단자(100)들 간의 접점부(110) 사이의 간격과 연결부(150) 사이의 간격이 다르도록 설계되기 때문에, 이러한 간격을 조절하기 위하여 각 커넥터단자(100)들 마다 서로 다른 길이 및 방향의 절곡부(140)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150)는 도 2의 (b)에 나타난 컨넥터케이블(3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접점부(110)를 통해 외부단자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가압연결방식(Pressing type)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납땜방식(Soldering type)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의 (a)를 살펴보면, 커넥터단자(100)의 각 부분에 대한 단면적(도 1에서 'H'와 'W'의 곱) 중 탄성부(120)의 단면적이 가장 작음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커넥터케이블(300)을 통해 커넥터단자(100)로 충전전류가 공급되면, 단면적이 가장 작은 탄성부(120)의 전기저항이 가장 높게 되며, 이로 인해 탄성부(120)가 형성된 부분에서 가장 많은 발열이 일어날 수 있다.
이에, 이 발명은 길이방향(도 1에서 좌측상부에서 우측하부방향)에 대한 수직단면적이 최소요구전력에 대응하여 설정된 최소요구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해당 부분에서의 전기저항을 최소화하여 발열에 따른 문제점들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여기서, 최소요구전력은 휴대용 전자기기의 급속충전을 위하여 필요한 최소한의 전력을 말하며, 최소요구단면적은 최소요구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흐르는 충전전류에 의해 발생되는 발열량을 충분히 줄일 수 있도록 전기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는 최소한의 수직단면적을 말한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커넥터단자(100)의 접점부(110), 탄성부(120), 고정부(130), 연결부(140) 및 절곡부(150)의 폭을 동일하게 형성할 경우, 탄성부(120)는 동일한 폭으로 결정된 상태에서, 최소요구단면적보다 큰 수직단면적을 형성하도록 높이를 증가(조절)시켜 형성할 수 있다.
상기한 최소요구전력 및 최소요구단면적은, 해당 휴대용 전자기기에 대하여 요구되는 충전속도에 따른 최소요구전류, 커넥터단자의 재질에 따른 고유의 전기저항, 주위온도, 도체의 허용온도 등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발명의 최소요구전력에 대응하는 최소요구전류(허용전류)는 수학식 1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14069742489-pat00001
여기서, Tc 도체의 연속허용 최고온도(60℃), Ta 도체의 주위온도(25℃), Td 유체손실 온도상승분, Rdc 주어진 온도에서의 도체의 직류저항, Rac 표피 및 근접효과를 고려한 도체의 교류저항, Rca 포설주위 매질의 열저항(공기의 전도율 0.02의 역수인 50)이다.
수학식 1에 따라, 도체(커넥터단자)의 재질을 순수구리(99.9%)로 한 경우, 고유저항은 0.0178Ω㎟/m, 도체의 허용온도는 60℃, 도체 주위 온도는 25℃로 하여, 단면적에 따른 허용전류를 계산하면 하기의 표 1과 같다.
(표 1)
Figure 112014069742489-pat00002
구체적인 예로 최소요구전류가 1A인 경우, 표 1을 참조하면 도체의 면적은 0.165㎟보다 커야 함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최소요구전류가 1A인 경우 최소요구단면적은 0.165㎟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의 충전을 위한 최소요구전류가 결정되면, 커넥터단자로 사용되는 도체의 최소요구단면적이 결정될 수 있다.
이 발명에 따른 충전용 커넥터는, 도 2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외부기기와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커넥터하우징(200), 커넥터하우징(200)의 내부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충전용 커넥터단자(100) 및 커넥터하우징(200)에 연결되어 충전용 커넥터단자(200)에 충전용 전원을 공급하는 커넥터케이블(300)을 포함한다.
그리고, 충전용 커넥터단자(10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길이방향에 대한 수직단면적이, 최소요구전력에 대응하여 설정된 최소요구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충전용 커넥터가 PC의 USB단자와 연결되는 경우, 충전용 커넥터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데이터용 커넥터단자(도시하지 않음)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에, 이 발명의 데이터용 커넥터단자는, 길이방향에 대한 수직단면적이,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최대전압에 대응하여 설정된 최소요구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데이터전송에 따른 발열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충전용 커넥터단자(100)에 대하여 발열량을 최소화하기 위한 설계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이 발명에 따른 충전용 커넥터단자 설계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로서, 도 3을 포함하여 하기에 설명될 설계방법은 별도의 설계시스템이나 설계용PC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설계방법을 처리하는 주체에 대하여 특정한 것으로 한정하지 않고 설계방법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충전용 커넥터단자 설계방법은 설계정보 확인단계(단계 S100), 수직단면적 확인단계(단계 S200), 최소수직단면적 확인단계(단계 S300) 및 설계보정단계(단계 S400)를 포함한다.
먼저, 설계시스템은 충전용 커넥터단자(100)의 설계정보(초안)를 수신하여 분석한다(단계 S100). 예를 들어, 도 2의 (a)와 같은 설계도면을 디지털데이터로 수신하면, 커넥터단자(100)의 위치별 높이와 폭에 대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분석된 설계정보로부터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충전용 커넥터단자의 길이방향(도 4에서 실선화살표)에 대한 수직단면(CS) 상의 수직단면적(CSa)을 순차적으로 확인한다(단계 S200).
상기와 같이, 충전용 커넥터단자(100)의 수직단면적(CSa)을 위치별로 확인하면, 확인된 수직단면적(CSa)들을 서로 비교하여, 수직단면적(CSa) 중 최소크기의 수직단면적(CSa)을 확인한다(단계 S300).
최소크기의 수직단면적(CSa)이 확인되면, 확인된 최소수직단면적과 최소요구단면적을 비교하고, 최소수직단면적이 최소요구단면적보다 작은 경우, 최소수직단면적이 최소요구단면적보다 커지도록 충전용 커넥터단자의 설계정보를 보정한다(단계 S400).
이와 같은 단계 'S100' 내지 단계 'S400'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충전용 커넥터단자(100)에 대한 모든 위치의 수직단면적이 최소요구단면적보다 커지도록 보정할 수 있다.
한편, 충전용 커넥터단자(100)는 대부분 커넥터하우징(200)에 형성된 홈(도시하지 않음)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충전용 커넥터단자(100)의 폭을 보정하기에는 제약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발명에서는 도 5의 (a)와 같이 최소수직단면적이 최소요구단면적보다 작은 영역(도 5에서는 탄성부)의 높이를 도 5의 (b)와 같이 변경하여 최소수직단면적이 최소요구단면적보다 커지도록 보정할 수 있다(단계 S400).
도 6은 도 3에 나타난 단계 'S400'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로서, 커넥터단자(100)의 설계정보를 보정함에 있어, 해당 커넥터단자(100)가 구성될 커넥터하우징(200)의 설계정보에 기초하여 보정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설계보정단계(단계 S400)는, 커넥터하우징(200)의 설계정보를 호출하여 충전용 커넥터단자(100)가 설치되는 내부공간을 확인하는 과정을 통해 커넥터하우징(200)의 설계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과정 S401).
커넥터하우징(200)의 내부공간이 분석되면, 충전용 커넥터단자(100)의 최소수직단면적에 대응하는 위치의 내부공간을 확인하는 보정공간 확인과정(과정 S402)을 통해, 충전용 커넥터단자(100)와 커넥터하우징(200) 간의 결합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최소요구단면적에 의해 변경될 충전용 커넥터단자(100)의 높이와 커넥터하우징(200)의 높이를 비교(과정 S403)하고, 커넥터단자(100)의 높이가 커넥터하우징(200)의 내부공간 높이보다 낮은 경우(과정 S404), 충전용 커넥터단자(100)의 높이를 변경하여, 최소수직단면적이 최소요구단면적보다 커지도록 충전용 커넥터단자(100)의 설계정보를 보정하는 단자설계정보 보정과정(과정 S405)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높이변경에 따른 단자설계정보 보정과정(과정 S405)은, 도 2의 (b)와 같이 커넥터단자(100)의 접점부(110) 및 탄성부(120)의 위치에서, 커넥터하우징(200)의 내부공간에 여유가 충분한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만약, 도 2의 (b)에서 커넥터단자(100)의 고정부(130) 및 절곡부(140)와 같이, 높이에 대한 내부공간의 여유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 다시 말해 변경될 충전용 커넥터단자(100)의 높이가 커넥터하우징(200)의 공간형상 높이보다 높은 경우, 충전용 커넥터단자(100)의 높이를 최대한 변경한 상태에서, 추가적으로 커넥터단자(100)의 폭을 변경하여, 최소수직단면적이 최소요구단면적보다 커지도록 보정할 수 있다(과정 S406).
도 7은 이 발명에 따른 충전용 커넥터단자 설계방법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3 및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커넥터단자(100)에 대한 보정이 완료되면, 보정된 최소수직단면적에 대응하여 충전용 커넥터단자(100)의 전체 형상을 재구성하여, 도 2의 (b)와 같은 형태의 설계정보로 재구성할 수 있다(단계 S500).
따라서, 전원 및 데이터를 공급하는 커넥터단자의 길이방향에 대한 수직단면적을 충분히 확보함으로써, 충전시 발생되는 열로 인한 제품의 소손이나 화재의 발생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이 발명에 의한 충전용 커넥터단자와 이를 이용한 충전용 커넥터 및 충전용 커넥터단자 설계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이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이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커넥터단자
110 : 접점부 120 : 탄성부
130 : 고정부 140 : 절곡부
150 : 연결부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커넥터하우징의 내부에 충전용 커넥터단자가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충전용 커넥터단자의 길이방향에 대한 수직단면적이 최소요구전력에 대응하여 설정된 최소요구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는 충전용 커넥터단자의 설계방법에 있어서,
    충전용 커넥터단자의 설계정보를 수신하여 분석하는 설계정보 확인단계;
    분석된 상기 설계정보로부터 충전용 커넥터단자의 길이방향에 대한 수직단면적을 순차적으로 확인하는 수직단면적 확인단계;
    확인된 상기 수직단면적 중 최소크기의 수직단면적을 확인하는 최소수직단면적 확인단계; 및
    확인된 상기 최소수직단면적과 최소요구단면적을 비교하고, 상기 최소수직단면적이 최소요구단면적보다 작은 경우, 상기 최소수직단면적이 최소요구단면적보다 커지도록 상기 충전용 커넥터단자의 설계정보를 보정하는 설계보정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설계보정단계는,
    커넥터하우징의 설계정보를 호출하여 상기 충전용 커넥터단자가 설치되는 내부공간을 확인하는 커넥터하우징 설계정보 분석과정;
    분석된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내부공간 중 상기 충전용 커넥터단자의 최소수직단면적에 대응하는 위치의 내부공간을 확인하는 보정공간 확인과정; 및
    변경될 상기 충전용 커넥터단자의 높이가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내부공간 높이보다 낮은 경우, 상기 충전용 커넥터단자의 높이를 변경하여, 상기 최소수직단면적이 최소요구단면적보다 커지도록 충전용 커넥터단자의 설계정보를 보정하고,
    변경될 상기 충전용 커넥터단자의 높이가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내부공간 높이보다 높은 경우, 상기 충전용 커넥터단자의 높이 및 폭을 변경하여, 상기 최소수직단면적이 최소요구단면적보다 커지도록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설계정보 보정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커넥터단자 설계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요구단면적은,
    단자재질에 따른 전기저항 및 최소요구전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커넥터단자 설계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설계보정단계 이후에,
    상기 보정된 최소수직단면적에 대응하여 상기 충전용 커넥터단자의 전체 형상을 재구성하는 설계정보 재구성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커넥터단자 설계방법.
KR1020140093826A 2014-07-24 2014-07-24 충전용 커넥터단자와 이를 이용한 충전용 커넥터 및 충전용 커넥터단자 설계방법 KR1015655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3826A KR101565587B1 (ko) 2014-07-24 2014-07-24 충전용 커넥터단자와 이를 이용한 충전용 커넥터 및 충전용 커넥터단자 설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3826A KR101565587B1 (ko) 2014-07-24 2014-07-24 충전용 커넥터단자와 이를 이용한 충전용 커넥터 및 충전용 커넥터단자 설계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5587B1 true KR101565587B1 (ko) 2015-11-04

Family

ID=54600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3826A KR101565587B1 (ko) 2014-07-24 2014-07-24 충전용 커넥터단자와 이를 이용한 충전용 커넥터 및 충전용 커넥터단자 설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55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82871B2 (en) 2017-06-23 2022-10-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charging control method theref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5270B1 (ko) 2012-02-21 2013-05-24 주식회사 신화콘텍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 플러그
JP2014067706A (ja) 2012-09-05 2014-04-17 Iriso Electronics Co Ltd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5270B1 (ko) 2012-02-21 2013-05-24 주식회사 신화콘텍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 플러그
JP2014067706A (ja) 2012-09-05 2014-04-17 Iriso Electronics Co Ltd コネク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82871B2 (en) 2017-06-23 2022-10-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charging control method theref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66963B2 (en) Terminal, electric connector and electric connector assembly
KR100647383B1 (ko) 범용 키드 파워 팁 및 전원 커넥터
US9660437B2 (en) Arrangement for forming a thermal isolation point
JP2017076487A (ja) プラグコネクタ及びアダプタ
CN109690880B (zh) 屏蔽金属板
JP2005050795A (ja) 移動端末用のプラグ接続具
US20170005521A1 (en) Connection tip and protecting case for portable device
EA201890580A1 (ru) Электрическая рядовая клемма
CN103529251B (zh) 一种组合式二次端子短路接线排
CN107318270A (zh) 充电用连接器
CN106104940A (zh) 连接器和设置有连接器的电子设备
CN108075292A (zh) 线缆连接器组件
KR101565587B1 (ko) 충전용 커넥터단자와 이를 이용한 충전용 커넥터 및 충전용 커넥터단자 설계방법
CN107123883B (zh) 连接器
KR101149579B1 (ko) 특고압 지중전선의 배전선로 프레임
CN104868415A (zh) 电气接线箱
CN110892548A (zh) 用于向紧急电话供电的电池模块
US9343829B2 (en) System for electrically connecting equipment units to each other
TW201724672A (zh) 連接器轉接之結構
JP7133780B2 (ja) プラグ装置及び配電システム
CN205429240U (zh) 插座装置
KR101586431B1 (ko)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 플러그
CN215989268U (zh) Type-C连接器及充电器
US9692245B2 (en) 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power connector
CN203553444U (zh) 电连接器及硬盘组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