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5446B1 - 공기순환과 축전 및 비막이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부대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순환과 축전 및 비막이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부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5446B1
KR101565446B1 KR1020140137427A KR20140137427A KR101565446B1 KR 101565446 B1 KR101565446 B1 KR 101565446B1 KR 1020140137427 A KR1020140137427 A KR 1020140137427A KR 20140137427 A KR20140137427 A KR 20140137427A KR 101565446 B1 KR101565446 B1 KR 101565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ir
vehicle
opening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7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현정
Original Assignee
황현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현정 filed Critical 황현정
Priority to KR1020140137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54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5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54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6Ventilating openings in vehicle exterior; Ducts for conveying ventilating air
    • B60H1/262Openings in or on the vehicle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93Appurtenances
    • B60J5/0494Rain covers deployed upon opening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8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 B60R7/12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for supporting umbrell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2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HVAC devices with respect 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60H2001/00235Devices in the roof area of the passenger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08Filter arrangements in the air stream
    • B60H3/0641Filter arrangements in the air stream near ventilating openings in the vehicle exteri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루프가 구비된 차량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가속 시 또는 가속페달을 밟지 않아도 되는 구간에서 차량의 내부에 공기순환을 유도할 수 있으며, 공기순환되는 기류를 이용해 축전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천 시 승하차 간에 비막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공기순환과 축전 및 비막이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부대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선루프가 구비된 차량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차량의 루프에 흡착되는 복수개의 흡착판과 상기 흡착판 각각의 상부에 형성되는 너트부를 포함하는 제1 흡착부재, 상기 제1 흡착부재 각각의 상부에 구비되되 하단에 흡착판의 둘레를 따라 자석이 구비되는 커버 및, 상기 너트부 각각과 결합되는 볼트부와 상기 볼트부(131)의 상부에 형성되되 외주면에 제1 조임핸들이 형성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제1 조임부재로 이루어지는 고정수단; 상기 너트부와 볼트부 각각의 사이에 결합되며, 상기 차량의 선루프 측과 연통되도록 일측이 개방된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구비되되 상호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전후방 각각에 공기유입구와 공기배출구가 형성된 유선형상의 탑케이스; 상기 탑케이스 내부의 공기유입구 후측에 구비되어 회전됨에 따라 공기유입구를 개폐하는 개폐판, 일측이 상기 개폐판의 하단과 연결되고 타측에 동력전달판이 형성되어 상기 동력전달판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개폐판의 회전을 가능케 하는 회동부 및, 상기 회동부의 후측에 구비되어 전류가 공급되면 상기 동력전달판과 접촉되고 전류가 차단되면 상기 동력전달판과 접촉 해제되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개폐유닛; 상기 개폐유닛의 후측으로부터 이격 형성되되 전광후협(前廣後狹)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노즐부, 상기 노즐부의 후방에 형성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후방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배출구와 연결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공기유동관로; 상기 개폐유닛과 노즐부 사이의 탑케이스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유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노즐부로 유입되기 전에 선루프의 전방 측을 통해 차량의 내부로 유입 가능케 하는 외기유입구; 상기 노즐부와 연결부 사이의 탑케이스 저면에 형성되어 선루프의 후방 측을 통해 차량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내기배출구; 상기 연결부 내부 측에 설치되며 상기 연결부로 유입되어 배출부로 배출되는 기류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전력을 발생시키는 발전부와, 상기 발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발생된 전력을 축전하는 축전지를 포함하는 축전유닛;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차량 운전석 측에 설치되는 측면케이스, 상기 측면케이스 내부의 태엽에 감김 설치되되 일단이 운전석 도어의 상부테두리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어 운전석 도어의 개폐에 따라 펼침 또는 감김되는 천막 및, 상기 측면케이스 내부의 태엽 하부 측에 구비되어 우산을 보관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수납케이스를 포함하는 비막이 유닛;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순환과 축전 및 비막이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부대장치{Auxiliary equipment for vehicle having a function of air circulation and electric power storage and blocking the rain}
본 발명은 공기순환과 축전 및 비막이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부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루프가 구비된 차량의 루프 탑에 구비되어 공기순환, 축전 및 비막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부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운전자는 운전 도주에 실내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창문 또는 선루프를 열어 환기시킨다. 그러나 우천, 폭설과 같은 환경에서는 환기시키기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어 왔다.
그리고 우천 시 차량에 승하차 하려면 우산을 접고 펴는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비를 맞게 될 수밖에 없으며, 차량의 내부가 젖어버리는 문제점을 해소하지 못한 채 대부분의 운전자가 차량을 운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래서 악천후뿐만 아니라 차량 내부의 공기순환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이 순환 기류를 이용해 부가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우천 시 비막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기술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49142호 (2001.09.2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33019호 (2012.03.28)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92070호 (2010.08.2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선루프가 구비된 차량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가속 시 또는 가속페달을 밟지 않아도 되는 구간에서 차량의 내부에 공기순환을 유도할 수 있으며, 공기순환되는 기류를 이용해 축전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천 시 승하차 간에 비막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공기순환과 축전 및 비막이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부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공기순환과 축전 및 비막이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부대장치는, 선루프가 구비된 차량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차량의 루프에 흡착되는 복수개의 흡착판과 상기 흡착판 각각의 상부에 형성되는 너트부를 포함하는 제1 흡착부재, 상기 제1 흡착부재 각각의 상부에 구비되되 하단에 흡착판의 둘레를 따라 자석이 구비되는 커버 및, 상기 너트부 각각과 결합되는 볼트부와 상기 볼트부(131)의 상부에 형성되되 외주면에 제1 조임핸들이 형성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제1 조임부재로 이루어지는 고정수단; 상기 너트부와 볼트부 각각의 사이에 결합되며, 상기 차량의 선루프 측과 연통되도록 일측이 개방된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구비되되 상호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전후방 각각에 공기유입구와 공기배출구가 형성된 유선형상의 탑케이스; 상기 탑케이스 내부의 공기유입구 후측에 구비되어 회전됨에 따라 공기유입구를 개폐하는 개폐판, 일측이 상기 개폐판의 하단과 연결되고 타측에 동력전달판이 형성되어 상기 동력전달판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개폐판의 회전을 가능케 하는 회동부 및, 상기 회동부의 후측에 구비되어 전류가 공급되면 상기 동력전달판과 접촉되고 전류가 차단되면 상기 동력전달판과 접촉 해제되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개폐유닛; 상기 개폐유닛의 후측으로부터 이격 형성되되 전광후협(前廣後狹)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노즐부, 상기 노즐부의 후방에 형성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후방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배출구와 연결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공기유동관로; 상기 개폐유닛과 노즐부 사이의 탑케이스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유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노즐부로 유입되기 전에 선루프의 전방 측을 통해 차량의 내부로 유입 가능케 하는 외기유입구; 상기 노즐부와 연결부 사이의 탑케이스 저면에 형성되어 선루프의 후방 측을 통해 차량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내기배출구; 상기 연결부 내부 측에 설치되며 상기 연결부로 유입되어 배출부로 배출되는 기류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전력을 발생시키는 발전부와, 상기 발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발생된 전력을 축전하는 축전지를 포함하는 축전유닛;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차량 운전석 측에 설치되는 측면케이스, 상기 측면케이스 내부의 태엽에 감김 설치되되 일단이 운전석 도어의 상부테두리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어 운전석 도어의 개폐에 따라 펼침 또는 감김되는 천막 및, 상기 측면케이스 내부의 태엽 하부 측에 구비되어 우산을 보관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수납케이스를 포함하는 비막이 유닛;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차량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필요 시에만 차량에 장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악천후 시에도 차량 내부에 공기순환을 유도할 수 있으며 우천 시 승하차 간에 비막이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됨으로써 차량 내부에 쾌적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공기순환 기류를 이용해 전력을 축전할 수 있게 됨으로써 차량의 배터리 방전 시 대체 가능하며 시동을 끈 상태에서 축전된 전력을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순환과 축전 및 비막이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부대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순환과 축전 및 비막이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부대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해 공기가 순환되는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축전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발전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비막이 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차량에 본 발명에 따른 공기순환과 축전 및 비막이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부대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 1과, 본 발명에 따른 공기순환과 축전 및 비막이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부대장치를 측면도로 나타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선루프가 구비된 차량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크게 고정수단(100), 베이스 플레이트(200), 탑케이스(300) 및 비막이 유닛(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한 도면들과 고정수단을 나타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100)은 복수개로 차량의 루프로부터 베이스 플레이트(200)를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것으로 제1 흡착부재(110), 커버(120) 및 제1 조임부재(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흡착부재(110)는 복수개의 흡착판(111)과 너트부(1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흡착판(111)은 복수개로 구비되며 가압에 의해 차량의 루프에 흡착되는 합성고무재질의 공기 흡착식 빨판이다. 그리고 상기 너트부(112)는 흡착판(111) 각각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면이 함몰되어 함몰된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커버(120)는 제1 흡착부재(110) 각각의 상부에 구비되되 하단에 둘레를 따라 자석(121)이 구비되어 흡착판(111)의 상부에서 차량의 루프와의 흡착력을 더욱 견고히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조임부재(130)는 볼트부(131)와 헤드부(1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볼트부(131)는 커버(120) 각각의 상부에 위치하는 베이스플레이트(200)를 관통하여 조임 및 풀림에 따라 너트부(112)와 나사 결합분리되며, 상기 헤드부(132)는 볼트부(131) 각각의 상부에 형성되되 외주면의 일측에 제1 조임핸들(132a)이 형성되어 흡착부재(110)와의 조임과 풀림을 용이하게 한다.
이러한 상기 고정수단(100)은 차량의 선루프(SL)의 작동에 간섭되지 않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0)는 일측이 차량의 선루프(SL) 측과 연통되도록 개방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0)에는 각각의 고정수단(100)이 삽입되는 삽입홀과 상기 삽입홀 각각의 인근에 형성되되 삽입홀(미도시)과 연결되게 형성되어 상기 볼트부(131)와 너트부(112) 사이에 맞춤 가능케 하는 고정홀(미도시)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탑케이스(300)는 내부에 공기순환을 유도하고 축전을 가능케 하는 요소들이 구성되는 것으로, 공기의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0)의 상부에 구비되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0)와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게 구비되며, 전방에는 공기유입구(310)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공기배출구(320)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공기유입구(310)에는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그물형의 매시망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탑케이스(300)의 내부에는 공기순환을 위한 개페유닛(330)과 공기유동관로(340), 외기유입구(350) 및 내기배출구(360)와 전력의 축전을 위한 축전유닛(370)이 구성된다.
상기한 도면들과 개폐유닛(330) 상세히 나타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유닛(330)은 개폐판(331), 회동부(332), 동력전달판(333) 및 전자석(33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개폐판(331)은 탑케이스(300) 내부에 구비되되 공기유입구(310) 후측에 구비되어 하단부가 회전됨에 따라 공기유입구(310)를 개폐하게 된다. 상기 개폐판(331)은 공기유입구(310)의 면적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공기유입구(310)를 완전하게 폐쇄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회동부(332)는 탑케이스(300)의 폭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외주면의 일측이 상기 개폐판(331)의 하단부와 연결되고 외주면의 타측에 동력전달판(333)이 형성되어 개폐판(331)과 동력전달판(333)의 축회전을 가능케 하는 것으로, 동력전달판(333)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개페판(331)의 회전될 수 있게 한다.
이와 함께 상기 전자석(334)은 회동부(332)의 후측에 구비되어 전류가 공급되면 자력을 발생시켜 상기 동력전달판(333)과 접촉되면서 개폐판(331)을 회전시켜 공기유입구(310)를 폐쇄하며, 전류가 차단되면 자력이 해제되어 상기 동력전달판(333)이 이격되면서 개폐판(331)을 역회전시켜 공기유입구(310)를 개방 가능케 한다.
여기에서 상기 개폐유닛(330)에는 전자석(334)을 제외하여 이루어져 차량이 가속되어 항시 공기유입구(310)을 개방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나, 공기저항으로 인한 연비효율 저감 등과 같은 차량운행에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전자석(334)의 전류 공급을 운전자가 차량의 가속페달을 밟을 시 연동되게 하고, 상기 전자석(334)의 전류 차단을 운전자가 가속페달을 밟지 않거나 브레이크를 밟을 시 연동되게 함으로써, 차량의 가속 시에 공기유입구(310)를 폐쇄하고 비가속 시에 공기유입구(310)를 개방하는 구조를 따르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어서 상기한 도면들과 본 발명에 의해 공기가 순환되는 흐름을 나타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유동관로(340)는 노즐부(341), 연결부(342) 및 배출부(3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노즐부(341)는 개폐유닛(330)의 후측으로부터 이격 형성되되 전광후협(前廣後狹)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공기유입구(310)에서 유입된 공기의 유속을 증대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342)는 노즐부(341)의 후방에 형성되며 후술되는 내기배출구(360)과 연통된다. 이와 함께 상기 배출부(343)는 연결부(342)의 후방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배출구(320)와 연결된다.
이와 함께 상기 외기유입구(350)는 개폐유닛(330)과 노즐부(341) 사이 영역의 탑케이스(300)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유입구(310)로 유입된 공기의 일부가 상기 노즐부(341)로 유입되기 전에 선루프(SL)의 전방 측을 통해 차량의 내부로 유입 가능케 한다. 그리고 상기 내기배출구(360)는 노즐부(341)와 연결부(342) 사이 영역의 탑케이스(300) 저면에 형성되어 선루프(SL) 후방 측과 연결부(342)를 상호 연통되게 함으로써 선루프의 후방 측을 통해 차량 내부의 공기가 연결부(342)를 통해 배출될 수 있게 한다.
여기에서 상기 외기유입구(350)에는 방진필터와 정화필터가 구비되어 차내에 깨긋한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외기유입구(350)의 전방에는 이물질차단판이 구비되어 상기 공기유입구(310) 측으로 유입되는 빗물 등이 차내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토록 한다. 아울러 상기 내기배출구(360)에도 통공이 촘촘히 형성된 이물질차단필터를 구비하여 혹시나 모를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토록 한다.
상기 외기유입구(350)와 내기배출구(360) 각각의 하부 측 테두리에는 가이드가 구비되되 신축되는 자바라 형태로 승강가능하게 구비되어 운전자가 선루프(SL)측으로 상기 가이드를 접근시켜 외기유입구(350)와 내기배출구(360)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출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종합하면 상기 공기유입구(310)의 개방에 따라 유입된 공기가 노즐부(341)를 통과하게 되는데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노즐부(341)로 유입되는 공기의 일부가 병목 현상에 의해 외기유입구(350)를 통해 차내로 유입되어 내기배출구(360)로 배출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한 도면들과 본 발명에 따른 축전유닛 및 발전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축전유닛(370)은 공기유동관로(340)를 통해 유동되는 기류를 이용하여 전력을 발생시켜 축전하기 위한 것으로 발전부(371)와 축전지(37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발전부(371)는 연결부(342)의 내부 측에 설치되며 상기 연결부(342)로 유입되어 배출부(343)로 배출되는 기류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전력을 발전시키는 것으로, 터빈블레이드(371a)와 제너레이터(371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터빈블레이드(371a)는 기류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회전구동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제너레이터(371b)는 터빈블레이드(371a)의 양측에 연결되어 전달되는 회전구동력으로 전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축전지(372)는 상기 발전부(37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발생된 전력을 축전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발전부(371)와 축전지(372) 사이에는 정류기를 구비하여 교류를 직류로 변경시키게 하고, 상기 축전지(372)는 차량의 배터리와 연결되어 차량의 배터리 방전 시 대체하거나, 시동을 끈 상태에서 축전된 전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어서 상기한 도면들과 본 발명에 따른 비막이 유닛을 나타낸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막이 유닛(400)은 측면케이스(410), 천막(420) 및 수납케이스(4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측면케이스(410)는 베이스플레이트(200)의 차량 운전석 측에 설치되어 상기 천막(420)과 수납케이스(430)가 구비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천막(420)은 측면케이스(410) 내부에 구비된 태엽에 감김 설치되되 일단이 운전석 도어의 상부테두리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어 운전석 도어의 개폐에 따라 펼침 또는 감김된다. 이러한 상기 천막(420)은 운전석 도어의 회전 반경에 맞추어 펼쳐지는 영역이 부채꼴로 형성되어 우천 시 빗물의 침입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수납케이스(430)는 상기 측면케이스(410) 내부의 태엽 하부 측에 구비되어 우산을 보관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수납케이스(430)의 상부는 태엽의 전방 측에 위치되어 천막의 펼쳐짐과 감김될 시 가이드 역활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은 선루프가 구비된 차량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가속 시 또는 가속페달을 밟지 않아도 되는 구간에서 차량의 내부에 공기순환을 유도할 수 있으며, 공기순환되는 기류를 이용해 축전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천 시 승하차 간에 비막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공기순환과 축전 및 비막이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부대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다양한 변형 예들을 포함하도록 작성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고정수단
200: 베이스 플레이트
300: 탑케이스
310: 공기유입구 320: 공기배출구
330: 개폐유닛 331: 개폐판
332: 회동부 333: 동력전달판
334: 전자석
340: 공기유동관로 341: 노즐부
342: 연결부 343: 배출부
350: 외기유입구
360: 내기배출구
370: 축전유닛 371: 발전부
372: 축전지
400: 비막이 유닛 410: 측면케이스
420: 천막 430: 수납케이스

Claims (1)

  1. 선루프가 구비된 차량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차량의 루프에 흡착되는 복수개의 흡착판(111)과 상기 흡착판(111) 각각의 상부에 형성되는 너트부(112)를 포함하는 제1 흡착부재(110), 상기 제1 흡착부재(110) 각각의 상부에 구비되되 하단에 흡착판(111)의 둘레를 따라 자석(121)이 구비되는 커버(120) 및, 상기 너트부(112) 각각과 결합되는 볼트부(131)와 상기 볼트부(131)의 상부에 형성되되 외주면에 제1 조임핸들(132a)이 형성되는 헤드부(132)를 포함하는 제1 조임부재(130)로 이루어지는 고정수단(100);
    상기 너트부(112)와 볼트부(131) 각각의 사이에 결합되며, 상기 차량의 선루프 측과 연통되도록 일측이 개방된 베이스 플레이트(200);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0)의 상부에 구비되되 상호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전후방 각각에 공기유입구(310)와 공기배출구(320)가 형성된 유선형상의 탑케이스(300);
    상기 탑케이스(300) 내부의 공기유입구(310) 후측에 구비되어 회전됨에 따라 공기유입구(310)를 개폐하는 개폐판(331), 일측이 상기 개폐판(331)의 하단과 연결되고 타측에 동력전달판(333)이 형성되어 상기 동력전달판(333)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개폐판(331)의 회전을 가능케 하는 회동부(332) 및, 상기 회동부(332)의 후측에 구비되어 전류가 공급되면 상기 동력전달판(333)과 접촉되고 전류가 차단되면 상기 동력전달판(333)과 접촉 해제되는 전자석(334)을 포함하는 개폐유닛(330);
    상기 개폐유닛(330)의 후측으로부터 이격 형성되되 전광후협(前廣後狹)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노즐부(341), 상기 노즐부(341)의 후방에 형성되는 연결부(342) 및, 상기 연결부(342)의 후방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배출구(320)와 연결되는 배출부(343)를 포함하는 공기유동관로(340);
    상기 개폐유닛(330)과 노즐부(341) 사이의 탑케이스(300)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유입구(310)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노즐부(341)로 유입되기 전에 선루프의 전방 측을 통해 차량의 내부로 유입 가능케 하는 외기유입구(350);
    상기 노즐부(341)와 연결부(342) 사이의 탑케이스(300) 저면에 형성되어 선루프의 후방 측을 통해 차량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내기배출구(360);
    상기 연결부(342) 내부 측에 설치되며 상기 연결부(342)로 유입되어 배출부(343)로 배출되는 기류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전력을 발생시키는 발전부(371)와, 상기 발전부(37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발생된 전력을 축전하는 축전지(372)를 포함하는 축전유닛(370);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0)의 차량 운전석 측에 설치되는 측면케이스(410), 상기 측면케이스(410) 내부의 태엽에 감김 설치되되 일단이 운전석 도어의 상부테두리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어 운전석 도어의 개폐에 따라 펼침 또는 감김되는 천막(420) 및, 상기 측면케이스(410) 내부의 태엽 하부 측에 구비되어 우산을 보관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수납케이스(430)를 포함하는 비막이 유닛(40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순환과 축전 및 비막이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부대장치.
KR1020140137427A 2014-10-13 2014-10-13 공기순환과 축전 및 비막이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부대장치 KR101565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7427A KR101565446B1 (ko) 2014-10-13 2014-10-13 공기순환과 축전 및 비막이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부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7427A KR101565446B1 (ko) 2014-10-13 2014-10-13 공기순환과 축전 및 비막이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부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5446B1 true KR101565446B1 (ko) 2015-11-04

Family

ID=54600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7427A KR101565446B1 (ko) 2014-10-13 2014-10-13 공기순환과 축전 및 비막이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부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544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82017A (zh) * 2017-03-02 2017-06-23 成都易态科技有限公司 客运车厢空气净化系统及其控制方法
KR101925825B1 (ko) 2018-06-19 2018-12-0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운행중인 자동차를 활용한 도시 미세먼지 제거장치
WO2020032317A1 (ko) * 2018-08-07 2020-02-13 (주)아이준 이동수단을 이용한 미세먼지 정화장치
CN116638937A (zh) * 2023-07-19 2023-08-25 江苏三乔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房车用天窗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5249B1 (ko) 2014-02-24 2014-06-17 백종우 착탈구조의 선루프 커버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5249B1 (ko) 2014-02-24 2014-06-17 백종우 착탈구조의 선루프 커버기구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82017A (zh) * 2017-03-02 2017-06-23 成都易态科技有限公司 客运车厢空气净化系统及其控制方法
CN106882017B (zh) * 2017-03-02 2023-08-04 成都易态科技有限公司 客运车厢空气净化系统及其控制方法
KR101925825B1 (ko) 2018-06-19 2018-12-0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운행중인 자동차를 활용한 도시 미세먼지 제거장치
WO2020032317A1 (ko) * 2018-08-07 2020-02-13 (주)아이준 이동수단을 이용한 미세먼지 정화장치
KR20200016442A (ko) * 2018-08-07 2020-02-17 (주)아이준 이동수단을 이용한 미세먼지 정화장치
KR102123416B1 (ko) * 2018-08-07 2020-06-16 (주)아이준 이동수단을 이용한 미세먼지 정화장치
CN116638937A (zh) * 2023-07-19 2023-08-25 江苏三乔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房车用天窗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5446B1 (ko) 공기순환과 축전 및 비막이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부대장치
US10358038B1 (en) Wind turbine for electric car
US20110156404A1 (en) Wind driven generator for vehicles
US4558634A (en) Ventilation system for motor vehicles
US8169182B1 (en) Charging system for an electric vehicle
US9126548B1 (en) Push button actuated toilet for motor vehicle
US8513828B1 (en) Wind turbine for electric car
US20070107762A1 (en) Emergency vehicle shelter
WO2011068564A1 (en) Power generation device
US20090256450A1 (en) Tire actuated generator for use on cars
JP2009136108A (ja) 電気自動車
US20180257470A9 (en) Swivel support structure
WO2012157317A1 (ja) 電気自動車の前部構造
JP6634957B2 (ja) バッテリ冷却用送風装置
JP5040179B2 (ja) 車両用発電制御装置
CN109398048B (zh) 一种半开式汽车车门引流防溅辅助装置
KR102057550B1 (ko) 필터 일체형 커버가 적용된 에어벤트
JPS6395802A (ja) 車両の蓄電装置
CN206615041U (zh) 一种车载新风系统
JP2003299207A (ja) 風力発電による電気自動車
CN113119719B (zh) 一种新型混合动力汽车能量回收系统及控制方法
KR200416037Y1 (ko) 성에, 습기, 물기를 제거하는 기능을 가진 보조미러장치
US9718506B1 (en) Vehicle propulsion system using wind
KR102079709B1 (ko) 차량의 자동 환기 시스템
KR102087730B1 (ko) 자동차용 우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