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4997B1 - Vessel for Cooking Food - Google Patents

Vessel for Cooking Fo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4997B1
KR101564997B1 KR1020150033016A KR20150033016A KR101564997B1 KR 101564997 B1 KR101564997 B1 KR 101564997B1 KR 1020150033016 A KR1020150033016 A KR 1020150033016A KR 20150033016 A KR20150033016 A KR 20150033016A KR 101564997 B1 KR101564997 B1 KR 101564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hole
container body
blocking
solid fu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30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공석태
공선영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즉석쌀밥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즉석쌀밥주식회사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즉석쌀밥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33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4997B1/en
Priority to CN201580038956.3A priority patent/CN106536376A/en
Priority to JP2017503157A priority patent/JP2017530906A/en
Priority to PCT/KR2015/002482 priority patent/WO2016013745A1/en
Priority to US15/327,030 priority patent/US20170156536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4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49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specially adapted to be heated over a heat source, e.g. a hob, campf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0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 B65D51/16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by means of a filter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cooking vessel enabling a user to easily cook food. The user is capable of easily cooking food in an outdoor space such as a camping site without preparing additional how water or a microwave since the food can be easily cooked. Moreover, the present invention is on sale while the inside of a vessel main body stores rice in order to provide exemption of value added tax and reduce product costs.

Description

음식물 조리 용기{Vessel for Cooking Food}{Vessel for Cooking Food}

본 발명은 음식물 조리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레인지 또는 별도의 뜨거운 물을 준비하지 않은 상태로, 간단하게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하는 음식물 조리 용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cooking vessel,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od cooking vessel that can easily cook food without preparing a microwave oven or a separate hot water.

현대사회는 고도의 경제성장과 생활수준의 급격한 변화와 더불어 우리의 사회 환경과 생활양식 특히, 식생활양식을 크게 변모시키고 있다. 현대인들은 복잡한 생활속에서 간편성을 추구하게 되었고, 경제성장에 따른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점차 외식이 생활화 되어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외식산업의 번창과 즉석편의식품의 이용이 급증하고 있다. 또한, 주 5일제 근무가 확대됨으로 인한 캠핑 등 레저생활 증가에 따라, 즉석편의식품 시장은 매년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다.Modern society is transforming our social environment and lifestyle, especially dietary patterns, with high economic growth and rapid changes in living standards. Modern people have pursued simplicity in their complex lives. As a result of the economic growth, the quality of life is gradually increasing, so that the food industry is prospering and the use of instant food is increasing rapidly. In addition, the convenience food market is growing every year as the leisure life such as camping is increased due to the expansion of 5-day work week.

이러한 즉석가공식품 중 즉석밥은 전자레인지 등의 기구를 사용하여 데워 먹을 수 있는 것으로, 대표적인 것으로 씨제이 주식회사의 '햇반'을 들 수 있다. 즉석밥은 3분 내외의 간단한 조리만으로 따끈한 밥을 즉석에서 먹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Among these ready-to-eat processed foods, instant rice can be eaten warm by using a microwave oven or the like, and a typical example is 'Hatban' of CJ Corporation. Instant rice has a merit of being able to eat hot rice on the spot by simple cooking about 3 minutes or less.

도 1은 즉석밥이 포장되는 종래 즉석 용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즉석 용기(1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는 본체(12)와, 본체(12)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리드필름(14)을 포함한다. 그리고 쌀을 가공하여 즉석밥(미도시)으로 조리한 후, 이렇게 조리된 즉석밥이 본체(12) 내부에 담기며, 이어서 리드필름(14)이 본체(12)를 실링한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instant container in which instant rice is packed. Referring to FIG. 1, the conventional instant container 10 includes a main body 12 having a space formed therein and an upper portion thereof opened, and a lead film 14 covering an ope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2. Then, the rice is processed into instant rice (not shown), and then the cooked instant rice is stored in the main body 12, followed by sealing the main body 12 with the lead film 14.

이러한 종래 즉석 용기는 전자레인지와 같은 별도의 전자제품을 이용해야 하거나, 별도의 뜨거운 물을 구비해야 하므로, 조리에 대한 제약이 심한 문제점이 있다.Such a conventional ready-to-use container must use a separate electronic product such as a microwave oven or have a separate hot water, so tha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oking is very limited.

한편, 즉석밥은 쌀을 가공하여 조리된 것이므로, 공산품으로 분류되어, 부가가치세가 과세된다. 그런데 쌀 자체는 농산물로서, 부가가치세가 면제되므로, 일정 량의 쌀을 포장한 후, 이를 이용하여 밥을 직접 조리하는 제품이 출시된다면, 부가가치세 면세 혜택을 받을 수 있어, 제품 가격을 낮출 수 있을 것이다.
On the other hand, instant rice is cooked by processing rice, so it is classified as a commodity and VAT is taxed. However, since the rice itself is an agricultural product and the value added tax is exempted, if a product that packages a certain amount of rice and cooks it directly using the rice is introduced, it will be able to receive the VAT exemption benefit and lower the product price.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1743호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31743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레인지 또는 별도의 뜨거운 물을 준비하지 않은 상태로, 간단하게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하는 음식물 조리 용기를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ood and beverage container capable of easily cooking food without preparing a microwave oven or a separate hot wat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쌀이 수용되도록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시키는 커버를 구비하되, 상기 커버의 일측에 제 1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타측에 제 2 통공이 형성되는 용기본체; 상기 제 1 통공을 개폐시키도록 상기 커버의 내측에 위치되는 탄성 재질의 차단러버와, 상기 커버의 내측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차단러버를 지지하는 제 1 지지부를 갖는 제 1 차단부; 및 상기 제 2 통공을 덮도록 상기 커버의 내측에 밀착되되, 스팀이 통과되는 나노섬유로 형성되는 스팀필터를 갖는 제 2 차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조리 용기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ice cooker, comprising: a case having a space formed therein for receiving rice and having an open top; and a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an opened top of the case, And a second through-hole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ver; A first blocking portion having an elastic material blocking rubber disposed inside the cover to open and close the first aperture and a first support portion supporting the blocking rubber in a state of being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cover; And a second shielding part having a steam filter formed of a nanofiber which is closely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cover to cover the second through hole and through which steam is passed.

또한, 내부에 쌀이 수용되도록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시키는 커버를 구비하되, 상기 커버에 통공이 형성되는 용기본체; 및 상기 통공을 개폐시키도록 상기 커버의 내측에 위치되는 차단필터와, 상기 커버의 내측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차단필터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는 차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필터는 스팀이 통과하는 나노섬유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조리 용기를 제공한다.A container body having a cover and a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the cover having a through-hole formed therein; And a cutoff portion having a cutoff filter located inside the cover to open and close the through hole and a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cutoff filter in a state of being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cover, Wherein the food container is formed of fibers.

또한, 상기 제 1 지지부의 테두리는 상기 차단러버의 일측을 덮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 지지부의 상기 차단러버의 타측과 대향되는 위치에는 상기 차단러버가 상기 제 1 지지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 1 통공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조리 용기를 제공한다.The rim of the first support part is formed to cover one side of the blocking rubber.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other side of the blocking rubber of the first supporting part, the blocking rubber passes through the first supporting part, And a through hole is formed so as to be bent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ooking cavity.

또한, 상기 제 2 차단부는: 상기 스팀필터를 지지하도록 상기 커버의 내측에 부착되는 제 2 지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 2 지지부의 상기 제 2 통공과 대향되는 위치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조리 용기를 제공한다.The second blocking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upporting portion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cover to support the steam filter, wherein a through hole is formed at a position facing the second through hole of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To provide a food cooking vessel.

또한, 상기 관통공은 복수 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조리 용기를 제공한다.Als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od and beverage container comprising a plurality of through-holes.

또한, 상기 용기본체를 가열시키도록 고체연료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조리 용기를 제공한다.
Further, there is provided a food cooking vessel characterized by further comprising a solid fuel for heating the container body.

본 발명은 전자레인지 또는 별도의 뜨거운 물을 준비하지 않은 상태로, 간단하게 조리가 가능하므로, 캠핑 등의 야외에서 밥을 용이하게 조리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cooked without preparing a microwave oven or a separate hot water, so that it is possible to cook rice easily outdoors such as camping.

또한, 본 발명은 용기본체 내부에 쌀이 수용된 상태로 판매가 되므로, 부가가치세 면세 혜택을 받을 수 있어, 제품 가격을 낮출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rice is contained in the container body and sold, the present invention can receive the VAT exemption benefit and reduce the product price.

도 1은 즉석밥이 포장되는 종래 즉석 용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조리 용기의 케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조리 용기의 용기본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조리 용기의 제 1 차단부와 제 2 차단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조리 용기의 제 1 차단부에 물이 공급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조리 용기가 가열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instant container in which instant rice is packed.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ase of a food cooking container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tainer body of a food cooking container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first blocking portion and a second blocking portion of a food cooking vessel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water is supplied to the first cut-off portion of the food cooking vessel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ood cooking vessel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hea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조리 용기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food cooking vesse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조리 용기의 케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조리 용기의 용기본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 2 is a schematic view of a case of a food cooking vessel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tainer body of a food cooking vessel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조리 용기(100)는 쌀을 포장하도록 구성되되, 사용자가 즉석에서 물을 넣고 가열하여 밥을 조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용기본체(110), 제 1 차단부(120: 도 4 도시) 및 제 2 차단부(125: 도 4 도시)를 포함한다.2 and 3, the food cooking container 100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pack rice, And includes a container body 110, a first blocking portion 120 (shown in FIG. 4), and a second blocking portion 125 (shown in FIG. 4).

용기본체(110)는 쌀 등이 담기는 것으로, 견고하고 열 전달이 용이한 금속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용기본체(110)는 내부에 쌀 등이 수용되도록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는 케이스(112)와, 케이스(112)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시키는 커버(114)를 포함한다. 그리고 커버(114)의 일측에는 제 1 통공(114a)이 형성되고 커버(114)의 타측에는 제 2 통공(114b)이 형성된다. 그리고 커버(114)는 케이스(112)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예를 들면 커버(114)의 외측에 고리(115)가 구비되고, 커버(114)의 외주연을 따라 절단선이 형성되는 이지오픈앤드캔(Easy open end can) 방식으로 케이스(112)에 부착되어 있어, 케이스(112)를 개봉하기 위한 별도의 도구 없이 케이스(112)를 원터치 형식으로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다. 한편, 고리(115)의 중앙을 관통하는 고리홀(115a)은 제 1 통공(114a)과 마주보도록 위치될 수 있다.The container body 110 contains rice or the like and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which is solid and easy to transmit heat. The container body 110 includes a case 112 in which a space is formed to receive rice or the like and an upper portion thereof is opened and a cover 114 that opens and closes the opened upper portion of the case 112. A first through hole 114a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over 114 and a second through hole 114b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ver 114. [ The cover 114 is configured to open the case 112. For example, a ring 115 is provided outside the cover 114 and a cutting line is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ver 114 The case 112 is attached to the case 112 in an easy open end can manner so that the case 112 can be easily opened in a one-touch manner without a separate tool for opening the case 112. On the other hand, the loop hole 115a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loop 115 can be positioned to face the first through hole 114a.

제 1 차단부(120)와 제 2 차단부(125)는 하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The first blocking unit 120 and the second blocking unit 125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조리 용기의 제 1 차단부와 제 2 차단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first blocking portion and a second blocking portion of a food cooking vessel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제 1 차단부(120)는 커버(114)의 제 1 통공(114a)을 개폐시키는 것으로, 제 1 통공(114a)을 덮도록 커버(114)의 내측에 위치되는 탄성 재질의 차단러버(123)와, 차단러버(123)를 지지하도록 커버(114)의 내측에 결합되는 제 1 지지부(121)를 갖도록 구성된다. 제 1 지지부(121)는 커버(114)의 내측에 부착되는 고정테이프 등으로 구성되되 제 1 지지부(121)의 테두리 일측은 차단러버(123)의 일측을 고정시키도록 차단러버(123)의 일측을 덮도록 구성되고, 제 1 지지부(121)의 테두리 타측은 차단러버(123)의 타측을 덮지 않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 1 지지부(121)의 중앙에는 제 1 관통공(122)이 형성되고, 제 1 지지부(121)에 의하여 고정되지 않은 차단러버(123)의 타측은 제 1 관통공(122)을 관통하여 제 1 통공(114a)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휘어지거나 원상태로 복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후술하는 물공급부(200: 도 5 도시)가 차단러버(123)를 가압하면, 차단러버(123)가 휘어지면서 제 1 통공(114a)을 개방시키게 되어, 물공급부(200)를 통하여 용이하게 용기본체(110) 내부로 물을 주입시킬 수 있게 된다. 이는 하기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Referring to FIG. 4, the first blocking portion 120 is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first through-hole 114a of the cover 114 and to cover the first through-hole 114a with an elastic material And a first support portion 121 which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cover 114 to support the blocking rubber 123. The first supporting part 121 is composed of a fixing tape or the like attached to the inner side of the cover 114. One side of the first supporting part 121 is fixed to one side of the blocking rubber 123 to fix one side of the blocking rubber 123 And the other side of the rim of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121 is configured not to cover the other side of the blocking rubber 123. [ A first through hole 122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121 and the other side of the blocking rubber 123 not fixed by the first support portion 121 passes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122 So that it can be bent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through hole 114a or returned to the original state. 5) presses the blocking rubber 123, the blocking rubber 123 is bent to open the first through-hole 114a so that the water can easily flow through the water supply part 200 So that water can be injected into the container body 110.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제 2 차단부(125)는 커버(114)의 제 2 통공(114b)을 개폐시키는 것으로, 제 2 통공(114b)을 덮도록 커버(114)의 내측에 밀착되는 나노 섬유 재질의 스팀필터(128)와, 스팀필터(128)를 지지하도록 커버(114)의 내측에 결합되는 제 2 지지부(126)를 포함한다. 스팀필터(128)는 물은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수증기는 통과되도록 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투습기능을 갖는 아웃도어 용품에 많이 사용되는 공지된 기술이다. 그리고 용기본체(110)의 하부에는 고체연료(130: 도 6 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고체연료(130) 등을 이용하여 용기본체(110)를 가열시키면, 용기본체(110) 내부에 수증기가 발생되고, 상기 수증기는 스팀필터(128)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처럼 스팀필터(128)를 이용하여 제 2 통공(114b)을 개폐시킴으로써, 용기본체(110)의 케이스(112)를 개방시키지 않은 상태로 조리를 해도 내부 압력이 일정 정도 이하로 자동조절되고, 내부 공기팽창에 따른 용기(100)의 본체 폭발 위험이 없어, 안전한 효과가 있다. 또한, 용기본체(110) 외부의 세균이나 먼지 등이 스팀필터(128)를 통과하지 못하므로, 용기본체(110) 내부가 오염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제 2 지지부(126)는 스팀필터(128)가 커버(114)의 내측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면, 고정테이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지지부(126)의 제 2 통공(114b)과 대향되는 위치에는 제 2 관통공(127)이 형성된다. 그리고 용기본체(110) 내부의 수증기는 제 2 관통공(127)과 스팀필터(128)와 제 2 통공(114b)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제 2 관통공(127)과 제 2 통공(114b)은 경우에 따라 복수 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처럼 제 2 관통공(127)과 제 2 통공(114b)이 복수 개로 구성되면, 용기본체(110) 내부의 수증기는 보다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e second cut-off portion 125 opens and closes the second through-hole 114b of the cover 114. The second cut-off portion 125 includes a nano-fiber-made steam filter 128 And a second support portion 126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cover 114 to support the steam filter 128. The steam filter 128 is a well-known technique widely used for outdoor products having a moisture-permeable function, in which water is not discharged to the outside but steam is passed therethrough. 6)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container body 110. When the container body 110 is heated by using the solid fuel 130 or the like, And the steam is discharged through the steam filter 128 to the outside. The internal pressure is automatically adjusted to a certain level or less even if the case 112 of the container body 110 is cooked without opening the container by opening and closing the second through hole 114b by using the steam filter 128, There is no risk of explosion of the main body of the container 100 due to air expansion, which is a safe effect. In addition, since bacteria or dust outside the container body 110 can not pass through the steam filter 128,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ody 110 is not contaminated. The second support portion 126 is for fixing the steam filter 128 firmly to the inside of the cover 114 and may be constituted by, for example, a fixing tape or the like. A second through hole 127 is form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second through hole 114b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126. The steam inside the container body 110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 127, the steam filter 128, and the second through hole 114b. The second through hole (127) and the second through hole (114b) may be formed in plural as the case may be. When the second through holes 127 and the second through holes 114b are formed in a plurality of holes, the water vapor in the container body 110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more quickly.

한편, 필요에 따라 제 1 통공(114a) 및 제 2 통공(114b)에 라벨(미도시)을 붙이게 되면, 제 1 통공(114a) 및 제 2 통공(114b)을 통하여 외부 공기가 용기본체(110)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되어, 용기본체(110)의 완전밀폐가 가능해진다.
When a label (not shown) is attached to the first through-hole 114a and the second through-hole 114b as needed, external air is supplied through the first through-hole 114a and the second through- So that the container body 110 can be completely seal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조리 용기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process of cooking food using the food cooking vessel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조리 용기의 제 1 차단부에 물이 공급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water is supplied to the first cut-off portion of the food cooking vessel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용기본체(110)에 쌀이 수용되어 있으며, 이 상태에서 물공급부(200)를 이용하여 용기본체(110)에 물을 주입한다. 물공급부(200)는 주사기 등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물이 수용되는 실린더(210)와, 실린더(210)에 담긴 물을 가압하도록 실린더(210)의 일측에 장착되는 피스톤(220)과, 실린더(210)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실린더(210)의 타측에 장착되는 니들(23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5, rice is contained in the container body 110, and water is injected into the container body 110 using the water supply unit 200 in this state. The water supply unit 200 includes a cylinder 210 in which water is accommodated, a piston 220 mounted on one side of the cylinder 210 to pressurize the water contained in the cylinder 210, And a needle 230 mounted on the other side of the cylinder 210 so that water in the cylinder 21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그리고 니들(230)이 고리홀(115a)과 제 1 통공(114a)에 삽입된 후, 차단러버(123)를 가압하게 되면, 차단러버(123)가 휘어지면서 제 1 통공(114a)이 개방된다. 이때, 피스톤(220)을 가압하여 실린더(210)의 물이 용기본체(110) 내부로 주입되도록 한다. 이때, 용기본체(110)에 수용된 쌀은 예를 들면 120g으로 구성되고, 용기본체(110) 내부로 주입되는 물은 예를 들면 150㏄로 구성될 수 있다.When the needle 230 is inserted into the hole 115a and the first hole 114a and then the blocking rubber 123 is pressed, the blocking rubber 123 is bent to open the first hole 114a . At this time, the piston 220 is pressed so that water in the cylinder 210 is injected into the container body 110. At this time, the rice contained in the container body 110 is composed of, for example, 120 g, and the water injected into the container body 110 may be composed of, for example, 150 cc.

그리고 물 주입이 끝나면, 니들(230)을 제 1 통공(114a)에서 외부로 탈거시키며, 이때, 차단러버(123)는 자체 탄성으로 인하여 원위치로 복귀되어 제 1 통공(114a)을 폐쇄하게 된다.
When the water injection is completed, the needle 230 is removed from the first through hole 114a. At this time, the blocking rubber 123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due to its own elasticity to close the first through hole 114a.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조리 용기가 가열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ood cooking vessel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heated.

도 6을 참조하면, 용기본체(110)의 하부에 고체연료(130)가 구비된다. 고체연료(130)는 용기본체(110)를 직접 가열함으로써, 용기본체(110)로 주입된 물이 끓도록 하여 밥을 조리하도록 한다. 이러한 고체연료(130)는 예를 들면, 사이즈가 큰 제 1 고체연료(미도시)와, 제 1 고체연료보다 작은 크기의 제 2 고체연료(미도시)를 구비하고 있으며, 제 2 고체연료 위에 제 1 고체연료가 위치되고, 제 1 고체연료 위에 용기본체(110)가 위치된다. 그리고 제 1 고체연료에 불을 붙이면, 제 1 고체연료부터 연소가 시작되고, 제 1 고체연료의 연소가 마무리되면, 제 2 고체연료가 연소되기 시작한다. 이때, 제 1 고체연료는 그 크기가 크므로 인하여 화력이 강하고, 제 2 고체연료는 그 크기가 작으므로 인하여 화력이 약하다. 이에 따라. 제 1 고체연료의 강한 화력을 이용하여 용기본체(110)로 주입된 물을 끓이기 시작하고, 일정 시간이 지나, 제 2 고체연료가 연소 되기 시작하면, 제 2 고체연료는 화력이 약하므로, 자동으로 뜸을 들이는 효과를 갖게 된다.Referring to FIG. 6, a solid fuel 130 is provided in a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110. The solid fuel 130 directly heats the container body 110 to allow the water injected into the container body 110 to boil, thereby cooking the rice. This solid fuel 130 has, for example, a first solid fuel (not shown) of a large size and a second solid fuel (not shown) of a smaller size than the first solid fuel, The first solid fuel is located, and the container body 110 is placed on the first solid fuel. When the first solid fuel is ignited, combustion starts from the first solid fuel, and when the combustion of the first solid fuel is finished, the second solid fuel starts to burn. At this time, since the first solid fuel has a large thermal power and the second solid fuel has a small size, the thermal power is weak. Accordingly. When boiling water injected into the container body 110 is started using the strong thermal power of the first solid fuel and the second solid fuel starts burning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it has the effect of putting on the moxibustion.

한편, 고체연료(130)에 의하여 용기본체(110) 내부의 물이 끓기 시작하면, 용기본체(110) 내부는 수증기로 가득 차게 되는데, 이 수증기는 제 2 관통공(127)과 스팀필터(128)와 제 2 통공(114b)을 차례로 통과하면서 용기본체(110) 외부로 배출된다.When the water inside the container body 110 starts to be boiled by the solid fuel 130,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ody 110 is filled with steam. The water vapor passes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 127 and the steam filter 128 And the second through hole 114b in this order.

이처럼 본 발명은 전자레인지 또는 별도의 뜨거운 물을 준비하지 않은 상태로, 간단하게 조리가 가능하므로, 캠핑 등의 야외에서 밥을 용이하게 조리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cooked without preparing a microwave oven or a separate hot water, so that it is possible to cook rice easily outdoors in camping or the like.

또한, 본 발명은 용기본체(110) 내부에 쌀이 수용된 상태로 판매가 되므로, 부가가치세 면세 혜택을 받을 수 있어, 제품 가격을 낮출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rice is contained in the container body 110 and is sol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ceive the VAT exemption benefit, and the product price can be lowered.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조리 용기가 가열되는 상태의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a state where the food cooking vessel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heated.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도 6의 고체연료(130: 도 6 도시) 대신에, 버너(140)를 사용할 수도 있다. 버너(140)는 캠핑 등에서 주로 사용되는 일반적인 것으로, 버너(140)에 장착된 가스를 이용하여 용기본체(110)를 가열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the present invention may use a burner 140 instead of the solid fuel 130 (FIG. 6) of FIG. The burner 140 is generally used mainly in camping or the like, and can heat the container body 110 by using the gas mounted on the burner 140.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조리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food cooking vessel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조리 용기는 상기 제 1 실시예에서, 제 1 차단부(120)의 차단러버(123)가 차단필터(129)로 변경되고, 제 2 차단부(125)가 제거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 1 살시예와 동일하도록 구성된다.8, in the food cook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rst embodiment, the blocking rubber 123 of the first blocking portion 120 is changed to the blocking filter 129, Except that the second blocking portion 125 is removed.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조리 용기는 쌀을 포장하도록 구성되되, 사용자가 즉석에서 물을 넣고 가열하여 밥을 조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용기본체(110) 및 제 1 차단부(120)를 포함한다.That is, the food cook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pack rice and cook the rice by instantly watering and heating the food. The container body 110 and the first And a blocking unit 120.

용기본체(110)는 내부에 쌀 등이 수용되는 케이스(112)와, 케이스(112)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시키는 커버(114)를 포함한다. 그리고 커버(114)의 일측에는 제 1 통공(114a)이 형성된다. 그리고 커버(114)는 고리(115)를 구비하여 케이스(112)를 용이하게 개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고리(115)의 고리홀(115a)은 제 1 통공(114a)과 마주보도록 위치될 수 있다.The container body 110 includes a case 112 in which rice or the like is received and a cover 114 that opens and closes the opened upper portion of the case 112. [ A first through hole 114a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cover 114. [ The cover 114 is configured to easily open the case 112 with the loop 115 and the loop hole 115a of the loop 115 can be positioned to face the first through hole 114a have.

제 1 차단부(120)는 커버(114)의 제 1 통공(114a)을 개폐시키는 것으로, 제 1 통공(114a)을 덮도록 커버(114)의 내측에 위치되는 차단필터(129)와, 차단필터(129)를 지지하도록 커버(114)의 내측에 결합되는 제 1 지지부(121)를 갖도록 구성된다. 제 1 지지부(121)는 커버(114)의 내측에 부착되어 차단필터(129)의 외주연을 지지하는 것으로, 고무재질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제 1 지지부(121)의 테두리 일측은 차단필터(129)의 일측을 고정시키도록 차단필터(129)의 일측을 덮도록 구성되고, 제 1 지지부(121)의 테두리 타측은 차단필터(129)의 타측을 덮지 않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 1 지지부(121)의 중앙에는 제 1 관통공(122)이 형성되고, 제 1 지지부(121)에 의하여 고정되지 않은 차단필터(129)의 타측은 제 1 관통공(122)을 관통하여 제 1 통공(114a)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휘어지거나 원상태로 복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후술하는 물공급부(200: 도 9 도시)가 차단필터(129)를 가압하면, 차단필터(129)가 휘어지면서 제 1 통공(114a)을 개방시키게 되어, 물공급부(200)를 통하여 용이하게 용기본체(110) 내부로 물을 주입시킬 수 있게 된다. 이는 하기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차단필터(129)는 스팀필터(128: 도 4 도시)와 같이 나노 섬유 재질로 구성된다. 이러한 차단필터(129)는 물은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수증기는 통과되도록 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투습기능을 갖는 아웃도어 용품에 많이 사용되는 공지된 기술이다.
The first blocking portion 120 opens and closes the first through hole 114a of the cover 114 and includes a cutoff filter 129 located inside the cover 114 to cover the first through hole 114a, Is configured to have a first support portion (121)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cover (114) to support the filter (129). The first support part 121 is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cover 114 to support the outer periphery of the shield filter 129 and is made of rubber or the like. One side of the first supporting part 121 is configured to cover one side of the blocking filter 129 to fix one side of the blocking filter 129 an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upporting part 121 is connected to the blocking filter 129, As shown in Fig. A first through hole 122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irst supporting part 121 and the other side of the blocking filter 129 not fixed by the first supporting part 121 passes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122 So that it can be bent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through hole 114a or returned to the original state. When the water supply part 200 (see FIG. 9) described below presses the cutoff filter 129, the cutoff filter 129 is bent to open the first through hole 114a, So that water can be injected into the container body 110.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below. Also, the cutoff filter 129 is made of a nanofiber material like the steam filter 128 (shown in FIG. 4). Such a cutoff filter 129 is a well-known technique widely used for outdoor products having a moisture-permeable function, in which water is not discharged to the outside but steam is passed through.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조리 용기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process of cooking food using a food cooking vessel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조리 용기의 제 1 차단부에 물이 공급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FIG. 9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water is supplied to the first cutoff portion of the food preparation vessel according to the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용기본체(110)에 쌀이 수용되어 있으며, 이 상태에서 물공급부(200)를 이용하여 용기본체(110)에 물을 주입한다. 물공급부(200)는 주사기 등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물이 수용되는 실린더(210)와, 실린더(210)에 담긴 물을 가압하도록 실린더(210)의 일측에 장착되는 피스톤(220)과, 실린더(210)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실린더(210)의 타측에 장착되는 니들(23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9, rice is contained in the container body 110, and water is injected into the container body 110 using the water supply unit 200 in this state. The water supply unit 200 includes a cylinder 210 in which water is accommodated, a piston 220 mounted on one side of the cylinder 210 to pressurize the water contained in the cylinder 210, And a needle 230 mounted on the other side of the cylinder 210 so that water in the cylinder 21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그리고 니들(230)이 고리홀(115a)과 제 1 통공(114a)에 삽입된 후, 차단필터(129)를 가압하게 되면, 차단필터(129)가 휘어지면서 제 1 통공(114a)이 개방된다. 이때, 피스톤(220)을 가압하여 실린더(210)의 물이 용기본체(110) 내부로 주입되도록 한다. 이때, 용기본체(110)에 수용된 쌀은 예를 들면 120g으로 구성되고, 용기본체(110) 내부로 주입되는 물은 예를 들면 150㏄로 구성될 수 있다.
When the needle 230 is inserted into the hole 115a and the first hole 114a and then the cut filter 129 is pressed, the cut filter 129 is bent so that the first hole 114a is opened . At this time, the piston 220 is pressed so that water in the cylinder 210 is injected into the container body 110. At this time, the rice contained in the container body 110 is composed of, for example, 120 g, and the water injected into the container body 110 may be composed of, for example, 150 cc.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조리 용기가 가열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FIG.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 heating state of a food cooking vessel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용기본체(110)의 하부에 고체연료(130) 또는 상술한 버너(140: 도 7 도시)가 구비된다. 고체연료(130)는 용기본체(110)를 직접 가열함으로써, 용기본체(110)로 주입된 물이 끓도록 하여 밥을 조리하도록 한다. 이러한 고체연료(130)는 예를 들면, 사이즈가 큰 제 1 고체연료(미도시)와, 제 1 고체연료보다 작은 크기의 제 2 고체연료(미도시)를 구비하고 있으며, 제 2 고체연료 위에 제 1 고체연료가 위치되고, 제 1 고체연료 위에 용기본체(110)가 위치된다. 그리고 제 1 고체연료에 불을 붙이면, 제 1 고체연료부터 연소가 시작되고, 제 1 고체연료의 연소가 마무리되면, 제 2 고체연료가 연소되기 시작한다. 이때, 제 1 고체연료는 그 크기가 크므로 인하여 화력이 강하고, 제 2 고체연료는 그 크기가 작으므로 인하여 화력이 약하다. 이에 따라. 제 1 고체연료의 강한 화력을 이용하여 용기본체(110)로 주입된 물을 끓이기 시작하고, 일정 시간이 지나, 제 2 고체연료가 연소 되기 시작하면, 제 2 고체연료는 화력이 약하므로, 자동으로 뜸을 들이는 효과를 갖게 된다.Referring to FIG. 10, a solid fuel 130 or the above-described burner 140 (shown in FIG. 7) is provided under the container body 110. The solid fuel 130 directly heats the container body 110 to allow the water injected into the container body 110 to boil, thereby cooking the rice. This solid fuel 130 has, for example, a first solid fuel (not shown) of a large size and a second solid fuel (not shown) of a smaller size than the first solid fuel, The first solid fuel is located, and the container body 110 is placed on the first solid fuel. When the first solid fuel is ignited, combustion starts from the first solid fuel, and when the combustion of the first solid fuel is finished, the second solid fuel starts to burn. At this time, since the first solid fuel has a large thermal power and the second solid fuel has a small size, the thermal power is weak. Accordingly. When boiling water injected into the container body 110 is started using the strong thermal power of the first solid fuel and the second solid fuel starts burning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it has the effect of putting on the moxibustion.

한편, 고체연료(130)에 의하여 용기본체(110) 내부의 물이 끓기 시작하면, 용기본체(110) 내부는 수증기로 가득 차게 되는데, 상기 수증기는 차단필터(129)를 상부로 밀게 되어, 차단필터(129)가 원위치로 복귀되어 제 1 통공(114a)을 폐쇄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수증기는 제 1 관통공(122)과 차단필터(129)와 제 1 통공(114a)을 차례로 통과하면서 용기본체(110) 외부로 배출된다.
When the water inside the container body 110 starts to be boiled by the solid fuel 130,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ody 110 is filled with water vapor. The water vapor pushes the cutoff filter 129 upward, The filter 129 is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and the first through hole 114a is closed. In this state, the water vapo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body 110 while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122, the cutoff filter 129, and the first through hole 114a.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idea belonging to the scope of the claims also belongs to the present invention.

100: 음식물 제조 용기 110: 용기본체
112: 케이스 114: 커버
114a: 제 1 통공 144b: 제 2 통공
115: 고리 115a: 고리홀
120: 제 1 차단부 121: 제 1 지지부
122: 제 1 관통공 123: 차단러버
125: 제 2 차단부 126: 제 2 지지부
127: 제 2 관통공 128: 스팀필터
129: 차단필터 130: 고체연료
140: 버너 200: 물공급부
210: 실린더 220: 피스톤
230: 니들
100: food manufacturing container 110: container body
112: Case 114: Cover
114a: first through hole 144b: second through hole
115: collar 115a: collar hole
120: first blocking part 121: first supporting part
122: first through hole 123: blocking rubber
125: second blocking portion 126: second supporting portion
127: second through hole 128: steam filter
129: cut-off filter 130: solid fuel
140: Burner 200: Water supply part
210: cylinder 220: piston
230: Needle

Claims (6)

내부에 쌀이 수용되도록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시키는 커버를 구비하되, 상기 커버의 일측에 제 1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타측에 제 2 통공이 형성되는 용기본체;
상기 제 1 통공을 개폐시키도록 상기 커버의 내측에 위치되는 탄성 재질의 차단러버와, 상기 커버의 내측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차단러버를 지지하는 제 1 지지부를 갖는 제 1 차단부; 및
상기 제 2 통공을 덮도록 상기 커버의 내측에 밀착되되, 스팀이 통과되는 나노섬유로 형성되는 스팀필터를 갖는 제 2 차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지지부의 테두리는 상기 차단러버의 일측을 덮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 지지부의 상기 차단러버의 타측과 대향되는 위치에는 상기 차단러버가 상기 제 1 지지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 1 통공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조리 용기.
And a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an opened upper portion of the case, wherein a first through hole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cover and a second through hole is formed at the other side of the cover, A container body;
A first blocking portion having an elastic material blocking rubber disposed inside the cover to open and close the first aperture and a first support portion supporting the blocking rubber in a state of being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cover; And
And a second cutoff portion having a steam filter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cover to cover the second through hole and is formed of nanofibers through which steam is passed,
The rim of the first support part is formed to cover one side of the blocking rubber, an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other side of the blocking rubber of the first supporting part, the blocking rubber passes through the first supporting part and moves away from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through-hole is formed so that the through-hole can be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cooking cavity.
삭제delete 삭제delete 내부에 쌀이 수용되도록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시키는 커버를 구비하되, 상기 커버의 일측에 제 1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타측에 제 2 통공이 형성되는 용기본체;
상기 제 1 통공을 개폐시키도록 상기 커버의 내측에 위치되는 탄성 재질의 차단러버와, 상기 커버의 내측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차단러버를 지지하는 제 1 지지부를 갖는 제 1 차단부; 및
상기 제 2 통공을 덮도록 상기 커버의 내측에 밀착되되, 스팀이 통과되는 나노섬유로 형성되는 스팀필터를 갖는 제 2 차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차단부는:
상기 스팀필터를 지지하도록 상기 커버의 내측에 부착되는 제 2 지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 2 지지부의 상기 제 2 통공과 대향되는 위치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조리 용기.
And a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an opened upper portion of the case, wherein a first through hole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cover and a second through hole is formed at the other side of the cover, A container body;
A first blocking portion having an elastic material blocking rubber disposed inside the cover to open and close the first aperture and a first support portion supporting the blocking rubber in a state of being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cover; And
And a second cutoff portion having a steam filter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cover to cover the second through hole and is formed of nanofibers through which steam is passed,
Wherein the second blocking portion comprises:
And a second support portion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cover to support the steam filter, wherein a through hole is form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second through hole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복수 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조리 용기.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through-holes are formed by a plurality of through-hol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를 가열시키도록 고체연료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조리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olid fuel is further provided to heat the container body.
KR1020150033016A 2014-07-22 2015-03-10 Vessel for Cooking Food KR1015649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016A KR101564997B1 (en) 2015-03-10 2015-03-10 Vessel for Cooking Food
CN201580038956.3A CN106536376A (en) 2014-07-22 2015-03-13 Food cooking container
JP2017503157A JP2017530906A (en) 2014-07-22 2015-03-13 Food cooking container
PCT/KR2015/002482 WO2016013745A1 (en) 2014-07-22 2015-03-13 Food cooking container
US15/327,030 US20170156536A1 (en) 2014-07-22 2015-03-13 Container device for cooking fo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016A KR101564997B1 (en) 2015-03-10 2015-03-10 Vessel for Cooking Food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3051A Division KR20160011574A (en) 2014-07-22 2015-06-30 Vessel for Cooking Fo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4997B1 true KR101564997B1 (en) 2015-11-02

Family

ID=54599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3016A KR101564997B1 (en) 2014-07-22 2015-03-10 Vessel for Cooking Fo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4997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60833A (en) * 2016-10-20 2018-04-27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Article-storage device and cooking apparatus
KR101997832B1 (en) * 2018-11-13 2019-07-08 주식회사 이노패키지 Sealing film,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of,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sealed container
KR20210004228A (en) * 2019-07-03 2021-01-13 임태형 Sealing film,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of,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sealed contain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41751A (en) * 2002-05-24 2003-12-03 Gohsho Co Ltd Heatable can contain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41751A (en) * 2002-05-24 2003-12-03 Gohsho Co Ltd Heatable can container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60833A (en) * 2016-10-20 2018-04-27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Article-storage device and cooking apparatus
CN107960833B (en) * 2016-10-20 2023-12-29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Storage device and cooking utensil
KR101997832B1 (en) * 2018-11-13 2019-07-08 주식회사 이노패키지 Sealing film,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of,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sealed container
KR20210004228A (en) * 2019-07-03 2021-01-13 임태형 Sealing film,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of,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sealed container
KR102256741B1 (en) 2019-07-03 2021-05-27 임태형 Sealing film,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of,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sealed container
KR20210062609A (en) * 2019-07-03 2021-05-31 임태형 Sealing film,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of,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sealed container
KR102548812B1 (en) 2019-07-03 2023-06-29 임태형 Sealing film,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of,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sealed contai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287616B (en) Cook component and the processing method for culinary art
KR101631556B1 (en) Electric pot having a function of double boil
KR101564997B1 (en) Vessel for Cooking Food
CN201160767Y (en) Steam chafing dish
CN206354856U (en) Reduce the rice cooker of sugar
Leary et al. The Kenya eCookBook: Beans & Cereals Edition
KR100896318B1 (en) Multiple cooking utensil
JP2017530906A (en) Food cooking container
KR20160011574A (en) Vessel for Cooking Food
TW201315425A (en) Cooking method using an automatic pressure controlled double boiler
CN102327052B (en) Steaming boiler with built-in water container capable of generating steam quickly
CN102334903B (en) Automatic pressure steaming and stewing machine
CN209574348U (en) A kind of cooking apparatus
CN209165479U (en) A kind of hearth that the anti-dry using laser sensing is protected
CN203458200U (en) Electronic temperature control soup stewing device
KR20040065098A (en) double boiler with varius skill
CN206659661U (en) A kind of micro-pressure pot
KR20040083816A (en) Automatic control type double boiler
KR101161816B1 (en) Set for steaming rice cake
CN205359255U (en) Steam oven
CN201743471U (en) Buzz prompt smoldering pot for microwave oven
CN208941691U (en) A kind of steam-boiler steam stove
TWM493953U (en) Steam cooker
CN104161467A (en) Multi-use pot cover
KR200309600Y1 (en) double boiler with varius ski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