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4950B1 - 발열패드가 구비되는 섬유제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발열패드가 구비되는 섬유제품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4950B1
KR101564950B1 KR1020140078413A KR20140078413A KR101564950B1 KR 101564950 B1 KR101564950 B1 KR 101564950B1 KR 1020140078413 A KR1020140078413 A KR 1020140078413A KR 20140078413 A KR20140078413 A KR 20140078413A KR 101564950 B1 KR101564950 B1 KR 101564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tape
pad
heat
heating pad
inner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8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권기
Original Assignee
(주)지산어패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산어패럴 filed Critical (주)지산어패럴
Priority to KR1020140078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4950B1/ko
Priority to CN201410326115.XA priority patent/CN105192951A/zh
Priority to RU2014128329/12A priority patent/RU2589570C2/ru
Priority to PCT/KR2015/005399 priority patent/WO2015199338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4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4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with controlled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00Overgar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열 조절이 가능하고 세탁이 용이한 발열패드가 구비되는 섬유제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내피와 외피를 포함하는 섬유제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일단에 전선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열패드를 준비하는 단계; (b) 내피 또는 외피의 일면에 상기 발열패드를 배치하는 단계; (c) 상기 전선부가 접속된 상기 발열패드의 일단을 접착테이프로 감싸서 마감처리하는 단계; (d) 상기 발열패드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상기 전선부의 일측을 접착테이프로 감싸고, 핫멜트에 의해 상기 내피 또는 외피의 일면에 부착하는 단계; 및 (e) 상기 발열패드와 상기 접착테이프를 포함하는 영역에 열압착에 의해 방수시트를 부착하여 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발열패드가 구비되는 섬유제품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textile product with heating pad}
본 발명은 발열패드가 구비되는 섬유제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열 조절이 가능하고 세탁이 용이한 발열패드가 구비되는 섬유제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섬유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며, 그 형태와 물성 또한 매우 다양하다. 이러한 여러 종류의 섬유로 이루어지는 섬유제품은 실, 직물, 편성물, 부직포, 방석, 이불, 침낭 및 의류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최근의 섬유제품은 기능성을 부가함으로써 그 부가가치를 향상시키는 추세에 있다. 예컨대, 종래 보온을 위해 사용하였던 방석이나 이불, 침낭 및 의류 등에 발열기능을 추가한 제품이 제안되고 있다.
예컨대, 일반적으로 방한 의류는 체온을 보존하고 외부의 차가운 공기를 막기 위해 두껍고 비싼 소재를 사용한 방법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방한 의류는 의류 내부에 보온부재 등을 내장시키고, 안감과 겉감에 찬 공기가 스며들지 않도록 화학처리된 피복지를 중첩시키는 방법으로 제조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무겁고 부피가 커서 활동이 불편하며, 또한 외부에 장시간 있는 경우 보온 효과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한편,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자 의류의 내부에 발열용 패드를 삽입하고, 발열체에 연결된 커넥터를 배터리에 접속하여 발열시키는 방한용 의류도 개발되었다.
그런데, 종래의 발열패드가 내장된 방한용 의류는 일반적으로 안감의 내측에 발열패드를 장착시킨 후 천 등으로 박음질을 해서 마감하는 방식으로 제조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의 방한용 의류는 안감의 특정 부위에서 열이 직접 전달되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 사용자가 화상을 입을 수도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비나 눈이 많이 오는 경우, 또는 세탁을 하여야 하는 경우에 발열패드를 마감하는 박음질 사이로 물이 침투되어 발열패드로 물이 스며들어가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발열패드의 내구성이 떨어지며 파손이 된다는 문제점도 있다.
아울러, 의류의 내피에 발열패드를 삽입할 수 있는 수납용 포켓을 형성한 것도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또한 특정부위만의 열전달 및 물 침투로 인한 세탁의 어려움 등의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세탁시 발열패드를 해체하고 재장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그 과정에서 발열패드 또는 의류가 손상되는 문제점도 있다.
KR 20-0199828 Y1 (2000.8.4 등록) US 20130228562 A1 (2013.9.5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발열패드가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는 발열패드가 구비되는 섬유제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열패드가 부착된 외피 또는 내피와 발열패드 사이에 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발열패드가 구비되는 섬유제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내피와 외피를 포함하는 섬유제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일단에 전선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열패드를 준비하는 단계; (b) 내피 또는 외피의 일면에 상기 발열패드를 배치하는 단계; (c) 상기 전선부가 접속된 상기 발열패드의 일단을 접착테이프로 감싸서 마감처리하는 단계; (d) 상기 발열패드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상기 전선부의 일측을 접착테이프로 감싸고, 핫멜트에 의해 상기 내피 또는 외피의 일면에 부착하는 단계; 및 (e) 상기 발열패드와 상기 접착테이프를 포함하는 영역에 열압착에 의해 방수시트를 부착하여 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열패드가 구비되는 섬유제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전선부가 접속된 상기 발열패드의 일단을 제1 접착테이프로 감싸서 마감하는 단계와, (c-2) 상기 발열패드의 타단을 제2 접착테이프로 감싸서 마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d) 단계는, 상기 발열패드의 일측에서 절곡되는 상기 전선부의 절곡부가 제3 접착테이프로 감싸지고, 상기 절곡부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전선부의 연장부 일측이 제4 접착테이프로 감싸지며, 상기 제3 접착테이프와 상기 제4 접착테이프는 핫멜트에 의해 상기 내피 또는 외피의 일면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d) 단계는, (d-1) 상기 내피 또는 외피의 일면에서 상기 절곡부와 대응되는 영역에 핫멜트를 접착하고, 상기 절곡부와 상기 핫멜트 사이에 제3-1 접착테이프를 개재하며, 상기 절곡부를 감싸도록 상기 제3-1 접착테이프의 상측에 제3-2 접착테이프를 부착하는 단계와, (d-2) 상기 내피 또는 외피의 일면에서 상기 연장부의 일측과 대응되는 영역에 핫멜트를 접착하고, 상기 연장부와 상기 핫멜트 사이에 제4-1 접착테이프를 개재하며, 상기 연장부의 일측을 감싸도록 상기 제4-1 접착테이프의 상측에 제4-2 접착테이프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e) 단계는, (e-1) 상기 제1 내지 제4 접착테이프와 상기 방수시트가 핫멜트에 의해 접착되는 단계와, (e-2) 열압착에 의해 상기 방수시트가 상기 내피 또는 외피의 일면에 접착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열패드가 구비되는 섬유제품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발열패드가 내피 또는 외피의 일면에 방수시트에 의해 고밀도로 접착되므로, 부착이 견고하고 물이 스며드는 현상이 방지된다. 따라서, 기존의 열선 방식에 비해 세탁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열패드가 구비되는 섬유제품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방수는 물론 발열의 효능이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열패드가 구비되는 섬유제품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내피 및 외피의 적어도 일면이 코팅되어 있어 열이 의류 전체로 골고루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열패드가 구비되는 섬유제품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발열패드가 내피 및 외피 사이에 개재됨에 따라 발열패드를 수납하는 부분 등이 노출되기 않기 때문에 디자인적 미감을 해치지 않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발열패드가 구비되는 의류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패드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부의 사시도.
도 4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발열패드가 구비되는 의류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보여주는 사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섬유제품의 일 예로서 의류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방이나 방석, 침낭, 이불 등 보온 또는 발열기능이 부가될 수 있는 모든 섬유제품에 적용 가능함을 미리 밝혀둔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발열패드가 구비되는 의류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발열패드(300)가 구비되는 의류는 외피(100)와 내피(200), 발열패드(300)와 방수시트(400) 및 전선부(500)를 포함한다. 이때, 발열패드(300)와 전선부(500)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부분과, 전선부(500)의 일측이 접착테이프(710~740)로 감싸지며, 접착테이프(710~740)는 핫멜트(800)에 의해 내피(200)의 외측면에 접착된다.
외피(100)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발열패드가 구비되는 의류를 착용할 때 의류의 외면을 이루는 부재로서, 사용자의 상체 또는 하체와 유사한 형태를 가진다. 외피(100)의 외측면은 직접 외부의 공기 및 기타 이물질 등이 접촉된다. 따라서, 외피(100)의 외측면은 물이 내부로 침투되지 않게끔 방수코팅 될 수 있다. 아울러, 외피(100) 자체가 방수원단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외피(100)의 내측면에는 테플론 수지(미도시)가 코팅될 수 있다. 이는 외피(100)와 내피(200) 사이 공간의 열이 외부로 손실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발열패드(300)의 열을 넓게 확산시켜 사용자가 의류 전체에서 골고루 따뜻함을 느낄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테플론 수지는 외피(100)의 내측면에 전체적으로 코팅될 수 있다. 이때 테플론 수지는 외피(100) 외측면의 방수코팅과 동일하게 방수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발열패드가 구비되는 의류는 외피의 외측면과 내측면에 이중으로 방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내피(200)는 외피(100)와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며, 그 둘레가 외피(100)와 봉제 등에 의해 결합되어 외피(100)와의 사이에 밀봉 상태의 공간을 형성한다.
내피(200)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발열패드가 구비되는 의류를 착용할 때 직접 사용자의 몸 쪽에 닿는 부재이며, 내부 공간으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방수원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내피(200)의 외측면(외피(100)의 내측면과 대향하는 면)에는 외피(100)와 동일하게 테플론 수지(미도시)가 코팅될 수 있다. 이 또한 내부의 열이 외부로 손실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발열패드(300)의 열을 전체적으로 넓게 확산시켜 사용자가 의류 전체에서 골고루 따뜻함을 느끼게 하기 위함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패드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발열패드(300)는 외피(100)와 내피(200)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전원 공급에 의해 열을 발생함으로써 사용자가 따뜻함을 느낄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발열패드(300)는 다수의 발열섬유가 상호 교차되도록 직조되어 형성되는 면상발열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발열패드(300)는 각각의 발열섬유들이 서로 교차되면서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게끔 구성되어, 전원 공급시 발열섬유에 의해 발열이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패드(300)는 접거나 휨이 발생되더라도 단선이 발생되지 않으며, 안정적인 발열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타 의류나 가방 또는 방석 등의 섬유제품에 내장 가능하며 변형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발열패드(300)의 양면은 방수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서, 발열패드(300)의 발열섬유에는 바이오세라믹 분말이 도포될 수 있다. 이때 바이오세라믹 분말은 토르말린, 금강약돌, 백운모, 게르마늄이 일정 비율 혼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바이오세라믹 분말은 금강약돌 33~40중량%, 토르말린 27~32중량%, 백운모 15~17중량%, 게르마늄 18~25중량%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소재는 물로 정제된 후 세라믹 분말로 혼합 분쇄되며, 분쇄된 분말이 발열섬유에 도포됨으로써 발열섬유가 바이오세라믹 분말로 코팅될 수 있다.
이러한 발열섬유를 포함하는 발열패드(300)는 바이오세라믹에 의해 원적외선이 방출되어, 사용자의 인체 혈액순환 및 생리활성을 돕고 피로가 빠르고 효과적으로 해소될 수 있도록 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바이오세라믹 조성물의 특징을 보면, 우선 금강약돌은 산화규소, 리튬, 세레늄, 니오비듐 등 다양한 희귀원소와 함께 20여 가지 유기질을 풍부하게 함유한 광물질로서, 노화방지, 피로회복, 당뇨병, 피부병 및 소화기계통 질병에 효과가 좋다.
게르마늄은 반도체적 성질을 가지는 탄소족 원소 중의 하나로서, 게르마늄 이온(외곽전자)이 체내에 들어가 생명력을 높이는 작용을 하며, 체내에 들어가 각종 유해물질과 함께 몸 밖으로 배출되어 중독 및 부작용이 없다. 이러한 게르마늄은 혈액정화작용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폐암, 노이로제, 천식, 당뇨병, 고혈압증, 신부전, 신경통 등에서 놀라운 역할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진다.
토르말린, 백운모 등은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바이오세라믹을 구성하기 위한 조성물로 알려져 있으며, 자체적으로 원적외선을 다량 방출하는 것으로 알려진다.
발열패드(300)의 일단은 후술하는 전선부(500)와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예컨대, 전선부(500)의 일측 피복을 벗기고 전선부(500)의 심선을 발열패드(300) 일단의 발열섬유와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다.
이때, 전선부(500)가 접속된 발열패드의 일단을 제1 접착테이프(710)로 감싸서 마감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접착테이프(710)는 예컨대 절연성을 가진 고무 접착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접착테이프(710)는 발열패드(300)의 일단과 함께 전선부(500)를 감싸서 외부와 절연시키는 한편, 외관상 접속부(510, 도 4 참조)가 보이지 않게 마감 처리한다. 아울러, 발열패드(300)의 타단 역시 제2 접착테이프(720)로 감싸서 마감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수시트(400)는 발열패드(300) 전체와 전선부(500)의 일측을 포함하는 영역을 덮는다. 이때, 방수시트(400)는 열압착에 의해 내피(200)에 부착되며, 발열패드(300)는 방수시트(400)에 의해 위치가 고정된다. 발열패드(300)의 테두리 외측을 따라 방수시트(400)가 부착되므로, 발열패드(300)와 내피(200) 사이의 틈새가 방수시트(400)에 의해 밀봉되어, 이 틈새로 물이 스며드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방수시트(400)는 내피(200)에 부착되어 발열패드(300)가 내피(200)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으며, 다른 예로서, 발열패드(300)가 외피(100)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방수시트(400)가 외피(100)에 부착될 수도 있다. 발열패드(300)가 외피(100) 측에 밀착되는 경우에도 발열패드(300)와 외피(200)사이의 틈새가 방수시트(400)에 의해 밀봉되어 물이 스며드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참고로, 방수시트(400)는 외피(100) 또는 내피(200)에 고열의 자동프레스를 이용하여 열압착할 수 있다. 발열패드(300)의 양면이 방수 코팅되어 있고, 내수성이 강한 방수시트(400)가 발열패드(300)가 배치된 영역을 덮으면서 고밀도 접착되기 때문에, 물세탁에도 변함없는 발열 방한기능이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전선부(5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일측이 발열패드(300)의 일단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타측이 내피(200) 또는 외피(100)를 관통하여 내피(200) 또는 외피(100)에 구비되는 주머니(미도시) 속의 전원부(600)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전선부(500)는 전원부(600)로부터 공급되는 전기를 발열패드(30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일반적으로 전열에 사용되는 전선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전선부(500)는, 발열패드(300)의 일단을 지나서 발열패드(300)의 외측으로 연장된 후 일 방향(예컨대, 주머니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부(520)와, 절곡부(520)에서 연장되는 연장부(530)를 포함한다.
이때, 의류 사용시 전선부(500)의 유동 방지를 위해, 절곡부(520)와 연장부(530)의 일측이 핫멜트(800)에 의해 내피(200)의 외측면에 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절곡부(520)를 감싸도록 제3 접착테이프(730)가 부착되고, 이 제3 접착테이프(730)가 핫멜트(800)에 의해 내피(200)에 접착된다. 또한, 연장부(530)의 일측을 감싸도록 제4 접착테이프(740)가 부착되고, 핫멜트(800)에 의해 제4 접착테이프(740)가 내피(200)에 접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접착테이프(710~740)가 내피(200)와 방수시트(400) 사이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방수시트(400)의 열압착시 접착테이프(710~740)가 핫멜트(800)에 의해 방수시트(400)의 일면에 접착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부의 사시도이다.
전원부(600)는 발열패드(300)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발열패드(300)가 열을 발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내피(200) 또는 외피(100)의 주머니 속에 수납될 수 있다. 이러한 전원부(600)에는 전선부(500)의 타측이 커넥터로 결합될 수 있으며, 전선부(500)에 인가되는 전원을 조절할 수 있는 컨트롤러(미도시)가 내장될 수 있다. 컨트롤러는 전원부(600)의 외면에 형성되는 버튼(610)에 의해 조절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는 전원부(600)의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발열패드(300)를 원하는 온도로 조절하며 사용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발열패드가 구비되는 의류의 제작방법을 단계별로 보여주는 사진이며, 이하, 도 4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발열패드가 구비되는 의류의 제작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4 내지 도 11은 등판 부분의 내피(200)에 발열패드(300) 등이 부착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팔 등 나머지 내피 부분은 이후에 제봉될 수 있다. 물론, 등판 및 팔 등을 포함하여 내피(200)를 최종적인 형태로 먼저 제작한 후, 그 외측면에 발열패드(300) 등을 부착하는 순서로 진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피(200)의 외측면에 복수 개의 발열패드(300)를 배치한다. 이때 전선부(500)는 복수 개의 발열패드(300)를 지나서 연장되며, 발열패드(300)의 일단에서 각각의 발열패드(3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다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부(500)가 접속된 발열패드(300)의 일단을 고무 접착테이프인 제1 접착테이프(710)로 둘러싸서 절연 및 마감 처리한다. 이때, 발열패드(300)의 타단 역시 제2 접착테이프(720)로 둘러싸서 마감 처리한다.
전선부(500)는 복수 개로 배치된 발열패드(300)의 일단을 차례로 지나가게 되는데, 전선부(500)의 끝단이 전원부(600) 방향을 향하도록,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바깥쪽 발열패드(300)의 외측에서 전선부(500)를 소정 각도 절곡시킨다. 이어서, 전선부(500)의 절곡부(520)와 대응되는 내피(200)의 외측면에 핫멜트(800)를 접착하고, 핫멜트(800)와 절곡부(520) 사이에 제3-1 접착테이프(731)를 부착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1 접착테이프(731) 상에 제3-2 접착테이프(732)를 부착한다. 이때 절곡부(520)는 제3-1 접착테이프(731)와 제3-2 접착테이프(732)를 포함하는 제3 접착테이프(730)에 의해 감싸지고, 제3 접착테이프(730)는 핫멜트(800)에 의해 내피에 접착됨으로써, 절곡부(520)의 유동이 방지된다.
또한, 전선부(500)의 연장부(530) 유동 방지를 위해,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530)의 일측을 제4 접착테이프(740)로 감싸고, 이 제4 접착테이프(740)를 핫멜트(800)에 의해 내피(200)에 접착한다. 이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하고자 하는 연장부(530)의 일측과 대응되는 내피(200)의 외측면에 핫멜트(800)를 먼저 접착하고, 이어서 핫멜트(800)에 제4-1 접착테이프(741)를 부착한다. 이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530)를 감싸도록 제4-1 접착테이프(741) 상에 제4-2 접착테이프(742)를 부착한다.
다음으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열패드(300) 전체와 제4 접착테이프(740)를 포함하는 영역을 덮도록 방수시트(400)를 배치한다. 이때, 핫멜트(800)에 의해 접착테이프(710~740)를 방수시트(400)의 일면에 접착함으로써, 내피(200)와 방수시트(400) 사이에 접착테이프(710~740)가 견고히 고정되게 할 수 있다. 이 방수시트(400)는 고열의 자동프레스에 의해 열압착되어 내피(200)의 외측면에 고밀도로 접착된다.
전술한 과정을 거쳐,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열패드(300)와 전선부(500)가 내피(200)의 외측면에 견고히 고정되며, 복수 개의 발열패드(300) 배치 영역을 덮어서 방수시트(400)가 내피(200)에 접착됨에 따라, 내피(200)와 발열패드(300) 사이의 틈새로 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후에는, 내피(200)의 다른 부분을 제봉하여 최종적인 내피(200)의 형태를 형성하고, 이 내피(200)를 외피(100)의 내측에 제봉함으로써,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열패드가 구비되는 의류의 제작이 완료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 : 외피
200 : 내피
300 : 발열패드
400 : 방수시트
500 : 전선부
600 : 전원부
710 : 제1 접착테이프
720 : 제2 접착테이프
730 : 제3 접착테이프
740 : 제4 접착테이프
800 : 핫멜트

Claims (13)

  1. 내피와 외피를 포함하는 섬유제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일단에 전선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열패드를 준비하는 단계;
    (b) 내피 또는 외피의 일면에 상기 발열패드를 배치하는 단계;
    (c) 상기 전선부가 접속된 상기 발열패드의 일단을 접착테이프로 감싸서 마감처리하는 단계;
    (d) 상기 발열패드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상기 전선부의 일측을 접착테이프로 감싸고, 핫멜트에 의해 상기 내피 또는 외피의 일면에 부착하는 단계; 및
    (e) 상기 발열패드와 상기 접착테이프를 포함하는 영역에 열압착에 의해 방수시트를 부착하여 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열패드가 구비되는 섬유제품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전선부가 접속된 상기 발열패드의 일단을 제1 접착테이프로 감싸서 마감하는 단계와, (c-2) 상기 발열패드의 타단을 제2 접착테이프로 감싸서 마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패드가 구비되는 섬유제품의 제조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발열패드의 일측에서 절곡되는 상기 전선부의 절곡부가 제3 접착테이프로 감싸지고, 상기 절곡부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전선부의 연장부 일측이 제4 접착테이프로 감싸지며, 상기 제3 접착테이프와 상기 제4 접착테이프는 핫멜트에 의해 상기 내피 또는 외피의 일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패드가 구비되는 섬유제품의 제조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d-1) 상기 내피 또는 외피의 일면에서 상기 절곡부와 대응되는 영역에 핫멜트를 접착하고, 상기 절곡부와 상기 핫멜트 사이에 제3-1 접착테이프를 개재하며, 상기 절곡부를 감싸도록 상기 제3-1 접착테이프의 상측에 제3-2 접착테이프를 부착하는 단계와, (d-2) 상기 내피 또는 외피의 일면에서 상기 연장부의 일측과 대응되는 영역에 핫멜트를 접착하고, 상기 연장부와 상기 핫멜트 사이에 제4-1 접착테이프를 개재하며, 상기 연장부의 일측을 감싸도록 상기 제4-1 접착테이프의 상측에 제4-2 접착테이프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패드가 구비되는 섬유제품의 제조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e-1) 상기 제1 내지 제4 접착테이프와 상기 방수시트가 핫멜트에 의해 접착되는 단계와, (e-2) 열압착에 의해 상기 방수시트가 상기 내피 또는 외피의 일면에 접착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패드가 구비되는 섬유제품의 제조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40078413A 2014-06-25 2014-06-25 발열패드가 구비되는 섬유제품의 제조방법 KR101564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8413A KR101564950B1 (ko) 2014-06-25 2014-06-25 발열패드가 구비되는 섬유제품의 제조방법
CN201410326115.XA CN105192951A (zh) 2014-06-25 2014-07-10 具有加热垫的纺织品及其制造方法
RU2014128329/12A RU2589570C2 (ru) 2014-06-25 2014-07-10 Текстильное изделие с нагревательной накладкой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PCT/KR2015/005399 WO2015199338A1 (ko) 2014-06-25 2015-05-29 발열패드가 구비되는 섬유제품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8413A KR101564950B1 (ko) 2014-06-25 2014-06-25 발열패드가 구비되는 섬유제품의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3797A Division KR20160000877A (ko) 2015-07-22 2015-07-22 발열패드가 구비되는 섬유제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4950B1 true KR101564950B1 (ko) 2015-11-02

Family

ID=54599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8413A KR101564950B1 (ko) 2014-06-25 2014-06-25 발열패드가 구비되는 섬유제품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1564950B1 (ko)
CN (1) CN105192951A (ko)
RU (1) RU2589570C2 (ko)
WO (1) WO201519933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9974A (ko) 2017-10-31 2019-05-10 희성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발열 패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3044Y1 (ko) 2002-01-15 2002-04-20 주식회사 온돌산업 세탁이 가능한 방한용 전열 조끼
JP2003178859A (ja) 2001-12-12 2003-06-27 Sdk Kk シート状発熱体とこれを用いた携帯用電気暖房装置及び暖房衣服
KR100538829B1 (ko) 2005-09-05 2005-12-26 전경식 온열조끼용 발열부재
KR100538833B1 (ko) 2005-09-05 2005-12-26 전경식 레저용 조끼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9123U1 (ru) * 1998-07-03 1999-02-16 Шульженко Александр Анатольевич Одежда с электронагревательной тканью
US20040154076A1 (en) * 2003-02-06 2004-08-12 Yoo Jeasung Jay Garment and detachable garment liner having a secure and integrated pocket system
KR200323793Y1 (ko) * 2003-02-10 2003-08-19 김욱 세라믹종이발열체를 이용한 방한복
US20070098953A1 (en) * 2005-10-27 2007-05-03 Stabelfeldt Sara J Fastening systems utilizing combinations of mechanical fasteners and foams
RU72822U1 (ru) * 2007-12-13 2008-05-1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унитар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Центральны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точного машиностроения" (ФГУП "ЦНИИТОЧМАШ") Теплозащитная одежда с обогревом
CN201995603U (zh) * 2010-12-27 2011-10-05 陈雪琴 自发热变色冬装
RU2483493C2 (ru) * 2011-04-05 2013-05-27 Александр Николаевич Дубовой Электронагреватель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сотового нагревательного элемента для него
CN202179349U (zh) * 2011-07-27 2012-04-04 庄镇宏 一种具有加热作用的毯、垫或衣物结构
CN202979323U (zh) * 2012-12-13 2013-06-05 兄弟控股集团有限公司 新型碳纤维加热装置
CN103188833A (zh) * 2013-04-18 2013-07-03 宁波锦春电器有限公司 一种发热布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8859A (ja) 2001-12-12 2003-06-27 Sdk Kk シート状発熱体とこれを用いた携帯用電気暖房装置及び暖房衣服
KR200273044Y1 (ko) 2002-01-15 2002-04-20 주식회사 온돌산업 세탁이 가능한 방한용 전열 조끼
KR100538829B1 (ko) 2005-09-05 2005-12-26 전경식 온열조끼용 발열부재
KR100538833B1 (ko) 2005-09-05 2005-12-26 전경식 레저용 조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9974A (ko) 2017-10-31 2019-05-10 희성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발열 패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99338A1 (ko) 2015-12-30
RU2589570C2 (ru) 2016-07-10
RU2014128329A (ru) 2016-02-20
CN105192951A (zh) 2015-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535453B (en) Electric heating/warming fabric articles
KR200455836Y1 (ko) 다운재킷
KR100911881B1 (ko) 다운 삼출 방지를 위한 다운재킷의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다운재킷
TW201021729A (en) Stitch-free thermal insulation cloth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9505699A (ja) 加熱可能な衣服、そのような衣服用の布、および製作の方法
KR20160000877A (ko) 발열패드가 구비되는 섬유제품
KR101564950B1 (ko) 발열패드가 구비되는 섬유제품의 제조방법
KR101568673B1 (ko) 발열패드가 구비된 의류
CN206699547U (zh) 一种复合碳纤维丝多档位温度控制的发热鞋垫
JPH0561361B2 (ko)
KR200402130Y1 (ko) 직물지를 이용한 다목적 발열패드
JP2016030875A (ja) 衣服
CN207345166U (zh) 一种发热纤维纱保暖磨毛面料及服装
JP3177222U (ja) 衣類に縫い付ける加熱片構造
KR0128488Y1 (ko) 천연양모솜과 화학솜을 접합시킨 건강솜
CN206332864U (zh) 一种保暖产品加热元件
KR101489122B1 (ko) 원적외선 램프가 구비된 발열 목도리
CN217219900U (zh) 一种远红外发热保温外套
KR100468212B1 (ko) 건강발열의류 및 그 제조방법
KR102486831B1 (ko) 작업용 외투 제작방법
KR102416676B1 (ko) 발열 목도리
KR200291447Y1 (ko) 세탁이 가능한 제품의 전열구조
KR20130002938U (ko) 휴대용 난방침낭
KR100465101B1 (ko) 돌출주름문양이 배시된 가죽소재원단 및 의류
CN105734784B (zh) 碳纤维布料及利用其制作的汗蒸床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