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4884B1 - 슬러지 수집기의 체인파단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슬러지 수집기의 체인파단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4884B1
KR101564884B1 KR1020150077890A KR20150077890A KR101564884B1 KR 101564884 B1 KR101564884 B1 KR 101564884B1 KR 1020150077890 A KR1020150077890 A KR 1020150077890A KR 20150077890 A KR20150077890 A KR 20150077890A KR 101564884 B1 KR101564884 B1 KR 1015648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detection
bar
rotation
f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7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훈
양규택
Original Assignee
대구환경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환경공단 filed Critical 대구환경공단
Priority to KR1020150077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48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4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4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2Safety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30Control equip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Abstract

슬러지 수집기의 체인파단 검출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체인파단 검출장치는, 슬러지 수집기의 플라이트 상부에 위치하면서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배열된 다수 개의 감지센서와, 감지센서를 고정하는 센서고정브라켓과, 센서고정브라켓의 좌우 위치를 조정하는 좌우조정브라켓과, 좌우조정브라켓의 상하 높이를 조정하는 상하조절볼트를 포함하고, 감지센서는 수면 상에 위치하면서 2열 이상으로 배열된다.

Description

슬러지 수집기의 체인파단 검출장치{SLUDGE COLLECTOR FLIGHT MONITORING SYSTEM}
본 발명은 슬러지 수집기의 체인파단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슬러지는 하수 및 폐수 등에 포함되어 함께 이동하는데, 이와 같은 슬러지는 수질을 악화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슬러지는 하천으로 유입되기 이전에 슬러지 제거장치에 의해서 제거되는데, 일반적으로 침전 방식과 함께 슬러지를 제거하기 위한 약품이 부가적으로 투입된다. 슬러지 수집기는 이와 같이 하수 또는 폐수 처리장에서 슬러지를 수집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데, 2열의 체인을 같은 속도로 진행시켜 플라이트를 이용하여 슬러지를 한 쪽 방향으로 모으는 역할을 한다.
슬러지 수집기, 특히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에서 체인이 과도하게 처지거나 절단 또는 이물질이 투입되어 정상적인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이를 감지하는 것이 체인파단 검출장치이다.
도 1은 종래의 슬러지 수집기에 사용되는 체인파단 검출장치를 예시하는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종래의 체인파단 검출장치는, 체인(10)을 구동시키는 스프라켓휠(14)에 이동감지판(20)을 설치한 후 감지센서(22)에 대향되게 배치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동감지판(20)은 스프라켓휠(14)의 허브(16)에 지지대(18)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며 스프라켓휠(14)과 함께 회전한다. 체인파단 검출장치는 체인(10)이 정상적으로 진행되는지 또는 2열의 체인(10)이 같은 속도로 진행하는지를 감시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종래의 체인파단 검출장치는, 이동감지판(20) 및 감지센서(22)가 모두 수중에 위치하기 때문에 부품 단가가 높고 교환을 위해서는 침전지를 비워야 하는 불편함을 초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물 밖에 설치되어 설치 및 유지 관리가 용이한 체인파단 검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체인파단 검출장치는, 슬러지 수집기의 플라이트 상부에 위치하면서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배열된 다수 개의 감지센서와, 감지센서를 고정하는 센서고정브라켓과, 센서고정브라켓의 좌우 위치를 조정하는 좌우조정브라켓과, 좌우조정브라켓의 상하 높이를 조정하는 상하조절볼트를 포함하고, 감지센서는 수면 상에 위치하면서 2열 이상으로 배열된다.
본 발명에 따른 체인파단 검출장치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고정브라켓은 하나의 고정바에 결합되고, 고정바는 좌우조정브라켓에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체인파단 검출장치는, 슬러지 수집기에서 이동하는 플라이트와 접촉하여 회전하는 검출링크와, 검출링크의 회전에 의해서 이동하는 센서감지부재와, 센서감지부재의 이동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고, 감지센서는 수면 상에 위치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체인파단 검출장치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수 개의 검출링크는 고정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센서감지부재는 회전바에 결합되어 있으며, 검출링크의 회전에 의해서 회전바가 이동함으로써 센서감지부재가 감지센서에 접근할 수 있다.
검출링크는, 플라이트와 접촉하는 제1 링크와, 회전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 링크와, 고정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축을 구비할 수 있다.
고정바는 지지대에 결합되고, 지지대에는 감지센서가 결합될 수 있다.
고정바는, 좌우조정브라켓에 의해서 좌우 방향으로 위치 조정이 가능하고, 상하조절볼트에 의해서 상하 방향으로 위치 조정이 가능할 수 있다.
지지대에는 감지센서가 고정되는 센서고정브라켓이 결합되고, 센서고정브라켓은 감지센서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제1 슬롯 및 제2 슬롯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 슬롯 및 제2 슬롯은 상호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물 밖에 설치되어 설치 및 유지 관리가 용이한 체인파단 검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체인파단 검출장치에 대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체인파단 검출장치를 예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예시된 체인파단 검출장치를 예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체인파단 검출장치를 예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예시된 체인파단 검출장치를 예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예시된 체인파단 검출장치의 센서고정브라켓을 예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 예시된 체인파단 검출장치의 센서고정브라켓을 예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예시된 센서고정브라켓에 감지센서가 고정된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4에서 플라이트의 이동에 의해서 검출링크가 회전하여 회전바가 상승한 상태를 예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상태에 대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3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체인파단 검출장치(1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체인파단 검출장치(100)를 예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예시된 체인파단 검출장치(100)를 예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체인파단 검출장치(100)는 슬러지 수집기에서 2열로 배열된 체인(150)의 파단 또는 처짐 등과 같은 이상 여부 여부를 판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체인파단 검출장치(100)는, 슬러지 수집기의 플라이트(160) 상부에 위치하면서 2열로 배열되어 일정한 배열 간격을 갖는 다수 개의 감지센서(130)와, 감지센서(130)를 고정하는 센서고정브라켓(122)과, 센서고정브라켓(122)의 좌우 위치를 조정하는 좌우조정브라켓(120)과, 좌우조정브라켓(120)의 상하 높이를 조정하는 상하조절볼트(112)를 포함한다. 그리고 감지센서(130)는 물밖에 위치하면서 2열 이상으로 배열되어 체인(150)의 파단을 검출한다.
슬러지 수집기는 2열로 배열된 체인(150) 상부에 하나의 플라이트(160)가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다. 플라이트(160)의 일부는 수중에 위치하고 상단부는 물 밖에 위치한다. 구동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체인(150)이 이동하면 플라이트(160)도 함께 이동하면서 슬러지를 이송시킨다. 플라이트(160) 사이의 간격은 장치의 사용 조건 등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3m 이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플라이트(160)의 상부에는 감지센서(130)가 일정한 간격을 가지가 다수 개가 배열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체인파단 검출장치(100)는 도 2와 같이 2열 이상으로 배치된 감지센서(130)들을 구비한다. 도 2를 참고하면, 일렬의 감지센서(130)들은 각각의 체인(150) 상부에서 좌우가 동일하게 위치에 위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지지대(110)는 슬러지 수집기가 위치하는 하수 또는 폐수 처리장의 벽면 등에 고정되는 것으로 고정바(132)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을 참고하면, 고정바(132)는 두 개의 지지대(110)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지지대(110)의 하단부에는 상하조절볼트(112)가 체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하조절볼트(112)에는 좌우조정브라켓(120)이 결합되어 있고, 좌우조절브라켓(120)의 단부에 고정바(132)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지지대(110)에 대한 상하조절볼트(112)의 체결 정도를 조정함으로써 지지대(110)와 고정바(132)의 수직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하조절볼트(112)에 대한 좌우조정브라켓(120)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도 3에서 고정바(132)를 수평 방향으로 위치 조정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고정바(132)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센서고정브라켓(122)이 결합되어 있다. 센서고정브라켓(122)은 ㄴ 형상을 갖고 하단에는 감지센서(130)가 결합되어 있다. 감지센서(130)는 플라이트(160)의 상단부에서 일정한 간격(예를 들면, 2~3cm)을 가지고 위치하고 있다. 센서고정브라켓(122)의 상단부는 고정바(132)에 용접 등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다.
2열로 배열된 감지센서(130)는 플라이트(160)의 접근 및 이탈을 감지함으로써, 2열의 체인 중 어느 하나의 파단 또는 전체 파단 등과 같은 체인(150)의 이상 유무를 탐지한다. 즉, 제1 열에 위치한 감지센서(130)가 플라이트(160)의 접근을 인식하지만, 제2 열에 위치한 감지센서(130)가 플라이트(160)의 접근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 제2 열의 체인(150)이 파단된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제1, 2열 감지센서(130) 모두가 플라이트(160)의 접근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 제1, 2열의 체인(150)이 모두 파단된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체인파단 검출장치(100)는,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다수 개의 감지센서(130)가 모두 수면 상에 위치하기 때문에 설치 및 유지 관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플라이트(160)에 대한 감지센서(130)의 위치는 상하조절볼트(112) 및 좌우조정브라켓(120에 의해서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플라이트(160)에 대한 감지센서(130)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체인파단 검출장치(100)는, 플라이트(160)와 플라이트(160) 사이의 거리를 n(2 이상의 자연수) 등분한 간격으로 감지센서(130)가 배열됨을 알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체인파단 검출장치(100)는 플라이트(160) 사이의 거리를 5등분한 간격을 가지고 5개의 감지센서(130)가 배열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라이트(160) 사이에 감지센서(130)를 다수 개 배열함으로써 체인(150)의 파단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된다.
플라이트(160)의 상부에는 금속부재(162)가 구비될 수 있다. 금속부재(162)는 플라이트(160)의 상단부를 보호하면서 감지센서(130)의 인식율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플라이트(160)의 폭은 2열로 배치된 감지센서(130) 사이의 간격을 모두 커버할 수 있을 정도로 형성된다.
감지센서(130)는 근접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 등과 같이 플라이트(160)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도 무방하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8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체인파단 검출장치(2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체인파단 검출장치(200)를 예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예시된 체인파단 검출장치(200)를 예시하는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6 내지 도 8은 각각 도 4에 예시된 체인파단 검출장치(200)의 센서고정브라켓(250)을 예시하는 정면도, 평면도 그리고 감지센서(260)가 고정된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체인파단 검출장치(200)는, 체인(150) 상에 고정되어 위치 이동하는 플라이트(160)와 접촉함으로써 검출링크(230)가 회전하고, 검출링크(230)의 회전에 연동하여 그 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회전바(240)가 상승한다. 그리고 회전바(240)의 상승에 의해서 센서감지부재(244)가 상승하여 감지센서(260)에 근접하는데, 감지센서(260)에 대한 센서감지부재(244)의 근접 여부에 의해서 체인(150)의 파단 유무가 판단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체인파단 검출장치(200)는 감지센서(260)가 수면 상에 위치하기 때문에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플라이트(160)와 감지센서(260) 사이에 다수 개의 검출링크(230)를 배치하고, 다수 개의 검출링크(230)는 하나의 회전바(24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감지센서(260)의 수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지지대(210)는 슬러지 수집기가 위치하는 하수 또는 폐수 처리장의 벽면 등에 고정되는 것으로 고정바(22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5를 참고하면, 고정바(220)는 두 개의 지지대(210)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지지대(210)의 하단부에는 상하조절볼트(212)가 체결되어 있고, 상하조절볼트(212)에는 좌우조정브라켓(214)이 결합되어 있다. 상하조절볼트(212)에 의해서 좌우조정브라켓(214)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하조절볼트(212)에 대한 좌우조정브라켓(214)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도 5에서 고정바(220)를 수평 방향으로 위치 조정할 수 있다.
고정바(220)는 좌우조정브라켓(214) 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하나의 긴 바(bar)에 해당한다. 도 4를 참고하면, 두 개의 지지대(210)에 의해서 하나의 고정바(210)가 수평으로 지지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고정바(220)에는 다수 개의 검출링크(230)가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회전하지 않는 고정부(220)는 검출링크(230)의 회전 중심에 해당한다. 검출링크(230)는 고정볼트(222)에 의해서 고정바(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검출링크(230)는 슬러지 수집기에서 이동하는 플라이트(160)와 접촉하여 회전하면서 센서감지부재(244)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센서감지부재(244)가 감지센서(260)에 근접함으로써 체인(150)의 파단이 발생하지 않았음을 파악할 수 있다. 검출링크(230)는 고정바(2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으로, 대체적으로 ㄱ 형상을 갖고 금속에 의해 제작된다.
검출링크(230)는 제1 링크(232), 회전축(234) 및 제2 링크(236)을 구비한다.
제1 링크(232)는 플라이트(160)와 접촉하는 것으로, 도 4를 참고하면 제1 링크(232)의 하단부는 이동하는 플라이트(160)와 접촉함을 알 수 있다. 제1 링크(232)가 플라이트(160)와 접촉함으로써 검출링크(230)가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제1 링크(232)의 하단부에서 플라이트(160)와 접촉하는 부분에는, 금속 등에 의해 형성되어 제1 링크(232)를 보호하는 접촉부재(233)가 구비되어 있다.
회전축(234)은 제1 링크(232) 및 제2 링크(236)을 연결하는 것으로, 고정바(2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회전축(234)에 의해서 검출링크(230)는 고정부(2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링크(232) 및 제2 링크(236)는 회전축(234)에 회전 가능하지 않게 결합한다. 이로 인해, 검출링크(230)는 전체가 하나로서 회전한다.
제2 링크(236)의 일단부는 회전축(234)에 회전이 가능하지 않게 결합되어 있고 타단부는 회전바(2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2 링크(236)는 고정바(220)와 회전바(240)를 상호 연결하면서, 검출링크(230)의 회전에 의해서 회전바(240)가 작동되도록 한다. 도 4를 참고하면, 플라이트(160)가 이동하면서 어느 하나의 검출링크(230)와 접촉하여 회전시키면, 검출링크(230)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바(240)가 상향 이동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센서감지부재(244)가 감지센서(260)에 근접하게 된다.
검출링크(230)는 플라이트(160)와 플라이트(160) 사이 간격을 n(n은 2 이상의 자연수) 등분한 수만큼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검출링크(230)는 플라이트(160) 사이를 5등분하여 5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검출링크(230) 사이의 간격을 플라이트(160)의 간격에 비해서 작게 함으로써, 체인(150)의 파단 여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다수 개의 제2 링크(236) 상단부에는 회전바(24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5개의 제2 링크(236)의 상단부에 하나의 회전바(24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하나의 검출링크(230)가 회전을 하면, 이에 연동하여 회전바(240)가 상승하게 된다. 회전바(240)에는 센서감지부재(244)가 구비되어 있어서, 회전바(240)의 상승에 의해서 센서감지부재(244)가 감지센서(260)에 근접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센서파단 검출장치(200)는 하나의 회전바(240)에 하나의 센서감지부재(244)를 구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센서감지부재(244)는 회전바(240)의 상부에 볼트(도면부호 없음) 등에 의해 결합할 수 있으며, 인식율을 높이기 위해서 금속 재질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감지센서(260)는 센서고정브라켓(250)에 의해서 지지대(210)에서 고정바(220) 및 회전바(240)의 상부에 위치한다. 도 6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센서고정브라켓(250)은 ㄴ 형상을 갖는 것으로 수직으로 절곡된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센서고정브라켓(250)은 제1 슬롯(252)을 구비하는데, 이로 인해 도 5를 참고하면 감지센서(260)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센서고정브라켓(250)은 제2 슬롯(254)을 구비하는데, 이로 인해 도 5를 참고하면 감지센서(260)가 지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센서고정브라켓(250)에 의해서 위치 고정된 감지센서(260)는 센서감지부재(244)의 접근 및 이격을 감지하여 플라이트(160)가 이동하고 있는지 그리고 이동하는 경우 체인(150)에 수직하게 이동하고 있는지를 파악한다. 감지센서(260)는 근접 센서 또는 접촉 센서 등에 해당할 수 있으며, 센서감지부재(244)의 이동 또는 접촉 등을 인식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감지센서(260)는 수면에서 일정한 높이를 가지고 상부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체인파단 검출장치(200)는 2열로 배열된 한 쌍의 감지센서(260)를 구비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 절감은 물론 설치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 그리고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면서, 제2 실시예에 따른 센서파단 검출장치(200)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도 4에서 플라이트(160)의 이동에 의해서 검출링크(230)가 회전하여 회전바(240)가 상승한 상태를 예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플라이트(150)가 검출링크(230)와 접촉하기 이전에는, 회전바(240)가 상승하지 않고 고정바(220)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회전바(240)가 상승하지 않았기 때문에 센서감지부재(244)는 감지센서(260)에서 최대로 이격된 상태에 있는데, 이로 인해 감지센서(260)는 플라이트(160)가 통과하지 않는 것으로 파악한다.
감지센서(260)가 시간 t 동안 플라이트(160)가 통과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하면, 체인(150)의 일부 또는 전부가 파단된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시간 t는 플라이트(160) 사이의 간격, 검출링크(230)의 배치 간격 및 개수 그리고 체인(150)의 이동 속도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면, 플라이트(160)가 이동하여 검출링크(230)와 접촉함으로써 검출링크(230)가 회전(도 9에서는 시계 방향)하는데, 이로 인해 회전바(240)도 함께 회전하여 상승하게 된다. 회전바(240)의 상승에 의해서 회전바(240)에 결합되어 있는 센서감지부재(244)도 회전 상승하여 감지센서(260)에 근접하게 된다. 센서감지부재(244)가 감지센서(260)에 근접하는 경우, 플라이트(160)의 정상적인 이동 및 체인(150)이 파단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체인파단 검출장치(200)도 제1 실시예에 따른 체인파단 검출장치(100)와 유사하게 검출링크(230)가 2열로 배치된다. 따라서 제2 실시예에 따른 체인파단 검출장치(200)는 고정바(220), 회전바(240) 및 감지센서(260)가 각각 두 개씩 구비될 수 있다.
2열로 배열된 감지센서(260)는 플라이트(160)의 접근 및 이탈을 감지함으로써, 2열의 체인 중 어느 하나의 파단 또는 전체 파단 등과 같은 체인(150)의 이상 유무를 탐지한다. 즉, 제1 열에 위치한 감지센서(260)가 플라이트(160)의 접근을 인식하지만, 제2 열에 위치한 감지센서(260)가 플라이트(160)의 접근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 제2 열의 체인(150)이 파단된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제1, 2열 감지센서(260) 모두가 플라이트(160)의 접근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 제1, 2열의 체인(150)이 모두 파손된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하나의 플라이트(160)가 하나의 검출링크(230)를 통과하고 시간 t가 경과한 후 인접하는 다른 검출링크(230)를 통과하는데, 시간 t 경과 이후에도 검출링크(230)를 통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체인(150)이 파단된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플라이트(160)가 검출링크(230)를 통과하면, 검출링크(230) 및 고정바(220)의 중량에 의해서 회전하여 도 4 및 도 5와 같은 상태로 자동 복귀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200: 체인파단 검출장치
110, 210: 지지대
120: 좌우조정브라켓
122, 250: 센서고정브라켓
130, 260: 감지센서
150: 체인
160: 플라이트
220: 고정바
230: 검출링크
240: 회전바

Claims (8)

  1. 슬러지 수집기에서 이동하는 플라이트와 접촉하여 회전하는 검출링크;
    상기 검출링크의 회전에 의해서 이동하는 센서감지부재; 및
    상기 센서감지부재의 이동을 감지하고 수면 상에 위치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고,
    다수 개의 상기 검출링크는 고정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센서감지부재는 회전바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검출링크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회전바가 이동함으로써 상기 센서감지부재가 상기 감지센서에 접근하고,
    상기 검출링크는, 플라이트와 접촉하는 제1 링크와, 상기 회전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 링크와, 상기 고정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축을 구비하는 체인파단 검출장치.
  2. 슬러지 수집기에서 이동하는 플라이트와 접촉하여 회전하는 검출링크;
    상기 검출링크의 회전에 의해서 이동하는 센서감지부재; 및
    상기 센서감지부재의 이동을 감지하고 수면 상에 위치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고,
    다수 개의 상기 검출링크는 고정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센서감지부재는 회전바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검출링크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회전바가 이동함으로써 상기 센서감지부재가 상기 감지센서에 접근하고,
    상기 고정바는 지지대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대에는 상기 감지센서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바는, 좌우조정브라켓에 의해서 좌우 방향으로 위치 조정이 가능하고, 상하조절볼트에 의해서 상하 방향으로 위치 조정이 가능한 체인파단 검출장치.
  3. 슬러지 수집기에서 이동하는 플라이트와 접촉하여 회전하는 검출링크;
    상기 검출링크의 회전에 의해서 이동하는 센서감지부재; 및
    상기 센서감지부재의 이동을 감지하고 수면 상에 위치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고,
    다수 개의 상기 검출링크는 고정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센서감지부재는 회전바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검출링크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회전바가 이동함으로써 상기 센서감지부재가 상기 감지센서에 접근하고,
    상기 고정바는 지지대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대에는 상기 감지센서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대에는 상기 감지센서가 고정되는 센서고정브라켓이 결합되고,
    상기 센서고정브라켓은 상기 감지센서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제1 슬롯 및 제2 슬롯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슬롯 및 제2 슬롯은 상호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는 체인파단 검출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50077890A 2015-06-02 2015-06-02 슬러지 수집기의 체인파단 검출장치 KR1015648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890A KR101564884B1 (ko) 2015-06-02 2015-06-02 슬러지 수집기의 체인파단 검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890A KR101564884B1 (ko) 2015-06-02 2015-06-02 슬러지 수집기의 체인파단 검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4884B1 true KR101564884B1 (ko) 2015-10-30

Family

ID=54431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7890A KR101564884B1 (ko) 2015-06-02 2015-06-02 슬러지 수집기의 체인파단 검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488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6019Y1 (ko) * 1997-02-25 1999-10-01 오경균 하수/폐수처리기의 체인플라이트 이상감지장치
JP2013209869A (ja) 2012-03-30 2013-10-10 Jong Sung Kim 建築外装材取付用固定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6019Y1 (ko) * 1997-02-25 1999-10-01 오경균 하수/폐수처리기의 체인플라이트 이상감지장치
JP2013209869A (ja) 2012-03-30 2013-10-10 Jong Sung Kim 建築外装材取付用固定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6744B1 (ko) 자체 구동식 배전선 점검용 로봇의 이동장치
CN105817701A (zh) 全自动管材切割装置
KR100785285B1 (ko) 코일 선단부 위치 조정장치
KR101564884B1 (ko) 슬러지 수집기의 체인파단 검출장치
JP6243989B2 (ja) 焼成炉
KR101490369B1 (ko) 수처리 설비용 슬러지 수집기의 체인 이상 검출장치
CN102528441A (zh) 轮圈检测校正装置及其校正方法
CN113264319B (zh) 板件输送系统
CN210594159U (zh) 一种放料装置
US5924271A (en) System for picking cabbages
CN211291763U (zh) 一种信号处理板工作温度检测装置
KR101264639B1 (ko) 롤러축 안전장치
CN210028878U (zh) 火锅锅具锅型识别装置
CN218753198U (zh) 载盘运载及定位装置
KR101007557B1 (ko) 운전중 정비가 가능한 컨베이어
KR101204434B1 (ko) 캐리어 벨트 손상 검출 장치
US9687006B1 (en) Loin back-rib auto-saw
CN212150418U (zh) 陶瓷瓷砖走位控制装置
CN219216428U (zh) 一种具有掉落防护性能的输送机
KR20140017074A (ko) 선박용 대형 판재 이송용 보조 롤러 장치
CN118372386B (zh) 一种单晶硅棒上料装置及切段系统
CN210029034U (zh) 跑偏自停机式瓷砖倾斜输送机
KR20040051772A (ko) 벨트컨베이어의 이송롤 파손감지 및 롤분리 장치
CN212674066U (zh) 自动检测带束层供料方向及宽度的装置
KR200317471Y1 (ko) 상하수 처리기의 체인 이상 감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