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4766B1 - 낚시용 물고기 집게 - Google Patents

낚시용 물고기 집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4766B1
KR101564766B1 KR1020130121595A KR20130121595A KR101564766B1 KR 101564766 B1 KR101564766 B1 KR 101564766B1 KR 1020130121595 A KR1020130121595 A KR 1020130121595A KR 20130121595 A KR20130121595 A KR 20130121595A KR 101564766 B1 KR101564766 B1 KR 101564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operating
groove
trigger
f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1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2655A (ko
Inventor
이수진
Original Assignee
이수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진 filed Critical 이수진
Priority to KR1020130121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4766B1/ko
Publication of KR20150042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2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4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4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시용 물고기 집게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이 간편하면서도 강력한 파지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구성이 간단하여 염가에 제작 보급할 수 있는 권총 타입으로 구성되는 낚시용 물고기 집게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후방 하측으로 파지부가 형성되도록 전후 양분되는 케이스부재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는 몸체와; 상기 케이스부재의 내부에 마주보도록 수평방향으로 형성한 작동홈과; 상기 작동홈에 결합되며, 몸체의 파지부 전방으로 노출되는 방아쇠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케이스부재에 형성된 방아쇠작동공으로 노출되는 작동구와; 후단이 작동홈 후단의 몸체에 형성된 고정홈에 결합된 상태로 작동구에 끼움되는 작동안내핀과; 상기 작동안내핀에 개재되어 작동구를 탄성 지지하는 압축스프링과; 상기 몸체의 선단 상하측에 설치되며 물고기 내입홈의 선단에 파지돌기가 형성된 상부핑거 및 하부핑거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핑거는 몸체에 2개의 핀으로 고정되며, 하부핑거는 몸체에 하나의 핀으로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하부핑거에는 하부핑거를 고정하는 핀의 아래쪽으로
Figure 112013092219797-pat00005
형의 작동장공이 형성된 회동작동부를 형성하여 작동구의 선단에 형성된 결합홈에 삽입하고, 작동장공을 통과하도록 작동구의 선단에 작동핀을 결합하며, 상기 회동작동부와 몸체 사이에는 몸체에 일단이 고정되는 토션스프링을 개재한 것이다.

Description

낚시용 물고기 집게{Fish tongs for fishing}
본 발명은 낚시용 물고기 집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이 간편하면서도 강력한 파지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구성이 간단하여 염가에 제작 보급할 수 있는 권총 타입으로 구성되는 낚시용 물고기 집게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낚시를 할 때 포획한 어류에서 낚시바늘을 빼는 작업, 살림통에 어류를 넣는 작업 등을 할 때 어류를 안전하게 클램핑하기 위한 수단으로 낚시용 물고기 집게가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낚시용 물고기 집게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Y1)20-0431717호(2006.11.24.)의 분리형 물고기 집게, 20-0260448호(2002.01.10.)의 물고기 집게의 교차형 물림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고(A)10-2010-0135407호(2010.12.27.)의 자석이 구비된 집게 등 다양한 구성의 것들이 제공되고 있다.
상기한 집게들은 대부분 가위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핑거 사이에 물고기가 내입되면 손가락 힘으로 물고기를 잡아야 하는 구성으로 물고기를 잡고 있는데 많은 힘을 필요로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던 것으로, 업계에서는 포획한 물고기를 간편하고 확실하게 클램핑 할 수 있는 신규한 구성의 물고기 집게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었다.
KR 200431717 Y1 2006.11.24. KR 200260448 Y1 2002.01.10. KR 1020100135407 A 2010.12.27.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한 종래 낚시용 물고기 집게가 갖는 제반 문제점을 일소코자 본 발명을 연구 개발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사용이 간편하면서도 강력한 파지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구성이 간단하여 염가에 제작 보급할 수 있는 권총 타입으로 구성되는 낚시용 물고기 집게를 제공함에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과제 해결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후방 하측으로 파지부가 형성되도록 전후 양분되는 케이스부재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는 몸체와; 상기 케이스부재의 내부에 마주보도록 수평방향으로 형성한 작동홈과; 상기 작동홈에 결합되며, 몸체의 파지부 전방으로 노출되는 방아쇠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케이스부재에 형성된 방아쇠작동공으로 노출되는 작동구와; 후단이 작동홈 후단의 몸체에 형성된 고정홈에 결합된 상태로 작동구에 끼움되는 작동안내핀과; 상기 작동안내핀에 개재되어 작동구를 탄성 지지하는 압축스프링과; 상기 몸체의 선단 상하측에 설치되며 물고기 내입홈의 선단에 파지돌기가 형성된 상부핑거 및 하부핑거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핑거는 몸체에 2개의 핀으로 고정되고, 하부핑거는 몸체에 하나의 핀으로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하부핑거에는 하부핑거를 고정하는 핀의 아래쪽으로
Figure 112013092219797-pat00001
형의 작동장공이 형성된 회동작동부를 형성하여 작동구의 선단에 형성된 결합홈에 삽입하고, 작동장공을 통과하도록 작동구의 선단에 작동핀을 결합하며, 상기 회동작동부와 몸체 사이에는 몸체에 일단이 고정되는 토션스프링을 개재하여 하부핑거가 상부핑거 쪽으로 가압력이 제공되게 구성하였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낚시용 물고기 집게를 사용할 경우 방아쇠를 당기는 수고로움으로 하부핑거를 회동시켜 물고기를 쉽게 파지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이 간편하면서도 하부핑거의 후방에 형성된 회동작동부를 토션스프링이 강하게 지지하는 구성으로 강력한 파지력을 제공하여 파지한 물고기의 요동에 의해 파지력을 상실하는 등의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으며, 구성이 간단하여 염가에 제작 보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낚시용 물고기 집게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낚시용 물고기 집게에서 일측 케이스부재를 분리한 상태 정면도로서 하부핑거가 회동하기 전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낚시용 물고기 집게에서 일측 케이스부재를 분리한 상태 정면도로서 하부핑거가 회동한 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낚시용 물고기 집게의 실시례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낚시용 물고기 집게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4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낚시용 물고기 집게에서 일측 케이스부재를 분리한 상태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낚시용 물고기 집게(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외형이 마치 권총과 같이 형성되는 것으로, 전방으로 상부핑거(10)와 하부핑거(11)를 집게형으로 구비하고, 후방으로 파지부(3)가 형성되며, 파지부(3)의 전방으로는 하부핑거(11)를 회동시킬 때 사용하는 방아쇠(6a)가 몸체(2)의 외부로 노출되는 외형을 갖는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후방 하측으로 파지부(3)가 형성되도록 전후 양분되는 케이스부재(2a)(2b)를 조합하여 몸체(2)를 구성하며, 양측 케이스부재(2a)(2b)는 대칭형상을 가지며, 여러개의 피스(4)에 의해 상호 일체형으로 조립되도록 구성한다.
몸체(2)를 구성하는 케이스부재(2a)(2b)의 내부에는 수평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작동홈(5)을 형성하고, 작동홈(5)에는 하측으로 방아쇠(6a)가 일체 형성되어 케이스부재(2a)(2b)에 형성된 방아쇠작동공(2c)으로 노출되는 작동구(6)를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한다.
상기 작동구(6)의 선단에는 결합홈(6b)을 형성하며, 작동구(6)의 후단에는 핀결합공(6c)을 형성한다. 핀결합공(6c)에는 케이스부재(2a)(2b)에 형성된 작동홈(5)의 후방으로 형성되어 있는 고정홈(7)에 헤드(8a)가 끼워져 고정되는 작동안내핀(8)을 삽입하고, 작동구(6)의 후방과 고정홈 사이에 노출되어 있는 작동안내핀(8)에는 압축스프링(9)을 개재하여 작동구(6)를 탄성지지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구성은 작동구(6)에 일체 형성되는 방아쇠(6a)를 파지부(3)쪽으로 당길 때 작동구(6)가 후퇴하면서 압축스프링(9)을 압축하고, 방아쇠(6a)를 놓으면 압축스프링(9)이 팽창하면서 작동구(6)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작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몸체(2)의 선단 상하측에는 물고기를 파지할 수 있도록 상부핑거(10)와 하부핑거(11)를 서로 대칭되도록 설치한다.
상부핑거(10)와 하부핑거(11)는 만곡형으로 서로 마주보는 물고기내입홈(10a)(11a)이 형성되며, 물고기내입홈(10a)(11a)의 선단에는 서로 끝단이 만나는 파지돌기(10b)(11b)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핑거(10)와 몸체(2)의 결합은 2개의 핀(12)에 의해 몸체(2)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핑거(11)와 몸체(2)의 결합은 하나의 핀(13)으로 결합되어 핀(13)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게 한다.
상기 하부핑거(11)에는 하부핑거(11)를 고정하는 핀(13)의 아래쪽으로
Figure 112013092219797-pat00002
형의 작동장공(14a)이 형성된 회동작동부(14)를 형성한다. 회동작동부(14)는 상기 작동구(6)의 선단에 형성된 결합홈(6b)에 삽입하고, 작동구(6)와 회동작동부(14)는 작동장공(14a)을 통과하도록 결합되는 작동핀(15)에 의해 조립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회동작동부(14)와 몸체(2) 사이에는 몸체(2)에 일단이 고정되는 토션스프링(16)을 개재하여 하부핑거(11)을 상부핑거(10) 쪽으로 가압하여 파지력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이 하부핑거(11)와 작동구(6)를 구성할 경우 작동구(6)가 후퇴할
Figure 112013092219797-pat00003
형의 작동장공(14a)에 위치하는 작동핀(15)이 작동구(6)와 함께 이동되는데, 이때 작동핀(15)이 작동장공(14a)의 경사진 부분 쪽으로 이동하고, 하부핑거(11)는 몸체(2)와 고정되는 핀(13)을 중심으로 하향 회동이 이루어지며 토션스프링(16)은 회동작동부(14)에 의해 가압되면서 탄성력을 갖게 된다. 이 상태에서 작동구(6)가 전진하게 되면 토션스프링(16)의 강한 탄성력이 작용하여 하부핑거(11)를 상부핑거(10) 쪽으로 가압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부핑거(10)와 하부핑거(11)를 이용하여 물고기를 파지한 상태에서 물고기가 움직일 때 순간적으로 압축스프링(9)의 탄성력보다 큰 힘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하부핑거(11)의 작동장공(14a)에서 작동구(6)에 결합되어 있는 작동핀(15)이 후퇴되면서 파지력을 상실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하부핑거(11)의 후방에 형성된 회동작동부(14)가 토션스프링(16)에 의해 재차 지지되는 구성이어서 상기와 같은 물고기의 움직임에 의해 하부핑거(11)가 회동되는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낚시용 물고기 집게(1)를 사용할 경우 방아쇠(6a)를 당기는 수고로움으로 하부핑거(11)를 회동시켜 물고기를 쉽게 파지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하부핑거(11)에 작동구(6)를 복원시키는 압축스프링(9)의 탄성력과 회동작동부(14)를 지지하고 있는 토션스프링(16)의 탄성력이 함께 작용되는 것으로 물고기를 확실하게 파지할 수 있는 기능성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례에 관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낚시용 물고기 집게 2:몸체
2a,2b:케이스부재 2c:방아쇠작동공
3:파지부 4:피스
5:작동홈 6:작동구
6a:방아쇠 6b:결합홈
6c:핀결합공 7:고정홈
8:작동안내핀 8a:헤드
9:압축스프링 10:상부핑거
10a,11a:물고기내입홈 10b,11b:파지돌기
11:하부핑거 12,13:핀
14:회동작동부 14a:작동장공
15:작동핀 16:토션스프링

Claims (1)

  1. 후방 하측으로 파지부(3)가 형성되도록 전후 양분되는 케이스부재(2a)(2b)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는 몸체(2)와;
    케이스부재(2a)(2b)의 내부에 마주보게 수평방향으로 형성한 작동홈(5)과;
    작동홈(5)에 결합되며, 케이스부재(2a)(2b)에 형성된 방아쇠작동공(2c)을 통해 파지부(3) 전방으로 노출되는 방아쇠(6a)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작동구(6)와;
    후단이 작동홈(5) 후단의 몸체(2)에 형성된 고정홈((7)에 결합된 상태로 작동구(6)에 끼움되는 작동안내핀(8)과;
    상기 작동안내핀(8)에 개재되어 작동구(6)를 탄성 지지하는 압축스프링(9)과;
    상기 몸체(2)의 선단 상하측에 설치되며 물고기내입홈(10a)(11a)의 선단에 파지돌기(10b)(11b)가 형성된 상부핑거(10) 및 하부핑거(11)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핑거(10)는 몸체(2)에 2개의 핀(12)으로 고정되고, 하부핑거(11)는 몸체(2)에 하나의 핀(13)으로 회동 가능하게 고정한 낚시용 물고기 집게(1)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상부핑거(10)와 하부핑거(11)는 만곡형으로 서로 마주보는 물고기내입홈(10a)(11a)이 형성되고, 물고기내입홈(10a)(11a)의 선단에는 서로 끝단이 만나는 파지돌기(10b)(11b)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핑거(11)에는 하부핑거(11)를 고정하는 핀(13)의 아래쪽으로
    Figure 112015084535690-pat00010
    형의 작동장공(14a)이 형성된 회동작동부(14)를 형성하여 작동구(6)의 선단에 형성된 결합홈(6b)에 삽입하고, 작동장공(14a)을 통과하도록 작동구(6)의 선단에 작동핀(15)을 결합하며, 상기 회동작동부(14)와 몸체(2) 사이에는 몸체(2)에 일단이 고정되는 토션스프링(16)을 개재하여 하부핑거(11)가 상부핑거(10) 쪽으로 가압력이 제공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물고기 집게.
KR1020130121595A 2013-10-11 2013-10-11 낚시용 물고기 집게 KR101564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1595A KR101564766B1 (ko) 2013-10-11 2013-10-11 낚시용 물고기 집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1595A KR101564766B1 (ko) 2013-10-11 2013-10-11 낚시용 물고기 집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2655A KR20150042655A (ko) 2015-04-21
KR101564766B1 true KR101564766B1 (ko) 2015-11-02

Family

ID=53035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1595A KR101564766B1 (ko) 2013-10-11 2013-10-11 낚시용 물고기 집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47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991U (ko) 2017-02-06 2018-04-09 이수진 어류 파지용 집게
KR20180003076U (ko) 2017-04-17 2018-10-26 이수진 바늘빼기 케이스 부착형 집게 케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034Y1 (ko) * 2019-10-08 2020-07-23 한종환 낚시용 집게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4118A (ja) 2005-01-25 2006-08-10 Takashi Otsuka 魚掴み器
JP2008283915A (ja) 2007-05-18 2008-11-27 Takashi Otsuka 魚掴み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4118A (ja) 2005-01-25 2006-08-10 Takashi Otsuka 魚掴み器
JP2008283915A (ja) 2007-05-18 2008-11-27 Takashi Otsuka 魚掴み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991U (ko) 2017-02-06 2018-04-09 이수진 어류 파지용 집게
KR20180003076U (ko) 2017-04-17 2018-10-26 이수진 바늘빼기 케이스 부착형 집게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2655A (ko) 2015-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146015A (en) Material handling implement
KR101564766B1 (ko) 낚시용 물고기 집게
US2810194A (en) Knife
US9511500B2 (en) Cutting tool
US9737904B2 (en) Caulking gun
US8276485B1 (en) Pivot head wrenching tool
ES2886666T3 (es) Herramienta de alcance y agarre con cabezales de agarre mejorados
CN210130893U (zh) 一种腹腔镜手术钳
US20140215834A1 (en) Multifunctional Pruning Shears for One Step Cutting and Step by Step Cutting
TW202039159A (zh) 萬能鉗
CN106312870B (zh) 控制方便的自动装夹夹具
TW201139065A (en) Fast reciprocatable open-end wrench
US20030123689A1 (en) Microphone holder
CN100569629C (zh) 剪式千斤顶手柄的延伸杆
EP3210676A1 (en) Caulking gun
TW201311400A (zh) 往復式活動扳手
TWI285582B (en) Improved tool connector structure
CA3103913C (en) Interchangeable arm quick release mechanism for chest press exercise machine
KR200389945Y1 (ko) 주방용 조리기구
TWM429559U (en) Improved torque wrench structure
KR101224583B1 (ko) 필기구
CN201144140Y (zh) 剪式千斤顶手柄的延伸杆
TWI307654B (ko)
KR200412536Y1 (ko) 구두주걱
CN209032475U (zh) 撑开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