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4602B1 - 차량 부품용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부품용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4602B1
KR101564602B1 KR1020140018876A KR20140018876A KR101564602B1 KR 101564602 B1 KR101564602 B1 KR 101564602B1 KR 1020140018876 A KR1020140018876 A KR 1020140018876A KR 20140018876 A KR20140018876 A KR 20140018876A KR 101564602 B1 KR101564602 B1 KR 101564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ck valve
output port
integrated check
pump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8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4369A (ko
Inventor
보크산이 버트홀트
Original Assignee
슈크라 게라테바우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슈크라 게라테바우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슈크라 게라테바우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40104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43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4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4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60N2/66Lumbar supports
    • B60N2/665Lumbar supports using inflatable blad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60N2/66Lumba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914Hydro-pneumatic adjustments of the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3/00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 F04B43/0009Special features
    • F04B43/0045Special features with a number of independent working chambers which are actuated successively by one mechanis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3/00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 F04B43/02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having plate-like flexible members, e.g. diaphragms
    • F04B43/04Pumps having electric dri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5/00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B45/04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plate-like flexible members, e.g. diaphragms
    • F04B45/047Pumps having electric dri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3584Inflatable article [e.g., tire filling chuck and/or 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Check Valves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차량 부품용 조절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팽창식 챔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팽창식 챔버에 유체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펌프(7)를 포함한다. 펌프(7)는 하우징(30, 31, 32, 33), 상기 하우징(30, 31, 32, 33)에 제공되는 제 1 출력 포트(21) 및 상기 하우징(30, 31, 32, 33)에 제공되는 제 2 출력 포트(2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출력 포트들(21, 22) 중의 적어도 하나는 각각의 출력 포트(21, 22)에 배치된 통합 체크 밸브(25, 26, 27, 28)을 구비한다. 상기 통합 체크 밸브(25, 26, 27, 28)는 펌프 챔버로부터 토출된 유체를 수용하고 각각의 출력 포트(21, 22)와 직접 유체 연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통합 체크 밸브(25, 26, 27, 28)는 상기 하우징(30, 31, 32, 33) 내에 배열된다.

Description

차량 부품용 조절 장치{ADJUSTING DEVICE FOR A VEHICLE COMPONENT}
본 발명은 차량 부품용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차량 부품, 예컨대 차량 시트를 공압식으로 조절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상기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 시트에서 조절가능한 서포트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상기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매우 다양한 조절가능한 부품을 포함한다. 예는 럼버 서포트, 사이드 서포트 또는 다른 조절가능한 서포트뿐만 아니라 시트에 착석한 경우 사용자의 안락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시트에 제공될 수 있는 마사지 유닛을 포함한다. 럼버 서포트 디바이스는 적절한 서포트 표면을 형성함으로써 시트에 착석한 사람의 요추(lumbar vertebral) 또는 척추 전만 영역(lordosis region)에 적합한 지지를 제공하도록 등받이(backrest)들에 제공된다. 사이드 서포트들은 조절가능한 사이드 서포트를 제공하기 위해 등받이, 또는 시트 부분 상에 제공된다. 사이드 서포트들은 변화하는 탑승자 사이즈를 수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심력에 따라 측방향 지지를 능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마사지 유닛들은 혈액 순환을 촉진하거나 탑승자의 안락감을 더욱 증대시키기 위해 시트에 통합될 수 있다.
차량용 조절 장치의 몇몇 구현들은 하나 또는 복수의 팽창식 유체 챔버를 사용한다. 유체 챔버는 이에 함유되는 일정양의 유체에 좌우되어 이들의 형태, 또는 크기를 변화시키는 팽창식 쿠션 또는 블래더로서 구성될 수 있다. 팽창식 유체 챔버를 사용하는 럼버 서포트 디바이스를 갖는 시트에 대한 예는 EP 1 072 465 A1 또는 DE 100 63 478 A1에 기술되어 있다. 조절가능한 서포트의 조절은 압력원 및 밸브들과 커넥팅 부재, 예컨대 튜브를 포함하여 적절히 구성되는 공압 회로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공압 엘리먼트들, 예컨대 밸브는 수명, 또는 조절가능한 서포트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안락감을 향상시키는 한편, 이러한 부품은 설치 공간 및 비용을 증가시킬 수 있다. EP 2 361 800 A1은 통합된 밸브를 가진 펌프를 사용하는 시트 조절 장치를 기술하고 있다.
설치 공간 및 비용 이외에, 공압식 조절 장치에서 사용되는 부품의 다용성이 중요하다. 설계 구속조건에 좌우되는 실례에 대해 또는 다른 기술적 이유에 대해, 정상 개방(NO)밸브를 포함하는 밸브 모듈과 함께 사용하기 위해 용이하게 구성될 수 있는 펌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펌프는 팽창식 챔버로부터 펌프의 작동 챔버로의 누출을 방지하는 디자인을 가져야 하고, 이는 여전히 매우 다양한 밸브 모듈과 함께 사용하기 위해 구성된다.
상기 필요성의 일부를 다루는 조절 장치에 대한 분야에서 지속적인 필요성이 존재한다. 이는 매우 다양한 제어 밸브와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한편 부품의 수, 구조 공간 및 비용을 상당하게 증가시키지 않는 의미에 있어서 다용성인 조절 장치에 대한 분야에서 지속적인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독립항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차량 부품에 대한 조절 장치가 제공된다. 종속항은 추가 실시예의 특징을 정의한다.
실시예에 따라, 제 1 출력 포트, 제 2 출력 포트 및 하나 이상의 통합 체크 밸브를 갖는 조절 장치용 펌프가 제공된다. 통합 체크 밸브는 펌프의 하우징에 배열된다. 통합 체크 밸브는 제 1 출력 포트 또는 제 2 출력 포트에 위치하고, 각각의 출력 포트와 직접 연통한다. 통합된 체크 밸브는 펌프 챔버로부터 토출된 유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펌프는 다양한 장점을 제공한다. 예시로서, 펌프는 유체를 펌프와 2 개의 공급 포트를 결합하는 T-커넥터를 요구하지 않고 유체를 제어 밸브 또는 제어 밸브 조립체의 2 개의 공급 포트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부품의 수 및/또는 조절 장치를 설치하는데 요구되는 설치 시간은 이에 의해 감소될 수 있다. 펌프는 이것이 또한 정상 개방(NO)제어 밸브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펌프를 통한 팽창식 챔버로부터의 누출이 통합 체크 밸브(들)에 의해 금지될 수 있기 때문에 다용성이다. 펌프는 제 1 및 제 2 출력 포트와 연계된 2 개의 통합 체크 밸브를 가질 수 있다. 펌프는 심지어 펌프가 더 많은 수의 출력 포트를 가지는 경우 더 많은 수의 통합 체크 밸브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조절 장치는 다수의 팽창식 챔버 및 하나 이상의 팽창식 챔버에 유체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펌프를 포함한다. 펌프는 하우징, 하우징에 제공되는 제 1 출력 포트 및 하우징에 제공되는 제 2 출력 포트를 포함하고, 제 2 출력 포트는 제 1 출력 포트와 상이하다. 하나 이상의 제 1 및 제 2 출력 포트는 각각의 출력 포트에 배치된 통합 체크 밸브를 가진다. 통합 체크 밸브는 하우징에 배열된다.
유체가 다른 밸브를 통과하지 않고 통합 체크 밸브로부터 각각의 출력 포트로 유동할 수 있도록 통합 체크 밸브가 각각의 출력 포트와 직접적 유체 연통할 수 있다. 통합 체크 밸브는 펌프 챔버, 즉 펌프의 작동 챔버로부터 토출된 유체를 수용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하우징은 하우징의 엔드 표면을 정의하는 엔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엔드 부재는 제 1 출력 포트와 연관되는 제 1 캐비티 및 제 2 출력 포트와 연관되는 제 2 캐비티를 정의하고, 제 2 캐비티는 제 1 캐비티와 분리되어 있다. 통합 체크 밸브는 제 1 캐비티 또는 제 2 캐비티에 배열될 수 있다.
제 1 출력 포트 및 제 2 출력 포트는 엔드 부재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출력 포트는 각각 엔드 부재에 일체로 형성된 관형 포트일 수 있다. 관형 포트는 튜브 또는 다른 유체 가이드용 커넥터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제 1 출력 포트는 제 1 통합 체크 밸브를 가질 수 있고 제 2 출력 포트는 제 2 통합 체크 밸브를 가질 수 있다. 제 1 통합 체크 밸브는 제 1 캐비티에 배열될 수 있고, 제 2 통합 체크 밸브는 제 2 캐비티에 배열될 수 있다.
제 1 캐비티 및 제 2 캐비티는 하우징의 내벽 및 엔드 부재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내벽은 통합 체크 밸브용 밸브 시트를 가질 수 있다. 2 개의 통합 체크 밸브가 제공되는 경우, 내벽은 제 1 통합 체크 밸브에 대한 제 1 밸브 시트 및 제 2 통합 체크 밸브에 대한 제 2 밸브 시트를 가질 수 있다.
펌프는 유체로서 기체를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합 체크 밸브는 통합 체크를 통한 제 1 출력 포트로부터의 기체의 체적 유량이 0.02 ml/minute(분당 0.02 밀리리터) 이하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2 개의 통합 체크 밸브가 제공되는 경우, 제 1 통합 체크 밸브 및 제 2 통합 체크 밸브는 제 1 통합 체크 밸브를 통한 제 1 출력 포트로부터 및 제 2 통합 체크 밸브를 통한 제 2 출력 포트로부터의 기체의 체적 유량이 0.02 ml/minute 이하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통합 체크 밸브는 제 1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제 2 통합 체크 밸브는 제 2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탄성 부재는 엔드 부재에 인접할 수 있다. 제 1 통합 체크 밸브는 엔드 부재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 1 탄성 부재에 의해 바이어싱된 제 1 밀봉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통합 체크 밸브는 엔드 부재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 2 탄성 부재에 의해 바이어싱된 제 2 밀봉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펌프는 다이어프램 및 그 사이에 펌프 챔버를 정의하는 밸브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 부재는 유체를 펌프 챔버에 공급하도록 구성된 흡입 밸브 및 펌프 챔버로부터 유체를 토출하도록 구성된 출구 밸브를 가질 수 있다. 출구 밸브는 통합 체크 밸브과 유체 연통할 수 있다. 출구 밸브는 펌프 챔버로부터의 유체를 펌프의 내부 유체 챔버에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통합 체크 밸브는 유체를 내부 유체 챔버로부터 각각의 출구 포트로 토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펌프 챔버는 통합 체크 밸브(들)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조절 장치는 펌프로부터 분리되고 다수의 제어 밸브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밸브 모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밸브 모듈은 제 1 공급 포트 및 제 2 공급 포트를 포함한다. 제 1 유체 가이드는 펌프의 제 1 출력 포트를 밸브 모듈의 제 1 공급 포트에 연결할 수 있다. 제 2 유체 가이드는 펌프의 제 2 출력 포트를 밸브 모듈의 제 2 공급 포트에 연결할 수 있다.
조절 장치는 시트 표면의 윤곽을 변경하도록 구성된 시트 조절 장치일 수 있다. 시트 조절 장치는 럼버 서포트의 정점 위치, 또는 굴곡을 변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시트 조절 장치는 사이드 서포트의 굴곡을 변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팽창식 챔버 중의 하나의 팽창식 챔버는 시트의 럼버 서포트 구간 또는 사이드 서포트 구간에 설치될 수 있다.
유체는 기체일 수 있다. 유체는 공기일 수 있다. 다른 응용에 있어서, 유체는 액체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팽창식 챔버는 차량 부품에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일 실시예의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시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량의 부품을 조절하기 위해, 특히 차량 시트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시트 표면의 윤곽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는 이에 제한됨 없이 자동 차량 시트에서의 시트 조절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될 것이고, 이에서 유사 참조 번호는 유사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조절 장치를 갖는 시트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조절 장치의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조절 장치의 펌프의 분해조립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 의 펌프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 의 펌프의 부품의 확대된 분해조립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 의 펌프의 일부의 확대된 단면도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의 조절 장치의 펌프의 부품의 부분 분해조립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는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될 것이다. 일부 실시예는 특정 문맥에서 기재될 것이고, 자동 차량 시트와 같은 실시예는 이러한 문맥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의 특징은 특별히 다르게 언급되지 않는 한 서로 조합될 수 있다. 본원에서 기재된 임의의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유체는 기체일 수 있다. 유체는 특히 공기일 수 있다. 이러한 유체의 종래 용어에 따라, 임의의 밸브를 통과하지 않고 유체가 2 개의 요소 사이에서 직접 유동할 수 있는 경우 2 개의 요소는 서로 "직접 연통" 되는 것으로 지칭된다.
실시예에 따라, 압력 유체 공급원으로서 펌프를 사용하는 차량 적용용 조절 장치가 제공된다. 펌프는 유체를 공급하는 제 1 출력 포트 및 제 2 출력 포트를 포함한다. 펌프는 추가 출력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체크 밸브는 펌프의 하우징에 통합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출력 포트와 연관되어 유체가 밸브를 통과하지 않고 체크 밸브로부터 연관된 출력 포트로 유동할 수 있게 된다. 체크 밸브는 출력 포트가 형성된 하우징의 일부에 통합될 수 있다. 펌프는 제 1 출력 포트와 연관되는 제 1 통합 체크 밸브 및 제 2 출력 포트와 연관되는 제 2 통합 체크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통합 체크 밸브는 제 1 출력 포트에 배열될 수 있고, 제 2 통합 체크 밸브는 제 2 출력 포트에 배열될 수 있다. 각각의 통합 체크 밸브는 펌프의 작동 중 통합 체크 밸브를 통한 출력 포트로부터의 기체의 누출은 설정된 기준치 미만이고 특히 0.02 ml/min(0.02 millileters/minute) 이하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수의 통합 체크 밸브가 제공되는 경우, 다수의 통합 체크 밸브는 통합 체크 밸브를 통해 연관된 출력 포트로부터의 기체의 전체 누출은 0.02 ml/min(0.02 millileters/minute) 이하 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통합 체크 밸브는 펌프의 축 엔드에서 엔드 부재에 의해 정의되는 캐버티로 용이하게 삽입되거나 제거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효과는 이러한 펌프를 갖는 조절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예시로서, 다수의 공급 포트에 단일의 펌프 출력 포트를 연결하는 전용 T-커넥터를 필요로 하지 않고, 펌프는 다수의 유체 공급 포트를 갖는 밸브 모듈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추가 예시로서, 펌프를 통한 팽창식 챔버로부터의 누출은 통합 체크 밸브(들)에 의해 금지될 수 있기 때문에, 펌프는 정상 개방(NO)제어 밸브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조절 장치를 갖는 차량 시트(1)의 개략도이다. 조절 장치는 시트 조절 장치로서 구성된다. 제한이 아닌 예시로서, 시트(1)는 조절가능한 럼버 서포트 및 조절가능한 사이드 서포트를 포함한다. 럼버 서포트는 팽창식 블래더(2, 3)로서 구성되는 팽창식 챔버를 포함한다. 블래더(2, 3)는 각각의 블래더에서의 유체 압력이 조절되는 경우 이의 외적 크기가 변화되도록 구성된다. 블래더(2, 3)는 차량 시트(1)의 등받이 하부에 제공되고, 등받이의 세로 방향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모든 블래더(2, 3)를 팽창 및 수축시킴으로써 하부 등받이 부분에서 굴곡의 양이 조절될 수 있다. 블래더(2, 3) 중 하나를 팽창시키고 다른 하나를 수축시킴으로써, 정점 위치가 이동될 수 있다. 이로써, 4-웨이 럼버 서포트 디바이스가 구현될 수 있다. 사이드 서포트 유닛은 시트(1)의 측면에 배열된 한 쌍의 블래더(4, 5)를 포함한다. 도 1의 예시된 일부의 블래더(2, 3, 4, 5)는 또한 생략될 수 있다.
조절 장치는 또한 펌프(7), 밸브 모듈(10), 제어 회로(8) 및 수동 제어 장치(9)로 구성되는 압력 유체 공급원을 포함한다. 펌프(7)는 유체, 특히 기체를 정압에서 밸브 모듈(10)에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펌프(7)는 제 1 통합 체크 밸브를 갖는 제 1 출력 포트(21) 및 제 2 통합 체크 밸브를 갖는 제 2 출력 포트(22)를 가진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통합 체크 밸브는 펌프의 하우징에 통합되고, 제 1 및 제 2 출력 포트(21, 22)에서 제공된다. 펌프(7)의 내부를 향한 튜브로부터의 기체의 누출은 통합 체크 밸브에 의해 금지될 수 있다. 조절 장치는 제 1 출력 포트(21)를 밸브 모듈(10)의 제 1 공급 포트로 연결하는 제 1 튜브(13) 및 제 2 출력 포트(22)를 밸브 모듈(10)의 제 2 공급 포트로 연결하는 제 2 튜브(14)를 가질 수 있다. 밸브 모듈(10)은 펌프(7)에 의해 공급되는 기체를 수용하고 기체를 시트(1)에 설치된 블래더(2, 3, 4, 5)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펌프(7) 및 밸브 모듈(10)의 작동은 펌프(7) 및 밸브 모듈(10)의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 회로(8)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어 신호는 예를 들어 수동 제어 장치(9)에서 이루어진 조절에 대응하여 제어 회로(8)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다르게는, 제어 신호는 차량 보드 네트워트(vehicular board network)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확인 또는 사용자 프로파일에 대응하여 제어 회로(8)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밸브 모듈(10)은 다수의 제어 밸브(11, 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밸브(11, 12)는 3/2-웨이 제어 밸브(즉, 3 개의 작동 포트 및 2 개의 위치를 갖는 밸브) 또는 3/3-웨이 제어 밸브(즉, 3 개의 작동 포트 및 3 개의 위치를 갖는 밸브)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하나 이상의 제어 밸브(11, 12)는 4/4-웨이 제어 밸브(즉, 4 개의 작동 포트 및 4 개의 위치를 갖는 밸브)일 수 있다.
도 2는 시트(1)에 설치되지 않는 상태의 실시예의 조절 장치(19)를 예시한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절 장치에서의 펌프(7)의 구성은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하기 기재될 것이다.
도 3은 실시예의 조절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는 펌프의 분해조립 사시도이다. 도 4 는 조립된 펌프의 단면도이고, 단면은 펌프(7)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 1 및 제 2 출력 포트(21, 22)의 중심축을 통과하는 평면을 보여준다. 도 5 는 제 1 및 제 2 출력 포트가 배열된 펌프(7)의 축 엔드에서의 부품의 확대된 분해조립도이다. 도 6 은 조립된 펌프(7)의 축 엔드의 확대된 단면도이고, 단면은 펌프(7)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 1 및 제 2 출력 포트(21, 22)의 중심축을 통과하는 평면을 보여준다.
펌프(7)는 일반적으로 다수의 하우징 부분(30, 31, 32) 및 하우징의 축 엔드를 정의하고 이에 제 1 출력 포트(21) 및 제 2 출력 포트(22)가 제공되는 엔드 부재(33)를 포함한다. 펌프(7)는 다른 구성 원리가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을 지라도 다이어프램 펌프로서 구성될 수 있다. 펌프(7)는 다이어프램(43), 파워 드라이브(41), 및 파워 드라이브(41)의 출력축의 회전 움직임을 다이어프램(43)의 왕복 변위로 전환시키는 트랜스미션(42)을 포함할 수 있다. 밸브 부재는 펌프 챔버에 대해 흡입 밸브 및 출구 밸브를 정의할 수 있다. 밸브 부재는 완충재의 층(45)을 지지하는 프레임(44)을 포함할 수 있다. 층(45)은 탄성 부분(46, 47)에 걸쳐 정압 또는 부압 차이 하에 변형되는 탄성 부분(46, 47)을 가질 수 있다. 기체가 펌프 챔버로 유동되고 펌프 챔버로부터 토출될 수 있도록, 기체는 흡입 및 출구 밸브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탄성 부분(46, 47)과 일치되는 프레임(44)에서의 개구를 통해 펌프 챔버로 유동될 수 있다. 펌프 챔버는 밸브 부재의 프레임(44) 및 다이어프램(43) 사이의 공간에서 정의될 수 있다. 하우징 부분(32)은 모터(41), 다이어프램(43) 및 밸브 부재가 하우징 부분(32)의 동일한 측면에 모두 배열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하우징 부분(32)의 반대 면에, 엔드 부재(33)가 제공된다. 펌프 챔버로부터 토출된 기체는 통합 체크 밸브를 가진 출력 포트(21, 22)를 향해 하우징 부분(32)에서의 개구를 통해 유동될 수 있다. 엔드 부재(33)는 하우징 부분(32)에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의 엔드 부재(33)는 펌프(7)의 엔드 표면을 정의한다. 엔드 부재(33)는 펌프(7)의 축 엔드 표면을 정의한다. 제 1 출력 포트(21)는 엔드 부재(33)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제 1 관형 출력 포트일 수 있다. 제 2 출력 포트(22)는 엔드 부재(33)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제 2 관형 출력 포트일 수 있다. 엔드 부재(33)는 제 1 통합 체크 밸브를 수용하기 위해 제 1 출력 포트에 배치된 제 1 구획(35) 및 제 2 통합 체크 밸브를 수용하기 위해 제 2 출력 포트에 배치된 제 2 구획(37)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부분(32)은 제 1 통합 체크 밸브가 수용될 수 있는 제 1 캐비티를 정의하는 엔드 부재(33)에서의 제 1 구획(35)과 일치되는 제 1 돌출부(36)를 가질 수 있다. 하우징 부분(32)은 제 2 통합 체크 밸브가 수용될 수 있는 제 2 캐비티를 정의하는 엔드 부재(33)에서의 제 2 구획(37)과 일치되는 제 2 돌출부(36)를 가질 수 있다. 통합 제 1 및 제 2 체크 밸브가 수동 밸브로서 구성된다.
체크 밸브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탄성 바이어스 부재가 제 1 구획(35) 및 제 2 돌출부(36)에 의해 정의되는 캐비티에 배열될 수 있다. 탄성 부재는 엔드 부재(33)와 마주하는 하우징 부분(32)의 표면(34)에 대해 밀봉 부재를 바이어싱시킬 수 있다. 예시로서, 제 1 돌출부(35)에 위치한 표면(34)의 고리형 부분 및 제 2 돌출부(36)에 위치한 표면(34)의 고리형 부분은 제 1 및 제 2 통합 체크 밸브에 대한 밸브 시트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제 1 출력 포트(21), 또는 제 2 출력 포트(22)에서 체크 밸브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탄성 부재 및 밀봉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예시로서, 제 1 스프링(25) 및 제 1 밀봉 부재(26)가 제 1 출력 포트(21)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스프링(25) 및 제 1 밀봉 부재(26)가 제 1 출력 포트(21)가 돌출되는 제 1 구획(35) 및 제 1 돌출부(36) 사이에 정의된 캐비티에 배열될 수 있다. 제 1 스프링(25)은 제 1 밀봉 부재를 하우징 부분(32)에의 밸브 시트에 대해 바이어싱시킬 수 있다. 제 1 스프링(25)은 제 1 구획(35)에 인접한 엔드를 가질 수 있다. 제 1 스프링(25)은 하우징 부분(32)의 표면(34)에 대해 제 1 밀봉 부재(26)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제 1 밀봉 부재(26)의 리지에 인접한 반대 엔드를 가질 수 있다. 제 1 스프링(25)은 제 1 밀봉 부재(26)의 적어도 일부분 주변에 나선형으로 움직이도록 배열될 수 있다. 제 2 스프링(27) 및 제 2 밀봉 부재(28)는 제 2 출력 포트(22)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스프링(27) 및 제 2 밀봉 부재(28)는 제 2 출력 포트(22)가 돌출되는 제 2 구획(37) 및 제 2 돌출부(38) 사이에 정의된 캐비티에 배열될 수 있다. 제 2 스프링(27)은 제 2 밀봉 부재를 하우징 부분(32)에의 밸브 시트에 대해 바이어싱시킬 수 있다. 제 2 스프링(27)은 제 2 구획(37)에 인접한 엔드를 가질 수 있다. 제 2 스프링(27)은 제 2 밀봉 부재(28)의 리지에 인접한 반대 엔드를 가질 수 있다. 제 2 스프링(27)은 제 2 밀봉 부재(28)의 적어도 일부분 주변에 나선형으로 움직이도록 배열될 수 있다. 제 1 체크 밸브는 제 1 출력 포트(21)에 배치되고 제 1 출력 포트(21)와 직접 유체 연통한다. 제 2 체크 밸브는 제 2 출력 포트(22)에 배치되고 제 2 출력 포트(22)와 직접 유체 연통한다. 탄성 부재, 또는 밀봉 부재는 출구 포트로부터 펌프 챔버를 향한 방향으로 체크 밸브를 통한 누출 속도가 0.02 ml/min 이하가 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
펌프(7)의 작동 중, 모터(41)가 구동되는 경우, 기체는 펌프 챔버로부터 펌프 챔버의 출구 밸브를 통해 유동되고 하우징 부분(32)의 개구를 통과한다. 통합 체크 밸브에서의 압력 차이, 즉 출구 포트(21, 22)중 하나에서의 내부 압력 및 외부 압력 사이의 압력 차이가 내부 압력이 외부 압력 보다 더 크게 되는 경우, 각각의 통합 체크 밸브는 연관된 출력 포트(21, 22)를 통해 유체를 토출하기 위해 개방된다. 출력 포트(21, 22)에서의 외부 압력이 펌프의 내부면에서의 통합 체크 밸브에 적용되는 내부 압력보다 큰 경우, 통합 체크 밸브는 폐쇄된 상태로 유지된다. 통합 체크 밸브의 구조는 이러한 상태에서의 누출이 설정된 기준치보다 작도록 한다. 펌프(7)가 팽창식 챔버에의 분산을 위해 기체 또는 다른 작동 유체를 밸브 모듈(10)로 공급하는 경우, 심지어 밸브 모듈(10)이 정상 개방(NO)제어 밸브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펌프(7)를 통한 팽창식 챔버의 의도하지 않은 수축이 제 1 및 제 2 통합 체크 밸브에 의해 금지될 수 있다.
펌프(7)는 예를 들어 내부 채널을 밀봉하기 위한 적절한 O-링(48) 및 파워 드라이브(41)에 하우징의 다양한 부품을 결합시키기 위한 파스너(49)와 같은 추가적인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O-링(48)은 제 1 돌출부(36) 및 제 1 구획(35)의 내부벽 사이에 밀봉을 제공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O-링(48)은 제 2 돌출부(38) 및 제 2 구획(37)의 내부벽 사이에 밀봉을 제공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다른 밀봉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제 1 통합 체크 밸브 및 제 2 통합 체크 밸브의 다양한 다른 구현이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예시로서, 제1통합 체크 밸브 및 제2통합 체크 밸브는 탄성 부재 및 밀봉 부재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또는 제 2 통합 체크 밸브는 버섯꼴 밸브(또한 포핏 밸브로서 지칭됨)일 수 있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서 펌프(7)의 부품의 분해조립도를 예시하고 있다. 도 7의 구현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통합 체크 밸브는 각각 버섯꼴 밸브로서 구성된다. 제 1 탄성 부재(51)는 제 1 구획(35) 및 제 1 돌출부(36)에 의해 정의된 제 1 캐비티에 배열된다. 제 1 탄성 부재(51)는 하우징 부분(32)에 결합될 수 있다. 제 1 탄성 부재(51)는 하우징 부분(32)에 대해 바이어싱된 제 1 밀봉 부재(53)으서 작용하는 구획을 가질 수 있으며, 제 1 밀봉 부재(53)는 제1탄성 부재(51)의 외주면 바닥면에 일체로 형성된다. 제 1 탄성 부재(51)의 제 1 밀봉 부재(53)는 하우징 부분(32)의 표면(34)에 대해 바이어싱될 수 있다. 제 2 탄성 부재(52)는 제 2 구획(37) 및 제 2 돌출부(38)에 의해 정의된 제 2 캐비티에 배열된다. 제 2 탄성 부재(52)는 하우징 부분(32)에 결합될 수 있고 제 1 탄성 부재(51)의 것과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제 2 탄성 부재(52)는 하우징 부분(32)에 대해 바이어싱된 제 2 밀봉 부재(54)로서 작용하는 구획을 가질 수 있으며, 제 2 탄성 부재(52)의 제 2 밀봉 부재(54)는 제 2 탄성 부재(52)의 외주면 바닥면에 일체로 형성된다.
통합 체크 밸브(들)은 용이하게 펌프(7)에 조립될 수 있다. 출력 포트(21, 22)에서의 체크 밸브 기능는 펌프 하우징의 엔드 부재(33) 및 하우징 부분(32) 사이에 놓일 수 있다. 2 개의 출력 포트(21, 22)중 하나가 특정 응용을 위해 요구되지 않는 경우, 이러한 출력 포트는 용이하게 폐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기체켓은 각각의 출력 포트에서의 유체의 통과를 방해하기 위해 엔드 부재(33)의 제 1 구획(35) 또는 제 2 구획(37)에 의해 정의되는 각각의 캐비티에 배열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조절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다른 구성이 다른 실시예에서 구현될 수 있다. 예시로서, 실시예가 다이어프램 펌프와 관련하여 기재되어 있는 경우, 통합 체크 밸브를 가진 이중 출력 포트 구성이 또한 다른 작동 원리에 따라 구동되는 펌프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가 시트 표면의 윤곽을 조절하기 위해 구성된 시트 조절 장치의 문맥에 기재되어 있는 경우, 조절 장치는 일반적으로 차량 부품의 공기압 조절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가 하우징에 통합된 다수의 제어 밸브를 가진 밸브 모듈을 가진 조절 장치의 문맥에 기재되어 있는 경우, 통합 체크 밸브를 가진 이중 출력 포트 펌프가 또한 유체를 팽창식 챔버에 직접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또는 유체를 밸브 모듈에 배열하는데 필요로 하지 않는 별도의 제어 밸브로 공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가 공기 펌프의 문맥에 기재되어 있는 경우, 다른 유체가 작동 매체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체 또는 다른 작동 유체를 차량에 사용되는 다양한 유형의 팽창식 챔버에 공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는 특히 차량 시트, 예컨대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자동 차량 시트의 시트 조절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5)

  1. 적어도 하나의 팽창식 챔버(2, 3, 4, 5);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팽창식 챔버(2, 3, 4, 5)에 유체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펌프(7)를 포함하고,
    상기 펌프(7)는 하우징(30, 31, 32, 33), 상기 하우징(30, 31, 32, 33)에 제공되는 제 1 출력 포트(21) 및 상기 하우(30, 31, 32, 33)에 제공되는 제 2 출력 포트(22)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출력 포트(22)는 상기 제 1 출력 포트(21)와 상이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출력 포트(21, 22) 중의 적어도 하나는 각각의 출력 포트(21, 22)에 배치된 통합 체크 밸브(25, 26, 27, 28; 51, 52)를 갖고,
    상기 통합 체크 밸브(25, 26, 27, 28; 51, 52)는 펌프 챔버로부터 토출된 유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각각의 출력 포트(21, 22)와 직접 유체 연통(direct fluid communication)하고, 상기 통합 체크 밸브(25, 26, 27, 28; 51, 52)는 상기 하우징(30, 31, 32, 33)내에 배열되며,
    상기 하우징(30, 31, 32, 33)은 상기 하우징(30, 31, 32, 33)의 엔드 표면을 정의하는 엔드 부재(33)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출력 포트(21) 및 제 2 출력 포트(22)는 각각 엔드 부재(33)에 일체로 형성된 관형 포트이며,
    상기 엔드 부재(33)는 상기 제 1 출력 포트(21)과 연관된 제 1 캐비티 및 상기 제 2 출력 포트(22)와 연관된 제 2 캐비티를 정의하고, 상기 제 2 캐비티는 상기 제 1 캐비티와 분리되고, 상기 통합 체크 밸브(25, 26, 27, 28; 51, 52)는 상기 제 1 캐비티 또는 상기 제 2 캐비티에 배열되는, 차량 부품용 조절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출력 포트(21) 및 상기 제 2 출력 포트(22)는 상기 엔드 부재(33)에 형성되는, 차량 부품용 조절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출력 포트(21)가 제 1 통합 체크 밸브(25, 26; 51)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제 2 출력 포트(22)가 제 2 통합 체크 밸브(27, 28; 52)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통합 체크 밸브(25, 26; 51)가 상기 제 1 캐비티에 배열되고, 상기 제 2 통합 체크 밸브(27, 28; 52)가 상기 제 2 캐비티에 배열되는, 차량 부품용 조절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캐비티 및 상기 제 2 캐비티가 상기 하우징(30, 31, 32, 33)의 내벽(34)과 상기 엔드 부재(33) 사이에 배열되고, 상기 내벽(34)은 상기 제 1 통합 체크 밸브(25, 26; 51)에 대한 제 1 밸브 시트 및 상기 제 2 통합 체크 밸브(27, 28; 52)에 대한 제 2 밸브 시트를 구비하는, 차량 부품용 조절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O-링(48)이 상기 하우징(30, 31, 32, 33)의 내벽(34)과 상기 엔드 부재(33) 사이에 배치되는, 차량 부품용 조절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7)는 유체로서 기체를 공급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제 1 통합 체크 밸브(25, 26; 51) 및 상기 제 2 통합 체크 밸브(27, 28; 52)는 상기 제 1 통합 체크 밸브(25, 26; 51)를 통해 상기 제 1 출력 포트(21)로부터 및 상기 제 2 통합 체크 밸브(27, 28; 52)를 통해 상기 제 2 출력 포트(22)로부터의 상기 기체의 체적 유량이 0.02 ml/minute 이하가 되도록 구성되는, 차량 부품용 조절 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합 체크 밸브(25, 26; 51)는 제 1 탄성 부재(25; 51)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통합 체크 밸브(27, 28; 52)는 제 2 탄성 부재(27; 52)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탄성 부재들(25, 27; 51, 52)은 상기 엔드 부재(33)에 인접하는, 차량 부품용 조절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합 체크 밸브(25, 26; 51, 53)는 상기 엔드 부재(33)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 1 탄성 부재(25; 51)에 의해 바이어싱(biasing)되는 제 1 밀봉 부재(26; 53)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통합 체크 밸브(27, 28; 52, 54)는 상기 엔드 부재(33)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 2 탄성 부재(27; 52)에 의해 바이어싱되는 제 2 밀봉 부재(28; 54)를 포함하는, 차량 부품용 조절 장치.
  10. 제 1 항, 제3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7)는 다이어프램(diaphragm)(43) 및 그 사이에서 상기 펌프 챔버를 정의하는 밸브 부재(44, 45)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부재(44, 45)는 유체를 상기 펌프 챔버에 공급하도록 구성된 흡입 밸브 및 상기 펌프 챔버로부터 유체를 토출하도록 구성된 출구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출구 밸브는 상기 통합 체크 밸브(25, 26, 27, 28; 51, 52)와 유체 연통하는, 차량 부품용 조절 장치.
  11. 제 1 항, 제3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7)로부터 분리되고 다수의 제어 밸브들(11, 12)을 포함하는 밸브 모듈(10)로서, 제 1 공급 포트 및 제 2 공급 포트를 포함하는, 상기 밸브 모듈(10)과,
    상기 펌프(7)의 상기 제 1 출력 포트(21)를 상기 밸브 모듈(10)의 상기 제 1 공급 포트에 연결하는 제 1 유체 가이드(13)와,
    상기 펌프(7)의 상기 제 2 출력 포트(22)를 상기 밸브 모듈(10)의 상기 제 2 공급 포트에 연결하는 제 2 유체 가이드(14)를 더 포함하는, 차량 부품용 조절 장치.
  12. 제 1 항, 제3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장치는 시트(1)용 시트 조절 장치(19)인, 차량 부품용 조절 장치.
  13. 제 1 항, 제3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장치는 상기 시트의 시트 표면의 윤곽을 변경하도록 구성된 시트 조절 장치(19)인, 차량 부품용 조절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팽창식 챔버(2, 3, 4, 5)중 팽창식 챔버(2, 3, 4, 5)는 시트의 럼버 서포트 구간 또는 사이드 서포트 구간에 설치되는, 차량 부품용 조절 장치.
  15. 제 12 항의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시트(1).
KR1020140018876A 2013-02-20 2014-02-19 차량 부품용 조절 장치 KR1015646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3156014.6 2013-02-20
EP13156014.6A EP2770208B1 (en) 2013-02-20 2013-02-20 Adjusting device for a vehicle compon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4369A KR20140104369A (ko) 2014-08-28
KR101564602B1 true KR101564602B1 (ko) 2015-10-30

Family

ID=47757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8876A KR101564602B1 (ko) 2013-02-20 2014-02-19 차량 부품용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545860B2 (ko)
EP (1) EP2770208B1 (ko)
KR (1) KR101564602B1 (ko)
CN (1) CN10399139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93492B1 (en) * 2013-10-25 2019-09-11 Xiamen Koge Micro Tech Co., Ltd Valve clack and air pump having same
EP3269588A4 (en) * 2015-03-12 2018-10-31 Tangtring Seating Technology Inc. Gradual adjustment system of lumbar support of seat
FR3034726B1 (fr) * 2015-04-07 2017-04-21 Faurecia Sieges D'automobile Systeme electropneumatique pour siege de vehicule avec deux vessies gonflables
US10471868B2 (en) 2015-07-10 2019-11-12 Kongsberg Automotive, Inc. Lumbar support system for a vehicle seat assembly
USD799225S1 (en) * 2015-12-23 2017-10-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front driver seat
HUE061376T2 (hu) * 2016-12-16 2023-06-28 Edwards Lifesciences Corp Behelyezõ rendszerek és mûszerek rögzítõeszköz bejuttatására egy billentyûprotézishez
DE102017213736B3 (de) 2017-08-08 2018-10-25 Conti Temic Microelectronic Gmbh Pneumatisches Ventil
US20190126799A1 (en) * 2017-11-02 2019-05-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alve modules for inflatable seats
JP7261242B2 (ja) * 2018-04-06 2023-04-19 ゴジョ・インダストリ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分配システム
CN108506198B (zh) * 2018-04-23 2023-10-31 浙江想能睡眠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软硬可调床垫的静音气泵及其智能控制方法
CN110949214A (zh) * 2018-09-27 2020-04-03 科际精密股份有限公司 用以调整气囊的泵阀组合装置
US10899262B2 (en) * 2019-02-01 2021-01-26 Ka Group Ag Bladder support system for a vehicle seat assembly
JP7427892B2 (ja) * 2019-09-17 2024-02-06 株式会社アイシン 空気袋及び車両用シート装置
DE102019216243B4 (de) * 2019-10-22 2022-06-23 Conti Temic Microelectronic Gmbh Ventilkonfigurationsbausatz und pneumatische Verstellvorrichtung mit einem derartigen Ventilkonfigurationsbausatz
CN111425378A (zh) * 2020-05-15 2020-07-17 杨敦钿 具有胶囊式泵液机构的液压泵
CN113915106A (zh) * 2020-12-24 2022-01-11 廊坊市金色时光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一体式泵阀总成及汽车座椅用气动调节系统
CN112721761A (zh) * 2021-02-01 2021-04-30 北京汽车集团越野车有限公司 一种座椅和具有其的汽车
US11590872B2 (en) 2021-04-30 2023-02-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olyhedral body of an articulation assembly for a vehicle sea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17929A1 (en) 2006-03-17 2007-09-20 Jackey Chiou Diaphragm pumping device
US20110227388A1 (en) * 2010-02-17 2011-09-22 Berthold Bocsanyi Adjusting device for a seat and method of operating an adjusting device
WO2012084625A1 (de) 2010-12-22 2012-06-28 Georg Fischer Rohrleitungssysteme Ag Rückschlagventil mit optimiertem schliesselement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36413A (en) * 1981-02-19 1982-08-23 Aisin Seiki Air supply and discharge system of air lumber support
DE4413657C1 (de) 1994-04-20 1995-11-02 Festo Kg Ventilanordnung
US5893609A (en) * 1997-06-20 1999-04-13 Mccord Winn Textron Inc. Air pumping system for an automotive seat
DE19934472A1 (de) 1999-07-27 2001-02-08 Daimler Chrysler Ag Konturverstellbarer Sitz, insbesondere Fahrzeugsitz
US6506033B2 (en) * 2000-10-26 2003-01-14 Okenseiko Co., Ltd. Miniature pump with ball-plate drive
DE10063478A1 (de) 2000-12-20 2002-07-04 Alfmeier Praez Ag Sitz, insbesondere Fahrzeugsitz
KR101039349B1 (ko) 2009-11-23 2011-06-08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시트용 허리지지 시스템의 펌프
EP2372157B2 (en) * 2010-03-18 2016-07-13 L & P Swiss Holding AG Diaphragm pump for a seat adjusting device and seat adjusting device
DE102010038872A1 (de) 2010-08-04 2012-02-09 Gardner Denver Thomas Gmbh Pumpe
EP2461046B1 (en) * 2010-12-03 2017-11-01 Schukra Gerätebau GmbH Valve assembly and pneumatic seat adjusting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17929A1 (en) 2006-03-17 2007-09-20 Jackey Chiou Diaphragm pumping device
US20110227388A1 (en) * 2010-02-17 2011-09-22 Berthold Bocsanyi Adjusting device for a seat and method of operating an adjusting device
WO2012084625A1 (de) 2010-12-22 2012-06-28 Georg Fischer Rohrleitungssysteme Ag Rückschlagventil mit optimiertem schliessel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4369A (ko) 2014-08-28
EP2770208A1 (en) 2014-08-27
CN103991397B (zh) 2017-01-18
CN103991397A (zh) 2014-08-20
EP2770208B1 (en) 2018-01-10
US9545860B2 (en) 2017-01-17
US20140230921A1 (en) 2014-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4602B1 (ko) 차량 부품용 조절 장치
EP2372157B2 (en) Diaphragm pump for a seat adjusting device and seat adjusting device
KR101609161B1 (ko) 시트 조절 디바이스 및 시트 조절을 제공하는 방법
KR101813742B1 (ko) 유체분배밸브 및 이것을 구비한 유체공급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9783015B2 (en) Control regulator and pumping system for an air maintenance tire
EP3248815B1 (en) Valve stem located control regulator for an air maintenance tire
JP6258684B2 (ja) 空気維持空気入りタイヤ
CN111075698B (zh) 用以调整气囊的泵阀组合装置
CN101010228A (zh) 阀组件
EP3339062A1 (en) Inlet control valve for an air maintenance tire
CN110949214A (zh) 用以调整气囊的泵阀组合装置
CN113389716B (zh) 隔膜泵和压力调节设备
US20230311727A1 (en) Fluid system for a vehicle seat assembly
JP2018103979A (ja) エアメンテナンスタイヤ用制御弁
CN216923334U (zh) 单向阀和充气床
EP3450224B1 (en) Control valve for an air maintenance tire
JP3957483B2 (ja) ダイアフラムを有する空圧機器
KR101584233B1 (ko) 통합형 다이아프램식 펌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