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4392B1 - 사용자의 관심도에 기초한 감상물 자동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비디오 기기 - Google Patents

사용자의 관심도에 기초한 감상물 자동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비디오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4392B1
KR101564392B1 KR1020090003865A KR20090003865A KR101564392B1 KR 101564392 B1 KR101564392 B1 KR 101564392B1 KR 1020090003865 A KR1020090003865 A KR 1020090003865A KR 20090003865 A KR20090003865 A KR 20090003865A KR 101564392 B1 KR101564392 B1 KR 101564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appreciation
viewing
time
inte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3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4396A (ko
Inventor
이혜정
정지혜
김벽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3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4392B1/ko
Priority to US12/629,947 priority patent/US9204079B2/en
Priority to EP09178010A priority patent/EP2209307A3/en
Priority to JP2010001919A priority patent/JP5840349B2/ja
Publication of KR20100084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43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4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4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22Analytics of user selections, e.g. selection of programs or purchase activity
    • H04N21/44224Monitoring of user activity on external systems, e.g. Internet brow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04N21/8549Creating video summaries, e.g. movie trail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사용자의 관심도에 기초한 감상물 자동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비디오 기기가 제공된다. 본 감상물 자동제공방법은, 현재 제공되는 시청물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도가 낮으면, 감상물을 제공한다. 이에 의해, 보유하고 있는 컨텐츠들을 기반으로 제작된 감상물에 대한 감상을 유도할 수 있게 되고, 사용자는 감상물에 대한 감상으로 엔터테인먼트를 느끼게 된다.
시청물, 관심도, 감상물, 시청 방해

Description

사용자의 관심도에 기초한 감상물 자동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비디오 기기{Method for providing appreciation automatically according to user's interest and video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감상물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비디오 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감상물을 제작하여 사용자가 감상할 수 있도록 제공하여 주는 감상물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비디오 기기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미디어의 발달로 인하여, 개인들이 보유하고 있는 컨텐츠의 양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게 되었다. 반면, 컨텐츠를 감상하는 빈도는 오히려 감소하게 되었는데, 이는 너무 많은 컨텐츠들을 보유하고 있음에 기인하거나, 컨텐츠를 재생하여 감상하는 것을 번거롭게 여기기 때문이다.
또한,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들은 앨범에 수록된 사진과 달리 사용자의 눈에 직접 띄지 않는데, 이와 같은 현상도 컨텐츠 감상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컨텐츠를 저장만 하고 감상하지 않는 것은, 컨텐츠를 보유하는 것 자체를 무의미하게 만드는 것이다. 이에 따라, 컨텐츠의 감상을 도모하기 위한 방안의 모색 이 요청된다.
한편,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들을 연속하여 시청할 수 있도록 한 가상채널의 개념이 도입된 바 있다. 이 가상채널은 실제 존재하는 채널이 아닌, 사용자에 의해 번호가 지정된 채널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가상채널의 번호를 직접 지정하여야 하고, 사용자가 지정한 번호는 가상채널을 호출하는데 이용된다.
하지만, 가상채널을 통해 제공되는 것은 저장된 컨텐츠들이 아닌 방송 프로그램들이며, 가상채널은 사용자의 방송 프로그램 선정, 가상채널 번호 지정, 호출 등의 번거로운 절차를 거쳐야 하는 불편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유하고 있는 컨텐츠들을 적절한 시기에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방안으로, 현재 제공되고 있는 시청물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도가 낮은 경우에, 보유하고 있는 컨텐츠를 기초로 제작된 감상물을 자동으로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비디오 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감상물 자동제공방법은, 현재 제공되는 시청물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도를 파악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관심도가 기준치 미만이면, 상기 현재 제공되는 시청물과 다른 감상물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파악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시청물을 제공하는 장치에 대한 조작이 수행되는 중에, 상기 사용자의 관심도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공단계는, 상기 시청물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주된 시청을 공간적 또는 시간적으로 방해하지 않으면서, 상기 감상물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의 주된 시청을 시간적으로 방해하지 않는 경우는, 상기 시청물의 주요 부분에 상기 감상물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 경우, 상기 시청물에 나타난 항목들이 상기 감상물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 경우 및 상기 시청물에 나타난 항목들과 동등한 형식으로 감상물을 표시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주된 시청을 공간적으로 방해하지 않는 경우는, 상기 시청물을 구성하는 장면 사이에 상기 감상물이 제공되는 경우, 채널 잽핑으로 계속하여 변경되는 방송 컨텐츠들 사이에 상기 감상물이 제공되는 경우, 외부입력 잽핑으로 계속하여 변경되는 컨텐츠들 사이에 상기 감상물이 제공되는 경우 및 저장된 컨텐츠 잽핑으로 계속하여 변경되는 컨텐츠들 사이에 상기 감상물이 제공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공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관심도가 기준치 미만이면, 상기 감상물의 길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단계에서 결정된 길이로, 상기 감상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상기 감상물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정단계는, 현재시각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예약시각까지의 시간 및 상기 사용자의 이전 감상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감상물의 길이 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의 예약시각은, 상기 사용자가 시청예약한 방송 컨텐츠가 시작하는 시각, 상기 사용자가 시청예약한 시청물이 재생 시작하는 시각 및 상기 사용자의 선호 방송 컨텐츠가 시작하는 시각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악 단계는, 1) 상기 사용자가 채널 잽핑을 수행하는 경우, 2) 상기 사용자가 외부입력 잽핑을 수행하는 경우, 3) 상기 사용자가 저장된 컨텐츠 잽핑을 수행하는 경우, 4) 상기 사용자가 상기 시청물 시청과 관련없는 조작을 수행하는 경우, 4) 상기 사용자가 기준시간 이상 동안 EPG를 조작하고 있는 경우 및 5) 감지되는 사용자의 행동이 특정한 패턴의 행동인 경우 중 어느 하나인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의 관심도를 상기 기준치 미만으로 파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감상물은,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감상물은, 상기 사용자의 선호도가 제1 기준치 이상이지만, 상기 사용자의 최근 감상빈도가 제2 기준치 미만인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공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관심도가 기준치 미만이면, 상기 감상물을 감상할 것을 유도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감상물 감상에 동의하면, 상기 감상물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공단계는, 상기 시청물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주된 시청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상기 감상물 시청을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기기는, 시청물을 제공하는 비디오 출력부; 및 상기 비디오 출력부를 통해 현재 제공되는 시청물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도를 파악하고, 상기 사용자의 관심도가 기준치 미만이면 상기 현재 제공되는 시청물과 다른 감상물이 상기 비디오 출력부를 통해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청물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주된 시청을 공간적 또는 시간적으로 방해하지 않으면서, 상기 감상물이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주된 시청을 시간적으로 방해하지 않는 경우는, 상기 시청물의 주요 부분에 상기 감상물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 경우, 상기 시청물에 나타난 항목들이 상기 감상물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 경우 및 상기 시청물에 나타난 항목들과 동등한 형식으로 감상물을 표시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의 주된 시청을 공간적으로 방해하지 않는 경우는, 상기 시청물을 구성하는 장면 사이에 상기 감상물이 제공되는 경우, 채널 잽핑으로 계속하여 변경되는 방송 컨텐츠들 사이에 상기 감상물이 제공되는 경우, 외부입력 잽핑으로 계속하여 변경되는 컨텐츠들 사이에 상기 감상물이 제공되는 경우 및 저장된 컨텐츠 잽핑으로 계속하여 변경되는 컨텐츠들 사이에 상기 감상물이 제공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관심도가 기준치 미만이면 상기 감상물의 길이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단계에서 결정된 길이로 상기 감상물을 생성하며, 생성된 상기 감상물이 상기 비디오 출력부를 통해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현재시각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예약시각까지의 시간 및 상기 사용자의 이전 감상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감상물의 길이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예약시각은, 상기 사용자가 시청예약한 방송 컨텐츠가 시작하는 시각, 상기 사용자가 시청예약한 시청물이 재생 시작하는 시각 및 상기 사용자의 선호 방송 컨텐츠가 시작하는 시각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1) 상기 사용자가 채널 잽핑을 수행하는 경우, 2) 상기 사용자가 외부입력 잽핑을 수행하는 경우, 3) 상기 사용자가 저장된 컨텐츠 잽핑을 수행하는 경우, 4) 상기 사용자가 상기 시청물 시청과 관련없는 조작을 수행하는 경우, 4) 상기 사용자가 기준시간 이상 동안 EPG를 조작하고 있는 경우 및 5) 감지되는 사용자의 행동이 특정한 패턴의 행동인 경우 중 어느 하나인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의 관심도를 상기 기준치 미만으로 파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관심도가 기준치 미만이면 상기 비디오 출력부를 통해 상기 감상물을 감상할 것을 유도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감상물 감상에 동의하면 상기 감상물이 상기 비디오 출력부를 통해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청물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주된 시청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상기 감상물 시청을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보유하고 있는 컨텐츠들을 기반으로 제작된 감상물에 대한 감상을 유도할 수 있게 되고, 사용자는 감상물에 대한 감상으로 엔터테인먼트를 느끼게 된다. 또한, 감상물 제공은 사용자의 의도적인 입력이 없어도 자동으로 이루어지기에, 사용자의 편의가 증대된다.
아울러, 감상물 제공은 사용자가 현재 제공되는 시청물에 대한 관심이 없는 경우에 제공되므로, 사용자의 무의미한 시간을 의미있는 시간으로 바꾸어 준다. 또한, 감상물 제공은 현재 제공되는 시청물에 대한 주된 시청을 방해하지 않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감상물 제공으로 인해 뜻하지 않게 사용자가 겪을 수도 있는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의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DTV는 방송 수신부(110), 외부입력부(120), A/V 처리부(130), 저장부(140), GUI 생성부(150), 비디오 출력부(160), 오디오 출력부(170), 제어부(180), 통신 인터페이스(190) 및 리모콘 통신부(195)를 구비한다.
방송 수신부(110)는 방송국 또는 위성으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으로 방송 컨텐츠을 수신하여 복조한다. 외부입력부(120)는 연결된 외부기기로부터 컨텐츠를 입력받는다. 저장부(140)는 컨텐츠가 저장되는 기록매체를 구비한다.
A/V 처리부(130)는 방송 수신부(110)에서 출력되는 방송 컨텐츠에 대해 비디오 디코딩, 비디오 스케일링, 오디오 디코딩 등의 신호처리를 수행한다. 그리고, A/V 처리부(130)는 비디오 신호를 GUI 생성부(150)로,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출력부(170)로 각각 전달한다.
한편, A/V 처리부(130)는 방송 수신부(110)에서 출력되는 방송 컨텐츠 외에 외부 입력부(120)로부터 입력되는 컨텐츠와 저장부(140)에서 읽어들여진 컨텐츠에 대해서도 신호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GUI 생성부(150)는 비디오 출력부(160)에 표시될 GUI를 생성하고, 생성한 GUI를 A/V 처리부(130)에서 출력되는 비디오에 부가한다. GUI 생성부(150)의 GUI 생성 동작은 후술할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른다.
비디오 출력부(160)는 GUI 생성부(150)에서 출력되는 GUI가 부가된 비디오를 표시한다. 그리고, 오디오 출력부(170)는 A/V 처리부(13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제어부(180)는 리모콘 통신부(195)를 통해 리모콘(200)으로부터 전달되는 사용자의 조작 명령에 따라 DTV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통신 인터페이스(190)를 통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외부기기 또는 외부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요청한 정보가 GUI로 제공되도록, GUI 생성부(150)를 제어한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18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컨텐츠들을 이용하여 감상물을 생성하고, 생성한 감상물을 저장부(140)에 저장한다.
사용자가 현재 제공되는 시청물에 대한 관심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80)는 감상물이 GUI로 제공되도록, GUI 생성부(150)를 제어하는 바, 이하에 서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감상물 자동제공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제어부(180)는 '현재 제공되고 있는 시청물'(이하, '현재-시청물'로 약칭한다.)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도를 모니터링한다(S210). S210단계에 '현재-시청물'이란, 비디오 출력부(160)와 오디오 출력부(170)를 통해 현재 출력되고 있는 컨텐츠를 말한다.
이 컨텐츠는 방송 수신부(110)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컨텐츠(방송 프로그램)에 한정되지 않는다. 외부 입력부(120)를 통해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컨텐츠나, 저장부(140)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인 경우라도, 비디오 출력부(160)와 오디오 출력부(170)를 통해 현재 출력되고 있다면, 현재 출력되고 있는 컨텐츠, 즉 현재-시청물에 해당한다.
뿐만 아니라, 현재-시청물은 컨텐츠에 한정되지 않으며, EPG, Widget, 외부입력 목록, 메뉴 등이 표시된 화면도 현재-시청물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관심도란 사용자가 현재-시청물에 대해 얼마나 많은 관심이나 흥미를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척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용자의 관심도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나타난다. 즉, 사용자의 관심도는 사용자의 조작이 수행되는 중에,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파악한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채널 잽핑(zapping)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현재-시청물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도가 낮은 것으로, 즉 사용자의 관심도가 기준치 미만인 것으로 파악한다. 여기서, 채널 잽핑이란, 사용자가 하나의 채널을 지속적으로 시청 하지 않고, 계속하여 채널을 바꾸는 동작을 말한다.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외부입력 잽핑을 수행하는 경우나 저장된 컨텐츠를 잽핑하는 경우에도, 현재-시청물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도가 낮은 것으로 파악한다. 여기서, 외부입력 잽핑이란 사용자가 계속하여 외부입력을 바꾸는 동작이고, 저장된 컨텐츠 잽핑은 사용자가 계속하여 재생할 컨텐츠를 바꾸는 동작을 말한다.
또한, 사용자가 현재-시청물 시청과 관련없는 조작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현재-시청물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도가 낮은 것으로 파악한다. 현재-시청물 시청과 관련된 조작의 대표적인 예로, 볼륨 조작, 화면 비율 조작, 화면 밝기 조작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현재-시청물 시청과 관련없는 조작의 대표적인 예가 현재시각, 채널잠금 등의 설정을 위한 조작이다.
한편, 사용자가 EPG를 호출하여 원하는 방송 컨텐츠를 탐색하는 경우에도, 현재-시청물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도가 낮은 것으로 파악한다.
S210단계에서 모니터링하고 있는 사용자의 관심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면(S220-Y), 계속하여 사용자에게 현재-시청물만을 제공한다(S270). 사용자가 현재-시청물에 높은 관심을 보이면서 시청하고 있기 때문이다.
S220단계에서 사용자의 관심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는, 위에 예시된 것들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이다.
반면, S210단계에서 모니터링하고 있는 사용자의 관심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되면(S220-Y), 제어부(180)는 시청물 외에 감상물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230단계 내지 S260단계).
이를 위해, 먼저 제어부(180)는 사용자에게 제공할 감상물을 새로이 제작할지 여부를 결정한다(S230).
S230단계에서의 결정은, 1) 랜덤하게 이루어지거나, 2) 특정 기준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특정 기준은 필요에 따라 설정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i) 현재까지 제작된 감상물들을 사용자가 최근에(예를 들면, 1주일 이내에) 모두 감상한 바 있는 경우, ii) 현재까지 제작하여 보유하고 있는 감상물의 개수가 100개 이상인 경우 등에는 감상물을 제작하지 않을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S230단계에서 감상물을 새로이 제작하지 않기로 결정하면(S230-N), 제어부(180)는 저장부(140)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 감상물들 중 하나를 선택한다(S250).
감상물 선택은 여러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감상물은 사용자의 선호도와 사용자의 최근 감상빈도를 기초로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선호도가 5점 만점에 4점 이상인 감상물들 중 최근 감상빈도가 낮은 감상물을 선택할 수 있다.
반면, S230단계에서 감상물을 새로이 제작하기로 결정하면(S230-Y), 제어부(180)는 감상물을 새로이 제작한다(S240). 이하에서는, 감상물을 제작하는 과정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감상물 제작단계(S240)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상물을 새로이 제작하기로 결정하면(S230-Y), 제어부(180)는 먼저 감상물의 길이를 결정한다(S241).
감상물 길이 결정은 여러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 이 방식 들에 대해 기술한다.
첫째로, 감상물 길이는 사용자의 방송 컨텐츠 시청예약 시각을 기초로 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시청예약한 방송 컨텐츠의 시작시각이 16:00이고, 현재 시각이 15:50인 경우, 감상물 길이는 10분 미만으로 결정된다. 사용자가 감상물 전부를 감상하더라도, 시청예약한 방송 컨텐츠를 시청하는데 지장이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
둘째로, 감상물 길이는 사용자의 평균 감상시간을 기초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전에 감상한 감상물들의 감상시간들에 대한 평균이 15분인 경우라면, 감상물 길이는 15분 미만으로 결정된다.
한편, 위 첫째의 경우와 둘째의 경우를 조합한 방식으로 감상물 길이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1) 사용자의 평균 감상시간이 15분이고 사용자가 시청예약한 방송 컨텐츠의 시작시각까지 10분이 남은 경우, 감상물 길이는 10분 미만으로 결정하지만, 2) 사용자의 평균 감상시간이 15분이고 사용자가 시청예약한 방송 컨텐츠의 시작시각까지 20분이 남은 경우, 감상물 길이는 15분 미만으로 결정하는 것이, 이에 해당한다.
이후, 제어부(180)는 S241단계에서 산정된 감상물의 길이를 참고하여, 감상물에 포함될 컨텐츠들을 선정한다(S242).
이때, 선정되는 컨텐츠들은 1) 사진들이거나, 2) 동영상들이거나, 3) 사진들과 동영상들일 수 있다.
이때, 감상물에 포함될 컨텐츠들은 사용자와 관련한 컨텐츠들로 할 수 있다. 즉,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컨텐츠로, 사용자가 직접 등장하거나, 사용자의 가족, 친구 또는 직장 동료가 등장하는 컨텐츠들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감상물에 포함될 컨텐츠 선정 역시 여러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 이 방식들에 대해 기술한다.
첫째로, 감상물에 포함될 컨텐츠들은 사용자의 선호도와 사용자의 최근 감상빈도를 기초로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선호도가 5점 만점에 4점 이상인 컨텐츠들 중 최근 감상빈도가 낮은 컨텐츠들을, 감상물에 포함될 컨텐츠들로 선정할 수 있다.
이때, 선정되는 컨텐츠들은 상호 관련이 있는 것들로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컨텐츠 생성일자가 비슷한 컨텐츠들, 컨텐츠 명칭이 비슷한 컨텐츠들, 수록된 메타데이터의 내용으로부터 상호 관련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컨텐츠들을, 함께 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컨텐츠들을 선정하게 되면, 감상물은 예를 들어 아이의 돌잔치에 관한 컨텐츠들로 구성되거나, 초등학교 졸업식에 관한 컨텐츠들로 구성될 수 있다.
둘째로, 감상물에 포함될 컨텐츠들은 사용자의 감상빈도를 기초로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감상빈도가 낮은 컨텐츠들을, 감상물에 포함될 컨텐츠들로 선정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에게 "이러한 컨텐츠가 있었구나" 또는 "이러한 컨텐츠가 있었었지"라는 흥미를 유발하여 주는데 적합하다.
한편, 감상물이 템플릿 기반으로 제공되는 것이라면, 선정된 컨텐츠들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상물이 한번에 7개의 컨텐츠들을 동시에 나타낼 수 있는 템플릿을 통해 제공되는데 선정된 컨텐츠들의 개수가 10개인 경우, 선정된 컨텐츠들 중 3개를 제외시키거나, 4개의 컨텐츠를 더 선정하여, 선정된 컨텐츠들을 조정하는 것이다.
이때, 제외되는 컨텐츠들은 다른 컨텐츠와 배경이 유사한 컨텐츠, 손떨림이 발생한 컨텐츠 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제어부(180)는 배경음악을 선택한다(S243). S243단계에서 선택되는 배경음악은 저장부(140)에 저장된 음악 컨텐츠들 중 어느 하나로, S242단계에서의 컨텐츠 선정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선택가능하다.
다음, 제어부(180)는 감상물의 제목을 생성한다(S244).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S242단계에서 선정된 컨텐츠들의 메타데이터에 공통적으로 수록되어 있는 단어들이나, 가장 많이 수록되어 있는 단어들을 이용하여 감상물의 제목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감상물의 미리보기를 생성한다(S245). 만약, S242단계에서 선정된 컨텐츠들이 사진들이라면, 제어부(180)는 이들 중 어느 하나를 축소하여 미리보기를 생성하거나, 축소된 사진들의 슬라이드 쇼를 미리보기로 생성할 수 있다.
한편, S242단계에서 선정된 컨텐츠들이 동영상들이라면, 제어부(180)는 이들 중 어느 하나의 첫 장면을 축소하여 미리보기를 생성하거나, 축소된 동여상들의 첫장면들의 슬라이드 쇼를 미리보기로 생성할 수 있다.
S241단계 내지 S245단계에 의해 감상물 제작이 완료된다. 이후, 제어 부(180)는 S241단계 내지 S245단계를 통해 제작이 완료된 감상물을 저장부(140)에 저장한다(S246).
S246단계에서 제작된 감상물을 저장하는 이유는, S250단계에서 감상물 선택시에 이용하기 위함이다.
지금까지, 감상물 제작단계(S240)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감상물 제작단계(S240) 또는 감상물 선택단계(S250) 이후, 감상물 제공단계(S260)가 수행됨을 알 수 있다.
감상물 제공단계(S260)는, S240단계에서 새로이 제작된 감상물 또는 S250단계에서 선택된 감상물을, 현재-시청물 시청에 방해하지 않는 방식으로 제공하는 단계이다.
이를 위해, 제어부(180)는 현재-시청물에 대한 사용자의 주된 시청을 시간적 또는 공간적으로 방해하지 않는 방식으로 감상물이 제공되도록 GUI 생성부(150)를 제어한다.
현재-시청물에 대한 사용자의 주된 시청을 시간적으로 방해하지 않는 경우의 대표적인 예가, 감상물을 현재-시청물과 함께 제공하되 현재-시청물의 주요 부분이 감상물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 경우이다.
도 4에는 현재-시청물의 주요 부분을 가리지 않는 방식으로 감상물을 제공하는 방식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감상물(410)은 현재-시청물의 주요 부분인 1) 중앙 영역, 2) 방송국에 대한 정보(SATV)가 표시된 영역 및 3) 채널에 대한 정보(CH 45)가 표시된 영역을 가리지 않으면서 표시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한편, 감상물(410)에 나타난 "My Memory"는 감상물(410)의 제목을 의미하고, 제목 옆에 기재된 "10:00"은 감상물(410)의 총 재생시간을 의미한다.
현재-시청물에 대한 사용자의 주된 시청을 시간적으로 방해하지 않는 경우의 다른 예가, 현재-시청물에 나타난 항목들을 가리지 않으면서 그 항목들과 동등한 형식으로 감상물을 표시하는 것이다. 이는, 현재-시청물이 EPG 화면인 경우나, Widget, 외부입력 목록, 메뉴 등이 표시된 화면인 경우에 적합하다. 이하에서, 각각의 경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5에는 현재-시청물인 EPG 화면에 대한 주된 시청을 공간적으로 방해하지 않으면서 감상물을 표시한 경우를 도시하였다. 도 5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감상물(520)은 현재 선택된 방송인 "AAA"에 대한 미리보기 항목(510)을 가리지 않으면서 이와 동등한 형식으로 표현되어 있어, 사용자가 EPG 화면을 보면서 원하는 조작을 입력하는데 전혀 방해가 되고 있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에는 현재-시청물인 Widget이 나타난 화면에 대한 주된 시청을 시간적으로 방해하지 않으면서 감상물을 표시한 경우를 도시하였다. 도 6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감상물(640)은 Widget들(610, 620 및 630)을 가리지 않으면서 이와 동등한 형식으로 표현되어, 사용자가 Widget들(610, 620 및 630)을 보는데 전혀 방해가 되고 있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에는 현재-시청물인 TV/외부입력 목록이 나타난 화면에 대한 주된 시청을 시간적으로 방해하지 않으면서 감상물을 표시한 경우를 도시하였다. 도 7에 도 시된 바에 따르면, 감상물(720)은 TV/외부입력 목록(710)에 나열된 항목들(TV, 외부입력1, 외부입력2, S-영상, ... , HDMI)을 가리지 않으면서 이들과 함께 동등하게 나열되어, 사용자가 TV/외부입력 목록(710)을 보면서 조작하는데 전혀 방해가 되고 있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8에는 현재-시청물인 설정 메뉴가 나타난 화면에 대한 주된 시청을 시간적으로 방해하지 않으면서 감상물을 표시한 경우를 도시하였다. 도 8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감상물(820)은 설정 메뉴(810)에 나열된 항목들(현재시각, 시간예약, 게임모드, ... , 기능 도움말)을 가리지 않으면서 이들과 함께 동등하게 나열되어, 사용자가 설정 메뉴(810)을 보면서 조작하는데 전혀 방해가 되고 있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현재-시청물에 대한 사용자의 주된 시청을 공간적으로 방해하지 않는 경우는, 감상물을 현재-시청물과 함께 제공하지 않는 경우이다. 이에 대한 대표적인 예가, 채널 잽핑으로 계속하여 변경되는 방송 화면들 사이에 감상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 잽핑시 현재-시청물인 방송-컨텐츠가 "CH 999"에서 "CH 001"로 바로 넘어가지 않고, 감상물을 거쳐서 넘어가도록 하는 것이 이에 해당한다. 즉, "CH 999"에서 "CH 001"로 넘어가는 사이에, 감상물이 등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시청물을 구성하는 장면 사이에 감상물이 제공되는 경우로 볼 수 있다. 채널 잽핑이 아닌 외부입력 잽핑이나 저장된 컨텐츠들을 잽핑하는 경우에도, 잽핑되는 외부입력들의 사이나 저장된 컨텐츠들의 사이에 감상물을 배치하는 방식으로 구현가능하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관심도는 사용자의 조작을 기초로 파악하였다. 하지만, 추가적으로 사용자의 행동을 기초로 사용자의 관심도를 파악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감지되는 사용자의 행동이 특정한 패턴의 행동인 경우, 예를 들면, 사용자가 눈을 감고 있는 경우, 눈을 깜빡이는 경우, 기기재를 켜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관심도가 낮은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감상물은 저장부(140)에 저장된 컨텐츠들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정하였는데, 이 역시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 예에 불과하다. 따라서, 외부 입력부(120)를 통해 수신가능한 외부기기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들이나, 통신 인터페이스(190)를 통해 액세스할 수 있는 외부기기나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획득가능한 컨텐츠들로 감상물을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3의 S241단계에서 감상물 길이는 사용자의 방송 컨텐츠 시청예약 시각을 기초로 산정한다고 하였는데 이 역시 예시적인 것이다. 사용자가 저장부(140)에 저장된 컨텐츠를 시청예약한 경우에는 이 컨텐츠가 재생 시작하는 시각으로부터 감상물의 길이를 결정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의 선호 방송을 지정한 경우에는, 사용자의 선호 방송 컨텐츠가 시작하는 시각으로부터 감상물의 길이를 결정하게 된다.
한편, 감상물 자동 제공 시점을 DTV가 꺼져 있는 경우 대기 상태에 있는 경 우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감상물의 크기는 DTV 화면의 크기로 할 수 있음은 물론, 이 보다 작게 할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DTV는 전자 액자로도 기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감상물은 1편 제작하고 1편 제공하는 것으로 상정하였다. 하지만, 2편 이상의 감상물을 제작하고, 2편 이상의 감상물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관심도가 낮은 경우 감상물을 바로 제공하는 것으로 상정하였으나, 이와 달리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관심도가 낮은 경우 감상물의 미리 보기를 제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감상물을 감상할 것을 유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감상물의 미리보기는 시청물에 대한 사용자의 주된 시청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이후, 사용자가 감상물의 미리 보기를 선택하는 방식 등으로 감상물 감상에 동의하면, 감상물을 제공하도록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감상물이 제공되고 난 후에, 사용자의 동의가 있으면, 감상물을 풀-화면으로 제공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리모콘(200)에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리모콘 통신부(190)를 통해 리모콘(200)으로 감상물을 전달하여, 리모콘(200)에서 감상물이 제공되도록 구현가능하다.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리모콘(200)으로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리모콘, 디스플레이 버튼을 구비한 리모콘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정한 DTV는 비디오 기기의 일 예에 해당한다. 따라서, DTV 이외의 다른 비디오 기기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의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감상물 자동제공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감상물 제작단계의 상세 흐름도,
도 4 내지 도 8은 현재-시청물에 대한 시청을 시간적으로 방해하지 않으면서, 감상물을 제공하는 방법들을 예시한 도면, 그리고,
도 9는 현재-시청물에 대한 시청을 공간적으로 방해하지 않으면서, 감상물을 제공하는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방송 수신부 120 : 외부입력부
130 : A/V 처리부 140 : 저장부
150 : GUI 생성부 160 : 비디오 출력부
170 : 오디오 출력부 180 : 제어부
190 : 통신 인터페이스 195 : 리모콘 통신부
200 : 리모콘

Claims (23)

  1. 현재 제공되는 시청물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도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관심도가 기준치 미만이면, 새로운 감상물을 제작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한 결과에 따라, 상기 새로운 감상물을 제작하거나 기 저장된 감상물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제공되는 시청물과 다른 감상물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다른 감상물은,
    상기 제작한 새로운 감상물 및 상기 선택한 감상물 중 하나이며,
    상기 파악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시청물을 제공하는 장치에 대한 조작이 수행되는 중에, 상기 사용자의 관심도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상물 자동제공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시청물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주된 시청을 공간적 또는 시간적으로 방해하지 않으면서, 상기 다른 감상물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상물 자동제공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주된 시청을 시간적으로 방해하지 않는 경우는,
    상기 시청물의 주요 부분이 상기 다른 감상물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 경우, 상기 시청물에 나타난 항목들이 상기 다른 감상물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 경우 및 상기 시청물에 나타난 항목들과 동등한 형식으로 상기 다른 감상물을 표시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상물 자동제공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주된 시청을 공간적으로 방해하지 않는 경우는,
    상기 시청물을 구성하는 장면 사이에 상기 다른 감상물이 제공되는 경우, 채널 잽핑으로 계속하여 변경되는 방송 컨텐츠들 사이에 상기 다른 감상물이 제공되는 경우, 외부입력 잽핑으로 계속하여 변경되는 컨텐츠들 사이에 상기 다른 감상물이 제공되는 경우 및 저장된 컨텐츠 잽핑으로 계속하여 변경되는 컨텐츠들 사이에 상기 다른 감상물이 제공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상물 자동제공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관심도가 기준치 미만이면, 상기 다른 감상물의 길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하는 단계에서 결정된 길이로, 상기 다른 감상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하는 단계에서 생성된 상기 다른 감상물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상물 자동제공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현재시각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예약시각까지의 시간 및 상기 사용자의 이전 감상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다른 감상물의 길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상물 자동제공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예약시각은,
    상기 사용자가 시청예약한 방송 컨텐츠가 시작하는 시각, 상기 사용자가 시청예약한 시청물이 재생 시작하는 시각 및 상기 사용자의 선호 방송 컨텐츠가 시작하는 시각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상물 자동제공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악하는 단계는,
    1) 상기 사용자가 채널 잽핑을 수행하는 경우, 2) 상기 사용자가 외부입력 잽핑을 수행하는 경우, 3) 상기 사용자가 저장된 컨텐츠 잽핑을 수행하는 경우, 4) 상기 사용자가 상기 시청물 시청과 관련없는 조작을 수행하는 경우, 4) 상기 사용자가 기준시간 이상 동안 EPG를 조작하고 있는 경우 및 5) 감지되는 사용자의 행동이 특정한 패턴의 행동인 경우 중 어느 하나인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의 관심도를 상기 기준치 미만으로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상물 자동제공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감상물은,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상물 자동제공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감상물은,
    상기 사용자의 선호도가 제1 기준치 이상이지만, 상기 사용자의 최근 감상빈도가 제2 기준치 미만인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상물 자동제공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관심도가 기준치 미만이면, 상기 다른 감상물을 감상할 것을 유도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다른 감상물 감상에 동의하면, 상기 다른 감상물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상물 자동제공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시청물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주된 시청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상기 다른 감상물의 시청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상물 자동제공방법.
  14. 시청물을 제공하는 비디오 출력부;
    감상물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비디오 출력부를 통해 현재 제공되는 상기 시청물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도를 파악하고, 상기 사용자의 관심도가 기준치 미만이면 새로운 감상물을 제작할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새로운 감상물을 제작하거나 상기 저장부에 기 저장된 감상물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제공되는 시청물과 다른 감상물이 상기 비디오 출력부를 통해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다른 감상물은,
    상기 제작한 새로운 감상물 및 상기 선택한 감상물 중 하나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시청물을 제공하는 장치에 대한 조작이 수행되는 중에, 상기 사용자의 관심도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기기.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청물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주된 시청을 공간적 또는 시간적으로 방해하지 않으면서, 상기 다른 감상물이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기기.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주된 시청을 시간적으로 방해하지 않는 경우는,
    상기 시청물의 주요 부분이 상기 다른 감상물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 경우, 상기 시청물에 나타난 항목들이 상기 다른 감상물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 경우 및 상기 시청물에 나타난 항목들과 동등한 형식으로 상기 다른 감상물을 표시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기기.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주된 시청을 공간적으로 방해하지 않는 경우는,
    상기 시청물을 구성하는 장면 사이에 상기 다른 감상물이 제공되는 경우, 채널 잽핑으로 계속하여 변경되는 방송 컨텐츠들 사이에 상기 다른 감상물이 제공되는 경우, 외부입력 잽핑으로 계속하여 변경되는 컨텐츠들 사이에 상기 다른 감상물이 제공되는 경우 및 저장된 컨텐츠 잽핑으로 계속하여 변경되는 컨텐츠들 사이에 상기 다른 감상물이 제공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기기.
  18.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관심도가 기준치 미만이면 상기 다른 감상물의 길이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하는 단계에서 결정된 길이로 상기 다른 감상물을 생성하며, 생성된 상기 다른 감상물이 상기 비디오 출력부를 통해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기기.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현재시각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예약시각까지의 시간 및 상기 사용자의 이전 감상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다른 감상물의 길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기기.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예약시각은,
    상기 사용자가 시청예약한 방송 컨텐츠가 시작하는 시각, 상기 사용자가 시청예약한 시청물이 재생 시작하는 시각 및 상기 사용자의 선호 방송 컨텐츠가 시작하는 시각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기기.
  21.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1) 상기 사용자가 채널 잽핑을 수행하는 경우, 2) 상기 사용자가 외부입력 잽핑을 수행하는 경우, 3) 상기 사용자가 저장된 컨텐츠 잽핑을 수행하는 경우, 4) 상기 사용자가 상기 시청물 시청과 관련없는 조작을 수행하는 경우, 4) 상기 사용자가 기준시간 이상 동안 EPG를 조작하고 있는 경우 및 5) 감지되는 사용자의 행동이 특정한 패턴의 행동인 경우 중 어느 하나인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의 관심도를 상기 기준치 미만으로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기기.
  22.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관심도가 기준치 미만이면 상기 비디오 출력부를 통해 상기 다른 감상물을 감상할 것을 유도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다른 감상물의 감상에 동의하면 상기 다른 감상물이 상기 비디오 출력부를 통해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기기.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청물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주된 시청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상기 다른 감상물의 시청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기기.
KR1020090003865A 2009-01-16 2009-01-16 사용자의 관심도에 기초한 감상물 자동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비디오 기기 KR101564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3865A KR101564392B1 (ko) 2009-01-16 2009-01-16 사용자의 관심도에 기초한 감상물 자동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비디오 기기
US12/629,947 US9204079B2 (en) 2009-01-16 2009-12-03 Method for providing appreciation object automatically according to user's interest and video apparatus using the same
EP09178010A EP2209307A3 (en) 2009-01-16 2009-12-04 Method for providing appreciation object automatically according to user's interest and video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10001919A JP5840349B2 (ja) 2009-01-16 2010-01-07 ユーザの関心度に基づいた鑑賞物の自動提供方法及びこれを適用したビデオ機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3865A KR101564392B1 (ko) 2009-01-16 2009-01-16 사용자의 관심도에 기초한 감상물 자동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비디오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4396A KR20100084396A (ko) 2010-07-26
KR101564392B1 true KR101564392B1 (ko) 2015-11-02

Family

ID=42062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3865A KR101564392B1 (ko) 2009-01-16 2009-01-16 사용자의 관심도에 기초한 감상물 자동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비디오 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204079B2 (ko)
EP (1) EP2209307A3 (ko)
JP (1) JP5840349B2 (ko)
KR (1) KR1015643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63987B2 (en) 2010-05-27 2015-02-24 Microsoft Corporation Non-linguistic signal detection and feedback
US8670018B2 (en) * 2010-05-27 2014-03-11 Microsoft Corporation Detecting reactions and providing feedback to an interaction
US9088823B1 (en) 2011-04-29 2015-07-21 Amazon Technologies, Inc. Customized insertions into digital items
US20140223464A1 (en) * 2011-08-15 2014-08-07 Comigo Ltd. Methods and systems for creating and managing multi participant session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27247A1 (en) * 2006-09-21 2008-05-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laying media
US20080127262A1 (en) * 2006-11-29 2008-05-29 Microsoft Corporation Determining User Interest Based On Guide Navigation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37251B1 (en) * 1999-03-02 2007-06-26 Bigband Network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delay time during switching events to display previously stored information elements
US6944877B1 (en) * 1999-08-27 2005-09-1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losed loop addressable advertising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US7380258B2 (en) * 2000-06-21 2008-05-27 At&T Delaware Intellectual Propert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nd managing programming content and portions thereof
US20030115585A1 (en) * 2001-07-11 2003-06-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nhanced electronic program guide
US20030196211A1 (en) * 2002-04-10 2003-10-16 Peter Cha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simulated rapid tuning of digital video channels
US7360160B2 (en) * 2002-06-20 2008-04-15 At&T Intellectual Property,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ubstitute content in place of blocked content
KR20050042399A (ko) * 2003-11-03 2005-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게이즈 디텍션을 이용한 비디오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JP2005157535A (ja) 2003-11-21 2005-06-16 Canon Inc コンテンツ抽出方法及びコンテンツ抽出装置並びにコンテンツ情報表示方法及び表示装置
KR100982516B1 (ko) 2004-01-28 2010-09-16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컨텐츠 기록 장치에 포함된 데이터 저장 매체의 관리방법 및 그 영상 컨텐츠 기록 장치
JP2005250322A (ja) 2004-03-08 2005-09-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表示装置
EP1582965A1 (en) * 2004-04-01 2005-10-05 Sony Deutschland Gmbh Emotion controlled system for processing multimedia data
JP4716083B2 (ja) * 2004-07-27 2011-07-06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WO2006035450A1 (en) * 2004-09-29 2006-04-0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s and methods for soliciting feedback using print-augmented broadcast signal
JP2006277192A (ja) 2005-03-29 2006-10-12 Advanced Telecommunication Research Institute International 映像表示システム
JP2007214663A (ja) 2006-02-07 2007-08-23 Funai Electric Co Ltd テレビ放送視聴録画システム、録画再生装置及び視聴装置
JP2008103802A (ja) 2006-10-17 2008-05-01 Sharp Corp 映像合成装置
US20090077195A1 (en) * 2007-09-19 2009-03-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accessing audio/visual content
US20090254424A1 (en) * 2008-04-02 2009-10-08 Yahoo! Inc. Enhanced online advertising experience
US8370396B2 (en) * 2008-06-11 2013-02-05 Comcast Cable Holdings, Llc. System and process for connecting media content
US20100070987A1 (en) * 2008-09-12 2010-03-1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ining viewer responses to multimedia content
WO2010049932A1 (en) 2008-10-30 2010-05-06 Taboola.Com Ltd. A system and method for the presentation of alternative content to viewers of video content
US8875167B2 (en) * 2009-09-21 2014-10-28 Mobitv, Inc. Implicit mechanism for determining user response to media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27247A1 (en) * 2006-09-21 2008-05-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laying media
US20080127262A1 (en) * 2006-11-29 2008-05-29 Microsoft Corporation Determining User Interest Based On Guide Navig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09307A3 (en) 2013-04-03
US9204079B2 (en) 2015-12-01
JP5840349B2 (ja) 2016-01-06
EP2209307A2 (en) 2010-07-21
US20100186026A1 (en) 2010-07-22
KR20100084396A (ko) 2010-07-26
JP2010166561A (ja) 2010-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8133B1 (ko) 프로그램 정보 표시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기기
JP2006033094A (ja) 電子機器、電子機器における表示制御方法および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
JP5095857B2 (ja) 番組情報通知装置、テレビジョン受像機、番組情報通知方法、番組情報通知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1992182B1 (ko)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KR20140108928A (ko)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EP0988752B1 (en) A tv receiver with an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JP2000196970A (ja) 情報端末機能付き放送受信機及び同受信機の出力環境設定用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WO2005015380A2 (en) Method of scrolling through a document
KR101564392B1 (ko) 사용자의 관심도에 기초한 감상물 자동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비디오 기기
KR20140108927A (ko)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14731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JPH10145689A (ja) チャンネル選択方法及び装置
JP6825767B2 (ja) 情報端末装置、レコーダ及びコンテンツ視聴プログラム
TWI496468B (zh) 一種影音選取播放方法與系統
CN108307241A (zh) 一种点播节目播放方法及设备
JP2005236777A (ja) メッセ−ジ表示システム
KR10231968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JP5373146B2 (ja) 番組情報通知装置、テレビジョン受像機、番組情報通知方法、番組情報通知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0693626B1 (ko) Pvr시스템에서 녹화 방송 관리 방법
KR100700754B1 (ko) 다양한 캐릭터의 출력을 위한 텔레비젼 수상기 및 방법
JP2000152116A (ja) 電子番組ガイド表示制御方法及び電子番組ガイド表示システム
JP6431288B2 (ja) 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826016B1 (ko) 영상표시기기의 녹화물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297191B1 (ko) 부가정보 표시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JP2008178026A (ja) 放送受信装置および放送表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