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4346B1 - 축냉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축냉 열교환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64346B1 KR101564346B1 KR1020090091574A KR20090091574A KR101564346B1 KR 101564346 B1 KR101564346 B1 KR 101564346B1 KR 1020090091574 A KR1020090091574 A KR 1020090091574A KR 20090091574 A KR20090091574 A KR 20090091574A KR 101564346 B1 KR101564346 B1 KR 10156434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der tank
- space
- tube
- heat exchanger
- exchange medium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4—Thermal energy storage
Landscapes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축냉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공기 흐름 방향으로 최후측 열에 열교환매체 및 축냉재가 동시에 존재함으로써 열교환성능은 그대로 유지되도록 하면서도 축냉재에 의한 냉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냉방 쾌적성을 향상할 수 있는 축냉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열교환기, 아이들, 축냉재, 열교환
Description
본 발명의 축냉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공기 흐름 방향으로 최후측 열에 열교환매체 및 축냉재가 동시에 존재함으로써 열교환성능은 그대로 유지되도록 하면서도 축냉재에 의한 냉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냉방 쾌적성을 향상할 수 있는 축냉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 자동차 산업에 있어서 세계적으로 환경과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연비 개선을 위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다양한 소비자의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경량화ㆍ소형화 및 고기능화를 위한 연구개발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동력과 전기에너지를 동시에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에 대한 연구 개발이 증가되는 추세이다.
상기 하이브리드 차량은 신호대기 등의 정차 시 자동으로 엔진을 정지하고 다시 변속기의 조작으로 엔진이 재시동되도록 하는 아이들 스톱/고 시스템을 채택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상기 하이브리드 차량의 경우에도 냉방장치는 엔진에 의해 작동되므로 엔진이 정지될 경우, 압축기도 정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증발기의 온도가 상승되어 사용자의 쾌적함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증발기 내부의 냉매는 상온에서도 쉽게 기화되므로 압축기가 동작되지 않는 짧은 시간동안 냉매가 기화되어 다시 엔진이 작동되어 압축기 및 증발기가 작동되더라도 기화된 냉매를 압축하여 액화해야하므로 실내에 냉풍이 공급되기 위한 시간이 오래 소요될 뿐만 아니라 전체 에너지 소요량을 높이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냉방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일본특허공개번호 2000-205777호 (발명의 명칭 : 축냉 열교환기)가 제안된 바 있으며, 이를 도 1에 도시하였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축냉 열교환기는 열교환매체가 유통되는 열교환매체 통로(91e)와,축냉재가 저장되는 축냉재실(91f,91f′)을 2중관 구조의 튜브(91)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2중관 구조의 튜브(91)의 외측에 상기 열교환매체와의 열교환되는 유체의 통로(9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축냉 열교환기는 상기 튜브가 여러 개의 판재를 접합하여 형성되므로 접합 불량의 발생빈도가 높고 2중관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제조상의 어려움이 있으며, 접합 불량이 발생되는 경우에 내부의 열교환매체와 축냉재가 혼합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접합 불량이 발생된다 하더라도 그 부분을 찾아내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축냉 열교환기는 2중관의 내측에 열교환매체가 이동되는 통로가 형성되고 외측에 축냉재가 저장되는 축냉재실이 형성되므로 상기 축냉재가 내부의 열교환매체의 냉기를 저장하기에는 용이하지만, 상기 이중관 구조의 외부를 통과하는 공기는 상기 축냉재실과 접촉되므로 열교환매체의 열전달이 저하되는 문제 점이 있다. 또, 상기 이중관 튜브 외측에 개재되는 핀 역시 상기 축냉재실과 접촉될 뿐 상기 열교환매체 통로와는 직접 연결되지 않으며, 상기 축냉재가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이 제한되어 열교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 흐름방향으로 최후측 열의 일부 튜브에 축냉재가 장입되어 열교환매체의 냉기를 효과적으로 저장하고, 엔진 정지 시 냉기를 방출하여 차량 실내의 급격한 온도 상승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의 냉방 쾌적성을 높일 수 있으며, 재 냉방 시 소모되는 에너지와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축냉 열교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헤더탱크에 구획판을 이용하여 구조가 간단하며, 기존의 열교환기를 구성하는 기본 부품을 이용가능함으로써 생산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고, 축냉재가 저장된다 하더라도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아 충분한 풍량을 확보할 수 있는 축냉 열교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축냉 열교환기(1000)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구비되되, 격벽(103)에 의해 구비되는 복수개의 공간 중 공기 흐름 방향으로 최후측 열을 형성하는 공간이 높이방향으로 제1공간부(S1)와 제2공간부(S2)로 구획하는 구획판(105)이 구비되는 제1헤더탱크(110) 및 제2헤더탱크(120); 상기 제1헤더탱크(110) 및 제2헤더탱크(120)에 양단이 고정되되, 공기 흐름 방향으로 최후측 열을 형성하는 부분이 선택적으로 상기 제1공간부(S1) 또는 제2공간부(S2)와 연통되는 복수개의 튜 브(200); 상기 튜브(200) 사이에 개재되는 핀(300); 상기 제1헤더탱크(110) 또는 제2헤더탱크(120)에 연결되는 입구파이프(400) 및 출구파이프(500);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1공간부(S1) 및 상기 제1공간부(S1)와 연통되는 튜브(200) 내부에 축냉재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축냉 열교환기(1000)는 공기 흐름 방향으로 최후측 열을 형성하는 튜브(200)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제1공간부(S1) 또는 제2공간부(S2)와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획판(105)이 상기 제1헤더탱크(110) 및 제2헤더탱크(120)의 길이방향으로 오목부(105a)와 볼록부(105b)가 반복되는 요철(凹凸)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튜브(200)의 단부가 높이방향으로 상기 구획판(105)의 오목부(105a)와 볼록부(105b)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축냉 열교환기(1000)는 공기 흐름 방향으로 최후측 열을 형성하는 제1헤더탱크(110) 또는 제2헤더탱크(120)의 내부 폭 및 튜브(200)의 폭은 다른 열과 비교하여 더 크게 형성(W100-1 〉 W100-2, W200-1 〉 W200-2)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입구파이프(400)는 공기 흐름 방향으로 최후측 열을 형성하는 제1헤더탱크(110) 또는 제2헤더탱크(120)의 열교환매체가 유동되는 제2공간부(S2) 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축냉 열교환기는 공기 흐름방향으로 최후측 열의 일부 튜브에 축냉재가 장입되어 열교환매체의 냉기를 효과적으로 저장하고, 엔진 정지 시 냉기를 방출하여 차량 실내의 급격한 온도 상승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의 냉방 쾌적성을 높일 수 있으며, 재 냉방 시 소모되는 에너지와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축냉 열교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축냉 열교환기는 헤더탱크에 구획판을 이용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기존의 열교환기를 구성하는 기본 부품을 이용가능함으로써 생산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으며, 축냉재가 저장된다 하더라도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아 충분한 풍량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의 축냉 열교환기(1000)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축냉 열교환기(1000)의 사시도, 분해사시도, 헤더(101) 상측 평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축냉 열교환기(1000)의 최후측 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축냉 열교환기(1000)의 다른 분해사시도이고, 도 8 및 도 9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축냉 열교환기(1000)의 회후측 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축냉 열교환기(1000)는 격벽(103)에 의해 구비되는 복수개의 공간 중 공기 흐름 방향으로 최후측 열에 열교환매체 및 축냉재가 동시에 존재하여 열교환성능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축냉재에 의한 냉기를 이용할 수 있는 축냉 열교환기(1000)에 관한 것으로서, 제1헤더탱크(110) 및 제2헤더탱크(120); 튜브(200); 핀(300); 입구파이프(400) 및 출구파이프(50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제1헤더탱크(110) 및 제2헤더탱크(120)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형성되며, 둘 이상의 열을 형성하도록 공기 흐름 방향으로 튜브(200)가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 때, 상기 튜브(200)가 삽입되어 열교환매체가 유동되는 공간 중, 공기 흐름 방향으로 최후측 열을 형성하는 공간 내부에는 높이방향으로 제1공간부(S1)와 제2공간부(S2)로 구획하도록 수평방향으로 구획판(105)이 구비된다.
상기 구획판(105)은 상기 제1헤더탱크(110) 및 제2헤더탱크(120) 내부에 구비되되, 공기 흐름 방향으로 최후측 열을 형성하는 공간을 구획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일부 튜브(200)가 삽입되어 고정되므로 헤더(101)와 같이 튜브삽입홀(106)이 형성된다.
상기 구횐팍이 구획하는 제1공판부와 제2공간부(S2) 중 축냉재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1공간부(S1), 열교환매체가 유동되는 공간을 제2공간부(S2)로 정의한다.
상기 제1헤더탱크(110) 및 제2헤더탱크(120)는 상기 제2공간부(S2)의 영역이 다른 열과 연통되어 열교환매체가 유동될 수 있도록 격벽(103)에 연통부(104)가 형성되며, 축냉재가 저장되는 제1공간부(S1)는 격리된 공간을 형성한다.
도면에서, 상기 제1헤더탱크(110) 및 제2헤더탱크(120)가 헤더(101) 및 탱 크(10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압출파이프 형태의 것이 이용될 수도 있으며, 이 외에도 내부에 열교환매체가 유동되는 중공된 공간을 형성하고, 서로 연통되는 연통부(104)를 형성하능하며, 구획판(105)이 구비될 수 있다면 더욱 다양하게 형성된다.
상기 튜브(200)는 상기 제1헤더탱크(110) 및 제2헤더탱크(120)에 양 단이 고정되어 열교환매체 유로를 형성하거나 축냉재가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더욱 상세하게, 공기 흐름 방향으로 최후측 열을 형성하는 튜브(200)는 선택적으로 상기 제1공간부(S1) 또는 제2공간부(S2)와 연통되어 상기 제1공간부(S1)와 연통되는 부분은 상기 제1공간부(S1)와 함께 축냉재가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제2공간부(S2)와 연통되는 부분은 본래의 역할인 열교환매체가 유동되는 유로를 형성한다.
물론, 공기 흐름 방향으로 최후측 열을 제외한 나머지 열을 형성하는 튜브(200)는 기본적인 역할인 열교환매체가 유동된다.
상기 핀(300)은 상기 튜브(200) 사이에 개재되어 열교환효율을 높이기 위한 구성으로서, 열에 따라 핀(300) 피치(Pitch)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입구파이프(400) 및 출구파이프(500)는 상기 제1헤더탱크(110) 또는 제2헤더탱크(120)에 구비되어 각각 열교환매체를 유입하고 배출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서, 축냉재가 저장되는 제1공간부(S1)의 영역을 제외하고 다른 상기 제1헤더탱크(110) 또는 제2헤더탱크(120)의 모든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축냉 열교환기(1000)는 가장 낮은 온도를 갖는 열교환매체와 축냉재가 열교환되어 축냉 저장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상기 축냉재가 저장되는 부분이 공기 흐름 방향으로 최후측 열에 형성되고, 상기 입구파이프(400)가 공기 흐름 방향으로 최후측 열에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축냉재를 장입하기 위해서, 상기 제1헤더탱크(110) 및 제2헤더탱크(120)는 상기 제1공간부(S1)와 연통되는 축냉재장입부(107)가 형성될 수 있으며, 축냉재 장입 효율을 보다 높이기 위하여 축냉재 장입 시, 내부 공간에 잔존하는 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 공기배출부(108)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본적인 구성요소인 상기 제1헤더탱크(110) 및 제2헤더탱크(120); 튜브(200); 핀(300); 입구파이프(400) 및 출구파이프(500)는 열교환기를 위한 필수적인 요소로서, 본 발명의 축냉 열교환기(1000)는 상기 제1헤더탱크(110) 및 제2헤더탱크(120) 내부에 구비되는 구획판(105)을 추가하는 간단한 구성으로서, 열교환매체의 흐름을 유지하면서도, 축냉재가 위치될 수 있어 열교환매체의 냉기를 효과적으로 저장하고, 엔진 정지 시 냉기를 방출하여 차량 실내의 급격한 온도 상승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의 냉방 쾌적성을 높일 수 있으며, 재 냉방 시 소모되는 에너지와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축냉 열교환기(1000)는 간단한 구성으로서, 생산성을 보다 향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축냉 열교환기(1000)는 상기 구획판(105)의 형태, 튜브(200)의 형 태 등을 변형하여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먼저,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본 발명의 축냉 열교환기(1000)는 공기 흐름 방향으로 최후측 열을 형성하는 튜브(200)가 상기 제1공간부(S1) 및 제2공간부(S2)와 교번되어 연통되도록 함으로써 최후측 열을 형성하는 튜브(200)는 각각 열교환매체 및 축냉재가 번갈아 위치되도록 한 예를 도시하였다.
상기 축냉재가 저장되는 영역은 상기 제1공간부(S1)와 연통되는 튜브(200)의 개수를 조절하고, 형성되는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축냉 성능을 갖는 축냉 열교환기(1000)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축냉 열교환기(1000)는 축냉재가 저장되는 영역인 공기 흐름방향으로 최후측 열을 형성하는 부분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제1헤더탱크(110) 및 제2헤더탱크(120)에 평판형 구획판(105)이 구비되고, 상기 튜브(200)의 단부가 위치되는 영역을 조절하여 형성한 예를 나타내었다.
특히, 상기 축냉 열교환기(1000)는 상기 제1헤더탱크(110) 및 제2헤더탱크(120)의 제1공간부(S1)와, 상기 제1공간부(S1)와 연통되는 일부 튜브(200)에 축냉재가 저장되고, 상기 제1헤더탱크(110) 및 제2헤더탱크(120)의 제2공간부(S2)와, 상기 제2공간부(S2)와 연통되는 나머지 튜브(200)에 열교환매체가 유동된다.
이 때, 상기 도 5에 도시한 축냉 열교환기(1000)는 길이가 짧은 튜브(200)와 길이가 긴 튜브(200)를 이용하여 길이가 짧은 튜브(200)가 제1공간부(S1)와 연통되고, 길이가 긴 튜브(200)가 제2공간부(S2)와 연통되도록 한 예를 도시하였다.
상기 도 5에서 상기 제1공간부(S1)는 상기 제1헤더탱크(110)의 하측 영역에, 상기 제2헤더탱크(120)의 상측 영역에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상기 도 6에 도시한 축냉 열교환기(1000)는 동일한 길이의 튜브(200)를 이용하되, 축냉재가 저장되는 튜브(200)와 열교환매체가 유동되는 튜브(200)가 서로 일정 거리 단차지게 형성된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제1공간부(S1)가 상기 제1헤더탱크(110) 및 제2헤더탱크(120)의 하측에, 상기 제2공간부(S2)가 상기 제1헤더탱크(110) 및 제2헤더탱크(120)의 상측에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본 발명의 축냉 열교환기(1000)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축냉재가 저장되는 영역과 열교환매체가 유동되는 영역이 서로 바뀌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공간부(S1) 및 제2공간부(S2)의 위치가 달라질 경우에, 다른 열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연통부(104)의 구성 역시 상기 제2공간부(S2)와 연결되도록 위치가 변동되어야 한다.)
한편, 최후측 열을 형성하는 튜브(200), 제1헤더탱크(110) 및 제2헤더탱크(120)는 일부 영역이 축냉재가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함으로서, 열교환매체가 유동될 수 있는 영역이 줄어들 수 있으므로, 상기 제1헤더탱크(110) 및 제2헤더탱크(120)의 구획판(105)가 구비되는 공기 흐름 방향의 최후측 열을 형성하는 부분의 폭(W100-1)은 나머지 열을 형성하는 부분의 폭(W100-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고(W100-1 〉 W100-2), 이에 따라 구비되는 튜브(200)의 폭(W200-1) 역시 더 다른 열의 튜브(200) 폴(W200-2)보가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W200-1 〉 W200-2). (도 3, 및 도 4 참조)
아울러, 본 발명의 축냉 열교환기(1000)는 상기 튜브(200)의 폭 뿐만 아니라 상기 튜브(200)의 너비 역시 변동되어 열교환매체의 유동량 또는 축냉재의 저장량을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튜브(200) 사이에 구비되는 핀(300)의 피치 역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축냉 열교환기(1000)는 튜브(200)의 길이가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구획판(105)이 상기 제1헤더탱크(110) 및 제2헤더탱크(120)의 길이방향으로 오목판 부분인 오목부(105a)와 볼록한 부분인 볼록부(105b)가 반복되는 요철형태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이 때, 상기 튜브(200)의 삽입 깊이는 상기 튜브(200)의 단부가 높이방향으로 상기 구획판(105)의 오목부(105a)와 볼록부(105b)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며, 상기 오목한 영역에 튜브(2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튜브삽입홀(106)이 형성된다.
즉, 상기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축냉 열교환기(1000)는 튜브(200)의 길이는 동일하게 형성하고, 요철형태의 구획판(105)을 이용한 것으로서, 축냉재가 저장되는 튜브(200)와 열교환매체가 유동되는 튜브(200)가 교번되게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상기 오목한 영역 또는 볼록한 영역의 너비를 변형할 수 있으며, 상기 축냉재가 저장되는 영역과 열교환매체가 유동되는 영역이 반대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축냉 열교환기(1000)는 공기 흐름방향으로 최후측 열의 일부 튜브(200)에 축냉재가 장입되어 열교환매체의 냉기를 효과적으로 저장하고, 엔진 정 지 시 냉기를 방출하여 차량 실내의 급격한 온도 상승을 방지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도 축냉재에 의해 냉기를 효과적으로 저장하여 사용자의 냉방쾌적성을 보다 향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의 축냉 열교환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축냉 열교환기의 사시도, 분해사시도, 헤더 상측 평면도.
도 4 및 도 5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축냉 열교환기의 최후측 열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축냉 열교환기의 다른 분해사시도.
도 8 및 도 9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축냉 열교환기의 회후측 열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0 : 본 발명에 따른 축냉 열교환기
110 : 제1헤더탱크
120 : 제2헤더탱크
101 : 헤더 102 : 탱크
103 : 격벽 104 : 연통부
105 : 구획판 105a : 오목부
105b : 볼록부 106 : 튜브삽입홀
107 : 축냉재장입부 108 : 공기배출부
200 : 튜브
300 : 핀
400 : 입구파이프 500 : 출구파이프
W100-1 : 최후측 열을 형성하는 헤더탱크 내부의 폭
W100-2 : 다른 열을 형성하는 헤더탱크 내부의 폭
W200-1 : 최후측 열을 형성하는 튜브의 폭
W200-2 : 다른 열을 형성하는 튜브의 폭
S1 : 제1공간부 S2 : 제2공간부
Claims (5)
-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구비되되, 격벽(103)에 의해 구비되는 복수개의 공간 중 공기 흐름 방향으로 최후측 열을 형성하는 공간이 높이방향으로 제1공간부(S1)와 제2공간부(S2)로 구획하는 구획판(105)이 구비되는 제1헤더탱크(110) 및 제2헤더탱크(120);상기 제1헤더탱크(110) 및 제2헤더탱크(120)에 양단이 고정되되, 공기 흐름 방향으로 최후측 열을 형성하는 부분이 선택적으로 상기 제1공간부(S1) 또는 제2공간부(S2)와 연통되는 복수개의 튜브(200);상기 튜브(200) 사이에 개재되는 핀(300);상기 제1헤더탱크(110) 또는 제2헤더탱크(120)에 연결되는 입구파이프(400) 및 출구파이프(500);를 포함하여 형성되며,상기 제1공간부(S1) 및 상기 제1공간부(S1)와 연통되는 튜브(200) 내부에 축냉재가 저장되며,상기 구획판(105)이 상기 제1헤더탱크(110) 및 제2헤더탱크(120)의 길이방향으로 오목부(105a)와 볼록부(105b)가 반복되는 요철(凹凸)형태로 형성되며,상기 튜브(200)의 단부가 높이방향으로 상기 구획판(105)의 오목부(105a)와 볼록부(105b)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냉 열교환기.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축냉 열교환기(1000)는 공기 흐름 방향으로 최후측 열을 형성하는 제1헤더탱크(110) 또는 제2헤더탱크(120)의 내부 폭 및 튜브(200)의 폭은 다른 열과 비교하여 더 크게 형성(W100-1 〉 W100-2, W200-1 〉 W200-2)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냉 열교환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입구파이프(400)는 공기 흐름 방향으로 최후측 열을 형성하는 제1헤더탱크(110) 또는 제2헤더탱크(120)의 열교환매체가 유동되는 제2공간부(S2) 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냉 열교환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91574A KR101564346B1 (ko) | 2009-09-28 | 2009-09-28 | 축냉 열교환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91574A KR101564346B1 (ko) | 2009-09-28 | 2009-09-28 | 축냉 열교환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34153A KR20110034153A (ko) | 2011-04-05 |
KR101564346B1 true KR101564346B1 (ko) | 2015-10-29 |
Family
ID=44042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91574A KR101564346B1 (ko) | 2009-09-28 | 2009-09-28 | 축냉 열교환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6434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37055B1 (ko) * | 2012-03-19 | 2014-09-02 |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 축냉 열교환기 |
CN108775663B (zh) * | 2018-08-06 | 2021-05-07 | 天津大学 | 空气源热泵空调器用无风机且内置蓄热介质的室内换热器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321137A (ja) * | 2004-05-07 | 2005-11-17 | Denso Corp | 熱交換器 |
JP2008151396A (ja) * | 2006-12-15 | 2008-07-03 | Denso Corp | 熱交換器及び蒸気圧縮式冷凍サイクル |
-
2009
- 2009-09-28 KR KR1020090091574A patent/KR10156434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321137A (ja) * | 2004-05-07 | 2005-11-17 | Denso Corp | 熱交換器 |
JP2008151396A (ja) * | 2006-12-15 | 2008-07-03 | Denso Corp | 熱交換器及び蒸気圧縮式冷凍サイクル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34153A (ko) | 2011-04-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S2810865T3 (es) | Intercambiador de calor | |
KR101929910B1 (ko) | 축냉 열교환기 | |
JP5862507B2 (ja) | 蓄冷熱交換器 | |
JP5046771B2 (ja) | 冷媒蒸発器 | |
US20100223949A1 (en) | Evaporator with cool storage function | |
US20100236767A1 (en) | Hydrogen gas storing device | |
JP5768480B2 (ja) | 蓄冷熱交換器 | |
CN102741643A (zh) | 包含储热材料的热交换装置 | |
JP2016203766A (ja) | 蓄冷熱交換器 | |
JPH08233408A (ja) | シェルアンドチューブ式凝縮器 | |
KR101320329B1 (ko) | 축냉 증발기 | |
KR101756213B1 (ko) | 축냉 열교환기 | |
KR101564346B1 (ko) | 축냉 열교환기 | |
CN108709445B (zh) | 保冷热交换器 | |
KR101551692B1 (ko) | 축냉 열교환기 | |
JP2010243066A (ja) | 蓄冷熱交換器 | |
JP6128188B2 (ja) | 蓄冷熱交換器 | |
KR101437055B1 (ko) | 축냉 열교환기 | |
KR20170022015A (ko) | 축냉 증발기 | |
KR20180131015A (ko) | 축냉 열교환기 | |
KR101291028B1 (ko) | 축냉 증발기 | |
KR102173343B1 (ko) | 축냉 열교환기 | |
KR101291030B1 (ko) | 축냉 열교환기 | |
KR101170690B1 (ko) | 축냉 열교환기 | |
KR101527887B1 (ko) | 축냉 열교환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