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4313B1 - 가상간접 광고 삽입을 위한 삽입 영역 가이드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가상간접 광고 삽입을 위한 삽입 영역 가이드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4313B1
KR101564313B1 KR1020140009194A KR20140009194A KR101564313B1 KR 101564313 B1 KR101564313 B1 KR 101564313B1 KR 1020140009194 A KR1020140009194 A KR 1020140009194A KR 20140009194 A KR20140009194 A KR 20140009194A KR 101564313 B1 KR101564313 B1 KR 101564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osure
virtual indirect
advertisement
indirect advertisement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9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8654A (ko
Inventor
신형철
한주현
이수빈
전병기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9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4313B1/ko
Priority to US14/898,450 priority patent/US10904638B2/en
Priority to CN201480033739.0A priority patent/CN105284122B/zh
Priority to PCT/KR2014/012159 priority patent/WO2015111840A1/ko
Publication of KR20150088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8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4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4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가상간접 광고 삽입을 위한 삽입 영역 가이드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간접 광고 삽입을 위한 삽입 영역 가이드 정보 제공 장치는, 비디오 영상 콘텐츠 내에 가상간접 광고를 삽입할 후보 영역을 결정하는 후보 영역 결정부; 상기 후보 영역에 상기 가상간접 광고를 가공하여 삽입하는 광고 삽입부; 상기 가상간접 광고가 상기 비디오 영상 콘텐츠 내에서 노출되는 노출 특성에 기반하여 상기 가상간접 광고의 노출 정도를 측정하는 노출 측정부; 및 사용자에게 상기 가상간접 광고의 노출 정도를 포함하는 삽입 영역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상간접 광고 삽입을 위한 삽입 영역 가이드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INSERTION AREA GUIDE INFORMATION APPARATUS FOR INSERTING DIGITAL PRODUCT PLACEMENT AND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가상간접 광고 삽입을 위한 삽입 영역 가이드 정보 제공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상간접 광고가 삽입될 후보 영역을 정하고, 후보 영역의 노출 정도를 측정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각각의 후보 영역의 광고 효과를 보다 직관적으로 인지하면서 가상간접 광고 삽입 영역 선택이 가능하도록 가이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가상간접 광고 삽입을 위한 경계값 산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광고 시장 규모가 커지면서 드라마, 영화 및 스포츠 중계 방송을 하는 방송사 등은 드라마나 스포츠 방송 등에 광고 아이템에 관한 영상을 삽입하여 광고 효과를 배가하는 간접 광고(product placement, indirect advertising) 또는 가상 광고(virtual advertising)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일반적으로, 비디오 영상 콘텐츠 내에 광고를 삽입할 수 있는 수많은 영역들 중 어디에 삽입하여야 원하는 광고 효과를 누릴 수 있는지에 대한 명확한 판단 기준이 없어, 가상간접 광고 삽입 위치 선정에 어려움이 있었다.
비디오 영상 콘텐츠 내에 광고를 삽입할 수 있는 영역 각각에 대해 사용자가 광고 효과를 판단하는 지표로서 광고 노출 정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면 사용자는 보다 용이하게 가상간접 광고 삽입 위치를 선정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가상간접 광고가 삽입될 후보 영역을 정하고, 후보 영역의 노출 정도를 측정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각각의 후보 영역의 광고 효과를 보다 직관적으로 인지하면서 가상간접 광고 삽입 영역 선택이 가능하도록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새로운 가상간접 광고 삽입을 위한 삽입 영역 가이드 정보 제공 기술의 필요성이 절실하게 대두된다.
한국 공개 특허 제10-2013-0035151호, 2013년 4월 8일 공개 (명칭: 옥외 광고에서 차등적으로 광고비를 과금하는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가상간접 광고가 삽입될 후보 영역을 정하고, 후보 영역의 노출 정도를 측정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각각의 후보 영역의 광고 효과를 보다 직관적으로 인지하면서 가상간접 광고 삽입 영역 선택이 가능하도록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상간접 광고가 삽입될 후보 영역이 일정 수준 이상의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에만 해당 후보 영역관련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게 가상간접 광고 삽입 영역 선택이 가능하도록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상간접 광고가 노출되는 크기, 시간, 각도, 위치, 화면 내에서의 이동속도, 다른 물체에 의해 가려지는 영역의 크기 및 가려지는 빈도와 같이 다양한 측정 기준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산출된 종합적인 노출 정도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각각의 후보 영역의 광고 효과를 토대로 보다 효율적으로 가상간접 광고 삽입 영역 선택이 가능하도록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상간접 광고 삽입을 위한 삽입 영역 가이드 정보 제공 장치는, 비디오 영상 콘텐츠 내에 가상간접 광고를 삽입할 후보 영역을 결정하는 후보 영역 결정부; 상기 후보 영역에 상기 가상간접 광고를 가공하여 삽입하는 광고 삽입부; 상기 가상간접 광고가 상기 비디오 영상 콘텐츠 내에서 노출되는 노출 특성에 기반하여 상기 가상간접 광고의 노출 정도를 측정하는 노출 측정부; 및 사용자에게 상기 가상간접 광고의 노출 정도를 포함하는 삽입 영역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한다.
이 때, 정보 제공부는 상기 가상간접 광고의 노출 정도가 기설정된 기준 노출 정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가상간접 광고의 노출 정도가 상기 기준 노출 정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가상간접 광고의 노출 정도를 포함하는 상기 삽입 영역 가이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정보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가상간접 광고가 삽입된 후보 영역 및 상기 가상간접 광고가 삽입되기 전의 후보 영역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가상간접 광고 삽입을 위한 삽입 영역 가이드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노출 정도에 기반하여 상기 가상간접 광고의 광고비를 산정하는 광고비 산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광고비를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광고 삽입부는 상기 후보 영역에 삽입할 상기 가상간접 광고를 선택하는 광고 선택부; 상기 가상간접 광고가 상기 후보 영역에 삽입될 수 있도록 사전가공특성에 기반하여 상기 가상간접 광고를 가공하는 광고 가공부; 및 상기 후보 영역에 상기 가공된 가상간접 광고를 삽입하는 가공 광고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노출 특성은 상기 가상간접 광고가 상기 비디오 영상 콘텐츠 내에서 노출되며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실시간 특성 및 상기 사전가공특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노출 측정부는 상기 가상간접 광고가 상기 비디오 영상 콘텐츠 내에서 노출되는 노출 영역의 크기의 전체 화면의 크기에 대한 비율이 클수록 상기 노출 정도가 큰 것으로 측정하는 크기 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노출 측정부는 상기 가상간접 광고가 상기 비디오 영상 콘텐츠 내에서 노출되는 노출 시간이 길수록 상기 노출 정도가 큰 것으로 측정하는 시간 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노출 측정부는 상기 가상간접 광고가 상기 비디오 영상 콘텐츠 내에서 노출되는 각도와 기설정된 기준 각도의 차이가 클수록 상기 노출 정도가 작은 것으로 측정하는 변형 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노출 측정부는 상기 가상간접 광고가 상기 비디오 영상 콘텐츠 내에서 노출되며 다른 물체에 의해 가려지는 영역의 크기가 클수록 상기 노출 정도가 작은 것으로 측정하는 가려짐 크기 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노출 측정부는 상기 가상간접 광고가 상기 비디오 영상 콘텐츠 내에서 노출되며 다른 물체에 의해 가려지는 빈도가 높을수록 상기 노출 정도가 작은 것으로 측정하는 가려짐 빈도 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노출 측정부는 상기 가상간접 광고가 화면의 중앙에 가깝게 배치될수록 상기 노출 정도가 큰 것으로 측정하는 위치 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노출 측정부는 상기 가상간접 광고가 상기 비디오 영상 콘텐츠 내에서 노출되며 화면 내에서 이동하는 이동속도가 빠를수록 상기 노출 정도가 작은 것으로 측정하는 속도 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노출 측정부는 노출 특성에 기반하여 측정된 노출 정도를 취합하여 종합적인 노출 정도를 산출하는 노출 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고비 산정부는 상기 종합적인 노출 정도가 클수록 상기 광고비를 높게 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상간접 광고 삽입을 위한 삽입 영역 가이드 정보 제공 방법은, 비디오 영상 콘텐츠 내에 가상간접 광고를 삽입할 후보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후보 영역에 상기 가상간접 광고를 가공하여 삽입하는 단계; 상기 가상간접 광고가 상기 비디오 영상 콘텐츠 내에서 노출되는 노출 특성에 기반하여 상기 가상간접 광고의 노출 정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사용자에게 상기 가상간접 광고의 노출 정도를 포함하는 삽입 영역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삽입 영역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간접 광고의 노출 정도가 기설정된 기준 노출 정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가상간접 광고의 노출 정도가 상기 기준 노출 정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가상간접 광고의 노출 정도를 포함하는 상기 삽입 영역 가이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삽입 영역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가상간접 광고가 삽입된 후보 영역 및 상기 가상간접 광고가 삽입되기 전의 후보 영역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가상간접 광고 삽입을 위한 삽입 영역 가이드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노출 정도에 기반하여 상기 가상간접 광고의 광고비를 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삽입 영역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광고비를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가상간접 광고를 가공하여 삽입하는 단계는 상기 후보 영역에 삽입할 상기 가상간접 광고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가상간접 광고가 상기 후보 영역에 삽입될 수 있도록 사전가공특성에 기반하여 상기 가상간접 광고를 가공하는 단계; 및 상기 후보 영역에 상기 가공된 가상간접 광고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노출 특성은 상기 가상간접 광고가 상기 비디오 영상 콘텐츠 내에서 노출되며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실시간 특성 및 상기 사전가공특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상간접 광고가 삽입될 후보 영역을 정하고, 후보 영역의 노출 정도를 측정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각각의 후보 영역의 광고 효과를 보다 직관적으로 인지하면서 가상간접 광고 삽입 영역 선택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가상간접 광고가 삽입될 후보 영역이 일정 수준 이상의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에만 해당 후보 영역관련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게 가상간접 광고 삽입 영역 선택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가상간접 광고가 노출되는 크기, 시간, 각도, 위치, 화면 내에서의 이동속도, 다른 물체에 의해 가려지는 영역의 크기 및 가려지는 빈도와 같이 다양한 측정 기준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산출된 종합적인 노출 정도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각각의 후보 영역의 광고 효과를 토대로 보다 효율적으로 가상간접 광고 삽입 영역 선택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간접 광고 삽입을 위한 삽입 영역 가이드 정보 제공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광고 삽입부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노출 측정부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노출 측정부에서 계산되는 수식의 일 예를 나타낸 수식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간접 광고 삽입을 위한 삽입 영역 가이드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삽입 영역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의 일 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가상간접 광고를 가공하여 삽입하는 단계의 일 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간접 광고 삽입을 위한 삽입 영역 가이드 정보 제공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간접 광고 삽입을 위한 삽입 영역 가이드 정보 제공 장치는 후보 영역 결정부(110), 광고 삽입부(120), 노출 측정부(130) 및 정보 제공부(140)를 포함한다.
후보 영역 결정부(110)는 비디오 영상 콘텐츠 내에 가상간접 광고를 삽입할 후보 영역을 결정한다.
광고 삽입부(120)는 상기 후보 영역에 상기 가상간접 광고를 가공하여 삽입한다.
이 때, 광고 삽입부(120)는 상기 후보 영역에 삽입할 상기 가상간접 광고를 선택하고, 가상간접 광고가 상기 후보 영역에 삽입될 수 있도록 사전가공특성에 기반하여 상기 가상간접 광고를 가공하고, 후보 영역에 상기 가공된 가상간접 광고를 삽입할 수 있다.
이 때, 사전가공특성은 상기 가상간접 광고가 상기 비디오 영상 콘텐츠 내에서 노출되는 크기, 각도에 따른 변형, 다른 물체에 의해 가려지는 크기 및 화면 내에서 이동하는 이동 속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노출 측정부(130)는 상기 가상간접 광고가 상기 비디오 영상 콘텐츠 내에서 노출되는 노출 특성에 기반하여 상기 가상간접 광고의 노출 정도를 측정한다.
이 때, 노출 특성은 상기 가상간접 광고가 상기 비디오 영상 콘텐츠 내에서 노출되며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실시간 특성 및 상기 사전가공특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실시간 특성은 상기 가상간접 광고가 상기 비디오 영상 콘텐츠 내에서 노출되는 시간, 다른 물체에 의해 가려지는 빈도 및 화면 내에 배치되는 위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노출 측정부(130)는 상기 가상간접 광고가 상기 비디오 영상 콘텐츠 내에서 노출되는 노출 영역의 크기의 전체 화면의 크기에 대한 비율이 클수록 상기 노출 정도가 큰 것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노출 측정부(130)는 상기 가상간접 광고가 상기 비디오 영상 콘텐츠 내에서 노출되는 노출 시간이 길수록 상기 노출 정도가 큰 것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노출 측정부(130)는 상기 가상간접 광고가 상기 비디오 영상 콘텐츠 내에서 노출되는 각도와 기설정된 기준 각도의 차이가 클수록 상기 노출 정도가 작은 것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노출 측정부(130)는 상기 가상간접 광고가 상기 비디오 영상 콘텐츠 내에서 노출되며 다른 물체에 의해 가려지는 영역의 크기가 클수록 상기 노출 정도가 작은 것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노출 측정부(130)는 상기 가상간접 광고가 상기 비디오 영상 콘텐츠 내에서 노출되며 다른 물체에 의해 가려지는 빈도가 높을수록 상기 노출 정도가 작은 것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노출 측정부(130)는 상기 가상간접 광고가 화면의 중앙에 가깝게 배치될수록 상기 노출 정도가 큰 것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노출 측정부(130)는 상기 가상간접 광고가 상기 비디오 영상 콘텐츠 내에서 노출되며 화면 내에서 이동하는 이동속도가 빠를수록 상기 노출 정도가 작은 것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노출 측정부(130)는 노출 특성에 기반하여 측정된 노출 정도를 취합하여 종합적인 노출 정도를 산출할 수 있다.
정보 제공부(140)는 사용자에게 상기 가상간접 광고의 노출 정도를 포함하는 삽입 영역 가이드 정보를 제공한다.
이 때, 정보 제공부(140)는 상기 가상간접 광고의 노출 정도가 기설정된 기준 노출 정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가상간접 광고의 노출 정도가 상기 기준 노출 정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가상간접 광고의 노출 정도를 포함하는 상기 삽입 영역 가이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정보 제공부(140)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가상간접 광고가 삽입된 후보 영역 및 상기 가상간접 광고가 삽입되기 전의 후보 영역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표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간접 광고 삽입을 위한 삽입 영역 가이드 정보 제공 장치에 의해 사용자는 가상갑접 광고가 삽입될 후보 영역 및 후보 영역에 상응하는 노출 정도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후보 영역 및 노출 정도를 함께 보면서 가상간접 광고를 최종적으로 삽입할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후보 영역에 가상간접 광고가 삽입된 모습을 보면서 가상간접 광고를 최종적으로 삽입할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간접 광고 삽입을 위한 삽입 영역 가이드 정보 제공 장치에 의해 사용자는 가상간접 광고가 삽입될 수 있는 여러 후보 영역들 중 일부를 선택하여 광고를 삽입하는 경우, 보다 편리하게 삽입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간접 광고 삽입을 위한 삽입 영역 가이드 정보 제공 장치에 의해 사용자는 노출 정도가 어느 수준을 초과하는 후보 영역에 해당하는 정보만을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위 30% 이상인 후보 영역에 해당하는 정보만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간접 광고 삽입을 위한 삽입 영역 가이드 정보 제공 장치에 의해 사용자는 가상간접 광고가 삽입될 수 있는 여러 후보 영역들 중 보다 신속하게 광고 효과가 높은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도 1에는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간접 광고 삽입을 위한 삽입 영역 가이드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노출 정도에 기반하여 상기 가상간접 광고의 광고비를 산정하는 광고비 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정보 제공부(140)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광고비를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광고비 산정부는 노출 정도가 클수록 상기 가상간접 광고의 광고비를 높게 산정하고, 노출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상기 종합적인 노출 정도가 클수록 상기 광고비를 높게 산정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광고 삽입부(120)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광고 삽입부(120)는 광고 선택부(210), 광고 가공부(220) 및 가공 광고 삽입부(230)를 포함한다.
광고 선택부(210)는 상기 후보 영역에 삽입할 상기 가상간접 광고를 선택한다.
광고 가공부(220)는 상기 가상간접 광고가 상기 후보 영역에 삽입될 수 있도록 사전가공특성에 기반하여 상기 가상간접 광고를 가공한다.
이 때, 사전가공특성은 상기 가상간접 광고가 상기 비디오 영상 콘텐츠 내에서 노출되는 크기, 각도에 따른 변형, 다른 물체에 의해 가려지는 크기 및 화면 내에서 이동하는 이동 속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가공 광고 삽입부(230)는 상기 후보 영역에 상기 가공된 가상간접 광고를 삽입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노출 측정부(130)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노출 측정부(130)는 크기 측정부(310), 시간 측정부(320), 변형 측정부(330), 가려짐 크기 측정부(340), 가려짐 빈도 측정부(350), 위치 측정부(360), 속도 측정부(370) 및 노출 산출부(380)를 포함한다.
크기 측정부(310)는 상기 가상간접 광고가 상기 비디오 영상 콘텐츠 내에서 노출되는 노출 영역의 크기의 전체 화면의 크기에 대한 비율이 클수록 상기 노출 정도가 큰 것으로 측정한다.
화면 내에 가상간접 광고가 크게 노출될수록 객관적인 노출 정도가 큰 것은 자명하다.
이 때, 상기 가상간접 광고가 상기 비디오 영상 콘텐츠 내에서 노출되는 노출 영역의 크기는 실시간으로 측정하지 않고 광고 가공부에서 상기 가상간접 광고를 가공할 때의 정보에 기반하여 측정할 수도 있다.
시간 측정부(320)는 상기 가상간접 광고가 상기 비디오 영상 콘텐츠 내에서 노출되는 노출 시간이 길수록 상기 노출 정도가 큰 것으로 측정한다.
가상간접 광고가 오래 노출될수록 객관적인 노출 정도가 큰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변형 측정부(330)는 상기 가상간접 광고가 카메라 시점의 각도에 따라 변형되는 정도를 측정한다.
이 때, 변형 측정부(330)는 상기 가상간접 광고가 상기 비디오 영상 콘텐츠 내에서 노출되는 각도와 기설정된 기준 각도의 차이가 클수록 상기 노출 정도가 작은 것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기설정된 기준 각도는 가상간접 광고의 정면에 상응하는 각도일 수 있다.
따라서, 가상간접 광고가 정면과 차이가 큰 각도로 노출될수록 변형 정도가 큰 것이고, 노출 정도는 작은 것으로 측정된다.
이 때, 상기 가상간접 광고가 상기 비디오 영상 콘텐츠 내에서 노출되는 각도는 실시간으로 측정하지 않고 광고 가공부에서 상기 가상간접 광고를 가공할 때의 정보에 기반하여 측정할 수도 있다.
가려짐 크기 측정부(340)는 상기 가상간접 광고가 상기 비디오 영상 콘텐츠 내에서 노출되며 다른 물체에 의해 가려지는 영역의 크기가 클수록 상기 노출 정도가 작은 것으로 측정한다.
가상간접 광고가 다른 물체에 의해 많이 가려질수록 노출 정도가 작은 것은 자명하다.
이 때, 상기 가상간접 광고가 상기 비디오 영상 콘텐츠 내에서 노출되며 다른 물체에 의해 가려지는 영역의 크기는 실시간으로 측정하지 않고 광고 가공부에서 상기 가상간접 광고를 가공할 때의 정보에 기반하여 측정할 수도 있다.
가려짐 빈도 측정부(350)는 상기 가상간접 광고가 상기 비디오 영상 콘텐츠 내에서 노출되며 다른 물체에 의해 가려지는 빈도가 높을수록 상기 노출 정도가 작은 것으로 측정한다.
가상간접 광고가 다른 물체에 의해 자주 가려질수록 노출 정도가 작은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위치 측정부(360)는 상기 가상간접 광고가 화면의 중앙에 가깝게 배치될수록 상기 노출 정도가 큰 것으로 측정한다.
즉, 가상간접 광고가 화면의 중앙에 가깝게 배치될수록 돌출성이 높은 가상간접 광고가 될 것이고, 돌출적으로 배치된 광고에 시청자가 더욱 관심을 가질 것이므로 노출 정도가 큰 것으로 측정한다.
속도 측정부(370)는 상기 가상간접 광고가 상기 비디오 영상 콘텐츠 내에서 노출되며 화면 내에서 이동하는 이동속도가 빠를수록 상기 노출 정도가 작은 것으로 측정한다.
즉, 가상간접 광고가 화면 내에서 빠르게 이동할수록 시청자가 인식하거나 관심을 가지기 힘드므로 노출 정도가 작은 것으로 측정한다.
이 때, 상기 가상간접 광고가 상기 비디오 영상 콘텐츠 내에서 노출되며 화면 내에서 이동하는 이동속도는 실시간으로 측정하지 않고 광고 가공부에서 상기 가상간접 광고를 가공할 때의 정보에 기반하여 측정할 수도 있다.
노출 산출부(380)는 노출 특성에 기반하여 측정된 노출 정도를 취합하여 종합적인 노출 정도를 산출한다.
이 때, 각각의 기준에는 상이한 가중치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도에 따른 변형에 기반하여 측정된 노출 정도보다 노출 영역의 크기에 기반하여 측정된 노출 정도가 더 높은 가중치를 가질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노출 측정부(130)에서 계산되는 수식의 일 예를 나타낸 수식이다.
도 4을 참조하면, 노출 측정부(130)에서 계산되는 수식은 계수들(a 내지 g)과 변수 E, S, T, A, C, F, D 및 V가 포함된다.
변수 E는 노출 정도를 나타낸다. 도 4에 도시된 수식에 의해서 도출된다.
변수 S는 상기 비디오 영상 콘텐츠 내에서 상기 가상간접 광고가 노출되는 노출 영역의 크기를 나타낸다.
이 때, S는 상기 노출 영역의 화소 수를 전체 화면의 화소 수로 나누어 계산된다.
변수 S가 클수록 노출 정도가 크게 계산된다.
변수 T는 상기 비디오 영상 콘텐츠 내에서 상기 가상간접 광고가 노출되는 시간을 나타낸다.
이 때, 변수 T는 초, 밀리초 또는 프레임 수 등의 단위로 계산될 수 있다.
변수 T가 클수록 노출 정도가 크게 계산된다.
변수 A는 상기 비디오 영상 콘텐츠 내에서 상기 가상간접 광고가 노출되며 각도에 따라 변형된 정도를 나타낸다.
이 때, 변수 A는 기설정된 기준 각도와 상기 비디오 영상 콘텐츠 내에서 상기 가상간접 광고가 노출되는 각도와의 차이에 의해 계산된다.
이 때, 기설정된 기준 각도는 가상간접 광고의 정면에 상응하는 각도일 수 있다.
변수 A가 클수록 노출 정도가 작게 계산된다.
변수 C는 상기 비디오 영상 콘텐츠 내에서 상기 가상간접 광고가 노출되며 다른 물체에 의해 가려지는 영역의 크기를 나타낸다.
변수 C는 상기 다른 물체에 의해 가려지는 영역이 포함하는 화소 수를 상기 비디오 영상 콘텐츠 내에서 상기 가상간접 광고가 노출되는 노출 영역이 포함하는 화소 수로 나누어 계산된다.
변수 C가 클수록 노출 정도가 작게 계산된다.
변수 F는 상기 비디오 영상 콘텐츠 내에서 상기 가상간접 광고가 노출되며 다른 물체에 의해 가려지는 빈도를 나타낸다.
변수 F는 상기 비디오 영상 콘텐츠 내에서 상기 가상간접 광고가 다른 물체에 의해 가려지는 시간을 전체 노출 시간으로 나누어 계산된다.
변수 F가 클수록 노출 정도가 작게 계산된다.
변수 D는 상기 비디오 영상 콘텐츠 내에서 상기 가상간접 광고가 노출되는 위치와 화면 중앙과의 거리를 나타낸다.
변수 D가 클수록 노출 정도가 작게 계산된다.
변수 V는 상기 비디오 영상 콘텐츠 내에서 상기 가상간접 광고가 노출되며 화면 내에서 이동하는 이동 속도를 나타낸다.
변수 V가 클수록 노출 정도가 작게 계산된다.
도 1에 도시된 노출 측정부(130)에서 노출 정도가 계산되는 방법은 도 4에 도시된 수식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도 4에 도시된 수식과 상이한 수식에 의하여 노출 정도가 다르게 도출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간접 광고 삽입을 위한 삽입 영역 가이드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5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간접 광고 삽입을 위한 삽입 영역 가이드 정보 제공 방법은 비디오 영상 콘텐츠 내에 가상간접 광고를 삽입할 후보 영역을 결정한다(S510).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간접 광고 삽입을 위한 삽입 영역 가이드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후보 영역에 상기 가상간접 광고를 가공하여 삽입한다(S520).
이 때, 단계(S520)는 상기 후보 영역에 삽입할 상기 가상간접 광고를 선택하고, 가상간접 광고가 상기 후보 영역에 삽입될 수 있도록 사전가공특성에 기반하여 상기 가상간접 광고를 가공하고, 후보 영역에 상기 가공된 가상간접 광고를 삽입할 수 있다.
이 때, 사전가공특성은 상기 가상간접 광고가 상기 비디오 영상 콘텐츠 내에서 노출되는 크기, 각도에 따른 변형, 다른 물체에 의해 가려지는 크기 및 화면 내에서 이동하는 이동 속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간접 광고 삽입을 위한 삽입 영역 가이드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가상간접 광고가 상기 비디오 영상 콘텐츠 내에서 노출되는 노출 특성에 기반하여 상기 가상간접 광고의 노출 정도를 측정한다(S530).
이 때, 노출 특성은 상기 가상간접 광고가 상기 비디오 영상 콘텐츠 내에서 노출되며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실시간 특성 및 상기 사전가공특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실시간 특성은 상기 가상간접 광고가 상기 비디오 영상 콘텐츠 내에서 노출되는 시간, 다른 물체에 의해 가려지는 빈도 및 화면 내에 배치되는 위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530)는 상기 가상간접 광고가 상기 비디오 영상 콘텐츠 내에서 노출되는 노출 영역의 크기의 전체 화면의 크기에 대한 비율이 클수록 상기 노출 정도가 큰 것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530)는 상기 가상간접 광고가 상기 비디오 영상 콘텐츠 내에서 노출되는 노출 시간이 길수록 상기 노출 정도가 큰 것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530)는 상기 가상간접 광고가 상기 비디오 영상 콘텐츠 내에서 노출되는 각도와 기설정된 기준 각도의 차이가 클수록 상기 노출 정도가 작은 것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530)는 상기 가상간접 광고가 상기 비디오 영상 콘텐츠 내에서 노출되며 다른 물체에 의해 가려지는 영역의 크기가 클수록 상기 노출 정도가 작은 것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530)는 상기 가상간접 광고가 상기 비디오 영상 콘텐츠 내에서 노출되며 다른 물체에 의해 가려지는 빈도가 높을수록 상기 노출 정도가 작은 것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530)는 상기 가상간접 광고가 화면의 중앙에 가깝게 배치될수록 상기 노출 정도가 큰 것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530)는 상기 가상간접 광고가 상기 비디오 영상 콘텐츠 내에서 노출되며 화면 내에서 이동하는 이동속도가 빠를수록 상기 노출 정도가 작은 것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530)는 노출 특성에 기반하여 측정된 노출 정도를 취합하여 종합적인 노출 정도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간접 광고 삽입을 위한 삽입 영역 가이드 정보 제공 방법은 사용자에게 상기 가상간접 광고의 노출 정도를 포함하는 삽입 영역 가이드 정보를 제공한다(S540).
이 때, 단계(S540)는 상기 가상간접 광고의 노출 정도가 기설정된 기준 노출 정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가상간접 광고의 노출 정도가 상기 기준 노출 정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가상간접 광고의 노출 정도를 포함하는 상기 삽입 영역 가이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540)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가상간접 광고가 삽입된 후보 영역 및 상기 가상간접 광고가 삽입되기 전의 후보 영역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5에는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간접 광고 삽입을 위한 삽입 영역 가이드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노출 정도에 기반하여 상기 가상간접 광고의 광고비를 산정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540)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광고비를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삽입 영역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540)의 일 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5에 도시된 삽입 영역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540)는 가상간접 광고의 노출 정도가 기설정된 기준 노출 정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10).
이 때, 기준 노출 정도는 절대 값 또는 상대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노출 정도가 절대 값인 경우, 기준 노출 정도는 노출 정도 최대값의 50%에 상응하는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노출 정도가 상대 값인 경우, 기준 노출 정도는 전체 후보 영역에 삽입된 가상간접 광고의 노출 정도들 중 상위 30%에 상응하는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단계(S610)의 판단결과, 상기 가상간접 광고의 노출 정도가 상기 기준 노출 정도를 초과하지 아니하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삽입 영역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540)는 삽입 영역 가이드 정보 제공을 스킵한다(S621).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간접 광고 삽입을 위한 삽입 영역 가이드 정보 제공 방법은 기준 노출 정도를 조절하여 후보 영역 중 노출 정도가 낮은 일부에 대해서는 삽입 영역 가이드 정보 제공을 스킵할 수 있다.
단계(S610)의 판단결과, 상기 가상간접 광고의 노출 정도가 상기 기준 노출 정도를 초과하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삽입 영역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540)는 가상간접 광고가 삽입된 후보 영역을 표시한다(S622).
또한, 도 5에 도시된 삽입 영역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540)는 가상간접 광고의 노출 정도를 표시한다(S630).
또한, 도 5에 도시된 삽입 영역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540)는 가상간접 광고의 광고비를 표시한다(S640).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간접 광고 삽입을 위한 삽입 영역 가이드 정보 제공 방법은 기준 노출 정도를 조절하여 후보 영역 중 노출 정도가 기준 노출 정도를 초과하는 일부에 대해서만 삽입 영역 가이드 정보를 제공함을 알 수 있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가상간접 광고를 가공하여 삽입하는 단계(S520)의 일 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5에 도시된 가상간접 광고를 가공하여 삽입하는 단계(S520)는 상기 후보 영역에 삽입할 상기 가상간접 광고를 선택한다(S710).
또한, 도 5에 도시된 가상간접 광고를 가공하여 삽입하는 단계(S520)는 상기 가상간접 광고가 상기 후보 영역에 삽입될 수 있도록 사전가공특성에 기반하여 상기 가상간접 광고를 가공한다(S720).
이 때, 사전가공특성은 상기 가상간접 광고가 상기 비디오 영상 콘텐츠 내에서 노출되는 크기, 각도에 따른 변형, 다른 물체에 의해 가려지는 크기 및 화면 내에서 이동하는 이동 속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가상간접 광고를 가공하여 삽입하는 단계(S520)는 상기 후보 영역에 상기 가공된 가상간접 광고를 삽입한다(S730).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각 단계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순서, 그 역순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간접 광고 삽입을 위한 삽입 영역 가이드 정보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스마트폰 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프로그램 또는 스마트폰 앱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모든 형태의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상간접 광고 삽입을 위한 삽입 영역 가이드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상간접 광고가 삽입될 후보 영역을 정하고, 후보 영역의 노출 정도를 측정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각각의 후보 영역의 광고 효과를 보다 직관적으로 인지하면서 가상간접 광고 삽입 영역 선택이 가능하도록 가이드 정보를 제공한다. 특히, 최근 광고 시장 규모가 커지면서 드라마나 스포츠 방송 등에 광고 아이템에 관한 영상을 삽입하여 광고 효과를 배가하는 가상 간접 광고에 관심이 늘어는 추세를 감안하면, 본 발명의 가상간접 광고 삽입을 위한 삽입 영역 가이드 정보 제공 기술은 그 활용도가 적지 않을 것이다.
110: 후보 영역 결정부 120: 광고 삽입부
130: 노출 측정부 140: 정보 제공부
210: 광고 선택부 220: 광고 가공부
230: 가공 광고 삽입부 310: 크기 측정부
320: 시간 측정부 330: 변형 측정부
340: 가려짐 크기 측정부 350: 가려짐 빈도 측정부
360: 위치 측정부 370: 속도 측정부
380: 노출 산출부

Claims (21)

  1. 비디오 영상 콘텐츠 내에 가상간접 광고를 삽입할 후보 영역을 결정하는 후보 영역 결정부;
    상기 후보 영역에 상기 가상간접 광고를 가공하여 삽입하는 광고 삽입부;
    상기 가상간접 광고가 상기 비디오 영상 콘텐츠 내에서 노출되는 노출 특성에 기반하여 상기 가상간접 광고의 노출 정도를 측정하는 노출 측정부; 및
    사용자에게 상기 가상간접 광고의 노출 정도를 포함하는 삽입 영역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
    를 포함하고,
    상기 광고 삽입부는
    상기 후보 영역에 삽입할 상기 가상간접 광고를 선택하는 광고 선택부;
    상기 가상간접 광고가 상기 후보 영역에 삽입될 수 있도록 사전가공특성에 기반하여 상기 가상간접 광고를 가공하는 광고 가공부; 및
    상기 후보 영역에 상기 가공된 가상간접 광고를 삽입하는 가공 광고 삽입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간접 광고 삽입을 위한 삽입 영역 가이드 정보 제공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부는
    상기 가상간접 광고의 노출 정도가 기설정된 기준 노출 정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가상간접 광고의 노출 정도가 상기 기준 노출 정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가상간접 광고의 노출 정도를 포함하는 상기 삽입 영역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간접 광고 삽입을 위한 삽입 영역 가이드 정보 제공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가상간접 광고가 삽입된 후보 영역 및 상기 가상간접 광고가 삽입되기 전의 후보 영역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간접 광고 삽입을 위한 삽입 영역 가이드 정보 제공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상간접 광고 삽입을 위한 삽입 영역 가이드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노출 정도에 기반하여 상기 가상간접 광고의 광고비를 산정하는 광고비 산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광고비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간접 광고 삽입을 위한 삽입 영역 가이드 정보 제공 장치.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출 특성은
    상기 가상간접 광고가 상기 비디오 영상 콘텐츠 내에서 노출되며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실시간 특성 및 상기 사전가공특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간접 광고 삽입을 위한 삽입 영역 가이드 정보 제공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출 측정부는
    상기 가상간접 광고가 상기 비디오 영상 콘텐츠 내에서 노출되는 노출 영역의 크기의 전체 화면의 크기에 대한 비율이 클수록 상기 노출 정도가 큰 것으로 측정하는 크기 측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간접 광고 삽입을 위한 삽입 영역 가이드 정보 제공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출 측정부는
    상기 가상간접 광고가 상기 비디오 영상 콘텐츠 내에서 노출되는 노출 시간이 길수록 상기 노출 정도가 큰 것으로 측정하는 시간 측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간접 광고 삽입을 위한 삽입 영역 가이드 정보 제공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출 측정부는
    상기 가상간접 광고가 상기 비디오 영상 콘텐츠 내에서 노출되는 각도와 기설정된 기준 각도의 차이가 클수록 상기 노출 정도가 작은 것으로 측정하는 변형 측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간접 광고 삽입을 위한 삽입 영역 가이드 정보 제공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출 측정부는
    상기 가상간접 광고가 상기 비디오 영상 콘텐츠 내에서 노출되며 다른 물체에 의해 가려지는 영역의 크기가 클수록 상기 노출 정도가 작은 것으로 측정하는 가려짐 크기 측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간접 광고 삽입을 위한 삽입 영역 가이드 정보 제공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출 측정부는
    상기 가상간접 광고가 상기 비디오 영상 콘텐츠 내에서 노출되며 다른 물체에 의해 가려지는 빈도가 높을수록 상기 노출 정도가 작은 것으로 측정하는 가려짐 빈도 측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간접 광고 삽입을 위한 삽입 영역 가이드 정보 제공 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출 측정부는
    상기 가상간접 광고가 화면의 중앙에 가깝게 배치될수록 상기 노출 정도가 큰 것으로 측정하는 위치 측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간접 광고 삽입을 위한 삽입 영역 가이드 정보 제공 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출 측정부는
    상기 가상간접 광고가 상기 비디오 영상 콘텐츠 내에서 노출되며 화면 내에서 이동하는 이동속도가 빠를수록 상기 노출 정도가 작은 것으로 측정하는 속도 측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간접 광고 삽입을 위한 삽입 영역 가이드 정보 제공 장치.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상간접 광고 삽입을 위한 삽입 영역 가이드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가상간접 광고의 노출 정도에 기반하여 상기 가상간접 광고의 광고비를 산정하는 광고비 산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노출 측정부는
    노출 특성에 기반하여 측정된 노출 정도를 취합하여 종합적인 노출 정도를 산출하는 노출 산출부
    를 포함하고,
    상기 광고비 산정부는 상기 종합적인 노출 정도가 클수록 상기 광고비를 높게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간접 광고 삽입을 위한 삽입 영역 가이드 정보 제공 장치.
  15. 비디오 영상 콘텐츠 내에 가상간접 광고를 삽입할 후보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후보 영역에 상기 가상간접 광고를 가공하여 삽입하는 단계;
    상기 가상간접 광고가 상기 비디오 영상 콘텐츠 내에서 노출되는 노출 특성에 기반하여 상기 가상간접 광고의 노출 정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사용자에게 상기 가상간접 광고의 노출 정도를 포함하는 삽입 영역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간접 광고를 가공하여 삽입하는 단계는
    상기 후보 영역에 삽입할 상기 가상간접 광고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가상간접 광고가 상기 후보 영역에 삽입될 수 있도록 사전가공특성에 기반하여 상기 가상간접 광고를 가공하는 단계; 및
    상기 후보 영역에 상기 가공된 가상간접 광고를 삽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간접 광고 삽입을 위한 삽입 영역 가이드 정보 제공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삽입 영역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간접 광고의 노출 정도가 기설정된 기준 노출 정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가상간접 광고의 노출 정도가 상기 기준 노출 정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가상간접 광고의 노출 정도를 포함하는 상기 삽입 영역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간접 광고 삽입을 위한 삽입 영역 가이드 정보 제공 방법.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삽입 영역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가상간접 광고가 삽입된 후보 영역 및 상기 가상간접 광고가 삽입되기 전의 후보 영역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간접 광고 삽입을 위한 삽입 영역 가이드 정보 제공 방법.
  18.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가상간접 광고 삽입을 위한 삽입 영역 가이드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노출 정도에 기반하여 상기 가상간접 광고의 광고비를 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삽입 영역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광고비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간접 광고 삽입을 위한 삽입 영역 가이드 정보 제공 방법.
  19. 삭제
  20.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노출 특성은
    상기 가상간접 광고가 상기 비디오 영상 콘텐츠 내에서 노출되며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실시간 특성 및 상기 사전가공특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간접 광고 삽입을 위한 삽입 영역 가이드 정보 제공 방법.
  21. 청구항 15, 16, 17, 18 및 20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0140009194A 2014-01-24 2014-01-24 가상간접 광고 삽입을 위한 삽입 영역 가이드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564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9194A KR101564313B1 (ko) 2014-01-24 2014-01-24 가상간접 광고 삽입을 위한 삽입 영역 가이드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US14/898,450 US10904638B2 (en) 2014-01-24 2014-12-10 Device and method for inserting advertisement by using frame clustering
CN201480033739.0A CN105284122B (zh) 2014-01-24 2014-12-10 用于通过使用帧聚类来插入广告的装置和方法
PCT/KR2014/012159 WO2015111840A1 (ko) 2014-01-24 2014-12-10 프레임 클러스터링을 이용한 광고 삽입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9194A KR101564313B1 (ko) 2014-01-24 2014-01-24 가상간접 광고 삽입을 위한 삽입 영역 가이드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8654A KR20150088654A (ko) 2015-08-03
KR101564313B1 true KR101564313B1 (ko) 2015-10-29

Family

ID=53873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9194A KR101564313B1 (ko) 2014-01-24 2014-01-24 가상간접 광고 삽입을 위한 삽입 영역 가이드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43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3438B1 (ko) * 2020-03-27 2021-12-02 주식회사 라온버드 인공 지능을 이용한 스포츠 영상 내 광고 분석 시스템 및 분석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55378A (ja) 2009-09-04 2011-03-17 Yahoo Japan Corp コンテンツ挿入管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55378A (ja) 2009-09-04 2011-03-17 Yahoo Japan Corp コンテンツ挿入管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8654A (ko) 2015-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61903B2 (en) Methods and apparatus to measure brand exposure in media streams
KR101741352B1 (ko) 데이터 및 오디오/비디오 콘텐츠의 전달을 제어하는 관심도 평가
US9927946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gress control
EP3745712B1 (en) Scheme for determining the locations and timing of advertisements and other insertions in media
CN105284122B (zh) 用于通过使用帧聚类来插入广告的装置和方法
KR101596564B1 (ko) 가상간접 광고 광고비 산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12009885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erting object data into a stereoscopic image
KR20150131215A (ko) 3d 모바일 및 커넥티드 tv 광고 트래피킹 시스템
KR101564313B1 (ko) 가상간접 광고 삽입을 위한 삽입 영역 가이드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US20170188090A1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KR101540613B1 (ko) 가상 광고 영상 선택 장치 및 방법
US20120224037A1 (en) Reducing viewing discomfort for graphical elements
KR101573482B1 (ko) 프레임 클러스터링을 이용한 광고 삽입 장치 및 방법
Yuan et al. Video retargeting: A visual-friendly dynamic programming approach
KR101561083B1 (ko) 가상간접 광고 삽입을 위한 경계값 산출 장치 및 방법
Li et al. Saliency-based applications
KR101353224B1 (ko) 메타정보 표시방법 및 장치
KR101533834B1 (ko) 트래킹 설정에 따른 광고비 산출 기능을 구비한 감성광고 기반의 스마트 tv
CA2643532A1 (en) Methods and apparatus to measure brand exposure in media streams and to specify regions of interest in associated video fram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