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4229B1 - 파렛트 장치 - Google Patents

파렛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4229B1
KR101564229B1 KR1020140055682A KR20140055682A KR101564229B1 KR 101564229 B1 KR101564229 B1 KR 101564229B1 KR 1020140055682 A KR1020140055682 A KR 1020140055682A KR 20140055682 A KR20140055682 A KR 20140055682A KR 101564229 B1 KR101564229 B1 KR 101564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unit
base frame
conveyor belt
vertical rotation
pal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5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제철
구도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to KR1020140055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42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4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4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파렛트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렛트 장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측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상부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의 양측을 각각 수직하게 연결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의 측면 전,후방을 제1 및 제2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연결하며, 상기 제1 및 제2 컨베이어 벨트의 작동에 따라 부품의 양 측면을 규제하면서 적재공간 측으로 상기 부품을 이동시키는 측면 가이드 유닛;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서 상기 측면 가이드 유닛의 하단과 교차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방과 후방을 제3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연결하며, 상기 제2 컨베이어 벨트의 작동에 따라 상기 부품의 하측면을 규제하면서 상기 적재공간 측으로 이동시키는 밑면 가이드 유닛; 및 상기 측면 가이드 유닛과 상기 밑면 가이드 유닛이 교차되는 부분에 설치되고, 상호 맞물리는 기어를 통해 상기 측면 가이드 유닛의 회전력을 상기 밑면 가이드 유닛 측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파렛트 장치{PALATE APPARATUS FOR LOADING PARTS}
본 발명은 파렛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파렛트 상에 적재되는 자동차의 프론트 도어, 리어 도어, 후드, 및 트렁크 리드 등의 부품을 순차적으로 적재공간 상에 자동으로 로딩 및 언로딩시키는 파렛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메이커에서 자동차를 생산하기까지는 모든 양산 공정 내에서 2만 내지 3만 여개의 부품을 수 차례의 조립공정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차체는 자동차 제조과장의 첫 단계로서, 프레스 공정에서 차체 패널을 생산한 후, 차체 조립공정으로 옮겨와서 차체 각 부분이 조립되어 화이트 보디(B.I.W) 상태의 차체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완성된 차체는 플로워, 도어, 트렁크 리드, 후드, 휀더의 장착과정을 거치게 되고, 도장공정으로 이동하여 도색작업을 이룬 후, 의장공정에서 엔진, 트랜스미션, 및 내,외장제의 조립 과정을 거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일련의 작업공정에서는 파렛트 장치의 적재공간 상에 부품 즉, 프론트 도어, 리어 도어, 후드, 및 트렁크 리드 등과 같은 부품을 다수 적재시켜 해당 작업공정 상에 공급하고 있다.
이러한 파렛트 장치는 적재공간 상에 작업자가 수동으로 다수의 부품을 로딩시키거나, 로봇에 의해 자동으로 다수의 부품을 로딩시킨 후, 각 작업공정에 부품을 공급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파렛트 장치에 의하면, 적재공간 상에 부품을 적재하기 위해 작업자가 수동으로 부품을 로딩 시킬 때, 적재공간 상에 적재되는 부품의 위치가 서로 다름으로 인해 중량물의 이동에 따른 작업자의 피로도 증가와, 근골격계 질환을 유발하고, 작업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로봇에 의해 자동으로 부품을 로딩 시킬 때에는 로봇의 적재동작을 부품이 로딩되는 위치에 따라 각각 티칭 작업을 해야함으로, 티칭에 따른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들은 상기 파펫트 장치의 적재공간 상에 적재된 부품을 언로딩 시에도 동일하게 나타나며, 전체적인 작업공정 사이클 타임의 증가 및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단점으로 이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적재공간 상에 적재되는 부품을 자동으로 로딩 또는 언로딩 시켜, 부품 적재작업의 작업효율이 향상되도록 된 파렛트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단일위치에서 부품을 자동으로 로딩 또는 언로딩 시켜, 부품이 적재되는 위치별 로봇의 티칭작업 삭제를 통해 로봇의 부품 로딩 및 언로딩 작업 효율이 향상되도록 된 파렛트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 예에서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측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상부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의 양측을 각각 수직하게 연결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의 측면 전,후방을 제1 및 제2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연결하며, 상기 제1 및 제2 컨베이어 벨트의 작동에 따라 부품의 양 측면을 규제하면서 적재공간 측으로 상기 부품을 이동시키는 측면 가이드 유닛;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서 상기 측면 가이드 유닛의 하단과 교차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방과 후방을 제3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연결하며, 상기 제2 컨베이어 벨트의 작동에 따라 상기 부품의 하측면을 규제하면서 상기 적재공간 측으로 이동시키는 밑면 가이드 유닛; 및 상기 측면 가이드 유닛과 상기 밑면 가이드 유닛이 교차되는 부분에 설치되고, 상호 맞물리는 기어를 통해 상기 측면 가이드 유닛의 회전력을 상기 밑면 가이드 유닛 측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 가이드 유닛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의 전방 양측 모서리를 수직하게 각각 연결하고, 연결된 상,하 단부가 회전가능 하게 구비되는 제1 및 제2 수직 회전축;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의 후방 양측 모서리를 수직하게 각각 연결하고, 연결된 상,하 단부가 회전가능 하게 구비되는 제3 및 제4 수직 회전축;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수직 회전축과 상기 제3 수직 회전축은 상기 제1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2 수직 회전축과 상기 제4 수직 회전축은 상기 제2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들은 상기 제1 및 제2 수직 회전축의 상부 외주면에 끼워지는 허브; 상기 허브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스포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컨베이어 벨트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컨베이어 벨트에는 상기 부품의 위치를 규제하는 위치규제 돌기가 외주면을 따라 수평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밑면 가이드 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수직 회전축 사이의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서, 상기 제1 및 제2 수직 회전축과 단부가 교차되게 설치되는 제1 수평 회전축; 상기 제3 및 제4 수직 회전축 사이의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서, 상기 제3 및 제4 수직 회전축과 단부가 교차되게 설치되는 제2 수평 회전축; 및 상기 제1 및 제2 수평 회전축을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서 회전가능 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하우징;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수평 회전축은 상기 제3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컨베이어 벨트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컨베이어 벨트에는 상기 부품의 위치를 규제하는 위치규제 돌기가 외주면을 따라 수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베어링 하우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수평 회전축의 양 단부 2개소와, 상기 제2 수평 회전축의 양 단부 2개소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 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수직 회전축의 하측 선단에 구비되는 구동 베벨기어; 상기 제1 수평 회전축의 양측 선단에 구비되고, 상기 구동 베벨기어와 치합되는 피동 베벨기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 예에서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측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상부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의 양측을 각각 수직하게 연결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의 측면 전,후방을 제1 및 제2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연결하며, 상기 제1 및 제2 컨베이어 벨트의 작동에 따라 부품의 양 측면을 규제하면서 적재공간 측으로 상기 부품을 이동시키는 측면 가이드 유닛;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서 상기 측면 가이드 유닛의 하단과 교차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방과 후방을 제3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연결하며, 상기 제2 컨베이어 벨트의 작동에 따라 상기 부품의 하측면을 규제하면서 상기 적재공간 측으로 이동시키는 밑면 가이드 유닛; 상기 측면 가이드 유닛과 상기 밑면 가이드 유닛이 교차되는 부분에 설치되고, 상호 맞물리는 기어를 통해 상기 측면 가이드 유닛의 회전력을 상기 밑면 가이드 유닛 측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 유닛; 및 상기 상측 프레임 상에 설치되고, 상기 측면 가이드 유닛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 가이드 유닛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의 전방 양측 모서리를 수직하게 각각 연결하고, 연결된 상,하 단부가 회전가능 하게 구비되는 제1 및 제2 수직 회전축;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의 후방 양측 모서리를 수직하게 각각 연결하고, 연결된 상,하 단부가 회전가능 하게 구비되는 제3 및 제4 수직 회전축;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수직 회전축과 상기 제3 수직 회전축은 상기 제1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2 수직 회전축과 상기 제4 수직 회전축은 상기 제2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컨베이어 벨트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컨베이어 벨트에는 상기 부품의 위치를 규제하는 위치규제 돌기가 외주면을 따라 수평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밑면 가이드 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수직 회전축 사이의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서, 상기 제1 및 제2 수직 회전축과 단부가 교차되게 설치되는 제1 수평 회전축; 상기 제3 및 제4 수직 회전축 사이의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서, 상기 제3 및 제4 수직 회전축과 단부가 교차되게 설치되는 제2 수평 회전축; 및 상기 제1 및 제2 수평 회전축을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서 회전가능 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하우징;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수평 회전축은 상기 제3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컨베이어 벨트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컨베이어 벨트에는 상기 부품의 위치를 규제하는 위치규제 돌기가 외주면을 따라 수평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베어링 하우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 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수직 회전축의 하측 선단에 각각 구비되는 구동 베벨기어; 상기 제1 수평 회전축의 양측 선단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구동 베벨기어와 치합되는 피동 베벨기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상측 프레임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수직 회전축과 연결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로 이루어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하측에는 다수의 이동바퀴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적재공간 상에 적재되는 자동차의 프론트 도어, 리어 도어, 후드, 및 트렁크 리드 등과 같은 부품을 자동으로 로딩 또는 언로딩 시켜, 부품 적재작업의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고, 중량물 이동에 따른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적재공간 상에 적재되는 부품이 단일위치에서 로딩 및 언로딩 됨에 따라서, 부품이 적재되는 위치별 로봇의 티칭작업을 삭제할 수 있고, 로봇의 부품 로딩 및 언로딩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적재공간 상에 적재되는 부품을 자동으로 로딩 및 언로딩 시켜, 전체적인 작업공정 사이클 타임의 감소와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파렛트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파렛트 장치에 적용된 수직 가이드 유닛의 일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E-E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파렛트 장치에 적용된 수평 가이드 유닛 및 동력전달 유닛의 일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F-F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파렛트 장치에 적용되는 제3 컨베이어 벨트가 결합되는 제1 수평 회전축의 일부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파렛트 장치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도면에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의 명칭이 동일하여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설명의 편의상 도 1의 화살표 "A"방향을 파렛트 장치(1)의 전방, 화살표 "B"방향을 우측, 화살표 "C"방향을 좌측, 화살표 "D"방향을 후방이라 정의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파렛트 장치(1)는 적재되는 부품(P)을 자동으로 파렛트 장치(1)의 적재공간(S) 상에 순차적으로 로딩 또는 언로딩 시켜, 부품(P) 적재작업의 작업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단일위치에서 부품(P)을 자동으로 로딩 또는 언로딩 시켜, 부품(P)이 적재되는 위치별 로봇의 티칭작업 삭제를 통해, 로봇의 부품(P) 로딩 및 언로딩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적재공간(S) 상에 로딩 또는 언로딩 되는 상기 부품(P)은 자동차의 프론트 도어, 리어 도어, 후드, 및 트렁크 리드 등을 포괄적으로 칭하는 것이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파렛트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파렛트 장치(1)는 베이스 프레임(3), 상부 프레임(5), 측면 가이드 유닛(7), 밑면 가이드 유닛(9), 및 동력전달 유닛(10)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3)은 파렛트 장치(1)의 전체적인 바닥을 이루는 것이며, 4개의 프레임이 하나의 몸체를 이루도록 외곽이 상호 연결되고, 밑면에는 도면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다수의 이동바퀴(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파렛트 장치(1)는 이동하고자 하는 위치로의 이동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베이스 프레임(3)이 4개의 프레임이 연결되어 하나의 몸체를 이루는 것으로 설명을 하였으나, 프레임이 아닌 판상으로 이루어진 플레이트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상부 프레임(5)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3)의 상측에 설치되어 파렛트 장치(1)의 전체적인 상부를 이루는 것이며, 파렛트 장치(1)의 상부에서 우측(B), 좌측(C), 후방(D)을 이루는 3개의 프레임이 상호 연결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부 프레임(5)은 전방(A)이 개구되어 상기 부품(P)이 진입되는 입구부(11)가 형성되고, 개구된 입구부(11)의 내측 후방(D)으로 부품(P)이 적재되는 적재공간(S)이 형성된다.
이러한 적재공간(S)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3)과 상부 프레임(5) 사이의 전체적인 공간을 말하는 것이다.
상기 측면 가이드 유닛(7)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3)과 상부 프레임(5)의 양측 즉, 좌측(C)과 우측(B)을 각각 수직하게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3) 및 상부 프레임(5)의 전방(A)과 후방(D)을 제1 및 제2 컨베이어 벨트(13, 15)를 통해 연결한다.
그리고 측면 가이드 유닛(7)은 상기 제1 및 제2 컨베이어 벨트(13,15)의 작동에 따라 부품(P)의 양 측면을 규제하면서 상기 적재공간(S) 상으로 부픔(P)을 로딩 또는 언로딩 시킨다.
이하, 상기한 측면 가이드 유닛(7)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파렛트 장치에 적용된 측면 가이드 유닛의 일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E-E선 확대 단면도이다.
상기한 도 1과 함께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측면 가이드 유닛(7)은 제1 및 제2 수직 회전축(17,19), 제3 및 제4 수직 회전축(20,21), 및 핸들(23)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수직 회전축(17)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3)의 전방(A) 좌측(C) 모서리부와 상기 상부 프레임(5)의 전방(A) 좌측(C) 모서리부를 수직하게 연결하고, 베이스 프레임(3)과 상부 프레임(5)에 연결된 상,하 단부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 수직 회전축(19)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3)의 전방(A) 우측(B) 모서리부와 상기 상부 프레임(5)의 전방(A) 우측(B) 모서리부를 수직하게 연결하고, 베이스 프레임(3)과 상부 프레임(5)에 연결된 상,하 단부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3 수직 회전축(20)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3)의 후방(D) 좌측(C) 모서리부와 상기 상부 프레임(5)의 후방(D) 좌측(C) 모서리부를 수직하게 연결하고, 베이스 프레임(3)과 상부 프레임(5)에 연결된 상,하 단부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4 수직 회전축(21)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3)의 후방(D) 우측(B) 모서리부와 상기 상부 프레임(5)의 후방(D) 우측(B) 모서리부를 수직하게 연결하고, 베이스 프레임(3)과 상부 프레임(5)에 연결된 상,하 단부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및 제2 수직 회전축(17,19)과, 상기 제3 및 제4 수직 회전축(20,21)은 베이스 프레임(3)과 상부 프레임(5)에 회전 가능하도록 베어링(25)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핸들(23)은 상기 제1 및 제2 수직 회전축(17,19) 상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1 및 제2 수직 회전축(17,19)을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핸들(23)은 상기 제1 및 제2 수직 회전축(17,19)의 상부 외주면에 끼워지는 허브(27)와, 상기 허브(27)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스포크(29)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측면 가이드 유닛(7)은 상기 제1 수직 회전축(17)과 상기 제3 수직 회전축(20)이 제1 컨베이어 벨트(13)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2 수직 회전축(19)과 상기 제4 수직 회전축(21)이 제2 컨베이어 벨트(15)를 통해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측면 가이드 유닛(7)은 상기 핸들(23)을 회전시키면 제1 컨베이어 벨트(13)를 통해 연결된 제1 및 제3 수직 회전축(17,20)과, 제2 컨베이어 벨트(15)를 통해 연결된 제2 및 제4 수직 회전축(19,21)이 함께 회전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컨베이어 벨트(13,15)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부품(P)의 위치를 규제하는 규제돌기(30)가 외주면을 따라 수평으로 돌출형성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밑면 가이드 유닛(9)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3) 상에서 상기 측면 가이드 유닛(7)의 하단과 교차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3)의 전방(A)과 후방(D)을 제3 컨베이어 벨트(31)를 통해 연결한다.
그리고 밑면 가이드 유닛(9)은 상기 제3 컨베이어 벨트(31)의 작동에 따라 상기 부품(P)의 하측면을 규제하면서 상기 적재공간(S) 상으로 부품(P)을 로딩 또는 언로딩 시킨다.
이하, 상기한 밑면 가이드 유닛(9)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파렛트 장치에 적용된 밑면 가이드 유닛 및 동력전달 유닛의 일부 확대 사시도이다.
상기한 도 1과 함께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밑면 가이드 유닛(9)은 제1 수평 회전축(33), 제2 수평 회전축(35), 및 하우징(37)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수평 회전축(33)은 상기 파렛트 장치(1)의 전방(A)에서 상기 측면 가이드 유닛(7)의 제1 및 제2 수직 회전축(17,19) 사이의 상기 베이스 프레임(3) 상에서 상기 제1 및 제2 수직 회전축(17,19)과 양 단부가 교차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제1 및 제2 수직 회전축(17,19)과 양 단부가 직각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2 수평 회전축(35)은 상기 파렛트 장치(1)의 후방(D)에서 상기 측면가이드 유닛(7)의 제3 및 제4 수직 회전축(20,21) 사이의 상기 베이스 프레임(3) 상에서 상기 제3 및 제4 수직 회전축(20,21)과 양 단부가 교차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제3 및 제4 수직 회전축(20,21)과 양 단부가 직각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37)은 상기 제1 및 제2 수평 회전축(33,35)을 상기 베이스 프레임(3)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며, 이때, 하우징(37)은 제1 및 제2 수평 회전축(33,35)이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베어링 하우징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하우징(37)은 상기 제1 및 제2 수평 회전축(33,35)에 직각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하고, 원활한 회전을 위해, 제1 수평 회전축(33)의 양 단부 2개소와, 제2 수평 회전축(35)의 양 단부 2개소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37)은 하단에 형성되는 결합홈(39)을 통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3) 상에 끼워지고, 상기 제1 및 제2 수평 회전축(33,35)을 상기 베이스 프레임(3)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게 배치시킨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밑면 가이드 유닛(9)은 상기 제1 및 제2 수평 회전축(33,35)이 상기 제3 컨베이어 벨트(31)를 통해 연결된다.
이에 의해, 상기 밑면 가이드 유닛(9)은 상기 제1 수평 회전축(33)이 회전되면 제3 컨베이어 벨트(31)를 통해 연결된 제2 수평 회전축(35)이 함께 회전된다.
이때, 상기 제3 컨베이어 벨트(31)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부품(P)의 하측 위치를 규제하는 규제돌기(30a)가 외주면을 따라 수직으로 돌출형성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동력전달 유닛(10)은 상기 측면 가이드 유닛(7)과 밑면 가이드 유닛(9)이 교차되는 부분에 설치되고, 상호 맞물리는 기어를 통해 상기 측면 가이드 유닛(7)의 회전력을 밑면 가이드 유닛(9) 측으로 전달한다.
이하, 상기한 동력전달 유닛(1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파렛트 장치에 적용된 측면 가이드 유닛 및 동력전달 유닛의 일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F-F선 확대 단면도이다.
상기한 도 1과 함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동력전달 유닛(10)은 파렛트 장치(1)의 전방(A)에 구비되는 것으로, 구동 베벨기어(40) 및 피동 베벨기어(41)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 베벨기어(40)는 상기 제1 및 제2 수직 회전축(17,19)의 하측 선단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피동 베벨기어(41)는 상기 제1 수평 회전축(33)의 양측 선단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구동 베벨기어(40)와 치합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동력전달 유닛(10)에 의하면 상기 측면 가이드 유닛(7)의 제1 및 제2 수직 회전축(17,19)이 회전되면서, 상기 구동 베벨기어(40)가 함께 회전하고, 구동 베벨기어(40)와 치합된 피동 베벨기어(41)가 회전하면서 상기 밑면 가이드 유닛(9)의 제1 수평 회전축(33)을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상기 측면 가이드 유닛(7)의 작동과 함께 상기 밑면 가이드 유닛(9)이 작동을 하고, 제1 및 제2 컨베이어 벨트(13,15)와, 제3 컨베이어 벨트(31)가 회전되면서 상기 부품(P)을 적재공간(S) 상으로 로딩 또는 언로딩 시킬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파렛트 장치에 적용되는 제3 컨베이어 벨트가 결합되는 제1 수평 회전축의 일부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3 컨베이어 벨트(31)는 상기 제1 수평 회전축(33)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안착홈(43)을 통해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안착홈(43)은 제2 수평 회전축(35)에도 동일하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상기 제3 컨베이어 벨트(31)는 제1 및 제2 수평 회전축(33,35)의 회전 시, 제1 및 제2 수평 회전축(33,35)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면서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안착홈(43)은 상기 제1 및 제2 컨베이어 벨트(13,15)가 결합되는 제1내지 제4 수직 회전축(17,19,20,21)의 외주면에도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컨베이어 벨트(13,15)가 결합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파렛트 장치(1)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부품(P)을 수작업 또는 로봇을 통해 파렛트 장치(1)의 입구부(11)로 진입시킨다. 이때, 진입된 부품(11)은 제1 및 제2 컨베이어 벨트(13,15)의 위치규제 돌기(30)를 통해 측면부가 규제되고, 부품(P)의 밑면이 제3 컨베이어 벨트(31)의 위치규제 돌기(30a)를 통해 규제된다.
이후, 상기 측면 가이드 유닛(7)의 핸들(23)을 회전시키면 상기 제1 및 제2 수직 회전축(17,19)이 회전되면서 상기 제1 및 제2 컨베이어 벨트(13,15)를 회전시킨다.
이때, 동력전달 유닛(10)은 제1 및 제2 수직 회전축(17,19)의 회전력을 상기 밑면 가이드 유닛(9)의 제1 수평 회전축(33)에 전달시켜 회전시킨다.
상기와 같이 제1 수평 회전축(33)은 회전되면서 제3 컨베이어 벨트(31)를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컨베이어 벨트(13,15)와 제3 컨베이어 벨트(31)가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적재공간(S) 측으로 부품(P)을 순차적으로 로딩시킨다.
이에 따라서, 부품(P)을 파렛트 장치(1)에 적재시키는 적재작업의 작업효율이 상승될 수 있고, 중량물 이동에 따른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적재공간(S) 상에 순차적으로 적재된 부품(P)은 상기 핸들(23)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와는 반대로 제1 및 제2 수직 회전축(17,19)이 역회전되고, 상기 제1 및 제2 컨베이어 벨트(13,15)와, 제3 컨베이어 벨트(31)가 적재공간(S)으로부터 부품(P)을 입구부(11) 측으로 언로딩 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부품(P)을 파렛트 장치(1)의 적재공간(S)으로부터 언로딩시키는 작업효율이 상승될 수 있고, 중량물 이동에 따른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특히, 로봇을 통해 부품(P)을 로딩 또는 언로딩 시킬 때, 부품(P)의 로딩 또는 언로딩 위치가 동일한 위치 즉, 상기 입구부(11)에서만 이루어져, 부품(P)이 적재되는 위치별 로봇의 티칭작업을 삭제할 수 있고, 로봇의 부품(P) 로딩 또는 언로딩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파렛트 장치(1)는 적재공간(1) 상에 적재되는 부품(P)을 자동으로 로딩 또는 언로딩 시켜, 전체적인 작업공정 사이클 타임의 감소와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파렛트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파렛트 장치(1)는 상기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파렛트 장치(1)와 동일한 구성과 작동을 갖는다.
단, 제1 실시 예에서는 상기 측면 가이드 유닛(7)의 제1 및 제2 수직 회전축(17,19)이 핸들(23)을 통해 회전 작동되나, 제2실시 예에서는 별도의 구동부(45)를 통해 측면 가이드 유닛(7)의 제1 및 제2 수직 회전축(17,19)을 회전 작동시키는 차이점이 있다.
이러한 구동부(45)는 파렛트 장치(1)의 상부 프레임(5) 상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측면 가이드 유닛(7)의 제1 수직 회전축(17)과 연결된다.
즉, 상기 구동부(45)는 상기 상부 프레임(5)의 상단에 설치되고, 구동축(미도시)이 상기 제1 수직 회전축(17)과 연결되는 구동모터(47)와, 상기 구동모터(47)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49)로 이루어진다.
상기 컨트롤러(49)는 구동모터(47)와 연결되어 구동모터(47)를 일방향 회전 및 역방향 회전과 정지를 시키는 것으로, 이는 당업계에서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45)는 두 개의 구동부(45a)로 구성되어 상기 제1 수직 회전축(17)과 제2 수직 회전축(19)에 각각 연결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제2실시 예에 따른 파렛트 장치(1)에 의하면, 상기 측면 가이드 유닛(7)의 제1 수직 회전축(17)이 상기 구동모터(47)로 이루어지는 구동부(45)를 통해 자동으로 회전 작동됨에 따라, 보다 효율적으로 부품(P)을 적재공간(S) 상으로 로딩 또는 언로딩 시킬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2가지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들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P: 부품 S: 적재공간
A: 전방 B: 우측
C: 좌측 D: 후방
1: 파렛트 장치 3: 베이스 프레임
5: 상부 프레임 7: 측면 가이드 유닛
9: 밑면 가이드 유닛 10: 동력전달 유닛
11: 입구부 13: 제1 컨베이어 벨트
15: 제2 컨베이어 벨트 17: 제1 수직 회전축
19: 제2 수직 회전축 20: 제3 수직 회전축
21: 제4 수직 회전축 23: 핸들
25: 베어링 27: 허브
29: 스포크 30: 위치 규제돌기
31: 제3 컨베이어 벨트 33: 제1 수평 회전축
35: 제2 수평 회전축 37: 하우징
39: 결합홈 30a: 위치 규제돌기
40: 구동 베벨기어 41: 피동 베벨기어
43: 안착홈 45,45a: 구동부
47: 구동모터 49: 컨트롤러

Claims (22)

  1.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측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상부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의 양측을 각각 수직하게 연결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의 측면 전,후방을 제1 및 제2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연결하며, 상기 제1 및 제2 컨베이어 벨트의 작동에 따라 부품의 양 측면을 규제하면서 적재공간 측으로 상기 부품을 이동시키는 측면 가이드 유닛;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서 상기 측면 가이드 유닛의 하단과 교차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방과 후방을 제3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연결하며, 상기 제2 컨베이어 벨트의 작동에 따라 상기 부품의 하측면을 규제하면서 상기 적재공간 측으로 이동시키는 밑면 가이드 유닛; 및
    상기 측면 가이드 유닛과 상기 밑면 가이드 유닛이 교차되는 부분에 설치되고, 상호 맞물리는 기어를 통해 상기 측면 가이드 유닛의 회전력을 상기 밑면 가이드 유닛 측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 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가이드 유닛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의 전방 양측 모서리를 수직하게 각각 연결하고, 연결된 상,하 단부가 회전가능 하게 구비되는 제1 및 제2 수직 회전축;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의 후방 양측 모서리를 수직하게 각각 연결하고, 연결된 상,하 단부가 회전가능 하게 구비되는 제3 및 제4 수직 회전축;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수직 회전축과 상기 제3 수직 회전축은 상기 제1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2 수직 회전축과 상기 제4 수직 회전축은 상기 제2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가이드 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수직 회전축의 상부 외주면에 끼워지는 허브와, 상기 허브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스포크로 이루어지는 핸들을 포함하는 파렛트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컨베이어 벨트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컨베이어 벨트에는
    상기 부품의 위치를 규제하는 위치규제 돌기가 외주면을 따라 수평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밑면 가이드 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수직 회전축 사이의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서, 상기 제1 및 제2 수직 회전축과 단부가 교차되게 설치되는 제1 수평 회전축;
    상기 제3 및 제4 수직 회전축 사이의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서, 상기 제3 및 제4 수직 회전축과 단부가 교차되게 설치되는 제2 수평 회전축; 및
    상기 제1 및 제2 수평 회전축을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서 회전가능 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하우징;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수평 회전축은 상기 제3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컨베이어 벨트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컨베이어 벨트에는
    상기 부품의 위치를 규제하는 위치규제 돌기가 외주면을 따라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베어링 하우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수평 회전축의 양 단부 2개소와, 상기 제2 수평 회전축의 양 단부 2개소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장치.
  11.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 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수직 회전축의 하측 선단에 구비되는 구동 베벨기어;
    상기 제1 수평 회전축의 양측 선단에 구비되고, 상기 구동 베벨기어와 치합되는 피동 베벨기어;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장치.
  12.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측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상부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의 양측을 각각 수직하게 연결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의 측면 전,후방을 제1 및 제2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연결하며, 상기 제1 및 제2 컨베이어 벨트의 작동에 따라 부품의 양 측면을 규제하면서 적재공간 측으로 상기 부품을 이동시키는 측면 가이드 유닛;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서 상기 측면 가이드 유닛의 하단과 교차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방과 후방을 제3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연결하며, 상기 제2 컨베이어 벨트의 작동에 따라 상기 부품의 하측면을 규제하면서 상기 적재공간 측으로 이동시키는 밑면 가이드 유닛;
    상기 측면 가이드 유닛과 상기 밑면 가이드 유닛이 교차되는 부분에 설치되고, 상호 맞물리는 기어를 통해 상기 측면 가이드 유닛의 회전력을 상기 밑면 가이드 유닛 측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 유닛; 및
    상기 상측 프레임 상에 설치되고, 상기 측면 가이드 유닛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가이드 유닛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의 전방 양측 모서리를 수직하게 각각 연결하고, 연결된 상,하 단부가 회전가능 하게 구비되는 제1 및 제2 수직 회전축;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의 후방 양측 모서리를 수직하게 각각 연결하고, 연결된 상,하 단부가 회전가능 하게 구비되는 제3 및 제4 수직 회전축;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수직 회전축과 상기 제3 수직 회전축은 상기 제1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2 수직 회전축과 상기 제4 수직 회전축은 상기 제2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컨베이어 벨트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컨베이어 벨트에는
    상기 부품의 위치를 규제하는 위치규제 돌기가 외주면을 따라 수평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밑면 가이드 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수직 회전축 사이의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서, 상기 제1 및 제2 수직 회전축과 단부가 교차되게 설치되는 제1 수평 회전축;
    상기 제3 및 제4 수직 회전축 사이의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서, 상기 제3 및 제4 수직 회전축과 단부가 교차되게 설치되는 제2 수평 회전축; 및
    상기 제1 및 제2 수평 회전축을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서 회전가능 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하우징;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수평 회전축은 상기 제3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컨베이어 벨트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컨베이어 벨트에는
    상기 부품의 위치를 규제하는 위치규제 돌기가 외주면을 따라 수평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베어링 하우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장치.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 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수직 회전축의 하측 선단에 각각 구비되는 구동 베벨기어;
    상기 제1 수평 회전축의 양측 선단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구동 베벨기어와 치합되는 피동 베벨기어;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장치.
  2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상측 프레임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수직 회전축과 연결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장치.
  22.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하측에는
    다수의 이동바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장치.
KR1020140055682A 2014-05-09 2014-05-09 파렛트 장치 KR101564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5682A KR101564229B1 (ko) 2014-05-09 2014-05-09 파렛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5682A KR101564229B1 (ko) 2014-05-09 2014-05-09 파렛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4229B1 true KR101564229B1 (ko) 2015-10-30

Family

ID=54431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5682A KR101564229B1 (ko) 2014-05-09 2014-05-09 파렛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42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04677A1 (ko) * 2018-06-25 2020-01-02 한국파렛트풀(주) 유리판 운반용 컨테이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2551B1 (ko) 2005-09-23 2006-10-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 파레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2551B1 (ko) 2005-09-23 2006-10-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 파레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04677A1 (ko) * 2018-06-25 2020-01-02 한국파렛트풀(주) 유리판 운반용 컨테이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87800B2 (en) Rotary supplemental axis for robot
US20190329375A1 (en) Revolving multi- axis polishing apparatus
US20080016979A1 (en) Arm structure of industrial robot
KR20120063777A (ko) 차체 이송 대차
US20140158440A1 (en) Work vehicle
JP2019100081A (ja) 車両用ドア開閉装置およびその取付方法
KR101564229B1 (ko) 파렛트 장치
KR101757317B1 (ko) 인휠 구동장치
CN112872215A (zh) 螺栓圆角滚压生产线
CN114102102A (zh) 中大型压缩机多品种小批量柔性生产线
KR20020090559A (ko) 차체조립용 용접지그 장치
CN113787405A (zh) 一种齿套制造自动化加工设备及加工工艺
CN211249659U (zh) 一种一拖多工位同步蜗轮传动机构
EP1038715B1 (en) Freeing mechanism for motorized gear reducer
CN210545864U (zh) 一种汽车塑料件的喷涂支撑工装
KR100783517B1 (ko) 파레트 랙 장치
CN110067464A (zh) 门开闭装置
KR101469528B1 (ko) 쇼트피닝장치
CN110076032A (zh) 一种门板自动喷漆生产线
CN213531496U (zh) 一种工业机器人旋转模块的自动组装机
KR100440119B1 (ko) 패널 적재용 파레트
KR100391461B1 (ko) 패널 이송용 셔틀 시스템
KR101515682B1 (ko) 개폐모터
KR100579286B1 (ko) 도어 자동 볼팅장치
KR101072321B1 (ko) 파레트 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