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3988B1 - 카오린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축용 벽바름재 - Google Patents

카오린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축용 벽바름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3988B1
KR101563988B1 KR1020140114333A KR20140114333A KR101563988B1 KR 101563988 B1 KR101563988 B1 KR 101563988B1 KR 1020140114333 A KR1020140114333 A KR 1020140114333A KR 20140114333 A KR20140114333 A KR 20140114333A KR 101563988 B1 KR101563988 B1 KR 101563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aolin
wall
weight
building
coat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4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민
최평준
Original Assignee
낙우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낙우산업(주) filed Critical 낙우산업(주)
Priority to KR1020140114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3988B1/ko
Priority to PCT/KR2014/008274 priority patent/WO2016032037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3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3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08Diatomaceous earth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10Cla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오린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축용 벽바름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카오린 55 내지 80중량%, 토르말린 1 내지 10중량%, 산화티탄 1 내지 10중량%, 석고 3 내지 15중량%, 무기질천연재료 3 내지 15중량% 및 식물성접착파우더 3 내지 15중량%를 포함하여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오린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축용 벽바름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카오린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축용 벽바름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카오린을 주성분으로 하여 여러 가지 천연광물을 첨가하고 무기질천연재료와 혼합하여 건축용 벽바름재를 제조함으로써, 환경친화적인 기능 및 부착강도가 뛰어나고, 저온에서도 안정하며, 벽바름재가 분말상태로 제조되어 사용자가 다양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유통 및 저장 과정 중에 변질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판상형 카오린을 사용하여 광택 효과가 뛰어난 것과 같은 기능성이 증진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카오린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축용 벽바름재{WALL COATINGS THIN TEXTURED FINISHES CONSISTING PRIMARILY OF KAOLIN}
본 발명은 카오린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축용 벽바름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카오린 55 내지 80중량%, 토르말린 1 내지 10중량%, 산화티탄 1 내지 10중량%, 석고 3 내지 15중량%, 무기질천연재료 3 내지 15중량% 및 식물성접착파우더 3 내지 15중량%를 포함하여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오린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축용 벽바름재에 관한 것이다.
주택 내의 온도, 습도 및 양분 등의 조건은 현대인의 삶의 질이 높아질수록 곰팡이와 같은 유해물질이 발생할 수 있는 최대의 조건이 되었으며 인체의 건강뿐만 아니라 시각적, 후각적인 문제를 야기 시키고 있다. 따라서, 현대인의 삶의 질이 높아짐에 따라 주거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더 나은 삶을 살기 위한 욕구는 주거환경을 변화 시키고 있다. 이러한 급격한 변화 속에서 천연광물과 무기질천연재료를 이용한 친환경 건축용재들의 개발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벽바름재는 건축 마감재로서, 벽 마감 상태를 오래도록 유지하며, 항균 및 항곰팡이, 탈취, 공기정화, 음이온 및 원적외선방출과 같은 환경친화적인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광택 및 질감의 다양한 효과를 통해 시각적으로 우수한 미적 기능을 가지는 제품이 개발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554106호는 카오린을 이용한 원적외선 복사 건축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원적외선을 복사하는 카오린을 이용한 주거 공간 미장 마감재를 제안하며, 게르마늄을 주성분으로 하는 천연광물인 카오린과 규산 및 펄프와 물을 혼합하여 내구성이 강하며, 항공팜이성과 암모니아수의 탈취율이 높으며, 열전도율과 원적외선 복사율 및 강도가 뛰어난 카오린을 이용한 주거공간의 미장 마감재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499868호는 액상세라믹 건축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음이온 및 원적외선이 방사되고, 광촉매 기능을 가지는 액상세라믹 건축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체 혼합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였을때, 천연광물인 카오린 25~35중량%와, 몰타론 48~53중량%와, 산화규소(SiO2) 7~12중량%와, 소포제 5~10중량% 가 혼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고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0-0773418호는 연옥이 함유된 페인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페인트를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에 연옥을 더 첨가하여 종래의 페인트에서 방출되는 인체 유해성분인 VOCs 및 포름알데히드의 방출량을 최소화한 페인트 조성물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천연광물과 무기질천연재료를 이용하여 벽바름재, 벽마감재 및 도료를 제조함으로써 환경친화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조하는 방법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환경친화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것과 동시에 광택 및 질감의 다양한 효과를 유발하여 시각적으로 우수한 미적 기능을 가지는 천연광물과 무기질천연재료를 이용하여 제조한 벽바름재의 개발은 미비한 실정이다. 또한, 벽바름재가 분말상태로 제조되어 사용 목적, 사용 도구 및 사용 방법에 따라 사용자가 다양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유통 및 저장 과정 중에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성이 증진된 벽바름재의 개발도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카오린을 주성분으로 하여 여러 가지 천연광물을 첨가하고 무기질천연재료와 혼합하여 건축용 벽바름재를 제조함으로써, 항균 및 항곰팡이 효과가 뛰어나고, 저온에도 안정하며, 부착강도가 뛰어난 벽바름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벽바름재가 분말상태로 제조되어 사용 목적, 사용 도구 및 사용 방법에 따라 사용자가 다양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유통 및 저장 과정 중에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성이 증진된 벽바름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천연광물과 무기질천연재료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벽바름재를 제조함으로써, 휘발성 유기화합물 및 환경호르몬을 최소화하여 냄새 발생량이 적으며, 폐기물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서 인체에 무해한 벽바름재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아울러, 2㎛ 이하 크기의 입자가 전체 중량의 80% 이상 포함되어 있는 판상형 카오린을 사용하여 벽바름재를 제조함으로써, 광택 효과가 뛰어나 시각적으로 우수한 미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접착성도 증가시킬 수 있는 벽바름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카오린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축용 벽바름재는, 카오린 55 내지 80중량%, 토르말린 1 내지 10중량%, 산화티탄 1 내지 10중량%, 석고 3 내지 15중량%, 무기질천연재료 3 내지 15중량% 및 식물성접착파우더 3 내지 15중량%를 포함하여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오린은 판상형 카오린으로서 2㎛ 이하 크기의 입자가 카오린 전체 중량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기질천연재료는 규조토, 제올라이트, 숯 및 황토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이 선택될 수 있다.
카오린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축용 벽바름재는, 입자의 크기가 5 내지 40㎛인 무기질안료를 더 포함하여 조성될 수 있다.
이때, 카오린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축용 벽바름재는 카오린 55 내지 80중량%, 토르말린 1 내지 10중량%, 산화티탄 1 내지 10중량%, 석고 3 내지 15중량%, 무기질천연재료 3 내지 15중량%, 식물성접착파우더 3 내지 15중량% 및 무기질안료 1 내지 5중량%를 포함하여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카오린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축용 벽바름재는 분말상태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카오린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축용 벽바름재로서, 카오린을 주성분으로 하여 여러 가지 천연광물을 첨가하고 무기질천연재료와 혼합하여 건축용 벽바름재를 제조하였기 때문에, 항균 및 항곰팡이 효과가 뛰어나고, 저온에도 안정하며, 부착강도가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벽바름재가 분말상태로 제조되어 사용 목적, 사용 도구 및 사용 방법에 따라 사용자가 다양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유통 및 저장 과정 중에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천연광물과 무기질천연재료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벽바름재를 제조함으로써, 휘발성 유기화합물 및 환경호르몬을 최소화하여 냄새 발생량이 적으며, 폐기물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서 인체에 무해한 벽바름재를 제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2㎛ 이하 크기의 입자가 전체 중량의 80% 이상 포함되어 있는 판상형 카오린을 사용하여 벽바름재를 제조함으로써, 광택 효과가 뛰어나 시각적으로 우수한 미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접착성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대장균에 대한 카오린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축용 벽바름재의 항균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는 녹농균에 대한 카오린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축용 벽바름재의 항균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은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카오린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축용 벽바름재의 항균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4는 카오린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축용 벽바름재의 항곰팡이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5는 카오린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축용 벽바름재의 실내공기질시험에서 챔버 설치 전과 챔버 설치 후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이하, 본원의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 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은 카오린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축용 벽바름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카오린을 주성분으로 하여 여러 가지 천연광물을 첨가하고 무기질천연재료와 혼합하여 건축용 벽바름재를 제조함으로써, 환경친화적인 기능 및 부착강도가 뛰어나고, 저온에서도 안정하며, 벽바름재가 분말상태로 제조되어 사용자가 다양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유통 및 저장 과정 중에 변질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판상형 카오린을 사용하여 광택 효과가 뛰어난 것과 같은 기능성이 증진된 건축용 벽바름재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카오린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축용 벽바름재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카오린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축용 벽바름재(이하, “벽바름재”이라고도 함)는 후술하는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카오린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축용 벽바름재는 카오린, 토르말린, 산화티탄, 석고, 무기질천연재료 및 식물성접착파우더로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카오린(Kaolin)은 고릉토, 백도토(白陶土:china clay)라고도 불리며, 그 주성분은 카올리나이트(Al2O3·2SiO2·2H2O)와 할로이사이트(Al2O3·SiO2·4H2O)이다. 바위 속에 있는 장석, 정장석, 소다 장석 및 회장석 같은 장석류가 탄산 또는 물에 의해 화학적으로 분해되는 풍화에 의해 생성된다. 보통 원성토(原成土)로 된 바위 위에 수 미터의 두꺼운 층이 생겨 발달한다. 도자기의 원료로 사용되며 중국의 가오링(高陵)에서 많이 산출되었으므로 고령토라 불리게 되었다. 카오린은 항균 및 항곰팡이 효과가 뛰어나고, 암모니아수의 탈취율이 높으며, 열전도율과 원적외선 복사율 및 강도가 뛰어나며, 광택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토르말린(Tourmaline)은 전기석으로 불리며, 복잡하고 다양한 화학조성을 가지는 붕규산염광물로서 붕소, 알루미늄 따위를 함유한 규산염 광물이다. 분홍색, 남색, 녹색, 황색 등의 아름다운 것은 페그마타이트(Pgmatite : 석영, 장석, 운모 따위의 거친 결정으로 이루어진 화성암)에서 산출되며, 우랄 산지, 스리랑카, 마다가스카르, 브라질, 미국 등지에서 주로 산출된다. 이온효과, 원적외선효과, 탈취효과, 계면활성효과, 산화방지효과, 수질정화효과, 음이온발생효과 등과 같이 다양한 효과가 있는 광석이다. 환경친화적으로 의료용, 건강, 미용, 자연정화용, 농업, 수산, 식품 등의 모든 분야에서 사용 가능하여 개발 가치가 큰 응용광석이다.
산화티탄은 항균작용을 가지도록 하는 광촉매 물질로서, 벽바름재 제조시 산화티탄을 첨가함으로써, 벽바름재를 도포한 건축물 표면에 항균 및 항곰팡이 효과가 뛰어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석고는 벽바름재를 분말상태로 제조하는데 도움이 되며, 분말상태의 벽바름재 제조 후 건축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사용 용도에 따라 일정량의 물과 혼합하였을 때 강도가 증가하여 건축 표면에 대한 벽바름재의 고착력 및 부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식물성접착파우더는 증점제로 사용되며 CMC(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carboxymethyl cellulose)라고도 불린다. 천연식물로부터 추출한 성분으로, 본 발명은 친환경적인 벽바름재를 제조하기 위해 화학합성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식물성접착파우더를 사용하여 벽바름재를 제조한다. 본 발명의 카오린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축용 벽바름재는 분말상태로 제조되는데, 이는 벽바름재를 물과 혼합하여 액상으로 저장하거나 유통하게 되면 저장 및 유통 과정 중에 식물성접착파우더의 성분으로 인해 제품이 변질 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무기질천연재료는 다공성 물질로서 촉매 역할을 수행하며, 벽바름재의 용도 및 필요성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카오린 55 내지 80중량%, 토르말린 1 내지 10중량%, 산화티탄 1 내지 10중량%, 석고 3 내지 15중량%, 무기질천연재료 3 내지 15중량% 및 식물성접착파우더 3 내지 15중량%를 포함하여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카오린은 벽바름재 조성물 총 질량을 기준으로 55 내지 80중량%인 것이 바람직한데, 55중량% 미만이면 첨가하는 카오린의 함량이 부족하여 내구성 및 내열성이 부족하고 항균 및 항곰팡이 효과와 같은 환경친화적인 기능뿐만 아니라 광택이 뛰어나지 않을 우려가 있으며, 80중량%를 초과하면 카오린의 함량이 과도하게 첨가되어 벽바름재를 건축물의 표면에 도포할 때 흡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부착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비용이 증가하여 경제성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토르말린과 산화티탄은 벽바름재 조성물 총 질량을 기준으로 각각 1 내지 10중량%인 것이 바람직한데, 토르말린이 1중량% 미만이면 첨가하는 토르말린의 함량이 전체 질량에 비해 너무 작아서 토르말린의 기능이 제대로 발휘되지 않을 우려가 있으며, 산화티탄이 1중량% 미만이면 광촉매 작용이 제대로 활성화되지 않아 벽바름재 제조시 항균 및 항곰팡이 효과가 떨어질 우려가 있다. 토르말린이 10중량%를 초과하고 산화티탄이 10중량%를 초과하면 생산 비용이 증가하여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석고는 벽바름재 조성물 총 질량을 기준으로 3 내지 15중량%인 것이 바람직한데, 석고가 3중량% 미만이면 벽바름재를 일정량의 물과 혼합하였을 때 강도가 증가하는 기능이 저하되게 되어 벽바름재의 고착력 및 부착력이 떨어지고 벽바름재를 분말상태로 제조하는데 어려울 수 있으며, 석고가 15중량%를 초과하면 상대적으로 다른 천연광물의 함량이 줄어들게 되어 벽바름재의 환경친화적인 기능이 감소 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무기질천연재료는 벽바름재 조성물 총 질량을 기준으로 3 내지 15중량%인 것이 바람직한데, 무기질천연재료가 3중량% 미만이면 다공성 물질로서 촉매역할을 하는 무기질천연재료의 함량이 부족하게 되어 공기 순환 및 정화와 같은 환경친화적인 기능이 저하되게 되고, 무기질천연재료가 15중량%를 초과하면 무기질천연재료의 함량이 과도하게 첨가되어 벽바름재를 건축물의 표면에 도포할 때 흡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부착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비용이 증가하여 경제성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물성접착파우더는 벽바름재 조성물 총 질량을 기준으로 3 내지 15중량%인 것이 바람직한데, 식물성접착파우더가 3중량% 미만이면 벽바름재 자체의 접착력이 떨어져 건축물의 표면에 대한 벽바름재의 부착력이 떨어질 우려가 있으며, 식물성접착파우더가 15중량%를 초과하면 식물성 성분이 과도하게 첨가되어 유통 및 저장 과정에서 주변 환경의 변화로 인해 쉽게 변질 되는 것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카오린 55 내지 80중량%, 토르말린 1 내지 10중량%, 산화티탄 1 내지 10중량%, 석고 3 내지 15중량%, 무기질천연재료 3 내지 15중량% 및 식물성접착파우더 3 내지 15중량%를 포함하여 조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카오린은 판상형 카오린으로서 2㎛ 이하 크기의 입자가 카오린 전체 중량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카오린은 판상형 카오린과 침상형 카오린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2㎛ 이하 크기의 입자가 카오린 전체 중량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것을 판상형 카오린이라 할 수 있다. 판상형 카오린은 침상형 카오린에 비해 빛의 난반사 효과 등이 우수하여 표면에 광택을 부여할 때 필수적이며, 벽바름재의 접착성도 우수하게 만드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2㎛ 이하 크기의 입자가 카오린 전체 중량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판상형 카오린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벽바름재를 제조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무기질천연재료는 규조토, 제올라이트, 숯 및 황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무기질천연재료는 다공성 물질로서 촉매 역할을 위해 사용되며, 벽바름재의 용도 및 필요성에 따라 선택적으로 규조토, 제올라이트, 숯 및 황토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카오린, 토르말린, 산화티탄, 석고, 무기질천연재료 및 식물성접착파우더로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오린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축용 벽바름재 제조시 입자의 크기가 5 내지 40㎛인 무기질안료를 더 포함하여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무기질안료는 색상을 부여할 때 추가적으로 첨가되는 요소로서,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첨가되어 벽바름재를 제조할 수 있다.
무기질안료가 더 첨가되어 제조되는 카오린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축용 벽바름재는 카오린 55 내지 80중량%, 토르말린 1 내지 10중량%, 산화티탄 1 내지 10중량%, 석고 3 내지 15중량%, 무기질천연재료 3 내지 15중량%, 식물성접착파우더 3 내지 15중량% 및 무기질안료 1 내지 5중량%를 포함하여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무기질안료는 벽바름재 조성물 총 질량을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인 것이 바람직한데, 무기질안료가 1중량% 미만이면 전체 함량에 비해 무기질안료가 차지하는 비율이 너무 작아서 벽바름재에 표현하고자 하는 색상이 제대로 발현되지 않을 우려가 있으며, 무기질안료가 5중량%를 초과하면 상기 벽바름재 조성물과 무기질안료의 혼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색상이 균일하게 표현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벽바름재는 분말형태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분말형태로 제조된 카오린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축용 벽바름재는 분말형태로 제조되었기 때문에, 사용 목적, 사용 도구 및 사용 방법에 따라 사용자가 다양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유통 및 저장 과정 중에 변질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성이 증진되는 효과가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사용 도구에 따라 흙손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표면에 벽바름재를 도포하는 경우, 분말형태의 벽바름재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해 물 70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롤러를 이용하여 건축물의 표면에 벽바름재를 도포하는 경우, 분말형태의 벽바름재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해 물 100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분말형태의 벽바름재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해 물 70 내지 100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할 때, 첨가제로서 소포제 1중량부 및 동화제 2중량부를 더 첨가하여 벽바름재의 고착력 및 부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제조된 카오린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축용 벽바름재는 카오린 55 내지 80중량%, 토르말린 1 내지 10중량%, 산화티탄 1 내지 10중량%, 석고 3 내지 15중량%, 무기질천연재료 3 내지 15중량% 및 식물성접착파우더 3 내지 15중량%를 포함하여 조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조된 카오린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축용 벽바름재는 광택효과가 매우 우수하여 시각적으로 우수한 미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천연광물 및 무기질천연재료를 사용하여 제조함으로써, 환경친화적인 기능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카오린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축용 벽바름재를 분말형태로 제조하여 흙손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표면에 벽바름재를 도포할 수 있다.
2㎛ 이하 크기의 입자가 카오린 전체 중량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판상형 카오린, 토르말린, 산화티탄, 석고, 무기질천연재료인 규조토, 식물성접착파우더, 무기질안료 및 첨가제인 소포제와 동화제를 준비한다.
카오린 61.9㎏, 토르말린 4.4㎏, 산화티탄 4.4㎏, 석고 8.8㎏, 규조토 8.8㎏, 식물성접착파우더 8.8㎏ 및 무기질안료 2.7㎏을 혼합하여 분말형태의 카오린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축용 벽바름재를 제조한다. 제조된 분말형태의 카오린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축용 벽바름재 100㎏에 물 70㎏, 소포제 1㎏ 및 동화제 2㎏을 첨가하여 혼합한 뒤 흙손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표면에 벽바름재를 도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카오린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축용 벽바름재를 분말형태로 제조하여 롤러를 이용하여 건축물의 표면에 벽바름재를 도포할 수 있다.
2㎛ 이하 크기의 입자가 카오린 전체 중량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판상형 카오린, 토르말린, 산화티탄, 석고, 무기질천연재료인 규조토, 식물성접착파우더, 무기질안료 및 첨가제인 소포제와 동화제를 준비한다.
카오린 61.9㎏, 토르말린 4.4㎏, 산화티탄 4.4㎏, 석고 8.8㎏, 규조토 8.8㎏, 식물성접착파우더 8.8㎏ 및 무기질안료 2.7㎏을 혼합하여 분말형태의 카오린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축용 벽바름재를 제조한다. 제조된 분말형태의 카오린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축용 벽바름재 100㎏에 물 100㎏, 소포제 1㎏ 및 동화제 2㎏을 첨가하여 혼합한 뒤 롤러를 이용하여 건축물의 표면에 벽바름재를 도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제조된 카오린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축용 바름재의 항균시험을 실시하였다.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에 카오린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축용 벽바름재의 항균력에 대한 실험을 의뢰하였고, 하기 표 1은 대장균, 녹농균 및 황색포도상구균에 의한 항균시험 결과이다.
접종균의 세균농도(CFU/)는 대장균 1.8×106, 녹농균 2.2×106 및 황색포도상구균 1.5×106이며, 사용균주는 Escherichia coli ATCC 25922, Pseudomonas aeruginosa ATCC 15442 및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이다. 또한, 시험방법은 KCL-FIR-1002:2011(단, 시료 : 4g)이다.
Figure 112014082888014-pat00001
*CFU : Colony Forming Unit
도 1 내지 도 3은 각각 대장균, 녹농균 및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카오린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축용 벽바름재(얇은 마무리용 벽 바름재로 표기)의 항균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대조군 (사진 1, 사진 3 및 사진 5)에는 유해균이 존재하나, 카오린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축용 벽바름재(얇은 마무리용 벽 바름재로 표기)로 처리한 경우 (사진 2, 사진 4 및 사진 6)에는 대장균, 녹농균 및 황색포도상구균 99.9%가 살균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제조된 카오린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축용 벽바름재의 항곰팡이시험을 실시하였다.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에 카오린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축용 벽바름재의 항공팜이에 대한 실험을 의뢰하였고, 하기 표 2는 항곰팡이시험 결과이다.
사용한 곰팡이 균주(혼합균주)는 Aspergillus niger ATCC 9642, Penicillium pinophilum ATCC 11797, Chaetomium globosum ATCC 6205, Gliocladium virens ATCC 9645 및 Aureobasidium pullulans ATCC 15233이며, 시험방법은 ASTM G 21:2009이다.
항곰팡이시험의 결과는 0(시험편의 접종한 부분에 균사의 발육이 인지되지 않음), 1(시험편의 접종한 부분에 인지되는 균사 발육부분의 면적이 전 면적의 10% 미만임), 2(시험편의 접종한 부분에 인지되는 균사 발육부분의 면적이 전 면적의 10~30%임), 3(시험편의 접종한 부분에 인지되는 균사 발육부분의 면적이 전 면적의 30~60%임) 및 4(시험편의 접종한 부분에 인지되는 균사 발육부분의 면적이 전 면적의 60% 이상임)로 표기하였다.
Figure 112014082888014-pat00002
도 4는 카오린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축용 벽바름재(얇은 마무리용 벽 바름재로 표기)의 항곰팡이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곰팡이 균주를 배양한지 4주가 지나도 카오린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축용 벽바름재(얇은 마무리용 벽 바름재로 표기)로 처리한 경우에는 항곰팡이시험의 결과값이 0으로 시험편의 접종한 부분에 균사의 발육이 인지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표2에서 나타나듯이, 시험편에 곰팡이 균주를 배양한 뒤 카오린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축용 벽바름재(얇은 마무리용 벽 바름재로 표기)로 처리한 경우 1주 내지 4주 후 까지도 항곰팡이시험의 결과값이 0으로 나타나 항곰팡이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제조된 카오린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축용 바름재의 실내공기질시험을 실시하였다.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에 카오린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축용 벽바름재의 실내공기질에 대한 실험을 의뢰하였고, 총휘발성유기화합물(TVOC), 톨루엔(Toluene) 및 폼알데하이드(Formaldehyde)를 측정하였다.
실내공기실시험조건은 아래의 표 3, 표 4 및 표 5에 나타내었으며, 시험방법은 실내공기질공정시험기준(환경부고시제2010-24호)에 따라 시험하였다.
Figure 112014082888014-pat00003
Figure 112014082888014-pat00004
Figure 112014082888014-pat00005
상기의 조건으로 실내공기실시험을 실시하였으며, 도 5는 챔버 설치 전과 챔버 설치 후의 사진이다. 실내공기질시험 결과는 아래 표 6에 나타내었으며, 총휘발성유기화합물(TVOC)는 0.005 ㎎/㎡h로 측정되었고, 툴루엔(Toluene) 및 폼알데하이드(Formaldehyde)는 검출한계에서 측정되지 않아 유해물질인 총휘발성유기화합물(TVOC), 툴루엔(Toluene) 및 폼알데하이드(Formaldehyde)가 적게 발생하여 실내공기질공정시험기준(환경부고시제2010-24호)에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Figure 112014082888014-pat00006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제조된 카오린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축용 바름재의 저온안정성과 부착강도에 대한 시험을 실시하였다.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에 카오린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축용 벽바름재의 저온안정성과 부착강도에 대한 실험을 의뢰하였고, 부착강도는 표준 샘플과 침수된 샘플을 비교하여 시험하였다. 시험방법은 KS F 4715:2007이며, 시험결과는 아래 표 7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4082888014-pat00007
상기 표 7에서 나타나듯이, 카오린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축용 벽바름재는 저온에서도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착강도가 표준샘플은 0.8 N/㎟이고, 침수된 샘플은 0.5N/㎟으로 측정되어 KS F 4715:2007과 같은 기준시험법의 적정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나 침수 후에도 부착강도가 적당히 유지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제조된 카오린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축용 벽바름재의 폐기물 함량에 대한 시험을 실시하였다.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에 카오린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축용 벽바름재의 폐기물 함량에 대한 실험을 의뢰하였고, 폐기물은 납, 6가크롬, 구리, 카드뮴, 비소 및 수은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시험방법은 폐기물공정시험기준(환경부고시 제2011-160호)에 따라 실시하였고, 시험결과는 아래 표 8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4082888014-pat00008
상기 표 8에서 나타나듯이, 카오린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축용 벽바름재에 포함된 폐기물에 대한 함량을 시험한 결과, 납, 6가크롬, 카드뮴, 비소 및 수은은 검출되지 않았고, 구리는 0.047㎎/L 검출되어 폐기물공정시험기준(환경부고시 제2011-160호)과 같은 기준시험법의 적정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카오린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축용 벽바름재의 폐기물에 대한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이상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또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1. 2㎛ 이하 크기의 입자가 카오린 전체 중량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상형 카오린 55 내지 80중량%, 토르말린 1 내지 10중량%, 산화티탄 1 내지 10중량%, 석고 3 내지 15중량%, 규조토, 제올라이트, 숯 및 황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질천연재료 3 내지 15중량% 및 식물성접착파우더 3 내지 15중량%를 포함하여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오린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축용 벽바름재.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오린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축용 벽바름재에는 입자의 크기가 5 내지 40㎛인 무기질안료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2㎛ 이하 크기의 입자가 카오린 전체 중량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상형 카오린 55 내지 80중량%, 토르말린 1 내지 10중량%, 산화티탄 1 내지 10중량%, 석고 3 내지 15중량%, 규조토, 제올라이트, 숯 및 황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질천연재료 3 내지 15중량%, 식물성접착파우더 3 내지 15중량% 및 무기질안료 1 내지 5중량%를 포함하여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오린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축용 벽바름재.
  5. 삭제
  6. 청구항 1 또는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벽바름재는 분말형태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오린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축용 벽바름재.
KR1020140114333A 2014-08-29 2014-08-29 카오린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축용 벽바름재 KR101563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4333A KR101563988B1 (ko) 2014-08-29 2014-08-29 카오린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축용 벽바름재
PCT/KR2014/008274 WO2016032037A1 (ko) 2014-08-29 2014-09-03 카오린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축용 벽바름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4333A KR101563988B1 (ko) 2014-08-29 2014-08-29 카오린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축용 벽바름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3988B1 true KR101563988B1 (ko) 2015-10-28

Family

ID=54429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4333A KR101563988B1 (ko) 2014-08-29 2014-08-29 카오린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축용 벽바름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63988B1 (ko)
WO (1) WO201603203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0189A (ko) 2017-12-28 2019-07-08 낙우산업(주) 할로이사이트를 이용한 친환경 천연 페인트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3048A (ko) * 2004-03-18 2005-09-23 주식회사 대동그린산업 천연광물질을 활용한 주택 및 공동주택의휘발성유기화합물의 제거로 실내공기질을 개선하는 미장재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58173A (ko) * 2004-11-24 2006-05-29 (주)참존바이오 친환경성 세라믹 도장재 조성물
KR20100017003A (ko) * 2008-08-05 2010-02-16 주식회사 세라에이치티 세라믹 분말을 포함하는 벽체 코팅 및 바름제 조성물, 이의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벽체시공방법
KR20130121587A (ko) * 2012-04-27 2013-11-06 원성재 천연 광물 양구 방산 백색 고령토에서 추출한 화이트 이온 미네랄과 백색 고령토 분말을 이용한 새 집 증후군 제거용 얇은 바름제로서의 액상 세라믹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44534A (ko) * 2012-10-05 2014-04-15 주식회사 원이엔지 친환경 무기 바름재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0189A (ko) 2017-12-28 2019-07-08 낙우산업(주) 할로이사이트를 이용한 친환경 천연 페인트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32037A1 (ko) 2016-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496329A (zh) 一种室内用无机干粉隔热硅藻泥及其制备方法
KR101969960B1 (ko) 친환경 머드 페인트 및 그 제조방법
KR100886786B1 (ko) 기능성 바이오 세라믹 건축마감재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바이오 세라믹 건축마감재
KR20190080189A (ko) 할로이사이트를 이용한 친환경 천연 페인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563988B1 (ko) 카오린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축용 벽바름재
CN103172321B (zh) 一种环保型硅藻海泡泥涂料
KR100949514B1 (ko) 친환경 노출콘크리트 표면마감재
KR20060000697A (ko) 환경친화형 미네랄 바이오 벽바름재 조성물
CN104292902B (zh) 一种陶瓷用热固性丙烯酸粉末涂料
KR20040084571A (ko)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방출하는 기능성 아크릴 수성도료
KR101299551B1 (ko) 화산토를 이용한 도료 및 그 제조방법
CN103755219B (zh) 仿澳洲砂岩硅藻土壁材及其施工方法
CN106830882A (zh) 一种硅藻泥陶土
KR101114275B1 (ko) 폴리에틸렌 수지를 이용한 친환경 벽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060645B1 (ko) 화산암 타일 및 그 제조 방법
KR100476683B1 (ko) 원적외선 방사물질을 함유한 항균 벽지 및 그 제조 방법
KR20060084341A (ko) 천연광물을 이용한 친환경 페인트제조방법
KR20140136215A (ko) 건축물의 내벽을 내장하는 친환경 몰탈 및 그 제조방법
KR101984619B1 (ko) 세라믹 유약을 이용한 석재의 표면처리 방법
CN103864344B (zh) 仿意大利米洞石硅藻土壁材及其施工方法
KR100837495B1 (ko) 음 이온을 방출하는 인체에 유익한 몰딩 및 그 제조방법
JP2017527518A (ja) 天然石の外観を具現する多孔性セラミックタイ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317210B1 (ko) 공기 질 개선효과를 갖는 건축물의 내부 미장용 마감재 조성물
KR100756118B1 (ko) 황토 미장방법
KR20050103885A (ko) 시멘트 제품의 표면 마감용으로서 항균, 항곰팡이 및 탈취기능을 갖는 바이오 무기질 코팅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