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3180B1 - 잠수 수영 보조기구 - Google Patents

잠수 수영 보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3180B1
KR101563180B1 KR1020090009320A KR20090009320A KR101563180B1 KR 101563180 B1 KR101563180 B1 KR 101563180B1 KR 1020090009320 A KR1020090009320 A KR 1020090009320A KR 20090009320 A KR20090009320 A KR 20090009320A KR 101563180 B1 KR101563180 B1 KR 1015631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ving
aids
swim
support structure
d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9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6048A (ko
Inventor
프로리안 조수파이트
구이도 프로렌
Original Assignee
가블러 마쉬넨바우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블러 마쉬넨바우 게엠베하 filed Critical 가블러 마쉬넨바우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90086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6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3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31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46Divers' sleds or like craft, i.e. craft on which man in diving-suit r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oy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ir Transport Of Granular Materials (AREA)

Abstract

최소한 한 명의 다이버의 수송용 잠수 수영 보조기구는 다이버를 이동시키기 위한 드라이브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잠수 수영 보조기구는 본질적으로 완전하게 다이버를 덮는 덮개를 포함한다.
잠수 수영 보조기구

Description

잠수 수영 보조기구{UNDERWATER SWIMMING AID}
본발명은 청구항 제 1항에서 특정된 특징을 갖는 잠수 수영 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잠수 수영 보조기구는 일반적으로 다이버의 활동 반경을 증가시키는 것을 돕는다. 이를 위해, 다이버에게는 드라이브 유닛이 제공되는데, 이 드라이브 유닛을 사용하여 다이버들은 자신의 힘을 쓰지 않고 바다 속을 이동할 수 있다. 소위 잠수 스쿠터는 이러한 맥락에서 언급된다. 그러한 스쿠터는 다이버가 자유 수영 방식으로 매달려서 스쿠터에 의해 함께 따라 당겨지도록 하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현재까지 알려진 스포츠 다이버용 잠수 수영 보조기구는 유용한 보조기구이기는 하지만, 군용 분야에서는 제한적인 정도로만 적합하거나 또는 전혀 적합하지 않은데, 왜냐하면 이들 다이버들은 경우에 따라, 상기한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범위를 넘어서는 다이빙 거리를 커버해야만 하기 때문이다. 이들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또다른 단점은 냉수 내에서 적용시 나타나는데, 이 냉수는 다이버의 저체온증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크기로 인해 잠수 중인 잠수함 밖에서 현재까지 알려진 다이버용 잠수 수영 보조기구를 전개(deploy)하는 것 은 종종 어렵거나 또는 불가능하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본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잠수 수영 보조기구 타입과 비교하여 더 큰 활동 반경을 허용하고, 다이버를 저체온증으로부터 보호하고, 본발명의 구체예에서 잠수 중인 군사용 잠수함, 예를 들면 타입 U 212 A의 잠수함으로부터 간편한 전개를 가능하게 하는 잠수 수영 보조기구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발명에 따르면, 이 목적은 청구항 제 1항에서 특정된 특징을 갖는 잠수 수영 보조기구에 의해 달성되는데, 여기서 바람직한 구체예는 종속항,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으로부터 유추된다.
본발명에 따른 잠수 수영 보조기구는 최소한 한 명의 다이버의 수송용으로 제공되고 다이버의 이동을 위한 드라이브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잠수 수영 보조기구는 다이버를 본질적으로 완전히 수용하는 덮개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발명의 기본 개념은 다이버 및 경우에 따라 다이버가 운반하는 장비 물체를 이동 중 수용할 수 있는 덮개에 의해, 외부에 대해 본질적으로 완전히 폐쇄된 내부 공간을 갖는 잠수 수영 보조기구를 설계하는 것이다. 이러한 내부 공간은 물에 의해 넘쳐흘러, 이 설계는 간편할 수 있고, 다이버는 주로 몸에 운반하는 호흡 가스 공급체를 통해 호흡 가스를 공급받을 수 있다.
본발명에 따른 잠수 수영 보조기구 내에 있는 다이버는 덮개에 의해 본질적 으로 완전히 둘러싸이기 때문에, 다이버는 이동 도중 어떠한 흐름 저항을 형성하지 않는다. 따라서, 적절한 유선형 설계의 덮개가 주어지면, 잠수 수영 보조기구 및 최소한 하나의 다이버로 구성된 전체 시스템의 흐름 저항은 이전의 통상적인 배치와 비교하여 상당히 낮아질 수 있는데, 이전의 통상적인 배치를 사용할 때, 다이버는 자유 수영 방식으로 수영 보조기구의 외부측 상에 배치된다. 동일한 설계의 드라이브가 주어지면, 그 결과 공지의 수영 보조기구와 비교하여, 본발명에 따른 잠수 수영 보조기구를 사용하여 상당히 더 넓은 범위 및/또는 속도를 실현하고, 이에 의해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적용 스펙트럼은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상당히 넓어질 수 있다. 다이버를 물의 직접적 흐름으로부터 보호하는 덮개의 긍정적 효과는, 종래의 통상 사용되는 수영 보조기구와 비교하여 다이버가 상당히 더욱 천천히 차가와지고, 경우에 따라 물 속에서 다이버의 전개 시간을 더 길게하는 것을 허용한다는 사실로부터 알 수 있다.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가능한 낮은 총중량을 보장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가능한 가벼운 재료가 덮개의 제조용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덮개는 예를 들면, 내부측 및 외부측 각각에서 CFK-적층물로 코팅되는 거품 코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거품 코어를 아라마이드 섬유의 적층물로 코팅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덮개는 다이버에게 탄도 보호물을 또한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발명에 따른 잠수 수영 보조기구는 길이방향의 세로로 연이어 눕는 두 명의 다이버 배치용으로 제공된다. 이러한 다이버 배치는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특히 좁은 설계를 허용한다. 따라서, 유선형 방식으로, 본발명에 따른 잠수 수영 보조기구는 흐름을 격는 단면이 매우 작을 수 있다. 잠수 수영 보조기구 내에서의 다이버의 점유를 더욱 편안하게 하기 위해, 덮개에 의해 싸여있는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내부 공간은 두 명의 다이버에게 편안한 누움 위치를 허용하는 인간환경공학적형상의 휴식처를 제공할 수 있다.
잠수 수영 보조기구 내의 잠수부의 배치는 바람직하게는 머리를 마주보도록 눕도록 배치되는 것이다. 이에 의해, 잠수 수영 보조기구를 제어하는 다이버는 이동 방향 또는 뱃머리 방향으로 바라보도록 대표적으로 배치되고, 반면 다른 한 명의 다이버는 잠수 수영 보조기구를 제어하는 다이버를 바라보면서, 선미 방향으로 보도록 배치된다. 다이버의 머리-대-머리 배치는 호흡 가스 공급에 실패한 다이버가 파트너에 의한 "공기 공유"에 의해 호흡 가스를 공급받는 것을 허용한다.
본발명에 따른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특히 바람직한 디자인에서, 잠수 수영 보조기구는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단면적을 줄이는 제 1 위치, 및 이 단면적을 증가시키는 제 2 위치로 될 수 있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덮개의 부분들과 같은 외부 윤곽의 단면을 형성하는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부분들은 세로 연장을 가로지르는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크기가 이들 부분의 적절한 이동에 의해 증가 또는 감소하는 정도로 이동가능할 수 있다.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단면이 감소되는 제 1 위치에서, 잠수 수영 보조기구는 공간-절약 방식으로 잠수함 내에 저장될 수 있고, 여기서 이 위치는 잠수 수영 보조기구를 잠수함 외부로 꺼내는 것을 단순화시킨다. 제 2 위치에서,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단면적은 다이버가 잠수 수영 보조기구 내에 충분한 양의 공간을 가지도록 유리하게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위치에서 저장 조건에서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최대 단면적 크기는 각각 최대 533 mm이다. 이러한 단면적 크기는 21"-어뢰 발사에 사용되는 잠수함의 발사관을 통해 잠수 수영 보조기구를 참수함의 물 환경으로 방출하는 것을 허용한다.
본발명에 따른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공간 조건을 더욱 감소시키기 위해, 저장 도중, 특히 잠수함 내 저장 도중, 잠수 수영 보조기구는 세로 방향으로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설계된다. 이에 의해, 잠수 수영 보조기구는 저장 조건에서는 텔레스코픽 방식이 아니면서, 전개 이전에만 최소한 한 명의 다이버에 대한 수용 공간 및 바람직하게는 두 명의 다이버에 대한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연장 또는 포개진다.
특히, 잠수 수영 보조기구가 어뢰 발사관을 통해 잠수함으로부터 수중으로 방출될 때, 비-텔레스코픽 방식 저장 조건에서 그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3400 mm 미만이다.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이러한 비-텔레스코픽 방식 길이는 두 개의 잠수 수영 보조기구가 독일 잠수함, 특히 U 212 A 등급의 잠수함에 사용되는 21"-어뢰를 전개하기 위한 발사관 내에서 서로 뒤쪽에 배치되어, 잠수함의 주위 물 내로 방출되는 것을 허용한다.
유용하게는, 잠수 수영 보조기구는 잠수 수영 보조기구에 필요한 안정성 및 강도를 부여하는 지지 구조물을 포함한다. 이 지지 구조물은 알루미늄/플라스틱 프레임으로 본질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유용하게는, 이 지지 구조물은 세로 연장 방향으로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설계된다. 즉, 이 디자인을 갖는 지지 구조물은 세로 연장을 최소한 한번 가로질러서 분할되고, 여기서 이런 방식으로 형성된 지지 구조물 부분들은 서로 세로 방향으로 전치가능하게(displaceably) 접속된다. 바람직하게는 지지 구조물은 약 3400 내지 5000 mm의 길이로 포개질 수 있고, 여기서 접속 영역에서의 지지 구조물의 부분은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포개진 조건에서 필요한 시스템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충분한 정도로 포개진다. 지지 구조물은 잠금 접속에 의해 이러한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포개진 조건으로 서로 접속되는 것이 유리하다.
바람직한 디자인에서, 지지 구조물은 두 개의 부분으로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분할된다. 이에 의해, 각 경우 지지 구조물 부분은 두 개의 세로 받침대를 포함하고, 이 받침대에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용골(keel)을 형성하는 셸-형 덮개 부분이 고정된다. 지지 구조물 부분들을 포갤 수 있기 위해서, 용골의 일부를 형성하는 덮개 부분 중 하나는 대표적으로 용골의 일부를 형성하는 나머지 다른 덮개 부분의 내부 반경보다 작은 외부 반경을 갖는다.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강도는 두 개의 지지 구조물 부분 상으로 용골을 형성하는 덮개 부분을 고정함으로써 더욱 증가될 수 있다. 용골, 또는 용골을 형성하는 셸-형 덮개 부분은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바람직하게는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프로펠러 드라이브의 에너지 공급을 수용하고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트리밍을 위한 하나 이상의 포장 용기를 수용하는 작용을 유용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들 덮개 부분은 드라이버의 장비 물체용 저장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측벽의 일부를 형성하는 덮개 부분은 각각의 경우 용골을 형성하는 덮개 부분의 두 개의 세로 모서리 상에 피벗가능하게 분절된다. 이들 덮개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힌지에 의해 용골을 형성하는 덮개 부 분에 접속되고,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단면적이 줄어드는 방식으로,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가운데 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피벗가능하다. 또한, 이들 덮개 부분은 유용하게는 반대 방향으로, 즉 바깥쪽으로 또한 피벗가능할 수 있고, 외부쪽으로 피벗된 그러한 위치에서, 이들 덮개 부분은 개구를 개방하여, 개구를 통해 다이버가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내부로 들어갈 수 있다.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내부에서, 특히 어깨 및 팔 영역에서 다이버에게 충분한 양의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서,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측벽을 형성하는 덮개 부분은 유리하게는 외부쪽으로 둥글게 굽혀져 있다. 이 디자인은 또한 다이버의 장비 물체가 이들 덮개 부분의 내부측에 저장되는 것을 허용한다.
본발명에 따른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텔레스코픽 방식 디자인을 사용하여, 제 1 지지 구조물 부분의 세로 받침대의 뱃머리측 말단에 및 제 2 지지 구조물 부분의 세로 받침대의 선미측 말단에 각각 배치되는 경사진 받침대를 바람직하게는 고안하는데, 여기서 제 1 지지 구조물 부분의 경사진 받침대는 제 1 지붕 부분에 대한 가이드를 형성하고, 제 2 지지 구조물 부분의 경사진 받침대는 제 2 지붕 부분에 대한 가이드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 구조물 부분 및 지붕 부분은 지지 구조물의 포개짐에 의해 지붕 부분이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단면을 증가시키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방식으로 이동시 커플링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를 위해, 바람직하게는 내측 상에 있는 지붕 부분은 잠수 수영 보조기구에 부착되는 레일을 통해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세로 방향으로 서로 전치가능하게 접속된다. 이 디자인은 두 개의 지지 구조체 부분의 수축 또는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길이의 축소에 의해,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용골 방향으로 두 개의 지붕 부분이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고, 이에 의해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단면적이 감소된다. 반대로, 지붕 부분은 지지 구조물 부분을 포갬에 의해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용골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되고, 여기서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단면적은 증가한다.
본발명에 따르면, 본발명에 따른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단면적의 증가 또는 감소를 허용하는 다른 디자인 구체예도 고안된다. 그러한 디자인의 예시는 도 7 내지 20에 의해 예시적으로 기술된다.
바람직하게는 본발명에 따른 잠수 수영 보조기구는 최소한 하나의 추가적 잠수 수영 보조기구에 대해 기계적으로 커플링하도록 설계된다. 이것은 두 개 이상의 잠수 수영 보조기구를 고정 방식으로, 및 통상의 비히클을 유사하게 형성하는 방식으로 서로 접속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디자인은 두 개의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승무원이 함께 전개 위치에 도달하는 것을 보장한다.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기계적인 커플링은 바람직하게는 이동 방향을 가로질러, 서로 바로 옆에 누워서 서로 접속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측면 덮개 상에 형성된 시각 창은 시각 접촉을 허용하고, 이에 따라 다른 승무원들과의 교신을 허용할 수 있다.
본발명에 따른 잠수 수영 보조기구는 유리하게는 추가의 잠수 수영 보조기구에 대한 기계적인 커플링을 위한 최소한 하나의 커플링 로드(rod)를 포함한다. 이 커플링 로드는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세로 연장부을 가로질러서, 바람직하게는 양측으로 덮개의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방식으로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지지 구조물 상에 전치가능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커플링 로드는 커플링 로드가 덮개의 좌측 또는 우측에서 선택식으로 이동 방향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것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지지 구조물에 고정된다. 두 개의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커플링은 이후 예를 들면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연장된 커플링 로드의 말단에 배치되는 신속 폐쇄 커플링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잠수 수영 보조기구는 특히 비틀리면서 고정된 두 개의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접속을 보장하기 위해, 상기한 방식의 커플링 로드에 의해, 선미뿐만 아니라 뱃머리 영역에서도 서로 커플링된다.
이동 도중, 서로 커플링되어 있는 잠수 수영 보조기구들의 드라이브에서 동일한 속도를 설정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두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드라이브 세팅은 두 개의 잠수 수영 보조기구 중 하나의 드라이버에 의해 전기적 제어를 통해 특히 유리하게 수행될 수 있는데, 이 드라이버는 이들 잠수 수영 보조기구로 구성된 조합을 또한 제어한다. 이를 위해, 본발명에 따른 잠수 수영 보조기구는 제어-기술적 방식으로, 추가의 잠수 수영 보조기구에 대한 커플링 용으로 바람직하게는 설계된다. 제어 기술에 대한 커플링은 두 개의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기계적 커플링용으로 또한 제공되는 수단을 통해 특히 유리하게 수행될 수 있다.
두 개의 커플링된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깊이 제어를 서로에 대해 동기화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본발명에 따른 잠수 수영 보조기구는 접속 로드에 의해, 추가의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깊이 방향타에 이동시 커플링되는 깊이 방향타를 포함하는 것이 유용하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두 개의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깊이 방향타의 샤프트는 접속 로드를 사용하여 서로에 대해 접속될 수 있다.
본발명은 도면에 제시된 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이하에서 설명된다.
본발명에 따른 잠수 수영 보조기구는 두 명의 다이버(2, 4)의 수송용으로 설계된다. 본발명에 따른 잠수 수영 보조기구는 지지 구조물(6) 및 이 지지 구조물(6)을 둘러싸는 덮개에 의해 형성된 좁고 긴 동체를 포함한다.
지지 구조물(6)은 본질적으로 이분(two-part) 방식으로 설계되고, 제 1 지지 구조물 부분(8) 및 제 2 지지 구조물 부분(10)을 포함한다. 제 1 지지 구조물 부분(8)은 서로 떨어져서 평행하게 정렬되고, 횡단 받침대(14)를 통해 서로 접속되는 두 개의 세로 받침대(12)를 포함한다. 횡단 받침대(14)의 영역 내에서, 횡단 받침대(14) 및 세로 받침대(12)에 대해 수직으로 정렬되는 수직 받침대(16)가 두 개의 세로 받침대(12) 상에서 각각의 경우 배치된다. 이 경우, 경사진 받침대(18)는 횡단 받침대(14)를 사용하여 이들 수직 받침대(16)의 자유 말단으로부터 세로 받침대(12)의 교대(abutment) 점까지 연장한다. 마지막으로, 세로 받침대(12) 및 수직 받침대(16)를 둘러싸는 링 요소(20)가 수직 받침대(16)의 영역 내에 배치된다. 이 링 요소(20)는 두 수직 받침대(16) 사이에서 개방 식으로 설계된다.
지지 구조물 부분(10)은 지지 구조물 부분(8)과 유사하게 제작되고, 서로 평형하게 배열되는 두 개의 세로 받침대(22)를 포함한다. 지지 구조물 부분(10)의 세로 받침대(22)는 지지 구조물 부분(8)의 세로 받침대(12)와 동일한 정도로 서로 떨어져 있고, 횡단 받침대(24)를 통해 서로 접속된다. 상단쪽으로 개방되어 있고 세로 받침대(22)를 둘러싸는 링 요소(26)는 횡단 받침대(24)의 영역 내에 배치된 다. 각 경우, 경사진 받침대(28)는 횡단 받침대(24)를 사용하여 상기 링 요소(26)의 두 말단으로부터, 세로 받침대(22)의 교대 점까지 연장한다.
지지 구조물 부분(8, 10)은 서로 전치가능하게 접속된다. 이에 의해, 지지 구조물 부분(8)의 세로 받침대(12)는 지지 구조물 부분(10)의 세로 받침대(22) 상에 놓이는데, 여기서 세로 받침대(12)의 하부측 상에 형성되는 그루브 레일은 세로 받침대(22)의 상부측 상에 형성되는 세로 그루브와 결합한다. 지지 구조물(6)은 이 배치로 인해 텔레스코픽 방식이고, 여기서 텔레스코픽 방식 경로는 세로 받침대(22)의 세로 그루브 내에 배치된 교대에 의해 제한된다. 이들 교대들은 지지 구조물(6)의 강도를 보장하기 위해, 충분한 정도까지 세로 받침대(12)가 세로 받침대(22)와 포개지도록 배치된다. 지지 구조물 부분(8, 10)은 잠금 접속에 의해, 텔레스코픽 방식 조건으로 서로 강하게 접속된다.
셸-형 덮개 부분(30)은 지지 구조물 부분(8)의 세로 받침대(12) 상에 고정된다. 또한, 반원형 식으로 돌출한 덮개 부분(32)은 지지 구조물(8)의 링 요소(20) 상에서 고정되고, 본발명에 따른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뱃머리를 형성한다. 지지 구조물 부분(10) 상에서, 셸-형 덮개 부분(34)은 세로 받침대(22) 상에 고정되고, 뽀족하게 돌출하여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선미를 형성하는 덮개 부분(36)은 링 요소(26) 상에 고정된다. 덮개 부분(34) 내에 배치된 배터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에너지가 공급되는 전기 모터(38)가 덮개 부분(36) 내에 배치된다. 전기 모터(38)에 접속되는 드라이브 샤프트(40)는 덮개 부분(36)의 말단을 통해 인도된다. 보호 링(44)에 의해 둘러싸인 프로펠러(42)는 덮개 부분(36)의 외측 상에 있는 드 라이브 샤프트(40) 상에서 고정된다. 뱃머리를 형성하는 덮개 부분(32)은, 선미측 덮개 부분(36)과 같이 533 mm의 최대 외경을 갖는다.
지지 구조물(6)의 텔레스코픽 방식 조건에서 덮개 부분(30, 32)은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용골을 형성한다. 지지 구조물 부분(8, 10)을 서로 전치시킬 수 있기 위해, 덮개 부분(32)은 덮개 부분(30)의 내부 반경보다 더 작은 외부 반경을 갖는다. 각 경우, 덮개 부분(46)은 힌지를 통해 덮개 부분(30)의 두 측면 모서리 상에서 피벗가능하게 분절되어 있다. 따라서, 각 경우 덮개 부분(48)은 힌지를 통해 덮개 부분(34)의 두 측면 모서리 상에서 유사하게 피벗가능하게 분절되어 있다. 투명 폴리카보네이트로 구성된 시각 창(50)은, 덮개 부분(32)에서 떨어져 있는 말단 영역 내에서 덮개 부분(32) 내에서 적층되어 있다. 덮개 부분(48)은 투명 폴리카보네이트로 구성된 시각 창(52)을 포함하고, 덮개 부분(36)에서 떨어져 있는 말단 영역 내에서 적층되어 있다. 덮개 부분(48)과 더불어 덮개 부분(46)은 외측 상에서 볼록하게 휘어지도록 설계된다. 덮개 부분(46, 48)은 본발명에 따른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단면적을 감소시키기 위해,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내부 방향으로 피벗될 수 있다. 또한, 덮개 부분(46, 48)은 외측에 대해 피벗가능하고, 외측으로 피벗된 조건에서 개구를 해제하고, 이 개구를 통해 다이버(2, 4)는 잠수 수영 보조기구 내로 기어오를 수 있다.
본발명에 따른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지붕은 외측에서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휘어진 두 개의 덮개 부분(54, 56)에 의해 형성되고, 여기서 덮개 부분(54)은 덮개 부분(46) 위쪽에 배치되고, 덮개 부분(56)은 덮개 부분(48) 위쪽에 배치된다. 덮 개 부분(54)은 덮개 부분(56)과 포개지는 영역 내에 배치된다. 덮개 부분(54, 56)은 서로 포개지는 덮개 부분의 이 영역 내에서 서로 상대적으로 전치가능하게 접속된다.
지지 구조물 부분(10)의 경사진 받침대(28)와 더불어 지지 구조물 부분(8)의 경사진 받침대(18)는 가이드 레일로서 설계된다. 덮개 부분(54)은 덮개 부분(54)의 뱃머리측 말단 상에 배치되어 경사진 받침대(18) 상에서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레일 내로 결합하는 가이드 수단을 통해 이동가능한 방식으로 안내된다. 비슷한 방식으로 덮개 부분(56)의 선미측 말단은 가이드 레일에 배치된 가이드 수단에 의해 경사진 받침대(28)의 가이드 레일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안내된다. 지지 구조물 부분(8, 10)이 함께 이동될 때, 이 디자인은 덮개 부분(46, 48)이 내부에서 피벗될 때(도 5 및 6), 뱃머리를 형성하는 덮개 부분(32) 및 선미 영역을 형성하는 덮개 부분(36)이 본발명에 따른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최대 단면을 형성하도록, 덮개 부분(54, 56)이 용골을 형성하는 덮개 부분(30, 34)의 방향으로 떨어져서 전치되는 것을 허용한다. 따라서, 이 조건에서,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최대 단면적 크기는 최대 533 mm이어서, 잠수 수영 보조기구가 잠수함의 21" 어뢰관을 통해 잠수함으로부터 전개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3 및 4로부터 유추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두 명의 다이버(2, 4)는 잠수 수영 보조기구 내에서 머리끼리 누워서 배치되고, 여기서, 지지 구조물 부분(10) 상에서 고정되고,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제어 요소 및 작동 요소가 그 위에 배치되는 콘솔(58)이 다이버들(2, 4) 사이에 위치한다. 잠수 수영 보조기구를 제어하고, 머리가 뱃머리를 향하고 있는 다이버(2)는 제어시 덮개 부분(56) 상에 배치되는 투명 폴리카보네이트의 슬라이딩 창(60)을 열고, 열려진 개구를 통해 머리를 연장한 채 이동 방향으로 볼 가능성이 있다.
도 21 내지 23은 서로 커플링된 두 개의 잠수 수영 보조기구를 나타낸다. 이들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커플링은 이들 두 개의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지지 구조물(6) 상에 고정되어 있는 커플링 로드(130)를 통해 실행된다. 이에 의해, 각각의 경우, 커플링 로드(130)는 횡단 받침대(14)(도 3) 상에 전치가능하게 배치되고, 횡단 받침대(24)(도 3) 상에 있는 커플링 로드(130)는 지지 구조물(6)(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 상에 배치된다. 횡단 받침대(14)는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뱃머리를 형성하는 덮개 부분(36)에 의해 둘러싸이고, 선미측 덮개 부분(36)은 횡단 받침대(24)를 둘러싼다. 커플링 로드(130)를 덮개 부분(32, 36)으로부터 연장시킬 수 있기 위해, 각각의 경우 서로 직경에 있어서 반대편에 있는 두 개의 리세스(132)가 덮개 부분(32, 36) 상에 형성된다. 덮개 부분(32, 36)으로부터 연장되는 두 개의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커플링 로드(130)는 커플링 로드(130)의 말단에 배치되는 신속-폐쇄 커플링(134)을 통해 서로 접속되어, 강한 결합이 유발된다. 또한 커플링 로드(130)는 제어 기술에 대해 두 개의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커플링을 제공하는 식으로 설계되어,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조합을 제어하는 다이버가 이동 도중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두 드라이브들을 동기화시키는 것을 허용한다.
잠수함으로부터 본발명에 따른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전개, 및 연이은 작동 개시는 다음과 같다:
일단, 도 5 및 6에 나타낸 조건에서 잠수 함 내에 있는 하나 또는 두 개의 잠수 수영 보조기구는 용골 방향으로 배치된 덮개 부분(54, 56)과 더불어,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내부 방향으로 피벗된 덮개 부분(46, 48)과 함께 저장되고, 선미를 사용하여 어뢰관의 개구 폐쇄부와 접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어뢰관 내로 삽입된다. 연이어, 어뢰관은 물을 사용하여 범람시킨다. 어뢰관의 개구 폐쇄부를 개방한 후, 잠수 수영 보조기구는 물 내에 이미 위치하고 있는 다이버에 의해 프로펠러(42)를 둘러싸는 보호 링(44)에서 그리핑될 수 있고, 어뢰관으로부터 방출될 수 있다. 잠수 수영 보조기구는 잠수 수영 보조기구을 트리밍한 후 전개 깊이까지 포개지고,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지붕을 형성하는 두 개의 덮개 부분(54, 56)은 위쪽으로 이동한한. 이후, 다이버는 덮개 부분(46, 48)을 바깥쪽으로 피벗하여 개구를 통해 떠오르는 잠수 수영 보조기구 내로 올라갈 수 있다. 잠수 수영 보조기구는 피버팅이 덮개 부분(46, 48)을 폐쇄한 후 본질적으로 전개를 위한 준비가 된다.
다이버(2, 4)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둘러싸는 덮개의 또다른 디자인이 도 9 내지 20에 나타내어진다. 도 7 및 8은 덮개가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용골을 형성하는 덮개 부분(62)을 포함하고, 여기서 덮개 부분(64)은 덮개 부분(62 내지 66)의 세로 연장부에 대해 횡단하는 평면 내에서 덮개 부분(62)의 제 1 세로 모서리 상에서 피벗가능하게 분절되고, 덮개 부분(66)은 덮개 부분(62)의 제 2 세로 모서리 상에서 피벗가능하게 분절되는 구체예를 나타낸다. 단면에서 낫-형으로 휘어져 있는 덮개 부분(64, 66)은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측벽을 형성한다.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지붕의 최소한 한 단면을 형성하는 덮개 부분(68)은 덮개 부분(64) 의 세로 모서리 상에서 피벗가능하게 분절되고, 이 모서리는 덮개 부분(62)에 대한 분절부를 향해 떨어져 있다. 덮개 부분(64, 68)은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단면적을 감소시키기 위해, 단면적의 내부의 방향에서 피벗된다. 유사하게, 덮개 부분(66)은 덮개 부분(68)의 외측 상에서 덮개 부분(66)의 내측을 지탱할 때까지 단면의 내부 방향으로 피벗된다. 따라서, 덮개 부분(64, 66, 68)은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단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바깥쪽으로 피벗되고, 여기서 덮개 부분(66, 68)의 자유 세로 모서리는 서로를 지탱하고, 적절한 고정 수단에 의해 서로 접속된다.
도 9 및 10에 나타낸 구체예에서, 덮개는 주변 방향으로 서로를 따라 배치된 6개의 덮개 부분에 의해 형성된다.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용골을 형성하는 덮개 부분(70)으로부터 진행하여, 덮개 부분(72, 74, 76, 78 및 80)은 주변 방향으로 접속한다. 이를 사용하여, 서로 접하는 모든 덮개 부분은 세로 연장부를 가로질러서 피벗가능하게 이동가능한 방식으로 서로 접속된다. 덮개 부분(76)은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단면을 감소시키기 위해, 덮개 부분(70)의 방향으로 이동되고, 덮개 부분(76)과 접하는 덮개 부분(74)은 덮개 부분(72)의 방향으로 피벗되고, 유사하게 덮개 부분(76)과 접하는 덮개 부분(78)은 덮개 부분(80)의 방향으로 피벗된다. 동시에, 덮개 부분(72, 80)은 단면의 내부 방향에서 동시에 피벗된다.
도 11 및 12에 따른 구체예에서,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용골을 형성하는 덮개 부분(82)이 제공된다. 덮개 부분(84, 86)은 덮개 부분(82)의 세로 모서리 상에서 각각 피벗가능하게 분절된다. 덮개 부분(88)은 덮개 부분(84)의 외측 상에서 전치가능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덮개 부분(90)은 덮개 부분(86)의 외측 상에서 전치가능하게 배치된다. 덮개 부분(88, 90)은 원형-아크-형상 단면 윤곽을 갖고, 이 윤곽은 직선 단면 윤곽과 수직으로 결합한다. 덮개 부분(84, 86)은 외부에 대해 피벗되고, 덮개 부분(88, 90)은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단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직선 말단 영역이 서로를 지탱하는 방식으로 전치된다.
도 13 및 14에 나타낸 구체예에서, 덮개 부분(94, 96)은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용골을 형성하는 덮개 부분(92)의 세로 모서리 상에서 각각 피벗가능하게 분절된다.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단면적을 감소시키는 위치에서, 덮개 부분(96, 98)은 단면의 내부 방향으로 피벗되고 표면 방식으로 서로 지탱한다.
도 15 및 16은 주변 방향으로 서로 뒤따르는 6개의 덮개 부분에 의해 덮개가 형성되는 구체예를 나타낸다.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용골을 형성하는 덮개 부분(100)으로부터 진행하여, 덮개 부분(102, 104, 106, 108 및 110)은 주변 방향으로 접속한다. 이를 사용하여, 서로 접하는 모든 덮개 부분은 세로 연장부를 가로질러서 피벗가능하게 이동가능한 방식으로 서로 접속된다.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단면을 감소시키기 위해, 덮개 부분(102, 104, 108)은 덮개 부분(110)과 더불어 단면의 내부 방향으로 피벗되고, 이에 의해 덮개 부분(106)은 덮개 부분(100)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도 17 및 18에 나타낸 구체예에서, 용골은 서로 피벗가능하게 접속된 두 개의 덮개 부분(112, 114)에 의해 형성된다. 덮개 부분(116)은 덮개 부분(112)의 자유 세로 모서리 상에서 강하게 고정된다. 이에 상응하여, 강하게 고정된 덮개 부분(118)이 덮개 부분(114)의 자유 세로 모서리 상에서 제공된다. 덮개 부분(120) 은 덮개 부분(118)의 내측 상에서 이동가능하게 안내된다. 용골을 형성하는 덮개 부분(112, 114)은 단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바깥쪽으로 피벗되고, 덮개 부분(120)은 덮개 부분(116)을 지탱할 때까지 덮개 부분(118)의 내측을 따라 전치된다.
마지막으로, 도 19 및 20은 두 개의 고정 덮개 부분(112, 124)가 제공되는 구체예를 나타낸다. 덮개 부분(122)은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용골을 형성하고, 덮개 부분(124)는 그 지붕을 형성한다. 두 개의 덮개 부분(126, 128)은 각 경우 덮개 부분(124)의 세로 모서리 상에서 피벗가능하게 분절된다. 덮개 부분(126, 128)은 유연하게 설계된다. 이들은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단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바깥쪽으로 피벗되고,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단면적을 증가시킨다.
도면 부호 리스트
2 다이버
4 다이버
6 지지 구조물
8 지지 구조물 부분
10 지지 구조물 부분
12 세로 받침대
14 횡단 받침대
16 수직 받침대
18 경사진 받침대
20 링 요소
22 세로 받침대
24 횡단 받침대
26 링 요소
28 경사진 받침대
30 덮개 부분
32 덮개 부분
34 덮개 부분
36 덮개 부분
38 전기 모터
40 드라이브 샤프트
42 프로펠러
44 보호 링
46 덮개 부분
48 덮개 부분
50 시각 창
52 시각 창
54 덮개 부분
56 덮개 부분
58 콘솔
60 슬라이딩 창
62-128 덮개 부분
130 커플링 로드
132 리세스
134 신속-폐쇄 커플링
도 1은 본발명에 따른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두 명의 다이버가 타고 있는, 도 1에 따른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지지 구조물의 투시도이고,
도 4는 두 명의 다이버가 타고 있고, 다이버를 덮는 덮개 부분이 없는, 도 1에 따른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비-텔레스코픽 방식 조건에서 도 1에 따른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측면도이고,
도 6는 도 5에 따른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투시도이고,
도 7은 감소된 단면적을 갖는,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내부 공간을 둘러싸는 덮개의 제 1 택일적 디자인의 모식적 단면도이고,
도 8은 증가된 단면적을 갖는, 도 7에 따른 디자인의 모식적 단면도이고,
도 9은 감소된 단면적을 갖는,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내부 공간을 둘러싸는 덮개의 제 2 택일적 디자인의 모식적 단면도이고,
도 10은 증가된 단면적을 갖는, 도 9에 따른 디자인의 모식적 단면도이고,
도 11은 감소된 단면적을 갖는,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내부 공간을 둘러싸는 덮개의 제 3 택일적 디자인의 모식적 단면도이고,
도 12은 증가된 단면적을 갖는, 도 11에 따른 디자인의 모식적 단면도이고,
도 13은 감소된 단면적을 갖는,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내부 공간을 둘러싸 는 덮개의 제 4 택일적 디자인의 모식적 단면도이고,
도 14은 증가된 단면적을 갖는, 도 13에 따른 디자인의 모식적 단면도이고,
도 15은 감소된 단면적을 갖는,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내부 공간을 둘러싸는 덮개의 제 5 택일적 디자인의 모식적 단면도이고,
도 16은 증가된 단면적을 갖는, 도 15에 따른 디자인의 모식적 단면도이고,
도 17은 감소된 단면적을 갖는,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내부 공간을 둘러싸는 덮개의 제 6 택일적 디자인의 모식적 단면도이고,
도 18은 증가된 단면적을 갖는, 도 17에 따른 디자인의 모식적 단면도이고,
도 19은 감소된 단면적을 갖는,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내부 공간을 둘러싸는 덮개의 제 7 택일적 디자인의 모식적 단면도이고,
도 20은 증가된 단면적을 갖는, 도 19에 따른 디자인의 모식적 단면도이고,
도 21은 서로 커플링되는 두 개의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평면도이고,
도 22는 도 21에 따른 두 개의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투시도이고,
도 23은 도 21에 따른 두 개의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정면도이다.

Claims (14)

  1. 수중에서 최소한 한 명의 다이버(2, 4)를 이동시키기 위한 드라이브 장치를 갖는 최소한 한 명의 다이버(2, 4)용 잠수 수영 보조기구로서, 완전하게 다이버(2, 4)를 수용하는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잠수 수영 보조기구는 세로 방향으로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 수영 보조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세로로 연이어 눕는 두 명의 다이버(2, 4)를, 두 명의 다이버(2, 4)가 머리를 마주보도록 누워 배치되는 방식으로 배치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 수영 보조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단면적을 감소시키는 제 1 위치, 및 이 단면적을 증가시키는 제 2 위치로 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 수영 보조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저장 조건에서 최대 단면 크기는 최대 533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 수영 보조기구.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길이는 비-텔레스코픽 방식 저장 조건에서 3400 mm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 수영 보조기구.
  7. 제 1항 내지 4항,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세로 연장 방향에서 텔레스코픽 방식인 지지 구조물(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 수영 보조기구.
  8. 제 7항에 있어서, 지지 구조물(6)은 이분 방식으로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설계되고, 각 경우 두 개의 지지 구조물 부분(8, 10)은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용골을 형성하는 셸-형 덮개 부분(30, 34)이 고정되는 두 개의 세로 받침대(12, 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 수영 보조기구.
  9. 제 8항에 있어서,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측벽의 일부를 형성하는 덮개 부분(46, 48)이 용골을 형성하는 덮개 부분(30, 34)의 두 개의 세로 모서리 상에서 각각 피벗가능하게 분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 수영 보조기구.
  10. 제 8항에 있어서, 제 1 지지 구조물 부분(8)의 세로 받침대(12)의 뱃머리측 말단에 및 제 2 지지 구조물 부분(10)의 세로 받침대(22)의 선미측 말단에 경사진 받침대(18, 28)가 각각 배치되고, 여기서 제 1 지지 구조물 부분(8)의 경사진 받침대(18)는 제 1 지붕 부분(54)에 대한 가이드를 형성하고, 제 2 지지 구조물 부분(10)의 경사진 받침대(28)는 제 2 지붕 부분(56)에 대한 가이드를 형성하고, 여기서, 상기 지지 구조물 부분(8, 10) 및 지붕 부분(54, 56)은 지지 구조물(6)의 포개짐에 의해 지붕 부분(54, 56)이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단면을 증가시키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방식으로 이동시 커플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 수영 보조기구.
  11. 제 1항 내지 4항,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최소한 하나의 추가적 잠수 수영 보조기구에 기계적으로 커플링시키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 수영 보조기구.
  12. 제 7항에 있어서, 최소한 하나의 커플링 로드(130)는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세로 연장부를 횡단하여 양측으로 덮개로부터 연장될 수 있는 방식으로 지지 구조물(6) 상에 전치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 수영 보조기구.
  13. 제 1항 내지 4항,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의 잠수 수영 보조기구에 대한 제어-기술적 커플링용으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 수영 보조기구.
  14. 제 1항 내지 4항,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속 로드에 의해, 추가의 잠수 수영 보조기구의 깊이 방향타에 이동시 커플링되는 깊이 방향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 수영 보조기구.
KR1020090009320A 2008-02-05 2009-02-05 잠수 수영 보조기구 KR1015631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0810007538 DE102008007538A1 (de) 2008-02-05 2008-02-05 Unterwasserschwimmhilfe
DE102008007538.8 2008-02-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6048A KR20090086048A (ko) 2009-08-10
KR101563180B1 true KR101563180B1 (ko) 2015-10-26

Family

ID=40342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9320A KR101563180B1 (ko) 2008-02-05 2009-02-05 잠수 수영 보조기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2088076B1 (ko)
KR (1) KR101563180B1 (ko)
DE (1) DE1020080075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46996B1 (en) * 2014-05-21 2017-10-11 Suex S.r.l. Support for diver propulsion vehicles
ITUA20161384A1 (it) * 2016-03-04 2017-09-04 Suex S R L Dispositivi di accoppiamento per veicolo di propulsione subacquea
DE102018213408A1 (de) * 2018-08-09 2020-02-13 Thyssenkrupp Ag Behälter für eine Unterwasser-Schwimmhilfe, der sich in ein Torpedorohr einsetzen lässt, und Verfahren zum Aussetzen einer Unterwasser-Schwimmhilfe aus einem Unterseeboot mit Hilfe eines solchen Behälter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1174A (en) * 1897-04-20 Carrick paul
FR1148743A (fr) * 1956-04-27 1957-12-13 Véhicule sous-marin
US3131664A (en) * 1962-10-22 1964-05-05 Ling Temco Vought Inc Underwater sleds
US3257982A (en) * 1963-07-30 1966-06-28 Robert G Mentag Miniature submersible vehicle
FR1573871A (ko) * 1967-12-08 1969-07-11
US3618551A (en) * 1969-10-07 1971-11-09 North American Rockwell Dual position canopy for underwater crafts
DE3739887A1 (de) * 1987-11-25 1989-06-08 Barich Fritz W Unterwasserfahrzeug
DE19712257A1 (de) * 1997-03-24 1998-10-01 Rudolph Stephan Dr Ing Tauchgerät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AU721879B3 (en) * 1999-11-08 2000-07-13 Brian Frank Arthur A towable underwater kite
DE10235842B4 (de) * 2002-05-17 2008-01-31 Leitholf, Peter, Dipl.-Ing. Transportsystem für Taucher und Tauchkapsel
DE202006015277U1 (de) * 2005-10-03 2006-12-14 Leitholf, Peter, Dipl.-Ing. Schwimmhalle für Tauch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6048A (ko) 2009-08-10
EP2088076A3 (de) 2013-04-24
EP2088076B1 (de) 2013-11-27
EP2088076A2 (de) 2009-08-12
DE102008007538A1 (de) 2009-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44087B1 (en) Underwater watercraft
ES2647830T3 (es) Sistema y método para la observación subacuática
CN106163914B (zh) 具有可浸没在水中的船尾舱口盖的船
KR101563180B1 (ko) 잠수 수영 보조기구
EP2729355A1 (en) Underwater personal mobility device
ES2738906T3 (es) Barco provisto de una escotilla de popa móvil con una plataforma de popa sumergible
CN114599579A (zh) 配备有娱乐用开口的可潜水式船艉平台
US5595133A (en) Underwater viewing surface watercraft
US6615761B2 (en) Swimmer transport device
US8789484B2 (en) Easily transportable personal watercraft
US10351215B2 (en) Vessel with moving stern swim platform supporting steps sliding over fixed stern steps
US6805064B1 (en) Personal water craft
CN104981399A (zh) 用于海洋勘探的设备
AU622138B2 (en) An amphibious vehicle
EP4309993A1 (en) Boat having wings
CN108945353A (zh) 手持式带拍摄功能的潜水助推器
KR20150015961A (ko) 수중 엘리베이터를 가지는 여객선
WO2020058158A1 (en) Boarding pole protection
CN109501981A (zh) 手持式带拍摄功能的潜水助推器
WO2011108917A1 (en) Submersible boat, comprising a diving tank having an inflatable buoyancy body
CN115335280A (zh) 设置有用于娱乐的开口的船尾平台
KR101219625B1 (ko) 수중 스쿠터
KR20200137812A (ko) 레저용 선박
HRP20230402T1 (hr) Površinsko/podvodno plovilo
JPWO2020161677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