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2765B1 - 등산로 용 바닥 판재 - Google Patents

등산로 용 바닥 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2765B1
KR101562765B1 KR1020150043412A KR20150043412A KR101562765B1 KR 101562765 B1 KR101562765 B1 KR 101562765B1 KR 1020150043412 A KR1020150043412 A KR 1020150043412A KR 20150043412 A KR20150043412 A KR 20150043412A KR 101562765 B1 KR101562765 B1 KR 1015627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drain
drainage
plate
plat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3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세환
Original Assignee
영풍목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풍목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영풍목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43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27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2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27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판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바닥판재에 요철부를 형성시켜 신발바닥 간의 마찰력을 증대시키되, 배수 가능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빗물 등이 홈 내에 고여 마찰력이 저하되는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신발 바닥에 묻어 있는 흙이 배수지점 내에 채워지더라도 이를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홈 내에 채워진 진흙 등에 의한 마찰력 저하 현상 등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등산로 용 바닥 판재{Floorboards material of hiking trails}
본 발명은 등산로나 산책로 등의 지면 상에 설치되는 바닥 판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빗물 등이 상부면에 고이는 현상을 방지하여 결빙 등에 의해 미끌림 현상 등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 신발 바닥면과의 접촉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최근 등산로 등의 지면에는 등산객 등의 사용자 신발과 지면간의 미끌림 현상 등을 최소화 하기 위한 바닥판재가 지면상에 안착 설치된다.
이러한 바닥판재는 일정두께를 갖는 사각 판재 형태이고 등산로 등의 이동경로를 따라 일렬로 연속적으로 반복배치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바닥판재가 지면 상에 설치됨에 따라 등산로 등의 이동경로는 비가 오더라도 땅이 질척거리는 현상이 없어지고 항시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여 등산객 등의 사용자의 피로감 등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최근에는 이러한 바닥판재의 상부면, 즉 사용자의 신발 바닥과 마찰되는 면에는 요철부를 형성시켜 신발 바닥과의 미끌림 현상을 최소화 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기는 하다.
하지만 이렇게 표면에 요철부가 형성된 상태에서 기존 바닥판재는 자체적으로 별도 배수 구조가 없으므로 비가 내릴 경우 빗물 일부가 요철부의 홈 내에 고이게 된다.
따라서 빗물에 의해 신발바닥과 바닥재 표면 간의 마찰력이 저하될 수밖에 없고, 만약 동절기 경우 홈 내에 고인 물이 결빙될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해 미끌림 현상이 더욱 증가되는 문제가 발생 된다.
또한 여러사람이 반복적으로 바닥판재를 밟을 경우 신발에 묻어 있던 흙등이 요철부의 홈 내에 채워짐에 따라 마찰력이 저하되는 요인이 됨은 물론, 홈 내에 채워진 흙이 물을 머금게 되어 진흙 상태가 되므로 미끌림 현상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기본적으로 바닥판재에 요철부를 형성시켜 신발바닥 간의 마찰력을 증대시키되, 효율적인 배수 가능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빗물 등의 수분이 바닥판재에 고여 신발과의 마찰력이 저하되거나 고여있는 수분에 의해 제품의 수명이 저하되는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보행자의 발이 바닥판재를 밟았을 때 쿠션력을 부여하여 발의 피로감을 최소화 하고 밟는 과정에서 밟는 힘에 의해 고여 있던 빗물의 외부 배출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수분 제거 효과도 높일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신발 바닥에 묻어 있는 흙 등의 이물질이 배수레일 내에 채워지더라도 이를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홈 내에 채워진 진흙 등에 의한 마찰력 저하 현상 등을 최소화 하고 이물질에 의한 배수저하 현상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는,
일정 두께와 면적을 갖는 판재 형태이고 지면 상에 안착 설치될 수 있는 판재 본체, 상기 판재본체의 상부면에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 레일 형태로 형성되되 전후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으며 일정 깊이의 홈 형태를 갖는 홈레일, 상기 판재본체의 상부면에 사선방향으로 직선 레일 형태로 형성되되 일정 깊이의 홈 형태이며 상기 각 홈레일을 사선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판재본체의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수평 상태로 배열되어 있는 제1배수레일, 상기 판재본체의 상부면에 상기 제1배수레일과 대칭되는 사선방향으로 직선 레일 형태로 형성되되 일정 깊이의 홈 형태이며 상기 각 홈레일을 사선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형태로 형성되고 중간지점이 상기 각 제1배수레일과 교차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판재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수평 상태로 배열되어 있는 제2배수레일, 상기 판재본체의 상부면 중 상기 각 제1배수레일과 각 제2배수레일 간 교차지점으로부터 상기 판재본체의 테두리를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고 일정 깊이를 갖는 홈 형태의 직선레일 구조를 갖고 제1배수레일과 제2배수레일 간 교차지점으로부터 상기 판재본체의 테두리쪽으로 갈수록 아래쪽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이루어진 보조배수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각 제1배수레일과 제2배수레일은 양단부가 상기 판재본체의 상부면 전후 테두리를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호 연결되고, 상기 제1배수레일과 제2배수레일은 중간지점의 교차지점으로부터 양 단부로 갈수록 아래를 향해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판재본체의 상부면에는 배수홀이 하부면까지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판재본체 하부면에 적층 되어 있고 수분을 흡수 가능하며 자체 탄성력을 보유하고 있고 가압되었을 때 흡수하고 있던 수분 배출이 가능한 흡수 및 배출부재, 상기 판재본체의 하부면과 상기 흡수 및 배출부재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아래쪽을 향해 수축가능하며 수축된 상태에서 위쪽을 향해 탄성력을 발휘하는 스프링, 상기 흡수 및 배출부재 하부면에 적층 되어 있고 지면상에 안착 되며 상부면에는 일정깊이의 홈 형태로 중앙지점으로부터 상부면 전후 양측 테두리를 관통하는 형태의 제3배수레일이 형성되되 상기 제3배수레일은 중앙지점으로부터 전후 양측 테두리 쪽으로 갈수록 아래쪽으로 경사져 있는 지지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판재본체의 상부면 중 상기 제1배수레일과 제2배수레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내부 양측면에는 해당 배수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레일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배수레일과 제2배수레일 중 상기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배수레일의 내부에 삽입되어 해당 배수레일의 형성경로를 따라 직선이동이 가능하며 양측부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해당 배수레일의 바닥면을 긁어낼 수 있는 긁음돌기가 돌출형성되어 있는 이물질 제거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물질 제거부재는 볼 형태이고 상기 결합돌기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며 상기 긁음돌기는 상기 이물질 제거부재의 둘레면으로부터 톱니 형태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이물질 제거부재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경로를 따라 이동하거나 상기 결합돌기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긁음돌기가 상기 제1배수레일과 제2배수레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내부에 형성된 이물질을 긁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여러 실시 예를 갖는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판재본체 상부면에 사용자 신발 바닥과의 마찰을 높이기 위한 홈레일이 복수개 형성되고 판재 본체 상부면에 제1배수레일과 제2배수레일을 형성시켜 신발 바닥과의 마찰력을 보다 증대 시키되 제1배수레일과 제2배수레일을 상호 대칭의 사선방향으로 하여 상호 및 홈레일과 교차됨에 따라 판재본체 상부면 전체 면적에 걸쳐 좌우 양방향 및 전후 양방향을 향해 배수구조가 형성되고,
제1, 2배수레일과 제2배수레일이 양단부로 갈수록 아래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시됨에 따라, 빗물 등이 홈 레일 내부에 고이더라도 빗물이 제1배수레일과 제2배수레일의 경사면을 따라 판재 본체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므로, 전체 배수효율이 기존에 비해 월등히 향상되고 이로 인해 빗물에 의한 마찰력 저하를 방지함은 물론 수분에 의한 제품의 수명저하 현상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배수효율이 향상됨에 따라 동절기에 홈레일 내부의 빗물이 얼어 발생될 수 있는 미끌림 현상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도 갖는다.
그리고 보조배수레일을 더 형성시킴에 따라 제1배수레일 및 제2배수레일과 더불어 빗물 등의 배수효율이 더욱 향상되므로 고임 현상을 더욱 낮출 수 있는 장점도 갖는다.
또한 판재본체에 배수홀을 형성시켜 배수효율을 더욱 높이되, 배수홀을 통해 하부로 배수된 빗물이 흡수 및 배출부재에 흡수되고, 사용자의 발이 판재본체를 누르는 과정에서 흡수 및 배출부재가 압착되면서 흡수된 빗물을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배수효율이 더욱 향상됨은 물론 흡수 및 배출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쿠션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판재본체를 밟는 과정에서 발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또한 이때 판재본체가 눌려진 상태에서 흡수 및 배출부재의 자체 탄성력과 더불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판재본체가 다시 원위치로 상승하게 되므로 흡수 및 배출부재의 반복적인 압착과 복귀가 가능하므로 반복적인 수분흡수 및 배출이 가능하게 됨은 물론,
사용자가 판재본체를 밟는 과정에서 탄성부재와 흡수 및 배출부재의 탄성력과 더불어 코일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서도 완충기능이 발휘되므로 사용자의 피로감이 더욱 줄어드는 장점도 갖는다.
또한 흡수 및 배출부재로부터 배출되는 수분 중 흡수 및 배출부재의 하부면으로부터 배출되는 수분은 지지판의 제3배수레일의 경사면을 따라 전후 양측으로 유도되어 배출되므로 수분배출효율이 더욱 향상됨은 물론, 수분이 바닥판재 아래쪽 땅 속으로 흡수되어 땅이 물러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결국 바닥판재가 안정적으로 지면 상에 설치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이물질 제거부재가 제1배수레일과 제2배수레일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설치되어 해당 배수레일의 형성경로를 따라 이동이 가능하고, 보행자가 판재본체를 밟는 과정에서 이물질 제거부재와 신발과의 접촉에 의해 이물질 제거부재가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거나 회전될 수 있고 회전 과정에서 긁음돌기가 각 배수레일 내에 채워진 흙 등의 이물질을 긁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이물질에 의한 배수효율 저하 현상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바닥판재의 사시도
도2는 도1의 평면도
도3은 제1배수레일과 제2배수레일 및 홈 레일의 형성구조를 나타낸 a-a단면도
도4는 보조배수레일이 형성된 경우를 나타낸 평면도
도5는 배수홀과 흡수 및 배출부재가 형성된 경우를 나타낸 단면도
도6은 사용자가 바닥판재를 밟았을 때 하강하여 스프링과 흡수 및 배출부재가 압착된 상태의 단면도
도7은 이물질 제거부재가 설치된 상태의 평면도
도8은 도7의 b-b선 단면도
이하 도면을 바탕으로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등산로 용 바닥판재는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것처럼 판재본체(100)와 흡수 및 배출부재(500), 스프링(600), 지지판(700)을 포함한다.
판재본체(100)는 보행자가 실제 밟는 발판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정 두께를 갖는 판재 형태이다.
이러한 판재본체(100)의 상부면에는 홈레일(110)이 형성되는데, 홈레일(110)은 사용자가 판재본체(100) 상부면을 밟았을 때 신발 바닥과의 마찰력을 높여 안정적인 보행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홈 형태로 판재본체(100) 상부면에 형성되되 판재본체(100)의 좌우 길이방향을 향해 직선 레일 형태로 형성되며, 이러한 홈레일(110)은 전후 간격을 두고 수평 상태로 여러 개 형성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판재본체(100)에는 제1배수레일(200)과 제2배수레일(300)이 형성된다.
제1배수레일(200)과 제2배수레일(300)은 빗물 등의 수분이 홈레일(110) 내부에 고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배수기능을 하는 것으로,
그 중 제1배수레일(200)은 일정 깊이의 홈 형태이고 직선 레일 형태로 이루어지며 판재본체(100)의 상부면에 사선방향으로 형성되되 좌우 수평 형태로 간격을 두고 여러개 형성된다.
이때 제1배수레일(200)은 판재본체(100)의 상부면에 사선방향으로 형성되는 과정에서 각 홈레일(110)을 가로질러 상호 교차 되는 형태가 되고 홈레일(110)과 제1배수레일(200)은 상호 교차 되는 지점을 통해 내부가 상호 연통되어, 홈레일 내부에 고여 있는 수분은 제1배수레일(200)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제1배수레일(200)은 양측단부가 판재본체(100)의 전후 테두리를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되, 바닥면이 중간지점을 기준으로 양측 단부로 갈수록 아래쪽을 향해 경사진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홈레일을 통해 제1배수레일(200)로 유입된 수분은 제1배수레일(200)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여 판재본체(100) 전후 테두리를 통해 외부로 완전히 배수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와 더불어 제2배수레일(300)은 제1배수레일(200)과 동일한 홈 형태이고 직선 레일 형태로 이루어지며 판재본체(100)의 상부면에 사선방향으로 형성되되 좌우 수평 형태로 간격을 두고 여러 개 형성된다.
이때 각 제2배수레일은 각 제1배수레일과 중간지점이 상호 일치된 상태에서 동일한 사선방향이 아닌 제1배수레일(200)과 대칭방향의 사선방향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중간지점이 상호 교차되는 제2배수레일(300)과 제1배수레일(200)은 'X'자 형태를 이루며 교차지점을 통해 제1배수레일(200)과 제2배수레일(300)은 상호 연통된 형태를 갖게 된다.
그리고 제2배수레일(300)은 판재본체(100)의 상부면에 사선방향으로 형성되는 과정에서 각 홈레일(110)을 가로질러 상호 교차 되는 형태가 되고 홈레일(110)과 제2배수레일(300)도 상호 교차 되는 지점을 통해 내부가 상호 연통 되어, 홈레일 내부에 고여 있는 수분은 제2배수레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홈레일(110)과 제1배수레일(200) 및 제2배수레일은 모두 상호 연통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제2배수레일(300)도 양측 단부가 판재본체(100)의 전후 테두리를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되, 바닥면이 중간지점을 기준으로 양측 단부로 갈수록 아래쪽을 향해 경사진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홈레일과 제1배수레일(200)을 통해 제2배수레일(300)로 유입된 수분은 제2배수레일(300)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여 판재본체(100) 전후 테두리를 통해 외부로 완전히 배수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처럼 제1배수레일(200)과 제2배수레일(300)이 형성됨에 따라 홈레일에 수분이 고이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되고, 각 제1배수레일과 각 제2배수레일이 상호 사선방향을 이루며 대칭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판재본체(100) 상부면 전체 면적에 걸쳐 형성될 수 있으므로, 그만큼 배수효율이 월등히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판재본체(100)에는 보조배수레일(400)이 더 형성된다.
보조배수레일(400)은 제1배수레일(200)과 제2배수레일(300)이 'X'형태로 교차된 상태에서 빗물이 제1배수레일(200)과 제2배수레일(300)의 사선방향은 물론 교차지점을 기준으로 전후 직선방향으로도 배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일정 깊이의 홈 형태이고 직선 레일구조로 판재본체(100) 상부면에 형성되되, 일단부가 제1배수레일(200) 및 제2배수레일(300)간 중간 교차지점에 연통 되도록 연결된 상태에서 전측과 후측 테두리를 향해 직선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때 보조배수레일(400)은 제1배수레일(200) 및 제2배수레일(300)과의 연결지점에서부터 반대쪽 단부로 갈수록 아래쪽을 향해 기울어진 경사면을 이루도록 함에 따라, 제1배수레일과 제2배수레일(300)간 교차지점에 모인 수분은 제1배수레일(200)과 제2배수레일(300) 및 보조배수레일(400)로 분산되어 각 경사면을 따라 원활하게 외부로 배수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판재본체(100)에는 배수홀(102)이 더 형성되는데, 배수홀(102)은 판재본체(100)의 상부면으로부터 하부면까지 상하 직선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되고 배수홀(102)은 홈레일(110)이나 제1배수레일(200) 또는 제2배수레일과 연통 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판재본체(100) 상부면에 형성되는 수분은 제1배수레일(200)과, 제2배수레일(300), 보조배수레일(400)을 통해 판재본체(100) 전후 테두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배수홀(102)을 통해서도 판재본체 하부를 향해 배출되므로 판재본체(100) 상에 수분이 고이는 현상을 더욱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판재본체(100)의 하부면에는 후술하는 스프링(600)의 설치를 위한 삽입공(101)이 간격을 두고 배열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판재본체(100) 하부에는 스프링(600)이 위치되는데, 스프링(600)은 보행자가 판재본체(100)를 밟았을 때 판재본체(100)의 하강을 유도함과 동시에 위쪽으로의 탄성력을 발휘하여 전체적인 쿠션역할을 함으로써, 보행자의 다리 피로도를 줄이는 역할을 함은 물론, 후술하는 흡수 및 배출부재의 반복적인 가압 및 복귀 유도 기능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스프링(600)은 전체적으로 코일 스프링 형태이고 상단부가 판재본체(100)의 삽입공(101)에 삽입된 상태에서 그 아래쪽 구간은 판재본체(100) 하부면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돌출된 형태로 설치된다.
이렇게 스프링(600)까지 설치된 판재본체(100)에는 흡수 및 배출부재(500)가 연결된다.
흡수 및 배출부재(500)는 배수홀(102)을 통해 배수된 수분을 흡수하여 머금고 있다가 보행자의 보행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외부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재본체(100)와 동일한 면적을 갖고 일정 두께를 갖는 판재 형태이고 판재본체(100)의 하부에 적층 형태로 위치된다.
따라서 판재본체(100)는 하부면이 흡수 및 배출부재(500)의 상부면에 안착된 형태로 설치되고, 이때 흡수 및 배출부재(500) 상부면 중 각 스프링(600)의 하단부와 상하 동일선상의 지점에는 보조삽입공(510)이 형성되어 스프링(600) 중 판재본체(100)의 삽입공(101)에 삽입된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이 보조삽입공(510)에 삽입된다.
이러한 흡수 및 배출부재(500)는 스폰지 등 수분의 흡수율이 높고 가압시 압착되면서 수분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으며 압착 후 원상태로 복귀하려는 탄성력을 갖는 구조 및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보행자가 판재본체(100)의 상부면을 밟았을 때 판재본체(100)가 눌러져 하강하게 되고, 이로 인해 스프링(600)이 압착되고 이와 동시에 흡수 및 배출부재(500)도 함께 압착되며, 압착과 동시에 스프링(600)과 흡수 및 배출부재(500)의 탄성력이 반대방향으로 작용 되어, 판재본체를 누르는 힘이 해제됨과 동시에 판재본체(100)가 스프링(600)과 흡수 및 배출부재(500)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상승 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배수홀(102)을 통해 판재본체(100) 하부로 배수된 수분은 배수홀(102)을 통해 낙하하여 흡수 및 배출부재(500)에 흡수된다.
따라서 흡수 및 배출부재(500)는 수분을 머금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다가 보행자가 판재본체(100)를 밟아 하강하면서 흡수 및 배출부재(500)가 압착됨에 따라 머금고 있던 수분이 강제적으로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수분배출 후 판재본체(100)를 누르던 힘이 해제되면, 스프링(600)과 흡수 및 배출부재(500)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원상복귀될 수 있게 되고 그 후 다시 보행 과정에서 판재본체(100)가 눌려짐에 따라 다시 흡수 및 배출부재(500)가 다시 압착되면서 머금고 있던 수분이 다시 배출되는 과정이 반복된다.
이 상태에서 흡수 및 배출부재(500) 하측에는 지지판(700)이 설치된다.
지지판(700)은 흡수 및 배출부재(500)가 압착되면서 배출된 수분이 흡수 및 배출부재(500) 하부면을 통해 지면으로 직접 배출되지 않고 양측부 테두리를 통해 사선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함에 따라 바닥판재가 안착 되는 지점의 지면이 수분에 의해 진흙처럼 변해 바닥판재의 안정적인 설치에 방해될 가능성을 줄이기 위한 것으로,
도5 및 도6처럼 전체적으로 흡수 및 배출부재(500) 이상의 면적을 갖고 일정 두께를 갖는 판재 형태이고 흡수 및 배출부재(500) 하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부면이 흡수 및 배출부재(500) 하부면에 밀착되어 적층 형태로 위치되고 하부면은 지면 상에 안착 된다.
그리고 지지판(700)의 상부면에는 제3배수레일(710)이 상부면 중간지점으로부터 상부면 전후 양측 테두리를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제3배수레일(710)은 제1배수레일과 제2배수레일 및 보조배수레일처럼 일정 깊이의 홈 형태이되 지지판(700)의 상부면을 전후 가로지르는 레일 형태로 형성되며 지지판(700) 상부면 중간지점으로부터 전후 양측 테두리쪽으로 갈수록 바닥면이 아래쪽으로 경사져 있는 형태로 형성되고, 이러한 제3배수레일(710)은 지지판(700)의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개 배열 형성된다.
이렇게 지지판(700)이 설치됨에 따라,
도5 및 도6처럼 보행자가 판재본체(100)를 밟아 흡수 및 배출부재(500)가 압착되면서 흡수 및 배출부재(500)가 머금고 있던 수분이 배출되는 과정에서 흡수 및 배출부재(500)가 머금고 있던 수분은 흡수 및 배출부재(500)의 하부면과 전후측 및 좌우측 테두리를 통해서도 배출된다.
이때 흡수 및 배출부재(500) 하부면을 통해 아래로 배출되는 수분이 지지판에 막혀 지지판이 안착되는 지면으로 직접 배출되지 못하고 제3배수레일(710) 내부로 배출됨과 동시에 제3배수레일(710)의 경사면을 따라 지지판(700)의 전후측 테두리쪽으로 이동한 후 전후측 테두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렇게 지지판(700)이 설치되어 흡수 및 배출부재(500) 하부면에서부터 아래쪽을 향해 배출되는 수분이 이와 상하 동일선상의 지면으로 배출되지 않고 제3배수레일(710)을 통해 전후측 방향으로 퍼져 배출되기 때문에, 상하 동일선상의 지점이 수분에 의해 진흙처럼 변하여 바닥판재의 안정적인 안착에 방해될 수 있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렇게 지지판(700)이 설치된 상태에서 판재본체(100)의 제1배수레일(200)과 제2배수레일(300) 및 보조배수레일(400)의 내부 양측면에는 제1배수레일(200)과 제2배수레일(300) 및 보조배수레일(4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홈 형태의 가이드레일(103)이 형성된다.
이때 가이드레일(103)은 제1배수레일(200)과 제2배수레일(300) 및 보조배수레일(400)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각 가이드레일(103)에는 이물질 제거부재(800)가 연결 설치된다.
이물질 제거부재(800)는 보행자가 판재본체(100) 상부면을 밟을 때 제1배수레일(200)과 제2배수레일(300) 및 보조배수레일(400) 내부에 삽입되는 흙 등의 이물질이 수시로 제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1배수레일(200)과 제2배수레일(300) 및 보조배수레일(400)이 흙 등에 의해 막힘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 다시 제거본체(820)와 결합돌기(810) 및 긁음돌기(830)를 포함한다.
제거본체(820)는 이물질 제거부재(800)의 몸체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볼(ball) 형태이고 제1배수레일(200)과 제2배수레일(300) 및 보조배수레일(400) 내부에 삽입된 형태로 위치된다.
이때 제거본체(820)의 지름은 해당 배수레일의 폭보다 작게 제작되어 해당 배수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은 물론 해당 배수레일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제거본체(820)의 양측부에는 결합돌기(810)가 돌출되고 양 결합돌기(810)는 해당 배수레일의 양 가이드레일(103)에 끼워짐에 따라, 제거본체(820)는 결합돌기(810)를 통해 가이드레일(103)에 연결설치됨과 동시에 결합돌기(810)를 통해 가이드레일(103)의 경로를 따라 직선이동이 가능함은 물론, 결합돌기(810)를 중심으로 결합돌기와 함께 회전 가능하다.
이 상태에서 제거본체(820)의 둘레면에는 톱니 형태의 긁음돌기(830)가 돌출되는데, 긁음돌기(830)는 제거본체(820)가 이동하거나 회전되는 과정에서, 실질적으로 이물질을 긁어내거나 부스는 등의 제거 기능을 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톱니 형태이고 제거본체(820)의 둘레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이렇게 긁음돌기(830)가 톱니 형태를 이룸에 따라, 제거본체(820)가 회전하거나 가이드레일(103)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긁음돌기(830)가 해당 배수레일 내부에 위치하는 이물질을 긁거나 밀어내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이물질 제거부재는 제1배수레일(200)과 제2배수레일(300) 및 보조배수레일(400)에 모두 설치되거나 그 중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제거본체(820)의 상단부는 설치되는 해당 배수레일의 상단부에 거의 동일선상에 위치되거나 약간 높게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보행자가 판재본체(100)를 밟는 과정에서 신발 바닥이 제거본체(820)의 상단부를 밟음에 따라 제거본체(820)가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거나 회전하면서 해당 배수레일 내에 위치하는 이물질을 수시로 긁어내거나 제거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구조를 갖는 등산로용 바닥판재는 등산로의 지면 상에 전후 배열 설치된 상태에서 빗물이 판재본체(100) 상부면에 떨어지면 빗물(수분)은 판재본체(100)의 홈레일(110)과 제1배수레일(200), 제2배수레일(300) 및 보조배수레일(400) 내에 위치되는데, 제1배수레일(200)과 제2배수레일(300) 및 보조배수레일(400) 내부에 위치되는 빗물은 해당 배수레일의 경사면에 의해 해당 배수레일 내부에 고이지 않고 곧바로 해당 경사면을 따라 흘러 판재본체(100) 전후 테두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홈레일(110)에 제1배수레일(200)과 제2배수레일(300) 및 보조배수레일(400)이 모두 연통되어 있으므로, 홈레일(110) 내부에 위치하는 수분도 홈레일(110) 내부에 고이지 않고 각 배수레일로 유입된 후 해당 경사면을 따라 흐른 뒤 외부로 판재본체(100)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기존과 달리 빗물 등의 수분이 판재본체 상에 고이는 현상이 최소화되어 보행에 방해가 되는 현상도 줄어들게 된다.
또한 홈레일(110)과 더불어 제1배수레일(200), 제2배수레일(300) 및 보조배수레일(400)이 여러 방향을 향해 형성됨에 따라, 보행 과정에서 보행자 신발바닥과 판재본체(100) 상부면 간의 미끌림 현상도 저하되어 안정적인 보행이 가능할 수 있다.
더불어 판재본체(100) 상부면에 공급되는 빗물은 배수홀(102)을 통해서도 판재본체(100)를 관통하여 판재본체(100) 하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판재본체(100)에 물 고임 현상은 더욱 줄어들게 된다.
이때 배수홀(102)을 통해 판재본체(100) 하부면을 통해 배출된 빗물(수분)은 배출되자마자 흡수 및 배출부재(500)에 흡수된다.
따라서 흡수 및 배출부재(500)는 계속 수분을 머금고 있는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보행자가 판재본체(100)를 밟을 경우, 판재본체(100)가 하강하면서 하측의 스프링(600)과 흡수 및 배출부재(500)가 압착된다.
이렇게 보행자가 보행하면서 판재본체(100)를 밟았을 때 판재본체(100)가 하강되되, 하강과정에서 하측 스프링의 탄성력 영향을 받으면서 하강되기 때문에 보행자가 판재본체(100)를 밟을 때 완충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판재본체(100)가 하강 되어 흡수 및 배출부재(500)가 압착됨에 따라, 압착과정에서 흡수 및 배출부재(500)가 머금고 있던 빗물(수분)이 흡수 및 배출부재(500)의 하부면을 비롯해 전후좌우측 테두리면을 통해 사방으로 강제 배출된다.
이때 흡수 및 배출부재(500)의 하부면으로부터 배출되는 빗물(수분)은 지면으로 곳바로 배출되지 않고 아래에 위치하는 지지판(700) 상부면으로 배출됨과 동시에 지지판(700)에 형성된 제3배수레일(710)의 경사면을 지지판(700)의 전후측 테두리면을 통과해 지지판 전후측 지면 상에 배출된다.
이렇게 흡수 및 배출부재(500)의 하부면으로 아래로 배출되는 빗물(수분)이 이와 상하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지면 상에 곧바로 배출되지 않고 제3배수레일(710)을 통해 지지판(700) 전후측 테두리 주변으로 배출됨에 따라, 빗물(수분)에 의해 지지판 하부면이 안착되는 지점의 지면이 배출되는 빗물에 의해 진흙으로 변해 강도가 저하되어 등산로용 바닥판재 전체의 안정적인 고정 설치에 악영향을 주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배수 과정 외에,
보행자가 판재본체(100) 상부면을 밟는 과정에서 신발 바닥이 제거본체(820)의 상부면도 밟게 되고, 그로 인해 제거본체(820)는 불규칙하게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거나 결합돌기(810)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렇게 제거본체(820)가 회전거나 이동하면서 긁음돌기(830)가 해당 배수레일 내부에 위치하는 흙이나 모래 등을 긁어내거나 밀어내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긁음돌기(830)가 이물질을 긁어냄에 따라, 흙 등의 이물질이 배수레일 내부에서 굳어 제거가 어렵게 되는 현상도 제거된다.
물론 이물질 제거부재는 보행자가 제거본체(820)를 밟는 과정에서 제거본체(820)의 회전이나 이동에 의해 이물질 제거 기능을 발휘하기도 하지만, 보행자나 작업자가 인위적으로 손으로 제거본체(820)를 잡아 이동시키거나 회전시켜 배수레일 내 이물질을 제거할 수도 있다.
100 : 판재본체 101 : 삽입공
110 : 홈레일 200 : 제1배수레일
300 : 제2배수레일 400 : 보조배수레일
500 : 흡수 및 배출부재 510 : 보조삽입공
600 : 스프링 700 : 지지판
710 : 제3배수레일 800 : 이물질 제거부재
810 : 결합돌기 820 : 제거본체
102 : 배수홀 103 : 가이드레일
830 : 긁음돌기

Claims (2)

  1. 일정 두께와 면적을 갖는 판재 형태이고 지면 상에 안착 설치될 수 있는 판재본체(100),
    상기 판재본체(100)의 상부면에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 레일 형태로 형성되되 전후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으며 일정 깊이의 홈 형태를 갖는 홈레일(110),
    상기 판재본체(100)의 상부면에 사선방향으로 직선 레일 형태로 형성되되 일정 깊이의 홈 형태이며 상기 각 홈레일(110)을 사선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판재본체(100)의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수평 상태로 배열되어 있는 제1배수레일(200),
    상기 판재본체(100)의 상부면에 상기 제1배수레일(200)과 대칭되는 사선방향으로 직선 레일 형태로 형성되되 일정 깊이의 홈 형태이며 상기 각 홈레일(110)을 사선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형태로 형성되고 중간지점이 상기 각 제1배수레일(200)과 교차 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판재본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수평 상태로 배열되어 있는 제2배수레일(300),
    상기 판재본체(100)의 상부면 중 상기 각 제1배수레일과 각 제2배수레일(300) 간 교차지점으로부터 상기 판재본체(100)의 테두리를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고 일정 깊이를 갖는 홈 형태의 직선레일 구조를 갖고 제1배수레일(200)과 제2배수레일(300) 간 교차지점으로부터 상기 판재본체(100)의 테두리쪽으로 갈수록 아래쪽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이루어진 보조배수레일(400),
    을 포함하고,
    상기 각 제1배수레일(200)과 제2배수레일(300)은 양단부가 상기 판재본체(100)의 상부면 전후 테두리를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호 연결되고, 상기 제1배수레일(200)과 제2배수레일(300)은 바닥면이 중간지점의 교차지점으로부터 반대쪽 단부로 갈수록 아래를 향해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판재본체(100)의 상부면에는 배수홀(102)이 하부면까지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판재본체(100)의 하부면에는 삽입공(10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판재본체(100) 하부면에 적층 되어 있으며 수분 흡수가 가능하며 자체 탄성력을 보유하고 있고 위쪽에서 아래쪽을 향해 가압력이 작용되었을 때 압착되면서 흡수하고 있던 수분을 배출시킨 후 가압력이 해제되었을 때 자체 탄성력에 의해 압착상태에서 압착 전 상태로 복귀되고 상부면 중 상기 삽입공(101)과 상하 동일선상의 지점에는 보조삽입공(510)이 아래쪽을 향해 일정 깊이 형성되어 있는 흡수 및 배출부재(500),
    상기 판재본체(100)의 하부면과 상기 흡수 및 배출부재(500) 사이에 위치하되 상단부가 상기 판재본체(100)의 삽입공(101)에 삽입되어 있고 그 아래 구간은 상기 흡수 및 배출부재(500)의 보조삽입공(510)에 삽입되어 있으며 위쪽에서 아래를 향해 가압력이 작용 되었을 때 아래쪽을 향해 압착되며 압착된 상태에서 위쪽을 향해 탄성력을 발휘하는 스프링(600),
    판재 형태이고 상기 흡수 및 배출부재(500) 하부면에 위치하여 상부면이 상기 흡수 및 배출부재(500) 하부면에 밀착된 상태로 적층 되어 있고 하부면은 지면 상에 안착 되어 있으며 상부면에는 일정깊이의 홈 형태로 중앙지점으로부터 상부면 전후 양측 테두리를 관통하는 레일 형태의 제3배수레일(710)이 형성되되 상기 제3배수레일은 바닥면이 중앙지점으로부터 전후 양측 테두리 쪽으로 갈수록 아래쪽으로 경사져 있는 지지판(700)
    을 더 포함하는 등산로 용 바닥판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수레일(200)과 제2배수레일(300) 및 보조배수레일(40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내부 양측면에는 해당 배수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레일(103)이 홈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배수레일(200)과 제2배수레일(300) 및 보조배수레일(400) 중 상기 가이드레일(103)이 형성된 배수레일의 내부에 삽입되어 해당 배수레일의 형성경로를 따라 직선이동이 가능하며 양측부에는 상기 가이드레일(103)에 결합 되는 결합돌기(810)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해당 배수레일의 바닥면을 긁어낼 수 있는 긁음돌기(830)가 돌출형성되어 있는 이물질 제거부재(800)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 제거부재(800)는 상기 제1배수레일(200)과 제2배수레일(300) 및 보조배수레일(400) 중 어느 하나 시상의 내부에 위치하는 볼 형태의 제거본체(820) 양측에 상기 결합돌기(810)가 도출되어 상기 제거본체(820)는 상기 결합돌기(810)를 통해 상기 가이드레일(103)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결합돌기(810)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긁음돌기(830)는 상기 제거본체(820)의 둘레면으로부터 톱니 형태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제거본체(820)가 상기 가이드레일(103)의 경로를 따라 이동하거나 상기 결합돌기(810)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긁음돌기(830)가 상기 제1배수레일(200)과 제2배수레일(300) 및 보조배수레일(40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내부에 형성된 이물질을 긁어내거나 밀어낼 수 있는
    등산로 용 바닥판재.
KR1020150043412A 2015-03-27 2015-03-27 등산로 용 바닥 판재 KR101562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3412A KR101562765B1 (ko) 2015-03-27 2015-03-27 등산로 용 바닥 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3412A KR101562765B1 (ko) 2015-03-27 2015-03-27 등산로 용 바닥 판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2765B1 true KR101562765B1 (ko) 2015-10-22

Family

ID=54427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3412A KR101562765B1 (ko) 2015-03-27 2015-03-27 등산로 용 바닥 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276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81573A (zh) * 2020-09-19 2021-01-29 中煤东方市政建设集团有限公司 市政道路过水沥青混凝土路面结构及施工方法
KR102212048B1 (ko) * 2020-02-18 2021-02-03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쇼핑카트 도난방지용 블록
KR102510266B1 (ko) * 2022-12-23 2023-03-17 주식회사 에스빌드 배수성이 우수한 충격흡수패드 생산시스템, 그 시스템을 이용한 생산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되는 충격흡수패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410Y1 (ko) * 2012-06-26 2012-09-10 위광수 목재 데크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410Y1 (ko) * 2012-06-26 2012-09-10 위광수 목재 데크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2048B1 (ko) * 2020-02-18 2021-02-03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쇼핑카트 도난방지용 블록
CN112281573A (zh) * 2020-09-19 2021-01-29 中煤东方市政建设集团有限公司 市政道路过水沥青混凝土路面结构及施工方法
KR102510266B1 (ko) * 2022-12-23 2023-03-17 주식회사 에스빌드 배수성이 우수한 충격흡수패드 생산시스템, 그 시스템을 이용한 생산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되는 충격흡수패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28485C (en) Shoe with traction outsole
US8322050B2 (en) Outsole tread pattern
KR101562765B1 (ko) 등산로 용 바닥 판재
US8236392B2 (en) Base for turf system
JPH0785721B2 (ja) 履物用衝撃吸収本底
US5556685A (en) Shoe wiping mat assembly
CN102302244B (zh) 一种防滑鞋底及采用该鞋底的防滑鞋
KR101253080B1 (ko) 미끄럼방지 데크
KR101087620B1 (ko) 미끄럼 방지 및 충격 흡수를 위한 신발 바닥구조
WO2012110113A1 (de) Schuh
JP5330413B2 (ja) 滑り止め
CN210783124U (zh) 一种耐磨防滑排水鞋底
KR102555764B1 (ko) 구두 밑창, 구두 및 미끄럼방지 부재
CN202262501U (zh) 一种防滑鞋底及采用该鞋底的防滑鞋
EP0099916A1 (en) A machine for removing surface water
KR101253081B1 (ko) 미끄럼방지 데크
CN210471181U (zh) 一种矩阵模块式用于鞋底的防滑钉结构
US20100239809A1 (en) Matting
CN210054781U (zh) 鞋底前部花纹
GB2354165A (en) Entrance matting
CN219773222U (zh) 一种基于疏水板应用的防水结构
KR20120090476A (ko) 신발 밑창
FI108845B (fi) Matto
CA3169204A1 (en) Shoe or boot sole cleaning device and shoe or boot sole cleaning kit comprising the shoe or boot sole cleaning device
GB2606577A (en) Shoe or boot sole cleaning device and shoe or boot sole cleaning kit comprising the shoe or boot sole clean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