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0527B1 - 터널 시공공법 - Google Patents

터널 시공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0527B1
KR101560527B1 KR1020150090705A KR20150090705A KR101560527B1 KR 101560527 B1 KR101560527 B1 KR 101560527B1 KR 1020150090705 A KR1020150090705 A KR 1020150090705A KR 20150090705 A KR20150090705 A KR 20150090705A KR 101560527 B1 KR101560527 B1 KR 1015605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line
line portion
wider
excavation surface
tu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0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정아
Original Assignee
함정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함정아 filed Critical 함정아
Priority to KR1020150090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05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0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05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14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Constructional features of tunnels or galle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portals, day-light attenuation at tunnel open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20/00Setting anchoring-bolts
    • E21D20/02Setting anchoring-bolts with provisions for grouting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1/00Rescue devices or other safety devices, e.g. safety chambers or escape 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lmon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널 시공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터널 시공공법은 (a) 본선부 및 상기 본선부와 나란하게 배치된 확폭부를 굴착하는 단계; (b) 상기 본선부 및 상기 확폭부의 굴착면에 지보재를 설치하는 단계; (c) 상기 확폭부의 굴착면을 지지하기 위한 보강재를 설치하는 단계; 및 (d) 상기 보강재를 지지대로 활용하여 상기 본선부와 상기 확폭부를 구획하는 측벽부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터널 시공공법{Construction method for tunneling}
본 발명은 터널 시공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터널은 상행선과 하행선으로 구분되어 병설터널의 형식을 취하고 있으며, 이 경우 터널 내 화재 등의 위급상황 발생 시 운전자들은 상행선과 하행선 터널의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피난연결통로를 통해 대피를 할 수 있다. 또한 투아치 터널은 중앙 벽체의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방화문을 통해 화재 시 운전자의 안전한 대피를 도모 할 수 있다.
그러나 지방도로의 경우에는 4차로 병설터널을 설치 할 만큼의 교통량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가 있으며, 특히 근래 들어서는 도로건설의 경제성 측면이 부각되고 있어 2차로 대면터널의 발생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또한 도로건설 시 환경훼손에 대한 우려 증가와 민가 및 각종 지장물들의 다수 분포로 인해 터널길이도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렇듯 길이가 긴 2차로 대면터널의 경우에는 터널 중앙부에 격벽이 설치되지 않아 화재 시 운전자들의 안전한 대피에 어려움이 따르며 특히, 제연에 상당한 어려움을 수반한다. 더구나 터널 길이가 길어지게 되면 이러한 문제는 매우 심각한 수준으로 올라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터널에는 화재 등의 비상상황 발생시 차량 및 인명의 대피가 가능한 대피 공간이 마련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종래기술의 일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33370호에는 “비상대피공간을 갖는 지중터널 및 그 시공방법”이 개시된다.
선행문헌에서는 터널 내부에서 비상상황 발생 시 터널 내에 설치된 비상대피공간으로 인명 대피가 이루어지는 내용이 개시된다.
그러나 비상대피공간으로 인명 대피가 이루어지게 되면, 터널 내부에서 화재 발생 시 터널 내부의 밀폐된 공간에 갇히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터널의 본선부에 화재 등의 재난 발생 시 인명 대피가 용이한 구조의 터널을 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일 측면에 따른 터널 시공공법은 (a) 본선부 및 상기 본선부와 나란하게 배치된 확폭부를 굴착하는 단계; (b) 상기 본선부 및 상기 확폭부의 굴착면에 지보재를 설치하는 단계; (c) 상기 확폭부의 굴착면을 지지하기 위한 보강재를 설치하는 단계; 및 (d) 상기 보강재를 지지대로 활용하여 상기 본선부와 상기 확폭부를 구획하는 측벽부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터널 시공공법은 (a) 본선부의 상반을 굴착하는 단계; (b) 상기 본선부 상반의 굴착면에 지보재를 설치하는 단계; (c) 상기 본선부의 하반 및 상기 본선부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확폭부를 굴착하는 단계; (d) 상기 본선부의 하반 및 상기 확폭부의 굴착면에 지보재를 설치하는 단계; (e) 상기 확폭부의 굴착면을 지지하기 위한 보강재를 설치하는 단계; 및 (f) 상기 보강재를 지지대로 활용하여 상기 본선부와 상기 확폭부를 구획하는 측벽부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터널 내부에서 화재 발생 시 터널 외부로 인명 대피가 신속히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병설터널 굴착 단면적과 유사한 크기로 굴착하면서도 추가의 피난 대피터널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터널 시공비용이 절감되며, 유지 보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널 시공공법에 따라 시공된 터널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널 시공공법을 시공순서에 따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널 시공공법을 시공순서에 따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널 시공공법에 따라 시공된 터널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널 시공공법에 따라 시공된 터널은 본선부(100) 및 상기 본선부(100)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확폭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본선부(100) 전후방으로 개방되며, 상기 확폭부(200)는 일방향으로 개방되거나 상기 본선부(100)와 같이 전후방으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본선부(100)와 상기 확폭부(200)는 측벽부(300)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측벽부(300)에는 이동통로(302)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통로(302)는 상기 본선부(100)와 상기 확폭부(200) 사이의 이동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본선부(100) 내에서 화재 등 재난 발생시 상기 확폭부(200)로 대피가 용이하므로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이동통로(302)는 상기 측벽부(300)를 따라 일정 간격을 이루며 다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널 시공공법을 시공순서에 따라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널 시공공법을 시공순서에 따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터널의 일차 굴착이 이루어진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터널 시공 공정의 첫 번째 단계로 본선부(100)와 확폭부(200)의 굴착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상기 본선부(100)와 상기 확폭부(200)의 굴착은 전방으로 향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방으로의 굴착은 주변 암반상태에 따라 1~5m 정도의 깊이 만큼씩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깊이만큼 굴착이 이루어진 이후에는 상기 본선부(100)와 상기 확폭부(200)의 보강이 이루어진다. 터널의 굴착 및 보강은 교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본선부(100)의 굴착면(101)은 상부가 아치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확폭부(200)의 굴착면(201)은 일부가 지반과 수직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확폭부(200)의 굴착면(201)은 상면이 지반과 평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구성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터널에 보강을 위한 지보재를 설치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터널 시공 공정의 두 번째 단계로 상기 본선부(100)의 굴착면(101) 및 상기 확폭부(200)의 굴착면(201)에는 숏크리트(110)가 타설된다. 이때, 타설되는 숏크리트(110)는 강섬유 보강 숏크리트, 섬유 보강 숏크리트, 고강도 숏크리트 및 일반 숏크리트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굴착면(101, 201)에 숏크리트(110)가 타설된 이후에 상기 굴착면(101, 201)에 강지보를 설치하는 공정이 추가될 수 있다.
또한, 터널 주변 지반상태에 따라 강지보의 잭업공정이 추가될 수 있다. 상기한 강지보는 굴착면(101, 201)뿐만 아니라 상기 본선부(100)의 바닥면(102)에도 설치되어 굴착면(101, 201)에 설치된 강지보와 폐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선부(100)의 굴착면(101) 및 상기 확폭부(200)의 굴착면(201)에는 록볼트(12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본선부(100)의 굴착면(101) 및 상기 확폭부(200)의 굴착면(201)이 만나는 지점은 다른 굴착면에 비해 강도가 취약하므로, 상기 록볼트(120)에 비해 길이가 긴 록볼트(122) 또는 강관보강 그라우팅 등을 설치함으로써 보강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보강재는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도 4는 확폭부에 보강재를 설치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터널 시공 공정의 세 번째 단계로 상기 확폭부(200)에 보강재(301)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본선부(100)와 상기 확폭부(200)가 만나는 지점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강재(301)는 다수개가 설치되며, 터널 굴착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확폭부(200)의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
상기 보강재(301)는 축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를 가진 H-형강, ㄷ-형강, ㅁ-형강, 강관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재(301)의 하단은 상기 확폭부(200)의 바닥면(202)에 수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보강재(301)의 상단은 상기 확폭부(200)의 굴착면(201)과 수직하게 설치된다.
상기 보강재(301)는 기초 설치 후 잭 등을 이용하여 가압될 수 있다.
상기 첫번째 내지 세번째 단계가 반복하여 수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터널이 시공될 수 있다.
상기 본선부(100) 및 상기 확폭부(200)의 숏크리트(110)의 타설면에 방수막 및 부직포가 설치되는 단계가 더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터널의 완공 후 터널 내부로 물이 들어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수막과 부직포를 상기 본선부(100)에만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본선부(100) 및 상기 확폭부(200)의 숏크리트(110)의 타설면에 방수막 및 부직포를 대신하여 방수 숏크리트가 타설될 수 있다.
다음으로, 터널의 굴착 후 상기 보강재(301)에 라이닝이 타설될 수 있다. 상기 보강재(301)에 라이닝이 타설됨으로써 상기 본선부(100)와 상기 확폭부(200)를 구획하는 측벽부(300)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라이닝 타설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다수개의 보강재(301) 사이에 철근 등을 배근하고 거푸집을 설치하여 콘크리트나 숏크리트를 타설하여 일차 분리벽체를 시공한다.
일차 분리벽체 시공 후 상기 분리벽체의 양측, 즉 상기 본선부(100)측 및 상기 확폭부(200)측에 라이닝을 타설한다.
물론, 상기 확폭부(200) 측의 암반과 접한 부분의 라이닝 타설은 생략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 본선부(100)와 상기 확폭부(200) 사이를 왕복할 수 있도록 상기 측벽부(300)에 이동 통로(302)를 설치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통로(302)는 상기 본선부(100)측 라이닝 타설 시 설치 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본선부(100)에서 화재 등의 재난 발생시 상기 본선부(100)인명이 상기 이동 통로(302)를 통해 확폭부(100)로 대피한 후 터널 밖으로 빠져나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널 시공공법을 시공순서에 따라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널 시공공법을 시공순서에 따라 도시한 도면이다.
앞선 실시예의 터널 시공공법은 전단면 굴착에 해당하고, 본 실시예의 터널 시공공법은 상하 반단면 굴착에 해당한다. 상하 반단면 굴착은 일반적으로 지반이 약한 곳에서 이루어지는 터널 시공공법이다.
도 5는 터널의 일차 굴착이 이루어진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터널 시공 공정의 첫 번째 단계로 본선부의 상반부(105)를 굴착한다.
상기 상반부(105)의 굴착면(101)은 아치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반부(105)는 전체적으로 반원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상반부(105)의 바닥면(106)이 확폭부의 굴착면(201)보다 하방에 형성되도록 굴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반부(105)가 주변 지반상태에 따라 1~5M 정도의 깊이만큼 굴착이 이루어진 이후에는 상기 본선부(100)와 상기 확폭부(200)의 보강이 이루어진다. 터널의 굴착 및 강도 보강은 교번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6은 터널에 지보재를 설치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터널 시공 공정의 두 번째 단계로 상기 굴착면(101)에는 숏크리트(110)가 타설된다.
상기 굴착면(101)에 숏크리트(110)가 타설된 이후에 상기 굴착면(101)에 강지보(130)를 설치하는 공정이 추가될 수 있다.
상기 강지보(130)는 상기 굴착면(101)을 따라 곡선 형상으로 절곡될 수 있다. 곡선으로 절곡된 강지보(130)는 상기 숏크리트(11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선부(100)의 굴착면(101)에는 록볼트(12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본선부(100)와 상기 확폭부(200)가 만나는 지점에는 상기 록볼트(120)에 비해 길이가 긴 록볼트(122) 또는 강관보강 그라우팅 등의 보강재를 를 설치함으로써 보강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보강재는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본선부의 상반(105)에서 본선부(100)와 상기 확폭부(200)가 만나는 지점에는 상기 강지보(130)의 고정을 위한 보강 록볼트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본선부의 상반(105)의 굴착면(101)에도 강관 보강 그라우팅이 설치될 수 있다.
터널의 일정 깊이까지는 상기 첫 번째 단계 및 상기 두 번째 단계가 교번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선부의 하단부 굴착이 수행된다.
도 7은 2차 굴착이 이루어진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상단부(105)의 하방에 위치한 하단부(107)의 굴착 및 확폭부(200)의 굴착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단부(107)의 바닥면(102)은 상기 확폭부(200)의 바닥면(202)에 비해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선부의 하반에 강지보를 설치하고, 확폭부에 강지보 및 지보재를 설치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본선부 하반(107)의 굴착면에 숏크리트(112)가 타설되고, 상기 숏크리트(112)가 타설된 면에 강지보(132)가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선부 하반(107)의 굴착면에 숏크리트(112)가 타설된 이후 강지보(132)가 상기 숏크리트(112)의 타설면에 배치된 후 재차 숏크리트(112)가 타설됨으로써 상기 강지보(132)가 상기 본선부 하반(107)의 굴착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본선부의 하반(107)에 설치된 강지보(132)는 상기 본선부의 상반(105)에 설치된 강지보(130)의 일단부와 볼팅 또는 용접 등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강지보(132)는 상기 본선부의 하반(107)의 바닥면(10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확폭부(200)의 굴착면에도 숏크리트(210) 및 강지보(23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확폭부(200)의 굴착면에 설치된 강지보(230)는 상기 본선부의 상반(105)에 설치된 강지보(130)의 타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연결방식은 용접에 의하거나, 볼트 등 체결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방식이 있다.
상기 확폭부(200)에 보강재(301)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본선부(100)와 상기 확폭부(200)가 만나는 지점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강재(301)는 다수개가 설치되며, 터널 굴착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확폭부(200)의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
상기 보강재(301)의 하단은 상기 확폭부(200)의 바닥면(202)에 수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보강재(301)의 상단은 상기 확폭부(200)의 굴착면(201)과 수직하게 설치된다.
상기 보강재(301)는 기초 설치 후 잭 등을 이용하여 가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재(301)의 일측에는 상기 보강재(301)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벽(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본선부의 하반(107) 굴착 시 상기 보강재(301)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본선부(100) 및 상기 확폭부(200)의 숏크리트(110)의 타설면에는 방수막 및 부직포가 설치되거나 또는 숏크리트가 타설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터널의 완공 후 터널 내부로 물이 들어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수막과 부직포를 상기 본선부(100)에만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터널의 굴착 후 상기 보강재(301)에 라이닝이 타설될 수 있다. 상기 보강재(301)에 라이닝이 타설됨으로써 측벽부(300)를 이루게 된다. 상기 측벽부(300)의 시공과정은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발명에서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터널 내부에서 화재 발생 시 터널 외부로 인명 대피가 신속히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피난 대피소 형식의 본선터널 굴착 단면적과 유사한 크기로 굴착하면서도 추가의 피난 대피터널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터널 시공비용이 절감되며, 유지 보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본선부 200: 확폭부
300: 측벽부

Claims (11)

  1. (a) 본선부 및 상기 본선부와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본선부의 측면에 연통되는 확폭부를 굴착하는 단계;
    (b) 상기 본선부 및 상기 확폭부의 굴착면에 지보재를 설치하는 단계;
    (c) 상기 확폭부의 굴착면을 지지하기 위한 보강재를 설치하는 단계;
    (d) 상기 보강재를 지지대로 활용하여 상기 본선부와 상기 확폭부를 구획하는 측벽부를 설치하는 단계; 및
    (e) 상기 측벽부에 상기 본선부와 상기 확폭부를 왕복할 수 있는 이동통로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본선부의 굴착면 및 상기 확폭부의 굴착면에 숏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및
    상기 본선부 및 상기 확폭부의 굴착면에 록볼트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본선부와 상기 확폭부의 굴착면이 만나는 지점에는 타 지점에 비해 길이가 긴 록볼트를 설치하는 터널 시공공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가 수행되기 전에 상기 (a), (b) 단계가 반복하여 수행되는 터널 시공공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가 수행되기 전에 상기 (a), (b) 및 (c) 단계가 반복하여 수행되는 터널 시공공법.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잭을 이용하여 상기 보강재를 가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터널 시공공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축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를 가진 H-형강, ㄷ-형강, ㅁ-형강, 강관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터널 시공공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는 상기 보강재는 복수개로 설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보강재를 지지대로 활용하여 철근을 배근하고 거푸집을 설치하여 콘크리트 또는 숏크리트를 타설하는 터널 시공공법.
  8. (a) 본선부의 상반을 굴착하는 단계;
    (b) 상기 본선부 상반의 굴착면에 지보재를 설치하는 단계;
    (c) 상기 본선부의 하반 및 상기 본선부의 하반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본선부의 측면에 연통되는 확폭부를 굴착하는 단계;
    (d) 상기 본선부의 하반 및 상기 확폭부의 굴착면에 지보재를 설치하는 단계;
    (e) 상기 확폭부의 굴착면을 지지하기 위한 보강재를 설치하는 단계;
    (f) 상기 보강재를 지지대로 활용하여 상기 본선부와 상기 확폭부를 구획하는 측벽부를 설치하는 단계; 및
    (g) 상기 측벽부에 상기 본선부와 상기 확폭부를 왕복할 수 있는 이동통로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본선부의 상반의 굴착면에 숏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및
    상기 본선부의 상반의 굴착면에 록볼트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본선부와 상기 확폭부의 굴착면이 만나는 지점에는 타 지점에 비해 길이가 긴 록볼트를 설치하는 터널 시공공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가 수행되기 전에 상기 (a) 및 (b) 단계가 반복하여 수행되는 터널 시공공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잭을 이용하여 상기 확폭부의 굴착면에 설치된 보강재를 가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터널 시공공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보강재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벽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터널 시공공법.
KR1020150090705A 2015-06-25 2015-06-25 터널 시공공법 KR1015605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705A KR101560527B1 (ko) 2015-06-25 2015-06-25 터널 시공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705A KR101560527B1 (ko) 2015-06-25 2015-06-25 터널 시공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0527B1 true KR101560527B1 (ko) 2015-10-14

Family

ID=54357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0705A KR101560527B1 (ko) 2015-06-25 2015-06-25 터널 시공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052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1882A (ja) * 2001-07-27 2003-02-13 Pacific Consultants Co Ltd トンネル断面拡幅工法
JP2005350881A (ja) * 2004-06-08 2005-12-22 Komatsu Ltd シールド掘削機の拡幅掘削機構
JP3937588B2 (ja) * 1998-06-10 2007-06-27 鹿島建設株式会社 地下構造物の施工方法
KR101244257B1 (ko) * 2012-11-14 2013-03-18 주식회사 성우사면 근접병설터널 시공을 위한 터널굴착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37588B2 (ja) * 1998-06-10 2007-06-27 鹿島建設株式会社 地下構造物の施工方法
JP2003041882A (ja) * 2001-07-27 2003-02-13 Pacific Consultants Co Ltd トンネル断面拡幅工法
JP2005350881A (ja) * 2004-06-08 2005-12-22 Komatsu Ltd シールド掘削機の拡幅掘削機構
KR101244257B1 (ko) * 2012-11-14 2013-03-18 주식회사 성우사면 근접병설터널 시공을 위한 터널굴착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4847B1 (ko) 미니 파이프루프를 이용한 친환경 터널 갱구부 시공방법
JP2012007410A (ja) 矩形断面構造物の補強構造
KR100656194B1 (ko) 터널공법을 적용한 개착식 공법
CN106088650A (zh) 一种适用于砖混结构建筑物地下增层的方法及建筑物
JP2015117545A (ja) 地下トンネルの構築方法
KR101612522B1 (ko) 터널 시공공법
JP2015078499A (ja) 擁壁構造物及び擁壁構築方法
CN108978673A (zh) 一种立交桥桩基托换的基坑支护结构及施工方法
KR101560527B1 (ko) 터널 시공공법
KR101234401B1 (ko) 비철거형 터널 갱구부의 보호구조물
KR101612527B1 (ko) 터널 시공공법
KR102289576B1 (ko) 흙막이판을 이용한 탑다운 방식 지하구조물 축조 공법
KR102014471B1 (ko) 터널 시공 방법 및 터널 지지 구조
KR101548926B1 (ko) 주방식 지하구조물 및 이를 형성하는 방법
KR101256576B1 (ko) 확장터널을 가지는 가변보강형 근접병렬터널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809554B1 (ko) 키락블록과 쉬트파일체를 이용한 구조물
KR101657880B1 (ko) 지하 구조물 축조 방법 및 이에 따른 지하 구조물
CN116378677B (zh) 一种全跨充填型溶洞段的隧道修建方法及隧道结构
JP6592331B2 (ja) 円周シールド掘進機の測量方法
JP2019065469A (ja) 凍結工法
KR200231108Y1 (ko) 파형강판을 이용한 터널건설구조
Kerfontain et al. A fully geosynthetic shored reinforced earth wall
KR102279832B1 (ko) 지중 브래킷이 구비된 내진보강구조 및 내진보강공법
JP2006348472A (ja) 既設地下トンネルの拡幅施工法
KR102170804B1 (ko) 특수선도관을 이용한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