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0085B1 - 건축물용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건축물용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0085B1
KR101560085B1 KR1020140037028A KR20140037028A KR101560085B1 KR 101560085 B1 KR101560085 B1 KR 101560085B1 KR 1020140037028 A KR1020140037028 A KR 1020140037028A KR 20140037028 A KR20140037028 A KR 20140037028A KR 101560085 B1 KR101560085 B1 KR 101560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nance
ferroelectric material
layer
organic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7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2567A (ko
Inventor
박병은
Original Assignee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37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0085B1/ko
Publication of KR20150112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2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0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0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6Layered panels for sound insulation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내부 바닥에 설치되어 층간소음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건축물용 바닥재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바닥재는 공명층을 구비한다. 이 공명층은 유기물과 강유전 물질의 혼합물로 구성된다. 그리고 강유전 물질로서는 무기물이나 유기물이 이용되고, 바람직하게는 금속 분말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공명층의 하측에는 바람직하게 공명음 흡수층이 구비된다. 상기 공명층은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가 용이한 주파수 대역의 공명음으로 변환하고, 이와 같이 발생된 공명은 공명음 흡수층에 흡수된다.

Description

건축물용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Floor Board For Build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건축물의 내부 바닥에 설치되는 건축물용 바닥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층간소음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건축물용 바닥재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가구 주택이나 아파트 등에서 층간소음 문제가 대두되면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나 법적 제도화 문제가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다.
도 1은 현재 규격화되어 있는 건축물 시공 기준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의 기준에 의하면 콘크리트 슬래브층(1)의 상측에 경량기포 콘크리트층(2)과 마감 모르타르층(3)이 순차적으로 적층 형성된다. 그리고 소음 차단을 위해 콘크리트 슬래브층(1)과 경량기포 콘크리트층(2)의 사이에 차음매트(4)가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적층과 측벽의 사이에 측면 완충재(5)가 구비된다.
상기 차음매트(4)는 상부층에서 발생된 소음이 건축물의 매질을 통해서 하부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는 주로 소리 등을 잘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된다.
도면에 도시된 현재의 시공 기준은 상부층에서 발생된 소음을 차음매트(4)를 통해서 흡수함과 더불어 측벽의 내측면에 완충재(5)를 설치함으로써 마감 모르타르층(3)에 가해진 충격이 측벽을 통해서 이웃하는 공간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79075호에는 각각 서로 다른 밀도를 갖는 제1 및 제2 발포층을 이용하여 흡음 및 차음 효과를 갖도록 한 소음방지재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이는 밀도가 서로 다른 다공질의 발포층을 중첩하여 구성함으로써 진동을 분산시켜 소음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방법들은 건축물에서 발생되는 층간소음 문제를 효율적으로 제거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마감 모르타르층의 상측에 설치되어 건물 내부 공간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인접한 다른 공간으로 전달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건축물용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기술적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건축물용 바닥재의 제조방법은 건축물의 내부 마감 모르타르층의 상측에 설치되는 건축물용 바닥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유기물과 강유전 물질을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물을 이용하여 시트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시트에 전압을 인가하여 강유전 물질을 분극화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건축물용 바닥재의 제조방법은 건축물의 내부 마감 모르타르층의 상측에 설치되는 건축물용 바닥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1 시트를 형성하는 단계와, 제2 시트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시트와 제2 시트를 접합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시트는 유기물과 강유전 물질을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물을 이용하여 시트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시트에 전압을 인가하여 강유전 물질을 분극화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시트가 유기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시트가 직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관점에 따른 건축물용 바닥재는 건축물의 내부 마감 모르타르층의 상측에 설치되는 건축물용 바닥재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는 유기물과 강유전 물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강유전 물질은 분극화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관점에 따른 건축물용 바닥재는 건축물의 내부 마감 모르타르층의 상측에 설치되는 건축물용 바닥재에 있어서, 상부 시트와, 상기 상부 시트의 하부에 구비되는 공명층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공명층은 유기물과 강유전 물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강유전 물질은 분극화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5 관점에 따른 건축물용 바닥재는 건축물의 내부 마감 모르타르층의 상측에 설치되는 건축물용 바닥재에 있어서, 공명층과, 상기 공명층의 하부에 구비되는 공명음 흡수층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공명층은 유기물과 강유전 물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강유전 물질은 분극화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6 관점에 따른 건축물용 바닥재는 건축물의 내부 마감 모르타르층의 상측에 설치되는 건축물용 바닥재에 있어서, 공명층과, 상기 공명층의 하부에 구비되어 공명층에서 발생된 진동을 흡수하는 진동 흡수층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공명층은 유기물과 강유전 물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강유전 물질은 분극화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7 관점에 따른 건축물용 바닥재는 건축물의 내부 마감 모르타르층의 상측에 설치되는 건축물용 바닥재에 있어서, 공명층과, 상기 공명층의 하부에 구비되어 공명층에서 발생된 진동을 흡수하는 진동 흡수층 및, 상기 공명층의 하부에 구비되는 공명음 흡수층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공명층은 유기물과 강유전 물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강유전 물질은 분극화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8 관점에 따른 건축물용 바닥재는 건축물의 내부 마감 모르타르층의 상측에 설치되는 건축물용 바닥재에 있어서, 적어도 2개 이상의 공명층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공명층은 유기물과 강유전 물질을 포함하여 구성됨과 더불어 상기 강유전 물질은 분극화 되며, 상기 각 공명층은 서로 다른 공명 주파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강유전 물질은 무기물 강유전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강유전 물질은 유기물 강유전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강유전 물질은 유기물 강유전 물질과 무기물 강유전 물질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명층에 금속 분말이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명층에 전도성 유기물이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는 공명층을 구비한다. 이 공명층은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가 용이한 주파수 대역음으로 변환하게 된다.
도 1은 현재 규격화되어 있는 건축물 시공 기준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바닥재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바닥재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바닥재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바닥재의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단,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구현 예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이러한 실시예의 예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우선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설명한다.
최근 층간소음을 줄이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진 다양한 종류의 바닥재가 소개되고 있다. 이러한 재질들은 주로 다공질 섬유를 이용하도록 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다공질 섬유의 경우에는 바닥면이나 벽면으로부터 30cm 이상 이격되게 설치되는 경우에는 전 주파수대역에 걸쳐서 양호한 흡음력을 갖는데 반하여 바닥면이나 벽면으로부터 10cm 이하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경우에는 주로 고음역에 대해서 양호한 흡음력을 나타낸다. 건축물에 있어서 주로 문제가 되고 있는 층간소음은 주로 저음역의 소리이다. 그런데 통상 바닥재의 경우에는 현실적으로 이를 바닥면, 즉 마감 모르타르층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기존의 바닥재의 경우에는 층간소음 문제를 해결하는데 큰 어려움을 갖고 있다.
또한 다공질 섬유의 기공의 크기를 조정하게 되면 그 흡음 특성을 변동시킬 수 있다. 즉, 기공의 크기를 작게 할수록 저음역에 대한 흡음 특성이 향상된다. 그러나 다공질 섬유의 기공 크기를 줄이기 위해서는 고도한 공정과 높은 제조비용이 요구된다.
또한 다공질 섬유의 경우에는 수분의 흡수력이 높고, 기공에 각종 세균이나 곰팡이가 용이하게 번식하기 때문에 주거 환경을 악화시키는 문제가 발생된다.
현재 바닥재로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예컨대 PVC,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등과 수성아크릴, 에틸비닐아세테이트(EVA), 폴리비닐알코올(PVA) 등을 포함하는 유기물은 각각 공명 주파수를 갖고 있다. 즉, 이들 재질은 외부의 음에 자극을 받으면 진동을 하게 되는데, 이때 진동에 영향을 준 주파수음은 진동 에너지로 변환되는 과정을 통해 흡음된다. 또한 역으로 상기 유기물에 충격을 가하면 고유 진동수로 진동하여 공명 주파수에 해당하는 충격음을 발생시키게 된다.
본 발명자가 연구한 바에 따르면 강유전 물질을 이용하여 종래의 일반적인 바닥재 재질을 포함하는 유기물의 공명 주파수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유기물과 강유전 물질을 혼합하여 시트를 형성하고, 여기에 일정 전압을 인가하여 강유전 물질을 분극화 하게 되면 시트의 공명 주파수가 변동된다. 이때 공명 주파수는 유기물에 혼합되는 강유전 물질의 입자 크기나 양 또는 강유전 물질의 종류에 따라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때 강유전 물질로서는 PZT 등의 무기물이나, PVDF 등의 유기물, 무기물 강유전 물질과 유기물 또는 유기물 강유전 물질의 혼합물 등이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바람직하게는 금속 분말이나 도전성 유기물이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바닥재는 통상적으로 바닥재의 형성에 사용되는 유기물 재질에 강유전 물질을 혼합하여 바닥재 시트를 형성하고, 여기에 일정 전압을 가하여 바닥재 시트에 혼합되어 있는 강유전 물질을 분극화시키게 된다.
발명에 따른 바닥재는 바닥재 고유의 공명 주파수가 변동된다. 통상 건축물에 있어서는 건축물의 구조나 재질 등에 따라 고유한 진동 주파수를 갖고 있고, 이러한 진동에 의해 층간소음이 발생된다. 바닥재의 공명 주파수를 변동시켜 건축물에 가장 크게 진동을 주는 소음이나 진동을 흡수하게 되면 건축물의 층간소음을 저하시킬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바닥재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바닥재는 상부 시트(21)와 이 상부 시트(21)의 저면에 설치되는 공명층(22)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부 시트(21)와 공명층(22)은 각각 별개로 형성된 후 상호 접착된다.
상부 시트(21)는 PVC를 주원료로 하는 종래의 비닐 바닥재나, 나일론이나 폴리에스테르 등을 주원료로 하는 통상적인 카페트, 면, 마, 양모, 나일론, 레이온, 폴리에스테르, 카본 섬유를 1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형성한 혼합 시트, 또는 바람직하게는 이들의 다층 구조가 될 수 있다.
공명층(22)은 상술한 바와 같이 유기물과 강유전 물질의 혼합물로 시트를 형성하고, 여기에 일정 전압을 인가하여 강유전 물질을 분극화시키는 방법을 통해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이때 공명층(22)의 형성에 사용되는 강유전 물질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PZT 등의 무기물이나, PVDF 등의 유기물, 무기물 강유전 물질과 유기물 또는 유기물 강유전 물질의 혼합물 등이 사용된다.
또한 상기 공명층(22)을 구성하는 물질에는 금속 분말이나 도전성 유기물이 바람직하게 혼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바닥재의 단면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3에서 상술한 도 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가 부가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공명층(22)의 하측에 하부 시트(31)가 접합되어 있다. 여기서 하부 시트(31)로서는 공명층(22)에서 발생된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진동 흡수층이나 공명층(22)에서 발생된 공명음을 흡수하기 위한 공명음 흡수층이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 시트(31)는 진동 흡수층과 공명음 흡수층의 적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더욱 바람직하게는 하부 시트(31)로서는 공명층에서 발생된 진동이나 공명음을 적절하게 모두 흡수할 수 있는 흡수층이 사용된다.
상기 하부 시트(31)를 구성하는 재질로서는 고무, 폴리에틸렌, 스티로폼, 우레탄, 각종 직물 등이 바람직하게 채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흡음재 등이 바닥면이나 벽면으로부터 10cm 이하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경우에는 주로 고음역에 대해서 양호한 흡음력을 나타내는 반면에 층간 소음의 주된 원인이 되는 저음역에 대해서는 양호한 흡음력을 제공하지 못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공명층(22)이 외부에서 가해지는 물리적인 충격을 고음역의 공명음으로 변환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공명음은 하부 시트(31)에서 양호하게 흡수됨으로써 층간소음 문제가 효과적으로 개선된다.
또한 건축물의 마감 콘크리트층에 가해지는 물리적인 충격 이외에 건축물의 내부 공간에서 발생되는 소음에 대해서는 하부 시트(31)가 충분한 이격 거리를 가지게 되므로 이들 소음은 하부 시트(31)에 의해 효과적으로 흡수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바닥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또한 도 4에서 상술한 도 2 및 도 3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번호가 부가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공명층(22)의 상측에 상부 시트(21), 공명층(22)의 하측에 하부 시트(31)가 각각 접합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시트(21)는 PVC를 주원료로 하는 종래의 비닐 바닥재나, 나일론이나 폴리에스테르 등을 주원료로 하는 통상적인 카페트, 면, 마, 양모, 나일론, 레이온, 폴리에스테르, 카본 섬유를 1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형성한 혼합 시트, 또는 바람직하게는 이들의 다층 구조가 될 수 있다.
또한 공명층(22)은 유기물과 강유전 물질의 혼합물로 시트를 형성하고, 여기에 일정 전압을 인가하여 강유전 물질을 분극화시키는 방법을 통해 형성하게 된다.
또한 하부 시트(31)로서는 공명층(22)에서 발생된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진동 흡수층이나 공명층(22)에서 발생된 공명음을 흡수하기 위한 공명음 흡수층이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 시트(31)는 진동 흡수층과 공명음 흡수층의 적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더욱 바람직하게는 하부 시트(31)로서는 공명층에서 발생된 진동이나 공명음을 적절하게 모두 흡수할 수 있는 흡수층이 사용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 따른 건축물용 바닥재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본 실시예는 제3 실시예의 변형 구성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명층(51)의 상측에 상부 시트(21), 공명층(51)의 하측에 하부 시트(31)가 접합된다. 특히 공명층(51)은 복수 층(본 실시예에서는 2개층)으로 구성된다. 이때 공명층(51)을 구성하는 제1 및 제2 공명층(51a, 51b)은 바람직하게는 각각 서로 다른 공명주파수를 갖도록 설정된다. 그리고 그 밖의 부분은 도 4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공명층을 접합하여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소음 원인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의 실시예에 있어서도 공명층(22)을 다층 구조로 구성하는 것도 바람직하게 구현할 수 있다.
21 : 상부 시트, 22 : 공명층,
31 : 하부 시트.

Claims (35)

  1. 건축물의 내부 마감 모르타르층의 상측에 설치되는 건축물용 바닥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유기물과 강유전 물질을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이용하여 시트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시트에 전압을 인가하여 강유전 물질을 분극화 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분극화 단계를 통해 상기 시트의 공명 주파수가 변경되고,
    상기 바닥재에 충격이 가해지고, 상기 충격에 의해 상기 바닥재가 진동하여 층간소음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변경된 시트의 공명 주파수를 통해 상기 층간소음이 흡음되며,
    상기 유기물과 혼합되는 상기 강유전 물질의 입자 크기 및 종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변경되는 공명 주파수 값이 결정되고,
    상기 혼합물에 금속 분말을 혼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바닥재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유전 물질이 무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바닥재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유전 물질이 유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바닥재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유전 물질이 무기물 강유전 물질과 유기물 강유전 물질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바닥재의 제조방법.
  7. 건축물의 내부 마감 모르타르층의 상측에 설치되는 건축물용 바닥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1 시트를 형성하는 단계;
    제2 시트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시트와 제2 시트를 접합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시트는 유기물과 강유전 물질을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물을 이용하여 시트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시트에 전압을 인가하여 강유전 물질을 분극화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분극화 단계를 통해 상기 제 2 시트의 공명 주파수가 변경되고,
    상기 바닥재에 충격이 가해지고, 상기 충격에 의해 상기 바닥재가 진동하여 층간소음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변경된 제 2 시트의 공명 주파수를 통해 상기 층간소음이 흡음되며,
    상기 유기물과 혼합되는 상기 강유전 물질의 입자 크기 및 종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변경되는 공명 주파수 값이 결정되고,
    상기 제2 시트는 유기물과 강유전 물질을 혼합하는 단계는, 상기 혼합물에 금속 분말을 혼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바닥재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트가 유기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바닥재의 제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트가 직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바닥재의 제조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강유전 물질이 무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바닥재의 제조방법.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강유전 물질이 유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바닥재의 제조방법.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강유전 물질이 무기물 강유전 물질과 유기물 강유전 물질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바닥재의 제조방법.
  15. 건축물의 내부 마감 모르타르층의 상측에 설치되는 건축물용 바닥재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는 유기물과 강유전 물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강유전 물질은 분극화 되며,
    상기 분극화를 통해 상기 바닥재의 공명 주파수가 변경되고,
    상기 바닥재에 충격이 가해지고, 상기 충격에 의해 상기 바닥재가 진동하여 층간소음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변경된 바닥재의 공명 주파수를 통해 상기 층간소음이 흡음되며,
    상기 유기물과 혼합되는 상기 강유전 물질의 입자 크기 및 종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변경되는 공명 주파수 값이 결정되고,
    상기 바닥재에 금속 분말이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바닥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강유전 물질은 무기물 강유전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바닥재.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강유전 물질은 유기물 강유전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바닥재.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강유전 물질은 유기물 강유전 물질과 무기물 강유전 물질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바닥재.
  19. 삭제
  20. 삭제
  21. 건축물의 내부 마감 모르타르층의 상측에 설치되는 건축물용 바닥재에 있어서,
    상부 시트와,
    상기 상부 시트의 하부에 구비되는 공명층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공명층은 유기물과 강유전 물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강유전 물질은 분극화 되고,
    상기 분극화를 통해 상기 공명층의 공명 주파수가 변경되고,
    상기 바닥재에 충격이 가해지고, 상기 충격에 의해 상기 바닥재가 진동하여 층간소음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변경된 공명층의 공명 주파수를 통해 상기 층간소음이 흡음되며,
    상기 유기물과 혼합되는 상기 강유전 물질의 입자 크기 및 종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변경되는 공명 주파수 값이 결정되고,
    상기 공명층에 금속 분말이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바닥재.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시트가 유기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바닥재.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시트가 직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바닥재.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강유전 물질은 유기물 강유전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바닥재.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강유전 물질은 유기물 강유전 물질과 무기물 강유전 물질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바닥재.
  26. 삭제
  27.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공명층에 전도성 유기물이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바닥재.
  28. 건축물의 내부 마감 모르타르층의 상측에 설치되는 건축물용 바닥재에 있어서,
    공명층과,
    상기 공명층의 하부에 구비되는 공명음 흡수층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공명층은 유기물과 강유전 물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강유전 물질은 분극화 되고.
    상기 분극화를 통해 상기 공명층의 공명 주파수가 변경되고,
    상기 바닥재에 충격이 가해지고, 상기 충격에 의해 상기 바닥재가 진동하여 층간소음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변경된 공명층의 공명 주파수를 통해 상기 층간소음이 흡음되며,
    상기 유기물과 혼합되는 상기 강유전 물질의 입자 크기 및 종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변경되는 공명 주파수 값이 결정되고,
    상기 공명층에 금속 분말이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바닥재.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강유전 물질은 유기물 강유전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바닥재.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강유전 물질은 유기물 강유전 물질과 무기물 강유전 물질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바닥재.
  31. 삭제
  32.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공명층에 전도성 유기물이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바닥재.
  33. 건축물의 내부 마감 모르타르층의 상측에 설치되는 건축물용 바닥재에 있어서,
    공명층과,
    상기 공명층의 하부에 구비되어 공명층에서 발생된 진동을 흡수하는 진동 흡수층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공명층은 유기물과 강유전 물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강유전 물질은 분극화 되고,
    상기 분극화를 통해 상기 공명층의 공명 주파수가 변경되고,
    상기 바닥재에 충격이 가해지고, 상기 충격에 의해 상기 바닥재가 진동하여 층간소음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변경된 공명층의 공명 주파수를 통해 상기 층간소음이 흡음되며,
    상기 유기물과 혼합되는 상기 강유전 물질의 입자 크기 및 종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변경되는 공명 주파수 값이 결정되고,
    상기 공명층에 금속 분말이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바닥재.
  34. 건축물의 내부 마감 모르타르층의 상측에 설치되는 건축물용 바닥재에 있어서,
    공명층과,
    상기 공명층의 하부에 구비되어 공명층에서 발생된 진동을 흡수하는 진동 흡수층 및,
    상기 공명층의 하부에 구비되는 공명음 흡수층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공명층은 유기물과 강유전 물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강유전 물질은 분극화되고,
    상기 분극화를 통해 상기 공명층의 공명 주파수가 변경되고,
    상기 바닥재에 충격이 가해지고, 상기 충격에 의해 상기 바닥재가 진동하여 층간소음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변경된 공명층의 공명 주파수를 통해 상기 층간소음이 흡음되며,
    상기 유기물과 혼합되는 상기 강유전 물질의 입자 크기 및 종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변경되는 공명 주파수 값이 결정되고,
    상기 공명층에 금속 분말이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바닥재.
  35. 건축물의 내부 마감 모르타르층의 상측에 설치되는 건축물용 바닥재에 있어서,
    적어도 2개 이상의 공명층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공명층은 유기물과 강유전 물질을 포함하여 구성됨과 더불어 상기 강유전 물질은 분극화 되며,
    상기 각 공명층은 서로 공명 주파수가 다르게 설정되고,
    상기 분극화를 통해 상기 공명층의 공명 주파수가 변경되고,
    상기 바닥재에 충격이 가해지고, 상기 충격에 의해 상기 바닥재가 진동하여 층간소음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변경된 공명층의 공명 주파수를 통해 상기 층간소음이 흡음되며,
    상기 유기물과 혼합되는 상기 강유전 물질의 입자 크기 및 종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변경되는 공명 주파수 값이 결정되고,
    상기 공명층에 금속 분말이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바닥재.
KR1020140037028A 2014-03-28 2014-03-28 건축물용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560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7028A KR101560085B1 (ko) 2014-03-28 2014-03-28 건축물용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7028A KR101560085B1 (ko) 2014-03-28 2014-03-28 건축물용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2567A KR20150112567A (ko) 2015-10-07
KR101560085B1 true KR101560085B1 (ko) 2015-10-13

Family

ID=54343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7028A KR101560085B1 (ko) 2014-03-28 2014-03-28 건축물용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00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0080B1 (ko) 2021-12-03 2022-11-24 김현호 층간소음 방지용 금속재질 바닥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7370A (ja) * 2000-07-31 2002-02-12 Nissan Motor Co Ltd 発泡体および吸遮音材
KR100773156B1 (ko) * 2007-03-29 2007-11-02 주식회사 엘지화학 건축용 차음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7370A (ja) * 2000-07-31 2002-02-12 Nissan Motor Co Ltd 発泡体および吸遮音材
KR100773156B1 (ko) * 2007-03-29 2007-11-02 주식회사 엘지화학 건축용 차음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0080B1 (ko) 2021-12-03 2022-11-24 김현호 층간소음 방지용 금속재질 바닥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2567A (ko) 2015-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04507A (ko) 소음방지재
RU2015144110A (ru) Строительная плита с акустическим пеноматериалом
KR101477783B1 (ko) 복합자재를 이용한 뜬바닥구조용 층간차음재
KR100763434B1 (ko) 층간 소음방지 바닥재
KR101656794B1 (ko) 공동주택의 평면분할 차음구조 및 시공방법
KR101560085B1 (ko) 건축물용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35125A (ko) 건물의 바닥의 형성을 위한 모듈화된 바닥완충재 및 이를이용한 건물의 바닥시공방법
KR100763410B1 (ko) 층간 소음방지체의 적층구조
KR100724123B1 (ko) 바닥충격음 차음구조
KR101630530B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방지재
KR101324293B1 (ko)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
KR20160104506A (ko) 건축물용 바닥재
KR20200082848A (ko) 층간소음 저감 완충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16891B1 (ko) 건축물용 바닥재
KR101207288B1 (ko) 공동주택의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618442B1 (ko) 건축물용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560087B1 (ko) 건축물용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431428Y1 (ko)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
KR101637644B1 (ko) 소음방지재
KR101630514B1 (ko) 소음방지재
KR20160005617A (ko) 건축물용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05619A (ko) 소음방지재
KR100766127B1 (ko) 건물용 완충바닥구조체
KR101896737B1 (ko) 난방 배관용 흡음판
KR102187222B1 (ko) 방음벽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