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9583B1 - 이미지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카메라가 부착된 휴대용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이미지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카메라가 부착된 휴대용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9583B1
KR101559583B1 KR1020090012639A KR20090012639A KR101559583B1 KR 101559583 B1 KR101559583 B1 KR 101559583B1 KR 1020090012639 A KR1020090012639 A KR 1020090012639A KR 20090012639 A KR20090012639 A KR 20090012639A KR 101559583 B1 KR101559583 B1 KR 101559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fitness
mode
unit
acquired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2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3434A (ko
Inventor
이일용
김성현
김락용
홍윤표
변성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2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9583B1/ko
Priority to US12/621,986 priority patent/US8514315B2/en
Priority to EP10150490.0A priority patent/EP2219369A3/en
Publication of KR20100093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34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9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9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04N23/61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where the recognised objects include parts of the human bod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획득부를 통해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복수의 촬영 모드에 대하여 각각의 적합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상기 복수의 촬영 모드에 대한 상기 획득 이미지 데이터의 적합도를 상기 획득 이미지 데이터와 함께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의 이미지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카메라가 부착된 휴대용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미지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카메라가 부착된 휴대용 전자 장치{METHOD FOR PROCESSING IMAGE DATA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CAMERA THEREOF}
본 발명은 이미지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카메라가 부착된 휴대용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전자 장치는 현대인의 필수품이다. 이러한 휴대용 전자 장치에는 셀폰과 같은 휴대용 전화, 디지털 카메라, 휴대 멀티 미디어 기기(PMP), 노트북 컴퓨터, MP3 플레이어등이 있다. 이러한 휴대용 전자 장치는,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다기능 기기로 진화되었다. 그래서,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전자 장치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이러한 휴대용 전자 장치엔 상술한 바와 같은 디지털 카메라 기능이 포함되 는 경우가 많다. 디지털 카메라는 촬영되는 피사체의 광학 상(像)이 맺히는 렌즈와 광 신호를 상응하는 전기적인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CCD(Charge Coupled Device)센서(또는, CMOS 센서)와 영상 신호를 처리하는 영상 처리수단으로 구성된다. 특히, 최근에는, 줌 기능, 야간 촬영기능, 접사 촬영기능, 촬영 모드 촬영 기능 등의 다양한 기능이 채택되고 있다.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 장치에서 취득한 영상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함과 더불어, 보다 편리한 사용자 사용환경(user interface)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장치의 이미지 데이터 처리 방법은, 영상획득부를 통해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복수의 촬영 모드에 대하여 각각의 적합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촬영 모드에 대한 상기 획득 이미지 데이터의 적합도를 상기 획득 이미지 데이터와 함께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획득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복수의 촬영 모드에 대하여 각각의 적합도를 측정하는 단계는, 각 모드별 이미지 데이터 적합도 측정부를 통해, 상기 적합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획득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복수의 촬영 모드에 대하여 각각의 적합도를 측정하는 단계는, 인물 얼굴이 검출되면, 이를 고려하여 상기 촬영 모드의 적합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촬영 모드에 대한 상기 획득 이미지 데이터의 적합도를 상기 획득 이미지 데이터와 함께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각 아이콘 상에 상기 촬영모드에 대한 적합도를 나타내는 바를 표시하 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촬영 모드에 대한 상기 획득 이미지 데이터의 적합도를 상기 획득 이미지 데이터와 함께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각 촬영 모드의 적합도를 비교하여, 최적 적합도를 가진 촬영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최적 적합도 촬영 모드로 상기 획득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촬영 모드에 대한 상기 획득 이미지 데이터의 적합도를 상기 획득 이미지 데이터와 함께 표시하는 단계는,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촬영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촬영 모드로 상기 획득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이미지 데이터 처리 방법은, 상기 복수의 촬영모드의 적합도를 비교하여 최적 적합도를 가진 촬영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촬영 모드 및 상기 최적 적합도를 가진 촬영모드를 누적하여 학습보정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획득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상기 각 촬영 모드의 적합도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학습 보정데이터를 고려하여 상기 획득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상기 각 촬영 모드의 적합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이미지 데이터 처리 방법은, 상기 처리된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선택된 촬영 모드별로 구별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이미지 데이터 처리 방법은, 상기 각 촬영 모드별 적합도를 비교하여 최적 적합도를 가진 최적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최적모드로 촬영하여 캡쳐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캡쳐이미지 데이터의 화질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화질을 점수화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이미지 데이터 처리 방법은, 각 촬영 모드별 보정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촬영 모드에 대한 상기 획득 이미지 데이터의 적합도를 상기 획득 이미지 데이터와 함께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보정도를 더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이미지 데이터 처리 방법은, 상기 획득 이미지에 대하여 촬영을 행하여 저장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저장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촬영 모드를 통해 보정을 행하여 보정된 이미지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보정된 이미지 데이터와 상기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함께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실시예인 카메라가 부착된 이동 통신 단말기는,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구성된 영상 획득부,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해 구성된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영상 획득부로부터 획득한 이미지 데이터에 대하여 복수의 촬영 모드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의 적합도를 각각 측정하여, 이 적합도를 상기 이미지 데이터와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람의 얼굴을 검출하기 위한 얼굴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얼굴검출부로부터 수신하는 얼굴 검출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촬영 모드의 적합도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촬영 모드의 적합도를 점수화하는 적합도 계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촬영 모드의 적합도를 비교하여 최적의 적합도를 가진 촬영 모드를 선택하고, 그 선택된 촬영 모드로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여 표시하고, 그 선택된 촬영 모드를 대표하는 아이콘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상기 촬영 모드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 구성된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촬영 모드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 및 방법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르면,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이미지 데이터에 대하여 자동으로 촬영모드를 결정할 수 있는 편리한 UI를 제공할 수 있고, 촬영 혹은 보정과 관련된 보다 많은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휴대용 전자 장치에는 디지털 카메라,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용 전자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상기 휴대용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0), 영상 획득부(20), 송수신부(30), GPS 모듈(40), 센싱부(50), 저장부(60), 제어부(70), 사용자 입력부(80)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로는 터치스크린(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싱부(50)는 상기 휴대용 전자 장치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70)는 사람의 얼굴을 검출할 수 있는 얼굴검출부(71)와, 촬영 모드별 이미지 데이터 적합도 측정부(72)(이하, '적합도 측정부'라 한다), 촬영 모드별 이미지 데이터 적합도 계산부(73)(이하, '적합도 계산부'라 한다), 적합도 보상부(74), 이미지 보정부(75), 이미지 데이터 품질 평가부(76)를 포함한다. 상기 센싱부(50)는 휴대용 전자 장치(100)의 움직임 및 동작을 감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자이로 센서나 가속도 센서와 같은 움직임 감지센서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디스플레이부(10)는 휴대용 전자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용 전자 장치가 이동 통신 단말기이고, 이 이동 통신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또한, 휴대용 전자 장치(100)가 카메라 기능을 갖는 경우,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이에 관련된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0)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휴대용 전자 장치(10)의 디스플레이부(10)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그 본체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휴대용 전자 장치(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0)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전자 장치(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의 디스플레이부(10)는 이미지 데이터와 함께 그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촬영 모드별 적합도가 표시된다. 이에 대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0)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스크린(11)은 디스플레이부(10)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0)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7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70)는 디스플레이부(10)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영상획득부(20)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카메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데이터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0)에 표시될 수 있다. 이 영상획득부(2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영상 획득부(20)는 렌즈부, 촬상부, 영상신호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부는 피사체의 크기를 확대 또는 축소시킬수 있는 줌렌즈, 피사체의 촛점을 조 절하는 포커스 렌즈, 광량을 조절하는 조리개를 포함한다. 이 렌즈부를 통해 피사체의 광신호가 수신된다. 촬상부는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피사체의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경한다. 영상 처리부는 촬상부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하여 처리한다. 영상획득부(20)의 구성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구성을 갖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영상 획득부(20)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저장부(60)에 저장되거나 송수신부(3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송수신부(30)는 휴대용 전자 장치(100)로부터 데이터를 송수신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수신부(30)는 방송 수신 모듈, 이동 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 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저장부(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 통신 모듈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휴대용 전자 장치(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는 휴대용 전자 장치(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용 전자 장치(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용 전자 장치(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휴대용 전자 장치(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휴대용 전자 장치(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GPS모듈(40)은 휴대용 전자 장치(100)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저장부에 기 저장된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실이므로,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생략하도록 한다.
센싱부(50)는 휴대용 전자 장치(100)의 개폐 상태, 휴대용 전자 장치(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방위,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휴대용 전자 장치(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용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용 전자 장치(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또한, 휴대용 전자 장치가 카메라인 경우, 셔터 속도 및 흔들림 정도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는,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압력 센서, 광센서, 조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60)는 제어부(7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프리뷰 이미지 데이터,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전자 장치(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저장부(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의 저장부(60)에는 복수의 촬영 모드를 구비한 이미지 데이터 처리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이 복수의 촬영 모드에는 야경모드, 풍경모드, 인물모드, 카페 모드, 역광모드, 불꽃모 드와 같은 장면 모드, 태양광모드, 백열등모드, 형광등 모드 등과 같은 화이트 밸런스 모드 등이 있다.
제어부(controller, 70)는 통상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획득 이미지 데이터의 처리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70)는 사람의 얼굴을 검출할 수 있는 얼굴검출부(71)와, 촬영 모드별 이미지 데이터 적합도 측정부(72)(예를 들면, SVM(supporting vector machine), 촬영 모드별 이미지 데이터 적합도 보상부(74), 이미지 보정부(75), 이미지 데이터 품질 평가부(76)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러한 얼굴검출부(71)와, 촬영 모드별 이미지 데이터 적합도 측정부(72), 촬영 모드별 이미지 데이터 적합도 계산부(73)는 물리적으로는 제어부(7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7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얼굴검출부(71)는, 일 예로서, Adaboost와 Cascade를 이용하면 보다 빠르게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사람의 얼굴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 데이터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8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8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7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저장부(60)에 저장되고, 제어부(7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적합도 측정부 및 적합도 계산부의 상세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70)는 얼굴검출 부(71), 적합도 측정부(72), 적합도 계산부(73), 적합도 보상부(74)를 포함한다. 영상획득부(20)의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초당 15 프레임의 디지털 프리뷰 이미지 데이터는 버퍼에 저장된다. 이 저장된 영상의 각 프래임은 제 1 모드 적합도 측정부(72-1), 제 2 모드 적합도 측정부(72-2), 제 3 모드 적합도 측정부(72-3)에서 촬영 모드의 적합도가 측정된다. 예를 들면, 제 1모드 적합도 측정부(72-1)에서는 색상, 명암비, 조도, 광량등을 기초로 하여 풍경 모드에 대한 적합도를 측정한다. 제 2 모드 적합도 측정부(72-2)는 색상, 명암비, 조도, 광량 등을 기초로 하여 역광모드에 대한 적합도를 측정한다. 제 3 모드 적합도 측정부(72-3) 광량, 명암비등을 기초로 하여 야경모드에 대한 적합도를 측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모드 적합도 측정부가 이용되었으나, 이 갯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휴대용 전자 장치에 저장된 촬영 모드의 수만큼 모드 적합도 측정부가 설치될 수 있다. 이렇게 측정된 각 촬영 모드별 적합도는 적합도 계산부(73)으로 전달된다. 모드별 적합도 계산부(73)에서는 적합도 측정부(72)에서 측정된 적합도를 수치화한다. 이 모드별 적합도를 수치화함에 있어서, 적합도 보상부(74)가 GPS 모듈(40), 센싱부(50) 및 얼굴검출부(71)로부터의 정보를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얼굴 검출부(71)가 카메라로부터 전송되는 이미지 데이터에 사람의 얼굴이 있는지를 검출하고, 사람의 얼굴이 있다고 판단되면, 적합도 보상부(74)는 이를 적합도 계산부(73)에 알리고, 적합도 계산부는 이를 가산하여, 적합도를 계산한다. 또, GPS 모듈로부터 얻은 현재의 위치가 산이라고 판단되면, 적합도 보상부(74)는 풍경모드의 적합도 산정시 가산점을 부여하게 한다.
한편, 촬영 모드가 많은 경우에는, 제어부(180)의 처리 속도 향상을 위해 트 리 방식에 의해, 최적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트리 방식이란, 영상획득부(20)로부터 획득한 이미지 데이터에 대하여 제 1 모드 적합도 측정부(72-1)(예를 들면, 풍경모드에 관한 적합도를 측정하는 모듈)에서 풍경모드에 대한 적합도를 판단하고 난 후, 제 2 모드 적합도 측정부(72-2)(역광 모드 적합도 측정부)에서 역광 모드에 적합도를 평가한다. 만약, 상기 획득한 이미지 데이터가 풍경 모드 및 역광 모드에 적합하다고 판단되면, 풍경 역광모드가 최적 모드로 결정된다. 즉, 각각의 분리가지 방식에 의해 최적 모드를 찾을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보정부에 관한 상세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보정부(75)는 보정강도 계산부(75-1) 및 이미지 강도 보정부(75-2)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영상획득부(20)로부터 얻은 이미지 데이터에 대하여 촬영 명령을 내리면, 캡쳐 이미지가 생성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80)를 통해 상기 캡쳐 이미지 데이터에 대하여 보정을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80)를 통해 보정강도를 상 중 하로 선택한다 .이에 따라, 보정강도 계산부는(75-1) 상기 캡쳐 이미지 데이터에 대하여 보정강도를 결정한다. 그리고, 이미지 강도 보정부(75-2)는 이 보정강도 계산부(75-1)에서 출력된 보정강도에 따라 상기 캡쳐 이미지 데이터를 보정하게 된다. 예를 들면, 중정도 보정강도가 0-100이라면, 사용자 입력이 상이면, 그 범위가 50-150으로 변경하여 보정한다. 반대로, 사용자 입력이 하일때에는 0-50까지로 하여 보정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하여 보정강도를 탄력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렇게 보정된 이미지 데이터에 대하여 품질을 점수화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은 저장 이미지 데이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미지 데이터의 품질을 점수로 표시하는 것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 품질 평가부에 관한 상세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데이터 품질 평가부(76)는 특징 추출부(76-1), 특징 계산부(76-2) 및 영상 판단부(76-3)를 포함한다. 영상획득부(20)로부터 얻은 이미지 데이터는 사용자 명령에 의해 캡쳐 이미지가 생성된다. 특징 추출부(76-1)는 상기 캡쳐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특징들을 추출한다. 추출된 특징들로서는 흔들림, 극저조도, 극고조도, 흐린정도, 뿌연 정도 등을 나타내는 부분이다. 특징 계산부(76-2)에서는 상기 특징들을 계산하여 점수화한다. 영상 판단부(76-3)는 상기 특징 계산부(76-2)로부터의 이미지 데이터 점수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가 좋지 않다고 판단되면,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기능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의 설정 또는 기설정에 의해 기준이 되는 극저조도, 극고조도, 흐린 정도, 뿌연 정도의 값을 설정한다. 제어부(70)는 이 설정된 기준값과, 캡쳐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분석된 특징값을 비교한다. 그 다음, 제어부는, 그 분석된 특징값이 기준값보다 낮으면, 캡쳐 이미지 데이터의 품질이 좋지 않다고 판단한다. 예를 들면, 진동 모듈을 구동하여 진동을 발생시키거나, 음향 출력부를 제어하여 알람음을 출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를 통해, 적합도 측정부(72) 및 적합도 계산부(73)에서 적용될 수 있는 수식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상기 각 촬영 모드의 적합도를 얻기 위한 수식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상기 각 촬영 모드의 적합도에 대한 정규화된 점수를 얻기 위한 수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수식은 적합도 측정부에 적용되는 것이다. 적합도 측정부는 복수의 모드 적합도 측정부를 포함한다. 각 모드 적합도 측정부는 상이한 상수를 갖는다. 위 식에서, fn(x)는 n번째 모드의 적합도를 측정하는 함수이다(즉, 1은 제 1 모드 적합도 측정부, 2는 제 2 모드 적합도 측정부). 이 때,x는 프리뷰 이미지 데이터에서 추출된 특징 벡터이다. 모드의 수 만큼 서포트 벡터 머신을 학습하고, 학습결과로 각각의 모드에 해당하는 N개의 서포트 벡터(support vector) xsv 와 이진레이블 y(1또는 -1), 각 서포트 벡터에 대응하는 상수
Figure 112009009543037-pat00001
를 구할 수 있고, 모드당 하나의 상수 b를 구할 수 있다. 이때, K는 커널 함수로써, 주로 RBF(Radial Basis Function), 폴리노미얼 함수(Polynormial Function), 퍼셉트론함수(Perceptron Function)등이 사용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상기 각 촬영 모드의 적합도에 대한 규정화된 점수를 얻기 위한 수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서λ와 β는 SVM학습과 동시에 실험을 통해 미리 얻어진 값이다.
Figure 112009009543037-pat00002
는 적합도 보상부(74)에서 얻어진 보정값이다. 예를 들면, 얼굴검출부(71)로부터 이미지 데이터에 사람의 얼굴이 있다고 판단되면, 적합도 보상부(74)에서
Figure 112009009543037-pat00003
값을 결정한다. 이렇게 얻은
Figure 112009009543037-pat00004
값에 의해 얼굴검출부(71), 센싱부(50), 및 GPS 모듈(40)로부터 얻은 정보가 적합도에 기여하게 된다. 이 수식에 의하면 적합도는 0-100의 값을 얻게 된다. 이렇게 얻어진 적합도는 디스플레이부(151)에 막대 또는 숫자로 표시된다. 상술한 적합도 측정부(72)와 마찬가지로, 촬영모드수만큼의 적합도 계산부(73)가 필요하다. 도면에서의 적합도1, 적합도2, 적합도3 은 각각의 촬영 모드에서의 적합도의 값을 나타낸다.
본 상세한 설명에서는 모드의 갯수 만큼의 적합도 측정부(72) 및 적합도 계산부(73)이 필요한 예를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한고, 하나의 적합도 측정부 및 적합도 계산부를 구비하고, 모드별 필수 입력 요소만을 고려하여 구현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 처리 방법에 대하여, 도 7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이미지 데이터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저장부(60)에 복수의 촬영 모드를 구비하는 이미지 데이터 처리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촬영 모드에는 황혼모드, 카페모드, 역광모드, 황혼 인물모드, 풍경모드, 설경모드, 스포츠 모드를 포함한다. 또는 화이트 밸런스 관련 모드, 측광 관련 모드일 수도 있다. 여기서, 영상 획득부(20)를 통해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한다(S1). 획득된 이미지 데이터를 적합도 측정부(71)를 통해 각 촬영 모드별 적합도를 측정한다(S2). 이 적합도 측정부를 측정할 때, 얼굴검출부(71), 센싱부(50) 및 GPS 모 듈(40)에서의 정보가 이용된다. 예를 들면, 상기 영상 획득부(71)를 통해 얻은 이미지 데이터(프리뷰 이미지 데이터)에 사람의 얼굴이 있다고 얼굴검출부(71)가 판단되면, 인물 모드에 가산점을 부여한다. 또, GPS 모듈(40)로부터 얻은 정보를 통해 현재위치가 산속이라고 판단되면, 풍경모드에 가산점을 부여한다. 제어부는 측정된 각 모드별 적합도를 비교하여 최적 모드를 선택한다(S3, S4). 이 프리뷰 이미지 데이터에 대하여 각 모드별 적합도 점수를 표시함과 더불어 최적 모드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S5).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80)를 통해 수동으로 촬영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이렇게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촬영 모드를 결정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프리뷰 이미지 데이터에 대하여 촬영을 행하여 캡쳐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한다(S6). 사용자는 이 캡쳐 이미지 데이터에 대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보정할 수 있다. 즉, 촬영 모드 아이콘을 함께 표시하고, 촬영 모드 아이콘을 선택함으로써, 쉽게 이 캡쳐 이미지 데이터에 대하여 보정을 행한다(S7, S8). 보정을 행한 후,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상기 캡쳐 이미지 데이터는 저정부(60)에 저장된다.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여 보정 없이 캡쳐 이미지 데이터가 저장될 수도 있다(S9).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미지 데이터 처리 장치가 적용된 휴대용 전자 장치의 이미지 데이터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적용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이미지 데이터 처리 방법이 적용된 제 1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이미지 데이터 처리 방법이 적용된 제 2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이미지 데이터 처 리 방법이 적용된 제 3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이미지 데이터 처리 방법이 적용된 제 4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0)와 사용자 입력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디스플레이부(10)에는 영상획득부(20)로부터 획득한 프리뷰 이미지 데이터가 표시된다. 이때, 저장부(60)에 저장된 각 촬영 모드의 아이콘(110)들이 디스플레이부의 하단에 나란히 배열되고, 각 아이콘 위에는 막대기(120)가 표시되어 있다. 이 막대기의 길이는 각 촬영 모드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의 적합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막대기의 색깔은 보정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즉, 각 촬영 모드에 의해 촬영되었을 때, 이미지 데이터가 어느 정도 보정되는지를 미리 계산하고, 각 모드별 보정도를 측정하여 보정정도를 막대기의 색깔로 표시한다. 예를 들면, 적색은 강정도 보정, 노란색은 중정도 보정, 초록색은 약정도 보정으로 표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촬영 모드에 따른 보정의 정도를 프리뷰 상태에서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는 실내 인물 모드(121)의 적합도가 가장 크기 때문에, 제어부(70)는 실내 인물 모드로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다. 현재 표시되고 있는 이미지 데이터가 실내 인물모드로 처리되었음을 알리기 위해 좌측상단에 현재 촬영 모드 아이콘(130)이 표시되어 있다. 이 때, 사용자 입력부(70)가 각 촬영 모드 아이콘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입력부(70) 중 자신이 원하는 촬영 모드 아이콘을 선택하면, 해당하는 촬영 모드로 프리뷰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80)를 통해 촬영을 진행하여 캡쳐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그다음 사용자 선택에 의하여 저장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캡쳐 이미지 데이터 또는 저장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화질점수(150)가 계산되어 표시될 수 있다. 화질 점수에 대해서는 도 4를 통해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이상태에서 각 촬영 모드에 대한 아이콘 및 촬영 당시의 적합도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촬영 모드에 대한 선택신호에 의하여 간단하게 상기 캡쳐 이미지 데이터 또는 저장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보정 처리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면 부호 140은 얼굴 검출부에 의하여 사람의 얼굴이 검출되었음을 알려주는 표시이다. 따라서, 제 1 실시예에서는 인물모드가 우선권을 가지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이미지 데이터 적합도는 토글 처리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9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이미지 데이터 처리 방법이 적용된 제 2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0)에는 영상획득부(20)로부터 획득한 프리뷰 이미지 데이터(200)가 표시된다. 이때, 저장부(60)에 저장된 각 촬영 모드의 아이콘(210)들이 디스플레이부(10)의 일측에 원형으로 배치되고, 그 안쪽으로 각 촬영 모드별 적합도를 나타내는 점들이 배치된다. 그리고 각 점들은 연결되어 선(220)으로 표시된다. 여기서는 실내 인물 플래쉬 모드(221)의 적합도가 가장 크기 때문에, 제어부(70)는 실내 인물 플래쉬 모드로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10)에 표시한다. 이 때 사진을 찍으면, 프래쉬가 동작하게 된다. 현재 표시되고 있는 이미지 데이터가 실내 인물 플래쉬 모드로 처리되었음을 알리 기 위해 좌측상단에 현재 촬영 모드 아이콘(230)이 표시되어 있다. 이 때, 사용자 입력부(70)는 회전형 입력장치일 수 있다. 이 회전형 입력장치는 상기 원형으로 배치된 아이콘과 대응된다. 따라서, 사용자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사용자가 회전형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아이콘을 선택하면, 해당하는 촬영 모드로 촬영하여 캡쳐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캡쳐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저장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한다.다. 또한 캡쳐 이미지 데이터 또는 저장 이미지 데이터를 독출한 상태에서도, 상기 촬영 모드 아이콘이 같이 표시되고, 그 아이콘을 선택함으로써, 캡쳐 이미지 데이터 및 저장 이미지 데이터에 대하여 간단한 보정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이 캡쳐 이미지 데이터및 저장 이미지 데이터의 보정처리는 제 1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도면 부호 240은 얼굴 검출부에 의하여 사람의 얼굴이 검출되었음을 알려주는 표시이다. 따라서, 제 2 실시예에서는 인물모드가 우선권을 가지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이미지 데이터 처리 방법이 적용된 제 3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0)에는 영상획득부(20)로부터 획득한 이미지 데이터(300)가 표시된다. 이때, 저장부(60)에 저장된 각 촬영 모드의 아이콘(310)들이 디스플레이부의 좌측에 나란히 배열되고, 각 아이콘 옆에는 수치화된 적합도(350)가 표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역광 풍경 모드가 최적값이기 때문에, 제어부는 촬영시 역광 풍경 모드로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여 이를 디스플레이부(10)에 표시한다. 캡쳐 이미지 데이터에는 역광 풍경모드로 처리되었음을 알리기 위해 좌측상단에 현재 촬영 모드 아이콘(330)이 표시되어 있다. 이 때, 사용자 입력부(80)는 사이드키나 회전형 입력 장치 또는 네비키가 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입력부(80) 중 자신이 원하는 아이콘을 선택하면, 해당하는 촬영 모드로 캡쳐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그 다음 이에 대한 저장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캡쳐이미지 데이터 또는 저장 이미지 데이터를 독출한 상태에서도, 상기 촬영 모드 아이콘이 같이 표시되고, 그 촬영 모드 아이콘을 선택함으로써, 캡쳐 이미지 데이터 또는 저장 이미지 데이터에 대하여 간단한 보정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이 캡쳐 이미지 데이터 및 저장 이미지 데이터의 보정처리는 제 1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캡쳐 이미지 데이터 및 저장 이미지 데이터의 보정처리는 제 1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얼굴 검출부에 의하여 사람의 얼굴이 검출되었음을 알려주는 표시가 없다. 따라서, 제 3 실시예에서는 인물모드에 우선권을 가지지 못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보정 이미지 데이터가 원본 이미지 데이터와 함께 표시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이미지 데이터 처리 방법이 적용된 제 4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에서는 보정전 이미지 데이터(500)과 보정후 이미지 데이터(600)가 화면을 반분하여 표시되어 있다. 상술한 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해 간단하게 이미지 데이터를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예에 따르면, 보정후에 사용자에게 보정전 이미지 데이터(500)와 보정 후 이미지 데이터(600)를 함께 보여줌으로써, 사용자에게 보정의 정도를 명확히 알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보정전 이미지 데이터(500) 및 보정후 이 미지 데이터(600)에 대하여 페이딩(fading)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복수의 촬영모드의 적합도를 비교하여 얻은 최적 적합도를 가진 촬영모드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얻어진 촬영모드에 대하여 누적데이터를 얻고, 이 누적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습보정 데이터를 생성한 후, 그 학습데이터를 고려하여 촬영모드의 적합도를 계산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촬영모드 취향을 선택된 촬영모드를 통해 누적시키고, 이를 적합도 산정에 고려 요소로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정확한 최적 촬영 모드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위치 표시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적합도 측정부 및 적합도 계산부의 상세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보정부에 관한 상세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품질 평가부에 관한 상세 블록 구성도.
도 5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상기 각 촬영 모드의 적합도를 얻기 위한 수식을 나타내는 도면.
도 6는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상기 각 촬영 모드의 적합도에 대한 규정화된 점수를 얻기 위한 수식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이미지 데이터 처리 방법의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이미지 데이터 처리 방법이 적용된 제 1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이미지 데이터 처리 방법이 적용된 제 2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이미지 데이터 처리 방법이 적용된 제 3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이미지 데이터 처리 방법이 적용된 제 4예를 나타내는 도면.

Claims (16)

  1. 영상획득부를 통해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복수의 촬영 모드에 대하여 각각의 적합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촬영 모드에 대한 상기 획득 이미지 데이터의 적합도를 상기 획득 이미지 데이터와 함께 표시하는 단계;
    상기 획득 이미지에 대하여 촬영을 행하여 저장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저장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촬영 모드를 통해 보정을 행하여 보정된 이미지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보정된 이미지 데이터와 상기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함께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의 이미지 데이터 처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복수의 촬영 모드에 대하여 각각의 적합도를 측정하는 단계는,
    각 모드별 이미지 데이터 적합도 측정부를 통해, 상기 적합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의 이미지 데이터 처리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복수의 촬영 모드에 대하여 각각의 적합도를 측정하는 단계는,
    인물 얼굴이 검출되면, 이를 고려하여 상기 촬영 모드의 적합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의 이미지 데이터 처리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촬영 모드에 대한 상기 획득 이미지 데이터의 적합도를 상기 획득 이미지 데이터와 함께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각 촬영 모드를 대표하는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각 아이콘 상에 상기 촬영모드에 대한 적합도를 나타내는 바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의 이미지 데이터 처리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촬영 모드에 대한 상기 획득 이미지 데이터의 적합도를 상기 획득 이미지 데이터와 함께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각 촬영 모드의 적합도를 비교하여, 최적 적합도를 가진 촬영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최적 적합도 촬영 모드로 상기 획득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의 이미지 데이터 처리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촬영 모드에 대한 상기 획득 이미지 데이터의 적합도를 상기 획득 이미지 데이터와 함께 표시하는 단계는,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촬영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촬영 모드로 상기 획득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의 이미지 데이터 처리 방법.
  7. 제 6항 있어서,
    상기 복수의 촬영모드의 적합도를 비교하여 최적 적합도를 가진 촬영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촬영 모드 및 상기 최적 적합도를 가진 촬영모드를 누적하여 학습보정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획득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상기 각 촬영 모드의 적합도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학습 보정데이터를 고려하여 상기 획득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상기 각 촬영 모드의 적합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의 이미지 데이터 처리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된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선택된 촬영 모드별로 구별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의 이미지 데이터 처리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촬영 모드별 적합도를 비교하여 최적 적합도를 가진 최적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최적모드로 촬영하여 캡쳐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캡쳐이미지 데이터의 화질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화질을 점수화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의 이미지 데이터 처리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각 촬영 모드별 보정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촬영 모드에 대한 상기 획득 이미지 데이터의 적합도를 상기 획득 이미지 데이터와 함께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보정도를 더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의 이미지 데이터 처리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090012639A 2009-02-16 2009-02-16 이미지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카메라가 부착된 휴대용 전자 장치 KR101559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2639A KR101559583B1 (ko) 2009-02-16 2009-02-16 이미지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카메라가 부착된 휴대용 전자 장치
US12/621,986 US8514315B2 (en) 2009-02-16 2009-11-19 Method for processing image data i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camera thereof
EP10150490.0A EP2219369A3 (en) 2009-02-16 2010-01-12 Method for processing image data i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camera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2639A KR101559583B1 (ko) 2009-02-16 2009-02-16 이미지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카메라가 부착된 휴대용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3434A KR20100093434A (ko) 2010-08-25
KR101559583B1 true KR101559583B1 (ko) 2015-10-12

Family

ID=41599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2639A KR101559583B1 (ko) 2009-02-16 2009-02-16 이미지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카메라가 부착된 휴대용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514315B2 (ko)
EP (1) EP2219369A3 (ko)
KR (1) KR1015595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01362A1 (en) * 2018-11-14 2020-05-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recording multimedia fil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50570A1 (en) * 2010-08-26 2012-03-01 Jasinski David W Audio processing based on scene type
CN103973955B (zh) * 2013-01-28 2017-08-25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US9342846B2 (en) * 2013-04-12 2016-05-17 Ebay Inc. Reconciling detailed transaction feedback
US9769367B2 (en) 2015-08-07 2017-09-19 Google Inc. Speech and computer vision-based control
US9836819B1 (en) 2015-12-30 2017-12-05 Google Llc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ve retention and editing of images captured by mobile image capture device
US10225511B1 (en) 2015-12-30 2019-03-05 Google Llc Low power framework for controlling image sensor mode in a mobile image capture device
US10732809B2 (en) 2015-12-30 2020-08-04 Google Llc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ve retention and editing of images captured by mobile image capture device
US9836484B1 (en) 2015-12-30 2017-12-05 Google Llc Systems and methods that leverage deep learning to selectively store images at a mobile image capture device
US9838641B1 (en) 2015-12-30 2017-12-05 Google Llc Low power framework for processing, compressing, and transmitting images at a mobile image capture device
CN106385573A (zh) * 2016-09-06 2017-02-08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图片处理方法及终端
US10884769B2 (en) * 2018-02-17 2021-01-05 Adobe Inc. Photo-editing application recommendations
US11036811B2 (en) 2018-03-16 2021-06-15 Adobe Inc. Categorical data transformation and clustering for machine learning using data repository systems
EP3979618A1 (en) * 2020-10-01 2022-04-06 Axis AB A method of configuring a camera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4268A (ja) 2002-03-15 2003-09-26 Ricoh Co Ltd シーン選択機能を有する撮像装置
JP2007228118A (ja) 2006-02-22 2007-09-06 Seiko Epson Corp 撮影シーンの決定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93922B2 (ja) * 1997-05-30 2007-10-1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変形装置および方法
JP4245699B2 (ja) 1998-09-16 2009-03-25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像装置
US6301440B1 (en) 2000-04-13 2001-10-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etting image acquisition controls
US7286177B2 (en) 2001-12-19 2007-10-23 Nokia Corporation Digital camera
KR100734107B1 (ko) 2005-07-18 2007-06-29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상태 표시자를 이용한 촬영장치 및 그 촬영방법
JP4197019B2 (ja) * 2006-08-02 2008-12-17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表情評価装置
JP5076695B2 (ja) * 2006-09-29 2012-11-2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画像補正装置及び画像補正方法とプログラム
JP2008273171A (ja) 2007-04-04 2008-11-13 Seiko Epson Corp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854579B2 (ja) * 2007-04-20 2012-01-18 三洋電機株式会社 ぶれ補正装置及びぶれ補正方法ならびにぶれ補正装置を備えた電子機器や、画像ファイル及び画像ファイル作成装置
JP4799511B2 (ja) * 2007-08-30 2011-10-2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5034820B2 (ja) * 2007-09-21 2012-09-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4268A (ja) 2002-03-15 2003-09-26 Ricoh Co Ltd シーン選択機能を有する撮像装置
JP2007228118A (ja) 2006-02-22 2007-09-06 Seiko Epson Corp 撮影シーンの決定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01362A1 (en) * 2018-11-14 2020-05-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recording multimedia fil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11606493B2 (en) 2018-11-14 2023-03-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recording multimedia fil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19369A2 (en) 2010-08-18
KR20100093434A (ko) 2010-08-25
EP2219369A3 (en) 2013-06-26
US20100208093A1 (en) 2010-08-19
US8514315B2 (en) 2013-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9583B1 (ko) 이미지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카메라가 부착된 휴대용 전자 장치
US11170708B2 (en) Gamma correction method and device, display devic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CN108629747B (zh) 图像增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1977703B1 (ko) 단말의 촬영 제어 방법 및 그 단말
WO2017067520A1 (zh) 具有双目摄像头的移动终端及其拍照方法
WO2017071559A1 (zh) 图像处理装置及方法
US20080303922A1 (en) Image capture
US9703070B2 (en) Imaging apparatus and focusing control method
CN106791472A (zh) 一种曝光方法及终端
CN113542581A (zh) 多路录像的取景方法、图形用户界面及电子设备
CN104205804A (zh) 图像处理装置、拍摄装置、程序以及图像处理方法
US20210168279A1 (en) Document image correction method and apparatus
CN106686307A (zh) 一种拍摄的方法和移动终端
CN107071263A (zh) 一种图像处理方法及终端
US994248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using display for auxiliary light
CN106385573A (zh) 一种图片处理方法及终端
JP2015177308A (ja) 携帯端末装置、画像補正方法、及び画像補正プログラム
CN111147744B (zh) 拍摄方法、数据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EP3086311A1 (en) Method and device for adjusting display brightness
US11600241B2 (en) Display control device, imaging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control program
CN115798418A (zh) 图像显示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JP2009021724A (ja)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7085651B2 (ja) 撮像装置の制御装置、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撮像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CN116684726B (zh) 一种检测月亮的方法和电子设备
CN112752015B (zh) 拍摄角度推荐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