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9491B1 - 표류 부이 - Google Patents

표류 부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9491B1
KR101559491B1 KR1020150094184A KR20150094184A KR101559491B1 KR 101559491 B1 KR101559491 B1 KR 101559491B1 KR 1020150094184 A KR1020150094184 A KR 1020150094184A KR 20150094184 A KR20150094184 A KR 20150094184A KR 101559491 B1 KR101559491 B1 KR 101559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
protective housing
observer
buoyant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4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규민
박준성
석 이
오경희
조철호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50094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94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9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9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022/006Buoy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or watch purpo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표류 부이가 개시된다. 본 표류 부이는, 통신용 안테나가 상면으로 노출된 캡과, 상기 캡의 저면에 다층으로 구비된 설치부재에 각각 설치되는 배터리 및 통신모듈과, 상기 배터리 및 통신모듈이 장착된 설치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부품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캡과 결합되어 상기 부품 수용부를 밀폐하기 위한 관측기 몸체; 상기 관측기 몸체의 일부분을 수용하도록 상향으로 개구된 몸체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단의 가장자리에는 환형의 플랜지가 형성되며, 저면에는 수중 유동체와 연결되기 위한 연결구를 구비하여,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관측기 몸체와 결합되는 보호 하우징; 및 부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보호 하우징에 끼움 결합되는 부력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호 하우징에 링 형상의 부력재의 끼움 결합하고, 부력체 고정부재를 체결하는 작업만으로 부력체가 견고하게 고정 결합되므로, 부력체의 탈,부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다양한 크기의 드래그와 연결할 수 있어서 원하는 위치의 해류관측이 가능하고, 소형 경량화되고, 보호 하우징이 분리됨으로, 대형 부이에 용이하게 장착하여 대형 부이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표류 부이{DRIFTER BUOY}
본 발명은 표류 부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력재를 탈,부착할 수 있고, 다양한 크기의 드래그와 연결할 수 있어서 원하는 위치의 해류관측이 가능하고, 부피의 최소화 및 무게의 경량화로 이동 및 투하에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작비용이 절감될 수 있고, 기존의 대형 부이에 장착하여 고정점 위치 이탈시 위치전송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표류 부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류는 일정한 방향으로 일정한 속도를 가지고 유동하는 바닷물의 흐름을 말하는 것으로, 해류의 흐름 파악은 태풍이나 쓰나미와 같은 기상이변 및 해양환경의 변화를 미리 예측하거나, 해류와 함께 이동하는 어군 등을 파악하여 어업의 기초자료로 활용되는 등 최근에 들어 그 이용가치가 점점 증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해양에서 해류를 관측할 수 있는 방법은 고정위치에서 유속계 등과 같은 해류장치를 설치하여 측정하는 오일러식 측정법과, 표류 부이 등을 활용하여 물 입자의 움직임을 파악하여 관측하는 라그랑지식 측정법이 있다.
이는 물 입자의 공간적 이동성을 파악하는데 효율적인 해류측정방법으로 해상조난사고 발생 시 인명구조 및 익사자 수색과 유류유출과 같은 오염물질 사고 등 표층 1m내 해류정보를 필요로 하는데 이용되어 진다.
하지만 기존의 해류관측 부이는 고가의 관측장비임에도 불구하고 대부분 특정 수층만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되어져 있으며, 통신에 있어 연안과 외해역의 구분과 위치정보 처리의 어려움, 고가의 통신료로 인해 사고현장에서 자유로운 활용이 이루어지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다.
또한 해양조난사고 시 인명구조를 위한 수층별 다양한 표층해류정보를 제공하는 소모성 표류 부이의 투하가 요구되나 현재까지 적합한 표류 부이가 없어 구조에 많은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러한 부이의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380912호(공고일 : 2014.04.02)에는 연안해역 해류흐름 측정 부이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밀이 유지되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제1 부력체와, 상기 제1부력체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송수신유닛이 설치되는 내부기밀용기와, 상기 제1부력체의 외주면과 결합되어 상기 제 1부력체를 부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1부력체의 도넛형상으로 형성되어 제 1부력체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된 제 2부력체와, 상기 제 1부력체의 하부에 연결되며 도래가 설치된 로프와, 상기 로프의 단부에 설치되는 수중유동체를 구비하며, 상기 제 2부력체의 하면에는 표층해류와의 편승력을 높이기 위한 편승블레이드가 설치되고, 상기 제 1부력체의 하부케이스의 하면에 상기 편승블레이드들의 사이에 위치되는 보조편승블레이드가 설치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부이장치는, 부피가 크고 무게가 무거워 이동 및 투하에 어려움이 있었고, 부력체가 구형의 몸체에 결합되도록 구성됨으로서 부력체가 몸체로부터 쉽게 이탈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025872호(공고일 : 2011.03.30)에는 파랑관측이 가능한 부이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부이도 부피가 크고 고중량인 관계로 이동 및 투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025872호(공고일 : 2011.03.30) .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380912호(공고일 : 2014.04.02)
본 발명의 목적은, 부력재의 탈,부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다양한 크기의 드래그와 연결할 수 있어서 관측하고자 하는 수층에서 해류관측이 가능함은 물론, 부피의 최소화 및 무게의 경량화로 이동 및 투하에 용이한 표류 부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부유 시 해수면에 노출되는 수직단면적을 최소화하여 표층 바람의 영향을 줄여 해류영향을 최대한 반영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대형 부이에 부착하여 대형 부이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분리 구조를 갖는 표류 부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통신용 안테나가 상면으로 노출된 캡과, 상기 캡의 저면에 다층으로 구비된 설치부재에 각각 설치되는 배터리 및 통신모듈과, 상기 배터리 및 통신모듈이 장착된 설치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부품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캡과 결합되어 상기 부품 수용부를 밀폐하기 위한 관측기 몸체; 상기 관측기 몸체의 일부분을 수용하도록 상향으로 개구된 몸체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단의 가장자리에는 환형의 플랜지가 형성되며, 저면에는 수중 유동체와 연결되기 위한 연결구를 구비하여,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관측기 몸체와 결합되는 보호 하우징; 및 부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보호 하우징에 끼움 결합되는 부력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류 부이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캡의 상면에는, 상기 안테나를 보호하기 위한 돔 형상의 투명커버가 수밀을 유지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설치부재는, 상기 캡의 저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지지로드; 및 상기 지지로드에 수직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유지하여 결합되어 상기 배터리 및 통신모듈이 설치되기 위한 설치공간을 다단으로 형성하는 설치판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설치공간 중에서 하부에 위치하는 설치공간에는 상기 관측기 몸체의 무게 중심이 하부로 위치하도록 상기 배터리가 설치되고, 상부에 위치하는 설치공간에는 상기 통신모듈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관측기 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 나사홈; 상기 관측기 몸체의 외주면에, 하단부에서 상단부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홈과, 상기 수직홈의 끝부분에서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홈으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위치 결정홈; 상기 보호 하우징의 내주면에, 상기 위치 결정홈에 삽입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위치결정돌기; 상기 결합 나사홈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보호 하우징에 관통 형성되는 볼트 관통공; 및 상기 위치결정돌기가 상기 수평홈에 위치하여 상기 볼트 관통공과 결합 나사홈이 일치할 때 상기 볼트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결합 나사홈에 체결되어 상기 보호 하우징과 관측기 몸체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 하우징에는, 끼움 결합된 상기 부력체를 상기 플랜지에 밀착시켜 고정하기 위한 부력체 고정부재가 환형의 가압단을 구비하여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보호 하우징의 외주면에는 숫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부력체 고정부재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가압단이 상기 부력체를 상기 플랜지에 가압하도록 상기 보호 하우징에 체결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보호 하우징의 하부 영역에는 나사홈이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나사홈에 대응되는 상기 부력체 고정부재에는 볼트 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부력체가 상기 보호 하우징에 결합되지 않고, 상기 관측기 몸체와 결합된 보호 하우징을 대형 부이에 장착하여 상기 대형 부이의 위치 추적용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상기 가압단이 상기 플랜지와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부력체 고정부재를 상기 보호 하우징의 하단에 끼움 결합한 후 상기 볼트 체결공과 나사홈을 일치시켜 볼트로 체결하여 상기 부력체 고정부재와 보호 하우징을 결합하고, 다수개의 볼트로 상기 가압단을 상기 대형 부이에 체결하여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관측기 몸체는, 상기 관측기 몸체를 대형 부이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장착부재는, 하단 외주면에 환형의 장착단이 형성된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관측기 몸체를 상기 대형 부이에 장착하는 경우에, 상기 장착부재를 상기 관측기 몸체의 하단에 결합한 후, 상기 장착단을 상기 대형 부이에 볼트들로 장착하여 고정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관측기 몸체는, 클램프에 의해 대형 부이의 기둥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호 하우징에 링 형상의 부력재의 끼움 결합하고, 부력체 고정부재를 체결하는 작업만으로 부력체가 견고하게 고정 결합되므로, 부력체의 탈,부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다양한 크기의 드래그와 연결할 수 있어서 관측하고자 하는 수층의 해류관측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단지 표층해수면의 유속의 흐름을 관측하기 위하여 드래그 부착이 요구되지 않을시 자체 부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30-40cm 이하로 부피를 줄이고 무게를 경화시킴으로써, 이동 및 투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표류 부이가 소형 경량화됨으로써, 부유시 해수면에 노출되는 수직단면적이 최소화되어 표층 바람의 영향을 줄일 수 있고, 이로 인하여 해류영향을 최대한 반영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류 부이가 소형 경량화되고, 보호 하우징이 분리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대형 부이에 용이하게 장착하여 대형 부이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표류 부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류 부이를 도시한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표류 부이를 도시한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표류 부이의 관측기 몸체와 보호 하우징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표류 부이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표류 부이를 대형 부이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표류 부이를 다른 구조에 의해 대형 부이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표류 부이를 또 다른 구조에 의해 대형 부이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표류 부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류 부이를 도시한 결합상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표류 부이를 도시한 결합상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표류 부이의 관측기 몸체와 보호 하우징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표류 부이(10)는, 지피에스 및 이리듐 통신위성 모듈을 내장하여 연안 및 외해역 어디에서나 실시간으로 부이 위치 자료 전송을 통해 라그랑지식 방법으로 해류의 유속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통신용 안테나(52)가 상면으로 노출된 캡(20)과, 상기 캡(20)의 저면에 다층으로 구비된 설치부재(30)에 각각 설치되는 배터리(40) 및 통신모듈(50)과, 배터리 (40) 및 통신모듈(50)이 장착된 설치부재(30)를 수용하기 위한 부품 수용부(62)를 구비하고 캡(20)과 결합되어 부품 수용부(62)를 밀폐하기 위한 관측기 몸체(60)와, 관측기 몸체(60)의 일부분을 수용하도록 상향으로 개구된 몸체 수용부(72)를 구비하고, 상단의 가장자리에는 환형의 플랜지(74)가 형성되며, 저면에는 수중 유동체(drag - 80)와 연결되기 위한 연결구(76)를 구비하여, 결합수단에 의해 관측기 몸체(60)와 결합되는 보호 하우징(70)와, 부력을 발생시키도록 보호 하우징(70)에 끼움 결합되는 부력체(9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관측기 몸체(6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구된 원통형구조로 형성되고, 부품 수용부(62)의 입구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캡(20)의 외주면에는 숫나사산이 형성되어 상호 체결되어 결합된. 이때 캡(20)과 관측기 몸체(60)는 수밀이 유지되도록 패킹을 구비하여 결합된다.
캡(20)의 상면에는, 안테나(52)를 보호하기 위한 돔 형상의 투명커버(22)가 수밀을 유지하도록 결합된다.
설치부재(30)는, 캡(20)의 저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지지로드(34)와, 지지로드(34)들에 수직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유지하여 결합되어 배터리 (40) 및 통신모듈(50)이 설치되기 위한 설치공간(S)을 다단으로 형성하는 설치판(36)들로 이루어진다.
이때, 설치판(36) 들에 의해 다단으로 형성된 설치공간(S) 중에서 하부에 위치하는 설치공간(S1)에는 관측기 몸체(60)의 무게 중심이 하부로 위치하도록 배터리(40)가 설치되고, 상부에 위치하는 설치공간(S2)에는 통신모듈(50)이 설치되는 것이다.
보호 하우징(70)은, 관측기 몸체(60)의 일부를 수용하여 보호하고, 부력체(90)가 결합되기 위한 것으로, 원통형의 구조를 갖는다. 즉, 관측기 몸체(60)의 일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몸체 수용부(72)가 상향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고, 상단의 가장자리에는 환형의 플랜지(74)가 형성되며, 저면에는 수중 유동체(80)와 연결되기 위한 연결구(76)가 구비되어 결합수단에 의해 관측기 몸체(60)와 결합되는 것이다.
보호 하우징(70)과 관측기 몸체(60)을 결합하는 결합수단은, 관측기 몸체(6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 나사홈(61)과, 관측기 몸체(60)의 외주면에, 하단부에서 상단부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홈(63A)과, 수직홈(63A)의 끝부분에서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홈(63B)으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위치 결정홈(63)과, 보호 하우징(70)의 내주면에, 위치 결정홈(63)에 삽입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위치결정돌기(71)와, 결합 나사홈(61)에 대응되는 위치의 보호 하우징(70)에 관통 형성되는 볼트 관통공(75)와, 위치결정돌기(71)가 수평홈(63B)에 위치하여 볼트 관통공(75)과 결합 나사홈(61)이 일치할 때 볼트 관통공(75)을 통하여 결합 나사홈(61)에 체결되어 보호 하우징(70)과 관측기 몸체(60)를 견고하게 결합하기 위한 결합볼트(7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위치결정돌기(71)가 수직홈(63A)을 통하여 수평홈(63B)에 위치하게 되면 볼트 관통공(75)과 결합 나사홈(61)이 일치하게 되므로 결합볼트(78)의 체결작업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위치결정돌기(71)가 수평홈(63B)에 위치하게 되므로, 관측기 몸체(60)와 보호 하우징(70)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부력체(90)는, 보호 하우징(70)에 결합되어 부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넛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부력체(90)의 내경으로 보호 하우징(70)의 하부가 삽입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부력체(90)는, 부력체 고정부재(92)에 의해 보호 하우징(7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부력체 고정부재(92)는, 보호 하우징(70)에 끼움 결합된 부력체(90)를 플랜지의 저면에 밀착시켜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중공형의 원통관 형태로 형성되고, 일단에는 환형의 가압단(94)이 플랜지 구조로 형성된다.
그리고, 보호 하우징(70)의 외주면에는 숫나사부(77)가 형성되고, 부력체 고정부재(92)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96)가 형성된다. 따라서, 보호 하우징(70)에 부력체(90)가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가압단(94)이 플랜지(74)와 마주보도록 부력체 고정부재(92)를 보호 하우징(70)의 숫나사부에 체결하면, 가압단(94)이 부력체(90)를 플랜지(74)에 가압하게 되므로, 부력체(90)가 보호 하우징(7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숫나사부(77)는, 보호 하우징(70)의 외주면 전체에 형성될 수도 있고, 중간 영역부터 플랜지(74)가 형성된 상부 영역까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다양한 두께의 부력체(90)를 적용하여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즉, 부력체(90)의 두께에 따라 부력체 고정부재(92)의 위치가 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부력체 고정부재(92)를 관통하여 고정볼트를 보호 하우징(70)에 체결하여 보호 하우징(70)에 체결되어 결합된 부력체 고정부재(92)가 임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표류 부이(10)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모듈(50)과 배터리(40)가 내장된 관측기 몸체(60)와 캡(20)이 결합됨으로써, 관측기 몸체(60)는 독립적으로 부이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나, 부력을 갖기 위해서는 관측기 몸체(60)에 보호 하우징(70)을 결합한다.
관측기 몸체(60)를 보호 하우징(70)의 몸체 수용부(72)로 삽입하여 결합할 때, 위치결정돌기(71)를 수직홈(63A)에 삽입한 후, 관측기 몸체(60)를 몸체 수용부(72) 내부로 밀어 넣는다. 이 과정으로 위치결정돌기(71)가 수직홈(63A)의 끝부분에 위치하여 더 이상 삽입되지 않으면, 상기 관측기 몸체(60)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켜 위치결정돌기(71)가 수평홈(63B)으로 이동하여 수평홈(63B)의 끝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위치 결정돌기(71)가 수평홈(63B)에 위치할 때, 볼트 관통공(75)과 결합 나사홈(61)이 일치하게 되므로, 볼트 관통공(75)과 결합 나사홈(61)을 일치시키기 위한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된다.
전술한 과정으로 볼트 관통공(75)과 결합 나사홈(61)이 일치하게 되면, 볼트 관통공(75)을 통하여 결합 나사홈(61)에 결합볼트(78)를 체결하여 보호 하우징(70)과 관측기 몸체(60)를 견고하게 결합한다.
이어서, 부력체(90)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으로 보호 하우징(70)의 하부부터 삽입하여 부력체(90)의 상면이 플랜지(74)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하고, 부력체 고정부재(92)의 가압단(94)이 플랜지(74)를 마주보도록 부력체 고정부재(92)를 보호 하우징(70)의 숫나사부(77)에 체결하여 결합한다. 이 과정으로 부력체 고정부재(92)가 조임 동작에 의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74) 쪽으로 이동하여 부력체(90)를 플랜지(74)에 가압하여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전술한 과정으로 완성된 표류 부이(10)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 하우징(70)의 저면에 구비된 연결구(76)에 수중 유동체(80)와 연결된 로프 또는 와이어를 연결하여 연안 또는 외해역에 투하한다.
바다에 투하된 표류 부이(10)는 수중 유동체(80)에 의해 이동하면서 해류의 유속을 측정하게 된다.
한편,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표류 부이(10)는 위치전송이 요구되는 다양한 상황에서 활용할 수 있다. 즉, 관측기 몸체(60)를 보호 하우징(70)에서 분리한 후 대형 부이(100)에 장착하여 대형 부이(100)의 고정점 위치 이탈시 위치전송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관측기 몸체(60)는, 관측기 몸체(60)를 대형 부이(100)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재(68)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장착부재(68)는, 하단 외주면에 환형의 장착단(68A)이 형성된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관측기 몸체(60)를 대형 부이(100)에 장착하는 경우에, 장착부재(68)를 관측기 몸체(60)의 하단에 끼움 결합한 후 다수개의 볼트로 체결하여 결합하고, 장착단(68A)을 대형 부이(100)에 다수개의 볼트들로 체결하여 장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관측기 몸체(60)가 장착부재(68)에 의해 대형 부이(100)에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음으로써, 대형 부이(100)의 고정점 위치 이탈시 위치전송용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부력체 고정부재(92)를 이용하여 부력체(90)가 제거되고 관측기 몸체(60)가 결합된 보호 하우징(70)을 대형 부이(100)에 장착할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단(94)이 플랜지(74)와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부력체 고정부재(92)를 보호 하우징(70)의 하단에 끼움 결합한 후 다수개의 볼트들로 체결하여 고정 결합하고, 가압단(94)을 대형 부이(100)에 밀착시킨 후 다수개의 볼트로 체결하여 결합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측기 몸체(60)는, 클램프(200)에 의해 대형 부이(100)의 기둥에 장착될 수 있다. 즉, 관측기 몸체(60)를 대형 부이(100)의 기둥에 밀착시킨 후 클램프(200)를 이용하여 관측기 몸체(60)를 기둥에 결합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표류 부이(10)는, 소형 경량화하고, 관측기 몸체(60)와 보호 하우징(70)이 분리 구성됨으로써, 관측기 몸체(60)와 보호 하우징(70) 및 부력체(90)가 결합되었을 때에는 해류의 유속을 측정하는 기본 역할을 수행하고, 보호 하우징(70)을 분리하여 관측기 몸체(60)만 대형 부이(100)에 장착할 수 있어서, 대형 부이(100)의 위치 전송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표류 부이 20 : 캡
22 : 투명커버 30 : 설치부재 34 : 지지로드 36 : 설치판
40 : 배터리 50 : 통신모듈
60 : 관측기 몸체 61 : 결합 나사홈
62 : 수용부 63 : 위치결정홈
63A: 수직홈 63B : 수평홈
68 : 장착부재 68A : 장착단
70 : 보호 하우징 71 : 위치결정돌기
72 : 몸체 수용부 74 : 플랜지
75 : 볼트 관통공 76 : 연결구
77 : 숫나사부 78 : 결합볼트
80 : 수중 유동체 90 : 부력체
92 : 부력체 고정부재 94 : 가압단
96 : 암나사부 100 : 대형 부이

Claims (8)

  1. 통신용 안테나(52)가 상면으로 노출된 캡(20)과, 상기 캡(20)의 저면에 다층으로 구비된 설치부재(30)에 각각 설치되는 배터리(40) 및 통신모듈(50)과, 상기 배터리(40) 및 통신모듈(50)이 장착된 설치부재(30)를 수용하기 위한 부품 수용부(62)를 구비하고 상기 캡(20)과 결합되어 상기 부품 수용부(62)를 밀폐하기 위한 관측기 몸체(60);
    상기 관측기 몸체(60)의 일부분을 수용하도록 상향으로 개구된 몸체 수용부(72)를 구비하고, 상단의 가장자리에는 환형의 플랜지(74)가 형성되며, 저면에는 수중 유동체(80)와 연결되기 위한 연결구(76)를 구비하여,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관측기 몸체(60)와 결합되는 보호 하우징(70); 및
    부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보호 하우징(70)에 끼움 결합되는 부력체(9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보호 하우징(70)에는,
    끼움 결합된 상기 부력체(90)를 상기 플랜지(74)에 밀착시켜 고정하기 위한 부력체 고정부재(92)가 환형의 가압단(94)을 구비하여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류 부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20)의 상면에는,
    상기 안테나(52)를 보호하기 위한 돔 형상의 투명커버(22)가 수밀을 유지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류 부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재(30)는,
    상기 캡(20)의 저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지지로드(34); 및
    상기 지지로드(34)에 수직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유지하여 결합되어 상기 배터리(40) 및 통신모듈(50)이 설치되기 위한 설치공간(S)을 다단으로 형성하는 설치판(36)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설치공간(S) 중에서 하부에 위치하는 설치공간(S1)에는 상기 관측기 몸체(60)의 무게 중심이 하부로 위치하도록 상기 배터리(40)가 설치되고, 상부에 위치하는 설치공간(S2)에는 상기 통신모듈(5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류 부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관측기 몸체(6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 나사홈(61);
    상기 관측기 몸체(60)의 외주면에, 하단부에서 상단부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홈(63A)과, 상기 수직홈(63A)의 끝부분에서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홈(63B)으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위치 결정홈(63);
    상기 보호 하우징(70)의 내주면에, 상기 위치 결정홈(63)에 삽입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위치결정돌기(71);
    상기 결합 나사홈(61)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보호 하우징(70)에 관통 형성되는 볼트 관통공(75); 및
    상기 위치결정돌기(71)가 상기 수평홈(63B)에 위치하여 상기 볼트 관통공(75)과 결합 나사홈(61)이 일치할 때 상기 볼트 관통공(75)을 통하여 상기 결합 나사홈(61)에 체결되어 상기 보호 하우징(70)과 관측기 몸체(60)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볼트(7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류 부이.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하우징(70)의 외주면에는 숫나사부(77)가 형성되고, 상기 부력체 고정부재(92)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96)가 형성되어 상기 가압단(94)이 상기 부력체(90)를 상기 플랜지(74)에 가압하도록 상기 보호 하우징(70)에 체결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류 부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측기 몸체(60)는,
    상기 관측기 몸체(60)를 대형 부이(100)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재(68)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장착부재(68)는, 하단 외주면에 환형의 장착단(68A)이 형성된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관측기 몸체(60)를 상기 대형 부이(100)에 장착하는 경우에, 상기 장착부재(68)를 상기 관측기 몸체(60)의 하단에 결합한 후, 상기 장착단(68A)을 상기 대형 부이(100)에 볼트들로 장착하여 고정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류 부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측기 몸체(60)는,
    클램프(200)에 의해 대형 부이(100)의 기둥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류 부이.

KR1020150094184A 2015-07-01 2015-07-01 표류 부이 KR101559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4184A KR101559491B1 (ko) 2015-07-01 2015-07-01 표류 부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4184A KR101559491B1 (ko) 2015-07-01 2015-07-01 표류 부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9491B1 true KR101559491B1 (ko) 2015-10-19

Family

ID=54399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4184A KR101559491B1 (ko) 2015-07-01 2015-07-01 표류 부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9491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1219A (ko) * 2016-01-11 2016-01-29 유지씨 주식회사 소화기가 탑재된 인명구조용 케이스
KR101675431B1 (ko) 2016-04-07 2016-11-1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관측 수심 조절이 가능한 해류 관측용 표류 부이
KR101682535B1 (ko) 2016-06-02 2016-12-05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표층수 흐름을 관측하는 표류 부이
KR101763388B1 (ko) 2016-09-01 2017-07-31 (주)신동디지텍 해양 부이용 관측장비 보호장치
CN109449562A (zh) * 2018-09-13 2019-03-08 中国海洋大学 一种带有测量海水流速功能的天线结构
CN110307825A (zh) * 2019-08-06 2019-10-08 李立学 一种架空输电线路弧垂在线监测系统
KR102051547B1 (ko) * 2019-08-30 2020-01-08 주식회사 코바코 Iot 기반 스마트 부표
KR102178182B1 (ko) * 2019-11-06 2020-11-12 박지현 기능성 부착물의 탈착이 용이한 부표
KR102233817B1 (ko) * 2020-12-18 2021-03-2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플랫폼형 라그랑주 자료수집 부자
KR20220040176A (ko) 2020-09-23 2022-03-30 (주)대한엔지니어링 파고부이 자료처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5931B1 (ko) * 2010-11-04 2011-03-3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양 관측용 표류부이
KR101025872B1 (ko) * 2008-08-26 2011-03-30 한국해양연구원 파랑 관측이 가능한 부이에서의 해수 연직구조 관측장치
KR101087221B1 (ko) * 2009-02-20 2011-11-29 오션테크 주식회사 해양 관측용 부이
KR101109411B1 (ko) 2010-12-22 2012-02-22 대한민국 전개판식 측류부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5872B1 (ko) * 2008-08-26 2011-03-30 한국해양연구원 파랑 관측이 가능한 부이에서의 해수 연직구조 관측장치
KR101087221B1 (ko) * 2009-02-20 2011-11-29 오션테크 주식회사 해양 관측용 부이
KR101025931B1 (ko) * 2010-11-04 2011-03-3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양 관측용 표류부이
KR101109411B1 (ko) 2010-12-22 2012-02-22 대한민국 전개판식 측류부이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1219A (ko) * 2016-01-11 2016-01-29 유지씨 주식회사 소화기가 탑재된 인명구조용 케이스
KR101645302B1 (ko) * 2016-01-11 2016-08-03 유지씨 주식회사 소화기가 탑재된 인명구조용 케이스
KR101675431B1 (ko) 2016-04-07 2016-11-1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관측 수심 조절이 가능한 해류 관측용 표류 부이
KR101682535B1 (ko) 2016-06-02 2016-12-05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표층수 흐름을 관측하는 표류 부이
KR101763388B1 (ko) 2016-09-01 2017-07-31 (주)신동디지텍 해양 부이용 관측장비 보호장치
CN109449562A (zh) * 2018-09-13 2019-03-08 中国海洋大学 一种带有测量海水流速功能的天线结构
CN110307825A (zh) * 2019-08-06 2019-10-08 李立学 一种架空输电线路弧垂在线监测系统
KR102051547B1 (ko) * 2019-08-30 2020-01-08 주식회사 코바코 Iot 기반 스마트 부표
KR102178182B1 (ko) * 2019-11-06 2020-11-12 박지현 기능성 부착물의 탈착이 용이한 부표
KR20220040176A (ko) 2020-09-23 2022-03-30 (주)대한엔지니어링 파고부이 자료처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233817B1 (ko) * 2020-12-18 2021-03-2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플랫폼형 라그랑주 자료수집 부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9491B1 (ko) 표류 부이
AU2012296711B2 (en) Communication buoy and method of deployment
RU2119874C1 (ru) Судовая система для загрузки или выгрузки текучей среды на судно
KR102051547B1 (ko) Iot 기반 스마트 부표
KR102178182B1 (ko) 기능성 부착물의 탈착이 용이한 부표
CN109878660A (zh) 一种沉水自动浮离定位装置
CN113022827A (zh) 一种100米级arv水下机器人结构
KR200471996Y1 (ko) 해수욕장 안전관리용 해상부이
CN110494354B (zh) 自动脱离式危险标识浮标
CN110920809A (zh) 一种深海水下平台中继通讯浮标装置
CN109747800A (zh) 一种欠驱动微型auv
CN112373670A (zh) 用于浮空器海上回收的吊舱
CN111483561B (zh) 一种模块化可分离式供热船
US7435148B2 (en) Hydrostatic EPIRB release
US7054230B1 (en) Locator device for submerged structures
RU2381530C1 (ru) Морская автономная донная станция для выполнения геофизических и геологоразведочных работ
CN212373626U (zh) 一种海洋设备用防丢失装置
CN107300695B (zh) 一种多波束声纳搭载装置
US4961714A (en) Mounting arrangement for a marine radio distress beacon
AU2019397603A1 (en) Buoyant camera device and method
KR20110122929A (ko) 나 여기
KR102377552B1 (ko) Gps기반 해상 위치추적장치
CN221151461U (zh) 一种自沉式水下相机
KR102537636B1 (ko) 수색이 용이한 조난자 위치 알림장치
RU2694172C1 (ru) Оптический блок буксируемого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картографирования объектов морского дна и их визуальной заверк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