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9371B1 - 균일 미세분말 연속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균일 미세분말 연속 공급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59371B1 KR101559371B1 KR1020140063327A KR20140063327A KR101559371B1 KR 101559371 B1 KR101559371 B1 KR 101559371B1 KR 1020140063327 A KR1020140063327 A KR 1020140063327A KR 20140063327 A KR20140063327 A KR 20140063327A KR 101559371 B1 KR101559371 B1 KR 10155937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der
- space
- container
- scattering
- storage spa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1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designed for spraying particulate materials
- B05B7/1404—Arrangements for supplying particulate material
- B05B7/1413—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by hand; Apparatus comprising a container fixed to the discharge device
- B05B7/1422—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by hand; Apparatus comprising a container fixed to the discharge device the means for supplying particulate material comprising moving mechanical means, e.g. to impart vib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02—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spraying
- B05D1/12—Applying particulate materials
-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4/00—Coating by spra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e.g. by flame, plasma or electric discharge
- C23C4/12—Coating by spra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e.g. by flame, plasma or electric discharge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praying
- C23C4/123—Spraying molten met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균일 미세분말 연속 공급장치는, 내부에 공간을 구비하여 분말을 수용하는 용기와, 상기 용기 내부의 공간을 분말이 저장되는 저장공간과 비산(飛散)되는 비산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판과, 상기 용기 내부에서 분말을 지지하며, 동력발생수단으로부터 제공받은 힘으로 저장공간의 분말을 비산공간으로 공급하는 공급판과, 상기 용기 외부에서 제공받은 기체를 비산공간으로 안내하고, 상기 비산공간으로 유입된 기체를 공급판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분사시키는 기체안내관과, 상기 용기 일측에 위치하여 용기에 진동을 제공하는 진동발생수단과, 상기 용기 내부에서 비산된 분말을 용기 외부로 배출하는 분말배출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구획판의 일측에는, 상기 비산공간과 저장공간을 연통시켜 비산공간 내부에 비산된 분말 일부가 저장공간으로 이송하도록 안내하는 연통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균일 미세분말 연속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용기의 내부 공간을 저장공간과 비산공간으로 구획하되, 저장공간에 저장되어 있던 분말을 비산공간에 공급 후 수직 방향의 기체를 공급하여 분말을 비산(飛散)시키고, 비산된 분말을 저장공간 상부로 다시 이송하여 분말의 균일하고 정량적인 공급이 가능하도록 한 균일 미세분말 연속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비산공간에 공급되는 분말의 양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균일한 분말을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균일 미세분말 연속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비산공간과 저장공간의 용적비 조절이 가능하고, 비산공간 내부로 공급되는 분말의 양을 제어할 수 있도록 설계하여 품질 및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균일 미세분말 연속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진동발생수단을 구비하여 비산공간 내부의 분말 공급량을 보다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균일 미세분말 연속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기가 수십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미세한 분말들은 정전기적 인력으로 인하여 서로 붙어서 더 큰 크기의 응집체 덩어리를 형성한다.
따라서 용사 및 에어로졸 진공 증착에 사용되는 분말의 경우 통상적인 방법은 정량적인 공급이 가능하게 미세 분말을 과립화시켜 원형형태로 만들어 유동성을 증진시키고 이를 미세 관이나 홀을 통해 공급해주는 방법의 분말 공급 장치가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은 과립형 분말과 미립형 분말의 SEM 사진으로서, 응집된 과립형 분말은 내부에 다수의 1차 입자들이 약하게 결합된 상태로 이루어지는데, 이들 과립형 분말은 응집력에 의해 점차 크기가 커져 분말의 유동성을 악화시키게 되므로 통상의 방법으로는 분말을 연속적으로 일정하게 이송시키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용사 및 에어로졸 진공 증착에 사용되는 분말의 경우 대부분 분말의 형태를 원형으로 만들어 분말의 유동성을 높여 사용하고 있으며, 과립화 공정의 추가로 인해 분말 가격이 높아지고 아울러 분말의 크기가 커져 코팅층의 특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어 이의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히 에어로졸 데포지션 코팅법과 같이 미세한 분말을 사용하여야 하는 우수한 코팅층을 만들 수 있는 경우에는 미립 분말 공급의 정량적 조절이 매우 중요하며 분말의 균일한 공급 및 유동 상태에 따라 코팅층의 특성이 크게 좌우되며 아울러 코팅의 속도, 코팅의 균일도도 차이가 발생되어 이를 제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2001-0052900호에는 도 2와 같이 초음파 진동을 이용하여 분말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대용량의 분말을 공급하는데 한계가 있고, 정량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30241호에는 도 3과 같이 챔버내부에 수송기체를 분사하여 분말을 비산시키고, 비산된 분말을 수송관을 통해 토출시킬 수 있도록 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 역시 분말을 정량적으로 공급하는데에는 어려움이 있으며, 공급되는 분말은 균일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용기의 내부 공간을 저장공간과 비산공간으로 구획하되, 저장공간에 저장되어 있던 분말을 비산공간에 공급 후 수직 방향의 기체를 공급하여 분말을 비산(飛散)시키고, 비산된 분말을 저장공간 상부로 다시 이송하여 분말의 균일하고 정량적인 공급이 가능하도록 한 균일 미세분말 연속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산공간에 공급되는 분말의 양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균일한 분말을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균일 미세분말 연속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산공간과 저장공간의 용적비 조절이 가능하고, 비산공간 내부로 공급되는 분말의 양을 제어할 수 있도록 설계하여 품질 및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균일 미세분말 연속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진동발생수단을 구비하여 비산공간 내부의 분말 공급량을 보다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균일 미세분말 연속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균일 미세분말 연속 공급장치는, 내부에 공간을 구비하여 분말을 수용하는 용기와, 상기 용기 내부의 공간을 분말이 저장되는 저장공간과 비산(飛散)되는 비산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판과, 상기 용기 내부에서 분말을 지지하며, 동력발생수단으로부터 제공받은 힘으로 저장공간의 분말을 비산공간으로 공급하는 공급판과, 상기 용기 외부에서 제공받은 기체를 비산공간으로 안내하고, 상기 비산공간으로 유입된 기체를 공급판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분사시키는 기체안내관과, 상기 용기 일측에 위치하여 용기에 진동을 제공하는 진동발생수단과, 상기 용기 내부에서 비산된 분말을 용기 외부로 배출하는 분말배출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구획판의 일측에는, 상기 비산공간과 저장공간을 연통시켜 비산공간 내부에 비산된 분말 일부가 저장공간으로 이송하도록 안내하는 연통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통부는, 상기 저장공간으로 이송하는 분말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개구율의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급판의 상면에는, 상기 저장공간에서 수용된 분말이 공급판 회전시에 비산공간으로 이송되게 하는 요철이 방사상으로 다수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급판의 상면은 구획판의 하단과 이격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획판은 저장공간과 비산공간의 용적비를 조절 가능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용기의 내부 공간을 저장공간과 비산공간으로 구획하되, 저장공간에 저장되어 있던 분말을 비산공간에 공급시 비산공간 내부에만 수직 방향의 기체를 공급하여 분말을 비산(飛散)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비산공간에서 비산된 분말 중에서 상대적으로 가볍고 미세한 분말을 저장공간 상부로 다시 이송시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분말의 정량적인 공급이 가능하며, 연속적인 에어로졸 생성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비산공간과 저장공간의 용적비 조절이 가능하고, 비산공간 내부로 공급되는 분말의 양을 제어할 수 있으며, 진동발생수단을 구비하였다.
따라서, 비산공간 내부의 분말 공급량을 보다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되므로 에어로졸의 품질과 생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과립형 분말과 미립형 분말의 SEM 사진.
도 2 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2001-0052900호에 개시된 장치구성도.
도 3 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30241호에 게시된 장치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균일 미세분말 연속 공급장치의 외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균일 미세분말 연속 공급장치에서 커버를 제거하여 내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균일 미세분말 연속 공급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균일 미세분말 연속 공급장치에서 요부 구성인 연통부의 작용을 보이기 위한 상태도.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균일 미세분말 연속 공급장치에서 커버 내부 구조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에 의한 균일 미세분말 연속 공급장치 동작시 커버 내부 상태를 나타낸 도 6의 Ⅰ-Ⅰ'부 횡단면도.
도 10 은 본 발명에 의한 균일 미세분말 연속 공급장치에서 용기 내부에 기체를 공급하지 않고 공급판만 회전시 분말의 이동상태를 나타낸 도 6의 Ⅰ-Ⅰ'부 횡단면도.
도 2 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2001-0052900호에 개시된 장치구성도.
도 3 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30241호에 게시된 장치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균일 미세분말 연속 공급장치의 외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균일 미세분말 연속 공급장치에서 커버를 제거하여 내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균일 미세분말 연속 공급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균일 미세분말 연속 공급장치에서 요부 구성인 연통부의 작용을 보이기 위한 상태도.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균일 미세분말 연속 공급장치에서 커버 내부 구조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에 의한 균일 미세분말 연속 공급장치 동작시 커버 내부 상태를 나타낸 도 6의 Ⅰ-Ⅰ'부 횡단면도.
도 10 은 본 발명에 의한 균일 미세분말 연속 공급장치에서 용기 내부에 기체를 공급하지 않고 공급판만 회전시 분말의 이동상태를 나타낸 도 6의 Ⅰ-Ⅰ'부 횡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균일 미세분말 연속 공급장치(이하 '공급장치(100)'이라 칭함)의 외관 구성을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균일 미세분말 연속 공급장치(100)의 외관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급장치(100)는 다량의 분말을 저장하고, 동작시 저장된 분말을 비산(飛散)시켜 에어로졸을 만든 후 외부(에어로졸의 공급대상 장치)로 안내하는 장치이다.
상기 공급장치(100)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분말이 저장되는 용기(110)가 구비되며, 상기 용기(110)의 측면은 커버(111)에 의해 내부가 차폐된 상태이다.
상기 용기(110)의 상측에는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동력발생수단(120)이 구비된다.
상기 동력발생수단(120)은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회전동력을 발생하며, 상기 동력발생수단(120)이 발생한 회전동력은 용기(110) 내부로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동력발생수단(120)은 회전동력의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기어나, 회전속도 조절을 위한 변속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용기(110)의 상면에는 용기(110)의 내부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도록 투입구(112)가 구비되며, 상기 투입구(112)를 통해 용기(110) 내부로 분말의 공급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분말은 크기와 형태에 제한을 두지 않으며, 풍력에 의해 비산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분말이든 적용 가능하다.
상기 용기(110)의 상면 전반부에는 기체안내관(113)이 구비된다. 상기 기체안내관(113)은 용기(110) 외부에 구비된 기체공급수단(도시되지 않음)과 연통되게 연결되어 기체공급수단에서 공급하는 기체를 용기(110) 내부로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기체안내관(113)의 후측에는 분말배출관(114)이 구비된다. 상기 분말배출관(114)은 용기(110) 내부에 기체가 공급됨에 따라 비산되어 에어로졸 상태가 된 분말을 용기(110) 외부로 안내하기 위한 구성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분말배출관(114)은 용기(110) 내부에서 비산된 분말 중 일부(상대적으로 미세한 분말)를 용기(110)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용기(110)의 하측에는 진동발생수단(130)이 구비된다. 상기 진동발생수단(130)은 진동을 발생하여 상기 용기(110)에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전자석 발진기를 채택하여 수십 내지 수백㎐의 진동주파수 범위 내에서 조정 가능하게 구성하였다.
이하 첨부된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공급장치(100)의 세부 구성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균일 미세분말 연속 공급장치(100)에서 커버(111)를 제거하여 내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균일 미세분말 연속 공급장치(100)의 내부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균일 미세분말 연속 공급장치에서 요부 구성인 연통부의 작용을 보이기 위한 상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균일 미세분말 연속 공급장치(100)에서 커버(111) 내부 구조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5는 용기(110) 내부의 세부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커버(111)를 제거한 상태이다.
도면과 같이 상기 용기(110)의 내부에는 분말이 저장되는 저장공간(115)과, 저장공간(115)에 저장되어 있던 분말(도 6의 도면부호 P)을 연속적으로 수용하여 비산시키기 위한 비산공간(116)이 구획되어 있다.
즉, 상기 용기(110) 내부에는 대략 "V"형태의 횡단면을 가지는 구획판(140)이 직립되게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획판(140)은 상단부가 용기(110)의 내부 천장과 결합되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으며, 수직 하방향으로 길게 뻗어 하단부가 용기(110)의 내부 바닥과 인접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구획판(140)은 용기(110) 내부의 공간을 비산공간(116)과 저장공간(115)으로 구획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획판(140)은 벌어진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것은 비산공간(116)과 저장공간(115)의 용적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구획판(140)의 각도를 증가시키게 되면 비산공간(116)의 용적이 늘어나게 되고, 저장공간(115)의 용적은 상대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비산공간(116)은 저장공간(115)의 용적에 대하여 1/12 ~ 1/6 범위의 용적으로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그리고, 상기 구획판(140)으로 제한된 공간인 비산공간(116) 내부에는 전술한 기체안내관(113)의 단부가 연통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기체안내관(113)은 용기(110)의 상면을 관통하여 용기(110) 내부로 연장되되, 하단부는 바닥면에 근접하며, 하측 방향으로는 다수의 통공이 구비되어 기체안내관(113)을 통해 하측 방향으로 이송된 기체를 용기(110)의 바닥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분사되게 안내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기체안내관(113)은 하측부를 절곡하여 대략 'ㄴ' 형상을 가지며, 가로로 절곡된 부분의 하면에는 다수의 통공을 천공함으로써 상기 기체안내관(113)을 따라 이송된 기체가 다수 갈래로 나뉘어 하측 방향으로 분사될 수 있게 구성하였다.
따라서, 상기 비산공간(116) 내부 바닥에 존재하는 분말(P)은 통공을 통해 분사되는 기체에 의해 균일하게 비산될 수 있다.
상기 용기(110)의 내부 바닥에는 공급판(150)이 구비된다. 상기 공급판(150)은 원판형상을 갖는 것으로, 상기 동력발생수단(120)으로부터 회전동력을 제공받아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급판(150)은 저장공간(115)에 저장된 분말(P)을 상향 지지하는 역할과, 저장공간(115)의 분말(P)을 일정량만큼 비산공간(116)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즉, 상기 공급판(150)은 용기(110) 내부에서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여 분말(P)을 지지하며, 상기 동력발생수단(120)의 동작에 의해 회전시에 상면이 저장공간(115)과 비산공간(116)을 교번 순회하여 비산공간(116) 내부로 분말(P)을 공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공급판(150)의 상면에는 요철(152)이 다수 구비된다. 상기 요철(152)은 공급판(150)의 상면을 하측 방향으로 함몰시켜 단차를 갖도록 구성됨으로써 내부에 분말(P)의 수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요철(152) 내부에 수용된 분말(P)은 공급판(150)이 시계방향(도 5에서 볼 때)으로 회전시에 비산공간(116) 내부로 공급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요철(152)은 공급판(150)의 상면에 다수개로 함몰 형성하되, 방사상으로 등간격 배열되게 구성하였다.
그러나, 상기 비산공간(116)으로 공급되어야 할 분말(P)의 양이나 분말(P)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실시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요철(152)은 공급판(150)의 상면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며, 도 5와 같은 곡선으로 형성하지 않고 다수의 점(원기둥) 형태로 함몰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공급판(150)의 중앙은 동력발생수단(120)으로부터 회전동력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회전축(도 6의 도면부호 122)과 결합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122)은 공급판(150)의 회전중심축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공급판(150)의 중앙에서 상방향으로 직립되게 축결합되며, 상부는 동력발생수단(120)과 회전동력 전달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구획판(140)의 하단부에는 블레이드(14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142)는 구획판(140)의 횡단면과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어 구획판(140)의 하단부에 결합된 것으로, 상기 블레이드(142)의 하단부는 도 6과 같이 공급판(150)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될 수도 있으며, 공급판(150)의 상면과 접촉하도록 길이가 연장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블레이드(142)의 하단부가 도 6과 같이 공급판(150)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구성되면, 상기 공급판(150)은 요철(152)에 수용된 분말(P)과 블레이드(142)의 하단부에서 공급판(150) 상면까지 쌓여 있는 분말(P)을 비산공간(116)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반면, 상기 블레이드(142)의 하단부가 공급판(150)의 상면과 접촉하는 상태로 구성되면, 상기 공급판(150)은 요철(152)에 수용된 분말(P)만을 비산공간(116)에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공급판(150)과 블레이드(142)의 이격 거리에 따라 비산공간(116)으로 공급되는 분말(P)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획판(140)의 상단부에는 연통부(144)가 구비된다. 상기 연통부(144)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으로서, 상기 비산공간(116) 내부에 비산되어 있는 분말 중 일부를 다시 저장공간(115)으로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연통부(144)는 구획판(140) 내부에서 비산된 분말이 저장공간(115)으로 다시 빠져나올 수 있는 범위 내라면 형성 위치, 크기 등을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 가능할 것이다.
즉, 도 7과 같이 상기 연통부(144)는 비산공간(116)과 저장공간(115)이 서로 연통되도록 구획판(140) 상부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비산공간(116)에서 비산된 분말 중에서 상대적으로 크고 무거운 분말들은 급격하게 낙하하는 반면, 작고 가벼운 분말들은 비산공간(116)의 상부까지 떠오른 후 연통부(144)를 통해 저장공간(115) 내부로 이송하게 된다.
상기 연통부(144)를 구비함에 따라 상기 분말배출관(114)을 통해 용기(110) 밖으로 배출되는 분말은 보다 미세하고 균일한 입도를 가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연통부(144)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블레이드(142)와 공급판(150) 사이의 미세한 틈이 연통부(144)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비산공간(116) 내부는 기체안내관(113)의 작용에 의해 분말들이 비산되어 있는 상태이나 빠른 속도로 분사되는 캐리어가스로 인해 와류 등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분말이 고르게 분산된 상태만 유지하기는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비산공간(116) 내부에서 비산되긴 하였으나 불균일한 에어로졸은 블레이드(142)와 공급판(150) 사이의 틈을 통해 저장공간(115)으로 빠져나갈 수 있고, 저장공간(115)으로 빠져나온 에어로졸은 보다 균일한 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통부(144)는 비산공간(116) 내부에서 비산된 분말이 저장공간(115)으로 이송될 수 있는 범위 내라면 다양한 크기, 개수, 위치를 변경하여 실시 가능하며, 저장공간(115)으로 이송하고자 하는 에어로졸의 입자 크기를 고려하여 구획판(140)의 상/하부 또는 중앙에도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첨부된 도 5 내지 도 10를 참조하여 사이와 같이 구성되는 공급장치(100)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균일 미세분말 연속 공급장치(100)에서 커버(111) 내부 구조를 나타낸 횡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균일 미세분말 연속 공급장치(100) 동작시 커버(111) 내부 상태를 나타낸 도 6의 Ⅰ-Ⅰ'부 횡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균일 미세분말 연속 공급장치(100)에서 용기(110) 내부에 기체를 공급하지 않고 공급판(150)만 회전시 분말(P)의 이동상태를 나타낸 도 6의 Ⅰ-Ⅰ'부 횡단면도이다.
먼저, 도 5와 같은 상태(도 5에서 커버(111)는 설치되어야 함)에서 투입구(112)를 열어 저장공간(115) 내부에 분말(P)을 투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투입구(112)는 저장공간(115)의 상측에 위치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용기(110) 내부에 분말(P)이 투입되기 전은 도 8과 같은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기체안내관(113)은 기체공급수단(도시되지 않음)과 연통되게 연결되어 기체(아르곤, 질소, 건조된 공기 등)의 수급이 가능한 상태이며, 상기 분말배출관(114)은 에어로졸 공급 대상 장치의 진공 펌프나 진공 밸브 등과 연통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준비가 완료되면 상기 진동발생수단(130)을 동작시켜 상기 용기(110) 내부의 분말(P)에 진동을 제공함으로써 요철(152) 내부에 분말(P)이 효율적으로 수용될 수 있게 한다.
만일 상기와 같이 준비된 후 기체안내관(113)이 동작하지 않는 상태(기체가 비산공간(116) 내부에 공급되지 않는 상태)로 공급판(150)이 회전하고, 상기 블레이드(142)의 단부와 공급판(150)의 상면이 맞닿도록 조절된 상태라면, 도 10과 같이 저장공간(115) 내부에 위치한 요철(152) 안에만 분말(P)이 존재하는 상태가 될 것이다.
그리고, 도 10과 같은 상태에서 기체안내관(113)을 통해 비산공간(116) 내부로 기체가 유입되어 공급판(150)의 상면으로 수직하게 분사되면, 요철(152)에 수용되어 있던 분말(P)은 비산되어 도 9와 같은 상태가 된다.
즉, 상기 저장공간(115) 내부에는 많은 분말(P)이 저장되어 있고, 공급판(150)의 시계방향 회전에 의해 비산공간(116) 내부로 분말(P)이 공급되면, 공급과 동시에 기체에 의해 분말은 비산공간(116) 내부에서 비산된다.
이때 상기 요철(152)의 형상, 공급판(150)의 회전속도 등을 조절하면 상기 저장공간(115) 내부로 공급되는 분말(P)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비산공간(116) 내부에서 비산된 분말 중 일부는 연통부(144)를 통해 저장공간(115)으로 다시 유입되며, 저장공간(115)으로 유입된 작고 가벼우며 균일한 분말들은 분말배출관(114)을 통해 에어로졸 공급 대상 장치로 이송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연통부(144)를 절제하여 형성하였으나, 비산된 분말 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범위 내라면 메쉬(mesh)를 추가로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획판(140)의 하단에 블레이드(142)를 구비하였으나, 구획판(14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구획판(140)이 블레이드(142)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100. 균일 미세분말 연속 공급장치 110. 용기
111. 커버 112. 투입구
113. 기체안내관 114. 분말배출관
115. 저장공간 116. 비산공간
120. 동력발생수단 122. 회전축
130. 진동발생수단 140. 구획판
142. 블레이드 144. 연통부
150. 공급판 152. 요철
P . 분말
111. 커버 112. 투입구
113. 기체안내관 114. 분말배출관
115. 저장공간 116. 비산공간
120. 동력발생수단 122. 회전축
130. 진동발생수단 140. 구획판
142. 블레이드 144. 연통부
150. 공급판 152. 요철
P . 분말
Claims (5)
- 내부에 공간을 구비하여 분말을 수용하는 용기와,
상기 용기 내부의 공간을 분말이 저장되는 저장공간과 비산(飛散)되는 비산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판과,
상기 구획판의 일측에서 상기 비산공간과 저장공간을 연통시켜 비산공간 내부에 비산된 분말 일부가 저장공간으로 이송하도록 안내하는 연통부와,
상기 용기 내부에서 분말을 지지하며, 동력발생수단으로부터 제공받은 힘으로 저장공간의 분말을 비산공간으로 공급하는 공급판과,
상기 용기 외부에서 제공받은 기체를 비산공간으로 안내하고, 상기 비산공간으로 유입된 기체를 공급판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분사시키는 기체안내관과,
상기 용기 일측에 위치하여 용기에 진동을 제공하는 진동발생수단과,
상기 비산공간에서 비산된 후 연통부를 통해 저장공간으로 이송된 분말을 용기 외부로 배출하는 분말배출관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균일 미세분말 연속 공급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부는,
상기 저장공간으로 이송하는 분말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개구율의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일 미세분말 연속 공급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판의 상면에는,
상기 저장공간에서 수용된 분말이 공급판 회전시에 비산공간으로 이송되게 하는 요철이 방사상으로 다수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균일 미세분말 연속 공급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판의 상면은 구획판의 하단과 이격됨을 특징으로 하는 균일 미세분말 연속 공급장치.
-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은 저장공간과 비산공간의 용적비를 조절 가능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균일 미세분말 연속 공급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63327A KR101559371B1 (ko) | 2014-05-26 | 2014-05-26 | 균일 미세분말 연속 공급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63327A KR101559371B1 (ko) | 2014-05-26 | 2014-05-26 | 균일 미세분말 연속 공급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59371B1 true KR101559371B1 (ko) | 2015-10-12 |
Family
ID=54347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63327A KR101559371B1 (ko) | 2014-05-26 | 2014-05-26 | 균일 미세분말 연속 공급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59371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94810A (ko) * | 2018-02-06 | 2019-08-14 | 이철용 | 강제비산유닛이 구비된 미세분말 연속 공급장치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82607B1 (ko) | 2011-09-27 | 2013-07-12 | 한국기계연구원 | 분말 연속공급장치 |
-
2014
- 2014-05-26 KR KR1020140063327A patent/KR10155937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82607B1 (ko) | 2011-09-27 | 2013-07-12 | 한국기계연구원 | 분말 연속공급장치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94810A (ko) * | 2018-02-06 | 2019-08-14 | 이철용 | 강제비산유닛이 구비된 미세분말 연속 공급장치 |
KR102049478B1 (ko) * | 2018-02-06 | 2019-11-28 | 이철용 | 강제비산유닛이 구비된 미세분말 연속 공급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456802B2 (en) | Atomizing apparatus | |
JP6356741B2 (ja) | 粉体再循環式付加製造装置及び方法 | |
JP5502193B2 (ja) | 紙巻きたばこ製造機に供給するための刻みたばこを分配する方法及び装置 | |
JPWO2016135975A1 (ja) | 粉末リコータ | |
KR101576653B1 (ko) | 진동이나 충격을 이용한 과립 또는 미세분말의 정량공급장치 | |
KR101578553B1 (ko) | 미세분말 공급장치 | |
CN201737998U (zh) | 一种多粉道送粉器 | |
EP3760020B1 (en) | Apparatus for treating agricultural matter | |
WO2016043269A1 (ja) | 粉体供給器、成膜装置、及び、成膜方法 | |
KR101601689B1 (ko) | 과립 또는 미세분말의 정량공급장치 | |
KR101559371B1 (ko) | 균일 미세분말 연속 공급장치 | |
KR101805375B1 (ko) | 입자 충전 장치 | |
KR101561458B1 (ko) | 균일 미세분말 연속 공급장치 | |
KR102049478B1 (ko) | 강제비산유닛이 구비된 미세분말 연속 공급장치 | |
KR101590002B1 (ko) | 응집방지유닛이 구비된 균일 미세분말 연속 공급장치 | |
JP2013177224A (ja) | 粉体供給装置 | |
KR101854900B1 (ko) | 원료 공급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박막 증착 시스템 | |
JP7329539B2 (ja) | ねじ式分配装置を使用して可動面へ粉末を分配する装置を備える付加製造機 | |
JP4866331B2 (ja) | 複合粒子製造装置 | |
KR20200053853A (ko) | 호퍼 및 이를 포함하는 분체이송설비 | |
KR101589999B1 (ko) | 균일 미세분말 연속 공급장치 | |
JP6688710B2 (ja) | 粉粒体散布装置及び粉粒体の散布方法 | |
JP2008126202A (ja) | 粉体塗料回収処理装置 | |
KR101481047B1 (ko) | 연마재 공급장치 | |
KR101481046B1 (ko) | 연마재 공급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2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