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9319B1 - 개선된 접지력을 제공하는 복합방적 스트링 및 이의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개선된 접지력을 제공하는 복합방적 스트링 및 이의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9319B1
KR101559319B1 KR1020140015848A KR20140015848A KR101559319B1 KR 101559319 B1 KR101559319 B1 KR 101559319B1 KR 1020140015848 A KR1020140015848 A KR 1020140015848A KR 20140015848 A KR20140015848 A KR 20140015848A KR 101559319 B1 KR101559319 B1 KR 101559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examination
composite
bending
st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5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4929A (ko
Inventor
심윤희
Original Assignee
심윤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윤희 filed Critical 심윤희
Priority to KR1020140015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9319B1/ko
Publication of KR20150094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4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9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9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DTRIMMINGS; RIBBONS, TAPES OR BA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D1/00Ropes or like decorative or ornamental elongated trimmings made from filamentary material
    • D04D1/02Ropes or like decorative or ornamental elongated trimmings made from filamentary material by twisting strands around centrally arranged co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CBRAIDING OR MANUFACTURE OF LACE, INCLUDING BOBBIN-NET OR CARBONISED LACE; BRAIDING MACHINES; BRAID; LACE
    • D04C1/00Braid or lace, e.g. pillow-lace;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CBRAIDING OR MANUFACTURE OF LACE, INCLUDING BOBBIN-NET OR CARBONISED LACE; BRAIDING MACHINES; BRAID; LACE
    • D04C3/00Braiding or lacing machines
    • D04C3/02Braiding or lacing machines with spool carriers guided by track plates or by bobbin heads exclusively
    • D04C3/12Braiding or lacing machines with spool carriers guided by track plates or by bobbin heads exclusively with means for introducing core thr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표면에 입체적인 굴곡이 형성되어 잡아당기는 손가락과의 사이에 접촉 공간이 증가됨으로써 개선된 접지력을 제공하는 복합방적 스트링 및 이의 제작방법이 개시된다. 이를 위하여 신장 가능하도록 형성된 심사와, 상기 심사의 외주연에 나선형으로 감겨지는 제 1 외피사, 및 복수개의 제 2 외피사가 상호 얽혀 결합된 상태로 상기 외피사와 함께 심사의 외주연에 나선형으로 감겨져 상기 심사의 외피를 형성하는 굴곡사를 포함하는 개선된 접지력을 제공하는 복합방적 스트링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방적 스트링은 표면에 형성된 굴곡에 의해 미감이 향상되며, 손가락에 대한 접촉면적이 증가되어 사용성이 개선된다.

Description

개선된 접지력을 제공하는 복합방적 스트링 및 이의 제작방법{COMPOSITE YARN IMPROVED MOVING WITHOUT SLIPP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개선된 접지력을 제공하는 복합방적 스트링 및 이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표면에 입체적인 굴곡이 형성되어 잡아당기는 손가락과의 사이에 접촉 공간이 증가됨으로써 개선된 접지력을 제공하는 복합방적 스트링 및 이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신발, 의류, 장식구 등 실생활에 사용되는 많은 물품들은 다양한 소재로 만들어지는데, 예를 들어, 천연섬유, 가죽 등과 같은 천연소재, 합성섬유, 합성수지 등의 인조소재, 이들의 복합소재 등이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또한, 이들 소재들을 다양한 형태의 구조로 변화시켜 상기 물품들을 제조하고 있는데, 그 중의 하나는 끈(string)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끈은 그 자체로서 다양한 용도를 가질 뿐만 아니라, 두 가닥 이상의 끈을 서로 꼬아서 또 다른 형태와 모양을 갖는 다양한 복합방적사으로 만들거나, 끈을 다른 선상 소재와 다양한 형태로 엮어서 밴드의 형태를 만들거나, 또는 이들을 직포 형태로 짜서 천과 같은 형태로 만들 수도 있다
특히, 최근에는 다양한 색상과 심미감을 나타낼 수 있으면서도 가격이 저렴한 인조소재로 된 끈이 많이 활용되고 있는바, 이러한 끈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커버링사를 권취하기 용이하게 원형 단면을 갖도록 성형된 심사(10) 외주면에 다양한 색상과 질감을 갖는 날개사(12)를 연속적으로 권취하여 구성되고, 상기 심사(10)는 일반적으로 인장강도가 0.941~0.965g/cm2의 밀도를 갖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끈의 경우, 심사(10)의 형태가 원형으로 되어있어 복수 개를 꼬아 복합방적사을 만들거나 이 같이 엮어진 복합방적사 등으로 다양한 형태의 제품을 가공하고자 할 때 끈의 단면이 원형을 가짐으로 접촉된 굴곡면이 매끄럽지 못하여 벌어지고 특히 피부에 접촉되는 면이 작아 신발이나 벨트 등에 적용하는 경우 착용감이 현저히 저하되며 두껍고 둔탁한 느낌을 주는 단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저렴한 값으로 가죽 끈의 장점을 발휘할 수 있는 복합 끈이 개발되어 일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복합 끈은 폭이 좁은 합성수지 시트로 높은 인장강도(신축성이 매우 적음)의 인조소재 심재를 피복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복합 끈은 형태안정성과 색상 등의 미감이 우수하여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나, 가죽 끈과 같은 질감을 가지지 못하므로, 이러한 복합 끈을 사용하여 제조된 물품은 경직하여 인체의 피부에 대한 접촉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두 개 이상의 복합 끈으로 꼬아서 만든 복합방적사는 소재의 경직성으로 인해 매듭 부위의 굴곡면이 매끄러운 곡면을 형성하지 못하여 자연스러운 미감을 연출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복합방적사을 직조하는 종래의 복합방적사 편조장치는 캐리어가 이동되는 캐리어웨이를 갖는 캐리어안내판과, 전기 캐리어를 캐리어안내판의 캐리어웨이를 따라 이동되게 하는 이송기어 및 다수의 이송기어를 구동하는 원동기어, 편조된 와이어를 권취하는 다수의 롤러 등으로 구성된다.
도 3은 통상의 원통형 복합방적사을 제작하기 위한 편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가이드판(100)에는 지그재그형태의 완만한 원형곡선으로 형성된 2개의 캐리어웨이가 서로 교차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그 하부에는 상기 캐리어웨이의 교차 중심과 대향되는 하부에 다수의 이송기어가 형성되어, 원동기어의 회전에 의해 다수의 이송기어가 동시 회전하며, 이송기어와 결합되고 캐리어안내판(100)에 안치되어 있는 다수의 캐리어(101,101')가 캐리어웨이를 따라 회전하며 이동된다.
따라서, 다수의 캐리어(101, 101')는 가이드판(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자전 및 공전을 거듭하며 회전하는 것인데, 각각의 캐리어(101, 101')는 그 캐리어웨이를 따라 교차되게 엇갈리며 회전하는 것이며, 심사의 외주면에는 그 캐리어(101, 101')의 교차 회전에 의해 다수의 편조사(102, 102')가 서로 엮여 원통형의 복합방적사(103)이 편조되는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통상의 복합방적사는 신발끈 등의 결속용 수단으로 사용하는 경우, 그 단면이 원통형이므로 사물의 결속 시 마찰력이 적어서 쉽게 풀리는 문제점이 발생되었고, 근자에 들어서는 상기한 끈의 결속부가 풀지 않도록 하는 여러 가지의 부가적인 결속수단을 함께 사용하는 폐단이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84224호(2010.07.26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120059호(2006.11.24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20-0428728호(2006.10.16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표면에 입체적인 굴곡을 형성시켜 사용성과 디자인성을 개선한 복합방적 스트링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복수 회의 꼬임 과정을 통해 표면에 입체적인 굴곡을 형성하는 복합방적 스트링의 제작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신장 가능하도록 형성된 심사와, 상기 심사의 외주연에 나선형으로 감겨지는 제 1 외피사, 및 복수개의 제 2 외피사가 상호 얽혀 결합된 상태로 상기 외피사와 함께 심사의 외주연에 나선형으로 감겨져 상기 심사의 외피를 형성하는 굴곡사를 포함하는 개선된 접지력을 제공하는 복합방적 스트링 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캐리어에 배치된 제 2 외피사가 상호 얽혀 결합되어 굴곡사를 제작하도록 편조장치를 구동시키는 1차 구동단계, 및 각 캐리어에 배치된 상기 굴곡사와 심사 및 제 1 외피사가 상기 심사를 중심으로 굴곡사와 제 1 외피사가 심사에 나선형으로 결합되어 복합방적 스트링을 제작하도록 편조장치를 구동시키는 2차 구동단계를 포함하는 개선된 접지력을 제공하는 복합방적 스트링의 제작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복합방적 스트링은 얇은 두께를 유지하면서도 표면에 형성된 굴곡에 의해 입체감이 부여되어 전체적인 디자인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손가락으로 파지하여 잡아당길 경우에 손가락과 복합방적 스트링의 표면 사이에 접촉면적이 증가되어 미끄러짐 발생이 완화된다. 다시 말해, 손가락과 복합방적 스트링의 표면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이 증가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간편하게 복합방적 스트링의 변형이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복합방적 스트링의 제작방법은 기존 편조장치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방적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방적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편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방적 스트링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도 1의 복합방적 스트링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방적 스트링의 제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방적 스트링의 제작방법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의한 개선된 접지력을 제공하는 복합방적 스트링(이하, '복합방적 스트링'이라 약칭함)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방적 스트링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복합방적 스트링은 탄성력을 부여하는 심사(10)와, 상기 심사(10)의 외주연에 나선형으로 감겨지는 제 1 외피사(20), 및 상기 제 1 외피사(20)와 함께 심사(10)의 외주연에 나선형으로 감겨져 심사(10)의 외피를 형성하는 굴곡사(30)를 포함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상기 도 1의 복합방적 스트링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복합방적 스트링은 심사(10)를 포함한다.
상기 심사(10)는 신장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복합방적 스트링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것으로, 복합방적 스트링의 중심에 배치된다.
이러한 심사(10)는 단일 가닥의 탄성사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여러 가닥의 탄성사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심사(10)가 단일 가닥의 탄성사로 구성된 경우, 이러한 탄성사는 가로와 세로의 직경이 각각 1㎜ 내지 5㎜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심사(10)가 복수개의 탄성사로 구성된 경우, 이러한 탄성사는 가로와 세로의 직경이 각각 1㎜ 내지 5㎜, 바람직하게는 2㎜의 두께로 형성 된다.
이때, 탄성사의 직경이 1㎜ 미만으로 형성되면 사용기간이 늘어남에 따라 끊어지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으며, 탄성사의 직경이 5㎜를 초과하면 복수개의 탄성사를 이용하는 경우 심사의 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워져 심사가 적용된 상품의 디자인성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심사(10)는 복합방적 스트링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충분히 변형될 수 있도록 합성사나 천연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심사(10)의 단면 형상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원형 단면의 선상 심재는 사각 단면 등과 같은 다른 단면 형상의 선상 심재와 비교할 때, 접착 위치의 선택성을 줄일 수 있고 심재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경우에는 접착제의 도포 면적이 적고 그로 인해 건조시간도 짧아지므로, 생산성이 우수하다.
아울러, 심사(10)로 10 내지 15 데니어 굵기의 필라멘트 다수개,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6개를 사용할 수 있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심사(10)로는 레귤러 폴리에스테르(RegularPolyester) 10/12(단면O형), 15/12(단면O형), 10/12(단면Y형) 15/12(단면Y형)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x/y'의 x는 심사(10)의 굵기(데니어)이고, y는 구성하는 단사(필라멘트) 개수이다. 예를 들면, 10 데니어급 12필라멘트의 심사(10)의 경우, 단사(필라멘트) 섬도가 0.83데니어 수준이다.
이와 같이, 심사(10)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사는 그 단사를 단면 O형의 원형단면이나 단면 Y형의 이형단면을 갖도록 형성한다. 특히, 단사 단면의 형상이 O형 아닌 Y형의 경우에는 제 1 외피사(20) 및 굴곡사(30)와의 복합방적 시 포합성을 높여주므로, 후 공정에서의 작업성이 용이하고, 염색가공 후의 벗겨짐 현상을 줄여주는 이점이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복합방적 스트링은 제 1 외피사(2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외피사(20)는 심사(10)의 외주연에 나선형으로 감겨져 굴곡사(30)와 함께 복합방적 스트링의 외피를 구성하는 것으로, 낮은 신장도와 높은 강인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된 단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외피사(20)로는 낮은 신장도와 높은 강인성을 가진 소재라면 어떤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예를 들면 레이온 섬유사,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사, 나일론과 면의 혼방사, 고강도 고연신 폴리에틸렌 섬유사, 폴리프로필렌 섬유사, 탄소 섬유사, 붕소 섬유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제 1 외피사(20)로는 텐셀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텐셀섬유는 셀룰로오스 섬유의 단점인 습윤강도를 보완하고, 셀룰로오스 섬유의 장점(섬유의 감성 등)을 극대화한 반면, 폴리에스테르의 낮은 수분 흡수율을 개선한다.
이러한 텐셀섬유는 재생섬유에 속하는 것으로, 천연섬유 대용 역할을 담당한다. 이와 같은 텐셀섬유의 특성은 건조 상태에서나 습윤 상태에서 모두 높은 강력을 가지며, 건조 상태의 강력은 거의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85% 수준이며, 면섬유의 1.5 내지 2배 정도이다. 또한, 모듈러스(moduls)가 높기 때문에 물에 젖은 상태에서도 수축이 낮아 텐셀제품은 물세탁시 수축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복합방적 스트링은 굴곡사(30)를 포함한다.
상기 굴곡사(30)는 심사(10)의 외주연에 나선형으로 감겨져 제 1 외피사(20)와 함께 복합방적 스트링의 외피를 구성하는 것으로, 복수개의 제 2 외피사(32)가 상호 얽혀 결합된 상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굴곡사(30)는 일반적인 복합방적 스트링과 달리 제 1 외피사(20)와 동일한 방향으로 감겨져 있다. 이는, 굴곡사(30)가 제 1 외피사(20)와 반대 방향으로 심사(10)에 감겨지는 경우, 굴곡사(30)와 심사(10)의 사이에 제 1 외피사(20)가 존재하는 구간이 발생되어 복합방적 스트링의 전체 두께가 증가될 뿐만 아니라 심사(10)에 대한 조밀한 커버가 어려워져 심사(10)가 외부로 노출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방적 스트링은 제 1 외피사(20)와 굴곡사(30)가 일정한 방향으로 심사(10)에 감겨져 있으므로, 제 1 외피사(20)와 굴곡사(30)의 두께 차이에 의해 일정 간격으로 굴곡이 형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복합방적 스트링은 사용자가 어느 부분을 파지하더라도 손가락에 동일한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제 2 외피사(32)로는 형광색 등의 색상을 원활히 염색할 수 있도록 폴리올레핀계 복합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폴리올레핀계 복합섬유는 폴리올레핀 40 내지 99.9중량%와 가염성 폴리머로서 극성고분자 수지가 0.1 내지 60중량%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가염성 폴리머는 복합섬유의 도성분을 이루고, 폴리올레핀 단독섬유가 복합성분의 해성분이 되어 방사된다.
그리고 이러한 폴리올레핀계 복합섬유는 상기 해성분과 도성분의 비율조절을 통해 밀도가 1.0g/㏄ 이하인 복합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용자의 잡아당김에 의해 복합방적 스트링이 원활히 변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가염성 폴리머로는 극성고분자 수지로서 폴리에스터 및 공중합 폴리에스터, 폴리아미드 및 공중합폴리아미드 및 이의 블랜드물, 에틸렌비닐알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수지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폴리에스터 수지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중심으로 하는 방향족 폴리에스터와 폴리락타이드와 같은 지방족 폴리에스터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이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호모폴리머 또는 그 공중합체를 사용한다.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로는 나일론 6과 나일론 66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나일론에 염기성 염료에 대한 친화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디(술폰산 나트륨)-나프탈렌-2-카르복실산, 모노 또는 디(술폰산 나트륨)-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등의 나프탈렌고리에 술포네이트기를 갖는 디카르복실산, 모노 또는 디카르복시벤젠, 술포네이트기를 갖는 폴리(알킬렌에테르유도체), 술폰화 폴리스틸렌 등을 폴리아미드에 도입시킨 것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제 2 외피사(32)로는 폴리아미드사와 은도금사, 폴리아미드사와 은증착사, 폴리아미드사와 제전사 또는 제전사와 은증착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제 2 외피사(32)로 폴리아미드사와 은도금사, 폴리아미드사와 은증착사, 폴리아미드사와 제전사 또는 제전사와 은증착사를 사용하면, 인체에 유해한 전자파 등이 발생되는 현상을 적극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고, 불쾌감을 유발하는 정전기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합방적 스트링이 세균에 감염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도 있게 된다.
본 발명은 개선된 접지력을을 제공하는 복합방적 스트링의 제작방법(이하, '복합방적 스트링의 제작방법'이라 약칭함)을 제공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방적 스트링의 제작방법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러한 복합방적 스트링의 직조는 종래의 복합방적 스트링 편조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반적인 복합방적 스트링 편조장치는 캐리어가 이동되는 캐리어웨이를 갖는 캐리어안내판과, 상기 캐리어를 캐리어안내판의 캐리어웨이를 따라 이동시키는 다수의 이송기어와, 상기 다수의 이송기어를 구동시키는 원동기어, 및 편조된 복합방적 스트링을 권취하는 다수의 롤러 등이 포함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복합방적 스트링의 제작방법은 복수개의 캐리어에 배치된 제 2 외피사(32)가 상호 얽혀 결합되어 굴곡사(30)를 제작하도록 편조장치를 구동시키는 1차 구동단계(S100), 및 각 캐리어에 배치된 상기 굴곡사(30)와 심사(10) 및 제 1 외피사(20)가 상기 심사(10)를 중심으로 굴곡사(30)와 제 1 외피사(20)가 심사(10)에 나선형으로 결합되어 복합방적 스트링을 제작하도록 편조장치를 구동시키는 2차 구동단계(S20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구동단계(S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제 2 외피사(32)를 편조장치의 캐리어에 배치시키는 제 1 준비과정(S110)과, 상기 편조장치를 통해 복수개의 제 2 외피사(32)로 굴곡사(30)를 제작하는 굴곡사 직조과정(S1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데, 굴곡사(30)의 직조를 위해 4개의 제 2 외피사(32)가 사용된 경우, 각각의 제 2 외피사(32)는 4개의 캐리어에 나뉘어 배치된다.
상기 제 2 구동단계(S2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사(10)와 제 1 외피사(20) 및 굴곡사(30)를 편조장치의 캐리어에 배치시키는 제 2 준비과정(S210), 및 상기 편조장치를 통해 심사(10)와 제 1 외피사(20) 및 굴곡사(30)로 복합방적 스트링을 제작하는 복합방적 스트링 직조과정(S2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 준비과정에서는 심사(10)와 제 1 외피사(20) 및 굴곡사(30)가 각각 별도의 캐리어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방적 스트링의 제작방법은 먼저 복수개의 제 2 외피사(32)를 기반으로 굴곡사(30)를 직조한 후, 상기 굴곡사(30)와 함께 심사(10) 및 제 1 외피사(20)를 기반으로 복합방적 스트링을 직조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심사 20 : 제 1 외피사
30 : 굴곡사 32 : 제 2 외피사

Claims (5)

  1. 신장 가능하도록 형성된 심사;
    상기 심사의 외주연에 나선형으로 감겨지는 제 1 외피사; 및
    복수개의 제 2 외피사가 상호 얽혀 결합된 상태로, 상기 제 1 외피사와 함께 심사의 외주연에 제 1 외피사와 동일한 방향으로 나선형으로 감겨져 상기 심사의 외피를 형성하는 굴곡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외피사는 굴곡사와 심사의 사이에 존재하는 구간이 발생되지 않도록 굴곡사와 함께 심사의 외피를 구성하며,
    상기 제 2 외피사는 폴리올레핀 40 내지 99.9 중량%와 가염성 폴리머로서 극성고분자 수지 0.1 내지 60 중량%로 구성되고 밀도가 1.0g/cc 이하인 복합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접지력을 제공하는 복합방적 스트링.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외피사와 제 2 외피사는 동일한 두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접지력을 제공하는 복합방적 스트링.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외피사는 안료가 염색된 합연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접지력을 제공하는 복합방적 스트링.
  5. 복수개의 캐리어에 배치된 제 2 외피사가 상호 얽혀 결합되어 굴곡사를 제작하도록 편조장치를 구동시키는 1차 구동단계; 및
    각 캐리어에 배치된 상기 굴곡사와 심사 및 제 1 외피사가 굴곡사와 심사의 사이에 제 1 외피사가 존재하는 구간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심사를 중심으로 굴곡사와 제 1 외피사가 동일한 방향으로 심사에 나선형으로 결합되어 복합방적 스트링을 제작하도록 편조장치를 구동시키는 2차 구동단계를 포함하는 개선된 접지력을 제공하는 복합방적 스트링의 제작방법.
KR1020140015848A 2014-02-12 2014-02-12 개선된 접지력을 제공하는 복합방적 스트링 및 이의 제작방법 KR101559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848A KR101559319B1 (ko) 2014-02-12 2014-02-12 개선된 접지력을 제공하는 복합방적 스트링 및 이의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848A KR101559319B1 (ko) 2014-02-12 2014-02-12 개선된 접지력을 제공하는 복합방적 스트링 및 이의 제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4929A KR20150094929A (ko) 2015-08-20
KR101559319B1 true KR101559319B1 (ko) 2015-10-08

Family

ID=54058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5848A KR101559319B1 (ko) 2014-02-12 2014-02-12 개선된 접지력을 제공하는 복합방적 스트링 및 이의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931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8625A (ja) * 2000-09-08 2002-03-27 Inoue:Kk 組 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8625A (ja) * 2000-09-08 2002-03-27 Inoue:Kk 組 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4929A (ko) 2015-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6509B1 (ko) 단섬유를 포함하는 심초구조의 낚시줄
US8549829B2 (en) Silver yarn, plied yarn silver yarn, functional fabric using sam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3968725A (en) High strength, low stretch braided rope
WO1999033428A1 (en) Textured tampon string
GB2081756A (en) Surgical stitching thread
JPWO2007083511A1 (ja) 着色糸条体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釣糸
WO2014014290A1 (ko) 신축성을 갖는 도전성 합연사 및 그 제조방법
KR101268353B1 (ko) 자연섬유 질감을 가지는 더블 커버링 복합사
KR20180010212A (ko) 실리콘화된 합성 필라멘트 얀
KR101559319B1 (ko) 개선된 접지력을 제공하는 복합방적 스트링 및 이의 제작방법
CN216427526U (zh) 一种不易起球的包覆型粘胶纱线
CN212128382U (zh) 一种聚氨酯复合纤维
JPH03124888A (ja) ロープ
JP2736672B2 (ja) 変りカバード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099522B2 (ja) 長短複合紡績糸及びこの紡績糸を用いた編地
CN213357860U (zh) 一种弹性锦纶导电丝
JPH0197229A (ja) 伸縮シェニール糸
CN219877642U (zh) 一种提高防滑效果及耐用性的束发松紧圈
JPS6245009Y2 (ko)
JP2000228931A (ja) 漁業用組紐材
CN220116754U (zh) 抗拉型复合纱线
CN211947363U (zh) 一种韧性高制衣线
JPS6152253B2 (ko)
CN211311731U (zh) 一种亚麻棉混纺纱
CN217671545U (zh) 一种新型罗纹面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