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7842B1 - 방송재생장치에 대한 착신 전환 서비스 시스템 및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방송재생장치에 대한 착신 전환 서비스 시스템 및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7842B1
KR101557842B1 KR1020090102685A KR20090102685A KR101557842B1 KR 101557842 B1 KR101557842 B1 KR 101557842B1 KR 1020090102685 A KR1020090102685 A KR 1020090102685A KR 20090102685 A KR20090102685 A KR 20090102685A KR 101557842 B1 KR101557842 B1 KR 1015578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broadcast
reproducing apparatus
state
inco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2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5928A (ko
Inventor
최우용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2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7842B1/ko
Publication of KR20110045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5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7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78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8Interfacing a video terminal to a particular transmission medium, e.g. ISD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 재생 및 전화 통화 기능을 갖는 방송재생장치로의 호 착신 시, 방송재생장치의 상태 및 사용자의 의도를 반영한 착신전환상태에 대응하여 호 착신을 타 단말장치로 착신 전환하여, 방송재생장치의 상태 및 방송 시청으로 인한 프라이버시를 고려하여 전화 서비스를 중단없이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방송재생장치에 대한 착신 전환 서비스 시스템 및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방송재생장치에 대한 착신 전환 서비스 시스템은, 외부로부터 소정 방송재생장치로의 전화 서비스에 따른 호 착신 시도가 수신되면, 호처리서버가 상기 방송재생장치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착신전환상태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결과 착신전환상태인 경우 상기 호 착신 시도에 따른 호 착신을 상기 방송재생장치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단말장치로 제공하고, 판단결과 착신전환상태가 아닌 경우 호처리서버가 상기 방송재생장치로 제공한 상기 호 착신에 따른 착신응답을 회신받고, 상기 호 착신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호처리서버로 상기 착신응답을 회신한 상기 방송재생장치가 상기 호처리서버를 통해 상기 호 착신에 대응하는 전화 통화 기능을 실행하는 구성을 포함한다.
IPTV, 전환, 착신전환, 이동단말

Description

방송재생장치에 대한 착신 전환 서비스 시스템 및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CALL FORWARDING SERVICE SYSTEN AND CALL FORWARDING SERVICE METHOD FOR BROADCASTIN 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방송재생장치에 대한 착신 전환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송 재생 및 전화 통화 기능을 갖는 방송재생장치로의 호 착신 시, 방송재생장치의 상태 및 사용자의 의도를 반영한 착신전환상태에 대응하여 호 착신을 타 단말장치로 착신 전환하여, 방송재생장치의 상태 및 방송 시청으로 인한 프라이버시를 고려하여 전화 서비스를 중단없이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방송재생장치에 대한 착신 전환 서비스 시스템 및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과, 방송재생장치 및 방송재생장치의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과, 호처리서버 및 호처리서버의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IPTV (Internet Protocol TV)는 셋톱박스에 초고속인터넷을 연결해 TV에서 원하는 프로그램을 보거나 양방향 통신을 이용한 새로운 서비스를 방송에서 구현하는 것을 의미한다. 최근에는, IPTV가 대중화되면서 IPTV를 이용한 전화 서비스도 다양한 방법이 개발되어, 방송 재생 및 전화 통화 기능을 갖는 IPTV 가 등장하고 있다. 이는, IPTV 서비스 구성에서 TV에 마련된 대형 스피커를 활용할 수 있고, 마이크가 내장된 카메라가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인 상황이므로, 굳이 전화단말을 별도로 구매하지 않더라도 IPTV 서비스 구성 자체를 활용하여 전화 서비스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헌데, 이처럼 방송 재생 및 전화 통화 기능을 갖는 기존의 IPTV에서는,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는 전화 서비스의 호 발/착신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전화 서비스에 의해 호가 착신되는 경우 IPTV의 전원이 켜진 상태여야만 한다는 한계를 갖는다. 또한, IPTV의 시청자는 방송 시청 중에 전화 착신이 오는 경우 프라이버시 또는 시청 방해의 이유로 착신에 응답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전화 서비스가 원활하게 제공될 수 없는 한계를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외부로부터 소정 방송재생장치로의 전화 서비스에 따른 호 착신 시도가 수신되면, 호처리서버가 상기 방송재생장치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착신전환상태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결과 착신전환상태인 경우 상기 호 착신 시도에 따른 호 착신을 상기 방송재생장치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단말장치로 제공하고, 판단결과 착신전환상태가 아닌 경우 호처리서버가 상기 방송재생장치로 제공한 상기 호 착신에 따른 착신응답을 회신받고, 상기 호 착신에 따른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호처리서버로 상기 착신응답을 회신한 상기 방송재생장치가 상기 호처리서버를 통해 상기 호 착신에 대응하는 전화 통화 기능을 실행하는 방송재생장치에 대한 착신 전환 서비스 시스템 및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여, 방송 재생 및 전화 통화 기능을 갖는 방송재생장치로의 호 착신 시, 방송재생장치의 상태 및 사용자의 의도를 반영한 착신전환상태에 대응하여 호 착신을 타 단말장치로 착신 전환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전원 턴온(Turn-On) 시 전원온상태를 외부의 호처리서버에 알리고, 전화 서비스에 따른 호 착신 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착신전환이 선택되면 착신전환을 상기 호처리서버에 요청하며, 전화 서비스에 따른 호 착신 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착신응답이 선택되면 상기 호 착신에 대응하는 착신응답을 상기 호처리서버로 회신하고, 전화 통화 기능을 실행하여 발신처에 해당하는 단말장치와의 통화로를 통해 통화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송재생장치 및 방송재생장치의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여, 방송 재생 및 전화 통화 기능을 갖는 방송재생장치로의 호 착신 시, 방송재생장치의 상태 및 사용자의 의도를 반영한 착신전환상태에 대응하여 호 착신을 타 단말장치로 착신 전환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외부로부터 소정 방송재생장치로의 호 착신 시도가 수신되면, 상기 방송재생장치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착신전환상태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착신전환상태인 경우, 상기 호 착신 시도에 대응하는 호 착신을 상기 방송재생장치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단말장치로 제공하며, 판단결과 착신전환상태가 아닌 경우, 상기 방송재생장치로 제공한 상기 호 착신 시도에 대응하는 호 착신에 대응하여 회신되는 착신응답에 따라, 상기 방송재생장치 및 해당 발신처 간의 통화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는 호처리서버 및 호처리서버의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여, 방송 재생 및 전화 통화 기능을 갖는 방송재생장치로의 호 착신 시, 방송재생장치의 상태 및 사용자의 의도를 반영한 착신전환상태에 대응하여 호 착신을 타 단말장치로 착신 전환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방송재생장치에 대한 착신 전환 서비스 시스템은 전화 서비스에 따른 호 착신 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호 착신에 대응하는 전화 통화 기능을 실행하는 방송재생장치; 및 외부로부터 상기 방송재생장치로의 호 착신 시도가 수신되면, 상기 방송재생장치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착신전환상태 여부에 따라 상기 호 착신 시도에 대응하는 호 착신을 기 등록된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호처리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방송재생장치는 수신되는 방송 컨텐츠를 재생하는 방송재생부; 전화 서비스에 따른 호 착신 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호 착신에 대응하는 전화 통화 기능을 실행하여 발신처에 해당하는 단말장치와의 통화로를 통해 통화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전화기능수행부; 및 전원 턴온(Turn-On) 시 전원온상태를 외부의 호처리서버에 알리고, 상기 전화 서비스에 따른 호 착신 시 사용자에 의해 착신전환이 선택되면 착신전환을 상기 호처리서버에 요청하는 서버통신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버통신부는, 상기 전화 서비스에 따른 호 착신 시 사용자에 의해 착신전환이 선택되면, 착신 전환처를 선택하기 위한 단말장치선택메뉴을 표시하고 상기 단말장치선택메뉴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해당 단말장치의 단말정보를 포함하는 착신전환요청을 상기 호처리서버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호처리서버는 전화 서비스에 따른 호 착신 시도에 대응하는 호 착신을 해당 착신처로 제공하여, 상기 착신처 및 해당 발신처 간의 통화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는 호인터페이스부; 및 외부로부터 소정 방송재생장치로의 호 착신 시도가 수신되면, 상기 방송재생장치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착신전환상태 여부에 따라 상기 호 착신 시도에 대응하는 호 착신을 기 등록된 단말장치로 제공하도록 상기 호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착신전환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착신전환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방송재생장치 각각에 대응하여 해당 방송재생장치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에 따른 단말정보 및 단말스팩정보를 포함하는 등록단말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방송재생장치에 대응하는 착신전환상태 여부를 판단한 결과 착신전환상태인 경우, 상기 방송재생장치의 등록단말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호 착신 시도에 대응하는 호 착신이 가능한 스팩을 갖는 단말장치를 선택하고, 선택된 단말장치로 착신전환알림메시지를 제공하여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착신전환확인이 응답되면 상기 호 착신을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도록 상기 호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방송재생장치에 대응하는 상태정보를 관리하는 상태정보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착신전환제어부는, 상기 상태정보관리부의 상기 방송재생장치에 대응하는 상태정보를 토대로 전원오프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착신전환상태 여부를 판단하고, 전원오프상태에 따른 착신전환상태인 경우 상기 호 착신 시도에 따른 호 착신을 상기 방송재생장치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단말장치로 제공하도록 상기 호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착신전환제어부는, 상기 호인터페이스부가 상기 호 착신 시도에 따른 호 착신을 상기 방송재생장치로 제공함에 따른 착신응답이 상기 방송재생장치로부터 기 설정된 소정시간 이내에 회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착신전환상태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소정시간 이내에 착신응답이 회신되지 않음에 따른 착신전환상태인 경우 상기 호 착신 시도에 따른 호 착신을 상기 방송재생장치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단말장치로 제공하도록 상기 호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착신전환제어부는, 상기 호인터페이스부가 상기 호 착신 시도에 따른 호 착신을 상기 방송재생장치로 제공함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착신전환요청이 상기 방송재생장치로부터 회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착신전환상태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착신전환요청이 수신됨에 따른 착신전환상태인 경우 상기 호 착신 시도에 따른 호 착신을 상기 착신전환요청에 포함된 단말정보에 해당하는 단말장치로 제공하도록 상기 호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른 방송재생장치의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은, 전원 턴온(Turn-On) 시 전원온상태를 외부의 호처리서버에 알리는 상태 알림단계; 전화 서비스에 따른 호 착신 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착신전환이 선택되면 착신전환을 상기 호처리서버에 요청하는 착신전환 요청단계; 및 전화 서비스에 따른 호 착신 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착신응답이 선택되면 상기 호 착신에 대응하는 착신응답을 상기 호처리서버로 회신하고, 전화 통화 기능을 실행하여 발신처에 해당하는 단말장치와의 통화로를 통해 통화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전화기능 수행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착신전환 요청단계는, 상기 전화 서비스에 따른 호 착신 시, 사용자에 의해 착신전환이 선택되면, 착신 전환처를 선택하기 위한 단말장치선택메뉴를 표시하고 상기 단말장치선택메뉴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해당 단말장치의 단말정보를 포함하는 착신전환요청을 상기 호처리서버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5 관점에 따른 호처리서버의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은 외부로부터 소정 방송재생장치로의 호 착신 시도가 수신되면, 상기 방송재생장치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착신전환상태 여부를 판단하는 착신전환상태 판단단계; 판단결과 착신전환상태인 경우, 상기 호 착신 시도에 대응하는 호 착신을 상기 방송재생장치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착신 전환단계; 및 판단결과 착신전환상태가 아닌 경우, 상기 방송재생장치로 제공한 상기 호 착신 시도에 대응하는 호 착신에 대응하여 회신되는 착신응답에 따라, 상기 방송재생장치 및 해당 발신처 간의 통화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는 호 인터페이스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방송재생장치 각각에 대응하여, 해당 방송재생 장치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에 따른 단말정보 및 단말스팩정보를 포함하는 등록단말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착신 전환단계는, 상기 방송재생장치에 대응하는 착신전환상태 여부를 판단한 결과 착신전환상태인 경우, 상기 방송재생장치의 등록단말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호 착신 시도에 대응하는 호 착신이 가능한 스팩을 갖는 단말장치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방송재생장치에 대응하여 선택된 상기 단말장치로 착신전환알림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착신전환알림메시지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착신전환확인이 응답되면 상기 호 착신을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방송재생장치에 대응하는 상태정보를 관리하는 상태정보 관리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착신전환상태 판단단계는, 상기 방송재생장치에 대응하는 상태정보를 토대로 전원오프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착신전환상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외부로부터 상기 방송재생장치로의 호 착신 시도가 수신되면, 상기 호 착신 시도에 대응하는 호 착신을 상기 방송재생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착신전환상태 판단단계는, 상기 방송재생장치로부터 기 설정된 소정시간 이내에 상기 호 착신에 대응하는 착신응답이 회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착신전환상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외부로부터 상기 방송재생장치로의 호 착신 시도가 수신되면, 상기 호 착신 시도에 대응하는 호 착신을 상기 방송재생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착신전환상태 판단단계는, 상기 방송재생장치로부터 상기 호 착신 에 대응하여 착신전환요청이 상기 방송재생장치로부터 회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착신전환상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착신 전환단계는, 상기 착신전환요청이 수신됨에 따른 착신전환상태인 경우, 상기 호 착신 시도에 대응하는 호 착신을 상기 착신전환요청에 포함된 단말정보에 해당하는 단말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방송재생장치에 대한 착신 전환 서비스 시스템 및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에 의하면, 방송재생장치로의 호 착신 시, 호처리서버가 해당 방송재생장치에 대응하는 상태정보(전원온/오프상태) 및/또는 호 착신에 따른 착신응답 회신 여부 및/또는 착신전환요청 회신 여부에 따른 착신전환상태 여부에 따라, 방송재생장치에 대응하는 타 단말장치로 호 착신을 전환함으로써, 방송재생장치의 전화 통화 기능 가용 여부 및 사용자의 의도를 반영하여 타 단말장치로의 착신전환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송재생장치에 대한 착신 전환 서비스 시스템 및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에 의하면, 방송재생장치로의 호 착신 시, 방송재생장치의 상태 및 사용자의 의도를 반영하여 호 착신을 자동으로 타 단말장치로 착신 전환함으로써, 방송재생장치의 상태 및 방송 시청으로 인한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고려하면서도 전화 서비스를 중단 없이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 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송재생장치에 대한 착신 전환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송재생장치에 대한 착신 전환 서비스 시스템은, 전화 서비스에 따른 호 착신 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호 착신에 대응하는 전화 통화 기능을 실행하는 방송재생장치(100)와, 외부로부터 방송재생장치(100)로의 전화 서비스에 따른 호 착신 시도가 수신되면, 방송재생장치(100)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착신전환상태 여부에 따라 상기 호 착신 시도에 대응하는 호 착신을 기 등록된 단말장치(10)로 제공하는 호처리서버(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방송재생장치(100)는, IP기반으로 통신망(1)에 접속하여 컨텐츠를 요청/수신하여 방송 서비스를 재생하고, 전화 서비스를 위한 전화 통화 기능을 구비한 IPTV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방송재생장치(100)는, 전화 서비스를 위한 구성을 일체형으로 구비하여, 방송 서비스(예 : IPTV 서비스) 구성 및 전화 서비스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호처리서버(200)는, 전화 서비스에 따른 착신처 및 발신처 간의 통화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여 양 간의 전화 서비스를 지원한다. 즉, 호처리서버(200)는 방송재생장치(100)의 호 발신/착신을 인터페이스하여 방송재생장치(100) 및 상대방 간의 통화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여 전화 서비스를 지원한다. 이러한 호처리서버(200)는, IMS서버 또는 SSW서버, 또는 콜(Call)서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망(1)은, 방송재생장치(100), 단말장치(10), 호처리서버(200), 메시지서비스서버(300)가 각각 적어도 하나의 다른 장치 또는 서버와 통신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네트워크로서, 이동통신망과, 유선통신망, 유/무선 인터넷망, 모바일인터넷망, 전화망 등의 다양한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재생장치(100)의 구체적인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송재생장치(100)는, 사용자조작부(130)와, 수신되는 방송 컨텐츠를 재생하는 방송재생부(110)와, 전화 서비스에 따른 호 착신 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호 착신에 대응하는 전화 통화 기능을 실행하여 발신처에 해당하는 단말장치(미도시)와의 통화로를 통해 통화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전화기능수행부(120)와, 전원 턴온(Turn-On) 시 전원온상태를 외부의 호처리서버(200)에 알리고, 상기 전화 서비스에 따른 호 착신 시 사용자에 의해 착신전환이 선택되면 착신전환을 호처리서버(200)에 요청하는 서버통신부(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자조작부(130)는,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 받는 입력장치로서, 키버튼과 터치패드와 마우스와 리모콘 등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 또는 선택 또는 조작되는 동작은, 사용자조작부(130)를 통한 사용자의 조작에 근거할 것이다.
방송재생부(110)는, 소정 방송서비스서버(미도시)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방송재생부(11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선택되는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일반적인 방송 재생 동작을 수행하는 방송 서비스 구성에 해당한다. 이에 방송재생장치(100)에서는 시청자가 자신이 원하는 방송을 선택하여 시청할 수 있다.
전화기능수행부(120)는, 전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전화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전화 서비스 구성에 해당한다.
즉, 전화기능수행부(120)는, 전화 서비스에 따른 호 착신 시, 즉 발신처에 해당하는 단말장치(미도시)가 방송재생장치(100)로의 전화를 발신함에 따른 호 착신이 호처리서버(200)를 통해 수신되면, 사용자의 선택(예 : 착신응답)에 따라 상기 호 착신에 대응하는 전화 통화 기능을 실행한다. 물론, 전화기능수행부(120)는, 사용자에 의해 소정 착신처의 단말전화번호가 입력되어 착신처에 해당하는 단말장치(미도시)로의 발신이 선택되면, 호 발신을 처리하여 호처리서버(200)를 통해 해당 착신처로의 호 착신을 시도할 수 있다.
이에, 전화기능수행부(120)는 호처리서버(200)를 통해 통화데이터(예 : 음성통화, 영상통화, 단문메시지(SMS), 멀티미디어메시지(MMS) 등)를 상대방에 해당하는 단말장치(미도시)와의 통화로에 따라 송수신하는 전화 통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서버통신부(140)는, 사용자에 의해 방송재생장치(100)의 전원이 켜짐에 따른 전원 턴온(Turn-On) 시, 전원온상태를 외부의 호처리서버(200)에 알린다. 물론, 전원 오프(Turn-Off) 시에도 서버통신부(140)는 전원오프상태를 호처리서버(200)에 알릴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서버통신부(140)는, 전화 서비스에 따른 호 착신 시 사용자에 의해 착신전환이 선택되면 착신전환을 호처리서버(200)에 요청한다.
다시 말해, 서버통신부(140)는, 전화 서비스에 따른 호 착신 시, 즉 발신처에 해당하는 단말장치(미도시)가 방송재생장치(100)로의 전화(음성통화 또는 영상통화) 또는 메시지(SMS 또는 MMS)를 발신함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호 착신이 호처리서버(200)를 통해 수신되면, 호 착신됨을 착신링이나 또는 메시지 형태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알린다. 이에, 방송재생장치(100)를 통해 방송을 시청하고 있던 사용자는 호 착신을 인지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서버통신부(140)는, 호 착신을 인지한 사용자에 의해 착신전환이 선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에, 착신전환이 선택되면, 서버통신부(140)는 착신 전환처를 선택하기 위한 단말장치선택메뉴을 표시한다. 이때, 서버통신부(140)는, 사용자에 의해 기 등록되어 저장된 복수개의 단말정보에 대응하는 항목들을 나열한 단말장치리스트를 단말장치선택메뉴로서 표시할 수 있고, 또는 사용자에 의해 단말정보 즉 단말전화번호를 직접 입력하도록 유도하는 단말정보입력창을 단말장치선택메뉴로서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단말장치리스트에서 소정 단말정보에 대응하는 항목이 선택되거나 또는 단말정보입력창에서 소정 단말정보가 입력됨에 따라, 단말장치선택메뉴를 통해 사용자가 단말장치를 선택하면 서버통신부(140)는, 선택된 해당 단말장치의 단말정보(예 : 단말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착신전환요청을 호처리서버(200)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호 착신을 인지한 사용자에 의해 착신전환이 선택되지 않는 경우는, 호 착신을 인지한 사용자가 금번 호 착신에 착신응답을 선택하여 전화(음성통화 또는 영상통화)를 받거나 또는 메시지(SMS 또는 MMS)를 수신/확인하는 경우, 혹은 호 착신을 인지한 사용자가 금번 호 착신에 착신응답을 선택하지 않은 채 무시하는 경우일 것이다.
호 착신을 인지한 사용자가 금번 호 착신에 착신응답을 선택하지 않은 채 무시하는 경우, 전화기능수행부(120)는 호 착신됨을 착신링이나 또는 메시지 형태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알리는 동작만을 유지할 것이다.
한편, 호 착신을 인지한 사용자가 금번 호 착신에 착신응답을 선택하여 전화(음성통화 또는 영상통화)를 받거나 또는 메시지(SMS 또는 MMS)를 수신/확인하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전화기능수행부(120)가 사용자의 선택(예 : 착신응답)에 따른 금번 호 착신에 대응하는 착신응답을 호처리서버(200)로 제공함으로써, 전화기능수행부(120)는 호처리서버(200)를 통해 통화데이터(예 : 음성통화, 영상통화, 단문메시지(SMS), 멀티미디어메시지(MMS) 등)를 상대방에 해당하는 단말장치(미도시)와 송수신하는 일반적인 전화 통화 기능을 수행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호처리서버(20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호처리서버(200)는, 전화 서비스에 따른 호 착신 시도에 대응하는 호 착신을 해당 착신처로 제공하여, 상기 착신처 및 해당 발신처 간의 통화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는 호인터페이스부(210)와, 외부로부터 소정 방송재생장 치(100)로의 호 착신 시도가 수신되면, 방송재생장치(100)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착신전환상태 여부에 따라 상기 호 착신 시도에 대응하는 호 착신을 기 등록된 단말장치(10)로 제공하도록 호인터페이스부(210)를 제어하는 착신전환제어부(220)를 포함한다.
호인터페이스부(210)는, 발신처로부터 착신처로의 호 착신 시도가 수신되면 이에 대응하여 해당 착신처로 호 착신을 제공하고, 착신처로부터 이에 대응하는 착신응답이 회신되면 발신처 및 착신처 간의 통화로를 연계하여 상호 간의 통화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함으로써, 전화 서비스를 지원하는 기능부로서, 일반적인 전화 서비스 지원을 위한 구성에 해당한다.
즉, 호인터페이스부(210)는, 외부의 단말장치(미도시)로부터 방송재생장치(100)로의 호 착신 시도가 수신되면 이에 대응하는 호 착신을 방송재생장치(100)로 제공하는 일반적인 착신 처리동작을 수행하고, 방송재생장치(100)로부터 이에 대응하는 착신응답이 회신되면 발신처에 해당하는 단말장치(미도시) 및 방송재생장치(100) 간의 통화로를 연계하여 상호 간의 통화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함으로써, 상호 간의 전화 서비스를 지원할 것이다.
착신전환제어부(220)는, 방송재생장치(100)로의 호 착신 시도가 수신되면, 즉 발신처에 해당하는 단말장치(미도시)에서 방송재생장치(100)로의 발신이 선택됨에 따른 해당 방송재생장치(100)로의 호 착신 시도가 수신되면, 방송재생장치(100)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착신전환상태 여부에 따라, 착신전환상태인 경우 상기 호 착신 시도에 대응하는 호 착신을 기 등록된 단말장치(10)로 제공하도록 호인터페이 스부(21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착신전환제어부(220)는, 전화 서비스에 따른 방송재생장치(100)로의 호 착신 시도가 수신되면, 방송재생장치(200)에 대응하는 착신전환상태 여부를 판단한다.
이하에서는, 방송재생장치(200)에 대응하는 착신전환상태 여부를 판단하는 실시예 별로 착신전환제어부(220)의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호처리서버(200)는 적어도 하나의 방송재생장치에 대응하는 상태정보를 관리하는 상태정보관리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정보관리부(230)는, 방송재생장치(100)로부터 전원 턴온(Turn-On) 시 제공되는 전원온상태를 인지하여 관리한다. 이에, 상태정보관리부(230)에는, 적어도 하나의 방송재생장치 각각에 대응하는 상태정보(전원온상태 또는 전원오프상태)가 관리될 것이다.
이에, 첫번째 실시예의 경우, 착신전환제어부(220)는, 방송재생장치(100)로의 호 착신 시도가 수신되면, 상태정보관리부(230)에서 관리되는 방송재생장치(100)에 대응하는 상태정보를 토대로 전원오프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방송재생장치(100)의 착신전환상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착신전환제어부(220)는, 전원오프상태라고 판단됨에 따라 방송재생장치(100)가 착신전환상태라고 판단되면, 금번 호 착신 시도에 따른 호 착신을 방송재생장치(100)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단말장치(10)로 제공하도록 호인터페이스부(210)를 제어한다.
이에, 호인터페이스부(210)는, 방송재생장치(100)로의 호 착신 시도에 대응하는 호 착신을 단말장치(10)로 제공하고, 단말장치(10)로부터 이에 대응하는 착신 응답이 회신되면, 발신처에 해당하는 단말장치(미도시) 및 단말장치(10) 간의 통화로를 연계하여 상호 간의 통화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함으로써, 상호 간의 전화 서비스를 지원할 것이다.
한편, 방송재생장치(100)에 대응하는 상태정보가 전원온상태이면, 호인터페이스부(210)는 방송재생장치(100)로의 호 착신 시도에 대응하는 호 착신을 방송재생장치(100)로 제공할 것이고, 이에 방송재생장치(100)에서는, 호가 착신됨을 착신링이나 또는 메시지 형태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것이다.
이에, 두번째 실시예의 경우, 착신전환제어부(220)는, 호인터페이스부(210)가 상기 호 착신 시도에 대응하는 호 착신을 방송재생장치(100)로 제공함에 따른 착신응답이 방송재생장치(100)로부터 기 설정된 소정시간(예 : 60초) 이내에 회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방송재생장치(100)의 착신전환상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착신전환제어부(220)는, 소정시간(예 : 60초) 이내에 착신응답이 회신되지 않음에 따라 방송재생장치(100)가 착신전환상태라고 판단되면, 금번 호 착신 시도에 따른 호 착신을 방송재생장치(100)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단말장치(10)로 제공하도록 호인터페이스부(210)를 제어한다.
이에, 호인터페이스부(210)는, 방송재생장치(100)로의 호 착신 시도에 대응하는 호 착신을 단말장치(10)로 제공하고, 단말장치(10)로부터 이에 대응하는 착신응답이 회신되면, 발신처에 해당하는 단말장치(미도시) 및 단말장치(10) 간의 통화로를 연계하여 상호 간의 통화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함으로써, 상호 간의 전화 서비스를 지원할 것이다.
또한, 세번째 실시예의 경우, 착신전환제어부(220)는, 호인터페이스부(210)가 상기 호 착신 시도에 대응하는 호 착신을 방송재생장치(100)로 제공함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착신전환요청이 방송재생장치(100)로부터 회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방송재생장치(100)의 착신전환상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착신전환제어부(220)는, 착신전환요청이 회신됨에 따라 방송재생장치(100)가 착신전환상태라고 판단되면, 착신전환요청에 포함된 단말정보(예 : 단말전화번호)를 인지하고 금번 호 착신 시도에 대응하는 호 착신을 상기 인지된 단말정보(예 : 단말전화번호)에 해당하는 단말장치(예 : 10)로 제공하도록 호인터페이스부(210)를 제어한다.
물론, 착신전환요청에 단말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착신전환제어부(220)는, 방송재생장치(100)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단말장치(10)로 금번 호 착신 시도에 대응하는 호 착신을 제공하도록 호인터페이스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호인터페이스부(210)는, 방송재생장치(100)로의 호 착신 시도에 대응하는 호 착신을 단말장치(10)로 제공하고, 단말장치(10)로부터 이에 대응하는 착신응답이 회신되면, 발신처에 해당하는 단말장치(미도시) 및 단말장치(10) 간의 통화로를 연계하여 상호 간의 통화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함으로써, 상호 간의 전화 서비스를 지원할 것이다.
한편, 착신전환제어부(220)는, 적어도 하나의 방송재생장치 각각에 대응하여, 해당 방송재생장치(100)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에 따른 단말정보 및 단말스팩정보를 포함하는 등록단말정보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호처리서버(200)는, 하나의 방송재생장치(100)에 대응하여 여러 개의 단 말장치를 기 등록받을 수 있다. 이에, 호처리서버(200)의 착신전환제어부(220)는, 각각의 방송재생장치 별로, 기 등록된 여러 개의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각 단말정보(예 : 단말전화번호) 및 각 단말장치의 단말스팩정보(예 : 음성통화지원 여부, 영상통화지원 여부, SMS지원 여부, MMS지원 여부 등)을 포함하는 등록단말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등록단말정보에는, 사용자에 의한 단말장치 등록 시 해당 단말장치의 우선순위가 함께 등록되어, 여러 개의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각 단말정보(예 : 단말전화번호) 및 각 단말장치의 단말스팩정보(예 : 음성통화지원 여부, 영상통화지원 여부, SMS지원 여부, MMS지원 여부 등) 및 각 단말장치의 우선순위가 포함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에, 착신전환제어부(220)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착신전환상태 여부를 판단한 결과 방송재생장치(100)가 착신전환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방송재생장치(100)에 대응하는 등록단말정보에 기초하여 금번 호 착신 시도에 대응하는 호 착신이 가능한 스팩을 갖는 단말장치를 선택하고, 금번 호 착신 시도에 따른 호 착신을 선택된 단말장치(예 : 10)로 제공하도록 호인터페이스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착신전환제어부(220)는, 방송재생장치(100)에 대응하는 등록단말정보에 기초하여, 금번 호 착신 시도가 음성통화인 경우 음성통화를 지원하는 스팩의 단말장치 또는 음성통화를 지원하는 스팩의 단말장치 들 중 우선순위가 높은 단말장치를 선택할 수 있고, 금번 호 착신 시도가 영상통화인 경우 영상통화를 지원하는 스팩의 단말장치 또는 영상통화를 지원하는 스팩의 단말장치 들 중 우선순위가 높은 단말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착신전환제어부(220)는, 방송재생장치(100)에 대응하는 등록단말정보에 기초하여, 금번 호 착신 시도가 SMS인 경우 SMS를 지원하는 스팩의 단말장치 또는 SMS를 지원하는 스팩의 단말장치 들 중 우선순위가 높은 단말장치를 선택할 수 있고, 금번 호 착신 시도가 MMS인 경우 MMS를 지원하는 스팩의 단말장치 또는 MMS를 지원하는 스팩의 단말장치들 중 우선순위가 높은 단말장치를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착신전환제어부(220)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착신전환상태 여부를 판단한 결과 방송재생장치(100)가 착신전환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단말장치(10)로 호 착신을 제공하기에 앞서, 방송재생장치(100)로의 호 착신이 단말장치(10)로 전환될 것임을 알리는 착신전환알림메시지를 단말장치(10)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착신전환제어부(220)가 착신전환알림메시지를 단말장치(10)에 제공하도록 외부의 메시지서비스서버(300)에 요청함으로써, SMS 또는 MMS 형태의 착신전환알림메시지를 단말장치(10)로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단말장치(10)를 통해 착신전환알림메시지를 인지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단말장치(10)로부터 착신전환확인이 응답되면, 착신전환제어부(220)는, 금번 호 착신 시도에 따른 호 착신을 단말장치(10)로 제공하도록 호인터페이스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송재생장치에 대한 착신 전환 서비스 시스템은, 방송재생장치(100)로의 호 착신 시, 호처리서버(200)가 방송재생 장치(100)에 대응하는 상태정보(전원온/오프상태) 및/또는 호 착신에 따른 착신응답 회신 여부 및/또는 착신전환요청 회신 여부에 따른 착신전환상태 여부에 따라, 방송재생장치(100)에 대응하는 타 단말장치(10)로 호 착신을 전환함으로써, 방송재생장치(100)의 전화 통화 기능 가용 여부 및 사용자의 의도를 반영하여 타 단말장치(10)로의 착신전환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송재생장치에 대한 착신 전환 서비스 시스템은, 방송재생장치(100)로의 호 착신 시, 방송재생장치(100)의 상태 및 사용자의 의도를 반영하여 호 착신을 자동으로 타 단말장치(10)로 착신 전환함으로써, 방송재생장치(100)의 상태 및 방송 시청으로 인한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고려하면서도 전화 서비스를 중단 없이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방송재생장치에 대한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방송재생장치에 대한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방송재생장치에 대한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에 따르면, 호처리서버(200)는 외부로부터 소정 방송재생장치(100)로의 전화 서비스에 따른 호 착신 시도가 수신되면(S20), 방송재생장치(100)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착신전환상태 여부를 판단한다(S30).
여기서, 방송재생장치(100)는, IP기반으로 통신망(1)에 접속하여 컨텐츠를 요청/수신하여 방송 서비스를 재생하고, 전화 서비스를 위한 전화 통화 기능을 구비한 IPTV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방송재생장치(100)는, 전화 서비스를 위한 구성을 일체형으로 구비하여, 방송 서비스(예 : IPTV 서비스) 구성 및 전화 서비스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송재생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해 방송재생장치(100)의 전원이 켜짐에 따른 전원 턴온(Turn-On) 시, 전원온상태를 외부의 호처리서버(200)에 알리는 것이 바람직하다(S10). 이에, 호처리서버(200)에는, 적어도 하나의 방송재생장치 각각에 대응하는 상태정보(전원온상태 또는 전원오프상태)가 관리될 것이다. 이 경우, 본 발명의 방송재생장치에 대한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에 따르면, 호처리서버(200)는 S30단계에서 방송재생장치(100)에 대응하는 상태정보를 토대로 전원온상태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방송재생장치(100)의 착신전화상태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S30단계에서 방송재생장치(100)의 착신전화상태 여부를 판단한 결과, 착신전환상태인 경우 호처리서버(200)는 방송재생장치(100)에 대응하는 착신 전환처에 해당하는 단말장치(예 : 10)를 선택한다(S60). 즉, 호처리서버(200)는 방송재생장치(100)에 대응하여 선택된 착신 전환처 즉 방송재생장치(100)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단말장치(10)로 S20단계에 의한 호 착신 시도에 대응하는 호 착신을 제공한다(S70).
이에, S70단계를 통해 호처리서버(200)에 의한 호를 착신한 단말장치(10)는 호 착신됨을 착신링이나 또는 메시지 형태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것이 다(S74). 그리고, 단말장치(10)의 사용자의 선택(예 : 착신응답)따른 착신응답을 단말장치(10)가 호처리서버(200)로 회신하면(S76), 호처리서버(200)는 회신된 착신응답에 따라 발신처에 해당하는 단말장치(미도시) 및 방송재생장치(100)의 착신 전환처인 단말장치(10) 간의 통화로를 연계하여 상호 간의 통화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함으로써, 상호 간의 전화 서비스를 지원할 것이다. 이에, 발신처에 해당하는 단말장치(미도시) 및 방송재생장치(100)의 착신 전환처인 단말장치(10) 간의 전화 서비스(예 : 음성 통화)가 이루어질 것이다(S80).
한편, S30단계의 판단결과 방송재생장치(100)가 착신전환상태가 아닌 경우 호처리서버(200)는, S20단계에 의한 호 착신 시도에 대응하여 이미 방송재생장치(100)로 제공한 호 착신에 따른 착신응답 또는 방송재생장치(100)가 착신전환상태가 아니라고 판단한 이후에 방송재생장치(100)로 제공한 호 착신에 따른 착신응답 회신을 대기하여 방송재생장치(100)로부터 회신 받는다(S45). 즉, S20단계에 의한 호 착신 시도에 대응하는 호 착신을 방송재생장치(100)로 제공하여, 호 착신을 인지한 방송재생장치(100)의 사용자에 의해 착신응답이 선택됨에 따라 회신되는 착신응답을 대기하여 수신 받는다.
이에, 호처리서버(200)는 회신된 착신응답에 따라 발신처에 해당하는 단말장치(미도시) 및 방송재생장치(100) 간의 통화로를 연계하여 상호 간의 통화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함으로써, 상호 간의 전화 서비스를 지원할 것이다. 이에, 착신응답을 회신한 방송재생장치(100)에서는 호처리서버(200)를 통해 호 착신에 대응하는 전화 통화 기능을 실행한다. 따라서, 발신처에 해당하는 단말장치(미도시) 및 방송재생 장치(100) 간의 전화 서비스(예 : 음성 통화)가 이루어질 것이다(S50).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송재생장치(100)의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재생장치(100)의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방송재생장치(100)의 전원이 켜짐에 따른 전원 턴온(Turn-On)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100), 전원 턴온 시 전원온상태를 외부의 호처리서버(200)에 알린다(S110). 물론, 본 발명에 따른 방송재생장치(100)의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은, 전원 오프(Turn-Off) 시에도 전원오프상태를 호처리서버(200)에 알릴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방송재생장치(100)의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은, 전화 서비스에 따른 호 착신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20). 즉 본 발명에 따른 방송재생장치(100)의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은, 발신처에 해당하는 단말장치(미도시)가 방송재생장치(100)로의 전화(음성통화 또는 영상통화) 또는 메시지(SMS 또는 MMS)를 발신함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호 착신이 호처리서버(200)를 통해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방송재생장치(100)의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은, 호 착신 시 호 착신됨을 착신링이나 또는 메시지 형태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알린다(S130). 이에, 방송재생장치(100)를 통해 방송을 시청하고 있던 사용자는 호 착신을 인지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방송재생장치(100)의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은, 호 착신됨을 출력하는 동안 호 착신을 인지한 사용자에 의해 착신전환이 선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40).
이에, 착신전환이 선택되면, 본 발명에 따른 방송재생장치(100)의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은, 착신 전환처를 선택하기 위한 단말장치선택메뉴을 표시한다(S150).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방송재생장치(100)의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기 등록되어 저장된 복수개의 단말정보에 대응하는 항목들을 나열한 단말장치리스트를 단말장치선택메뉴로서 표시할 수 있고, 또는 사용자에 의해 단말정보 즉 단말전화번호를 직접 입력하도록 유도하는 단말정보입력창을 단말장치선택메뉴로서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단말장치리스트에서 소정 단말정보에 대응하는 항목이 선택되거나 또는 단말정보입력창에서 소정 단말정보가 입력됨에 따라, 단말장치선택메뉴를 통해 사용자가 단말장치를 선택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송재생장치(100)의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은, 선택된 해당 단말장치의 단말정보(예 : 단말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착신전환요청을 호처리서버(200)로 제공할 수 있다(S153).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방송재생장치(100)의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은, 착신전환요청을 호처리서버(200)로 제공한 후 S130단계와 같은 호 착신 출력을 중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156).
한편, S140단계에서 호 착신됨을 출력하는 동안 호 착신을 인지한 사용자에 의해 착신전환이 선택되지 않는 경우는, 호 착신을 인지한 사용자가 금번 호 착신에 착신응답을 선택하여 전화(음성통화 또는 영상통화)를 받거나 또는 메시지(SMS 또는 MMS)를 수신/확인하는 경우, 혹은 호 착신을 인지한 사용자가 금번 호 착신에 착신응답을 선택하지 않은 채 무시하는 경우일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방송재생장치(100)의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은, S140단계에서 착신전환이 선택되지 않으면 사용자에 의해 착신응답이 선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60).
이때, 판단결과 착신응답이 선택되지 않으면 호 착신을 인지한 사용자가 금번 호 착신에 착신응답을 선택하지 않은 채 무시하는 경우이므로, 본 발명에 따른 방송재생장치(100)의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은, 호 착신됨을 착신링이나 또는 메시지 형태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알리는 동작만을 유지할 것이다.
한편, S160단계의 판단결과 착신응답이 선택되면, 호 착신을 인지한 사용자가 금번 호 착신에 착신응답을 선택하여 전화(음성통화 또는 영상통화)를 받거나 또는 메시지(SMS 또는 MMS)를 수신/확인하는 경우이므로, 본 발명에 따른 방송재생장치(100)의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은, 사용자의 선택(예 : 착신응답)에 따른 금번 호 착신에 대응하는 착신응답을 호처리서버(200)로 회신/제공하고(S170), 호처리서버(200)를 통해 통화데이터(예 : 음성통화, 영상통화, 단문메시지(SMS), 멀티미디어메시지(MMS) 등)를 상대방에 해당하는 단말장치(미도시)와 송수신하는 일반적인 전화 통화 기능을 수행할 것이다(S175). 따라서, 발신처에 해당하는 단말장치(미도시) 및 방송재생장치(100) 간의 전화 서비스(예 : 음성통화, 영상통화, 단문메시지(SMS), 멀티미디어메시지(MMS) 등)가 이루어질 것이다(S50).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호처리서버(200)의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처리서버(200)의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호처리서버(200)의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방송재생장치에 대응하는 상태정보를 관리한다(S200). 즉, 본 발명에 따른 호처리서버(200)의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은, 방송재생장치(100)로부터 전원 턴온(Turn-On) 시 제공되는 전원온상태를 인지하여 관리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호처리서버(200)의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방송재생장치 각각에 대응하는 상태정보(전원온상태 또는 전원오프상태)가 관리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호처리서버(200)의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방송재생장치 각각에 대응하여, 해당 방송재생장치(100)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에 따른 단말정보 및 단말스팩정보를 포함하는 등록단말정보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호처리서버(200)의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은, 하나의 방송재생장치(100)에 대응하여 여러 개의 단말장치를 기 등록받을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호처리서버(200)의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은, 각각의 방송재생장치 별로, 기 등록된 여러 개의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각 단말정보(예 : 단말전화번호) 및 각 단말장치의 단말스팩정보(예 : 음성통화지원 여부, 영상통화지원 여부, SMS지원 여부, MMS지원 여부 등)을 포함하는 등록단말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등록단말정보에는, 사용자에 의한 단말장치 등록 시 해당 단말장치의 우선순위가 함께 등록되어, 여러 개의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각 단말정보(예 : 단말전 화번호) 및 각 단말장치의 단말스팩정보(예 : 음성통화지원 여부, 영상통화지원 여부, SMS지원 여부, MMS지원 여부 등) 및 각 단말장치의 우선순위가 포함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호처리서버(200)의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은, 방송재생장치(100)로의 호 착신 시도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10). 이에, 본 발명에 따른 호처리서버(200)의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은, 방송재생장치(100)로의 호 착신 시도가 수신되면, 즉 발신처에 해당하는 단말장치(미도시)에서 방송재생장치(100)로의 발신이 선택됨에 따른 해당 방송재생장치(100)로의 호 착신 시도가 수신되면, 방송재생장치(200)에 대응하는 착신전환상태 여부를 판단한다(S220).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호처리서버(200)의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은, 관리되는 상태정보 중 방송재생장치(100)에 대응하는 상태정보를 토대로 전원오프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방송재생장치(100)의 착신전환상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20).
이에, 본 발명에 따른 호처리서버(200)의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은, 전원오프상태라고 판단됨에 따라 방송재생장치(100)가 착신전환상태라고 판단되면, 방송재생장치(100)에 대응하는 등록단말정보에 기초하여 금번 호 착신 시도에 대응하는 호 착신이 가능한 스팩을 갖는 단말장치를 선택한다(S230). 이에, 본 발명에 따른 호처리서버(200)의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은, 방송재생장치(100)에 대응하는 등록단말정보에 기초하여, 금번 호 착신 시도가 음성통화인 경우 음성통화를 지원하는 스팩의 단말장치 또는 음성통화를 지원하는 스팩의 단말장치 들 중 우선순위가 높 은 단말장치를 선택할 수 있고, 금번 호 착신 시도가 영상통화인 경우 영상통화를 지원하는 스팩의 단말장치 또는 영상통화를 지원하는 스팩의 단말장치 들 중 우선순위가 높은 단말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호처리서버(200)의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은, 방송재생장치(100)에 대응하는 등록단말정보에 기초하여, 금번 호 착신 시도가 SMS인 경우 SMS를 지원하는 스팩의 단말장치 또는 SMS를 지원하는 스팩의 단말장치 들 중 우선순위가 높은 단말장치를 선택할 수 있고, 금번 호 착신 시도가 MMS인 경우 MMS를 지원하는 스팩의 단말장치 또는 MMS를 지원하는 스팩의 단말장치들 중 우선순위가 높은 단말장치를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호처리서버(200)의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은, 방송재생장치(100)로의 호 착신이 단말장치(10)로 전환될 것임을 알리는 착신전환알림메시지를 S230단계에서 선택된 단말장치(10)로 제공한다(S235).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호처리서버(200)의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은, 착신전환알림메시지를 단말장치(10)에 제공하도록 외부의 메시지서비스서버(300)에 요청함으로써, SMS 또는 MMS 형태의 착신전환알림메시지를 단말장치(10)로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단말장치(10)를 통해 착신전환알림메시지를 인지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단말장치(10)로부터 착신전환확인이 응답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240), 착신전환확인이 응답되면 본 발명에 따른 호처리서버(200)의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은, 금번 호 착신 시도에 따른 호 착신을 단말장치(10)로 제공한다(S245).
이에, 본 발명에 따른 호처리서버(200)의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은, 방송재생장치(100)로의 호 착신 시도에 대응하는 호 착신을 단말장치(10)로 제공함에 따 른 착신응답이 단말장치(10)로부터 회신되는지 판단하여(S250), 착신응답이 회신되면 발신처에 해당하는 단말장치(미도시) 및 단말장치(10) 간의 통화로를 연계하여 상호 간의 통화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함으로써, 상호 간의 전화 서비스를 지원할 것이다(S260).
한편, S220단계의 판단결과, 방송재생장치(100)에 대응하는 상태정보가 전원온상태임에 따라 착신전환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본 발명에 따른 호처리서버(200)의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은, 방송재생장치(100)로의 호 착신 시도에 대응하는 호 착신을 방송재생장치(100)로 제공할 것이고(S270), 이에 방송재생장치(100)에서는, 호가 착신됨을 착신링이나 또는 메시지 형태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것이다.
이에, 방송재생장치(100)로의 호 착신 시도에 대응하는 호 착신을 착신 전환 없이 방송재생장치(100)로 제공함에 따른 착신응답이 방송재생장치(100)로부터 회신되는지 판단하여(S250), 착신응답이 회신되면 발신처에 해당하는 단말장치(미도시) 및 방송재생장치(100) 간의 통화로를 연계하여 상호 간의 통화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함으로써, 상호 간의 전화 서비스를 지원할 것이다(S260).
이하에서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호처리서버(200)의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호처리서버(200)의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방송재생장치 각각에 대응하여, 해당 방송재생장치(100)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에 따른 단말정보 및 단말스팩정보를 포함하는 등록단말정보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호처리서버(200)의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은, 하나의 방송재생장치(100)에 대응하여 여러 개의 단말장치를 기 등록받을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호처리서버(200)의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은, 각각의 방송재생장치 별로, 기 등록된 여러 개의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각 단말정보(예 : 단말전화번호) 및 각 단말장치의 단말스팩정보(예 : 음성통화지원 여부, 영상통화지원 여부, SMS지원 여부, MMS지원 여부 등)을 포함하는 등록단말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등록단말정보에는, 사용자에 의한 단말장치 등록 시 해당 단말장치의 우선순위가 함께 등록되어, 여러 개의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각 단말정보(예 : 단말전화번호) 및 각 단말장치의 단말스팩정보(예 : 음성통화지원 여부, 영상통화지원 여부, SMS지원 여부, MMS지원 여부 등) 및 각 단말장치의 우선순위가 포함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호처리서버(200)의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은, 방송재생장치(100)로의 호 착신 시도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00). 이에, 본 발명에 따른 호처리서버(200)의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은, 방송재생장치(100)로의 호 착신 시도가 수신되면, 즉 발신처에 해당하는 단말장치(미도시)에서 방송재생장치(100)로의 발신이 선택됨에 따른 해당 방송재생장치(100)로의 호 착신 시도가 수신되면, 호 착신 시도에 대응하는 호 착신을 방송재생장치(100)로 제공한다(S310).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호처리서버(200)의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은, 방송재생장치(200)에 대응하는 착신전환상태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호처리서버(200)의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은, S310단계에서 호 착신을 방송재생장치(100)로 제공함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착신전환요청이 방송재생장치(100)로부터 회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S320), 방송재생장치(100)의 착신전환상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착신전환요청이 회신됨에 따라 방송재생장치(100)가 착신전환상태라고 판단되면, 본 발명에 따른 호처리서버(200)의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은, 착신전환요청에 포함된 단말정보(예 : 단말전화번호)를 인지한다(S325).
한편, S320단계의 판단결과 착신전환요청이 회신되지 않으면, 본 발명에 따른 호처리서버(200)의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은, S310단계에서 호 착신을 방송재생장치(100)로 제공함에 따른 착신응답이 방송재생장치(100)로부터 기 설정된 소정시간(예 : 60초) 이내에 회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S330), 방송재생장치(100)의 착신전환상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소정시간(예 : 60초) 이내에 착신응답이 회신되지 않음에 따라 방송재생장치(100)가 착신전환상태라고 판단되면, 본 발명에 따른 호처리서버(200)의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은, 방송재생장치(100)에 대응하는 등록단말정보에 기초하여 금번 호 착신 시도에 대응하는 호 착신이 가능한 스팩을 갖는 단말장치를 선택한다(S340). 물론, 본 발명에 따른 호처리서버(200)의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은, S325단계에서 착신전환요청에 단말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S340단계와 같이 방송재생장치(100)에 대응하는 등록단말정보에 기초하여 금번 호 착신 시도에 대응하는 호 착신이 가능한 스팩을 갖는 단말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호처리서버(200)의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은, 방송재 생장치(100)에 대응하는 등록단말정보에 기초하여, 금번 호 착신 시도가 음성통화인 경우 음성통화를 지원하는 스팩의 단말장치 또는 음성통화를 지원하는 스팩의 단말장치 들 중 우선순위가 높은 단말장치를 선택할 수 있고, 금번 호 착신 시도가 영상통화인 경우 영상통화를 지원하는 스팩의 단말장치 또는 영상통화를 지원하는 스팩의 단말장치 들 중 우선순위가 높은 단말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호처리서버(200)의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은, 방송재생장치(100)에 대응하는 등록단말정보에 기초하여, 금번 호 착신 시도가 SMS인 경우 SMS를 지원하는 스팩의 단말장치 또는 SMS를 지원하는 스팩의 단말장치 들 중 우선순위가 높은 단말장치를 선택할 수 있고, 금번 호 착신 시도가 MMS인 경우 MMS를 지원하는 스팩의 단말장치 또는 MMS를 지원하는 스팩의 단말장치들 중 우선순위가 높은 단말장치를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호처리서버(200)의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은, 방송재생장치(100)로의 호 착신이 단말장치(10)로 전환될 것임을 알리는 착신전환알림메시지를 S340단계에서 선택된 또는 S325단계에서 인지된 단말장치(10)로 제공한다(S350).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호처리서버(200)의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은, 착신전환알림메시지를 단말장치(10)에 제공하도록 외부의 메시지서비스서버(300)에 요청함으로써, SMS 또는 MMS 형태의 착신전환알림메시지를 단말장치(10)로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단말장치(10)를 통해 착신전환알림메시지를 인지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단말장치(10)로부터 착신전환확인이 응답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360), 착신 전환확인이 응답되면 본 발명에 따른 호처리서버(200)의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은, 금번 호 착신 시도에 따른 호 착신을 단말장치(10)로 제공한다(S370).
이에, 본 발명에 따른 호처리서버(200)의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은, 방송재생장치(100)로의 호 착신 시도에 대응하는 호 착신을 단말장치(10)로 제공함에 따른 착신응답이 단말장치(10)로부터 회신되는지 판단하여(S380), 착신응답이 회신되면 발신처에 해당하는 단말장치(미도시) 및 단말장치(10) 간의 통화로를 연계하여 상호 간의 통화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함으로써, 상호 간의 전화 서비스를 지원할 것이다(S390).
한편, S330단계의 판단결과, 소정시간(예 : 60초) 이내에 착신응답이 회신됨에 따라 방송재생장치(100)가 착신전환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본 발명에 따른 호처리서버(200)의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은, 방송재생장치(100)로부터 회신된 착신응답에 따라 발신처에 해당하는 단말장치(미도시) 및 방송재생장치(100) 간의 통화로를 연계하여 상호 간의 통화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함으로써, 상호 간의 전화 서비스를 지원할 것이다(S39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송재생장치에 대한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은, 방송재생장치(100)로의 호 착신 시, 호처리서버(200)가 방송재생장치(100)에 대응하는 상태정보(전원온/오프상태) 및/또는 호 착신에 따른 착신응답 회신 여부 및/또는 착신전환요청 회신 여부에 따른 착신전환상태 여부에 따라, 방송재생장치(100)에 대응하는 타 단말장치(10)로 호 착신을 전환함으로써, 방송재생장치(100)의 전화 통화 기능 가용 여부 및 사용자의 의도를 반영하여 타 단말장 치(10)로의 착신전환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송재생장치에 대한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은, 방송재생장치(100)로의 호 착신 시, 방송재생장치(100)의 상태 및 사용자의 의도를 반영하여 호 착신을 자동으로 타 단말장치(10)로 착신 전환함으로써, 방송재생장치(100)의 상태 및 방송 시청으로 인한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고려하면서도 전화 서비스를 중단 없이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방송재생장치로의 호 착신 시, 호처리서버가 해당 방송재생장치에 대응하는 상태정보(전원온/오프상태) 및/또는 호 착신에 따른 착신응답 회신 여부 및/또는 착신전환요청 회신 여부에 따른 착신전환상태 여부에 따라, 방송재생장치에 대응하는 타 단말장치로 호 착신을 전환함으로써, 방송재생장치의 전화 통화 기능 가용 여부 및 사용자의 의도를 반영하여 타 단말장치로의 착신전환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방송재생장치에 대한 착신 전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적용할 경우, 방송시청 환경 및 전화 서비스 환경 개선,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존중 및 만족도 측면에서 매우 큰 진보를 가져올 수 있으며, 적용되는 방송재생장치, 호처리서버 및 서 비스 솔루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송재생장치에 대한 착신 전환 서비스 시스템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송재생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호처리서버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송재생장치에 대한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송재생장치의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호처리서버의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호처리서버의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통신망 10 : 단말장치
100 : 방송재생장치 200 : 호처리서버
300 : 메시지서비스서버

Claims (1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전화 서비스에 따른 호 착신 시도에 대응하는 호 착신을 해당 착신처로 제공하여, 상기 착신처 및 해당 발신처 간의 통화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는 호인터페이스부; 및
    외부로부터 소정 방송재생장치로의 호 착신 시도가 수신되면, 상기 방송재생장치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착신전환상태 여부에 따라 상기 호 착신 시도에 대응하는 호 착신을 기 등록된 단말장치로 제공하도록 상기 호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착신전환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착신전환제어부는,
    상기 방송재생장치에 대응하는 착신전환상태 여부를 판단한 결과 착신전환상태인 경우, 상기 방송재생장치의 등록단말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호 착신 시도에 대응하는 호 착신이 가능한 스팩을 갖는 단말장치로 상기 호 착신을 제공하도록 상기 호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처리서버.
  6. 제 5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방송재생장치에 대응하는 상태정보를 관리하는 상태정보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착신전환제어부는,
    상기 상태정보관리부의 상기 방송재생장치에 대응하는 상태정보를 토대로 전원오프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착신전환상태 여부를 판단하고, 전원오프상태에 따른 착신전환상태인 경우 상기 호 착신 시도에 따른 호 착신을 상기 방송재생장치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단말장치로 제공하도록 상기 호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처리서버.
  7. 전화 서비스에 따른 호 착신 시도에 대응하는 호 착신을 해당 착신처로 제공하여, 상기 착신처 및 해당 발신처 간의 통화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는 호인터페이스부; 및
    외부로부터 소정 방송재생장치로의 호 착신 시도가 수신되면, 상기 방송재생장치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착신전환상태 여부에 따라 상기 호 착신 시도에 대응하는 호 착신을 기 등록된 단말장치로 제공하도록 상기 호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착신전환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착신전환제어부는,
    상기 호인터페이스부가 상기 호 착신 시도에 따른 호 착신을 상기 방송재생장치로 제공함에 따른 착신응답이 상기 방송재생장치로부터 기 설정된 소정시간 이내에 회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착신전환상태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소정시간 이내에 착신응답이 회신되지 않음에 따른 착신전환상태인 경우 상기 호 착신 시도에 따른 호 착신을 상기 방송재생장치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단말장치로 제공하도록 상기 호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처리서버.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전환제어부는,
    상기 호인터페이스부가 상기 호 착신 시도에 따른 호 착신을 상기 방송재생장치로 제공함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착신전환요청이 상기 방송재생장치로부터 회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착신전환상태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착신전환요청이 수신됨에 따른 착신전환상태인 경우 상기 호 착신 시도에 따른 호 착신을 상기 착신전환요청에 포함된 단말정보에 해당하는 단말장치로 제공하도록 상기 호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처리서버.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외부로부터 소정 방송재생장치로의 호 착신 시도가 수신되면, 상기 방송재생장치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착신전환상태 여부를 판단하는 착신전환상태 판단단계;
    판단결과 착신전환상태인 경우, 상기 호 착신 시도에 대응하는 호 착신을 상기 방송재생장치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착신 전환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착신 전환단계는,
    상기 방송재생장치에 대응하는 착신전환상태 여부를 판단한 결과 착신전환상태인 경우, 상기 방송재생장치의 등록단말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호 착신 시도에 대응하는 호 착신이 가능한 스팩을 갖는 단말장치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호 착신을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처리서버의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전환상태 판단단계는,
    상기 방송재생장치에 대응하는 상태정보를 토대로 전원오프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착신전환상태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처리서버의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
  14. 외부로부터 소정 방송재생장치로의 호 착신 시도가 수신되면, 상기 방송재생장치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착신전환상태 여부를 판단하는 착신전환상태 판단단계;
    판단결과 착신전환상태인 경우, 상기 호 착신 시도에 대응하는 호 착신을 상기 방송재생장치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착신 전환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착신전환상태 판단단계는,
    상기 방송재생장치로의 호 착신 시도가 수신되면 상기 호 착신 시도에 따른 호 착신을 상기 방송재생장치로 제공함에 따른 착신응답이 상기 방송재생장치로부터 기 설정된 소정시간 이내에 회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착신전환상태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처리서버의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상기 방송재생장치로의 호 착신 시도가 수신되면, 상기 호 착신 시도에 대응하는 호 착신을 상기 방송재생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착신전환상태 판단단계는,
    상기 방송재생장치로부터 상기 호 착신에 대응하여 착신전환요청이 상기 방송재생장치로부터 회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착신전환상태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처리서버의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전환단계는,
    상기 착신전환요청이 수신됨에 따른 착신전환상태인 경우, 상기 호 착신 시도에 대응하는 호 착신을 상기 착신전환요청에 포함된 단말정보에 해당하는 단말장 치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처리서버의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
KR1020090102685A 2009-10-28 2009-10-28 방송재생장치에 대한 착신 전환 서비스 시스템 및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 KR1015578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2685A KR101557842B1 (ko) 2009-10-28 2009-10-28 방송재생장치에 대한 착신 전환 서비스 시스템 및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2685A KR101557842B1 (ko) 2009-10-28 2009-10-28 방송재생장치에 대한 착신 전환 서비스 시스템 및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5928A KR20110045928A (ko) 2011-05-04
KR101557842B1 true KR101557842B1 (ko) 2015-10-06

Family

ID=44240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2685A KR101557842B1 (ko) 2009-10-28 2009-10-28 방송재생장치에 대한 착신 전환 서비스 시스템 및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78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9359A (ko) 2013-02-01 2014-08-12 (주)휴맥스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5928A (ko) 2011-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40311B2 (ja) 通信装置、サーバ装置および通信制御方法
EP2073538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103581605A (zh) 视频通话的多屏互动方法及视频通话中转装置
CN107466457B (zh) 降低用户设备温度的方法、装置、基站和用户设备
JP2010081436A (ja) 無線通信システム、携帯通信端末、表示装置および着信確認方法
KR100977812B1 (ko)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3세대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JP2004080289A (ja) 通信装置
WO2020232711A1 (zh) 业务切换方法及装置
WO2020223931A1 (zh) 小区切换方法及装置、切换配置方法及装置和用户设备
KR101557842B1 (ko) 방송재생장치에 대한 착신 전환 서비스 시스템 및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
US11968322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of call implementation
JP2020053971A (ja) 情報プッシュ先端末を選択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2005136879A (ja) 視聴システム
KR101043168B1 (ko) 착신거절 장치 및 방법
CN111800836B (zh) 一种通信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TW201427382A (zh) 通訊轉接系統及方法
KR101178924B1 (ko)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전화 착신 알림 서비스 시스템
KR101252273B1 (ko) 컨텐츠 재생에 따른 착신 처리 시스템 및 착신 처리 방법
JP4591295B2 (ja) 移動体通信の待ち受け方式と移動体通信装置
WO2020215278A1 (zh) 网络切换资源确定方法和网络切换资源配置方法
KR10072166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투 넘버 서비스 운용 시스템 및 방법
WO2015123927A1 (zh) 通信转移方法、通信方法、通信终端及通信系统
US2011022185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telephony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14786058B (zh) 多媒体数据展示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KR101291580B1 (ko) 무선 네트워크 공유 기반의 전화 착신 알림 서비스 장치 및 이를 통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