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7662B1 - 발자국 화석 발굴 방법 - Google Patents

발자국 화석 발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7662B1
KR101557662B1 KR1020140069461A KR20140069461A KR101557662B1 KR 101557662 B1 KR101557662 B1 KR 101557662B1 KR 1020140069461 A KR1020140069461 A KR 1020140069461A KR 20140069461 A KR20140069461 A KR 20140069461A KR 101557662 B1 KR101557662 B1 KR 1015576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ssil
frame
excavating
footprint
suppor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9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수
Original Assignee
김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수 filed Critical 김경수
Priority to KR1020140069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76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7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7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0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 B28D1/08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with saw-blades of endless cutter-type, e.g. chain saws, i.e. saw chains, strap saws
    • B28D1/086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with saw-blades of endless cutter-type, e.g. chain saws, i.e. saw chains, strap saws consisting of strap s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7/00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 B28D7/04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for supporting or holding work or conveying or discharging work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CMINING OR QUARRYING
    • E21C25/00Cutting machines, i.e. for making slits approximately parallel or perpendicular to the seam
    • E21C25/16Machines slitting solely by one or more rotating saws, cutting discs, or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자국 화석 발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발굴부를 확정한 후 주변 지역을 절개하여 작업 공간을 형성한 후 와이어 소를 발굴부 둘레를 감싼 채 당겨 절단하면서 저부에 버팀목을 끼워 넣고 그 사이로 강재 지지부재를 설치한 후, 지지부재를 기초로 한 프레임을 형성함으로써 발굴지의 원형을 최대한 유지한 채 전시장 등으로 이송하여 전시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발자국 화석 발굴 방법{Fossil footprints excavating method}
본 발명은 공룡, 익룡, 새 발자국 등과 같은 발자국 화석의 발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와이어 소(wire saw)와 프레임을 이용하여 화석 주변의 암반이 그대로 포함된 화석을 간편하게 운반하여 전시 등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화석 발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화석의 발굴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구체적으로, 공룡의 뼈와 같이 실체가 있는 입체적인(3차원적인) 화석은 화석이 포함된 지층을 발견한 후, 화석을 캐낸 다음 석고로 화석을 감싸 굳힌 후 석고를 떼어내고 골격 주변의 암석을 제거한 후 뼈 화석을 맞추어 전시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반면, 땅에 눌려 형성된 자국과 같은 형태의 평면적인(2차원적인) 성격이 강한 발자국 화석은 일반적으로 발굴 대상의 범위가 넓고, 단단한 암반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공룡 등이 걸어간 발자국 화석(보행렬)을 넓고 길게 발굴하여야 할 필요성이 많다.
그런데, 후자의 방법을 적용함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소형, 좁은 범위의 발자국 화석은 작은 크기로 절단함에 있어 무리가 없으나, 대형, 넓은 범위의 발자국 화석이나 발굴 지역에 대량으로 발자국 화석이 분포하여 이를 보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발굴 및 운반 등의 과정에 어려움이 있는 바, 발굴을 포기하거나 여러 개의 불규칙한 조각으로 절단하여 운반한 후 재조립하여 전시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불규칙한 여러 조각으로 절단 후 재조립하는 과정에서 발자국 화석 표본에 많은 손상이 가해지고, 조각이 분실되는 등 재조립 후에도 완전한 발자국 화석 전시가 불가능하였다. 이와 같이 발자국 화석을 훼손하게 되므로 학술적 보존 가치를 떨어뜨리게 되고 재조립 과정에서 작업 실수 등으로 인해 암반에 다수의 균열이 발생하거나 떨어져 나갈 경우 전시가 불가능한 정도로까지 훼손되어 버리는 문제점도 있었다.
발자국 화석 발굴과 관련된 기술로는 “공룡발자국 발굴 국내 첫 기계식 작업 진행(부산일보, 2007.11.14)”이 공개되어 있다. 이 방법은 공룡 발자국 화석을 발굴하기 위하여 발자국 화석이 포함된 상부의 암반을 하부의 암반과 분리하는 방법으로 와이어 소를 적용한 것이다. 그러나 와이어 소를 이용하여 상부와 하부의 암반을 분리만 한 것으로 운반을 위한 안전하고 편리한 별도의 방법을 제시하지 못한 바 있다.
이러한 문제점 해소와 관련된 기술로 발자국 화석이 아닌 유구를 대상으로 하는 “유구 이전 복원 형틀 및 이를 이용한 유구 이전복원 방법”(등록특허공보 제10-1143254호, 특허 문헌 1)이 있다. 이는 토양층에 보존된 유구를 복원 형틀을 제작하여 이전하는 기술이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1은 단단한 암반이 아닌 부드러운 토양에 위치하는 유구를 이전의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작업 과정과 작업에 사용되는 도구 및 장비가 상이하며, 이로 인해 유구를 분할하여 절단, 이송하는 과정을 거치는 바, 결과적으로 유구를 손상시킨 채 이송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1143254 (2012.04.29)
본 발명의 발자국 화석 발굴 방법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대형 발자국 화석이나 화석군이 포함된 암반 또는 지층을 여러 개의 조각으로 분리하지 않으면서 그대로 수장고 또는 전시장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석의 손상을 방지하여 학술적 가치를 높이고, 연구 및 전시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특히, 와이어 소를 이용한 절개를 통해 이송될 발굴부에 진동 및 충격을 최소화하여 절단 과정에서 발굴부에 크랙이 발생하거나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하려는 것이다.
더불어, 와이어 소를 이용한 절단 과정에서 지지부재를 발굴부 하부에 끼워넣고, 그 상부로 수직부재를 연결하고, 연결부재를 연결함으로써 발굴부를 감싸는 프레임을 형성하고, 이를 크레인 등을 활용하여 인양 및 운송함으로써 운반 과정에서 발굴부의 하중이 고르게 분산되어 운반 및 이송 과정에서 크랙 발생 및 파손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또, 작업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주변암석파쇄 및 발굴부 저면을 절단하는 단계가 끝날 때마다 부직포 및 방수 비닐을 씌우는 한편, 금속의 밴딩부재로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밴딩함으로써 크랙의 생성을 방지하고, 발생한 크랙이나 깨진 조각이 발굴부 표면에서 떨어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려는 것이다.
또한, 프레임 형성 후 지지부재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보조지지부재를 설치함으로써 발굴부 하중에 의한 지지부재의 처짐을 방지하려는 것이다.
더불어, 유동방지부재를 발굴부 측벽면에 밀착 설치함으로써 견인 및 이송 과정에서 발굴부의 유동을 방지하여 손상을 최소화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발자국 화석 발굴 방법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자국 화석(10)이 발견된 화석 발견지(20)의 상부 퇴적암(30)을 제거하는 퇴적암제거단계와; 퇴적암(30)이 제거된 발견지(20)에서 발자국 화석의 분포를 조사하여 발굴부(40)를 확정하는 발굴부확정단계와; 상기 발굴부(40) 표면에 부직포(41)를 덮은 다음 다이아몬드 소를 이용하여 주변의 암석을 절단 및 파쇄하여 발굴부(40) 주변에 작업공간(50)을 형성하되, 발굴부(40) 일측면의 작업공간(50)은 발굴부(40)의 폭에 해당하는 길이를 갖도록 하는 주변암석파쇄단계와; 상기 발굴부(40) 상부와 측부 표면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부직포(42)와 방수 비닐(43)을 덮은 다음 발굴부(40)의 측면을 금속 밴딩부재(44)로 수평 방향으로 감싸 밴딩하는 수평밴딩단계와; 와이어 소(60)를 준비한 후 와이어 소(60)를 이용하여 상기 발굴부(40)의 하단부를 절단하되, 절단과 더불어 절단된 발굴부(40)의 하부에 다수의 버팀목(71)을 서로 이격시켜 삽입하고, 버팀목(71) 사이로 강재 지지부재(70)를 삽입하여 발굴부(40) 하부를 지지하도록 하되, 지지부재(70)의 양측 단부가 발굴부(40)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절단및지지부재삽입단계와; 상기 발굴부(40) 표면을 부직포(45)와 방수 비닐(46)로 감싼 뒤, 상기 발굴부(40)를 금속 밴딩부재(47)로 수직 방향으로 감싸 밴딩하는 수직밴딩단계와; 지지부재(70)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지지부재(70)들의 단부를 연결하는 하부연결부재(91)를 설치한 후, 하부연결부재(91)의 상부로 수직부재(92)를 연결 설치한 후, 수직부재(92)들 상단을 연결하는 상부연결부재(93)를 설치하여 프레임(90)을 형성하는 프레임형성단계와; 상기 프레임(90)을 상방향으로 견인한 후, 일측으로 기울인 후 상기 지지부재(70)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다수의 보조지지부재(100)를 연결 설치하는 프레임보강단계와; 상기 프레임(90)을 이송하는 이송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보강단계 이후에, 기울인 프레임(90)을 지면과 평행하게 위치시켜 발굴부(40)가 프레임(90) 중앙에 위치하도록 한 후, 양단의 지지부재(70) 사이를 연결하되, 일측면이 발굴부(40)에 밀착되어 프레임(90)의 유동을 방지하는, 강재로 이루어진 유동방지부재(80)를 추가로 설치하는 유동방지단계;가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대형 발자국 화석이나 화석군이 포함된 암반 또는 지층을 여러 개의 조각으로 절개하지 않으면서 그대로 수장고 또는 전시장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발자국 화석의 손상을 방지하여 학술적 가치를 높이고, 연구 및 전시, 교육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와이어 소를 이용한 절개를 통해 이송될 발굴부에 진동 및 충격을 최소화하여 절단 과정에서 발굴부에 크랙이 발생하거나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와이어 소를 이용한 절단 과정에서 지지부재를 발굴부 하부에 끼워넣고, 그 상부로 수직부재를 연결하고, 연결부재를 연결함으로써 발굴부를 감싸는 프레임을 형성하고, 이를 크레인 등을 활용하여 인양 및 운송함으로써 운반 과정에서 발굴부의 하중이 고르게 분산되어 운반 및 이송 과정에서 크랙 발생 및 파손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 작업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주변암석파쇄 및 발굴부 저면을 절단하는 단계가 끝날 때마다 부직포 및 방수 비닐을 씌우는 한편, 금속의 밴딩부재로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밴딩함으로써 크랙의 생성을 방지하고, 발생한 크랙이나 깨진 조각이 발굴부 표면에서 떨어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프레임 형성 후 지지부재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보조지지부재를 설치함으로써 발굴부 하중에 의한 지지부재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유동방지부재를 발굴부 측벽면에 밀착 설치함으로써 견인 및 이송 과정에서 발굴부의 유동을 방지하여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퇴적암제거단계 전의 발자국 화석 발견지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퇴적암제거단계가 진행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발굴부확정단계에 의해 발굴부가 확정되어 마킹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주변암석파쇄단계에 의해 발굴부 주변에 작업공간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수평밴딩단계가 진행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절단및지지부재삽입단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절단및지지부재삽입단계를 마무리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수직밴딩단계가 진행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프레임형성단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서 프레임보강단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서 유동방지단계가 진행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발자국 화석 발굴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1. 퇴적암제거단계
발자국 화석(10)이 발견된 화석 발견지(20)의 상부 퇴적암(30)을 제거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퇴적암제거단계 전의 발자국 화석 발견지(20)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로, 화석 발견지(20)는 일부 퇴적암만 제거된 상태에서 화석(10)이 발견되면, 도 2와 같이 발자국 화석 발견지(20) 상부에 있는 퇴적암(30)을 제거한다.
이때, 포크레인 등과 같은 장비 및 인력을 이용하여 퇴적암을 제거할 수 있다.
2. 발굴부확정단계
퇴적암(30)이 제거된 발견지(20)에서 발자국 화석의 분포를 조사하여 발굴부(40)를 확정한다.
확정된 발굴부(40)는 도 3과 같이 펜과 같은 마킹 수단을 이용하여 그 둘레를 마킹 처리함이 바람직하다.
발굴부(40)의 확정, 전후에는 항공 사진 촬영, 3D 스캔 등과 같은 작업을 실시하고, 발굴부(40) 표면의 발자국 화석(10) 위에 아스테지를 도포한 후 발자국 화석(10) 위에 화석의 형태를 펜으로 드로잉할 수 있다.
더불어, 발굴 과정에서의 훼손에 대비하여 중요한 발자국 화석 표품을 선택적으로 선정하여 알지네이트, 석고, 라텍스, 실리콘 등을 이용하여 복제품을 제작할 수도 있다.
3. 주변암석파쇄단계
상기 발굴부(40) 표면에 부직포(41)를 덮은 다음 다이아몬드 소를 이용하여 주변의 암석을 절단 및 파쇄하여 발굴부(40) 주변에 작업공간(50)을 형성하되, 발굴부(40) 일측면의 작업공간(50)은 지지부재를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발굴부(40)의 폭에 해당하는 길이를 갖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후술하는 절단및지지부재삽입단계를 진행하기 위하여,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발굴부(40) 외부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폭 30 ~ 100cm, 높이 20 ~ 50 cm 정도로 원형 다이아몬드 소를 활용하여 암석을 절단 및 파쇄하여 발굴부(40) 주변에 작업공간(50)을 형성한다.
공지의 절단기나 파쇄기를 사용하지 않는 것은 절단 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으로 인해 발굴부(40)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원형 다이아몬드 소를 이용한 절단은 발굴부(40) 경계를 수직으로 절단하고, 그로부터 외곽으로 이격된 지점을 수직으로 절단한 다음 그 사이에 있는 암반을 정이나 굴착기 등을 이용하여 제거한다.
이때, 작업공간(50)을 형성할 때, 지지부재(70)를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발굴부(40)의 한쪽 측면에 발굴부(40)의 폭에 해당하는 넓이만큼 작업공간(50)을 확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또한, 절단에 앞서 발굴부(40) 상부에 부직포(41) 등을 덮어 표면을 보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수평밴딩단계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발굴부(40) 상부와 측부 표면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부직포(42)와 방수 비닐(43)을 덮은 다음 발굴부(40)의 측면을 금속 밴딩부재(44)로 수평 방향으로 감싸 밴딩한다.
발굴부(40)를 부직포(42)와 방수 비닐(43)로 덮은 후 금속 밴딩부재(44)로 수평 방향으로 감싸 밴딩하게 되면 절단 및 파쇄 후 화석을 보호하고, 발굴부(40)의 측벽면에 크랙이 발생하면서 이탈되거나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5. 절단및지지부재삽입단계
와이어 소(60)를 준비한 후 와이어 소(60)를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상기 발굴부(40)의 하단 둘레에 감싸 설치한 후 발굴부(40)의 일측 하단으로부터 점차 당기면서 절단한다.
이때, 절단과 동시에 절단된 발굴부(40)의 하부에 다수의 버팀목(71)을 서로 이격시켜 삽입한다.
더불어, 절단이 진행되는 중 또는 절단이 끝난 후 상기 버팀목(71) 사이로 강재 지지부재(70)를 삽입하여 발굴부(40) 하부를 지지하도록 한다.
절단 및 지지부재(70)의 삽입이 종료된 상태는 도 7의 상태와 같으며, 도시된 것처럼 지지부재(70)의 양측 단부가 발굴부(40)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강재 지지부재(70)는 각관, H형강 등 발굴부의 하중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와이어 소를 이용한 절단은 여타의 일반적인 절단 방법에 비해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어 발굴부(40) 표면에 크랙이 발생하거나, 깨지는 등의 현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6. 수직밴딩단계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발굴부(40) 표면을 부직포(45)와 방수 비닐(46)로 감싼 뒤, 상기 발굴부(40)를 금속 밴딩부재(47)로 수직 방향으로 감싸 밴딩한다.
수직으로 다시 한번 밴딩하는 것은 발굴부(40)의 저면이 암반과 이탈되고, 서로 이격된 지지부재(70)들에 의해 하중이 지지된 상태가 되어 지지부재(70)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 부분에 하중이 부담되는 것과 더불어, 와이어 소를 통한 절단 과정에서 크랙이 발생한 경우 발굴부(40) 저면에 크랙이 발생하거나 암반 조각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부직포(45)와 방수 비닐(46)은 암반 조각의 이탈을 방지하고, 수분 침투를 막는 것이고, 밴딩부재(47)로 밴딩하는 것은 크랙이 있는 경우 작은 충격에도 발굴부(40)가 조각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라 할 것이다.
상기한 수평밴딩단계나 수직밴딩단계 이전에 발굴부(40) 표면에 크랙이 있는 경우에는 접착제를 발라 균열을 보강할 수 있다.
7. 프레임형성단계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지지부재(70)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지지부재(70)들의 단부를 연결하는 하부연결부재(91)를 설치한 후, 하부연결부재(91)의 상부로 수직부재(92)를 연결 설치한 후, 수직부재(92)들 상단을 연결하는 상부연결부재(93)를 설치하여 프레임(90)을 형성한다.
도 9를 보면, 나란히 배치된 지지부재(70) 양측 단부를 연결하는 두 개의 하부연결부재(91)가 설치되고, 각 하부연결부재(91)들은 수직부재(92)가 상방향으로 연결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 각 수직부재(92) 상단을 연결하는 상부연결부재(93)가 도시되어 있다.
각 하부연결부재(91) 단부 및 상부연결부재(93) 단부를 연결하는 미표기된 강재가 설치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때, 각 부재간의 연결은 볼팅 방법, 용접 등 다양한 방법으로 조립 연결할 수 있다.
8. 프레임보강단계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90)을 상방향으로 견인한 후, 일측으로 기울인 후 상기 지지부재(70)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다수의 보조지지부재(100)를 연결 설치한다.
보조지지부재(100)를 설치하는 것은 암반인 발굴부(40) 하중에 의해 지지부재(70)들이 처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특히, 보조지지부재를 지지부재(70)와 연결, 특히 용접 작업할 때 프레임을 기울임에 따라 빈 공간에서 작업을 하여 발굴부(40) 및 이를 감싼 부직포나 방수 비닐과 이격되어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보강단계 이후에, 기울인 프레임(90)을 지면과 평행하게 위치시켜 발굴부(40)가 프레임(90) 중앙에 위치하도록 한 후, 양단의 지지부재(70) 사이를 연결하되, 일측면이 발굴부(40) 측벽면에 밀착되어 발굴부(40)의 유동을 방지하는, 강재로 이루어진 유동방지부재(80)를 추가로 설치하는 유동방지단계;가 추가로 진행될 수 있다.
이러한 유동방지부재(80)를 설치하게 되면, 발굴부(40)가 프레임(90) 상에서 유동이 방지되어 이동시 발생하는 흔들림이나 충격으로부터 발굴부(40) 표면이 깨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상기 유동방지단계를 진행한 후 프레임(90)을 기울인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발굴부(40)가 유동되지 않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9. 이송단계
상기 프레임(90)을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목적지로 이송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발자국 화석 발굴 방법은 발굴하고자 하는 화석 전체를 별도의 해체 작업 없이 하나의 판으로 발굴할 수 있게 된다.
또, 와이어 소의 사용, 부직포 및 방수 비닐의 사용 및 밴딩 작업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해체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석의 훼손과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해체에 사용되는 인력과 장비, 시간 등을 절약함으로써 발굴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더불어, 발굴된 화석을 보관할 때, 프레임이 이미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겹쳐 쌓을 수 있어서 보관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며, 복원과 전시 작업을 실시할 때, 해체된 화석 표본을 하나하나 재조합하는 과정이 없이 적절한 위치를 선정한 후 프레임의 상부와 측면만 해체함으로써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10 : 화석 20 : 발견지
30 : 퇴적암 40 : 발굴부
41, 42, 45 : 부직포
43, 46 : 방수 비닐
44, 47 : 밴딩부재
50 : 작업공간 60 : 와이어 소
70 : 지지부재 71 : 버팀목
80 : 유동방지부재 90 : 프레임
91 : 하부연결부재 92 : 수직부재
93 : 상부연결부재 100 : 보조지지부재

Claims (2)

  1. 발자국 화석 발굴 방법에 있어서,
    발자국 화석(10)이 발견된 화석 발견지(20)의 상부 퇴적암(30)을 제거하는 퇴적암제거단계와;
    퇴적암(30)이 제거된 발견지(20)에서 발자국 화석의 분포를 조사하여 발굴부(40)를 확정하는 발굴부확정단계와;
    상기 발굴부(40) 표면에 부직포(41)를 덮은 다음 다이아몬드 소를 이용하여 주변의 암석을 절단 및 파쇄하여 발굴부(40) 주변에 작업공간(50)을 형성하되, 발굴부(40) 일측면의 작업공간(50)은 발굴부(40)의 폭에 해당하는 길이를 갖도록 하는 주변암석파쇄단계와;
    상기 발굴부(40) 상부와 측부 표면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부직포(42)와 방수 비닐(43)을 덮은 다음 발굴부(40)의 측면을 금속 밴딩부재(44)로 수평 방향으로 감싸 밴딩하는 수평밴딩단계와;
    와이어 소(60)를 준비한 후 와이어 소(60)를 이용하여 상기 발굴부(40)의 하단부를 절단하되, 절단과 더불어 절단된 발굴부(40)의 하부에 다수의 버팀목(71)을 서로 이격시켜 삽입하고, 버팀목(71) 사이로 강재 지지부재(70)를 삽입하여 발굴부(40) 하부를 지지하도록 하되, 지지부재(70)의 양측 단부가 발굴부(40)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절단및지지부재삽입단계와;
    상기 발굴부(40) 표면을 부직포(45)와 방수 비닐(46)로 감싼 뒤, 상기 발굴부(40)를 금속 밴딩부재(47)로 수직 방향으로 감싸 밴딩하는 수직밴딩단계와;
    지지부재(70)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지지부재(70)들의 단부를 연결하는 하부연결부재(91)를 설치한 후, 하부연결부재(91)의 상부로 수직부재(92)를 연결 설치한 후, 수직부재(92)들 상단을 연결하는 상부연결부재(93)를 설치하여 프레임(90)을 형성하는 프레임형성단계와;
    상기 프레임(90)을 상방향으로 견인한 후, 일측으로 기울인 후 상기 지지부재(70)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다수의 보조지지부재(100)를 연결 설치하는 프레임보강단계와;
    상기 프레임(90)을 이송하는 이송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발자국 화석 발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보강단계 이후에, 기울인 프레임(90)을 지면과 평행하게 위치시켜 발굴부(40)가 프레임(90) 중앙에 위치하도록 한 후, 양단의 지지부재(70) 사이를 연결하되, 일측면이 발굴부(40)에 밀착되어 프레임(90)의 유동을 방지하는, 강재로 이루어진 유동방지부재(80)를 추가로 설치하는 유동방지단계;가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자국 화석 발굴 방법.
KR1020140069461A 2014-06-09 2014-06-09 발자국 화석 발굴 방법 KR101557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9461A KR101557662B1 (ko) 2014-06-09 2014-06-09 발자국 화석 발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9461A KR101557662B1 (ko) 2014-06-09 2014-06-09 발자국 화석 발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7662B1 true KR101557662B1 (ko) 2015-10-06

Family

ID=54345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9461A KR101557662B1 (ko) 2014-06-09 2014-06-09 발자국 화석 발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766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254B1 (ko) 2011-02-10 2012-05-14 성덕모 유구 이전복원 형틀 및 이를 이용한 유구 이전복원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254B1 (ko) 2011-02-10 2012-05-14 성덕모 유구 이전복원 형틀 및 이를 이용한 유구 이전복원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5942771B2 (ja) 傾斜壁用壁面パネル
CN105735344B (zh) 圆形基坑内衬墙的逆作法
KR101557662B1 (ko) 발자국 화석 발굴 방법
JP2006169915A (ja) 既存杭の鉛直載荷試験方法
JP2016084608A (ja) 蛇篭及びその蛇篭で構築された蛇篭構造体
CN204551491U (zh) 一种边坡防护绿化结构
KR101845199B1 (ko) 유구 원형 이전 및 지형 복원 방법
KR102022563B1 (ko) 철근용 결속헤드를 이용한 성토구간 설치장치
CN106894421A (zh) 基坑内支撑梁的拆除方法
CN205975653U (zh) 一种土胎模施工的独立承台结构
JP2018115492A (ja) 覆工エレメント
JP2014227767A (ja) 落石防止柵
KR101245252B1 (ko) 자연석을 이용한 석축 시공방법 및 석축 시공을 위한 시공석 유닛
JP6684314B2 (ja) 橋脚撤去工法
KR101143254B1 (ko) 유구 이전복원 형틀 및 이를 이용한 유구 이전복원 방법
JP6562271B2 (ja) 滑動抵抗板が設置された空積みブロック擁壁の施工法
JPH04213625A (ja) 急斜面の支え構造
JP6045336B2 (ja) 貯留浸透施設およびそれを備えた側溝構造体
CN108571009A (zh) 一种全盖挖逆作地铁车站侧墙施工方法
CN104631474A (zh) 一种边坡防护绿化结构
CN219631865U (zh) 地下室施工回填土过筛装置
JP6508960B2 (ja) 仕切型枠
KR200474632Y1 (ko) 지하 연속벽의 안정액 저장용 싸일로 탱크에 설치되는 접이식 사다리 기구
CN105887809B (zh) 大直径人工挖孔桩的施工方法
JP5314083B2 (ja) 門型構造自由勾配既設暗渠側溝改築工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コンクリート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