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7619B1 - 고주파 치료장치 - Google Patents

고주파 치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7619B1
KR101557619B1 KR1020150067625A KR20150067625A KR101557619B1 KR 101557619 B1 KR101557619 B1 KR 101557619B1 KR 1020150067625 A KR1020150067625 A KR 1020150067625A KR 20150067625 A KR20150067625 A KR 20150067625A KR 101557619 B1 KR101557619 B1 KR 101557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load electrode
output
user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7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두
Original Assignee
(주)하배런메디엔뷰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배런메디엔뷰티 filed Critical (주)하배런메디엔뷰티
Priority to KR1020150067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76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7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7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6Electrodes for high-frequency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8Arrangements or circuits for monitoring, protecting, controlling or indic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5Implantable neurostimulators for stimulating central or peripheral nerve system
    • A61N1/36125Details of circuitry or electric compon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5Implantable neurostimulators for stimulating central or peripheral nerve system
    • A61N1/36128Control systems
    • A61N1/36142Control systems for improving safe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 중 특정 부위의 온도를 상승시켜 혈관 확장에 따른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면역체계를 활성화하고, 피부미용과 비만치료 등에 효과가 있는 고주파 치료장치에 있어서, 사용 중(신체접촉 여부가 감지되었을 때)에만 출력이 이루어져 안전하고 열감이 뛰어난 고주파 치료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하여 열을 발생하는 부하전극, 상기 부하전극에 대한 접지를 제공하는 통전전극,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모듈, 상기 부하전극에 출력전압을 인가하는 출력모듈 및 상기 출력모듈의 출력전압 인가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출력모듈은 부하전극의 사용자 신체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부하감지부를 포함하여, 부하전극이 사용자 신체에 접촉 할 때에만 상기 출력모듈이 상기 부하전극에 출력전압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주파 치료장치{HIGH-FREQUENCY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 중 특정 부위의 온도를 상승시켜 혈관 확장에 따른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면역체계를 활성화하고, 피부미용과 비만치료 등에 효과가 있는 고주파 치료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 중(신체접촉 여부가 감지되었을 때)에만 출력이 이루어져 안전하고 열감이 뛰어난 고주파 치료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달하는 경제수준에 따라 사람들은 더 이상 물질적인 풍요에 집착하지 않게 되었다. 최근 웰빙 바람과 더불어 건강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는 추세에 따라, 미용, 건강 등의 이슈는 더 이상 사람들에게 2차적인 요소가 아니다.
이러한 현대인들에게 식생활 문화의 변화와 운동 부족 등으로 인한 각 종 성인성 질병은 반드시 관리와 치료를 해야 하는 문제로 자리 잡고 있으며, 이러한 치료 방법으로 고주파 치료가 널리 활용되고 있다.
고주파 치료는 사용자의 신체 중 특정 부위의 온도를 상승시켜 혈관 확장에 따른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면역체계를 활성화하고, 피부미용과 비만치료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현재 의학, 한의학, 미용, 비만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고주파 치료를 제공하는 치료장치에 대한 종래기술은 다음과 같다.
먼저 등록특허 제10-1009322호 (2011년01월12일) [고주파 전기치료기](종래기술1)에는 고주파 전기치료기는 인체에서 발생하는 열이 도자로 전도될 때 그 전도되는 열을 비접촉 방식으로 체크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본체로부터 출력되는 일정한 출력전압에 대한 출력전류량을 체크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를 통해 비접촉방식으로 체크되는 인체의 온도, 그리고 도자의 크기 및 인체의 인피던스에 따른 최적의 출력조건(예; 통전전류의 최적 출력상태)으로 인체에 대한 고주파 치료가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사용상 부주의에 따른 화상과 같은 문제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는 한편, 편리하고 안전하게 고주파 전기치료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더불어 고주파핸들과 전극도자의 결합력을 증대시켜, 고주파 전기치료기의 오작동을 방지하는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1의 경우, 인체와 접촉하지 않고 전극도자에 전도되는 인체의 열을 감지하는 온도감지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온도의 감지는 기본적으로 센서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센서를 통한 사용자의 신체 접촉 감지는 제어모듈(또는 이에 대응하는 구성)과 센서를 연결하는 와이어(도선)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부하전극(도자)과 하우징을 연결하는 케이블에 와이어를 함께 몰딩하여 사용하여야한다. 이 때문에 케이블은 일정 이상의 굵기를 가져야만 하고, 이는 결과적으로 케이블의 굵기에 따른 자재 낭비, 사용자의 불편, 거치 및 보관의 불편 등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 신체 접촉 감지를 센서를 통해서 하는 경우, 이 센서는 반드시 부하전극(도자)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하거나 또는 직접 접촉하지 않더라도 사용자의 신체에 근접하게 위치해야 하는데, 이는 부하전극(도자)을 구성하는 구성물에 의해 제약을 받을 수 있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어, 부하전극(도자) 구성물 선택의 폭이 좁다는 점, 또한 부하전극(도자)의 구성물에 따라 센서를 제한적으로 선택할 수밖에 없다는 점 등은 제품개발 및 생산에 있어 부담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1081474호 (2011년11월02일) [고주파 치료기](종래기술2)와, 등록특허 제10-1451960호 (2014년10월10일) [인체 피부로 인가되는 고주파 전원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휴대용 고주파 치료기](종래기술3)가 있는데,
종래기술2의 경우에는 컨트롤부를 통한 출력의 조절이 이루어지는데, 이는 출력의 세기를 조절하기 위해 도선, 즉 사용자의 신체 근접 위치에 적용되고,
종래기술3의 경우에는 세기조절부를 통해 이루어지는데, 이는 사용자의 버튼누름에 대한 동작인 것으로 두 종래기술 모두 상기한 종래기술1에서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상기 종래기술1 내지 3에 제시된 기술에서의 핵심은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출력량의 조절에 있는 반면,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되지 않는 경우 출력을 즉시 끊어버리는 확실한 안전 보장 수단의 필요성이 재고되는 바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부하감지부를 통해 사용 중(신체접촉 여부가 감지되었을 때)에만 출력이 이루어져, 사용자의 부주의 또는 기타 사유로 인해 발생되는 스파크 현상(사용자의 신체에서 부하전극이 이격되어 스파크가 발생하는 현상)등과 같은 사고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부하전극(도자)의 변화되는 온도를 측정하는 방식의 불확실성을 개선하여 보다 정확한 값인 부하전극의 변화하는 부하 값을 통해 사용자의 신체 접촉 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통해 오작동을 방지 및 정확한 감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아울러 안정화회로를 구비하여 보다 안정적인 감지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장치 사용 중에도 발생하는 스파크 등과 같은 사고에 대해 즉각적이고 민감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하여 열을 발생하는 부하전극, 상기 부하전극에 대한 접지를 제공하는 통전전극,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모듈, 상기 부하전극에 출력전압을 인가하는 출력모듈 및 상기 출력모듈의 출력전압 인가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출력모듈은 부하전극의 사용자 신체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부하감지부를 포함하여, 부하전극이 사용자 신체에 접촉 할 때에만 상기 출력모듈이 상기 부하전극에 출력전압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하감지부는 전압이 인가되는 1차코일, 상기 1차코일로부터의 유도전류에 의해 상기 부하전극에 출력전압을 인가하는 2차코일 및, 상기 2차코일로부터 피드백을 받는 3차코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피드백은 부하전극의 사용자 신체 접촉 시, 변화되는 부하전극의 저항에 의한 상기 2차코일로부터의 유도전류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부하감지부는 상기 3차코일의 출력단에 직렬로 구비된 제1저항 및 순방향 제1다이오드, 상기 제1저항 및 제1다이오드의 출력단에 병렬로 구비된 제1캐패시터 및 제2저항, 상기 제2저항의 출력단에 각각 병렬로 연결된 제2캐패시터, 제3저항, 제2다이오드로 이루어진 안정화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동작 과정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및 회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 중 특정 부위의 온도를 상승시켜 혈관 확장에 따른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면역체계를 활성화하고, 피부미용과 비만치료 등에 효과가 있는 고주파 치료장치(T)를 제시함과 더불어, 사용 중(신체접촉 여부가 감지되었을 때)에만 출력이 이루어져 안전하고 열감이 뛰어난 고주파 치료장치(T)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치료장치(T)(이하 본 치료장치(T))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일반적인 고주파 치료장치의 구성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크게 도자로 대표되는 부하전극(1), 전극플레이트로 대표되는 통전전극(2), 내부 회로 구성을 갖는 하우징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부하전극(1)은 발열이 이루어지는 구성이고, 통전전극(2)은 전압 인가를 위한 접지를 제공하는 구성이고, 하우징에 구비된 내부 구성은 장치마다 다르게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치료장치(T) 역시, 위의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본 발명의 특징은 하우징에 구비된 내부 구성에 있으므로 부하전극(1), 통전전극(2), 하우징 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나, 이는 당업자(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얼마든지 이해하고 실시할 수 있는 수준에 불과한 것이다.(각 구성의 대략적인 구조는 도 2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을 갖는 고주파 치료장치는 크게 한쪽 부하전극(일렉트로이드)을 절연하고, 다른 쪽 통전전극(전극 플레이트)은 절연하지 않은 금속성 판을 몸에 접촉하는 방식인 CET(Capacity Electirc Transfer)방식과, 양쪽에 접촉된 부하전극(일렉트로이드)과 반대 통전전극(접지 플레이트) 사이의 조직 중앙으로부터 전자활동이 가속화되어 생체열이 발생하도록 하는 RET(Resistive Electric Transfer)방식으로 나누어진다.
이하에서 설명하고자하는 본 치료장치(T)는 CET방식을 적용하여 제작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나, 당업자의 실시에 따라 RET방식으로 제작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대략적인 동작 과정을 도시한 과정도이다. 도 1을 통해 본 발명의 대한 개관을 개시한다.
(S100, S200)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치료장치(T)는 교류전원을 인가받아, PFC(Power Factor Correction)단계를 거친다.
PFC회로는 교류전원(AC)을 직류전원(DC)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정류 회로의 순시 정전대응이나 입력 전원의 리플을 감소키는 회로로, 정류부(31)와 함께 구비되어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고, 이 직류전원을 본 치료장치(T)에 공급한다.(정류부(31)의 구성은 도 2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이러한 PFC단계에서는 과전류 방지를 위한 보호회로가 동작함을 도 1을 통해 알 수 있듯이, 보호회로를 통해 고전압으로 동작하는 고주파 치료장치(T) 사용 시 발생될 수 있는 스파크 현상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S300) 다음단계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치료장치(T)는 DC/DC 변환단계를 거친다.
이 단계는 도 2에 도시된 변환부(33), 전원공급부(35), 구동전원부(37) 등에 의해 이루어지며, 정류된 직류 전원을 각 구성에 맞게 전압을 조절하여 제공하는 단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전압의 조절단계에서도 역시 보호회로가 작동하여 과전압 및 과전류를 방지하고, 이러한 보호회로는 상기한 정류단계와 연계되어 제품의 안정화를 제공한다.
또한 이러한 보호회로를 통해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발생되는 스파크현상, 또는 사용자의 신체와 부하전극(1) 간의 유격에 의해 발생되는 스파크현상 나아가 발생한 스파크에 의한 전선 단락 등의 불량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고, 또한 이러한 보호회로는 사용 중에도 전원모듈(3)로부터 별도로 전원을 공급받아, 오작동에 의한 피해도 방지할 수 있다.
(S400) 다음단계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치료장치(T)는 제어단계를 거치는데, 이 단계는 도 2에서 도시된 출력모듈(4)을 제어하는 제어모듈(5)에 의해 이루어지고, 특징적으로는, 출력모듈(4)의 출력을 PWM(Pulse Width Modulation)방식에 의해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WM은 주기가 일정한 삼각파 또는 톱니파 등과 같은 펄스를 삽입하여 펄스와 입력신호 간의 중첩 또는 비중첩에 의해 생성되는 듀티(Duty)를 변화시켜 제어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따라서 PWM방식에 의하면 입력신호의 레벨을 변화하는 것만으로 출력을 조절할 수 있어, 부하전극(1)에서 발생하는 열감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또한 전력 소비의 낭비가 없는 동작이 실현될 수 있으며, 동작의 안정성을 위한 모든 출력에 대한 제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S500) 마지막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치료장치(T)는 출력단계를 거친다.
이 단계에서는 본 발명의 핵심 특징을 이루는 사용자의 신체 접촉 시에만 출력을 발생시켜 '조건 제한적 출력'이 수행된다. 특히 이러한 '조건 제한적 출력'은 상기한 보호회로와 더불어 사용자의 안전 도모와 제품 불량 억제 효과를 갖는다.
상기한 '조건 제한적 출력'을 위해 출력모듈(4)을 부하감지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이 부하감지부(40)는 본 발명의 핵심을 이루는 것으로 도 2를 참고하여 이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도 2는 본 치료장치(T)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및 회로도이다. 도 2에서는 상기한 부하감지부(40)의 구성이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먼저, 본 치료장치(T) 이루는 구성을 총괄적으로 언급하면,
본 치료장치(T)의 출력단에는 부하전극(1)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된 부하전극(1)은 전압이 인가되면 열을 발생하여 치료를 수행한다.
또한 본 치료장치(T)의 접지단에는 통전전극(2)이 구비되어 있는데, 이 통전전극(2)은 접지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접지의 제공은 사용자의 신체 타 부위(열 발생 부위 외)에 접촉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치료장치(T)는 PFC회로, 정류부(31), 변환부(33), 전원공급부(35), 구동전원부(37)를 포함하는 전원모듈(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PFC회로는 회로의 안정성을 부가하고, 정류부(31)는 교류전원을 평활하여 직류전원으로 변환한다.
또한 변환부(33)는 정류부(31)로부터 평활된 직류전원을 기준전압으로 변환한다.
아울러 전원공급부(35)는 변환부(33)로부터 인가된 기준전압을 갖는 직류전원을 각 모듈 및 각 부에 동작을 위해, 해당하는 전압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 구동전원부(37)는 변환부(33)로부터 인가된 기준전압을 갖는 직류전원을 동력을 갖는 동력모듈에 해당하는 전압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데, 특히 구동전원부(37)를 구비한 것은 동력모듈에서 필요로 하는 전압이 기타 모듈의 전압에 비해 고압을 필요로 하므로, 따로 구분하여 전원공급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전원모듈(3)의 보다 구체적인 회로 구성에 대한 설명은 당업자라면 얼마든지 이해하고 추론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 2에는 본 발명의 핵심인 출력모듈(4)의 부하감지부(40)의 실시가 도시되어 있다.
이 부하감부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조건 제한적 출력'을 위한 핵심 구성인데, 이하에서는 도 2를 참고하고 필요에 따라 도 1을 참고하여, 이러한 부하감지부(40)의 실시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부하감지부(40)는 부하전극(1)의 사용자 신체 접촉 여부를 감지하여, 부하전극(1)이 사용자 신체에 접촉 할 때에만 출력모듈(4)이 상기 부하전극(1)에 출력전압을 인가하도록 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종래기술에서 이러한 부하감지부(40)는 압력센서, 빛감지센서, 체온감지센서 등과 같이 센서(Sensor)로 이루어지는데 반해, 본 치료장치(T)는 부하감지부(40)를 하우징 내 구비되는 회로에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의 센서를 통한 사용자의 신체 접촉 감지는 제어모듈(5)과 센서를 연결하는 와이어(도선)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부하전극(1)과 하우징을 연결하는 케이블에 와이어를 함께 몰딩하여 사용하였다. 이 때문에 케이블은 일정 이상의 굵기를 가져야만 했고, 이는 결과적으로 케이블의 굵기에 따른 자재 낭비, 사용자의 불편, 거치 및 보관의 불편 등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치료장치(T) 이러한 부하감지부(40)를 하우징(또는 본체) 내 회로에 구비하여 와이어의 굵기에 대한 제약을 극복하였다.
또한 별도의 센서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그만큼 원가 절감의 효과도 가지고 있으며, 특히 의료용으로 사용되는 장비 특성 상 민감한 감지를 요하기 때문에 이런 센서는 고가의 제품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이는 가격경쟁력에서 불리한 조건으로 작용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센서의 생략은 단순한 효과가 아닌 제품의 경쟁력 면에서 탁월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 신체 접촉 감지를 센서를 통해서 하는 경우, 이 센서는 반드시 부하전극(1)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하거나 또는 직접 접촉하지 않더라도 사용자의 신체에 근접하게 위치해야 하는데, 이는 부하전극(1)을 구성하는 구성물에 의해 제약을 받을 수 있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어, 부하전극(1) 구성물 선택의 폭이 좁다는 점, 또한 부하전극(1)의 구성물에 따라 센서를 제한적으로 선택할 수밖에 없다는 점 등은 제품개발 및 생산에 있어 부담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본 치료장치(T)는 하우징 내 회로에 구비되어 있다는 점에서 상기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부하감지부(40)는 센서를 사용하지 않고도 사용 중 사용자의 신체와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여 안정성을 도모하고, 나아가 사용자 신체와의 유격에 의한 스파크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덧붙여, 본 발명에서의 부하감지부(40)는 부하전극(1)이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할 때, 변화되는 저항 값을 통해 신체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것으로, 각 종 부하전극(1)의 부하(저항) 초기 값에 대한 자료들을 취합하여 데이터화하고, 이 부하 초기 값에 대한 자료는 회로 구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으로, 다양한 제품에 다양한 회로에 대해 대응되는 데이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부하감지부(40)의 구성은 도 2 우측 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압이 인가되는 1차코일(L1), 이 1차코일(L1)로부터의 유도전류에 의해 부하전극(1)에 출력전압을 인가하는 2차코일(L2) 및, 이 2차코일(L2)로부터 피드백을 받는 3차코일(L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를 통한 사용자의 신체 접촉 감지 과정을 설명하면, 1차코일(L1)에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전류가 발생하고, 이와 자속결합되어 있는 2차코일(L2)은 유도전류가 발생하여 일정 전압이 인가된다. 그리고 2차코일(L2)에 인가된 전압은 안정적으로 부하전극(1)으로 인가되어, 부하전극(1)의 저항 값에 따라 열을 발생시킨다. 상기 1차코일(L1) 및 2차코일(L2)의 자속 결합은 변압기의 그것과 대동소이한 것이다.
다음으로 3차코일(L3)은 2차코일(L2)과 자속결합되어 있는데, 부하전극(1)이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됨에 따라 저항 값이 변하고, 이에 1차코일(L1)로부터의 유도전류의 값이 변화함에 따라 3차코일(L3)에 유도전류가 발생하게 된다.
이후 3차코일(L3)에 발생한 유도전류에 의해 부하감지부(40)의 출력단에 전압을 생성하고, 이 전압에 의한 신호가 제어모듈(5)로 전송되어 사용자의 신체 접촉 여부를 알려준다. 사용자의 신체 접촉이 이루어졌다는 신호를 전달 받으면 제어모듈(5)을 출력모듈(4)이 부하전극(1)으로 전원을 출력하게 한다.
그러나 만약 사용자의 부주의 또는 기타 사유에 의해 부하전극(1)이 사용자의 신체에서 떨어지게 되면, 부하전극(1)의 저항 값이 초기 값으로 변하게 되고, 이는 다시 2차코일(L2)에 걸리는 전압을 변화시켜 3차코일(L3)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킨다. 부하감지부(40)는 이러한 전압의 변화 신호를 제어모듈(5)에 전송하고 제어모듈(5)은 신호를 전달 받아 출력모듈(4)이 부하전극(1)으로 전원을 출력하는 동작을 멈추게끔 한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출력제한은 각 종 부하전극(1)의 초기 부하 값을 미리 정해놓고, 부하전극(1)의 초기 부하 값이 입력되는 경우 출력을 제한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부하전극(1)의 초기 부하 값은 테스트를 통해 오차 범위를 설정하여 초기 부하 값을 범위화하여 세팅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도 2에서는 추가적으로 부하감지부(40)의 출력단과 제어모듈(5)로의 전송단 사이에 구비된 안정화회로(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러한 안정화회로(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차코일(L3)의 출력단에 직렬로 구비된 제1저항(R1) 및 순방향 제1다이오드(D1), 제1저항(R1) 및 제1다이오드(D1)의 출력단에 병렬로 구비된 제1캐패시터(C1) 및 제2저항(R2), 이 제2저항(R2)의 출력단에 각각 병렬로 연결된 제2캐패시터(C2), 제3저항(R3), 역방향 제2다이오드(D2)로 이루어진다.
특히 이 안정화회로(400)는 본 치료장치(T)의 사용 중 발생할 수 있는 과전류 또는 과전압을 방지할 수 있고, 또는 제어모듈(5)로의 신호 전송을 보다 안정감 있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 본 고주파 치료장치
1: 부하전극 2: 통전전극
3: 전원모듈 4: 출력모듈
40: 부하감지부 400: 안정화회로

Claims (3)

  1.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하여 열을 발생하는 부하전극;
    상기 부하전극에 대한 접지를 제공하는 통전전극;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모듈;
    상기 부하전극에 출력전압을 인가하는 출력모듈; 및
    상기 출력모듈의 출력전압 인가를 제어하는 제어모듈;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출력모듈은 부하전극의 사용자 신체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부하감지부를 포함하여, 부하전극이 사용자 신체에 접촉 할 때에만 상기 출력모듈이 상기 부하전극에 출력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부하감지부는
    전압이 인가되는 1차코일,
    상기 1차코일로부터의 유도전류에 의해 상기 부하전극에 출력전압을 인가하는 2차코일 및,
    상기 2차코일로부터 피드백을 받는 3차코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피드백은 부하전극의 사용자 신체 접촉 시, 변화되는 부하전극의 저항에 의한 상기 2차코일로부터의 유도전류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부하감지부는
    상기 3차코일의 출력단에 직렬로 구비된 제1저항 및 순방향 제1다이오드,
    상기 제1저항 및 제1다이오드의 출력단에 병렬로 구비된 제1캐패시터 및 제2저항,
    상기 제2저항의 출력단에 각각 병렬로 연결된 제2캐패시터, 제3저항, 제2다이오드로 이루어진 안정화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치료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50067625A 2015-05-14 2015-05-14 고주파 치료장치 KR101557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7625A KR101557619B1 (ko) 2015-05-14 2015-05-14 고주파 치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7625A KR101557619B1 (ko) 2015-05-14 2015-05-14 고주파 치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7619B1 true KR101557619B1 (ko) 2015-10-07

Family

ID=54344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7625A KR101557619B1 (ko) 2015-05-14 2015-05-14 고주파 치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761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4362B1 (ko) * 2019-08-19 2021-01-18 주식회사 요즈마비엠텍 스파크 차단 기능을 구비하는 고주파 치료기
WO2022086119A1 (ko) * 2020-10-20 2022-04-28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미세전류 자극 마사지를 제공하는 마사지 장치 및 마사지 장치의 동작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8048A (ja) 1998-09-28 2000-04-07 Omron Corp 生体検知装置
JP2011194173A (ja) * 2010-03-24 2011-10-06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美容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8048A (ja) 1998-09-28 2000-04-07 Omron Corp 生体検知装置
JP2011194173A (ja) * 2010-03-24 2011-10-06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美容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4362B1 (ko) * 2019-08-19 2021-01-18 주식회사 요즈마비엠텍 스파크 차단 기능을 구비하는 고주파 치료기
WO2022086119A1 (ko) * 2020-10-20 2022-04-28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미세전류 자극 마사지를 제공하는 마사지 장치 및 마사지 장치의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191200A1 (en) Inductive power transfer
AU2013353815B2 (en) Hair styling apparatus
KR100757642B1 (ko) 스위칭 레귤레이터 및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996699B2 (en) Receiving unit, transmission unit,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JP2011520571A (ja) 誘導加熱アプリケータシステム
KR200397295Y1 (ko) 전극구분기능과 온도제어기능을 갖춘 고주파 전기치료기
KR101557619B1 (ko) 고주파 치료장치
TW200614639A (en) Synchronous rectification switching power supply circuit
US8585619B2 (en) Advanced handable skin care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H0613167A (ja) 高周波誘導加熱調理機の出力補償回路
CN109224289B (zh) 皮神经刺激器组
TW201519927A (zh) 電位治療器
KR100987046B1 (ko) 프리 볼트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온열 매트
CN103676536B (zh) 电源控制装置及图像形成装置
JP4311178B2 (ja) 誘導加熱装置
JPH07169563A (ja) 高圧/低圧分離装置を備えるインバーター調理器
KR200431523Y1 (ko) 배터리 충전 장치
KR101031040B1 (ko) 자기 치료기용 전압 생성 장치 및 자기 치료기
KR101626033B1 (ko) 전위 치료 장치
JP4882482B2 (ja) 電力供給装置
KR20080028690A (ko) 온열 매트 제어 장치 및 방법
CN211986678U (zh) 一种电疗刺激仪
KR20210099821A (ko) 유도 가열 장치
TWI631971B (zh) Potential therapy device
KR100266515B1 (ko)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한 충전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