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7470B1 - 절개조립품을 갖는 포장박스 - Google Patents

절개조립품을 갖는 포장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7470B1
KR101557470B1 KR1020140088893A KR20140088893A KR101557470B1 KR 101557470 B1 KR101557470 B1 KR 101557470B1 KR 1020140088893 A KR1020140088893 A KR 1020140088893A KR 20140088893 A KR20140088893 A KR 20140088893A KR 101557470 B1 KR101557470 B1 KR 101557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box
assembly
groove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8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호
Original Assignee
(주)지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즐 filed Critical (주)지즐
Priority to KR1020140088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74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7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7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54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 박스에 절개 가능한 조립품을 구성하여 포장 박스의 사용 후, 이를 분리하여 별도의 조립품을 만들어 낼 수 있게 하였다.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은, 포장박스를 이루는 박스면에 절취선(2)을 만들어, 절취선(2)을 따라 분리하여 내면 조립 가능한 물품인 절개조립품(10)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절개조립품(10)은 휴대폰거치대(20), 명함, 사진액자, 서류함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휴대폰 거치대(20)는 명함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절개조립품(10)은 칼선(3)과 절취부(2)로 이루어져 분리 가능하며, 중앙에 형성시키는 칼선(3)에 의하여 분리하여 낸 부품은 다리편(61) 2 개를 이루고, 나머지 부분은 접힘부(4)에 의하여 접어서 수직으로 세워지는 지지부(66)를 갖춘 본체(68)를 이루어, 상기 다리편(61)을 본체(68)에 조립하여, 상부에 통공(65)이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한 휴대폰 거치대(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다리편(61)에는 홈부(62)를 2 곳 형성하고, 상기 본체(68)의 지지부(66)에는 다리홈(63)을 형성하여, 다리편(61)의 홈부(62)를 지지부(66)의 다리홈(63)에 끼워 결합하여 휴대폰 거치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절개조립품을 갖는 포장박스{diviable assembling goods formed on packing box}
본 발명은 포장박스에 절개하여 낼 수 있는 절개조립품을 형성하여 이들의 부품들을 절개하여 내어 소정의 물품으로 만들어 낼 수 있는 구조의 포장박스에 관한 것이다.
[문헌1] 실용신안등록 20-0192243(등록일 2000. 6. 1)
[문헌2] 실용신안등록 20-0190512(등록일 2000. 5. 7)
[문헌3] 실용신안공개 20-1986-0001395(공개일 1986. 2. 28)
[문헌4] 실용신안공개 20-1988-0001244(공개일 1988. 2. 23)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포장 박스는 사용 후 폐기하거나 재활용 처리한다.
골판지 재질 외의 포장 박스는 여러번 사용 가능한 것도 있으나, 종이 재질의 포장 박스는 거의 일회용으로 사용 후 폐기되거나 재활용 처리된다.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포장 박스에 절개 가능한 조립품을 구성하여 포장 박스의 사용 후, 이를 분리하여 별도의 조립품을 만들어 낼 수 있게 하였다.
삭제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은, 포장박스를 이루는 박스면에 절취선(2)을 만들어, 절취선(2)을 따라 분리하여 내면 조립 가능한 물품인 절개조립품(10)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절개조립품(10)은 휴대폰거치대(20), 명함, 사진액자, 서류함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휴대폰 거치대(20)는 명함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절개조립품(10)은 칼선(3)과 절취부(2)로 이루어져 분리 가능하며, 중앙에 형성시키는 칼선(3)에 의하여 분리하여 낸 부품은 다리편(61) 2 개를 이루고, 나머지 부분은 접힘부(4)에 의하여 접어서 수직으로 세워지는 지지부(66)를 갖춘 본체(68)를 이루어, 상기 다리편(61)을 본체(68)에 조립하여, 상부에 통공(65)이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한 휴대폰 거치대(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다리편(61)에는 홈부(62)를 2 곳 형성하고, 상기 본체(68)의 지지부(66)에는 다리홈(63)을 형성하여, 다리편(61)의 홈부(62)를 지지부(66)의 다리홈(63)에 끼워 결합하여 휴대폰 거치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폐기되는 포장 박스에서 별도의 조립품을 만들어 낼 수 있어 포장박스의 활용성면에서 매우 유리하다.
또한 포장박스에서 분리되어 나오는 조립품에는 소정의 광고 문구나 다자인 또는 로고를 삽입하여 조립품을 사용하는 자에게 광고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삭제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 및 도 3 은 절개조립품(10)을 조립한 예시도.
도 4 및 도 5 는 절개조립품을 휴대폰 거치대로 만드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의거 추가로 상술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박스의 구성 예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박스의 소정의 위치 예를 들어, 박스 상부의 덮개(1) 부분에 소정의 절취부(2)를 형성한다. 절취부(2)는 도트 형상의 절취선으로 형성하거나 일정한 길이 마다 절취되고 일부분은 연결된 구조의 즉, 떼어내기 쉬운 구조의 절취부로 구성한다. 또는 칼선(3)을 주어 절제된 부분도 만들 수 있다. 또는 약간 오목한 구조를 주어 쉽게 접힐 수 있는 접힘부(4)로 만들어 둘 수 있다.
상기 완전히 오려지는 칼선(3)이나 도트형으로 일부 절개되는 절취부(2)를 포장박스에 형성하되, 이들 절개조립품(10)은 박스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게만 만들어야 한다. 칼선(3)에 의한 완전히 빙둘러 절개된 형태가 되면 박스에서 매달려 있지 못하고 분리되어 버리므로 이러한 경우만 아니면 어떠한 형태로든 무관하게 만들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절개조립품(10)들은 박스에서 쉽게 분리 할 수 있게 되어 있어 별도로 분리하여 내어 조립품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조립품의 예를 들면, 도 2 내지 도 4 에 예시한 사진액자, 휴대폰 거치대(20), 명함(6) 기타 메모판, 수납기구 등으로 만들어 낼 수 있다.
도 3 과 같은 휴대폰 거치대(20) 제조 과정을 예를 들어 이하, 설명한다
도 1 에 예시된 명함 형태의 절개조립품(10)을 박스에서 분리하여 내면, 도 5 와 같은 형태로 분리하여 낼 수 있다.
도 5 에는 중앙에 가로로 긴 두줄의 칼선(3)이 형성되어 있어, 이를 분리하여 내어 두 조각의 다리편(61)을 만들어 낸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좌우 양단 및 중앙에는 절취부(2)를 3 곳 형성하여 완전히 분리되지 않게 하여야 한다. 그러면 절취부(2) 부분을 눌러서 분리하여 내면 두 조각의 편으로 이루어지는 다리편(61)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칼선(3)은 절개된 형태가 아닌 분리가 용이하게 도트 형태의 절취부로 만들어 둘 수도 있다.
그리고 칼선(3) 아래에 상하 두곳에 형성되는 접힘부(4)를 접어서 도 4 와 같은 형태로 만들어 낸다. 접힘부(4)는 쉽게 접을 수 있게 오목하게 홈을 준 형태로 만들어 두면 좋다. 이렇게 다리편(61)을 분리하여 내면 다리편(61)이 빠져 나간 자리는 통공(65)이 형성된다.
도 5 의 지지부(66)는 접혀져서 다리를 이루고, 이미 홈으로 만들어진 다리홈(64)은 다리편(61)의 홈부(62)와 결합하면 도 4 와 같은 형태가 이루어진다. 도 4 의 통공(65)에 휴대폰을 거치하면 도 3 과 같은 휴대폰 거치대가 이루어진다. 이 경우, 절개조립품(10) 자체에 명함을 세겨 넣어 둘 수도 있다. 명함으로 세겨 넣을 경우, 도 4 및 도 5 에 도시된 명함의 예와 같다.
따라서 이 명함을 접어 도 3 과 같은 휴대폰 거치대를 만들어 낼 수 있다. 이때, 도 3 의 예와 같이, 회사의 이름이나 로고, 전화번호 또는 명함의 이름이 전면이 배치되게 만들어 내면 홍보 효과도 거둘 수 있다. 따라서 판촉물의 효과로도 발휘할 수 있는 다양한 효과가 있다.
상기 포장박스의 재질은 골판지 또는 합성 수지 등의 어떠한 재질의 것에도 무관하게 적용 가능하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포장박스의 상부 덮개(1) 부분이 절개조립품(10)이 형성된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박스 몸체의 어느 부분에도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나 덮개가 아닌 몸체에 형성하면 박스의 구조가 취약해지는 단점이 있어 바람직하기로는 덮개(1)에 형성시키는 것이 좋다.
1 덮개 2 절취부
3 칼선 4 접힘부
6 명함 10 절개조립품
20 휴대폰거치대 61 다리편
62 홈부 64 다리홈
65 통공 66 지지부
68 본체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포장박스를 이루는 박스면에 절취선(2)을 만들어, 절취선(2)을 따라 분리하여 내면 조립 가능한 물품인 절개조립품(10)을 형성하되, 상기 절개조립품(10)은 표면에 명함이 형성되어, 이 명함을 접으면 휴대폰거치대(20)가 이루어 지게 구성하기 위해,
    상기 절개조립품(10)의 중앙에 형성시킨 칼선(3)에 의하여 분리하여 낸 부품으로 다리편(61) 2 개를 이루고, 나머지 부분은 접힘부(4)에 의하여 접어서 수직으로 세워지는 지지부(66)를 갖춘 본체(68)를 이루어, 상기 다리편(61)을 본체(68)에 조립하면, 본체(68) 상부에 통공(65)이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다리편(61)에는 홈부(62)를 2 곳 형성하고, 상기 본체(68)의 지지부(66)에는 다리홈(64)을 형성하여, 다리편(61)의 홈부(62)를 지지부(66)의 다리홈(64)에 끼워 결합하여 휴대폰 거치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개조립품을 갖는 포장박스.
  4. 삭제
  5. 삭제
KR1020140088893A 2014-07-15 2014-07-15 절개조립품을 갖는 포장박스 KR101557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8893A KR101557470B1 (ko) 2014-07-15 2014-07-15 절개조립품을 갖는 포장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8893A KR101557470B1 (ko) 2014-07-15 2014-07-15 절개조립품을 갖는 포장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7470B1 true KR101557470B1 (ko) 2015-10-06

Family

ID=54345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8893A KR101557470B1 (ko) 2014-07-15 2014-07-15 절개조립품을 갖는 포장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747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618U (ko) 2016-01-12 2017-07-21 코스맥스 주식회사 스마트폰의 스피커 기능을 갖는 화장품 단상자
KR200489609Y1 (ko) 2018-01-23 2019-07-10 노승규 포장박스
KR20190001930U (ko) 2018-01-23 2019-07-31 노승연 포장박스 이음부 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3468Y1 (ko) * 2000-09-23 2001-02-15 윤봉석 기능성이 부가된 포장박스
KR101086459B1 (ko) * 2011-06-09 2011-11-25 이현승 거치대 조립용 전개도를 갖는 이동단말기용 액세서리 포장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3468Y1 (ko) * 2000-09-23 2001-02-15 윤봉석 기능성이 부가된 포장박스
KR101086459B1 (ko) * 2011-06-09 2011-11-25 이현승 거치대 조립용 전개도를 갖는 이동단말기용 액세서리 포장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618U (ko) 2016-01-12 2017-07-21 코스맥스 주식회사 스마트폰의 스피커 기능을 갖는 화장품 단상자
KR200489609Y1 (ko) 2018-01-23 2019-07-10 노승규 포장박스
KR20190001930U (ko) 2018-01-23 2019-07-31 노승연 포장박스 이음부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7470B1 (ko) 절개조립품을 갖는 포장박스
JP2013114255A (ja) ロック機構付きポップアップカード
DK1843947T3 (da) Beholder fremstillet af bölgepap, emne og anvendelse af beholderen
JP3206861U (ja) 贈答用商品収容箱
KR101882918B1 (ko) 재활용 분리 상자가 만들어지는 기능성 피자 포장상자
KR101877758B1 (ko) 재활용 분리 상자가 만들어지는 기능성 포장상자
US10029839B2 (en) Article including a bottle of cosmetic product and a pack
KR200430493Y1 (ko) 동봉물이 구비된 포장용 상자
KR20170085691A (ko) 재활용이 가능한 포장상자용 포장지
TWM576565U (zh) Adjustable storage structure
CN210137352U (zh) 可撕折形成手机支撑架的盖体结构
JP3205881U (ja) シート
JP3200709U (ja) 多目的クリアファイル
JP2015224051A (ja) 収納箱
KR200471972Y1 (ko) 케이크 지지장치
JP3218493U (ja) 物品陳列用スタンドのカバー
JP3172813U (ja) 電子機器の音響スタンドに変形可能なケース
JP3200137U (ja) ブックカバーを備えたクリアファイル
JP3193124U (ja) 紙製名刺箱
KR100910805B1 (ko) 팝업부가 구비된 액자 겸용 입체팝업카드
JP3200630U (ja) 贈答用ティッシュボックス収容箱
KR200470640Y1 (ko) 장식부재가 부착된 쇼핑백
JP3105345U (ja) ワンタッチ円筒型商品収納・展示箱
TW201714793A (zh) 禮盒之中襯結構
KR200241696Y1 (ko) 퍼즐기능을 갖춘 포장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