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7381B1 - 알약형태의 원료화장품을 장착하는 화장품용기 - Google Patents

알약형태의 원료화장품을 장착하는 화장품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7381B1
KR101557381B1 KR1020150048922A KR20150048922A KR101557381B1 KR 101557381 B1 KR101557381 B1 KR 101557381B1 KR 1020150048922 A KR1020150048922 A KR 1020150048922A KR 20150048922 A KR20150048922 A KR 20150048922A KR 101557381 B1 KR101557381 B1 KR 1015573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casing
cosmetic
upper portion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8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근
Original Assignee
이창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근 filed Critical 이창근
Priority to KR1020150048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73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7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7381B1/ko
Priority to PCT/KR2016/003628 priority patent/WO201616376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4Casings for two or more cosmetic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provided with oxygen absor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smetics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약형태의 원료화장품을 장착하는 화장품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콜라겐이나 안정지속형비타민 등으로 만들어진 알약형태의 고형의 원료화장품과 에센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액체 화장액이 각각 뚜껑과 케이싱으로 분리 수용되며, 제품 출하시 그 케이싱과 뚜껑이 1단 체결된 상태로부터 사용자가 사용시 한 번의 터치 방식에 의해 뚜껑을 가압함에 따라 그 뚜껑에 수용된 알약이 케이싱에 수용된 화장액으로 자동 투입되어 녹을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뚜껑이 케이싱과 2단 체결에 의해 안정적인 결합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건조제를 구비하여 알약이 화장액으로 투입되기 전에 습기로부터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알약형태의 원료화장품을 장착하는 화장품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알약형태의 원료화장품을 장착하는 화장품용기{COSMETIC CONTAINER WHICH INSTALL TABLET-TYPE COSMETIC RAW MATERIAL}
본 발명은 알약형태의 원료화장품을 장착하는 화장품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콜라겐이나 안정지속형비타민 등으로 만들어진 알약형태의 고형의 원료화장품과 에센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액체 화장액이 각각 뚜껑과 케이싱으로 분리 수용되며, 제품 출하시 그 케이싱과 뚜껑이 1단 체결된 상태로부터 사용자가 사용시 한 번의 터치(누름) 방식에 의해 뚜껑을 가압함에 따라 그 뚜껑에 수용된 알약이 케이싱에 수용된 화장액으로 자동 투입되어 녹을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뚜껑이 케이싱과 2단 체결에 의해 안정적인 결합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건조제를 구비하여 알약이 화장액으로 투입되기 전에 습기로부터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알약형태의 원료화장품을 장착하는 화장품용기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의 원료는 일반적으로 액체 혹은 분말형태로 되어있다.
분말 화장품원료를 알약(Tablet)형태로 고형화 시키면 보관 및 유통 및 사용에도 편리하고 또한 압축을 시키기 때문에 고형 알약(Tablet)형태가 분말형태보다 같은부피에 약2배의 원료를 함축시킬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는 더큰 효과를 볼수있다.
예전에는 사람이 복용하는 약도 분말형태가 많았으나 지금은 거의가 알약 형태로 되어있는 것도 상기와 같은 이유 때문이다.
지금까지 화장품원료에는 알약(Tablet)형태의 고형이 없었던 것은 화장품 제조시에 분말원료를 다른 원료들과 혼합하여 제조를 하기 때문에 고형 알약(Tablet) 형태의 화장품원료가 필요 없었던 것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피부개선에 효과가 있는 원료를 소비자가 직접 물이나 화장품 에센스에 용해시켜 사용하는 경우가 늘고있지만 사용상 불편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Tablet(알약)형태의 원료화장품을 용기에 장착하여 원터치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고, 이때 문제가 되는 알약의 “습기문제 해결(습기제거장치 장착)” 및 사용상의 편리를 위하여 “2단체결장치”를 고안한 화장품용기를 개발하게 된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89167호(2011.12.05.)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콜라겐이나 안정지속형비타민 등으로 만들어진 알약형태의 고형의 원료화장품과 에센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액체 화장액이 각각 뚜껑과 케이싱으로 분리 수용되며, 제품 출하시 그 케이싱과 뚜껑이 1단 체결된 상태로부터 사용자가 사용시 한 번의 터치 방식에 의해 뚜껑을 가압함에 따라 그 뚜껑에 수용된 알약이 케이싱에 수용된 화장액으로 자동 투입되어 녹을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뚜껑이 케이싱과 2단 체결에 의해 안정적인 결합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건조제를 구비하여 알약이 화장액으로 투입되기 전에 습기로부터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알약형태의 원료화장품을 장착하는 화장품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화장액이 수용되는 케이싱; 상기 화장액이 수용된 상태의 상기 케이싱의 상부를 밀폐하는 필름; 하부가 개방되어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 결합되며, 내측으로 공간부가 형성되는 뚜껑; 및 상기 공간부에 수용되며,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투입되어 상기 화장액과 혼합되는 알약을 포함하는 알약형태의 원료화장품을 장착하는 화장품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케이싱은, 상부가 개방되는 하부케이싱; 및 상,하부가 개방되며, 하부가 상기 하부케이싱의 상부와 일체로 연결되고, 상부가 상기 필름에 의해 밀폐되는 상부케이싱을 포함하며, 상기 뚜껑은, 내측면에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케이싱은, 외측면에 둘레를 따라 상기 제1결합돌기가 결합되는 제1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결합돌기가 상기 제1결합홈에 결합된 1단 체결상태로부터 상기 뚜껑을 하방향으로 가압함에 따라 그 뚜껑과 함께 하강되면서 상기 필름을 천공하여 상기 알약이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자동 투입되도록 하는 천공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상부케이싱은, 외주면에 상기 제1결합홈의 하부에 위치되는 제2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뚜껑은, 상기 공간부를 이루는 내주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1결합돌기의 상부에 위치되는 제2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1단 체결상태로부터 하방향으로의 가압에 따라 상기 제1결합돌기가 상기 제2결합홈에 결합되고, 상기 제2결합돌기가 상기 제1결합홈에 결합되면서 2단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천공수단은, 상기 뚜껑을 하방향으로 가압함에 따라 그 뚜껑과 함께 하강되면서 상기 필름을 천공하는 천공부재; 및 상기 천공부재를 상기 공간부를 이루는 둘레에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천공부재는, 상,하단부가 개방되고, 한 쌍으로 이루어져 서로 접하도록 연결되며, 각각 알약이 수용되는 한 쌍의 수용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한 쌍의 수용케이스가 결합되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결합공이 형성되는 한편, 외주면이 상기 공간부를 이루는 내주면과 접하면서 상기 뚜껑에 결합되는 고정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수용케이스는, 서로 접하는 하단 중앙부가 하방향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필름을 가압하여 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습기로부터 상기 알약의 변질을 방지하기 위한 건조제를 더 포함하되, 상기 건조제는,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한 쌍의 수용케이스와 상기 뚜껑 사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뚜껑은,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공간부와 연통되는 토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화장액이 토출되는 제1뚜껑; 및 상기 제1뚜껑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는 제2뚜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콜라겐이나 안정지속형비타민 등으로 만들어진 알약형태의 고형의 원료화장품과 에센스 등으로 이루어진 액체 화장액이 각각 뚜껑과 케이싱으로 분리 수용된 상태로부터 사용시에 한 번의 터치 방식에 의해 알약을 화장액으로 자동 투입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이 편리하고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알약이 수용되는 뚜껑 내부에 건조제가 구비됨으로써 습기로부터 알약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제품 출하시 케이싱과 뚜껑이 1단 체결된 상태로부터 사용시 한 번의 터치방식에 의해 그 뚜껑과 케이싱이 2단 체결되면서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형 화장품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형 화장품용기에서 케이싱의 상부에 점착되는 필름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형 화장품용기에서 케이싱과 뚜껑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형 화장품용기에서 건조제와 천공수단과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형 화장품용기를 나타낸 종단면도 및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알약형태의 원료화장품을 장착하는 화장품용기(이하 "화장품용기"라 한다)(1)는 상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화장액(100)이 수용되는 케이싱(10), 상기 화장액(100)이 수용된 상태의 상기 케이싱(10)의 상부를 밀폐하는 필름(20), 하부가 개방되어 상기 케이싱(10)의 상부에 결합되며, 내측으로 공간부(31)가 형성되는 뚜껑(30) 및 상기 공간부(31)에 수용되며, 상기 케이싱(10)의 내부로 투입되어 상기 화장액(100)과 혼합되는 알약(40)을 포함한다.
상기 화장액(100)은 에센스 등의 액상으로 이루어지는 화장품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1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횡단면이 원형, 타원형은 물론, 사각형을 포함하는 다각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케이싱(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되고, 횡단면이 원형 형태를 이루는 하부케이싱(11) 및 상,하부가 개방되는 원통 형태를 이루며, 하부가 상기 하부케이싱(11)의 상부에 일체로 연결되고, 상부가 상기 필름(20)에 의해 밀폐되는 상부케이싱(12)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케이싱(11)은 상기 상부케이싱(12)보다 외경이 크게 형성되면서 상단부가 상기 뚜껑(30)의 하부와 접하거나, 인접하는 단턱(13)을 이룰 수 있다.
상기 뚜껑(30)은 외측면을 이루는 둘레가 상기 케이싱(10)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상기 화장품용기(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원기둥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상기 뚜껑(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주면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결합돌기(32)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10)은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외주면에 상기 제1결합돌기(32)가 결합되는 제1결합홈(14)이 형성된다.
상기 뚜껑(30)은 상기 케이싱(10)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그 케이싱(10)으로의 결합에 따라 상기 제1결합돌기(32)가 상기 제1결합홈(14)에 끼움 결합되면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뚜껑(30)은 상기 케이싱(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공간부(31)와 연통되는 토출구(34)가 형성되어 상기 화장액(100)이 토출되는 제1뚜껑(33) 및 상기 제1뚜껑(33)에 탈착됨에 따라 상기 토출구(34)를 개폐하는 제2뚜껑(35)을 포함한다.
상기 토출구(34)는 상기 제1뚜껑(33)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뚜껑(35)은 상기 제1뚜껑(33)에 개폐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뚜껑(33) 및 상기 제2뚜껑(35)은 각각 상,하부를 가지며, 그 하부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원뿔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약(40)은 콜라겐이나, 안정지속형비타민 등으로 만들어진 알약형태의 고형의 원료화장품으로서, 피부개선에 효과가 있는 물질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필름(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주파 실링 등에 의해 개방된 상기 케이싱(10)의 상부 둘레에 점착되며, 외부로부터의 가압 등에 따라 그 케이싱(10)으로부터 제거되거나 천공되는 형태를 이룬다.
여기서, 상기 필름(20)으로의 천공은 그 필름(20)이 찢어지는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알약(40)은 상기 필름(20)이 상기 케이싱(10)으로부터 제거되거나 천공된 상태에서 그 케이싱(10)의 내부로 투입되어 상기 화장액(100)과 혼합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토출구(34)로는 밀폐된 상기 케이싱(10)의 밀폐상태가 해제됨으로써 상기 화장액(100)이 토출된다.
상기 화장품용기(1)는 상기 뚜껑(30)을 상기 케이싱(10)으로부터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필름(20)을 청공하여 상기 공간부(31)에 수용되는 상기 알약(40)이 상기 케이싱(10)의 내부로 투입되도록 하는 천공수단(5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상기 화장품용기(1)는 사용시에 한 번의 터치 방식에 의해 상기 뚜껑(30)을 하방향으로 가압함에 따라 그 뚜껑(30)과 함께 하강되면서 상기 필름(20)을 가압하여 천공하는 천공수단(5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천공수단(50)은 상기 필름(20)을 천공하는 것과 함께 그 필름(20)을 찢을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뚜껑(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간부(31)를 이루는 내주면에 구비되며, 상기 제1결합돌기(32)의 상부에 위치되는 제2결합돌기(36)가 형성된다.
상기 케이싱(10)은 외주면에 상기 제1결합홈(14)의 하부에 위치되는 제2결합홈(15)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2결합홈(14,15)은 상기 상부케이싱(12)의 상,하부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뚜껑(3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결합돌기(32)가 상기 제1결합홈(14)에 결합된 1단 체결상태에서 하방향으로 가압함에 따라 상기 상부케이싱(12)의 하부로 하강된다.
상기 뚜껑(30)이 상기 상부케이싱(12)을 따라 하강되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결합돌기(32)가 상기 제2결합홈(15)에 결합되고, 상기 제2결합돌기(36)가 상기 제1결합홈(14)에 결합되는 2단 체결이 이루어진다.
상기 뚜껑(30)은 상기 제1,2결합돌기(32,36)가 상기 제2,1결합홈(15,14)에 결합되면서 2단 체결이 이루어지며, 하부가 상기 단턱(13)과 접하면서 하강이 정지될 수 있다.
상기 화장품용기(1)는 상기 뚜껑(30)과 상기 케이싱(10)이 1단 체결된 상태로 출하되며, 제품 사용시 사용자가 상기 뚜껑(30)을 한 번의 터치 방식에 의해 가압함으로써 2단 체결되는 형태를 이룬다. 이에 의해, 상기 천공수단(50)이 상기 필름(20)을 천공함으로써 상기 뚜껑(30)에 수용된 상기 알약(40)이 상기 케이싱(10)의 내부로 낙하하며 자동 투입될 수 있다.
상기 천공수단(50)은 도 2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단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상기 알약(40)이 수용되며, 상기 뚜껑(30)을 하방향으로 가압함에 따라 그 뚜껑(30)과 함께 하강되면서 상기 필름(20)을 천공하는 천공부재(51) 및 상기 천공부재(51)를 상기 공간부(31)를 이루는 둘레에 고정하는 고정부재(52)를 포함한다.
상기 천공부재(51)는 상,하단부가 개방되는 원형 또는 타원 형태를 이루며, 한 쌍으로 이루어져 일측이 서로 접하도록 연결되는 한 쌍의 수용케이스(53)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수용케이스(53)는 하단부가 일측으로부터 타측방향으로 상향 경사를 이루면서 서로 접하는 하단 중앙부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향으로 돌출되는 형태를 이룬다.
즉, 상기 한 쌍의 수용케이스(53)는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서로 접하면서 하단부가 'V'자 형태를 이룬다.
상기 한 쌍의 수용케이스(53)는 상기 필름(20)이 천공됨에 따라 상기 뚜껑(30)이 2단 체결된 상태에서 상하 개방된 내측으로 상기 화장액(100)이 통과되어 상기 토출구(34) 방향으로 토출되도록 한다.
상기 알약(4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한 쌍의 수용케이스(53)에 각각 수용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름(20)에 의해 인출이 차단되면서 그 한 쌍의 수용케이스(53)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는 한편, 상기 케이싱(10)으로의 투입이 차단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고정부재(52)는 도 2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 형태를 이루며, 상기 한 쌍의 수용케이스(53)가 결합되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결합공(54a)이 형성되는 한편, 외주면이 상기 공간부(31)를 이루는 내주면과 접하면서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뚜껑(30)에 결합되는 고정플레이트(54)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54)는 종이재질로 이루어지며, 표면이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화장품용기(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결합돌기(32)가 상기 제1결합홈(14)에 결합된 상태로부터 상기 뚜껑(30)을 하방향으로 가압함에 따라 그 뚜껑(30)과 함께 상기 한 쌍의 수용케이스(53)가 하강되면서 상기 필름(20)을 천공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결합돌기(32)가 상기 제2결합홈(15)에 결합되고, 상기 제2결합돌기(36)가 상기 제1결합홈(14)에 결합되면, 상기 뚜껑(30)의 가압을 해제하여 그 뚜껑(30)의 정지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알약(40)은 상기 필름(20)이 천공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수용케이스(53)로부터 자동 인출되면서 상기 케이싱(10)의 내부로 투입되어 상기 화장액(100)과 혼합된다.
이로 인해, 상기 화장품용기(1)는 상기 뚜껑(30)을 상기 케이싱(10)으로부터 분리한 후, 상기 필름(20)을 제거함이 없이 사용시의 한 번의 터치 방식에 의해 상기 케이싱(10)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화장액(100)으로 상기 알약(40)을 간편하게 투입하여 혼합할 수 있다.
상기 화장품용기(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습기로부터 상기 알약(40)의 변질을 방지하기 위한 건조제(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조제(60)는 일반적인 형태의 실리카겔로 이루어지며,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플레이트(54)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한 쌍의 수용케이스(53)와 상기 뚜껑(30) 사이에 수용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54)는 상기 뚜껑(30)의 1단 체결시에는 상기 건조제(60)에 의해 습기제거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뚜껑(30)의 2단 체결시에는 상기 케이싱(10)의 상부와 접하면서 외부로 상기 화장액(100)이 유출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건조제(60)는 상기 고정플레이트(54)에 의해 외부로 유출됨이 없이 상기 한 쌍의 수용케이스(53)와 상기 뚜껑(30) 사이에 위치되면서 상기 공간부(31)에 존재할 수 있는 습기를 제거한다.
이로 인해, 상기 화장품용기(1)는 습기로부터 상기 알약(40)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알약형태의 원료화장품을 장착하는 화장품용기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 화장품용기 10 : 케이싱
11 : 하부케이싱 12 : 상부케이싱
14 : 제1결합홈 15 : 제2결합홈
20 : 필름 30 : 뚜껑
31 : 공간부 32 : 제1결합돌기
33 : 제1뚜껑 34 : 토출구
35 : 제2뚜껑 36 : 제2결합돌기
40 : 알약 50 : 가압수단
51 : 절개부재 52 : 고정부재
53 : 수용케이스 54 : 고정플레이트
60 : 건조제 100 : 화장액

Claims (7)

  1. 상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화장액이 수용되는 케이싱;
    상기 화장액이 수용된 상태의 상기 케이싱의 상부를 밀폐하는 필름;
    하부가 개방되어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 결합되며, 내측으로 공간부가 형성되는 뚜껑;
    상기 공간부에 수용되며,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투입되어 상기 화장액과 혼합되는 알약; 및
    상기 뚜껑과 함께 하강되면서 상기 필름을 천공하여 상기 알약이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자동 투입되도록 하는 천공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천공수단은,
    상기 뚜껑과 함께 하강되면서 상기 필름을 천공하는 천공부재; 및
    상기 천공부재를 상기 공간부를 이루는 둘레에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결합공이 형성되는 한편, 외주면이 상기 공간부를 이루는 내주면과 접하는 고정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약형태의 원료화장품을 장착하는 화장품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부가 개방되는 하부케이싱; 및
    상,하부가 개방되며, 하부가 상기 하부케이싱의 상부와 일체로 연결되고, 상부가 상기 필름에 의해 밀폐되는 상부케이싱을 포함하며,
    상기 뚜껑은,
    내측면에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케이싱은,
    외측면에 둘레를 따라 상기 제1결합돌기가 결합되는 제1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약형태의 원료화장품을 장착하는 화장품용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돌기가 상기 제1결합홈에 결합된 1단 체결상태로부터 상기 뚜껑을 하방향으로 가압함에 따라 상기 천공수단이 뚜껑과 함께 하강되면서 상기 필름을 천공하여 상기 알약이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자동 투입되며,
    상기 상부케이싱은,
    외주면에 상기 제1결합홈의 하부에 위치되는 제2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뚜껑은,
    상기 공간부를 이루는 내주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1결합돌기의 상부에 위치되는 제2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1단 체결상태로부터 하방향으로의 가압에 따라 상기 제1결합돌기가 상기 제2결합홈에 결합되고, 상기 제2결합돌기가 상기 제1결합홈에 결합되면서 2단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약형태의 원료화장품을 장착하는 화장품용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부재는,
    상, 하단부가 개방되고 상기 알약이 수용되는 수용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케이스는,
    하단 중앙부가 하방향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필름을 가압하여 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약형태의 원료화장품을 장착하는 화장품용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케이스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서로 접하도록 연결되고, 각각에 상기 알약이 수용되며,
    상기 한 쌍의 수용케이스가 서로 접하는 하단 중앙부가 하방향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약형태의 원료화장품을 장착하는 화장품 용기.
  6. 제 4항에 있어서,
    습기로부터 상기 알약의 변질을 방지하기 위한 건조제를 더 포함하되,
    상기 건조제는,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수용케이스와 상기 뚜껑 사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약형태의 원료화장품을 장착하는 화장품용기.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공간부와 연통되는 토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화장액이 토출되는 제1뚜껑; 및
    상기 제1뚜껑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는 제2뚜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약형태의 원료화장품을 장착하는 화장품용기.
KR1020150048922A 2015-04-07 2015-04-07 알약형태의 원료화장품을 장착하는 화장품용기 KR1015573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8922A KR101557381B1 (ko) 2015-04-07 2015-04-07 알약형태의 원료화장품을 장착하는 화장품용기
PCT/KR2016/003628 WO2016163763A1 (ko) 2015-04-07 2016-04-07 습기 제거를 위한 실리카 겔 장착구조 및 실리카 겔 장착을 위한 2단 체결구조를 가진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8922A KR101557381B1 (ko) 2015-04-07 2015-04-07 알약형태의 원료화장품을 장착하는 화장품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7381B1 true KR101557381B1 (ko) 2015-10-08

Family

ID=54346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8922A KR101557381B1 (ko) 2015-04-07 2015-04-07 알약형태의 원료화장품을 장착하는 화장품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57381B1 (ko)
WO (1) WO2016163763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8173A (ja) * 1996-06-07 1997-12-22 Seven Kagaku:Kk 錠剤混合容器
ITMO20040184A1 (it) * 2004-07-16 2004-10-16 Lameplast Spa 'applicatore per sostanze fluide per uso medico e o cosmetico'.
KR100971860B1 (ko) * 2008-06-16 2010-07-22 이우정 화장품 용기
KR200467408Y1 (ko) * 2011-05-02 2013-06-12 (주)아모레퍼시픽 상하 혼합 기능을 갖는 용기
KR200476070Y1 (ko) * 2013-01-14 2015-01-28 주식회사 하나 이종내용물 혼합 화장품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63763A1 (ko) 2016-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05781B2 (ja) 好ましくは医学的または薬学的活性物質等の物質および液体を別々に収容し、これらを放出に先立って混合するための装置
KR100597217B1 (ko) 첨가제 첨가 가능한 위조방지 위생이중캡
US11535434B2 (en) Safety capsule for a container
JP2014221669A (ja) 小児用の安全蓋
EA020761B1 (ru) Крышка-контейнер для автономного хранения и смешивания компонентов
GB2158801A (en) Container for storing, mixing and dispensing two components
CA2832442C (en) Cap with additive chamber and associated packaging unit
KR20120048758A (ko) 본체를 통해 수용부를 개방하도록 된 이종물질 수용장치
KR101557381B1 (ko) 알약형태의 원료화장품을 장착하는 화장품용기
KR102098908B1 (ko) 이종물질 혼합용 용기뚜껑
KR20170094066A (ko) 마스크팩파우치
JP4694360B2 (ja) 二成分混合容器
ITPI20150036A1 (it) Capsula per contenere una polvere alimentare e dispositivo per preparare una bevanda a partire da detta polvere alimentare contenuta in detta capsula
CN109292248A (zh) 容器的封帽
KR102281825B1 (ko) 두 가지 내용물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
WO2009038318A2 (en) Fabrication check a cook
KR101286202B1 (ko) 어린이 보호용 마개
JP2017132534A (ja) 混合容器
KR102175587B1 (ko) 두 가지 내용물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
KR200483934Y1 (ko) 실링 식별이 용이한 리드지와 이를 포함하는 식품용기
KR20190071394A (ko) 스크류 타입 이종물질 혼합기
KR101395610B1 (ko) 용기마개
CN110217486B (zh) 一种农药瓶储物瓶盖
KR200175449Y1 (ko) 일회용 화장품 용기
KR200379603Y1 (ko) 안전마개 및 이와 결합되는 용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