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5963B1 - 벽체설치용 가구 위치조절부재 - Google Patents

벽체설치용 가구 위치조절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5963B1
KR101555963B1 KR1020140002925A KR20140002925A KR101555963B1 KR 101555963 B1 KR101555963 B1 KR 101555963B1 KR 1020140002925 A KR1020140002925 A KR 1020140002925A KR 20140002925 A KR20140002925 A KR 20140002925A KR 101555963 B1 KR101555963 B1 KR 101555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fixing hole
vertical
fix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2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3317A (ko
Inventor
김광신
Original Assignee
김광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신 filed Critical 김광신
Priority to KR1020140002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5963B1/ko
Publication of KR20150083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3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5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5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47B96/07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adjustable in thems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47B96/068Very short brackets, quickly attachable or detachable to a vertical support surface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벽체(10)에 설치되는 수납장(20)의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수납장(20)의 위치를 조절하는 벽체설치용 가구 위치조절부재(1)에 있어서,
상기 수납장(20)의 일측면에 접촉되는 제1 연결부(110)와, 상기 제1 연결부(110)의 일측면에서 직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 연결부(120)와, 상기 제2 연결부(120)의 내측면 상, 하부분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수평유동가이드(130)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와 연동되도록 연결되되, 중앙에 통공되어 형성되는 제2 고정공(210)과, 상기 수평조절부재 유동홈(131)에 인입되어 횡방향으로 유동되는 수직조절부재 유동홈(230)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수평조절부재(200);와,
상기 수평조절부재(200)와 연동되도록 연결되되, 상기 제2 고정공(210)에 인입되어 종방향으로 유동되는 수직조절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설치용 가구 위치조절부재(1)에 관한 것이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구성으로 선반 및 박스형 가구 등에 설치되어, 가구의 위치 조절시, 못이나 피스 등을 제거하지 않고 높낮이 뿐만 아니라 동시에 수평으로도 이동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벽체설치용 가구 위치조절부재{Wall mount position adjustment member Furniture}
본 발명은 벽체설치용 가구 위치조절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실내 벽체(10)에 설치되는 수납장(20)의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수납장(20)의 위치를 조절하는 벽체설치용 가구 위치조절부재(1)에 있어서,
상기 수납장(20)의 일측면에 접촉되는 제1 연결부(110)와, 상기 제1 연결부(110)의 일측면에서 직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중앙에 통공되어 형성되는 제1 고정공(121)을 포함하는 제2 연결부(120)와, 상기 제2 연결부(120)의 내측면 상, 하부분에 돌출되어 형성되되, 내측으로 함몰되어 공간이 형성되는 수평조절부재 유동홈(131)을 포함한 수평유동가이드(130)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와 연동되도록 연결되되, 중앙에 통공되어 형성되는 제2 고정공(210)과, 상기 수평조절부재 유동홈(131)에 인입되어 횡방향으로 유동되도록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상기 수평조절부재 유동홈(131)과 상응하여 형성되는 수평 슬라이딩부(220)와, 외측면에 함몰되어 형성되는 수직조절부재 유동홈(230)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수평조절부재(200);와,
상기 수평조절부재(200)와 연동되도록 연결되되, 상기 제2 고정공(210)에 인입되어 종방향으로 유동되도록 외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되, 중앙에 통공되어 형성되는 제3 고정공(311)을 포함하는 연결링크(310)와, 상기 제3 고정공(311)에 연장되어 형성되되, 경사지게 통공되어 형성되는 제4 고정공(320)을 포함하는 수직조절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설치용 가구 위치조절부재(1)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구는 실내에 배치되는 생활 및 작업 등에 쓰이는 모든 용구를 총칭하는 것으로서, 사람이 좀 더 안락한 삶을 누리기 위하여 사용에 편한 갖가지 생활도구들이 이에 해당된다.
이러한 상기 가구는 어느 정도 항구적이어야 하므로, 소재는 주로 목재 또는 돌, 금속, 플라스틱 및 유리 등을 사용하여 제작되고, 사용목적에 따라 기능과 더불어 미적요소가 추구되어 사용자의 취미나 취양에 맞게 다양한 종류로 제작된다.
한편, 상기 가구는 기능에 따라 작업의 능률을 높이기 위해 만들어진 작업대나 싱크대 책상 등의 작업용 가구와 휴식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소파, 침대, 의자 등의 인체지지용 가구, 정보 및 취미생활을 위해 만들어진 TV, 전축, 피아노 등의 정보, 정조가구 및 물건을 정리하고 넣어두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장농, 캐비닛, 책장, 선반 등의 수납용 가구로 분류된다.
한편, 상기 가구 중에서도 수납용 가구는 가정과 회사, 공장 등 여러 곳에서 다양한 물건들을 보관하여 지지하고 보호하도록 비치함으로써, 물건들이 훼손되거나 분실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다.
이러한 수납용 가구는, 바닥에 세우거나 지지하여 사용하는 서랍장 등의 장형 가구와 벽이나 벽체에 고정되어 있는 못이나 피스 등에 걸치거나 지지하여 사용하는 선반형 가구로 분리되는데 특히, 선반형 가구의 경우에는 벽에 설치되어 사용되므로 쉽게 물건을 사용할 수 있고, 정리된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선반형 가구는 주로 소형으로 이루어져 사용에 맞게 설치되고 있으며, 높이조절 또는 수평조절이 가능한 부속품을 더 구성하여, 정확한 위치에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하기 특허문헌 1의 “선반용 높이조절장치”(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18439호)는 이동 홈이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기 이동 홈의 중간부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개구부를 구비한 수직 프레임과 전면에 걸림수단이 형성되고, 각각의 걸림수단들이 길이방향으로 각각 배열되며, 상기 이동 홈에 삽입 설치되는 걸림부재와, 상기 수직 프레임의 일면에 배치되고, 상면에는 선반이 안착되도록 형성되며, 하부에는 직하방으로 개구된 걸림 홈이 형성되는 선반지지부재 및 상기 이동 홈의 내부에 위치하는 걸림부와 상기 이동홈의 외측에 위치하는 손잡이부 및 상기 걸림부에 비하여 작은 지름 또는 작은 두께로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부 및 걸림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갖는 조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걸림부가 이동 홈 내부에서 회전되어 세로로 세워지면 상기 이동 홈에서 이동 가능하게 되고, 가로로 눕혀지면 양측의 걸림수단에 걸려 상기 선반 지지부재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조절부재의 조작만으로 별도의 공구없이 선반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의 “선반용 높이조절장치”는 부수적인 구성이 많고, 세로로 사용하거나 가로로 사용될 경우, 사용시마다 매번 설치를 다르게 해야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1의 “선반용 높이조절장치”의 구성은 선반 외의 사각 또는 다각으로 이루어진 가구에서 설치가 용이하지 않아 사용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18439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성으로 선반 및 박스형 가구 등에 설치되어, 가구의 위치 조절시, 못이나 피스 등을 제거하지 않고 높낮이 뿐만 아니라 동시에 수평으로도 이동 가능한 벽체설치용 가구 위치조절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벽체설치용 가구 위치조절부재는, 실내 벽체(10)에 설치되는 수납장(20)의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수납장(20)의 위치를 조절하는 벽체설치용 가구 위치조절부재(1)에 있어서,
상기 수납장(20)의 일측면에 접촉되는 제1 연결부(110)와, 상기 제1 연결부(110)의 일측면에서 직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중앙에 통공되어 형성되는 제1 고정공(121)을 포함하는 제2 연결부(120)와, 상기 제2 연결부(120)의 내측면 상, 하부분에 돌출되어 형성되되, 내측으로 함몰되어 공간이 형성되는 수평조절부재 유동홈(131)을 포함한 수평유동가이드(130)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와 연동되도록 연결되되, 중앙에 통공되어 형성되는 제2 고정공(210)과, 상기 수평조절부재 유동홈(131)에 인입되어 횡방향으로 유동되도록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상기 수평조절부재 유동홈(131)과 상응하여 형성되는 수평 슬라이딩부(220)와, 외측면에 함몰되어 형성되는 수직조절부재 유동홈(230)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수평조절부재(200);와,
상기 수평조절부재(200)와 연동되도록 연결되되, 상기 제2 고정공(210)에 인입되어 종방향으로 유동되도록 외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되, 중앙에 통공되어 형성되는 제3 고정공(311)을 포함하는 연결링크(310)와, 상기 제3 고정공(311)에 연장되어 형성되되, 경사지게 통공되어 형성되는 제4 고정공(320)을 포함하는 수직조절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평조절부재(200)의 내측면에는 하나 이상 톱니형상의 수직조절가이드부(240)가 더 구성되고, 상기 수직조절부재(300)의 외측면에는 상기 수직조절가이드부(240)와 맞물리게 연결되도록 상기 수직조절가이드부(240)와 상응하여 형성되는 수직고정링크(330)가 더 구성되며, 상기 연결링크(310)의 양측면에는 각각 타공되어 형성되는 이탈방지핀인입공(340)이 더 구성되고, 상기 이탈방지핀인입공(340)에 각각 인입되어 고정되는 이탈방지핀(350)이 더 구성되며, 상기 본체(100)의 내측을 덮을 수 있도록 내측에 공간으로 형성된 안착부(410)를 포함하는 커버부재(400)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연결부(110)의 내측면에는 하나 이상 통공되어 형성되는 수납장연결공(111)이 더 구성되고, 상기 제2 연결부(120)의 타측면에는 하나 이상 함몰되어 형성되는 커버고정홈(122)이 더 구성되며, 상기 수평조절부재(200)의 양측면에는 각각 타공되어 형성되는 탄성부재지지핀인입공(250)이 더 구성되고,
상기 탄성부재지지핀인입공(250)에 각각 인입되어 고정되는 탄성부재지지핀(260)이 더 구성되며, 상기 수직조절부재(300)의 양측면에는 상기 수직고정링크(330)의 위치보다 더 돌출되어 형성되되, 외측면에 함몰되어 형성되는 탄성부재가이드홈(361)을 포함하는 수직슬라이딩가이드(360)가 더 구성되고, 상기 이탈방지핀(350)의 말단에 연결되되, 상기 탄성부재가이드홈(361)에 인입되는 선단연장부(371)와 상기 탄성부재지지핀(260)에 연결되는 말단연장부(372)를 포함하는 탄성부재(370)가 더 구성되며, 상기 제4 고정공(320) 하부에 연장되어 통공되되, 상기 제4 고정공(320)의 크기와 같거나 크게 형성되는 제5 고정공(380)이 더 구성되고, 상기 커버부재(400)의 내측에는 상기 커버고정홈(122)에 인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나 이상 돌출되어 형성되는 본체고정돌기(420)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구성으로 선반 및 박스형 가구 등에 설치되어, 가구의 위치 조절시, 못이나 피스 등을 제거하지 않고 높낮이 뿐만 아니라 동시에 수평으로도 이동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체설치용 가구 위치조절부재의 전체의 구성을 보인 외측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체설치용 가구 위치조절부재의 내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체설치용 가구 위치조절부재의 분해된 모습을 정면에서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체설치용 가구 위치조절부재의 분해된 모습을 배면에서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체설치용 가구 위치조절부재의 구성 중 수평조절부재와 수직조절부재의 결합관계를 보인 결합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체설치용 가구 위치조절부재이 구성 중 수평조절부재가 이동되는 모습을 보인 모식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체설치용 가구 위치조절부재의 구성 중 수직조절부재가 이동되는 모습을 보인 모식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체설치용 가구 위치조절부재를 이용하여 가구를 수직으로 이동시키는 모습을 보인 실시예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체설치용 가구 위치조절부재의 구성 중 제4 고정공에 볼트나 피스 등의 고정부재가 결합되는 모습을 보인 설치예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체설치용 가구 위치조절부재의 구성 중 제5 고정공에 벽체에 고정된 고정부재가 인입되는 모습을 보인 설치예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체설치용 가구 위치조절부재가 선반형 가구에 설치되어 벽체에 고정된 모습을 보인 설치예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설치용 가구 위치조절부재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성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은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크게 본체(100)와 수평조절부재(200), 수직조절부재(300) 및 커버부재(400)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본체(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도 3을 기준으로 전면에 보이는 면을 내측면으로, 후면에 보이는 면을 외측면으로 설정한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커버부재(400)는 벽체설치용 가구 위치조절부재(1)의 내부에 구비되는 본체(100)와 수평조절부재(200) 및 수직조절부재(300)의 구성요소 간 연결 및 결합상태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 2, 6, 7, 8, 9, 10, 11에 그 표현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상기 본체(100)는 도 3 또는 도 4, 도 9 및 도 11에 나타낸 것과 같이, 내각이 90°로 절곡된 “L”형상의 구성요소로써, 수납장(20)의 일측면에 접촉되는 제1 연결부(110)와, 상기 제1 연결부(110)의 일측면에서 직각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납장(20) 또는 벽체(10)의 일측면에 접촉되는 제2 연결부(120)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도 3 또는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제1 연결부(110)의 내측면에는 하나 이상 통공되어 형성되는 수납장연결공(111)을 구성하고, 상기 제2 연결부(120)의 내측면 중앙에는 통공되어 형성되는 제1 고정공(121)을 구성하여, 상기 벽체설치용 가구 위치조절부재(1)가 상기 수납장(20) 또는 벽체(10)에 고정부재(30) 또는 피스 및 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상기 제2 연결부(120)의 타측면에는 도 3 또는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커버고정홈(122)을 더 구성하여 후술할 커버부재(400)와 상기 본체(100)의 결합 및 고정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상기 제 2 연결부(120)의 내측면 상, 하부분에는 도 3 또는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되, 내측으로 함몰되어 공간이 형성되는 수평조절부재 유동홈(131)을 포함한 수평유동가이드(130)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수평유동가이드(130)는 도 2 또는 도 3 및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후술할 수평조절부재(200)가 상기 본체(100)에서 이탈되지 않고 횡방향으로 유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수평조절부재(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수평조절부재(200)는 도 3 또는 도 4 및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본체(100)에 인입되어 횡방향으로 유동되는 구성요소이며, 상기 고정부재(30)가 통과되도록 중앙에 통공되어 형성되는 제2 고정공(210)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수평조절부재(200)의 상부와 하부에는 도 3 또는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수평조절부재 유동홈(131)에 인입되도록 각각 상기 수평조절부재 유동홈(131)과 상응하여 형성되는 수평 슬라이딩부(220)가 구성되어, 상기 수평조절부재(200)가 상기 본체(100) 내에서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수납장(20)에 대한 횡방향 위치가 조절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상기 수평조절부재(200)의 외측면에는 도 4 또는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수직조절부재 유동홈(230)이 구성되어, 후술할 수직조절부재(300)가 상기 수직조절부재(200)에서 이탈되지 않고 종방향으로 유동 가능하도록 후술할 이탈방지핀(350)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평조절부재(200)의 내측면에는 도 3 또는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하나 이상 톱니형상의 수직조절가이드부(240)가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형성되고, 상기 수직조절가이드부(240)의 원하는 위치에 후술할 수직고정링크(330)를 맞물리게 연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수납장(20)을 종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 작업자가 계속 상기 수납장(20)을 원하는 위치가 나타날 때까지 들고 있을 필요가 없어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상기 수평조절부재(200)의 양측면에는 도 3 또는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후술할 탄성부재(370)와 연결 가능하도록 각각 타공되어 형성되는 탄성부재지지핀인입공(250)이 구성되고 상기 탄성부재지지핀인입공(250)에 각각 인입되어 고정되는 탄성부재지지핀(260)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수직조절부재(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수직조절부재(300)는 도 3 또는 도 4 및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본체(100)에 인입되어 종방향으로 유동되는 구성요소이며, 상기 제2 고정공(210)에 인입되도록 외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되, 상기 고정부재(30)가 통과되도록 중앙에 통공되어 형성되는 제3 고정공(311)을 포함하는 연결링크(310)와 상기 제3 고정공(311)에 연장되어 상기 수직조절부재(300)의 외측면에서부터 내측면까지 경사지게 통공되는 제 4 고정공(32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수직조절부재(300)의 외측면에는 도 3 또는 도 5 및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수직조절부재가이드부(240)에 맞물리게 연결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수직고정링크(330)가 구성되어, 편리하고 용이하게 상기 수납장(20)의 종방향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상기 연결링크(310)의 양측면에는 도 4 또는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각각 타공되어 형성되는 이탈방지핀인입공(340)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 또는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이탈방지핀인입공(340)에 각각 인입되는 이탈방지핀(350)을 더 구성함으로써, 상기 연결링크(310)가 상기 제2 고정공(210)에 삽입된 후 상기 수직조절부재 유동홈(230)을 거쳐 상기 이탈방지핀인입공(340)에 상기 이탈방지핀(350)을 각각 결합하여 상기 수직조절부재(300)가 상기 수평조절부재(200)에서 이탈되지 않고 종방향으로 유연하게 이동 가능해진다.
한편, 상기 수직조절부재(300)의 양측면에는 도 3 또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수직고정링크(330)의 위치보다 더 돌출되어 형성되되, 외측면에 함몰되어 형성되는 탄성부재가이드홈(361)을 포함하는 수직슬라이딩가이드(360)가 더 구성되어, 상기 수직조절부재(300)를 정확하게 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 해 주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5 또는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이탈방지핀(350)의 말단에 연결되되, 상기 탄성부재가이드홈(361)에 인입되는 선단연장부(371)와 상기 탄성부재지지핀(260)에 연결되는 말단연장부(372)를 포함하는 탄성부재(370)가 더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탄성부재(370)의 탄성력 회복방향은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벽체(10)에 형성된 고정부재삽입공(11)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부재(300)(도 8의 (a))를 조임 해제 후(도 8의 (b)) 상기 수직조절부재(300)의 하부를 가압했을 때, 상기 선단연장부(371)에 압축력이 전달되고, 이 후 상기 수납장(30)을 이동시킨 뒤(도 8의 (c)) 원하는 위치에서 상기 수직조절부재(300)의 하부에 가압을 해제하게 되면 상기 선단연장부(371)에 압축력이 해제되어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도 8의 (d)) 되돌아오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수직조절부재(300)의 내측면에는 도 2 또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제4 고정공(320) 하부에 연장되어 통공되되, 상기 제4 고정공(320)의 크기와 같거나 크게 형성되는 제5 고정공(380)이 더 구성하여, 도 10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제4 고정공(320)의 크기보다 큰 고정부재(30`)가 상기 벽체(10)에 고정되어 있을 경우에도 상기 제5 고정공(380)을 통해 호환하여 상기 수납장(20)을 설치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커버부재(4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커버부재(400)는 도 1 또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수평조절부재(200)와 수직조절부재(300)가 결합된 상기 본체(100)의 내측을 덮을 수 있도록 내측에 공간이 형성된 안착부(410)가 구성되어 있는 외부마감재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커버부재(400)의 내측에는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커버고정홈(122)에 인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나 이상 돌출되어 형성되는 본체고정돌기(420)가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인하여 상기 커버부재(400)를 쉽게 상기 본체(100)에서 탈착 가능하여 사용 편리성이 향상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상기 벽체설치용 가구 위치조절부재(1)는 도 1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선반형 가구(40)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수평조절부재(200)와 수직조절부재(300)의 기능이 반대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벽체설치용 가구 위치조절부재(1)는 그 크기를 다양하게 제작하여 용도에 맞게 상기 수납장(20)의 위치 범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벽체설치용 가구 위치조절부재
10: 벽체
11: 고정부재삽입공
20: 수납장
21: 연결통공
30, 30`: 고정부재
40: 선반형 가구
100: 본체
110: 제1 연결부
111: 수납장연결공
120: 제2 연결부
121: 제1 고정공 122: 커버고정홈
130: 수평유동가이드
131: 수평조절부재 유동홈
200: 수평조절부재
210: 제2 고정공
220: 수평 슬라이딩부
230: 수직조절부재 유동홈
240: 수직조절가이드부
250: 탄성부재지지핀인입공
260: 탄성부재지지핀
300: 수직조절부재
310: 연결링크
311: 제3 고정공
320: 제4 고정공
330: 수직고정링크
340: 이탈방지핀인입공
350: 이탈방지핀
360: 수직 슬라이딩가이드
361: 탄성부재가이드홈
370: 탄성부재
371: 선단연장부 372: 말단연장부
380: 제5 고정공
400: 커버부재
410: 안착부
420: 본체고정돌기

Claims (3)

  1. 실내 벽체(10)에 설치되는 수납장(20)의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수납장(20)의 위치를 조절하는 벽체설치용 가구 위치조절부재(1)에 있어서,
    상기 수납장(20)의 일측면에 접촉되는 제1 연결부(110)와,
    상기 제1 연결부(110)의 일측면에서 직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중앙에 통공되어 형성되는 제1 고정공(121)을 포함하는 제2 연결부(120)와,
    상기 제2 연결부(120)의 내측면 상, 하부분에 돌출되어 형성되되, 내측으로 함몰되어 공간이 형성되는 수평조절부재 유동홈(131)을 포함한 수평유동가이드(130)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와 연동되도록 연결되되,
    중앙에 통공되어 형성되는 제2 고정공(210)과,
    상기 수평조절부재 유동홈(131)에 인입되어 횡방향으로 유동되도록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상기 수평조절부재 유동홈(131)과 상응하여 형성되는 수평 슬라이딩부(220)와,
    외측면에 함몰되어 형성되는 수직조절부재 유동홈(230)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수평조절부재(200);
    상기 수평조절부재(200)와 연동되도록 연결되되,
    상기 제2 고정공(210)에 인입되어 종방향으로 유동되도록 외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되, 중앙에 통공되어 형성되는 제3 고정공(311)을 포함하는 연결링크(310)와,
    상기 제3 고정공(311)에 연장되어 형성되되, 경사지게 통공되어 형성되는 제4 고정공(320)을 포함하는 수직조절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설치용 가구 위치조절부재(1).
  2. 청구항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조절부재(200)의 내측면에는 하나 이상 톱니형상의 수직조절가이드부(240)가 더 구성되고,
    상기 수직조절부재(300)의 외측면에는 상기 수직조절가이드부(240)와 맞물리게 연결되도록 상기 수직조절가이드부(240)와 상응하여 형성되는 수직고정링크(330)가 더 구성되며,
    상기 연결링크(310)의 양측면에는 각각 타공되어 형성되는 이탈방지핀인입공(340)이 더 구성되고,
    상기 이탈방지핀인입공(340)에 각각 인입되어 고정되는 이탈방지핀(350)이 더 구성되며,
    상기 본체(100)의 내측을 덮을 수 있도록 내측에 공간으로 형성된 안착부(410)를 포함하는 커버부재(400)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설치용 가구 위치조절부재(1).
  3. 청구항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110)의 내측면에는 하나 이상 통공되어 형성되는 수납장연결공(111)이 더 구성되고,
    상기 제2 연결부(120)의 타측면에는 하나 이상 함몰되어 형성되는 커버고정홈(122)이 더 구성되며,
    상기 수평조절부재(200)의 양측면에는 각각 타공되어 형성되는 탄성부재지지핀인입공(250)이 더 구성되고,
    상기 탄성부재지지핀인입공(250)에 각각 인입되어 고정되는 탄성부재지지핀(260)이 더 구성되며,
    상기 수직조절부재(300)의 양측면에는 상기 수직고정링크(330)의 위치보다 더 돌출되어 형성되되, 외측면에 함몰되어 형성되는 탄성부재가이드홈(361)을 포함하는 수직슬라이딩가이드(360)가 더 구성되고,
    상기 이탈방지핀(350)의 말단에 연결되되, 상기 탄성부재가이드홈(361)에 인입되는 선단연장부(371)와 상기 탄성부재지지핀(260)에 연결되는 말단연장부(372)를 포함하는 탄성부재(370)가 더 구성되며,
    상기 제4 고정공(320) 하부에 연장되어 통공되되, 상기 제4 고정공(320)의 크기와 같거나 크게 형성되는 제5 고정공(380)이 더 구성되고,
    상기 커버부재(400)의 내측에는 상기 커버고정홈(122)에 인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나 이상 돌출되어 형성되는 본체고정돌기(420)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설치용 가구 위치조절부재(1).
KR1020140002925A 2014-01-09 2014-01-09 벽체설치용 가구 위치조절부재 KR101555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2925A KR101555963B1 (ko) 2014-01-09 2014-01-09 벽체설치용 가구 위치조절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2925A KR101555963B1 (ko) 2014-01-09 2014-01-09 벽체설치용 가구 위치조절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3317A KR20150083317A (ko) 2015-07-17
KR101555963B1 true KR101555963B1 (ko) 2015-09-25

Family

ID=53873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2925A KR101555963B1 (ko) 2014-01-09 2014-01-09 벽체설치용 가구 위치조절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59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2848B1 (ko) * 2019-05-27 2021-03-26 김성주 가구용 수평 걸이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21548B1 (en) 2005-05-13 2009-02-11 Gruppo Confalonieri S.p.A. Leveller device for furnitur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21548B1 (en) 2005-05-13 2009-02-11 Gruppo Confalonieri S.p.A. Leveller device for furni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3317A (ko) 2015-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75239B2 (ja) 壁掛け装置
KR200461778Y1 (ko) 시스템 가구용 선반조절장치
KR101555963B1 (ko) 벽체설치용 가구 위치조절부재
US20190328126A1 (en) Gaming table
KR102164096B1 (ko) 가구조립용 연결구와 이에 의해 조립된 가구
ATE263503T1 (de) Regalbodenstütze für eine schnelle montage, für möbel und dergleichen
KR101232449B1 (ko) 칸막이 상부 설치용 화분거치대
US20160095431A1 (en) Furniture Fixture for Cabinet
TW201740837A (zh) 抽屜滑軌
US9364090B2 (en) Bracket for a pilaster
US10470560B2 (en) Slidable furniture with in-wall mounting system
KR101932958B1 (ko) 회전 제어가 가능한 서적 관리용 어레이 툴
US10342334B1 (en) Upper-shelf assembly
KR20160062945A (ko) 높이와 길이 조절 식 책상 칸막이
KR20110118907A (ko) 다목적 조립형 가구
KR101938395B1 (ko) 침대가 구비된 책상
EP2676586A1 (en) Shower box with associated additional elements
JP2020142065A (ja) 棚柱取付構造及び棚柱利用システム
JP4888235B2 (ja) 学習机と書棚の連結装置
KR101642645B1 (ko) 다기능 책상
KR20140000778U (ko) 서랍 장착용 레일
KR20180130651A (ko) Tv 오픈형 거실 책 장식장
JP3191880U (ja) スライドレール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連結装置
KR200219417Y1 (ko) 다용도 수납장
KR20120002307U (ko) 연결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