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5686B1 - 링형 벨트 자동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링형 벨트 자동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5686B1
KR101555686B1 KR1020150109348A KR20150109348A KR101555686B1 KR 101555686 B1 KR101555686 B1 KR 101555686B1 KR 1020150109348 A KR1020150109348 A KR 1020150109348A KR 20150109348 A KR20150109348 A KR 20150109348A KR 101555686 B1 KR101555686 B1 KR 101555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belt
supply
supply arm
arm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9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종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씨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씨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씨티
Priority to KR1020150109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56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5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5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2Rotary or reciprocating members for direct action on articles or materials, e.g. pushers, rakes, shov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8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24Equipment for mounting belts, ropes, or ch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면 양측으로 전후가이드가 전후 방향을 향하여 고정 설치된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전후가이드에 얹혀 전후 이동되며, 상면에는 좌우 방향으로 좌우가이드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이동프레임; 상기 이동프레임의 상면 양측에 각각 설치됨과 더불어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좌우가이드의 안내를 받아 좌우 이동되도록 설치되며, 공급하고자 하는 링형 벨트의 양단이 각각 걸리되면서 상기 링형 벨트를 전진 이동시키는 두 공급암부; 상기 두 공급암부의 전방측 직하방에 각각 위치되면서 상기 두 공급암부에 의해 전진 이동되는 링형 벨트 중 상기 두 공급암부의 끝단에 도달된 링형 벨트를 제외한 여타의 링형 벨트에 대한 이동을 일시 중단시키는 구속부; 상기 두 공급암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공급암부의 전방측 직하방에 위치되면서 상기 두 공급암부의 끝단에 도달된 링형 벨트를 공급 대상장치로 건네도록 동작하는 푸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링형 벨트 자동 공급장치가 제공되며, 이를 통해 링형 벨트를 공급 대상장치의 두 권취릴에 정확하면서도 자동으로 권취되도록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링형 벨트 자동 공급장치{belt auto feeding machine}
본 발명은 링형 벨트를 자동으로 공급하기 위한 장치에 관련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링형 벨트를 두 권취릴에 권취되도록 공급하면서도 그 공급이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링형 벨트 자동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링형 벨트는 서로 이격된 두 풀리 간을 연결하면서 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도구로써, 예컨대, 엔진계통 등이나 여타 부위 및 장치의 동력 전달을 위한 다양한 형상 및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상기한 링형 벨트는 그의 제조가 이루어진 이후에는 표면에 강성의 보강이나 식별을 위한 부착물을 부착하거나 혹은, 프린팅하는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작업을 추가로 수행하고 있으며, 이러한 부가작업은 실질적으로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제조된 링형 벨트의 표면에 부가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상기 링형 벨트의 양단을 두 권취릴에 견고히 지지한 상태로 해당 링형 벨트를 돌려가면서 수행하여야만 하는데, 상기 링형 벨트의 양단을 상기 두 권취릴에 권취시키는 작업은 자동화가 이루어져 있지 않기 때문에 각 작업기기 마다 개별 작업자가 모두 존재하여야만 하였던 것이다.
이로써, 전체적인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릴 수밖에 없을 뿐만 아니라 많은 작업자의 필요로 인해 작업 효율이 극히 낮아질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물론, 종래에도 등록실용신안 제20-0129447호, 등록특허 제10-1994-007125호 등과 같은 벨트의 자동 공급을 위한 장치가 제공되었다.
하지만, 전술된 종래 기술 중 등록실용신안 제20-0129447호의 경우는 단순히 벨트를 그의 장착 위치에까지 이송하는 기능만 수행할 뿐 벨트의 양단을 두 권취릴에 권취시키지는 못하였으며, 등록특허 제10-1994-007125호의 경우에는 벨트를 공급받는 부위가 공급장치로 이동된 후 단순히 전달받도록만 아루어져 있을 뿐 서로 수평 방향으로 이격된 부위로의 벨트 공급을 수행할 수는 없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129447호, 등록특허 제10-1994-007125호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링형 벨트를 두 권취릴에 권취되도록 공급하면서도 그 공급이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링형 벨트 자동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링형 벨트 자동 공급장치는 전방에 위치되면서 링형 벨트를 공급받는 공급 대상장치로 상기 링형 벨트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면 양측으로 전후가이드가 전후 방향을 향하여 고정 설치된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전후가이드에 얹혀 전후 이동되며, 상면에는 좌우 방향으로 좌우가이드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이동프레임; 상기 이동프레임의 상면 양측에 각각 설치됨과 더불어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좌우가이드의 안내를 받아 좌우 이동되도록 설치되며, 공급하고자 하는 링형 벨트의 양단이 각각 걸리되면서 상기 링형 벨트를 전진 이동시키는 두 공급암부; 상기 두 공급암부의 전방측 직하방에 각각 위치되면서 상기 두 공급암부에 의해 전진 이동되는 링형 벨트 중 상기 두 공급암부의 끝단에 도달된 링형 벨트를 제외한 여타의 링형 벨트에 대한 이동을 일시 중단시키는 구속부; 상기 두 공급암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공급암부의 전방측 직하방에 위치되면서 상기 두 공급암부의 끝단에 도달된 링형 벨트를 공급 대상장치로 건네도록 동작하는 푸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두 공급암부는 상기 이동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는 설치블럭과, 내부가 빈 관체로 형성되면서 후단은 상기 설치블럭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선단은 공급 대상장치를 향하도록 설치되며, 둘레면에는 링형 벨트의 일측 내면이 걸림과 더불어 상기 링형 벨트의 이송을 안내하는 안내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지면서 벨트이송용모터의 구동력으로 회전되는 이송암과, 상기 이송암의 전방측 끝단에 상기 이송암과는 별도로 회전되도록 설치되면서 둘레면에는 나선형의 나선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진 회전체와, 상기 이송암 내를 관통하여 상기 회전체에 동력 전달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벨트공급용모터의 구동력으로 회전되는 구동축을 각각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두 공급암부를 이루는 각각의 이송암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속부는 링형 벨트의 이송을 가로막기 위한 스토퍼를 갖는 구속블럭과, 상기 구속블럭을 승강시키는 구속용 승강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푸시부는 상기 링형 벨트의 측면에 접촉되는 푸시부재를 갖는 푸시블럭과, 상기 푸시블럭을 전후 이동시키는 제1푸시용 실린더와, 상기 제1푸시용 실린더를 승강시키는 제2푸시용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링형 벨트 자동 공급장치는 링형의 벨트를 공급 대상장치의 두 권취릴에 정확히 권취되도록 자동으로 공급함에 따라 작업자의 작업량을 확연히 저감시킬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특히, 본 발명의 링형 벨트 자동 공급장치는 링형 벨트가 두 이송암에 감겨진 상태로 이송되면서도 상기 두 이송암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해 그 이송시 어느 한 측으로의 기울어짐 없이 정확히 이송될 수 있기 때문에 공급 대상장치의 권취릴로 정확한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링형 벨트 자동 공급장치는 링형 벨트를 상하 방향으로 공급하는 공급 방식이 아닌 전후(혹은, 좌우)의 수평 방향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 실제 링형 벨트에 대한 부가작업을 수행하는 장치를 개조하지 않고도 상기 링형 벨트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형 벨트 자동 공급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형 벨트 자동 공급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형 벨트 자동 공급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좌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형 벨트 자동 공급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우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형 벨트 자동 공급장치 중 이동프레임의 설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요부만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형 벨트 자동 공급장치 중 두 공급암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7 및 도 8은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형 벨트 자동 공급장치 중 이동프레임에 두 공급암부가 설치된 상태 및 서로 간의 간격 조절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요부만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형 벨트 자동 공급장치 중 구속부 및 푸시부의 설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형 벨트 자동 공급장치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좌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형 벨트 자동 공급장치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우측면도
도 12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형 벨트 자동 공급장치의 링형 벨트가 이송 및 공급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링형 벨트 자동 공급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실시예의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링형 벨트 자동 공급장치는 그의 전방에 위치되면서 링형 벨트(10)를 공급받는 공급 대상장치(20)의 두 권취릴(21)로 상기 링형 벨트(10)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장치이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형 벨트 자동 공급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형 벨트 자동 공급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형 벨트 자동 공급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좌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형 벨트 자동 공급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우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형 벨트 자동 공급장치(이하, “벨트 공급장치”라 함)는 크게 베이스프레임(100)과, 이동프레임(200)과, 두 공급암부(310,320)와, 구속부(410,420) 및 푸시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두 공급암부(310,320)의 각 이송암(312,322)에 양단이 걸려있는 복수의 링형 벨트(10)를 공급 대상장치(20)의 두 권취릴(21)로 순차적인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 공급장치의 몸체를 형성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베이스프레임(100)은 지면에 고정 설치되며, 이러한 베이스프레임(100)의 상면 양측으로는 전후가이드(110)가 전후 방향을 향하도록 각각 고정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이동프레임(200)은 후술될 두 공급암부(300)의 설치 영역을 제공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이동프레임(200)은 평판형의 블럭체로 형성되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두 전후가이드(110) 상면에 얹힌 상태로 상기 두 전후가이드(110)의 지지를 받으면서 전후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프레임(200)의 전후 이동은 전후이동용모터(210)의 구동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이동프레임(200)의 저면에는 너트하우징(220)이 고정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전후이동용모터(210)는 상기 너트하우징(220)을 관통하는 볼스크류(230)로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전후이동용모터(210)의 구동에 따른 볼스크류(230)의 정역 회전에 의해 상기 너트하우징(220)이 고정된 이동프레임(200)의 전후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에 관련하여는 첨부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와 함께, 상기한 이동프레임(200)의 상면 전방측 및 후방측에는 좌우가이드(240)가 좌우 방향을 향하도록 각각 고정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두 공급암부(310,320)는 서로 협력하면서 링형 벨트(10)를 전방으로 순차 이송 및 공급 대상장치로 공급하는 구성이다.
상기 두 공급암부(310,320)는 상기 이동프레임(200)의 상면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두 공급암부(310,320) 중 도면상 우측에 위치된 공급암부(이하, “이동측 공급암부”라 함)(310)만 좌우가이드(240)의 안내를 받아 좌우 이동되도록 구성됨을 그 예로 하며, 이때 도면상 좌측에 위치된 공급암부(이하, “고정측 공급암부”라 함)(320)는 이동프레임(200)의 상면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특히, 상기 이동측 공급암부(310)의 좌우 이동은 좌우이동용모터(330)의 구동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이동측 공급암부(310)의 저면에는 너트하우징(331)이 고정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좌우이동용모터(330)는 상기 이동프레임(200)의 측부에 설치되면서 상기 너트하우징(331)을 관통하는 볼스크류(332)로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좌우이동용모터(330)의 구동에 따른 볼스크류(332)의 정역 회전에 의해 상기 너트하우징(331)이 고정된 이동측 공급암부(310)의 전후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한 각 공급암부(310,320)는 각각 설치블럭(311,321)과, 이송암(312,322)과, 회전체(313,323) 및 구동축(314,3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설치블럭(311,321)은 상기 이동프레임(200)의 상면에 설치되는 부위로써, 상기 이동프레임(200) 상면의 좌우가이드(240)의 안내를 받아 좌우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이송암(312,322)은 링형 벨트(10)의 이송을 안내하는 부위로써, 그의 후단이 상기 설치블럭(311,32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구성됨과 더불어 그의 선단은 공급 대상장치(20)를 향하도록 설치된 내부가 빈 관체로 형성되며, 상기 이송암(312,322)의 둘레면에는 링형 벨트(10)의 일측 내면이 걸림과 더불어 상기 링형 벨트(10)의 이송을 안내하는 안내돌기(312a,322a)가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함께 상기 이송암(312,322)은 벨트이송용모터(315,325)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체(313,323)는 상기 이송암(312,322)에 비해 더욱 빠른 속도로 링형 벨트(10)를 순간 이송시키기 위한 부위로써, 상기 이송암(312,322)의 전방측 끝단에 상기 이송암(312,322)과는 별도로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회전체(313,323)의 둘레면에는 나선형의 나선돌기(313a,323a)가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구동축(314,324)은 상기 회전체(313,323)가 회전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부위로써, 상기 이송암(312,322) 내를 관통하여 그의 선단이 상기 회전체(313,323)에 동력 전달 가능하게 결합됨과 더불어 후단은 벨트공급용모터(316,326)의 구동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두 공급암부(310,320)를 이루는 각 이송암(312,322)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제시한다. 이는 상기 두 이송암(312,322)이 서로 동일 방향(예컨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이 두 이송암(312,322)에 양단이 걸려 있는 링형 벨트(10)는 이러한 두 이송암(312,322)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려고 함에 따라 각 이송암(312,322)의 전방으로 양측이 균일하게 이동되지 못하고 어느 한 측으로 기우는 현상이 발생되기 때문이다. 즉, 상기 두 이송암(312,322)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링형 벨트(10)가 그 이송 도중 어느 한 측으로 기우는 현상은 방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구속부(410,420)는 링형 벨트(10)들이 두 공급암부(310,320)의 각 이송암(312,322)을 따라 전진 이동되는 과정에서 어느 한 링형 벨트(10)가 공급 대상장치(20)의 두 권취릴(21)로 공급될 때 여타의 링형 벨트(10)들에 대한 이송은 일시적으로 중단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이와 같은 구속부(410,420)는 상기 두 공급암부(310,320)의 전방측 직하방에 각각 위치되며, 링형 벨트(10)의 이동을 가로막기 위한 스토퍼(411,421)를 갖는 구속블럭(412,422)과, 상기 구속블럭(412,422)을 승강시키는 구속용 승강실린더(413,4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한 구속용 승강실린더(413,423)는 각 공급암부(310,320)를 이루는 설치블럭(311,321)으로부터 상기 이송암(312,322)의 저부를 따라 돌출되도록 이루어진 연결축(414,424)의 끝단에 고정되면서 상기 구속블럭(412,422)을 승강시키도록 구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스토퍼(411,421)는 상기 이송암(312,322)을 따라 이송되는 각 링형 벨트(10) 중 어느 한 링형 벨트(10)가 회전체(313,323)에 도달하게 될 경우 그 후방에 위치되어 이송되는 링형 벨트(10)를 가로막아 해당 링형 벨트(10)의 전진 이송을 일시 중단시키는 부위로써, 상기 구속블럭(412,422)의 상면 선단측에 상향 돌출되게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푸시부(500)는 상기 각 공급암부(310,320)의 회전체(313,323)에 도달된 링형 벨트(10)를 강제적으로 빠르게 이송시켜 공급 대상장치(20)로 건네도록 동작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푸시부(500)는 상기 두 공급암부(310,320) 중 적어도 어느 한 공급암부의 전방측 직하방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푸시부(500)가 상기 두 공급암부(310,320) 중 이동측 공급암부(310)의 직하방에 위치된 구속부(410)의 연결축(414) 끝단에 설치됨을 그 예로 한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한 푸시부(500)는 상기 두 공급암부(310,320)의 직하방 모두에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한 푸시부(500)는 상기 링형 벨트(10)의 측면에 접촉되는 푸시부재(510)를 갖는 푸시블럭(520)과, 상기 푸시블럭(520)을 전후 이동시키는 제1푸시용 실린더(530)와, 상기 제1푸시용 실린더(530)를 승강시키는 제2푸시용 실린더(5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두 회전체(313,323)에 위치되어 상기 두 회전체(313,323)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되는 링형 벨트(10)의 후면을 상기 푸시부(500)의 푸시부재(510)가 상기 제1푸시용 실린더(530)의 동작에 의해 순간적으로 밀도록 함으로써 상기 회전체(313,323)와 공급 대상장치(20)의 권취릴(21)이 서로 이격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링형 벨트(10)가 상기 권취릴(21)에 정확히 제공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 공급장치를 이용한 링형 벨트를 공급하는 과정에 대하여 도 10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첨부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최초의 상태에서 작업자는 공급하고자 하는 복수의 링형 벨트(10)를 벨트 공급장치에 거치시킨다.
즉, 링형 벨트(10)의 양단을 두 공급암부(310,320)의 각 이송암(312,322)에 각각 거치시키는 작업을 반복함으로써 복수의 링형 벨트(10)에 대한 공급 준비가 완료된다. 이때 상기 두 공급암부(310,320) 간의 이격 거리는 공급하고자 하는 상기 링형 벨트(10)의 길이를 고려하여 결정되며, 이러한 두 공급암부(310,320) 간의 이격 거리에 대한 조절은 좌우이동용모터(330)를 정역 구동시킴으로써 수행된다. 이는 첨부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다.
한편, 상기한 링형 벨트(10)에 대한 공급 준비가 완료된 상태에서 작업자에 의한 벨트 공급장치의 동작 제어가 이루어지게 되면, 전후이동용모터(210)의 구동에 따른 볼스크류(230)의 정역 회전에 의해 너트하우징(220)이 고정된 이동프레임(200)의 전후 이동이 이루어지면서 두 공급암부(310,320)의 각 이송암(312,322) 끝단이 공급 대상장치(20)의 권취릴(21)에 인접되게 위치된다. 이는 첨부된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또한, 상기한 두 공급암부(310,320)의 전진 이동이 완료되면 상기 두 공급암부(310,320)를 이루는 벨트이송용모터(315,325)가 각각 구동되면서 두 이송암(312,322)을 회전시키게 되고, 이로써 상기 두 이송암(312,322)에 감겨진 링형 벨트(10)는 상기 두 이송암(312,322)의 회전에 따른 안내돌기(312a,322a)와의 마찰에 의해 두 이송암(312,322)의 전방으로 점차 이동하게 된다. 특히 상기한 두 벨트이송용모터(315,325)의 구동에 의한 두 이송암(312,322)의 회전 방향은 서로 반대의 방향이 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이송암(312,322)을 따라 이송되는 링형 벨트(10)가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첨부된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이동되는 링형 벨트(10)들 중 어느 한 링형 벨트(10)가 회전체(313,323)에 이르기까지 이동하게 되면 첨부된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속부(410,420)를 이루는 구속용 승강실린더(413,423)의 동작이 이루어지면서 구속블럭(412,422)을 상승 이동시키게 되며, 이로써 상기 구속블럭(412,422) 상면에 구비된 스토퍼(411,421)는 뒤이어 이송되는 링형 벨트(10)를 가로막아 더 이상의 이동됨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이때에는 첨부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부(500)를 이루는 제2푸시용 실린더(540)의 동작에 의해 제1푸시용 실린더(530) 및 그에 결합된 푸시블럭(520)을 상승 이동시키게 되며, 계속해서 첨부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푸시용 실린더(530)의 동작이 이루어지면서 푸시블럭(520)을 전진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푸시블럭(520)에 고정된 푸시부재(510)는 상기 회전체(313,323)에 위치되어 상기 회전체(313,323)에 형성된 나선돌기(313a,323a)의 회전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되는 링형 벨트(10)를 순간적으로 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링형 벨트(10)는 상기 회전체(313,323)의 회전력 및 상기 푸시부재(510)의 가압력에 의해 순간적인 튕김이 이루어지면서 공급 대상장치(20)의 권취릴(21)로 공급되어 해당 공급 대상장치(20)에서의 부가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한 링형 벨트(10)에 대한 공급이 완료된 이후에는 전술된 각 과정의 역순으로 푸시부(500)의 원위치 복귀과, 구속부(410,420)의 원위치 복귀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추가적인 링형 벨트(10)의 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 물론 상기 구속부(410,420)의 원위치 복귀는 상기 공급 대상장치(20)로 공급된 링형 벨트(10)에 대한 부가작업이 완료되었을 경우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결국, 본 발명의 링형 벨트 자동 공급장치는 링형의 벨트(10)를 공급 대상장치(20)의 두 권취릴(21)에 정확히 권취되도록 자동으로 공급함에 따라 작업자의 작업량을 확연히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링형 벨트 자동 공급장치는 링형 벨트(10)가 두 이송암(312,322)에 감겨진 상태로 이송되면서도 상기 두 이송암(312,322)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해 그 이송시 어느 한 측으로의 기울어짐 없이 정확히 이송될 수 있기 때문에 공급 대상장치(20)의 권취릴(21)로 정확한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링형 벨트 자동 공급장치는 링형 벨트(10)를 상하 방향으로 공급하는 공급 방식이 아닌 전후(혹은, 좌우)의 수평 방향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 실제 링형 벨트(10)에 대한 부가작업을 수행하는 장치를 개조하지 않고도 상기 링형 벨트(10)를 정확히 공급할 수 있게 된다.
10. 링형 벨트 20. 공급 대상장치
21. 권취릴 100. 베이스프레임
110. 전후가이드 200. 이동프레임
210. 전후이동용모터 220. 너트하우징
230. 볼스크류 240. 좌우가이드
310,320. 공급암부 311,321. 설치블럭
312,322. 이송암 312a,322a. 안내돌기
313,323. 회전체 313a,323a. 나선돌기
314,324. 구동축 315,325. 벨트이송용모터
316,326. 벨트공급용모터 330. 좌우이동용모터
331. 너트하우징 332. 볼스크류
410,420. 구속부 411,421. 스토퍼
412,422. 구속블럭 413,423. 구속용 승강실린더
414,424. 연결축 500. 푸시부
510. 푸시부재 520. 푸시블럭
530. 제1푸시용 실린더 540. 제2푸시용 실린더

Claims (5)

  1. 전방에 위치되면서 링형 벨트를 공급받는 공급 대상장치로 상기 링형 벨트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면 양측으로 전후가이드가 전후 방향을 향하여 고정 설치된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전후가이드에 얹혀 전후 이동되며, 상면에는 좌우 방향으로 좌우가이드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이동프레임;
    상기 이동프레임의 상면 양측에 각각 설치됨과 더불어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좌우가이드의 안내를 받아 좌우 이동되도록 설치되며, 공급하고자 하는 링형 벨트의 양단이 각각 걸리되면서 상기 링형 벨트를 전진 이동시키는 두 공급암부;
    상기 두 공급암부의 전방측 직하방에 각각 위치되면서 상기 두 공급암부에 의해 전진 이동되는 링형 벨트 중 상기 두 공급암부의 끝단에 도달된 링형 벨트를 제외한 여타의 링형 벨트에 대한 이동을 일시 중단시키는 구속부;
    상기 두 공급암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공급암부의 전방측 직하방에 위치되면서 상기 두 공급암부의 끝단에 도달된 링형 벨트를 공급 대상장치로 건네도록 동작하는 푸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링형 벨트 자동 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공급암부는
    상기 이동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는 설치블럭과,
    내부가 빈 관체로 형성되면서 후단은 상기 설치블럭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선단은 공급 대상장치를 향하도록 설치되며, 둘레면에는 링형 벨트의 일측 내면이 걸림과 더불어 상기 링형 벨트의 이송을 안내하는 안내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지면서 벨트이송용모터의 구동력으로 회전되는 이송암과,
    상기 이송암의 전방측 끝단에 상기 이송암과는 별도로 회전되도록 설치되면서 둘레면에는 나선형의 나선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진 회전체와,
    상기 이송암 내를 관통하여 상기 회전체에 동력 전달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벨트공급용모터의 구동력으로 회전되는 구동축을 각각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링형 벨트 자동 공급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공급암부를 이루는 각각의 이송암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링형 벨트 자동 공급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는
    링형 벨트의 이송을 가로막기 위한 스토퍼를 갖는 구속블럭과,
    상기 구속블럭을 승강시키는 구속용 승강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링형 벨트 자동 공급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부는
    상기 링형 벨트의 측면에 접촉되는 푸시부재를 갖는 푸시블럭과,
    상기 푸시블럭을 전후 이동시키는 제1푸시용 실린더와,
    상기 제1푸시용 실린더를 승강시키는 제2푸시용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링형 벨트 자동 공급장치.
KR1020150109348A 2015-08-03 2015-08-03 링형 벨트 자동 공급장치 KR101555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348A KR101555686B1 (ko) 2015-08-03 2015-08-03 링형 벨트 자동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348A KR101555686B1 (ko) 2015-08-03 2015-08-03 링형 벨트 자동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5686B1 true KR101555686B1 (ko) 2015-09-25

Family

ID=54249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9348A KR101555686B1 (ko) 2015-08-03 2015-08-03 링형 벨트 자동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56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36770A (zh) * 2018-11-23 2019-03-08 柳州蚕润丝圆蚕业机械科技有限公司 流利轮蚕架蚕匾全自动复位车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38152A (ja) 2004-07-29 2006-02-09 Mitsuboshi Belting Ltd ベルト装着装置及びベルト装着方法
JP2008164053A (ja) 2006-12-28 2008-07-17 Fuji Heavy Ind Ltd ベルト取付方法、ベルト取付治具、ベルト着脱方法及びベルト着脱治具
JP2009185851A (ja) 2008-02-05 2009-08-20 Gates Unitta Asia Co ベルト取付治具及びベルト取付方法
JP2009213774A (ja) 2008-03-12 2009-09-24 Juki Corp ベルトループの供給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38152A (ja) 2004-07-29 2006-02-09 Mitsuboshi Belting Ltd ベルト装着装置及びベルト装着方法
JP2008164053A (ja) 2006-12-28 2008-07-17 Fuji Heavy Ind Ltd ベルト取付方法、ベルト取付治具、ベルト着脱方法及びベルト着脱治具
JP2009185851A (ja) 2008-02-05 2009-08-20 Gates Unitta Asia Co ベルト取付治具及びベルト取付方法
JP2009213774A (ja) 2008-03-12 2009-09-24 Juki Corp ベルトループの供給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36770A (zh) * 2018-11-23 2019-03-08 柳州蚕润丝圆蚕业机械科技有限公司 流利轮蚕架蚕匾全自动复位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129709A1 (en) Conductor transportation device, in particular for cables to be processed in cable-processing machines
US378948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flexible fiber optical light conductors
EP3124195B1 (en) Method for machining large-sized plates of glass, stone, marble, or the like, in a numeric-control workstation and workstation therefor
CN110994920B (zh) 转子组装系统与转子组装方法
US9290356B2 (en) Wire transporting system
KR101555686B1 (ko) 링형 벨트 자동 공급장치
KR20080095172A (ko) 스트립 형태의 공작물을 취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4525774A (zh) 一种极片输送及纠偏装置
US4800791A (en) Transport system for an automatic cable processing machine
CN210524100U (zh) 送丝系统及具有其的焊接设备
US4119018A (en) Bending unit for a bending-glueing machine
KR102363107B1 (ko) 처리 장치
EP0196560B1 (en) Work system of type moving table
CN104354054A (zh) 具有自动上料装置的机床及其自动上料方法
CN209919622U (zh) 一种用于气门杆加工的高速磨床的上料机构
CN108328257B (zh) 一种弹簧转向供给装置
CN213651118U (zh) 一种全自动绕线机的上料机构
KR101147485B1 (ko) 단자 밴딩기
KR101625533B1 (ko) 파이프형 컨베이어 이송장치 및 파이프형 컨베이어 이송 시스템
CN212314803U (zh) 烟箱自动纠偏传输装置
CN114952316A (zh) 双线型单向器输出轴加工线
KR101692749B1 (ko) 테이프의 처짐이 방지될 수 있는 테이프 권취장치
CN113245657A (zh) 铜环定位装置、铜环焊接装置及焊接系统
EP2922187A1 (en) Coil winding apparatus, and coil winding method
EP4079646B1 (en) Cable-tie straighten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