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5178B1 - 음료백용 음료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음료백용 음료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5178B1
KR101555178B1 KR1020130120309A KR20130120309A KR101555178B1 KR 101555178 B1 KR101555178 B1 KR 101555178B1 KR 1020130120309 A KR1020130120309 A KR 1020130120309A KR 20130120309 A KR20130120309 A KR 20130120309A KR 101555178 B1 KR101555178 B1 KR 101555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body
opening
discharge pipe
beverage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0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1851A (ko
Inventor
신성섭
Original Assignee
기성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성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성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0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5178B1/ko
Publication of KR20150041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1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5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5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 B65D47/2093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slide valve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가 배출되는 부위에 대한 개방량을 사용자가 정확히 인지하면서 음료의 배출 유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항상 동일한 방향성을 갖는 제품으로의 제조가 가능하며, 또한 건더기와 같은 내용물을 갖는 음료의 선택적 배출을 위한 음료백에도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에 따른 음료백용 음료 배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음료백의 표면에 고정되면서 상기 음료백의 배출구와 연통되는 관로를 갖는 배출관; 상기 배출관에 나사식으로 장착됨과 더불어 상기 배출관의 설치 방향과는 수직한 방향으로 음료 배출을 안내하는 양 끝단이 개방된 파이프 구조로 이루어진 밸브몸체; 상기 밸브몸체 내에 위치됨과 더불어 상기 배출관의 설치 방향과는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밸브몸체의 선단측 개방 부위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플런저; 그리고, 상기 밸브몸체의 후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과 더불어 그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개폐플런저를 전후 이동시키는 조작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백용 음료 배출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음료백용 음료 배출장치{liquid discharging device using bag in box}
본 발명은 음료백에 장착되어 음료가 선택적으로 배출되도록 한 음료배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체적인 구조가 간단함과 더불어 조작이 간단하며, 특히 내용물을 가지는 음료의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음료백용 음료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 배출장치는 필요시 개방하여 음료백이나 음료팩 및 음료용기 내의 음료를 배출하거나 혹은, 필요시 폐쇄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음료 배출장치 중 음료백에 사용되는 음료 배출장치의 경우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66119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음료백의 어느 한 부위에 단순한 관 구조의 배출관을 일체화함과 더불어 이 배출관은 마개로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인 음료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음료백에 사용되는 음료 배출장치는 단순히 사용자가 음료백을 기울여 상기 음료의 배출 유량을 조절하는 정도일 뿐 음료 배출장치 자체적으로 배출 유량을 조절하지는 못하였기 때문에 음료 배출시 다량의 음료가 순간적으로 과도하게 배출되는 등의 현상이 발생되어 사용자의 불만이 야기되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최근에는 박스 내에 보관되는 구조의 음료백(BIB;Bag In Box)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가 증가되고 있으며, 이러한 음료백은 배출관이 하부에 위치되도록 뒤집어 보관되면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배출관을 개방하여 음료를 배출하는 구조임을 고려할 때 종래의 마개 구조를 적용하여 상기 배출관을 개폐하도록 구성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최근에는,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4361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음료 배출장치가 제공되고 있으며, 이러한 음료 배출장치는 배출관과 수직한 방향을 향해 음료가 배출되도록 한 밸브부재를 추가로 설치함과 더불어 상기 밸브부재는 사용자가 회전 손잡이를 선택적으로 회전 조작하여 음료가 선택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음료가 정확히 배출될 수 있도록 하였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밸브부재와 배출관 간의 연통 정도를 사용자가 정확히 인지할 수 없는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밸브부재와 배출관의 잘못된 조립 작업이 이루어질 경우 동작 불량이 발생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음료의 배출 유량 역시 정확히 조절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배출관과 상기 밸브부재의 결합이 단순한 끼움 방식으로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밸브부재의 위치가 사용자의 의도와는 달리 원치않는 방향을 향하게 됨으로써 음료 배출 도중 상기 밸브부재의 위치 변동이 발생될 우려 역시 존재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물론, 상기 배출관과 밸브부재의 결합을 나사식으로 변경함으로써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도 있지만, 이의 경우 상기 배출관의 장착 방향에 따라 상기 밸브부재가 향하는 방향이 모두 달라지기 때문에 동일한 방향성을 갖는 제품으로의 제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추가로 발생된다.
뿐만 아니라, 전술된 종래 기술은 밸브부재와 배출관 간의 연통 부위를 과도하게 키울 수 없기 때문에 건더기와 같은 내용물을 갖는 음료의 선택적 배출을 위한 음료백에의 적용은 어렵다는 문제점 역시 있다.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음료가 배출되는 부위에 대한 개방량을 사용자가 정확히 인지하면서 음료의 배출 유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항상 동일한 방향성을 갖는 제품으로의 제조가 가능하며, 또한 건더기와 같은 내용물을 갖는 음료의 선택적 배출을 위한 음료백에도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에 따른 음료백용 음료 배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료백용 음료 배출장치에 따르면 음료백의 표면에 고정되면서 상기 음료백의 배출구와 연통되는 관로를 갖는 배출관; 상기 배출관에 나사식으로 장착됨과 더불어 상기 배출관의 설치 방향과는 수직한 방향으로 음료 배출을 안내하는 양 끝단이 개방된 파이프 구조로 이루어진 밸브몸체; 상기 밸브몸체 내에 위치됨과 더불어 상기 배출관의 설치 방향과는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밸브몸체의 선단측 개방 부위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플런저; 그리고, 상기 밸브몸체의 후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과 더불어 그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개폐플런저를 전후 이동시키는 조작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배출관은 음료백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내부가 빈 파이프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출관의 외측 끝단 외주면에는 상기 밸브몸체와의 결합을 위한 나선부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관의 외주면에는 상기 밸브몸체의 과도한 체결됨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이 확장 형성되며, 상기 배출관의 외주면 중 어느 한 부위에는 해당 배출관의 설치 방향에 대한 안내 및 상기 나선부의 나선 시작점에 대한 안내를 위한 방향 안내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밸브몸체는 상기 배출관에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결합단과, 상기 결합단에 일체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결합단의 내부 공간과는 연통공을 통해 연통되게 형성되면서 상기 결합단과 배출관의 결합 방향과는 수직한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된 내부가 빈 관 구조의 배출안내관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작 손잡이는 상기 밸브몸체의 후단측 외부로 노출되면서 사용자의 조작 부위로 제공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회전 조작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비됨과 더불어 상기 밸브몸체 내에 위치되면서 상기 개폐플런저의 외주면을 감싸는 파이프 구조로 형성된 연동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함께, 상기 조작 손잡이를 이루는 연동부의 내주면에는 나선형의 동작홈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개폐플런저의 후방측 외주면에는 상기 동작홈 중 어느 한 부위에 요입되는 동작돌부가 형성되며, 상기 밸브몸체의 내주면 중 어느 한 부위에는 상기 개폐플런저의 이동 방향을 따라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플런저의 외주면 중 상기 안내홈과 대향되는 부위에는 상기 안내홈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안내홈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돌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음료백용 음료 배출장치는 박스 내에 위치되면서 뒤집어 보관되는 유형의 음료백에 적용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시에만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양의 음료 배출이 가능하게 된 효과를 가진다.
특히, 본 발명의 음료백용 음료 배출장치는 개폐플런저가 수평 이동하면서 밸브몸체를 이루는 배출안내관의 선단측 개방 부위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개방 부위에 대한 폐쇄 여부를 육안으로써 정확히 식별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신뢰성이 향상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음료백용 음료 배출장치는 배출관에 형성되는 방향 안내부에 대한 구조적 특징에 의해 밸브몸체의 방향성을 모두 동일하게 이룰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백용 음료 배출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분해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백용 음료 배출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결합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백용 음료 배출장치의 방향 안내부 및 나선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도 3의 Ⅰ-Ⅰ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백용 음료 배출장치의 조작 손잡이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백용 음료 배출장치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음료백용 음료 배출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실시예의 설명에 앞서, 각 구성들의 위치 관계는 첨부된 각 도면들에 도시된 방향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으로써 음료백의 보관 방향이나 보관 방법에 따라 본 발명의 음료백용 음료 배출장치에 대한 위치는 상하가 뒤집힐 수도 있고, 좌우가 뒤바뀔 수도 있는 등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백용 음료 배출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분해하여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백용 음료 배출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결합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백용 음료 배출장치는 크게 배출관(100)과, 밸브몸체(200)와, 개폐플런저(300) 및 조작 손잡이(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특히 상기 개폐플런저(300)는 상기 밸브몸체(200) 내에서 상기 밸브몸체(200)의 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밸브몸체(200)의 선단측 개방 부위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제시한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배출관(100)은 음료백(10)에 설치되는 구조물이다.
상기한 배출관(100)은 상기 음료백(10)의 표면 중 배출구(11)가 형성된 부위에 고정되면서 상기 배출구(11)와 연통되는 관로를 갖는 내부가 빈 파이프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배출관(100)의 외주면에는 나선부(110)와 걸림턱(120) 및 방향 안내부(130)가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나선부(110)는 상기 밸브몸체(200)와의 결합을 위한 부위로써, 상기 배출관(100)의 외측 끝단(도면상 하단) 외주면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걸림턱(120)은 밸브몸체(200)의 과도한 체결됨을 방지하기 위한 부위로써, 상기 배출관(100)의 외주면 중앙측 부위에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배출관(100)의 직경 방향으로 확장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방향 안내부(130)는 해당 배출관(100)의 설치 방향에 대한 안내 및 상기 나선부(110)의 나선 시작점(111)에 대한 안내를 위한 부위로써, 상기 배출관(100)의 외주면 중 어느 한 부위에 형성된다. 즉, 상기 방향 안내부(130)에 의한 나선 시작점(111)의 안내를 통해 상기 나선부(110)의 가공시 나선 시작점(111)을 작업자가 정확히 인지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배출관(100)을 음료백(10)에 설치할 때에도 해당 작업자가 상기 배출관(100)이 모두 동일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를 통해 배출관(100)에 밸브몸체(200)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단순히 나사식으로의 결합으로도 상기 밸브몸체(200)가 항상 동일한 방향을 향해 설치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에 대하여는 첨부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와 같은 방향 안내부(130)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방향 안내부(130)가 첨부된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출관(100)의 양측 외주면 일부를 평면 구조로 가공함으로써 형성됨을 그 예로 한다. 즉, 상기 평면 구조의 방향 안내부(130)를 이루는 중심측 둘레로부터 나선부(110)의 나선이 시작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방향 안내부(130)가 향하는 방향이 밸브몸체(200)가 향하는 방향임을 작업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만일, 상기 나선부(110)를 2중 나선으로 형성하고자 할 경우 상기 배출관(100)의 어느 한 측 외주면에 가공된 방향 안내부(130)는 어느 한 나선의 시작점에 대한 위치를 안내하는데 사용되고, 다른 한 측 외주면에 가공된 방향 안내부(130)는 다른 한 나선의 시작점에 대한 위치를 안내하는데 사용된다.
다음으로, 상기 밸브몸체(200)는 상기 배출관(100)을 통해 제공되는 음료의 배출을 안내하는 구성임과 더불어 개폐플런저(300) 및 조작 손잡이(400)의 설치를 위한 부위이다.
상기한 밸브몸체(200)는 상기 배출관(100)에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결합단(210)과, 상기 배출관(100)과 결합단(210) 간의 결합 방향(도면상 상하 방향)과는 수직한 방향(도면상 좌우 방향)으로 음료 배출을 안내하는 양 끝단이 개방된 파이프 구조의 배출안내관(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출안내관(220)은 상기 결합단(210)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결합단(210)의 내부 공간과는 연통공(221)을 통해 연통되게 형성되면서 상기 결합단(210)이 향하는 방향(도면상 상하 방향)과는 수직한 방향(도면상 좌우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통공(221)의 크기는 배출안내관(220)과 결합단(210) 간의 연결 부위에 대한 크기 만큼 크게 형성할 수 있음을 고려할 때 건더기와 같은 내용물이 있는 음료의 배출도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등 대용량 음료백에의 적용이 가능하다.
이와 함께, 상기 배출안내관(220) 내의 선단측 끝부위는 여타 부위에 비해 관로가 축관되면서 개폐플런저(300)의 외경과 동일한 크기의 내경을 갖는 구조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배출안내관(220)과 결합단(210)을 서로 연통하는 연통공(221)은 상기 결합단(210)의 저면 중앙에 위치되기보다는 실시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단(210)의 저면 중 전방에 위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될 개폐플런저(300)의 이동 거리를 최소화하여 밸브몸체(200)를 이루는 배출안내관(220)의 전체 길이를 최대한 짧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개폐플런저(300)는 상기 밸브몸체(200)를 이루는 배출안내관(220)의 전방측 개방 부위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구성이다.
상기한 개폐플런저(300)는 상기 밸브몸체(200) 내에 위치됨과 더불어 상기 배출관(100)의 형성 방향(도면상 상하 방향)과는 수직한 방향(도면상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개폐플런저(300)의 외주면 중 어느 한 부위에는 상기 밸브몸체(200)를 이루는 배출안내관(220)의 내벽면을 향해 돌출된 이동돌부(310)가 형성되고, 상기 밸브몸체(200)의 내주면 중 상기 이동돌부(310)와 대향되는 측의 부위에는 상기 이동돌부(310)가 수용되는 안내홈(230)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안내홈(230)은 상기 개폐플런저(300)의 이동 방향을 따라 긴 구조로 형성된다. 즉, 상기한 안내홈(230)과 이동돌부(310)의 서로 대응되는 구조 및 상대 동작에 의해 상기 개폐플런저(300)가 상기 밸브몸체(200)의 배출안내관(220) 내를 회전하지 않고 직선 왕복 이동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개폐플런저(300)는 수지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개폐플런저(300)가 상기 배출안내관(200)의 전방측 개방 부위 내에 압입됨으로써 폐쇄하는 구조를 이루도록 하여, 상기 개폐플런저(300)와 배출안내관(200) 사이에 별도의 패킹 구조를 추가로 설치할 필요가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 물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개폐플런저(300)의 전방측 끝단 둘레에 패킹부재를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상기 개폐플런저(300)와 배출안내관(220) 간의 틈새를 통한 음료의 누수가 더욱 안정적으로 차단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함께, 상기 개폐플런저(300)는 내부가 빔과 더불어 전면은 막힌 통 구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개폐플런저(300)에 대한 전체적인 무게를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지만,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상기 조작 조잡이(400)는 상기 개폐플런저(300)가 이동되도록 조작하기 위한 부위이다.
상기 조작 손잡이(400)는 상기 밸브몸체(200)의 후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과 더불어 그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개폐플런저(300)를 전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첨부된 도 1과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작 손잡이(400)가 손잡이부(410)와 연동부(42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부(410)는 상기 밸브몸체(200)의 후단 외부로 노출되면서 사용자의 조작 부위로 제공되는 부위이고, 상기 연동부(420)는 상기 손잡이부(410)의 회전 조작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비됨과 더불어 상기 밸브몸체(200)의 배출안내관(220) 내에 위치되면서 상기 개폐플런저(300)의 외주면을 감싸는 파이프 구조로 형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조작 손잡이(400)를 이루는 연동부(420)의 내주면에는 나선형의 동작홈(430)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개폐플런저(300)의 후방측 외주면에는 상기 동작홈(430) 중 어느 한 부위에 요입되는 동작돌부(320)가 형성된다.
즉, 상기한 동작홈(430) 및 동작돌부(320)의 상대 동작과 전술된 안내홈(230) 및 이동돌부(310)의 상대 동작에 의해 상기 개폐플런저(300)는 조작 손잡이(400)의 조작에 연동하여 상기 밸브몸체(200)를 이루는 배출안내관(220)의 내부를 직선 이동하도록 한 것이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백용 음료 배출장치의 작용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음료백(10) 내에 저장된 음료의 보관시 상태는 첨부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음료의 보관시 배출관(100)은 음료백(10)에 고정 설치됨과 더불어 밸브몸체(200)를 이루는 결합단(210)은 상기 배출관(100)의 나선부(110)에 나사식으로 결합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며, 개폐플런저(300)는 전진 이동된 상태로 상기 밸브몸체(200)를 이루는 배출안내관(220)의 선단측 개방 부위를 폐쇄한 상태로 유지된다.
이때, 상기 밸브몸체(200)를 이루는 배출안내관(220)이 향하는 부위는 항상 일정하게 이루어지며, 이는, 배출관(100)의 방향 안내부(130)를 기준으로 성형된 나선부(110)의 나선 시작점(111) 부위가 모두 일정함과 더불어 걸림턱(120)의 위치 역시 항상 일정하기 때문에 이에 결합되는 밸브몸체(200)의 방향성 역시 항상 일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때에는 상기 개폐플런저(300)의 선단측 외주면이 상기 밸브몸체(200)를 이루는 배출안내관(220)과 결합단(210) 간의 내부 공간을 연통하는 연통공(221)을 가로막는 상태이기 때문에 음료백(10) 내의 음료가 상기 배출안내관(220) 내로 유입됨도 차단된다.
특히, 이러한 음료의 보관시에는 상기 개폐플런저(300)의 전면이 상기 배출안내관(220)의 선단측 개방 부위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 상태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개폐플런저(300)에 의해 상기 배출안내관(220)의 선단측 개방 부위가 막혀 있음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
즉, 조작 손잡이(400)의 방향에 상관없이 상기 개폐플런저(300)의 육안 식별을 통해 배출안내관(220)의 선단측 개방 부위에 대한 개폐 여부를 정확히 알 수 있기 때문에 원치않는 음료백(10) 내의 음료 누출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전술된 바와 같은 음료의 보관 상태에서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음료백(10) 내의 음료 배출을 원할 경우에는 조작 손잡이(400)를 회전시키면 된다.
즉, 상기 조작 손잡이(400)를 이루는 손잡이부(410)를 회전 조작하게 되면 이 조작 손잡이(400)를 이루는 연동부(420)의 회전이 이루어지고, 이러한 연동부(4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연동부(420)의 동작홈(430) 내에 위치되어 있던 개폐플런저(300)의 동작돌부(320)가 상기 연동부(42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려고 한다. 하지만, 이때 상기 개폐플런저(300)는 그의 이동돌부(310)가 배출안내관(220)의 안내홈(230) 내에 수용되어 있음을 고려할 때 상기 개폐플런저(300)의 회전 동작은 이루어지지 않고 상기 배출안내관(220)의 축 방향을 따라 후퇴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개폐플런저(300)의 전방측 끝단은 상기 배출안내관(220)의 선단측 개방 부위로부터 점차 이격되면서 상기 개방 부위를 완전히 개방하게 되고, 이로 인해 음료백(10) 내의 음료는 배출구(11)와 배출관(100)의 내부 및 밸브몸체(200)의 연통공(230)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상기 밸브몸체(200)를 이루는 배출안내관(220)의 선단측 개방 부위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는 첨부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
특히, 상기 개폐플런저(300)는 상기 배출안내관(220)의 축 방향을 따라 전후 이동되기 때문에 사용자에 의한 조작 손잡이(400)의 조작 정도에 따라 상기 연통공(221)을 완전히 개방할 수도 있을 뿐 아니라 일부만 개방할 수도 있는 등의 음료 배출량에 대한 조절 역시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한 과정에 의해 원하는 양의 음료 배출이 완료된 이후에는 다시금 조작 손잡이(400)의 역 방향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개폐플런저(300)는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밸브몸체(200)를 이루는 배출안내관(220)의 선단측 개방 부위를 폐쇄함과 더불어 상기 배출안내관(220)과 결합단(210) 간을 연통하는 연통공(221)을 폐쇄하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의 음료백용 음료 배출장치는 박스 내에 위치되면서 뒤집어 보관되는 유형의 음료백(10)에 적용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시에만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양의 음료 배출이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의 음료백용 음료 배출장치는 개폐플런저(300)가 수평 이동하면서 밸브몸체(200)를 이루는 배출안내관(220)의 선단측 개방 부위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개방 부위에 대한 폐쇄 여부를 육안으로써 정확히 식별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신뢰성이 향상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음료백용 음료 배출장치는 배출관(100)에 형성되는 방향 안내부(130)에 대한 구조적 특징에 의해 밸브몸체(200)의 방향성을 모두 동일하게 이룰 수 있게 된 장점이 있다.
10. 음료백 11. 배출구
100. 배출관 110. 나선부
120. 걸림턱 130. 방향 안내부
200. 밸브몸체 210. 결합단
220. 배출안내관 221. 연통공
230. 안내홈 300. 개폐플런저
310. 이동돌부 320. 동작돌부
400. 조작 손잡이 410. 손잡이부
420. 연동부 430. 동작홈

Claims (5)

  1. 음료백의 표면에 고정되면서 상기 음료백의 배출구와 연통되는 관로를 갖는 배출관;
    상기 배출관에 나사식으로 장착됨과 더불어 상기 배출관의 설치 방향과는 수직한 방향으로 음료 배출을 안내하는 양 끝단이 개방된 파이프 구조로 이루어진 밸브몸체;
    상기 밸브몸체 내에 위치됨과 더불어 상기 배출관의 설치 방향과는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밸브몸체의 선단측 개방 부위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플런저; 그리고,
    상기 밸브몸체의 후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과 더불어 그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개폐플런저를 전후 이동시키는 조작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조작 손잡이는
    상기 밸브몸체의 후단측 외부로 노출되면서 사용자의 조작 부위로 제공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회전 조작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비됨과 더불어 상기 밸브몸체 내에 위치되면서 상기 개폐플런저의 외주면을 감싸는 파이프 구조로 형성된 연동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백용 음료 배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은 음료백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내부가 빈 파이프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출관의 외측 끝단 외주면에는 상기 밸브몸체와의 결합을 위한 나선부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관의 외주면에는 상기 밸브몸체의 과도한 체결됨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이 확장 형성되며,
    상기 배출관의 외주면 중 어느 한 부위에는 해당 배출관의 설치 방향에 대한 안내 및 상기 나선부의 나선 시작점에 대한 안내를 위한 방향 안내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백용 음료 배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몸체는
    상기 배출관에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결합단과,
    상기 결합단에 일체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결합단의 내부 공간과는 연통공을 통해 연통되게 형성되면서 상기 결합단과 배출관의 결합 방향과는 수직한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된 내부가 빈 관 구조의 배출안내관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백용 음료 배출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손잡이를 이루는 연동부의 내주면에는 나선형의 동작홈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개폐플런저의 후방측 외주면에는 상기 동작홈 중 어느 한 부위에 요입되는 동작돌부가 형성되며,
    상기 밸브몸체의 내주면 중 어느 한 부위에는 상기 개폐플런저의 이동 방향을 따라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플런저의 외주면 중 상기 안내홈과 대향되는 부위에는 상기 안내홈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안내홈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돌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백용 음료 배출장치.
KR1020130120309A 2013-10-10 2013-10-10 음료백용 음료 배출장치 KR1015551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0309A KR101555178B1 (ko) 2013-10-10 2013-10-10 음료백용 음료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0309A KR101555178B1 (ko) 2013-10-10 2013-10-10 음료백용 음료 배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1851A KR20150041851A (ko) 2015-04-20
KR101555178B1 true KR101555178B1 (ko) 2015-09-24

Family

ID=53035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0309A KR101555178B1 (ko) 2013-10-10 2013-10-10 음료백용 음료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51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3040B1 (ko) * 2015-12-24 2018-07-06 최우성 백인박스를 적용한 액체배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3474B1 (ko) * 2016-04-06 2017-02-06 박유경 드립 커피용 주전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6212A (ja) 1999-06-10 2000-12-15 Nisshin Kasei Kk 液体容器用排出バルブ
KR200318381Y1 (ko) 2003-03-19 2003-06-27 김성수 연결관을 일체로 형성한 밸브
KR200454361Y1 (ko) 2011-05-04 2011-06-30 조성학 음료 배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6212A (ja) 1999-06-10 2000-12-15 Nisshin Kasei Kk 液体容器用排出バルブ
KR200318381Y1 (ko) 2003-03-19 2003-06-27 김성수 연결관을 일체로 형성한 밸브
KR200454361Y1 (ko) 2011-05-04 2011-06-30 조성학 음료 배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3040B1 (ko) * 2015-12-24 2018-07-06 최우성 백인박스를 적용한 액체배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1851A (ko) 2015-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00070B (zh) 具有可扭转喷嘴单元的盖子及包括该盖子的容器组件
JP5748071B2 (ja) 栓体
US9120112B2 (en) Metered liquid dispensing bottle
US8800891B2 (en) Shower soap dispenser and cartridge
KR101555178B1 (ko) 음료백용 음료 배출장치
US6814267B2 (en) Flow control device for large capacity container
KR20120109066A (ko) 내용물의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캡
EP2740541A3 (en) Fluid dispensing device for discharging fluid simultaneously in multiple directions
RU119265U1 (ru) Пистолет-краскораспылитель
WO2016039062A1 (ja) 流体容器
US20150158639A1 (en) Fluid dispenser
CN212196651U (zh) 一种水龙头盖
KR20180051293A (ko) 화장품 용기
JP5515259B2 (ja) コック式注出口栓
JP5391561B2 (ja) コック式注出口栓
US20140231468A1 (en) Telescoping spout for liquid container with flow control
KR102061949B1 (ko) 에어로졸 스프레이용 중력밸브
JP5311011B2 (ja) コック式注出口栓
JP6263401B2 (ja) 詰め替え容器
CN211525597U (zh) 一种可调式液压三通阀
KR101516809B1 (ko) 정량배출이 가능한 분말 저장용기
KR101466096B1 (ko) 펌프 디스펜서
TW201813912A (zh) 注料裝置
CN212177940U (zh) 水龙头及供水系统
JP5313790B2 (ja) 注出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