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6096B1 - 펌프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펌프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6096B1
KR101466096B1 KR20130156127A KR20130156127A KR101466096B1 KR 101466096 B1 KR101466096 B1 KR 101466096B1 KR 20130156127 A KR20130156127 A KR 20130156127A KR 20130156127 A KR20130156127 A KR 20130156127A KR 101466096 B1 KR101466096 B1 KR 101466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opening
housing
clos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56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린
Priority to KR20130156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60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6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60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4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 B05B11/042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the spray being effected by a gas or vapour flow in the nozzle, spray head, outlet or dip tube
    • B05B11/043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the spray being effected by a gas or vapour flow in the nozzle, spray head, outlet or dip tube designed for spraying a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38Pressure accumulation pumps, i.e. pumps comprising a pressure accumulation cha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52Actuation mean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펌프 디스펜서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펌프 디스펜서는: 내용물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을 구비하며 용기에 연결되는 하우징부와, 하우징부의 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밸브와, 개폐밸브에 연결되며 용기의 내측과 연통되는 내측통로를 구비하며 하우징부의 내측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지지부 및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동작에 연동하여 이동지지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펌프 디스펜서{PUMP DISPENSER}
본 발명은 펌프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헤드부의 회전동작에 의해 용기의 내측으로 저장된 내용물을 공급할 수 있는 펌프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펜서(Dispenser)라 함은 밀폐용기 내부에 충진된 기체나 액체 또는 기타 내용물을 가압에 의해 일정량씩 토출시켜 사용하도록 하는 장치로서, 화장품이나 향수 또는 의약품이나 식품 등을 저장하는 각종 밀폐용기에 적용되고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다.
디스펜서는 버튼부를 누르면 스프링의 탄성력에 반하여 샤프트가 하강하고, 하우징 속에 채워진 내용물이 통공 및 연결관을 통해 노출로 토출된다. 버튼부를 놓으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샤프트가 상승하면서 통공이 폐쇄되어 내용물이 차단되고, 하우징 내부에 진공이 형성되므로 용기에 담긴 내용물이 하우징에 충전된다.
버튼부를 반복하여 누르면, 상기한 동작이 반복되면서 용기의 내용물이 토출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5-0067805호(2005.07.05 공개, 발명의 명칭: 펌프디스펜서에 있어서 실액 유입 차단으로 인한 누액방지구조)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에는 스프링이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내용물이 충진된 하우징 내부에 구비됨에 따라 스프링이 녹슬거나 파손될 수 있고, 스프링이 내용물의 잠겨 있어 저항에 의해 내용물의 토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헤드부의 회전동작에 의해 용기의 내측으로 저장된 내용물을 공급할 수 있는 펌프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펌프 디스펜서는: 내용물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을 구비하며 용기에 연결되는 하우징부와, 하우징부의 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밸브와, 개폐밸브에 연결되며 용기의 내측과 연통되는 내측통로를 구비하며 하우징부의 내측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지지부 및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동작에 연동하여 이동지지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하우징부는, 저장공간이 내측에 구비되며 하측은 용기와 연결되는 하우징몸체 및 하우징몸체에서 연장되어 헤드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헤드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내측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개폐밸브는, 이동지지부의 관통이 이루어지는 밸브몸체 및 밸브몸체에서 하우징몸체를 향하여 연장되며 하우징몸체의 하측을 개폐하는 연장몸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장몸체는, 용기를 향한 하측은 경계벽에 의해 구획된 복수의 구획공간을 형성하며, 헤드부를 향한 상측은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동지지부는, 내측통로를 구비하며 개폐밸브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연결관로부와, 연결관로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내측부재의 하측에 걸리는 스토퍼 및 스토퍼에서 내측부재의 내측으로 연장되며 헤드부의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내측돌기를 구비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헤드부는, 내측부재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외측헤드 및 외측헤드의 상측에서 내측부재의 내측으로 연장되며 이동부재의 상하 이동에 따라 연결관로부의 상측을 개폐하는 내측헤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측헤드는, 외측헤드에서 내측부재의 내측으로 연장되며 내측통로와 연통되는 내측공간을 형성하는 제1부재와, 제1부재에서 연결관로부가 위치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이동부재와 마주하는 외측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제2부재 및 제2부재에서 연장되며 연결관로부의 상측에 구비된 내측통로를 개폐하는 탄성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탄성개폐부는, 제2부재에서 내측통로를 향하여 연장되는 복수의 탄성연결부재 및 탄성연결부재에 연결되며 내측통로를 개폐하는 마개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헤드부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캡부재 및 하우징부의 외측에 위치하며 캡부재와 파단부재로 연결되는 베이스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펌프 디스펜서는 헤드부의 회전과 연동하여 이동지지부와 개폐밸브가 상하로 이동하며 하우징부의 내측공간을 개폐하므로, 하우징부에 저장된 내용물이 용기의 내측으로 공급됨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디스펜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디스펜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디스펜서의 요부구성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디스펜서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와 이동지지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부재와 베이스부재가 제거된 펌프 디스펜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의 내측에 내용물이 저장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 내측에 저장된 내용물이 용기로 공급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디스펜서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디스펜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디스펜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디스펜서의 요부구성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디스펜서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와 이동지지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부재와 베이스부재가 제거된 펌프 디스펜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의 내측에 내용물이 저장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 내측에 저장된 내용물이 용기로 공급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디스펜서(1)는, 내용물(70)이 저장되는 저장공간(14)을 구비하며 용기(80)에 연결되는 하우징부(10)와, 하우징부(10)의 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밸브(20)와, 개폐밸브(20)에 연결되며 용기(80)의 내측과 연통되는 내측통로(34)를 구비하며 하우징부(10)의 내측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지지부(30)와, 하우징부(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동작에 연동하여 이동지지부(3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헤드부(40)를 포함한다.
하우징부(10)는 내용물(70)이 저장되는 저장공간(14)을 구비하며 용기(80)에 연결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10)는 하우징몸체(12)와 내측부재(16)와 용기연결부(18)를 포함한다.
하우징몸체(12)는 저장공간(14)이 내측에 구비되며 하측(이하 도 2기준)은 용기(80)와 연결된다. 하우징몸체(12)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용기(80)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하우징몸체(12)의 내측에 구비된 저장공간(14)에는 용기(80)로 공급되기 위한 내용물(70)이 충진된다.
내측부재(16)는 하우징몸체(12)에서 연장되어 헤드부(40)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헤드부(4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부재(16)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우징몸체(12)의 외경보다 내측부재(16)의 외경이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하우징몸체(12)와 내측부재(16)는 단차를 형성하며 연결된다.
용기연결부(18)는 하우징몸체(12)의 상측에서 하우징몸체(12)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용기(80)의 상단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하우징몸체(12)와 용기연결부(18)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용기(80)의 상단이 삽입되어 체결된다.
개폐밸브(20)는 하우징부(10)의 하측에 형성된 내용물(70)의 출구를 개폐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밸브(20)는, 이동지지부(30)의 관통이 이루어지는 밸브몸체(22)와, 밸브몸체(22)에서 하우징몸체(12)를 향하여 연장되며 하우징몸체(12)의 하측을 개폐하는 연장몸체(24)를 포함한다.
밸브몸체(22)는 하우징몸체(12)의 내측 하부에 위치하며, 밸브몸체(22)의 중앙을 관통하며 이동지지부(30)의 연결관로부(32)가 설치된다.
연장몸체(24)는 밸브몸체(22)에서 하우징몸체(12)의 내측면을 향하여 연장된다. 용기(80)를 향한 연장몸체(24)의 하측은 경계벽(26)에 의해 구획된 복수의 구획공간(28)을 형성하므로, 연장몸체(24)를 형성하기 위한 재료비를 절감하면서도 연장몸체(24)의 구조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연장몸체(24)에서 헤드부(40)를 향한 상측은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연장몸체(24)와 하우징몸체(12)가 접하는 부분에도 곡면이 형성되므로, 개폐밸브(20)가 하우징몸체(12)의 하측을 차폐할 때 개폐밸브(20)와 하우징몸체(12)가 접하는 면적이 증가되어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개폐밸브(20)가 열리면서 하우징몸체(12)의 하측이 개방되므로, 하우징몸체(12)의 내측에 저장된 내용물(70)이 용기(80)로 공급되어 용기(80)에 있는 베이스(미도시)와 혼합된다.
또한 개폐밸브(20)의 연장몸체(24) 상측 형상이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연장몸체(24)를 따라 용기(80)로 공급되는 내용물(70)이 용기(80)의 내측으로 넓게 퍼져서 내용물(70)이 베이스와 용이하게 혼합될 수 있다.
도 3,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지지부(30)는 하우징부(10)의 내측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개폐밸브(20)를 관통하여 설치되므로 개폐밸브(20)에 연결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지지부(30)는, 연결관로부(32), 스토퍼(35) 및 이동부재(36)를 포함한다.
연결관로부(32)는 내측통로(34)를 구비하며 개폐밸브(20)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연결관로부(32)의 하측은 용기(80)의 내측과 연통되며, 연결관로부(32)의 상측은 헤드부(40)의 탄성개페부에 의해 내측통로(34)가 개폐된다.
스토퍼(35)는 연결관로부(32)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내측부재(16)의 하측에 걸리므로 이동지지부(30)가 하우징부(10)의 외측으로 이탈됨을 방지한다. 스토퍼(35)는 하우징몸체(12)와 내측부재(16)가 연결되는 부분에 걸려서 이동지지부(30)의 상측 이동을 구속한다.
이동부재(36)는 스토퍼(35)에서 내측부재(16)의 내측으로 연장되며, 헤드부(40)의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홈(46)에 삽입되는 내측돌기(38)를 구비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재(36)는 받침부재(37)와 내측돌기(38)와 경사면(39)을 포함한다.
이동부재(36)는 스토퍼(35)의 양측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돌기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동부재(36)의 하측에는 파이프 형상의 받침부재(37)가 구비된다.
받침부재(37)는 스토퍼(35)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받침부재(37)의 내측에는 탄성개페부가 위치한다.
헤드부(40)의 제2부재(45)와 마주하는 이동부재(36)의 내측에는 내측돌기(38)가 구비되며, 내측돌기(38)의 상측에는 헤드부(40)의 제2부재(45)에 접하는 경사면(39)이 구비된다.
경사면(39)을 구비한 이동부재(36)는, 하우징부(10)의 내측부재(16)와 헤드부(40)의 제2부재(45)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삽입되는 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헤드부(40)의 내측헤드(42)와 마주하는 스토퍼(35)의 상측 모서리는 탄성개폐부(47)에 걸리므로 스토퍼(35)와 함께 이동지지부(30)의 상측 이동을 구속하는 기능을 한다.
도 2,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40)는 하우징부(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동작에 연동하여 이동지지부(3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40)는, 내측부재(16)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외측헤드(41)와, 외측헤드(41)의 상측에서 내측부재(16)의 내측으로 연장되며 이동부재(36)의 상하 이동에 따라 연결관로부(32)의 상측을 개폐하는 내측헤드(42)를 포함한다.
외측헤드(41)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측헤드(42)는 외측헤드(41)의 상측에서 외측헤드(41)의 하측을 향하여 연장된다. 내측헤드(42)는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측헤드(41)와 내측헤드(42)의 사이로 하우징부(10)의 내측부재(16)와 이동지지부(30)의 이동부재(36)가 삽입된다.
헤드부(40)는 하우징부(10)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측헤드(42)에 형성된 캠 형상에 의해 이동지지부(30)는 상하 이동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헤드(42)는 제1부재(43), 제2부재(45) 및 탄성개폐부(47)를 포함한다.
제1부재(43)는 외측헤드(41)에서 내측부재(16)의 내측으로 연장되며, 내측통로(34)와 연통되는 내측공간(44)을 형성한다.
제2부재(45)는 제1부재(43)에서 연결관로부(32)가 위치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이동부재(36)와 마주하는 외측에는 가이드홈(46)이 형성된다. 가이드홈(46)을 따라 내측돌기(38)가 상하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홈(46)과 내측돌기(38)를 캠 구조로 형성한다. 가이드홈(46)은 물결무늬로 형성되어서 내측돌기(38)를 상하로 이동시킨다. 가이드홈(46)은 제2부재(45)의 외측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물결무늬 형상으로 형성된 가이드홈(46)의 최저 높이와 최고 높이에 따라 내측돌기(38)를 포함한 이동지지부(30)의 상하 이동거리가 설정된다. 또한 가이드홈(46)의 골과 골 사이의 거리에 따라 개폐밸브(20)의 개폐를 결정하는 헤드부(40)의 위치가 결정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디스펜서(1)의 헤드부(40)는 90도 회전에 의해 개폐밸브(20)가 하우징몸체(12)의 하측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므로, 가이드홈(46)의 형상도 이에 맞게 형성된다.
탄성개폐부(47)는 제2부재(45)에서 연장되며, 연결관로부(32)의 상측에 구비된 내측통로(34)를 개폐하므로, 용기(80)에 있는 베이스가 헤드부(40)를 통해 외측으로 누설됨을 차단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개폐부(47)는, 제2부재(45)에서 내측통로(34)를 향하여 연장되는 복수의 탄성연결부재(48)와, 탄성연결부재(48)에 연결되며 내측통로(34)를 개폐하는 마개부재(49)를 포함한다.
탄성개폐부(47)는 탄성연결부재(48)가 탄성을 구비하며 굽혀진 상태에서 마개부재(49)에 연결되므로, 마개부재(49)가 내측통로(34)의 상측을 차폐할 경우에 탄성연결부재(48)가 마개부재(49)를 하측으로 가압하므로 마개부재(49)의 기밀성이 향상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연결부재(48)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며, 굽혀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마개부재(49)와 제2부재(45)에 양측이 연결되므로 마개부재(49)가 제2부재(45)를 향한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마개부재(49)를 제2부재(45)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력을 구비한다.
도 2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부재(50)는 헤드부(40)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캡부재(50)의 내측에서 헤드부(40)로 연장된 고정부재(52)는 헤드부(40)의 내측헤드(42)로 삽입된다. 고정부재(52)는 하측이 개구되며 상측이 차폐된 구조로 형성되므로, 헤드부(40)를 통하여 누수되는 베이스가 캡부재(50)의 외측으로 누수됨을 차단한다.
베이스부재(6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우징부(10)의 외측에 위치한다. 베이스부재(60)에 구비된 파단부재(62)는 캡부재(50)의 하측에 연결되며, 설정된 압력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파단부재(62)가 절단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디스펜서(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부재(50)가 베이스부재(60)와 연결된 상태에서는 헤드부(40)가 회전되지 못하므로 이동지지부(30)의 하측 이동도 구속된다.
이동지지부(30)에 연결된 개폐밸브(20)도 하우징부(10)의 하측을 차폐하므로, 하우징부(10)의 저장공간(14)에 저장된 내용물(70)은 용기(80)의 내측으로 이동되지 못한다.
또한 탄성개폐부(47)의 마개부재(49)는 이동지지부(30)의 내측에 구비된 내측통로(34)를 차폐하므로, 용기(80) 내측에 있는 공기나 베이스가 내측통로(34)를 통해 외측으로 이동됨을 차단한다.
마개부재(49)는 이동지지부(30)의 내측에 구비된 내측통로(34)를 차폐하는 경우, 탄성연결부재(48)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마개부재(49)가 밀려서 내측통로(34)를 구비한 이동지지부(30)에 접하므로 기밀성이 향상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부재(50)가 제거된 상태에서는 헤드부(40)의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40)가 회전을 하면, 헤드부(40)의 가이드홈(46)에 삽입된 내측돌기(38)가 가이드홈(46)의 물결무늬 형상을 따라 이동되므로 하측으로 이동된다.
내측돌기(38)와 함께 이동지지부(30)도 하우징부(10)의 하측방향으로 이동되며, 이동지지부(30)에 연결된 개폐밸브(20)도 하우징몸체(12)와 이격되어 하우징몸체(12) 하측을 개방시킨다.
하우징몸체(12)의 저장공간(14)에 있는 내용물(70)은 개폐밸브(20)의 상측에 형성된 곡면을 따라 낙하되어 용기(80)의 내측에 넓게 퍼지면서 베이스와 혼합된다.
한편, 탄성개폐부(47)의 마개부재(49)는 이동지지부(30)의 내측에 구비된 내측통로(34)와 이격되므로, 용기(80) 내측에 있는 공기는 내측통로(34)를 통해 상측으로 이동하여 헤드부(40)의 내측공간(44)을 통해 외측으로 배기된다.
헤드부(40)는 90도 간격으로 잠금상태가 되거나 열림상태가 되며, 잠금상태에서는 가이드홈(46)의 상측에 내측돌기(38)가 위치하며, 열림상태에서는 가이드홈(46)의 하측에 내측돌기(38)가 위치한다. 사용자는 헤드부(40)에 전달되는 하중에 의해 잠금상태와 열림상태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헤드부(40)의 회전과 연동하여 이동지지부(30)와 개폐밸브(20)가 상하로 이동하며 하우징부(10)의 내측공간(44)을 개폐하므로, 하우징부(10)에 저장된 내용물(70)이 용기(80)의 내측으로 공급됨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펌프 디스펜서 10: 하우징부
12: 하우징몸체 14: 저장공간
16: 내측부재 18: 용기연결부
20: 개폐밸브 22: 밸브몸체
24: 연장몸체 26: 경계벽
28: 구획공간 30: 이동지지부
32: 연결관로부 34: 내측통로
35: 스토퍼 36: 이동부재
37: 받침부재 38: 내측돌기
39: 경사면 40: 헤드부
41: 외측헤드 42: 내측헤드
43: 제1부재 44: 내측공간
45: 제2부재 46: 가이드홈
47: 탄성개폐부 48: 탄성연결부재
49: 마개부재 50: 캡부재
52: 고정부재 60: 베이스부재
62: 파단부재 70: 내용물
80: 용기

Claims (9)

  1. 내용물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을 구비하며 용기에 연결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밸브;
    상기 개폐밸브에 연결되며, 상기 용기의 내측과 연통되는 내측통로를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지지부; 및
    상기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이동지지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디스펜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저장공간이 내측에 구비되며 하측은 상기 용기와 연결되는 하우징몸체; 및
    상기 하우징몸체에서 연장되어 상기 헤드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상기 헤드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내측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디스펜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밸브는, 상기 이동지지부의 관통이 이루어지는 밸브몸체; 및
    상기 밸브몸체에서 상기 하우징몸체를 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하우징몸체의 하측을 개폐하는 연장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디스펜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몸체는, 상기 용기를 향한 하측은 경계벽에 의해 구획된 복수의 구획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헤드부를 향한 상측은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디스펜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지지부는, 상기 내측통로를 구비하며 상기 개폐밸브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연결관로부;
    상기 연결관로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내측부재의 하측에 걸리는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에서 상기 내측부재의 내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헤드부의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내측돌기를 구비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디스펜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내측부재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외측헤드; 및
    상기 외측헤드의 상측에서 상기 내측부재의 내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이동부재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연결관로부의 상측을 개폐하는 내측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디스펜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헤드는, 상기 외측헤드에서 상기 내측부재의 내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내측통로와 연통되는 내측공간을 형성하는 제1부재;
    상기 제1부재에서 상기 연결관로부가 위치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이동부재와 마주하는 외측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제2부재; 및
    상기 제2부재에서 연장되며, 상기 연결관로부의 상측에 구비된 상기 내측통로를 개폐하는 탄성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디스펜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개폐부는, 상기 제2부재에서 상기 내측통로를 향하여 연장되는 복수의 탄성연결부재; 및
    상기 탄성연결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내측통로를 개폐하는 마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디스펜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캡부재; 및
    상기 하우징부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캡부재와 파단부재로 연결되는 베이스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디스펜서.
KR20130156127A 2013-12-16 2013-12-16 펌프 디스펜서 KR101466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56127A KR101466096B1 (ko) 2013-12-16 2013-12-16 펌프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56127A KR101466096B1 (ko) 2013-12-16 2013-12-16 펌프 디스펜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6096B1 true KR101466096B1 (ko) 2014-11-28

Family

ID=52292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56127A KR101466096B1 (ko) 2013-12-16 2013-12-16 펌프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609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85189B2 (ja) * 2003-12-26 2010-06-16 日本高圧電気株式会社 飲料容器のキャップ構造
KR20100111598A (ko) * 2009-04-07 2010-10-15 이성재 이종물질 수용장치
KR20100126139A (ko) * 2009-05-21 2010-12-01 이성재 기도막힘방지부를 갖는 이종물질 수용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85189B2 (ja) * 2003-12-26 2010-06-16 日本高圧電気株式会社 飲料容器のキャップ構造
KR20100111598A (ko) * 2009-04-07 2010-10-15 이성재 이종물질 수용장치
KR20100126139A (ko) * 2009-05-21 2010-12-01 이성재 기도막힘방지부를 갖는 이종물질 수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05465C2 (ru) Раздаточный контейнер
KR101453048B1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KR101554210B1 (ko) 진공펌프가 구비된 크림타입 화장품용기
KR101604779B1 (ko) 디스펜서 용기
RU2004114828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сфасовки и дозирования вещества, в частности, в виде косметического средства
WO2014185541A1 (ja) プッシュタイプディスペンサー
KR20150010306A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EP2639185A2 (en) Liquid container provided with a vacuum pumping device
US10723537B2 (en) Cartridge pump
JP6310838B2 (ja) スクイズ容器
KR20150110037A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KR101466096B1 (ko) 펌프 디스펜서
US10994986B2 (en) Dispenser
JP6952991B2 (ja) 塗布体付き容器
WO2004106184A2 (en) System for supplying liquid or paste-like substances
KR101875131B1 (ko) 화장품 용기
WO2016039062A1 (ja) 流体容器
KR101663206B1 (ko) 디스펜서
KR101950808B1 (ko) 펌프 디스펜서
KR102600967B1 (ko) 자동 밀폐식 밸브를 구비한 디스펜싱 클로저
JP4847206B2 (ja) キャップ具及びエアゾール噴霧器
KR20150041851A (ko) 음료백용 음료 배출장치
KR20190070831A (ko) 화장품 용기
JP7441139B2 (ja) 吐出装置
JP2016519019A (ja) 先端シールチルトバルブ(tipsealtiltval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