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4065B1 - 계산이 간편한 부공간 추적 기법 및 적응어레이에 응용 - Google Patents
계산이 간편한 부공간 추적 기법 및 적응어레이에 응용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54065B1 KR101554065B1 KR1020130074013A KR20130074013A KR101554065B1 KR 101554065 B1 KR101554065 B1 KR 101554065B1 KR 1020130074013 A KR1020130074013 A KR 1020130074013A KR 20130074013 A KR20130074013 A KR 20130074013A KR 101554065 B1 KR101554065 B1 KR 10155406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bspace
- mpastd
- vector
- algorithm
- dcb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G06F17/16—Matrix or vector computation, e.g. matrix-matrix or matrix-vector multiplication, matrix factoriz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40—Data acquisition and log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Algebra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부공간 추적 시스템에서는 K개의 기저벡터로 구성되는 부공간을 추적하는 경우, 본 발명에서 제시한 MPASTd 알고리즘을 통해 부공간을 생성하는 K개의 고유벡터와 이에 대응하는 고유치를 구한다. MPASTd에서는 K번의 수축(deflation)을 통해 K개의 고유쌍을 구하는 데, 각 수축과정에서 고유성분을 제거한 수축벡터를 산출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수축벡터는 고유쌍을 구하는 과정에서 이미 얻어진 벡터와 동일하여 추가적으로 구할 필요가 없다. 벡터 직교화를 거쳐 고유벡터들은 서로 직교하게 된다. 벡터의 직교화는 MPASTd 구조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수행된다.
MPASTd 알고리즘을 적용한 DCB 원리에 기초한 적응어레이 시스템에서는 DCB 최소화 문제의 해를 샘플상관행렬의 일부 고유쌍 만을 이용한 형태로 유도하고, 이들 고유쌍을 MPASTd 알고리즘에 따라 효과적으로 구한다. DCB에서 사용하는 불확실 집합 한계값을 가변적으로 설정하고, 상기 최소화 문제의 해를 부공간에 투사하는 부공간 기반 방식을 통해 다양한 에러, 간섭 환경에 좋은 성능을 보일 수 있다.
MPASTd 알고리즘을 적용한 DCB 원리에 기초한 적응어레이 시스템에서는 DCB 최소화 문제의 해를 샘플상관행렬의 일부 고유쌍 만을 이용한 형태로 유도하고, 이들 고유쌍을 MPASTd 알고리즘에 따라 효과적으로 구한다. DCB에서 사용하는 불확실 집합 한계값을 가변적으로 설정하고, 상기 최소화 문제의 해를 부공간에 투사하는 부공간 기반 방식을 통해 다양한 에러, 간섭 환경에 좋은 성능을 보일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신신호로부터 부공간(subspace)을 추출하는 기법과 이의 적응어레이(adaptive array)에 적용에 관한 것이다.
부공간 추적기법(subspce tracking)은 통신, 디지털신호처리, 어레이신호처리, 영상처리, 음성처리, 지진학, 항법, 패턴인식, 추정 및 검파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다양한 부공간 추적 기법이 있으나, PAST(projection approximation subspace tracking) 방식이 계산이 간편하고 우수한 부공간 추정 능력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이 방식에서는 부공간 추출을 MSE(mean square error) 최소화 문제의 해로 해석하고. GD(gradient decent) 방법에 의거하여 효과적으로 해를 구한다. PAST에서는 부공간을 생성하는 고유벡터(eigenvector)만을 구할 수 있다. 반면에 PASTd(PAST with deflation)에서는 PAST에 수축(deflation) 기법을 도입하여, 먼저 가장 큰 고유치에 대응하는 고유벡터를 구해 수신신호로부터 이를 제거하고, 계속 이를 반복해서 고유벡터뿐만 아니라 고유치(eigenvalue)도 구한다.
한편, 적응어레이는 조향벡터(steering vector)를 이용하여 원하는 신호 방향으로 어레이의 빔 크기를 일정한 값으로 유지하면서 간섭신호를 제거한다. 조향벡터에 에러가 있으면 원하는 신호도 감쇠되어 심한 성능저하가 야기될 수 있다. DCB(doubly constrained beamforming)에서는 조향벡터에 대한 불확실 집합(uncertainty set)과 놈 제한(norm constraint)을 도입하여 조향벡터에러 문제에 대응한다.
수신신호에 대한 상관행렬(correlation matrix)은 허미션 행렬(Hermitian matrix)로 그 고유치는 서로 직교한다. 그러나 PASTd에서 구한 고유벡터들은 계산에 사용한 수신샘플(received samples)의 수가 무한대로 접근하면 서로 직교하게 되나, 일반적으로 직교하지 않는다. 직교하지 않는 기저벡터(basis vectors)를, 예를 들어 적응어레이에 적용하는 경우, 정상상태(steady state)까지의 수렴속도가 늦어지는 단점이 있다. Gram-Schmidt 직교화 과정(orthogonalization process)을 통해 벡터들을 서로 직교하게 만들 수 있으나 계산이 복잡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Gram-Schmidt 직교화보다 계산을 크게 줄일 수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조향벡터 에러에 강인한 특성을 가지는 기존의 DCB 어레이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수신신호의 상관행렬을 추정한 샘플상관행렬(sample correlation matrix)을 직접 고유분해하여 고유치, 고유벡터 모두를 구하는 것이 필요하여 많은 계산량을 요구한다. 그리고 기존의 DCB 어레이에서는 다양한 조향벡터에러, 간섭 환경에 잘 동작하지 못하는 약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계산량을 크게 절감 시키면서 다양한 이용환경에 잘 동작할 수 있는 적응어레이 기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부공간 추적 시스템에서는 개의 기저벡터(basis vectors)로 구성되는 부공간을 추적하는 경우, 본 발명에서 제시한 MPASTd(modified PASTd) 알고리즘을 통해 부공간을 생성하는 개의 고유벡터와 이에 대응하는 고유치를 구한다. MPASTd에서는 번의 수축(deflation)을 통해 개의 고유쌍을 구하는 데, 각 수축과정에서 고유성분을 제거한 수축벡터를 산출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MPASTd에서는 고유쌍을 구하는 과정에서 이미 얻어진 벡터와 수축벡터가 동일하여 추가적으로 계산할 필요가 없다. 벡터 직교화를 거쳐 고유벡터들은 서로 직교하게 된다. 벡터의 직교화는 MPASTd 구조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간편하게 수행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적응어레이 시스템에서는 DCB 원리에 기초한 최소화 문제의 해를 샘플상관행렬의 일부 고유쌍 만을 이용한 형태로 유도하고, 이들 고유쌍을 MPASTd 알고리즘에 따라 효과적으로 구한다. DCB에서 사용하는 불확실 집합 한계값을 가변적으로 설정하고, 상기 최소화 문제의 해를 부공간에 투사하는 부공간 기반 방식을 통해 다양한 에러, 간섭 환경에 잘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공간 추적기법은 빠른 속도로 고유벡터와 고유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공간 추적 기법을 적용한 신호처리 시스템에서 고유벡터들은 서로 직교하는 특성을 가져, 신호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빠른 수렴속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적응어레이 기법은 조향벡터 에러에 강인한 특성을 가지면서 계산이 간편하고 고속으로 빔 형성(beamforming)을 할 수 있어 빠르게 변하는 이용 환경에도 잘 대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부공간 추적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적응어레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서 가중벡터부의 계산과정을 요약한 도면.
도 2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적응어레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서 가중벡터부의 계산과정을 요약한 도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을 개의 센서로 구성된 센서 어레이(sensor array)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본 발명의 부공간 추적기법 일실시 예로 도 1과 부공간 추적 시스템을 생각한다. 도 1에서 센서 어레이부(10)는 개의 센서로 구성되고, 어레이에 개의 방향성 신호(directional signals)가 도래할 때, 수신 신호 은 M차원 벡터로 식 (1)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는 수신신호의 복소 포락선벡터(complex envelope vector)로 는 번째 신호의 복소 포락선, T는 행렬의 전치(transpose), 는 잡음벡터이다. 행렬 는 어레이응답벡터(array response vector)들로 열이 구성되며, 식 (2)와 같이 쓸 수 있다.
여기서 는 기댓값, 는 켤레 복소 전치(complex conjugate transpose) 연산을 의미한다. 상관행렬 는 허미션(Hermitian) 행렬로 고유분해하여 다음처럼 나타낼 수 있다.
도 1의 부공간 추적부(20)는 어레이에 수신된 신호 를 이용하여 개의 고유쌍 를 추적한다. 실제로는 는 알려져 있지 않기 때문에 이를 추정한 샘플상관행렬을 이용한다. 번째 샘플에서 부공간 추적부는 를 표본화(sampling)하여 식 (5)와 같이 정의되는 샘플상관행렬 에 대한 고유쌍(eigenpairs)을 근사적으로 구한다.
여기서 는 감쇠인자(forgetting factor)로 1에 가까운 값을 가지며, 초기치 로 단위행렬(identity matrix)을 사용할 수 있다. 은 허미션 행렬로 고유치는 양수 값을 가진다. 실제로는 을 직접 계산하지 않고, 표 1과 같이 샘플벡터 으로부터 고유쌍을 구한다. 표 1에서 'othnorm'은 직교정규화(orthonormalization)를 의미하고, 의 고유치가 큰 순으로 개의 고유쌍을 구한다. 은 각각 번째 고유치, 고유벡터를 나타낸다.
표 1. MPASTd 알고리즘
부공간 추적부(20)에서는 PASTd를 수정하여 고유치, 고유벡터를 효과적으로 계산하며, 수정한 방식을 MPASTd라 칭한다. 표 1은 MPASTd의 알고리즘을 보여준다. MPASTd 알고리즘에서는 를 1부터 K까지 1씩 증가시키면서 수축을 통해 고유쌍을 구한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일 때, 과 번째 샘플에서 구한 을 이용하여 을 구하고, 에서 성분을 제거하여 수축벡터 을 구한다. 일 때, 을 이용하여 을 구하고, 에서 성분을 제거하여 수축벡터 을 구한다. 이와 같은 반복을 일 때까지 계속한다.
MPASTd와 PASTd 간 차이점을 보면, MPASTd에서는 고유벡터들을 직교정규화를 한다는 점과 로부터 을 구하는 방법이 PASTd와 다르다. 사실 MPASTd에서 은 이미 구한 과 동일하여 추가적으로 계산할 필요가 없다. 복소 곱셈(complex multiplication) 견지에서 두 방식의 계산량을 비교하면, 직교정규화를 제외한 MPASTd의 계산량은 로 PASTd의 보다 적은 계산량을 요구한다.
표 2. 의 직교정규화 과정
표1에서의 직교정규화 과정을 표 2는 나타낸다. 표 2에서 MPASTd의 구조를 이용하여 의 직교정규화를 효율적으로 수행된다. 표 2에 따른 의 직교정규화 과정을 간단히 설명한다. 은 식 (6)처럼 쓸 수 있다.
이다. Gram-Schmidt 방법에서는 을 식 (8)에 따라 직접 계산하는 데, MPASTd에서는 표 2와 같이 효율적인 계산을 통해 을 직교화한다. 을 직교정규화하는 k 번째 단계에서 계수 을 구하기위해서 이 필요한 데, 이들은 이미 k의 전 단계에서 구하였다. 계수 을 구해 을 직교화한 다음, 번째 단계에서 의 계산을 위해 필요한 를 계산한다.
상기 부공간 추적기법을 적응어레이에 적용한 일실시 예로 도 2와 같이 적응어레이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센서 어레이로부터(1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가중벡터부(20)는 샘플링하여 수신샘플 으로부터 가중벡터 을 구하고, 어레이 출력생성부(30)는 가중벡터를 이용하여 각 센서의 수신신호를 선형결합하여 출력 를 식 (9)와 같이 생성한다.
상기 적응어레이 시스템은 초기 조향벡터로 이 주어지면 DCB 원리에 의거하여 에러에 강인한 특성을 가진다. DCB에서는 조향벡터와 관련하여 식 (10)의 집합제한과 식 (11)의 놈 제한의 이중제한을 도입한다.
여기서 는 불확실집합 의 한계값을 나타낸다. 불확실집합의 한계를 결정하는 은 고정된 또는 가변적인 값을 사용할 수 있다. 가변적인 값을 사용하는 경우, 과 부공간 간 최소 거리를 고려하여 의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이중제한 조건하에서 DCB는 어레이 출력전력의 역수에 비례하는 양을 최소로 하는 해를 구한다.
도 2에서 J개의 신호가 도래한다고 상정한다. J개의 신호 중 첫 번째 신호는 원하는 신호, 나머지 (J-1)개는 간섭신호이다.
도 2의 가중벡터부(20)는 도 3에 보인 바와 같이 수신신호 샘플링(201), 고유쌍 갱신(202), 조향벡터 계산(203), 가중벡터 계산(204)의 순으로 처리하여 가중벡터를 구한다. N번째 샘플링(201)에서 샘플링된 을 이용하여 고유쌍 갱신(202)이 표 1, 2에 따라 수행돼서 , 의 K개 고유쌍을 얻는다. 여기서 고유쌍의 수 K는 이다.
여기서
여기서
여기서
또는. 식 (21)을 식 (22)에 대입하여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9)
- 개의 기저벡터로 구성되는 부공간을 추적하는 추적 시스템에서,
M 개의 센서들로 구성되는 센서 어레이; 및
상기 센서 어레이에 수신된 신호에 대한 K 개의 고유상을 추적하는 부공간 추적부
를 포함하고,
상기 부공간 추적부는
상기 추적 시스템에 현재 수신되는 샘플벡터 과 바로 전에 구한 개의 고유쌍 을 이용하여,
표 1의 MPASTd 알고리즘에 따라 번의 수축을 통해 고유쌍을 갱신하며,
표 1의 MPASTd 알고리즘은 자연수 k를 1부터 K까지 1씩 증가시킴으로써 슈도 코드
에 의하여 구현되고(여기서, orthnorm[x]는 x의 직교 정규화 벡터(orthonomal vector)를 의미함),
상기 표 1의 MPASTd 알고리즘에서 중간산출물로 주어지는 고유벡터 는 표 2에 주어진 직교정규화 과정에 따라 직교정규화하고,
표 2의 직교정규화 과정은 자연수 l을 1부터 k-1까지 1씩 증가시킴으로써 슈도 코드
에 의하여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적 시스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74013A KR101554065B1 (ko) | 2013-06-26 | 2013-06-26 | 계산이 간편한 부공간 추적 기법 및 적응어레이에 응용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74013A KR101554065B1 (ko) | 2013-06-26 | 2013-06-26 | 계산이 간편한 부공간 추적 기법 및 적응어레이에 응용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01196A KR20150001196A (ko) | 2015-01-06 |
KR101554065B1 true KR101554065B1 (ko) | 2015-09-17 |
Family
ID=52475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74013A KR101554065B1 (ko) | 2013-06-26 | 2013-06-26 | 계산이 간편한 부공간 추적 기법 및 적응어레이에 응용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54065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220492A (ja) | 2011-04-04 | 2012-11-12 |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 レーダー信号の時空間適応処理を用いて不均一な環境においてターゲットを検出する方法、および時空間適応処理を用いて不均一な環境のレーダー信号内のターゲットを検出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
-
2013
- 2013-06-26 KR KR1020130074013A patent/KR10155406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220492A (ja) | 2011-04-04 | 2012-11-12 |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 レーダー信号の時空間適応処理を用いて不均一な環境においてターゲットを検出する方法、および時空間適応処理を用いて不均一な環境のレーダー信号内のターゲットを検出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
Non-Patent Citations (3)
Title |
---|
Nonstationary DOA 추정을 위한 VFF-PASTd (전자공학회논문지 TE편 제41권 제2호, 2004.6, pp.37-42) |
신호 부공간에 기초한 간단한 적응 어레이 및 성능분석, 전자공학회논문지 제47권 SP편 제6호, 2010.11, pp.162-170 |
효과적인 간섭 부공간 추정을 통한 조향에러에 강인한 고유공간 기반 적응 어레이, 한국통신학회논문지 제37권 제4호 통신이론 및 시스템, 2012.4, pp.269-277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01196A (ko) | 2015-01-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Liao et al. | Iterative methods for subspace and DOA estimation in nonuniform noise | |
CN107167778B (zh) | 一种基于协方差矩阵重构和导向矢量估计的稳健波束形成方法 | |
Ziskind et al. | Maximum likelihood localization of multiple sources by alternating projection | |
Reddy et al. | Reduced-complexity super-resolution DOA estimation with unknown number of sources | |
CN104035069B (zh) | 基于部分矫正对称均匀线阵的窄带近场信号源定位方法 | |
CN110941980B (zh) | 一种密集环境中基于压缩感知的多径时延估计方法及装置 | |
CN112379327A (zh) | 一种基于秩损估计的二维doa估计与互耦校正方法 | |
Wen et al. | Spatial smoothing based methods for direction-of-arrival estimation of coherent signals in nonuniform noise | |
CN115856767B (zh) | 一种可重构智能超表面辅助的波到达方向估计方法 | |
CN106656882A (zh) | 一种信号合成方法及系统 | |
Liao et al. | Resolution Improvement for MUSIC and ROOT MUSIC Algorithms. | |
KR101958337B1 (ko) | 신호의 도래각을 추정하는 방법 및 장치 | |
Liao et al. | DOA estimation under the coexistence of nonuniform noise and mutual coupling | |
Liao et al. | A simple method for DOA estimation in the presence of unknown nonuniform noise | |
KR101554065B1 (ko) | 계산이 간편한 부공간 추적 기법 및 적응어레이에 응용 | |
CN109782246B (zh) | 波达方向估计方法及装置、雷达、可读存储介质 | |
KR101557259B1 (ko) | 슬라이딩벡터 기반의 등간격 선형 어레이 도래각의 향상된 추정 방법 및 그 장치 | |
Ning et al. | A velocity independent MUSIC algorithm for DOA estimation | |
CN107135026B (zh) | 未知互耦存在时基于矩阵重构的稳健波束形成方法 | |
KR101668961B1 (ko) | 부공간 전력 성분에 기초한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 |
CN108710101A (zh) | 一种利用正交性获取相干信号子空间的doa估计算法 | |
Yang | Fast PARAFAC decomposition with application to polarization sensitive array parameter estimations | |
KR101480623B1 (ko) | 방향범위를 이용한 sdp 기반 빔 형성 기법 | |
KR101385372B1 (ko) | 조절 가능한 한계값을 갖는 불확실 집합을 이용한 신호 처리 방법 및 시스템 | |
Tian et al. | 2-D Angles of Arrival Estimation Utilizing Two-Step Weighted l 1-Norm Penalty under Nested Coprime Array with Compressed Inter-Element Spac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