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3641B1 - Automatic Document Issue Device - Google Patents

Automatic Document Issu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3641B1
KR101553641B1 KR1020140098612A KR20140098612A KR101553641B1 KR 101553641 B1 KR101553641 B1 KR 101553641B1 KR 1020140098612 A KR1020140098612 A KR 1020140098612A KR 20140098612 A KR20140098612 A KR 20140098612A KR 101553641 B1 KR101553641 B1 KR 1015536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hutter
document
rotation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86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광명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광명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광명테크
Priority to KR1020140098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364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3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364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LAPPARATUS OR DEVICES FOR MANIFOLDING, DUPLICATING OR PRINTING FOR OFFICE OR OTHER COMMERCIAL PURPOSES; ADDRESSING MACHINES OR LIKE SERIES-PRINTING MACHINES
    • B41L39/00Indicating, counting, warning, control, or 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02Perforating by punching, e.g. with relatively-reciprocating punch and b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4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having dual functions or combined with, or coupled to, apparatus performing other func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00Machines for printing and issuing tick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document issue device to be seated on the top of a printer. The automatic document issue device comprises: a supply and transfer part for taking papers printed by the printer through the upper side to transfer the papers to the front side; a paper discharge part to discharge the papers which have gone through necessary processes; and a piling part placed between the supply and transfer part and the paper discharge part, wherein a piercer is provided at an end toward the supply and transfer part and a filing part is provided at an end toward the paper discharge part. The papers transferred by the supply and transfer part and to be piled on the piling part are pierced by the piercer, filed by the filing part, and continuously transferred by the paper discharge part in the transfer direction to be discharged. Therefore, the automatic document issue device allows civil affair documents to be continuously transferred and discharged in the inserted direction after piercing and filing processes, thereby improving the document processing capability per unit time and preventing paper jams.

Description

자동서류발급장치{Automatic Document Issue Devic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Document Issue Device

본 발명은 자동서류발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민원서류의 천공 및 편철작업이 수행된 후 삽입된 방향으로 계속하여 이송됨으로써 배출되도록 한 자동서류발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document issu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tomatic document issuing apparatus in which a perforation and a binding operation of a complaint document are carried out and then continuously transferred in an inserted direction.

무인으로 민원서류를 발급하는 무인민원서류발급기(이하, "키오스크"라 약칭함)는 신속하고 편리한 민원업무를 위해 정부나 지자체, 각종 공공기관 및 학교 등에서 운용하고 있으며, 민원인이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각종 민원서류를 발급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Unmanned civil documents issuing machine (hereinafter referred to as "kiosk") issuing civil unauthorized documents is operated by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various public institutions and schools for quick and convenient complaints, It is possible to receive various civil documents.

키오스크는, 민원서류가 인쇄된 프린터에서 배출된 인쇄용지를 받아, 민원서류가 낱장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이송경로를 따라 그대로 외부로 배출시키고, 민원서류가 여러 장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이를 적층하여 정렬하고 편철기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편철한 후 이송경로를 따라 외부로 배출한다.The kiosk receives the printing paper discharged from the printer on which the complaint documents are printed, and if the complainant documents are formed as a single sheet, the kiosks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as they are along the conveying path. And automatically discharges it along the conveying path.

이러한 자동서류발급장치의 일례로서, 하기의 특허문헌 1에서는 '문서자동 발급장치'가 제안된 바 있고, 하기의 특허문헌 2에서는 '민원서류 발급기 편철장치의 민원서류 배출구조'가 제안된 바 있으며, 하기의 특허문헌 3에서는 '프린터용 자동편철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As an example of such an automatic document issuing device, a 'document automatic issuing device' has been proposed in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 1, and in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 2, a 'civil documents document discharging structure of a patent document issuing machine' , And in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 3, an "automatic binding machine for printer" has been proposed.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36239호(공고일자 2004년 06월 17일)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436239 (Date of Announcement: June 17, 2004)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14565호(공고일자 2011년 02월 16일)Korean Patent No. 10-1014565 (Published on February 16, 201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83003호(공고일자 2011년 11월 15일)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083003 (Published Nov. 15, 2011)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동서류발급장치는 민원서류가 편철된 후 삽입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송된 후 다시 방향을 바꾸어 다른 경로로 이송됨으로써 배출되는 것인바, 문서의 이송 방향 전환에 의해 자동화 처리 속도가 늦어지게 되며, 문서의 이송 방향 전환 과정에서 용지 걸림 등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automatic document issuing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is discharged by being f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mplaint document is stitched and then transferred to another path by changing its direction again,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processing speed is lowered and the possibility of occurrence of a paper jam or the like in the document transfer direction switching process is increased.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민원서류의 천공 및 편철작업이 수행된 후 삽입된 방향으로 계속하여 이송됨으로써 배출되도록 한 자동서류발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ic document issuing device for continuously discharging paper after a perforating and binding operation of a complaint document is performed and then being continuously conveyed in an inserted direction.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동서류발급장치로서, 프린터에서 인쇄되어 유입되는 용지를 상방으로 인입하여 전방으로 이송하는 공급이송부; 필요한 작업이 완료된 서류를 배출하는 배지부; 상기 공급이송부와 상기 배지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공급이송부 방향 단부에는 천공기가 설치되며, 상기 배지부 방향 단부에는 편철기가 설치되는 적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이송부에 의해 이송되어 상기 적치부에 적치된 서류는 상기 천공기에 의해 천공되고 상기 편철기에 의해 편철된 후 상기 배지부에 의해 이송된 방향으로 계속하여 이송됨으로써 배출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utomatic document issuance apparatus comprising: a supply conveyance unit for conveying a sheet, which is printed by a printer, A discharge unit for discharging a document in which necessary work is completed; Wherein the feeder is disposed between the feeder and the feeder, the feeder is provided with a perforator at an end of the feeder, and a cracker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feeder, The document placed on the teeth is pierced by the perforator and is released by being continuously conveyed in the direction conveyed by the paper discharger after being stitched by the binder machine.

여기서, 상기 배지부는, 상하로 승강되어 이송경로를 개폐하는 셔터; 및 상기 셔터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셔터승강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discharge unit may include: a shutter which is vertically moved up and down to open and close the conveyance path; And shutter lifting means for lifting the shutter upward and downward.

여기서, 상기 셔터승강수단은, 일단부에는 셔터승강모터가 구비되고, 타단부에는 상하 방향 장공과 상기 셔터가 구비되는 지지 브래킷; 상기 지지 브래킷의 중앙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중심축; 길이 방향 양측에 장공이 각각 형성되고, 중앙부가 상기 중심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시소형 부재; 상기 셔터승강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고, 일단부에 돌출부재가 상기 시소형 부재의 일측 장공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와 같이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반원형 회전 감지구; 및 상기 반원형 회전 감지구의 회전을 감지하도록 설치되는 회전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셔터에는, 상기 셔터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 브래킷의 상기 상하 방향 장공 및 상기 시소형 부재의 타측 장공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승강축이 구비될 수 있다.Here, the shutter lifting means includes a supporting bracket having a shutter lifting motor at one end thereof and an elongated slot and a shutter at the other end thereof; A center shaft rotatably support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support bracket; A squeezable member having elongated holes formed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nd having a central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the central shaft; A rotating member coupled to a rotating shaft of the shutter lifting motor and having a protruding member at one end so as to pass through one long hole of the seesaw member; A semicircular rotary sensing zone installed to rotate with the rotary member; And a rotation sensor installed to sense rotation of the semicircular rotation sensing strip, wherein the shutter is connected to the shutter and is installed to penetrate the upper and lower long holes of the support bracket and the other elongated hole of the seesaw member An elevating shaft may be provided.

여기서, 상기 적치부는, 상기 공급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서류가 적치되는 적치 플레이트; 적치된 서류를 서류의 길이 방향과 폭 방향으로 정렬하는 정렬부; 및 천공 및 편철 작업이 완료된 서류를 배출하기 위해 1회전 하도록 설치되는 반원형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mounting portion may include: a mounting plate on which a document conveyed by the supplying / conveying portion is mounted; An aligning unit for aligning the stacked document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of the document; And a semicircular roller installed so as to make one revolution to discharge the punched and stitched document.

여기서, 상기 천공기는, 용지가 삽입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와 결합되어 상기 삽입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 내에서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삽입부에 삽입된 용지를 천공하는 하나 이상의 천공핀이 돌출되게 결합되는 승강부; 상기 승강부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구동부; 천공작업시 생성되는 천공파쇄지를 이송 후 분리 배출하는 파쇄지 배출부; 및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정지시키기 위해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perforator may include: an insertion portion into which a sheet is inserted; A support portion coupled to the insertion portion to support the insertion portion; A lift unit inserted into the support unit so as to be vertically movable up and down and to which one or more punching pins for perforating the paper inserted in the insertion unit are protruded; A driving unit for vertically moving the lifting unit; A crushed paper discharge unit for transferring and separating the perforated crush paper generated during drilling operation; And a rotation sensing unit for sensing rotation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서류발급장치에 의하면, 민원서류의 천공 및 편철작업이 수행된 후 삽입된 방향으로 계속하여 이송되어 배출됨으로써, 단위 시간당의 문서 처리 능력이 향상되며, 용지 걸림 등의 문제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automatic document issu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erforation and the binding operation of the complaint document are performed, the document is continuously conveyed and discharged in the inserted direction to improve the document processing capability per unit time, And the like can be preven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서류발급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서류발급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자동서류발급장치에 구비된 배지부를 보다 자세히 도시한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서류발급장치의 저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자동서류발급장치에 구비되는 천공기의 사시도,
도 6은 천공기의 삽입부를 보여주는 일부 분해 사시도,
도 7은 천공기의 삽입부의 받침판과 수평판을 보다 자세히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
도 8은 천공기의 좌측 단면도,
도 9는 천공기의 정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 document issu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automatic document issu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elivery portion of the automatic document issu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ttom surface of the automatic document issu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perforator provided in the automatic document issu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perforator,
7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eed plate and the horizontal plate of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perforator in more detail,
8 is a left side sectional view of the perforator,
9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a perforator.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이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서류발급장치(1)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automatic document issu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서류발급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서류발급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 document issu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automatic document issu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자동서류발급장치(1)는 프린터에서 인쇄되어 유입되는 용지를 상방으로 인입하여 전방으로 이송하는 공급 이송부(10); 필요한 작업이 완료된 서류를 배출하는 배지부(20); 공급 이송부(10)와 배지부(20) 사이에 배치되고, 공급 이송부(10) 방향 단부에는 천공기(40)가 설치되며, 배지부(20) 방향 단부에는 편철기(50)가 설치되는 적치부(30);를 포함한다.
The automatic document issu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eed conveyance unit (10) for feeding a sheet, which is printed by a printer and fed thereto, upward; A discharge unit 20 for discharging a document on which a necessary operation is completed; A puncturer 40 is disposed at the end of the feed and conveyance unit 10 in the direction of the feed and conveyance unit 10 and an enemy unit 30 ).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공급 이송부(10)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upply / delivery unit 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공급 이송부(10)는 프린터에서 인쇄되어 유입되는 용지를 상방으로 인입하여 전방으로 이송하는 부분으로서, 인입 가이드(110), 인입 구동 롤러(120), 인입 피동 롤러(121), 이송 가이드(130), 이송 구동 롤러(140) 및 이송 피동 롤러(141)를 포함한다.The feeding and conveying unit 10 includes a feeding guide 110, a feeding driving roller 120, a feeding driven roller 121, a feeding guide 130, A feed drive roller 140, and a feed driven roller 141. [

인입 가이드(110)는 프린터에서 인쇄되어 유입되는 용지를 안내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프린터 배출부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The lead-in guide 110 serves to guide the paper that is printed and entered by the printer, and is install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printer discharge portion.

인입 구동 롤러(120) 및 인입 피동 롤러(121)는 인입 가이드(110)를 통해 유입되는 용지를 상방으로 이송한다.The lead-in driving roller 120 and the lead-in driven roller 121 convey the paper flowing through the lead-in guide 110 upward.

여기서, 인입 구동 롤러(120) 및 인입 피동 롤러(121)와 용지 사이의 마찰력이 프린터 배출부의 롤러와 용지 사이의 마찰력보다 낮게 함으로써 프린터에서 용지 전체가 배출되기 전까지는 인입 구동 롤러(120) 및 인입 피동 롤러(121)와 용지 사이에서 미끄럼현상이 발생하여 프린터에서 밀어내는 힘에 의해서만 종이가 이송될 수 있도록 하고, 프린터에서 용지가 완전히 배출된 후에는 인입 구동 롤러(120) 및 인입 피동 롤러(121)와 용지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용지가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inlet driving roller 120 and the inlet driven roller 121 and the paper is made lower than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rollers of the printer discharging portion and the paper so that the inlet driving roller 120 and the inlet The paper can be conveyed only by the force that the printer is pushed by the occurrence of a slip phenomenon between the driven roller 121 and the paper, and after the paper is completely discharged from the printer, the pull driving roller 120 and the pull driven roller 121 And the paper can be transported by the friction force between the paper and the paper.

이송 가이드(130)는 인입 구동 롤러(120) 및 인입 피동 롤러(121)에 의해 이송된 용지를 자동서류발급장치(1)의 전방으로 이송하기 위해 안내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인입 구동 롤러(120) 및 인입 피동 롤러(121)의 상부에 배치된다.The conveying guide 130 functions to guide the sheet conveyed by the draw drive roller 120 and the draw-in driven roller 121 to the front of the automatic document issuing device 1, And a take-up driven roller 121. The take-

이송 구동 롤러(140) 및 이송 피동 롤러(141)는 이송 가이드(130) 내로 유입된 용지를 자동서류발급장치(1)의 전방으로 이송한다.The conveyance drive roller 140 and the conveyance driven roller 141 convey the paper fed into the conveyance guide 130 to the front of the automatic document issuing device 1. [

회전이 동기화되지 않아 용지가 구겨지지 않도록, 본 실시예에서, 인입 구동 롤러(120)와 이송 구동 롤러(140)는 하나의 타이밍 벨트에 의해 동시에 구동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lead-in drive roller 120 and the feed drive roller 140 are simultaneously driven by one timing belt so that the rotation is not synchronized and the sheet is not crumpled.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배지부(20)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discharge unit 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FIG.

배지부(20)는 필요한 작업이 완료된 서류를 배출하는 부분으로서, 셔터(210), 셔터승강수단, 배지 구동 롤러(290) 및 배지 피동 롤러(291)를 포함한다.The discharge unit 20 includes a shutter 210, a shutter lifting unit, a discharge drive roller 290 and a discharge driven roller 291,

셔터(210)는 상하로 승강되어 이송경로를 개폐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평상시에는 하강된 상태로 이송경로 내에서 공급 이송부(10)로부터 이송되어지는 용지의 선단을 접촉하여 지지함으로써 용지가 적치부(30)에 적치되도록 한다.The shutter 210 is vertically moved up and down to function to open and close the conveying path. The shutter 210 is in contact with the leading edge of the sheet conveyed from the feeding and conveying section 10 in the conveying path in a state of being normally lowered, (30).

셔터(210)에는, 셔터(210)에 연결되어 지지 브래킷(220)의 상하 방향 장공(221) 및 시소형 부재(250)의 타측 장공(252)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승강축(211)이 구비된다.The shutter 210 is provided with an elevation shaft 211 connected to the shutter 210 and installed to penetrate the elongated hole 221 of the supporting bracket 220 and the other elongated hole 252 of the seesaw member 250 do.

그리고, 적치부(30)에 적치된 용지에 필요한 천공 및 편철 작업이 완료되면, 셔터(210)는 셔터승강수단에 의해 상승되어 이송경로를 개방함으로써 서류가 배출될 수 있게 한다.When the perforation and binding operation necessary for the paper stacked on the red tooth portion 30 is completed, the shutter 210 is lifted by the shutter lifting means to open the conveyance path so that the document can be discharged.

셔터승강수단은 셔터(210)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셔터(210)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수단으로는, 유압이나 공압 실런더를 이용하는 방식, 셔터(210)에 연결된 체인이나 로프를 스프로킷이나 풀리로 감아올리는 방식, 래크와 피니언을 이용하는 방식, 웜기어를 이용하는 방식, 솔레노이드를 이용하는 방식 등 적용 가능한 공지된 기술들이 사용될 수 있다.As the means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shutter 210 up and down, a method of using a hydraulic pressure or a pneumatic sealer, a method of using a chain or a rope connected to the shutter 210 A known method may be used, such as a method of winding up a sprocket or a pulley, a method using a rack and a pinion, a method using a worm gear, a method using a solenoid, and the like.

본 실시예에서, 셔터승강수단은 지지 브래킷(220), 중심축(240), 시소형 부재(250), 회전부재(260), 반원형 회전 감지구(270) 및 회전 감지 센서(280)를 포함한다.In this embodiment, the shutter lifting means includes a support bracket 220, a central shaft 240, a seesaw member 250, a rotary member 260, a semicircular rotary sensitive zone 270, and a rotation detection sensor 280 do.

지지 브래킷(220)은 셔터(210)를 승강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들을 지지하는 기능을 하는 브래킷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에는 셔터승강모터(230)가 구비되고, 타단부에는 상하 방향 장공(221) 및 셔터(210)가 구비된다.As shown in FIG. 3, the support bracket 220 is provided with a shutter lifting motor 230 at one end thereof and a shutter lifting motor 230 at the other end thereof, A directional slot 221 and a shutter 210 are provided.

중심축(240)은 지지 브래킷(220)의 중앙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The center shaft 240 is rotatably supported at the center of the support bracket 220.

시소형 부재(250)는 셔터승강모터(230)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부재(260)의 회전에 의해 중심축(240)을 중심으로 회동함으로써 셔터(210)를 승강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길이 방향 양측에는 장공(251, 252)이 각각 형성되고, 중앙부는 중심축(2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seesaw-type member 250 functions to lift the shutter 210 by rotating the center shaft 240 by rotation of the rotation member 260 rotated by the shutter lifting motor 230, On both sides, long holes 251 and 252 are formed, respectively, and a central portion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enter shaft 240.

회전부재(260)는 셔터승강모터(230)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부재로서, 일단부에는 회전하는 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시소형 부재(250)의 일측 장공(251)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돌출부재(261)가 구비된다.The rotary member 260 is a member rotatably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shutter lifting motor 230. The rotary member 260 protrud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tating surface of the rotary member 260 at one end thereof and passes through one long hole 251 of the seesaw member 250 A protruding member 261 is provided.

반원형 회전 감지구(270)는 회전부재(260)과 같이 회전되도록 설치된다.The semicircular rotation sensing zone 270 is installed to rotate with the rotating member 260.

회전 감지 센서(280)는 반원형 회전 감지구(270)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광학 소자 등을 이용하여 반원형 회전 감지구(270)의 회전을 1/2 회전마다 감지하여 신호를 제어부(도면 미도시)에 전달하며, 제어부는 이 신호를 바탕으로 하여 셔터승강모터(230)의 작동을 정지시킨다.The rotation detecting sensor 280 senses the rotation of the semicircular rotation sensing unit 270. The sensing unit 280 senses the rotation of the semicircular rotation sensing unit 270 every 1/2 revolution using an optical element or the like, (Not shown), and the control unit stops the operation of the shutter lifting motor 230 based on the signal.

배지 구동 롤러(290) 및 배지 피동 롤러(291)는, 필요한 천공 및 편철 작업이 완료된 서류가 적치부(30)의 후술하게 될 반원형 롤러(330)에 의해 배지부(20)로 이송되면 이를 인입하여 자동서류발급장치(1)의 전방으로 이송함으로써 배출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이송경로 상에서 셔터(210)의 전방(서류가 이송되는 방향)에 설치된다.
The paper discharge drive roller 290 and the paper discharge driven roller 291 are brought into the discharge section 20 by the semicircular roller 3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of the bearing portion 30 when the necessary punching and finishing operation is completed And is disposed in front of the shutter 210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ocument is conveyed) on the conveyance path, serving as a function of ejecting by forwarding the automatic document issuing device 1. [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적치부(30)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red teeth portion 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FIG.

적치부(30)는 공급 이송부(10)로부터 이송된 용지가 적치되어 서류의 선단부는 편철기(50)에 의해 편철되고 서류의 후단부는 천공기(40)에 의해 천공되는 부분으로서, 공급 이송부(10)와 배지부(20) 사이에 배치된다.The leading edge of the document is entangled by the staple changer 50 and the trailing edge of the document is perforated by the perforator 40. The paper feeder 10 And the paper discharge unit 20, as shown in Fig.

적치부(30)의 공급 이송부(10) 방향 단부에는 천공기(40)가 설치되고, 배지부(20) 방향 단부에는 편철기(50)가 설치되며, 적치부(30)는 적치 플레이트(310), 정렬부(320) 및 반원형 롤러(330)를 더 포함한다.A perforator 40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corresponding tooth 30 in the direction of the feeding and feeding unit 10 and a stapler 50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sheet 20 in the direction of the sheet 20. The corresponding tooth 30 includes a mounting plate 310, And further includes an aligning unit 320 and a semicylinder roller 330.

적치 플레이트(310)는 공급 이송부(10)에 의해 이송된 서류가 적치되는 부분으로서, 도 2를 참조하면, 적치 플레이트(310)에 적치되는 서류의 선단부는 편철기(50) 상부에 위치하게 되고 서류의 후단부는 천공기(40)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2, the leading end of the document mounted on the mounting plate 310 is position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tapler 50 The rear end of the document is positioned above the perforator 40.

정렬부(320)는 적치부(30)에 적치된 서류를 천공 및 편철하기 전에 서류의 폭 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 정렬하는 기능을 하는 부분으로서, 폭 방향 정렬판(321) 및 길이 방향 정렬 롤러(322)를 포함한다.The aligning unit 320 is a part functioning to align the document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length direction of the document before perforating and binding the document mounted on the fixture 30 and includes a width direction alignment plate 321 and a longitudinal alignment roller 322).

폭 방향 정렬판(321)은 적치부(30)에 적치된 서류를 서류의 폭 방향으로 정렬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적치 플레이트(310)의 양측에 수직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The width direction alignment plate 321 functions to align the documents stacked on the corresponding teeth 30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document and is installed to protrude vertically on both sides of the mounting plate 310. [

폭 방향 정렬판(321)은 솔레노이드나 래크와 피니언 등에 의해 좌우로 왕복 이동된다.The width direction alignment plate 321 is reciprocated right and left by a solenoid, a rack, a pinion, and the like.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폭 방향 정렬판(321)은 모터에 의해 피니언이 회전되어 폭 방향 정렬판(321)과 연결된 래크(325)가 2~3회 좌우로 왕복 이동됨에 따라 좌우로 왕복 이동됨으로써 서류를 폭 방향으로 정렬하게 된다.Referring to FIGS. 2 and 4,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idth direction alignment plate 321 has a pinion rotated by a motor, and a rack 325 connected to the width direction alignment plate 321 is reciprocated two to three times The document is moved back and forth as it is moved, thereby aligning the document in the width direction.

길이 방향 정렬 롤러(322)는 적치부(30)에 적치된 서류를 서류의 길이 방향으로 정렬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적치 플레이트(310)의 상부에 설치되며, 길이 방향 정렬 롤러(322)에는 고무 브러쉬(323)가 구비된다.The longitudinal direction aligning roller 322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ount plate 310.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igning roller 322 is provided with a rubber A brush 323 is provided.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모터에 의해 길이 방향 정렬 롤러(322)가 구동되면 고무 브러쉬(323)가 안내홈(324)을 따라 전후로 구동됨으로써 서류가 길이 방향으로 정렬된다.2 and 3, in this embodiment, when the longitudinally-direction aligning roller 322 is driven by the motor, the rubber brushes 323 are driven back and forth along the guide grooves 324, whereby the documents are longitudinally aligned .

천공기(40)는 적치부(30)에 적치된 서류의 후단부를 천공하는 장치로서, 적치부(30)의 공급 이송부(10) 방향 단부에 설치된다.The perforator 40 is a device for perforating the rear end portion of the document placed on the mount portion 30 and is provided at the end portion of the mount portion 30 in the direction of the feed and conveyance portion 10.

천공기(40)는 거래 사회에서 증명 서류 및 수표 또는 어음 등의 위조 및 도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서류의 일측에 소정 패턴의 천공부를 형성한다. 즉, 서류의 일측에 발행사의 상호나 증명의 명칭 또는 정해진 기호, 문자 등을 다수의 천공핀으로 천공함으로써 천공핀으로 형성되는 천공부를 제3자가 인식하여 서류의 진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perforator 40 forms a predetermined pattern of perforations on one side of the document in order to prevent the forgery and theft of the proof document, the check or the bill in the business community. That is, by perforating the name of mutual issuer or certificate of the issuer, predetermined symbols, characters, etc. with a plurality of puncturing pins on one side of the document, it is possible for the third party to recognize the authenticity of the document will be.

본 발명의 자동서류발급장치(1)에 구비되는 천공기(40)에 대하여는 이후에 별도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perforator 40 provided in the automatic document issuing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편철기(50)는 적치부(30)에 적치된 서류의 선단부를 편철하는 장치로서, 적치부(30)의 배지부(20) 방향 단부에 설치된다.The bookbinding machine 50 is a device for binding the leading end portion of the document placed on the toothed portion 30 and is provided at the end portion of the toothed portion 30 in the direction of the paper discharge portion 20. [

이러한 편철기(50)는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기술인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The staple changer 50 is a known technique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반원형 롤러(330)는 천공 및 편철 작업이 완료된 서류를 배출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적치 플레이트(310)의 상부에 설치된다.The semicylindrical roller 330 functions to discharge a document in which perforation and binding operations have been completed. The semi-circular roller 330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plate 310.

반원형 롤러(330)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반원형 롤러(330)의 회전축에는 반원형 롤러(330)와 같이 회전되는 반원형 회전 감지구가 설치된다.The semicircular roller 330 is rotated by a motor, and a semi-circular rotation sensing zone is provided on the rotation axis of the semicircular roller 330 to rotate together with the semicircular roller 330.

그리고, 반원형 롤러(330)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브래킷에는 반원형 회전 감지구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 감지 센서가 설치된다.A rotation sensing sensor for sensing the rotation of the semicircular rotation sensing part is installed on the bracket for supporting the rotation shaft of the semicircular roller 330.

천공 및 편철 작업이 완료되면, 반원형 롤러(330)는 회전하여 서류를 배지부(20)로 이송한다. 이때, 회전 감지 센서는 광학 소자 등을 이용하여 반원형 회전 감지구의 회전을 감지하여 신호를 제어부(도면 미도시)에 전달하며, 제어부는 반원형 회전 감지구가 1회전 한 것으로 판단되면 모터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When the drilling and binding operation is completed, the semicircular roller 330 rotates to convey the document to the discharge section 20. [ At this time, the rotation detecting sensor senses the rotation of the semicircular rotation sensing region using an optical element or the like, and transmits a signal to a control unit (not shown). Whe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semicircular rotation sensing region has made one rotation, .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천공기(40)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erforator 4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to 9. FIG.

도 5는 본 발명의 자동서류발급장치에 구비되는 천공기의 사시도이고, 도 6은 천공기의 삽입부를 보여주는 일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천공기의 삽입부의 받침판과 수평판을 보다 자세히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천공기의 좌측 단면도이며, 도 9는 천공기의 정단면도이다.6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ertion part of a perforator, and FIG. 7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ertion part of a perforator and a bottom plate of the insertion part of a perforator in more detail.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perforator provided in the automatic document issu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left side sectional view of the perforator, and Fig. 9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the perforator.

본 발명의 자동서류발급장치(1)에 구비되는 천공기(40)는 삽입부(410), 지지부(420), 승강부(430), 구동부(440), 파쇄지 배출부(450), 회전 감지부(460) 및 수거함(470)을 포함한다.
The perforator 40 provided in the automatic document issuing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sertion portion 410, a support portion 420, a lift portion 430, a driving portion 440, a crush paper discharge portion 450, A portion 460 and a collection box 470.

삽입부(410)는 천공될 용지가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판(4110), 수평판(4120) 및 천공판(4210)을 포함한다.The insertion portion 410 is a portion into which a sheet to be punched is inserted and includes a support plate 4110, a horizontal plate 4120 and a perforated plate 4210 as shown in FIG.

받침판(4110)은 삽입된 용지가 천공을 위해 정렬되어 놓여지는 곳으로서, 본 실시예와 같이 천공핀(4311)이 받침판(4110)의 하부로부터 상부로 돌출되어 천공이 이루어지는 경우,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공핀(4311)이 통과할 수 있는 부분에 개구(4111)가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perforated fin 4311 protrudes upwar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4110 and is perforated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upport plate 4110 is arranged to align the inserted paper for perforation, 7, an opening 4111 may be formed at a portion through which the perforation pin 4311 can pass.

본 실시예에서는, 받침판(4110)의 하면에 천공판(4210)이 구비된다.In this embodiment, a perforated plate 4210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4110.

천공판(4210)은, 표면에 형성된 천공홀(4211)을 통하여 천공핀(4311)이 돌출됨으로써 천공판(4210) 상부에 놓여진 용지가 천공되도록 하는 부분으로서, 천공판(4210)의 하부에서 상하로 승강되는 승강부(430)의 천공핀(4311)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천공홀(4211)이 형성된다.The apertured plate 4210 is a part that causes the perforated plate 4311 to protrude through the perforated hole 4211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erforated plate 4210 so that the paper placed on the apertured plate 4210 is punctured, At least one perforation hole 4211 is formed so that the perforation pin 4311 of the elevating portion 430 can pass through.

여기서, 상기에서는 받침판(4110)과 천공판(4210)이 별개의 구성요소로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받침판(4110)과 천공판(4210)은 하나의 구성요소로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용지의 천공이 이루어지는 하중이 많이 걸리는 부분은 두꺼운 천공판(4210)으로 구성하고, 나머지 부분은 얇은 받침판(4110)으로 구성하는 것이 비용 및 제작 용이성의 측면에서 더 유리할 것이다.Although the support plate 4110 and the apertured plate 4210 are described as separate compon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support plate 4110 and the apertured plate 4210 may be integrally formed as one component . However, it may be more advantageous in terms of cost and easiness of fabrication that the portion where a large amount of the load for punching the paper is formed by the thick apertured plate 4210 and the remaining portion is formed by the thin support plate 4110.

본 실시예에서는, 받침판(4110)의 상부에 수평판(4120)이 구비된다.In this embodiment, the horizontal plate 4120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plate 4110.

수평판(4120)은 천공을 위해 삽입되어 놓여진 용지를 상부에서 받쳐주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표면에 천공파쇄지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홀(4121)이 형성된다.The horizontal plate 4120 functions to support the paper placed on the upper side for perforation, and has a discharge hole 4121 for discharging the perforated paper dust on its surface.

수평판(4120)과 동일한 높이에는 받침판(4110)과 같은 폭을 갖는 상부 안내판(4130)이 구비될 수 있다. 상부 안내판(4130)은 천공을 위해 삽입되는 용지를 상부에서 안내하여 정렬해주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A top guide plate 4130 having the same width as the receiving plate 4110 may be provided at the same height as the horizontal plate 4120. The upper guide plate 4130 functions to align and guide the sheet to be inserted for perforation from above.

여기서, 상기에서는 수평판(4120)과 상부 안내판(4130)이 별개의 구성요소로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수평판(4120)과 상부 안내판(4130)은 하나의 구성요소로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용지의 천공이 이루어지는 하중이 많이 걸리는 부분은 두꺼운 수평판(4120)으로 구성하고, 나머지 부분은 얇은 상부 안내판(4130)으로 구성하는 것이 비용 및 제작 용이성의 측면에서 더 유리할 것이다.Although the horizontal plate 4120 and the upper guide plate 4130 have been described as separate components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horizontal plate 4120 and the upper guide plate 4130 may be a single component Or may be integrally formed. However, it may be more advantageous in terms of cost and ease of manufacture to constitute the thick horizontal plate 4120 with a portion where a large amount of the paper is punched and the remaining portion with a thin upper guide plate 4130.

본 실시예에서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공기(40)의 후방으로부터 삽입부(410)에 용지가 삽입된 다음 천공작업이 이루어지고, 그 후 용지가 다시 삽입된 방향으로 계속하여 이송되어 천공기(40)의 전방으로 배출된다.5 to 7, the punching operation is performed after the paper is inserted into the inserting portion 410 from the rear of the perforator 40. Thereafter, the punching operation is continu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aper is inserted again And is discharged to the front side of the perforator 40.

따라서, 연속적인 작업을 위한 자동화가 쉬워지고, 단위 시간당의 문서 처리 능력이 향상되며, 용지 걸림 등의 문제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된다.
Therefore, automation for continuous operation is facilitated, the document processing capability per unit time is improved, and conditions for preventing occurrence of problems such as jamming are provided.

지지부(420)는, 천공판(4210)의 하부에서 천공판(4210)을 지지하면서, 지지부(420) 내부에서 승강부(430)가 상하로 승강되도록 안내하는 부분으로서, 한 쌍의 지지판(4220) 및 한 쌍의 지지부재(4230)를 포함한다.The support portion 420 is a portion that supports the apertured plate 4210 in the lower portion of the apertured plate 4210 and guides the elevation portion 430 up and down in the support portion 420. The support portion 420 includes a pair of support plates 4220, And a pair of support members 4230.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지지판(4220)은 천공판(4210)의 양측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부분이며, 한 쌍의 지지부재(4230)는 천공판(4210)의 전후방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부분이다. 즉, 상부의 천공판(4210)과 하부 양측의 지지판(4220) 및 하부 전후방의 지지부재(423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 내에서 승강부(430)가 상하로 승강되게 된다.6, the pair of support plates 4220 is a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both sides of the apertured plate 4210, and the pair of support members 4230 extend downward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apertured plate 4210 Section. That is, the elevating portion 430 is vertically moved up and down in a space formed between the upper plate 4210 and the supporting plate 4220 on the lower side and the supporting member 4230 on the lower side.

한 쌍의 지지판(4220) 중 좌측 지지판(4220)에는, 구동부(440)의 구동모터(4410), 구동기어(4411), 피동기어(4420)와, 회전 감지부(460)의 회전 감지구(4610) 및 회전 감지센서(4620)도 구비된다. 다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배치를 달리하여 우측 지지판(4220) 등에 구비될 수도 있다.
The left support plate 4220 of the pair of support plates 4220 is provided with a drive motor 4410, a drive gear 4411 and a driven gear 4420 of the drive unit 440 and a rotation sense plate 4610 and a rotation detection sensor 4620 are also provided. However, these components may be provided in the right support plate 4220 or the like in a different arrangement.

승강부(430)는 지지부(420) 내에서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상면에 삽입부(410)에 삽입된 용지를 천공하는 하나 이상의 천공핀(4311)이 돌출되게 결합된다.One or more punching pins 4311 for punching the paper inserted into the inserting portion 410 ar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ing portion 430 so as to be protruded.

도 8을 참조하면, 승강부(430)의 상면에는 천공기(40)의 좌우 방향(도 8의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이러한 가이드홈에는 가이드홈에 면밀착되게 결합될 수 있는 천공핀 고정부(4310)가 삽입된다.8, a guide groov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ing portion 43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aper surface of FIG. 8) of the perforator 40, A puncturing pin fixing portion 4310 is inserted.

천공핀 고정부(4310)에는 하면 중앙부에 천공핀(4311) 하부의 머리 부분이 배치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홈의 상면으로부터 천공핀 고정부(4310)의 상면까지 천공핀(4311)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홀이 형성되어 있다. The perforation pin fixing portion 4310 is formed with a groove at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to which the head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perforation pin 4311 can be disposed. The perforation pin 4311 extend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groov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erforation pin fixing portion 4310, At least one hole is formed so as to pass through the hole.

따라서, 천공핀(4311)을 천공핀 고정부(4310) 하면의 홈으로부터 천공핀 고정부(4310) 상면을 통과하여 돌출되도록 삽입하고, 천공핀(4311)이 삽입된 천공핀 고정부(4310)를 승강부(430) 상면의 가이드홈으로 면밀착되게 결합시킨 다음, 지지부(420)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 내로 삽입시키면, 승강부(430)는 지지부(420) 내에서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된다.
Therefore, the perforated pin 4311 is inserted from the groov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erforated pin fixing portion 4310 so as to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perforated pin fixing portion 4310, and the perforated pin fixing portion 4310, The elevating part 430 can be vertically moved up and down in the supporting part 420 by inserting the guide part 420 into the space formed inside the supporting part 420 after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ing part 420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guide groove on the upper part of the elevating part 430.

구동부(440)는 승강부(430)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부분으로서, 구동모터(4410), 구동기어(4411), 피동기어(4420) 및 편심캠(4430)을 포함한다.The driving unit 440 includes a driving motor 4410, a driving gear 4411, a driven gear 4420 and an eccentric cam 4430,

구동모터(4410)는 한 쌍의 지지판(4220) 중 좌측 지지판(4220)의 선단에 결합되며, 그 회전축에는 구동기어(4411)가 결합된다.The drive motor 4410 is coupled to the tip of the left support plate 4220 of the pair of support plates 4220 and the drive gear 4411 is coupled to the rotation axis thereof.

그리고, 좌측 지지판(4220) 후단에는, 좌측 지지판(42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구동기어(4411)와 치합되는 피동기어(4420)가 구비되며, 양측단이 지지판(42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단은 피동기어(4420)의 중앙에 삽입 고정되는 편심캠(4430)이 구비된다.A driven gear 4420 rotatably coupled to the left support plate 4220 and meshed with the drive gear 4411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left support plate 4220. Both ends of the driven gear 4420 are rotatably engaged with the support plate 4220 And an eccentric cam 4430 inserted and fixed at the center of the driven gear 4420 at one end thereof.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심캠(4430)은 커넥팅 로드(4440)를 통하여 승강부(430)와 연결된다.8, the eccentric cam 4430 is connected to the elevating portion 430 through the connecting rod 4440. [

따라서, 구동모터(4410) 및 구동기어(4411)의 회전에 의해 피동기어(4420) 및 편심캠(4430)이 회전하게 되고, 편심캠(4430) 및 커넥팅 로드(4440)에 의해 승강부(430)가 지지부(420) 내에서 상하로 승강되게 된다.
The driven gear 4420 and the eccentric cam 4430 are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driving motor 4410 and the driving gear 4411 and the eccentric cam 4430 and the connecting rod 4440 rotate the elevating portion 430 Are lifted up and down in the support portion 420.

파쇄지 배출부(450)는 천공작업시 생성되는 천공파쇄지를 이송 후 분리 배출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이송수단(4510), 이송 덕트(4511) 및 분리수단(4520)을 포함한다.The crushed paper discharge unit 450 includes a conveying unit 4510, a conveying duct 4511, and a separating unit 4520. The conveying unit 4510 conveys the crushed papers generated during the piercing operation.

도 6,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덕트(4511)는 수평판(4120)의 배출홀(4121)로부터 배출되는 천공파쇄지가 수평판(4120)의 상부로부터 천공기(40)의 일측으로 이송되는 통로이다.6, 8, and 9, the conveying duct 4511 is formed so that a perforation crush pape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hole 4121 of the horizontal plate 4120 is convey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horizontal plate 4120 to the upper end of the perforator 40 It is a passage that is transported to one side.

그리고, 이송수단(4510)은 이송 덕트(4511)를 통하여 천공파쇄지를 천공기(40)의 일측으로 이송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이송 덕트(4511)를 관통하여 구동되는 로프, 벨트 또는 타이밍벨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5, the conveying means 4510 serves to convey the perforated crushed paper to one side of the perforator 40 through the conveying duct 4511. In this embodiment, A belt, a timing belt, or the like,

이러한 이송수단(4510)은, 전후 한 쌍의 기본판(4530)의 좌우측에 구비되는 복수의 벨트 풀리(4512)에 걸려져서 구동된다.The conveying means 4510 is engaged with a plurality of belt pulleys 4512 provided on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pair of front and rear base plates 4530 and driven.

여기서, 한 쌍의 기본판(4530)은, 삽입부(410), 지지부(420) 및 파쇄지 배출부(450)의 상대적인 위치를 고정시켜주는 골격을 이루는 것이며, 복수의 결합봉(4540)이 한 쌍의 기본판(4530) 사이에 구비되어 한 쌍의 기본판(4530)을 결합시킨다.The pair of base plates 4530 is a framework for fix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insertion portion 410, the support portion 420 and the crusher discharge portion 450. The plurality of coupling rods 4540 And is provided between a pair of base plates 4530 to join the pair of base plates 4530. [

이러한 한 쌍의 기본판(4530) 사이에는 장력 조절 롤러(4513)가 구비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력 조절 롤러(4513)의 양측단은 한 쌍의 기본판(4530)에 형성된 장공에 체결되는바, 장공을 따라 장력 조절 롤러(4513)의 양측단을 이동시켜 장력 조절 롤러(4513)의 위치를 변경시킴으로써, 장력 조절 롤러(4513)에 걸려져서 구동되는 이송수단(451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A tension adjusting roller 4513 is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base plates 4530. 5, both side ends of the tension adjusting roller 4513 are fastened to the elongated holes formed in the pair of base plates 4530, and both side ends of the tension adjusting roller 4513 are moved along the elongated hole,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regulating roller 4513, the tension of the conveying means 4510 driven by the tension adjusting roller 4513 can be adjusted.

한편, 복수의 벨트 풀리(4512) 중의 하나에는 모터의 축이 결합되어 이송수단(4510)을 구동시키며, 다른 하나의 벨트 풀리(4512)의 하부에는 분리수단(4520)이 구비된다.A shaft of the motor is coupled to one of the plurality of belt pulleys 4512 to drive the conveying means 4510 and a separating means 4520 is provided below the other belt pulley 4512.

분리수단(4520)은 이송수단(4510)에 의해 이송된 천공파쇄지를 이송수단(4510)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도 5,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벨트 풀리(4512)에 걸려져서 구동되는 이송수단(4510)의 표면을 털어내는 회전 브러시(brush)로 구성될 수 있다.5, 6, and 9, the separating means 4520 functions to separate the punch crush paper conveyed by the conveying means 4510 from the conveying means 4510. In this embodiment, And a rotary brush for removing the surface of the conveying means 4510 driven by the belt pulley 4512 to be driven.

회전 브러시의 축에는, 회전 브러시 상부의 벨트 풀리(4512)의 축에 결합된 기어와 치합되는 기어가 구비되는바, 벨트 풀리(4512)의 회전에 의해 하부의 회전 브러시는 벨트 풀리(4512)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회전 브러시의 솔이 이송수단(4510)의 표면을 털어내게 된다.The rotation brush is provided with a gear engaged with a gear coupled to the shaft of the belt pulley 4512 above the rotary brush. By the rotation of the belt pulley 4512, the lower rotary brush rotates the belt pulley 4512 The brush of the rotary brush whips out the surface of the transfer means 4510 while rotat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천공기(40)의 작동시, 승강부(430)가 지지부(420) 내에서 상하로 승강되면서 천공핀(4311)이 천공판(4210)의 천공홀(4211)을 통과하여 돌출됨으로써 삽입부(410)에 삽입된 용지를 천공하고, 천공핀(4311)이 수평판(4120)의 배출홀(4121)을 통과하면서 천공파쇄지를 수평판(4120) 상부의 이송 덕트(4511) 내부로 배출하면, 이송수단(4510)이 이송 덕트(4511) 내부를 따라 천공파쇄지를 천공기(40)의 일측으로 이송한다.When the perforator 40 is operated, the elevating portion 430 is lifted up and down in the support portion 420, and the perforation pin 4311 protrudes through the perforation hole 4211 of the perforated plate 4210, And the perforated fin 4311 passes through the discharge hole 4121 of the horizontal plate 4120 and discharges the perforated crushed paper into the conveying duct 4511 at the upper portion of the horizontal plate 4120, (4510) feeds the perforated crush paper along one side of the feed duct (4511) to one side of the perforator (40).

그 후, 벨트 풀리(4512) 하부의 분리수단(4520)이 이송수단(4510)으로부터 천공파쇄지를 분리하면, 천공파쇄지는 외부로 배출되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거함(470)에 수거되게 된다.
Thereafter, when the separating means 4520 under the belt pulley 4512 separates the perforation crushing paper from the conveying means 4510, the perforation crushing pap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r collected in the collection box 470 as shown in Fig. 4 .

회전 감지부(460)는 구동부(440)의 작동을 정지시키기 위해 회전을 감지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회전 감지구(4610) 및 회전 감지센서(4620)를 포함한다.The rotation sensing unit 460 senses the rotation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440 and includes a rotation sensing unit 4610 and a rotation sensing sensor 4620.

회전 감지구(4610)는 구동부(440)의 피동기어(4420)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것이며, 회전 감지센서(4620)는 지지부(420)의 지지판(4220)에 구비된다.The rotation sensing part 4610 is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driven gear 4420 of the driving part 440 and rotates. The rotation sensing sensor 4620 is provided on the supporting plate 4220 of the supporting part 420.

구동부(440)의 피동기어(4420) 및 편심캠(4430)의 회전과 함께 회전 감지구(4610)가 회전되어 회전 감지센서(4620)에 인접하게 되면, 회전 감지센서(4620)가 이를 감지한 후 제어부(도면 미도시)에 신호를 전달하며, 제어부는 이 신호를 바탕으로 구동부(440)의 작동을 정지시키게 된다.When the rotation sensing part 4610 is rotated to be adjacent to the rotation sensing sensor 4620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driven gear 4420 and the eccentric cam 4430 of the driving part 440, (Not shown), and the control unit stops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440 based on the signal.

여기서, 회전 감지센서(4620)는, 회전 감지구(4610)에 의해 유도되는 기전력을 측정하는 방식,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는 방식, 광학적 스위치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리미트 스위치가 사용될 수 있다.
Here, the rotation detection sensor 4620 may be a method of measuring an electromotive force induced by the rotation sensing unit 4610, a method of sensing a change in capacitance, an optical switch, or the like. Preferably, Can be used.

본 실시예에서는, 천공판(4210)이 받침판(4110)의 하면에 구비되고, 받침판(4110)의 상부에 수평판(4120)이 구비되며, 천공핀(4311)이 받침판(4110)의 하부로부터 상부로 돌출되어 천공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천공판(4210)이 상부 안내판(4130)의 상면에 구비되고, 받침판(4110)의 하면에 수평판(4120)이 구비되어, 천공핀(4311)이 받침판(4110)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돌출되어 천공이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In this embodiment, the apertured plate 4210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4110, the horizontal plate 4120 is provided on the support plate 4110, and the perforation pin 4311 extends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4110 to the upper The apertured plate 4210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guide plate 4130 and the horizontal plate 4120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4110 , And the perforation pin 4311 protrudes downwar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receiving plate 4110 to be punched.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자동서류발급장치(1)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document issuing apparatus 1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키오스크 내부에 구비된 프린터에 의해 인쇄된 민원서류는 공급 이송부(10) 하부의 인입 가이드(110)에 의해 안내되고 인입 구동 롤러(120) 및 인입 피동 롤러(121)에 의해 인입되어 상방으로 이송된다. 그 후, 서류는 이송 구동 롤러(140) 및 이송 피동 롤러(141)에 의해 이송 가이드(130)를 따라 적치부(30)로 이송된다.The civil application document printed by the printer provided in the kiosk is guided by the drawing guide 110 at the lower portion of the feeding and conveying unit 10 and is drawn by the drawing driving roller 120 and the drawing driven roller 121 and is transported upward . Thereafter, the document is conveyed to the corresponding tooth portion 30 along the conveyance guide 130 by the conveyance drive roller 140 and the conveyance driven roller 141.

적치부(30)로 이송된 서류는 적치 플레이트(310) 상에 적치된다. 더 상세하게는, 서류가 전체적으로 하향 경사를 갖는 이송경로를 따라 내려가다가 선단이 하강된 상태로 이송경로를 막고 있는 셔터(210)에 의해 저지됨으로써 적치 플레이트(310) 상에 적치된다.The document transferred to the red tooth portion (30) is placed on the mounting plate (310). More specifically, the document is lowered along the conveying path having a downward inclination as a whole, and is rested on the mounting plate 310 by being blocked by the shutter 210 blocking the conveying path with the leading end thereof being lowered.

이때, 도 2를 참조하면, 적치부(30)에 적치된 서류의 선단부는 편철기(5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고 서류의 후단부는 천공기(4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2, the leading end of the document placed on the mount 30 is positioned above the staple changer 50, and the trailing end of the document is positioned at the top of the perforator 40. Referring to FIG.

여러 장으로 이루어진 민원서류가 모두 적치부(30)에 적치되면, 모터에 의해 피니언이 회전되어 래크(325)가 2~3회 좌우로 왕복 이동됨에 따라 폭 방향 정렬판(321)이 좌우로 왕복 이동됨으로써 서류가 폭 방향으로 정렬된다.When the pinion is rotated by the motor and the rack 325 is reciprocated two to three tim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width direction alignment plate 321 is reciprocated right and left, So that the documents are aligned in the width direction.

그 후, 모터에 의해 길이 방향 정렬 롤러(322)가 구동되면 고무 브러쉬(323)가 안내홈(324)을 따라 전후로 구동됨으로써 서류가 길이 방향으로 정렬된다.Thereafter, when the longitudinally-direction aligning roller 322 is driven by the motor, the rubber brushes 323 are driven back and forth along the guide grooves 324 so that the documents are longitudinally aligned.

이와 같이 서류의 좌우면 및 상하면이 정렬된 후, 서류의 선단부는 편철기(50)에 의해 편철되고 서류의 후단부는 천공기(40)에 의해 천공된다.After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top and bottom sides of the document are aligned as described above, the leading end of the document is biased by the staple changer 50, and the trailing end of the document is punched by the perforator 40.

여기서, 민원서류가 한 장으로 이루어진 경우는 천공기(40)에 의한 천공 작업만 수행되고, 민원서류가 여러 장으로 이루어진 경우는 천공기(40)에 의한 천공 작업 및 편철기(50)에 의한 편철작업이 같이 수행된다.Here, in the case where the civil application documents are one sheet, only the perforation operation by the perforator 40 is performed. When the civil application documents are composed of several sheets, the perforation operation by the perforator 40 and the bi- This is done in this way.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서류발급장치(1)에서는, 종래의 자동서류발급장치에서와 같이 천공 작업과 편철 작업이 별도의 단계로 수행되지 않고, 서류가 적치부(30)에 적치된 상태에서 천공 작업 및 편철 작업이 같이 수행되는바, 전체적인 서류 발급 과정이 더욱 단순해지므로, 민원서류를 더욱 빨리 발급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automatic document issu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unching operation and the binding operation are not performed in a separate step as in the conventional automatic document issuing device, and the document is placed on the mount portion 30 , The entire process of issuing documents becomes simpler, so that the conditions for issuing the complaint documents can be obtained more quickly.

천공기(40)의 작동과정에 대하여는 이후에 별도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operation of the perforator 40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서류가 적치부(30)에 적치된 상태에서 천공 작업 및 편철 작업이 완료되면, 셔터(210)가 셔터승강수단에 의해 상승되어 이송경로를 개방한다.When the punching operation and the binding operation are completed in the state where the document is placed on the mount portion 30, the shutter 210 is raised by the shutter raising and lowering means to open the conveying path.

즉, 셔터승강모터(230)에 의해, 회전하는 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재(261)를 구비한 회전부재(260)가 회전되고, 시소형 부재(250)의 일측 장공(251)을 관통하도록 설치된 돌출부재(261)의 움직임에 의해 시소형 부재(250)의 일측이 하부로 내려감에 따라 시소형 부재(250)의 타측이 상부로 올라가게 된다.That is, the rotary member 260 having the protruding member 261 protruding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tating surface is rotated by the shutter lifting motor 230, and the one long hole 251 of the seesaw member 250 is rotated, The other side of the seesaw member 250 is raised to the upper side as one side of the seesaw member 250 is lowered due to the movement of the protrusion member 261 installed to penetrate the seesaw member 250. [

그리고, 지지 브래킷(220)의 상하 방향 장공(221) 및 시소형 부재(250)의 타측 장공(252)을 관통하도록 설치된 승강축(211)의 움직임에 의해 승강축(211)에 연결된 셔터(210)가 상부로 상승됨으로써 이송경로가 개방되게 된다.The shutter 210 connected to the elevation shaft 211 is moved by the movement of the elevation shaft 211 provided so as to pass through the elongated hole 221 of the support bracket 220 and the other elongated hole 252 of the seesaw member 250 Is raised to the upper side, whereby the conveyance path is opened.

이때, 회전부재(260)가 1/2 회전함에 따라 시소형 부재(250)의 일측이 하부로 하강되거나 상부로 상승되게 되고, 그에 따라 시소형 부재(250)의 타측 및 셔터(210)가 상부로 상승되거나 하부로 하강되게 되므로, 회전 감지 센서(280)가 반원형 회전 감지구(270)의 1/2 회전을 감지하여 신호를 제어부로 전달하면, 제어부가 셔터승강모터(230)의 작동을 중단시킴으로써, 셔터(210)가 이송경로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제어한다.At this time, as the rotary member 260 rotates by 1/2, one side of the seesaw member 250 is lowered or raised upward, so that the other side of the seesaw member 250 and the shutter 210 are moved upward When the rotation detecting sensor 280 senses half rotation of the semicircular rotation sensing unit 270 and transmits a signal to the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stops the operation of the shutter lifting motor 230 Thereby controlling the shutter 210 to open or close the conveyance path.

그 후, 모터에 의해 반원형 롤러(330)가 회전되어 서류는 배지부(20)로 이송된다. 이때, 회전 감지 센서는 광학 소자 등을 이용하여 반원형 회전 감지구의 회전을 감지하여 신호를 제어부(도면 미도시)에 전달하며, 제어부는 반원형 회전 감지구가 1회전 한 것으로 판단되면 모터의 작동을 정지시킨다.Thereafter, the semicircular roller 330 is rotated by the motor, and the document is conveyed to the paper discharge unit 20. At this time, the rotation detecting sensor senses the rotation of the semicircular rotation sensing region using an optical element or the like, and transmits a signal to a control unit (not shown). Whe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semicircular rotation sensing region has made one rotation, .

이와 같이 반원형 롤러(330)의 회전에 의해 서류가 배지부(20)로 이송되어 서류의 선단부가 배지 구동 롤러(290)와 배지 피동 롤러(291) 사이로 이송되면, 서류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배지 구동 롤러(290)와 배지 피동 롤러(291)에 의해 자동서류발급장치(1)의 전방으로 이송되어 배출된다.
When the document is conveyed to the paper discharge unit 20 by the rotation of the semicircular roller 330 and the leading end of the document is transferred between the paper discharge drive roller 290 and the paper discharge driven roller 291, The paper is fed to the front of the automatic document issuing device 1 by the rollers 290 and the paper driven driven roller 291 and discharg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자동서류발급장치(1)에 구비되는 천공기(40)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erforator 40 of the automatic document issuing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여러 장으로 이루어진 민원서류가 모두 적치부(30)에 적치되어 서류의 좌우면 및 상하면이 정렬되면, 삽입부(410), 즉, 받침판(4110) 및 천공판(4210)과 수평판(4120) 및 상부 안내판(4130) 사이에 서류의 후단부가 삽입된 상태가 된다.When the right and left sides and top and bottom sides of the document are aligned with each other, the insertion portion 410, that is, the support plate 4110 and the apertured plate 4210, the horizontal plate 4120, The rear end of the document is inserted between the upper guide plates 4130.

천공기(40)가 작동되면, 구동부(440)의 구동모터(4410)에 의해 구동기어(4411)가 회전하고, 구동기어(4411)가 회전함에 따라 피동기어(4420)가 회전하며, 피동기어(4420)가 회전함에 따라 편심캠(4430)이 회전한다. 그리고, 편심캠(4430)이 회전함에 따라 커넥팅 로드(4440)에 의해 승강부(430)가 상부로 승강되고, 승강부(430)가 상부로 승강됨에 따라 승강부(430) 상면의 천공핀(4311)이 천공판(4210)의 천공홀(4211)을 통과하여 돌출됨으로써 삽입부(410)에 삽입된 용지를 천공한다.When the drilling machine 40 is operated, the drive gear 4411 is rotated by the drive motor 4410 of the drive unit 440, and the driven gear 4420 rotates as the drive gear 4411 rotates, 4420 rotate, the eccentric cam 4430 rotates. As the eccentric cam 4430 rotates, the elevating portion 430 is lifted up and down by the connecting rod 4440 and the elevating portion 430 is lifted up and down. 4311 protrude through the perforation hole 4211 of the apertured plate 4210 to puncture the paper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410.

이후, 편심캠(4430)의 회전에 의해 승강부(430)가 하부로 하강하면 천공핀(4311)이 하강하면서 원래 위치로 복귀한다.Then, when the elevating portion 430 is lowered by the rotation of the eccentric cam 4430, the perforation pin 4311 descends and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이때, 지지부(420)의 지지판(4220)에 구비된 회전 감지센서(4620)가 피동기어(4420)의 회전축에 결합된 회전 감지구(4610)가 인접한 것을 감지하여 신호를 제어부에 전달함으로써 구동부(440)의 작동을 정지시키게 되며, 이와 같은 1회전을 1공정으로 하여 천공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rotation sensing sensor 4620 provided on the support plate 4220 of the support part 420 detects that the rotation sensing part 4610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driven gear 4420 is adjacent to the support part, 440) is stopped, and the perforating operation is performed by performing one such rotation in one step.

본 발명에 따른 자동서류발급장치는, 민원서류의 천공 및 편철작업이 수행된 후 삽입된 방향으로 계속하여 이송되어 배출됨으로써, 단위 시간당의 문서 처리 능력이 향상되며, 용지 걸림 등의 문제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e automatic document issu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improving the document processing capability per unit time and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problems such as jamming by being continuously conveyed and discharged in the inserted direction after the perforating and binding operation of the complaint document is performed There is an advantage to be able to do.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수정 및 변형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or change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자동서류발급장치
10: 공급 이송부
110: 인입 가이드 120: 인입 구동 롤러
121: 인입 피동 롤러 130: 이송 가이드
140: 이송 구동 롤러 141: 이송 피동 롤러
20: 배지부
210: 셔터 211: 승강축
220: 지지 브래킷 221: 상하 방향 장공
230: 셔터승강모터 240: 중심축
250: 시소형 부재 251, 252: 장공
260: 회전부재 261: 돌출부재
270: 반원형 회전 감지구 280: 회전 감지 센서
290: 배지 구동 롤러 291: 배지 피동 롤러
30: 적치부 310: 적치 플레이트
320: 정렬부 321: 폭 방향 정렬판
322: 길이 방향 정렬 롤러 323: 고무 브러쉬
324: 안내홈 325: 래크
40: 천공기
410: 삽입부
4110: 받침판 4111: 개구
4120: 수평판 4121: 배출홀
4130: 상부 안내판
4210: 천공판 4211: 천공홀
420: 지지부
4220: 지지판 4230: 지지부재
430: 승강부
4310: 천공핀 고정부 4311: 천공핀
440: 구동부
4410: 구동모터 4411: 구동기어
4420: 피동기어 4430: 편심캠
4440: 커넥팅 로드
450: 파쇄지 배출부
4510: 이송수단 4511: 이송 덕트
4512: 벨트 풀리 4513: 장력 조절 롤러
4520: 분리수단 4530: 기본판
4540: 결합봉
460: 회전 감지부
4610: 회전 감지구 4620: 회전 감지센서
470: 수거함
50: 편철기
1: Automatic document issuing device
10:
110: inlet guide 120: inlet drive roller
121: Feed drive roller 130: Feed guide
140: Feed drive roller 141: Feed driven roller
20:
210: shutter 211: lift shaft
220: support bracket 221: vertical direction slot
230: Shutter lift motor 240: Center axis
250: seesaw member 251, 252: long hole
260: rotating member 261: projecting member
270: Semicircular rotation sense region 280: Rotation detection sensor
290: Media driving roller 291: Media driving driven roller
30: red tooth 310:
320: alignment part 321: width direction alignment plate
322: longitudinal direction aligning roller 323: rubber brush
324: guide groove 325: rack
40: Perforator
410:
4110: Support plate 4111:
4120: Horizontal plate 4121: Discharge hole
4130: upper guide plate
4210: Perforated plate 4211: Perforated hole
420: Support
4220: Support plate 4230: Support member
430:
4310: Perforated pin fixing part 4311: Perforated pin
440:
4410: drive motor 4411: drive gear
4420: driven gear 4430: eccentric cam
4440: Connecting rod
450: crush discharge unit
4510: Feeding means 4511: Feed duct
4512: Belt pulley 4513: Tension adjusting roller
4520: separating means 4530: base plate
4540: Coupling rod
460:
4610: Rotating Sensing Globe 4620: Rotation Sensing Sensor
470: Collection Box
50:

Claims (5)

프린터의 상부에 안치되는 자동서류발급장치(1)로서,
프린터에서 인쇄되어 유입되는 용지를 상방으로 인입하여 전방으로 이송하는 공급 이송부(10);
필요한 작업이 완료된 서류를 배출하는 배지부(20);
상기 공급 이송부(10)와 상기 배지부(2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공급 이송부(10) 방향 단부에는 천공기(40)가 설치되며, 상기 배지부(20) 방향 단부에는 편철기(50)가 설치되는 적치부(30);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 이송부(10)에 의해 이송되어 상기 적치부(30)에 적치된 서류는 상기 천공기(40)에 의해 천공되고 상기 편철기(50)에 의해 편철된 후 상기 배지부(20)에 의해 이송된 방향으로 계속하여 이송됨으로써 배출되되,
상기 배지부(20)는 상하로 승강되어 이송경로를 개폐하는 셔터(210), 및 상기 셔터(210)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셔터승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셔터승강수단은 일단부에는 셔터승강모터(230)가 구비되고, 타단부에는 상하 방향 장공(221)과 상기 셔터(210)가 구비되는 지지 브래킷(220), 상기 지지 브래킷(220)의 중앙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중심축(240), 길이 방향 양측에 장공(251, 252)이 각각 형성되고, 중앙부가 상기 중심축(2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시소형 부재(250), 상기 셔터승강모터(230)의 회전축에 결합되고, 일단부에 돌출부재(261)가 상기 시소형 부재(250)의 일측 장공(251)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회전부재(260), 상기 회전부재(260)와 같이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반원형 회전 감지구(270), 및 상기 반원형 회전 감지구(270)의 회전을 감지하도록 설치되는 회전 감지 센서(280);를 포함하고,
상기 셔터(210)에는 상기 셔터(210)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 브래킷(220)의 상기 상하 방향 장공(221) 및 상기 시소형 부재(250)의 타측 장공(252)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승강축(211)이 구비되는, 자동서류발급장치.
An automatic document issuing device (1) positioned at the top of a printer,
A feeding and conveying unit 10 for pulling the paper sheet, which is printed by the printer and flowing in, upward;
A discharge unit 20 for discharging a document on which a necessary operation is completed;
A puncturer 40 is installed at an end portion of the feed and conveyance unit 10 in the direction of the feed and conveyance unit 10 and a fillet welder 50 is installed at an end of the feed and conveyance unit 10 in the direction of the feed unit 20 (30)
The document conveyed by the feed conveyance unit 10 and stacked on the fixture unit 30 is pierced by the perforator 40 and is stitched by the staple changer 50 and then conveyed by the paper discharge unit 20 Gt; direction, < / RTI >
The discharge unit 20 includes a shutter 210 which is vertically moved up and down to open and close the conveying path, and a shutter elevating means for moving the shutter 210 upward and downward,
The shutter lifting unit includes a shutter lifting motor 230 at one end and a supporting bracket 220 having an elongated slot 221 and a shutter 210 at the other end, A seesaw member 250 having elongated holes 251 and 252 formed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nd having a central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the center shaft 240, A rotating member 260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elevating motor 230 and provided at one end thereof with a protruding member 261 passing through one elongated hole 251 of the seesaw member 250, And a rotation detecting sensor 280 installed to sense the rotation of the semicircular rotation sensing unit 270. The semicircular rotation sensing unit 270 is installed to rotate,
The shutter 210 is connected to the shutter 210 and is supported by a vertical shaft 221 installed on the support bracket 220 so as to pass through the elongated slot 221 of the support bracket 220 and the other slot 252 of the seesaw member 250. 211) are provided in the automatic document issuing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치부(30)는,
상기 공급 이송부(10)에 의해 이송된 서류가 적치되는 적치 플레이트(310);
적치된 서류를 서류의 길이 방향과 폭 방향으로 정렬하는 정렬부(320); 및
천공 및 편철 작업이 완료된 서류를 배출하기 위해 1회전 하도록 설치되는 반원형 롤러(330);를 포함하는, 자동서류발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d tooth portion (30)
A mounting plate 310 on which documents conveyed by the feeding / conveying unit 10 are stacked;
An aligning unit (320) for aligning the stacked document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of the document; And
And a semicircular roller (330) installed so as to make one revolution for discharging the document in which the perforation and the binding operation have been complet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기(40)는,
용지가 삽입되는 삽입부(410);
상기 삽입부(410)와 결합되어 상기 삽입부(410)를 지지하는 지지부(420);
상기 지지부(420) 내에서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삽입부(410)에 삽입된 용지를 천공하는 하나 이상의 천공핀(4311)이 돌출되게 결합되는 승강부(430);
상기 승강부(430)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구동부(440);
천공작업시 생성되는 천공파쇄지를 이송 후 분리 배출하는 파쇄지 배출부(450); 및
상기 구동부(440)의 작동을 정지시키기 위해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 감지부(460);를 포함하는, 자동서류발급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perforator (40)
An insertion portion 410 into which a sheet is inserted;
A supporting part 420 coupled to the insertion part 410 to support the insertion part 410;
A lift part 430 inserted in the support part 420 in such a manner as to be vertically movable up and down and coupled with one or more perforation pins 4311 protruding from the inserted part 410;
A driving unit 440 for moving the lifting unit 430 up and down;
A crushed paper discharge unit 450 for transporting and separating the perforated crushed paper generated during drilling operation; And
And a rotation sensing unit (460) for sensing rotation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440).
KR1020140098612A 2014-07-31 2014-07-31 Automatic Document Issue Device KR10155364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8612A KR101553641B1 (en) 2014-07-31 2014-07-31 Automatic Document Issu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8612A KR101553641B1 (en) 2014-07-31 2014-07-31 Automatic Document Issue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3641B1 true KR101553641B1 (en) 2015-09-16

Family

ID=54248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8612A KR101553641B1 (en) 2014-07-31 2014-07-31 Automatic Document Issu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3641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9541B1 (en) * 2016-11-18 2018-05-31 주식회사광명테크 Integrated civil dispenser
KR102438321B1 (en) 2022-04-08 2022-09-01 제이어스테크 주식회사 Digital signage and fault diagnosis method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1213Y1 (en) * 2002-12-27 2003-04-23 신재일 The automatic document issue equipment
JP2006021886A (en) * 2004-07-08 2006-01-26 Canon Finetech Inc Sheet processing device, and image forming device having the same
KR101072821B1 (en) 2011-04-12 2011-10-14 (주)본시스 An automatic paper stapler for use two-type print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1213Y1 (en) * 2002-12-27 2003-04-23 신재일 The automatic document issue equipment
JP2006021886A (en) * 2004-07-08 2006-01-26 Canon Finetech Inc Sheet processing device, and image forming device having the same
KR101072821B1 (en) 2011-04-12 2011-10-14 (주)본시스 An automatic paper stapler for use two-type print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9541B1 (en) * 2016-11-18 2018-05-31 주식회사광명테크 Integrated civil dispenser
KR102438321B1 (en) 2022-04-08 2022-09-01 제이어스테크 주식회사 Digital signage and fault diagnosis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3360B1 (en) Removable table device for binding-boring machine
JP6555788B2 (en) Sheet cutting device
KR101553641B1 (en) Automatic Document Issue Device
US20110198803A1 (en) Paper discharge device
JP5859720B2 (en) Paper discharge device
EP2927006A1 (en) Printer
KR101519884B1 (en) Passing Through Type Punching Machine
KR200311213Y1 (en) The automatic document issue equipment
JP2017104915A (en) Corner cut device and image formation device comprising the same
JP6603561B2 (en) Sheet corner cutting and punching method
KR100361094B1 (en) the automatic document issue device
JP2000198612A (en) Paper sheets processing device
JP2015209335A (en) Sheet processing device
KR102374631B1 (en) Assembly line for automated punching of saddle-stitched wall calendars, automated insertion of reinforcing cardboard and shrink-wrapping of individual calendars
JP4100827B2 (en) Continuous paper cutting device
KR100573603B1 (en) Device of paper ejecting and recovering for printer
JP3626261B2 (en) Paper sorting device
EP3162580A1 (en) Printer device
JP2014144867A (en) Sheet post-processing device, and image formation system using the same
JP4591432B2 (en) Paper processing device
KR200166502Y1 (en) The automatic document issue device
JP2007137491A (en) Paper sheets bundling apparatus
KR20090128729A (en) Punch for spring note
KR100899454B1 (en) Discharging Device of automatic certification device
KR200362495Y1 (en) Device of paper ejecting and recovering for prin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