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3164B1 - 내누액성이 향상된 구조를 가지는 차량용 배터리 커버 - Google Patents
내누액성이 향상된 구조를 가지는 차량용 배터리 커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53164B1 KR101553164B1 KR1020140063840A KR20140063840A KR101553164B1 KR 101553164 B1 KR101553164 B1 KR 101553164B1 KR 1020140063840 A KR1020140063840 A KR 1020140063840A KR 20140063840 A KR20140063840 A KR 20140063840A KR 101553164 B1 KR101553164 B1 KR 10155316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haust
- vehicle
- battery cover
- module
- cell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3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8151 electrolyte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3595 mi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Chemical compound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992 reflux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11—Electric energy storages
- B60Y2400/112—Batteri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as Exhaust Devices For Batteri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기구조내에 보다 복잡란 미로구조를 형성하여 전해액의 유출을 방지하는 구조를 가지는 배터리 커버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서, 차량용 배터리 커버에 있어서, 차량용 배터리를 구성하는 각각의 셀의 상부를 지지하는 지지벽;과 상기 지지벽으로 둘러싸여 있는 셀 수납 공간;과 상기 셀 수납 공간에 마련되어 있는 배기 구조를 형성하는 배기모듈; 및 상기 차량용 배터리 커버의 양 사이드에 형성되어 상기 배기 구조와 연결되는 배기구;를 포함하되, 상기 배기모듈은 내부에 미로 구조, 배기 통로 및 상기 미로구조와 상기 배기 통로 사이에 뚫려 있는 내부 배기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배기모듈의 배기 통로는 서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배기 통로는 상기 배기구와 차량용 배터리 커버의 양 사이드에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누액성이 향상된 구조를 가지는 차량용 배터리 커버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배터리 커버에 대한 것으로 특히, 내누액성이 향상된 구조를 가지는 차량용 배터리 커버에 대한 것이다.
차량용 배터리는 양과 음의 전극판과 전해액으로 구성되어 있어, 화학작용에 의해 직류 기전력을 생기게 하여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치이다. 즉, 차량용 배터리는 화학 에너지와 전기 에너지가 상호 전환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전해액과 전극판의 화학적 작용을 전력을 공급시킬 수 있다.
종래, 차량용 배터리에서는 전해액이 미스트 또는 증기의 형태로 전지 밖으로 일출하는 것을 막고, 전지의 내압이 상승하지 않도록 가스를 배출시키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4486516호에는 배기실 내에서 전해액의 미스트나 수증기를 포함한 가스를 수평 방향으로 흘리는 동안 전해액의 미스트나 수증기를 결로시킴으로써 가스와 전해액을 분리하고, 가스를 외부에 배출하고, 또한 결로된 전해액을 셀내에 환류하는 미로구조가 제안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미로구조는 단순 미로구조에 불과하고 배기구가 커버의 측면 중심으로부터 멀리 떨어져서 형성되어 차량용 배터리가 경사진 위치에 있는 경우에 배기구를 통해 전해액의 유출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배기구조내에 보다 복잡란 미로구조를 형성하여 전해액의 유출을 방지하는 구조를 가지는 배터리 커버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차량용 배터리 커버에 있어서, 차량용 배터리를 구성하는 각각의 셀의 상부를 지지하는 지지벽;과 상기 지지벽으로 둘러싸여 있는 셀 수납 공간;과 상기 셀 수납 공간에 마련되어 있는 배기 구조를 형성하는 배기모듈; 및 상기 차량용 배터리 커버의 양 사이드에 형성되어 상기 배기 구조와 연결되는 배기구;를 포함하되, 상기 배기모듈은 내부에 미로 구조, 배기 통로 및 상기 미로구조와 상기 배기 통로 사이에 뚫려 있는 내부 배기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배기모듈의 배기 통로는 서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배기 통로는 상기 배기구와 차량용 배터리 커버의 양 사이드에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누액성이 향상된 구조를 가지는 차량용 배터리 커버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배기모듈은 상기 차량용 배터리 커버의 측면의 수직 중심선으로 부터 10mm 이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기구에는 배기 필터와 필터케이스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기모듈은 배기모듈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중앙벽에 의해서 2개의 미로공간을 형성하고 각각의 미로공간에는 미로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미로공간에는 하나의 내부 배기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용 배터리 커버의 배기구조에 있는 미로구조를 이중으로 구성하여 내누액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내누액성이 향상된 구조를 가지는 차량용 배터리 커버의 상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내누액성이 향상된 구조를 가지는 차량용 배터리 커버의 정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배기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배기모듈의 배기통로와 미로구조가 연결되는 부분의 수평 단면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배기모듈의 측면의 수직 단면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내누액성이 향상된 구조를 가지는 차량용 배터리 커버의 하측 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내누액성이 향상된 구조를 가지는 차량용 배터리 커버의 배기구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내누액성이 향상된 구조를 가지는 차량용 배터리 커버의 정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배기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배기모듈의 배기통로와 미로구조가 연결되는 부분의 수평 단면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배기모듈의 측면의 수직 단면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내누액성이 향상된 구조를 가지는 차량용 배터리 커버의 하측 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내누액성이 향상된 구조를 가지는 차량용 배터리 커버의 배기구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내누액성이 향상된 구조를 가지는 차량용 배터리 커버의 상면도이다.
본 발명의 내누액성이 향상된 구조를 가지는 차량용 배터리 커버(10)는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차량용 손잡이(11)는 손잡이 수납부(12)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내누액성이 향상된 구조를 가지는 차량용 배터리 커버(10)는 손잡이 수납부(12)에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 연결홀을 통해 외부의 먼지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누액성이 향상된 구조를 가지는 차량용 배터리 커버(10)는 양 사이드에 배기구(200)가 형성되어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내누액성이 향상된 구조를 가지는 차량용 배터리 커버의 정면도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배터리는 6개의 배터리 셀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셀들은 2V 정도의 전압을 가지고 있어 차량용 배터리의 총 전압은 12v 정도 가된다.
본 발명의 내누액성이 향상된 구조를 가지는 차량용 배터리 커버(10)에도 6개의 셀을 수납할 수 있는 셀 수납 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각각의 셀 수납 공간에는 배기 구조를 형성하는 배기모듈(100)이 마련되어 있다.
도2에는 각각의 셀 수납공간에 마련되어 있는 배기모듈(100)이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배기모듈(100)의 배기 통로(110)는 서로 연결되어서 차량용 배터리의 내부에서 생성되는 가스를 외부에 배기시키는 전체 배기통로를 형성한다. 이러한 전체 배기 통로는 차량용 배터리 커버의 양 사이드에 형성되어 있는 배기구(200)과 연결된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배기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배기모듈(100)은 내부에 미로 구조, 배기 통로(110) 및 상기 미로구조와 상기 배기 통로 사이에 뚫려 있는 내부 배기홀(111)이 형성되어 있다.
도3에서는 미로구조가 배기모듈(10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처럼 도시되어 있으나 미로구조가 배기모듈의 하부에 위치하고 배기통로(110)가 배기모듈(100)의 상부에 위치한다.
미로구조는 도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배기모듈(100)내에서 이중 미로 구조를 가지고 있어 전해액이 배기구조를 통해 차량용 배터리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서는 배기모듈(100)의 중간에 형성되어 있는 중앙벽(112)에 의해서 2개의 미로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미로공간에는 미로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2개 이상의 중앙벽(112)을 두어 3개 이상의 미로공간을 형성하여 각각의 미로 공간마다 미로 구조를 다르게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렇게 미로공간을 다수 형성하고 각각의 미로공간에 미로구조를 형성하게되면 전해액의 유출을 보다 잘 방지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배기모듈의 배기통로와 미로구조가 연결되는 부분의 수평 단면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미로구조는 배기모듈(100)의 하부에 위치하고 배기통로(110)가 배기 모듈의 상부에 위치한다.
차량용 배터리 내부에서 발생한 기체가 미로구조를 통해 차량용 배터리의 외부로 배기되기 위해서는 미로구조와 배기통로 사이에 배기 가스가 이동할 수 있는 배기홀이 존재해야 한다.
기존의 차량용 배터리에서는 이러한 배기홀이 다수 존재하여 이러한 다수의 배기홀을 통해 전해액이 차량용 배터리의 외부로 유출되곤 하였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배기모듈(100)의 미로구조와 배기통로(110) 사이에 1개의 내부 배기홀(111)만을 형성하여 전해액의 외부 유출을 방지한다.
도4에는 배기모듈(100)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중앙벽(112)에 의해서 2개의 미로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미로공간에는 1개의 내부 배기홀(111)이 형성되어 배기통로(110)와 연결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배기모듈의 측면의 수직 단면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배기모듈(100)의 상부에 배기통로(110)가 위치하고 있고 하부에 미로 구조가 마련되어 있는 미로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미로공간과 배기통로(110) 사이에는 내부 배기홀(111)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배기모듈(100)은 차량이 경사진 곳에 위치할 때 차량용 배터리가 기울여지는 것을 감안하여 배기 공간을 형성하는 전면벽 또는 후변벽의 길이를 서로 달리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배기 공간을 형성하는 전면벽 또는 후변벽의 길이를 서로 달리하는 경우에는 차량의 위치에 따라 내부 가스의 배기가 잘 이루어지고 전해액의 유출을 보다 잘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내누액성이 향상된 구조를 가지는 차량용 배터리 커버의 하측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내누액성이 향상된 구조를 가지는 차량용 배터리 커버(10)에는 차량용 배터리를 구성하는 각각의 셀의 상부를 지지하는 지지벽(120)이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지지벽(120)을 통해서 6개의 셀 수납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셀 수납 공간에는 배기 구조를 형성하는 배기모듈(100)이 마련되어 있다.
양 사이드에 위치하는 배기모듈(100)은 배기구(200)와 연결된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내누액성이 향상된 구조를 가지는 차량용 배터리 커버의 배기구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내누액성이 향상된 구조를 가지는 차량용 배터리 커버(10)의 양 사이드에 형성되어 있는 배기구(200)에는 배기필터(210)과 필터케이스(220)가 연결된다. 배기구(200)에 삽입되는 이러한 배기필터(210)와 필터케이스(220)가 내부배기 가스는 배기시키되 전해액의 유출을 방지한다.
또한, 배기구(200)의 중심과 차량용 배터리 커버(10)의 측면 중심과의 거리를 a 라고 할 때, 본 발명의 내누액성이 향상된 구조를 가지는 차량용 배터리 커버(10)의 양 사이드에 형성되어 있는 배기구(200)는 a 가 10mm 이내가 되도록 설치한다.
종래의 차량용 배터리 커버에 위치하는 배기구는 커버 측면 중심으로부터 30mm 정도 떨어져 형성되어 차량이 경사로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배기구를 통해 전해액을 유출이 쉽게 이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배기구(200) 커버의 측면 중심과 가깝게 위치하여 차량이 경사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배기구(200)를 통한 전해액의 유출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내누액성이 향상된 구조를 가지는 차량용 배터리 커버
100 : 배기모듈 110 : 배기통로
111 : 내부 배기홀 112 : 중앙벽
113 : 내벽 120 : 지지벽
200 : 배기구 210 : 배기필터
220 : 필터케이스
230 : 차량용 배터리 커버의 측면의 수직 중심선
100 : 배기모듈 110 : 배기통로
111 : 내부 배기홀 112 : 중앙벽
113 : 내벽 120 : 지지벽
200 : 배기구 210 : 배기필터
220 : 필터케이스
230 : 차량용 배터리 커버의 측면의 수직 중심선
Claims (5)
- 차량용 배터리 커버에 있어서,
차량용 배터리를 구성하는 각각의 셀(Cell, 극판부)의 상부를 지지하는 지지벽;
상기 지지벽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배기모듈이 삽입될 수 있는 셀 수납공간;
상기 셀 수납공간에 삽입되는 것으로, 배기통로의 양 측면이 지지벽과 밀착된 형태로 이루어져 배기가스가 흐를 수 있도록 배기구조를 형성하는 상기 배기모듈; 및
상기 차량용 배터리 커버의 양 측면에 형성된 것으로, 상기 배기통로의 양 측면이 지지벽과 밀착된 형태로 이루어진 상기 배기구조의 양 측면과 밀착되어 연결되는 것으로,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배기구;를 포함하되,
상기 배기모듈은
상기 셀 수납공간에 삽입된 형태에서, 상기 배기모듈의 하부에 존재하는 복수의 내벽과 하나의 중앙벽에 의해 단일 통로가 형성되는 미로구조와 상기 배기통로 사이에 배기가스가 흐를 수 있는 내부 배기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상기 셀 수납공간에 삽입된 상기 배기모듈의 상부의 배기통로의 양 측면이 지지벽과 밀착되어 형성된 상기 배기구조는 상기 차량용 배터리 커버 양 측면에 형성된 상기 배기구와 밀착되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누액성이 향상된 구조를 가지는 차량용 배터리 커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모듈은 상기 배기구의 중심과 상기 차량용 배터리 커버의 측면의 수직 중심선간의 거리가 10mm이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셀 수납공간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누액성이 향상된 구조를 가지는 차량용 배터리 커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에는 배기 필터와 필터케이스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누액성이 향상된 구조를 가지는 차량용 배터리 커버.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63840A KR101553164B1 (ko) | 2014-05-27 | 2014-05-27 | 내누액성이 향상된 구조를 가지는 차량용 배터리 커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63840A KR101553164B1 (ko) | 2014-05-27 | 2014-05-27 | 내누액성이 향상된 구조를 가지는 차량용 배터리 커버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53164B1 true KR101553164B1 (ko) | 2015-09-15 |
Family
ID=54248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63840A KR101553164B1 (ko) | 2014-05-27 | 2014-05-27 | 내누액성이 향상된 구조를 가지는 차량용 배터리 커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53164B1 (ko) |
-
2014
- 2014-05-27 KR KR1020140063840A patent/KR101553164B1/ko active IP Right Gra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97226B1 (ko) | 배터리 팩 | |
US9166260B2 (en) | Battery module | |
KR101097225B1 (ko) | 배터리 팩 | |
US9905878B2 (en) | Fuel cell stack and fuel cell vehicle | |
KR101588251B1 (ko) | 냉매 및 배기 가스의 혼합을 방지하는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 |
JP5719851B2 (ja) | 循環電解液貯留システム | |
JP6756093B2 (ja) | 鉛蓄電池 | |
KR20160078035A (ko) | 배터리 모듈 | |
KR20160013759A (ko) | 전지 모듈 | |
JP2015050113A (ja) | 蓄電池用液口栓及びこれを備えた蓄電池 | |
US10224563B2 (en) | Frame body, cell frame, cell stack, and redox flow battery | |
KR101553164B1 (ko) | 내누액성이 향상된 구조를 가지는 차량용 배터리 커버 | |
JP2017182986A (ja) | 鉛蓄電池 | |
KR101720392B1 (ko) | 바나듐 레독스 흐름전지 스택 구조 | |
KR101543131B1 (ko) | 연료전지 스택 체결장치 | |
JP2013004436A (ja) | 鉛蓄電池 | |
KR20140062622A (ko) | 배터리 케이스 | |
KR101550128B1 (ko) | 내진동 리브가 구비된 배터리 케이스 | |
JP2008177042A (ja) | 蓄電池用二重蓋排気構造 | |
JP2008262864A (ja) | 制御弁式鉛蓄電池 | |
US20180019480A1 (en) | Battery with open bottom | |
US20090202902A1 (en) | Battery cover for retention of dielectric fluid | |
JP2018081843A (ja) | 車載用燃料電池スタック | |
JP2013073754A (ja) | 車載バッテリの冷却構造 | |
KR20200119450A (ko) | 금속공기전지용 전해질 순환처리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31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