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3117B1 - 이송물 분배장치 - Google Patents

이송물 분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3117B1
KR101553117B1 KR1020130145390A KR20130145390A KR101553117B1 KR 101553117 B1 KR101553117 B1 KR 101553117B1 KR 1020130145390 A KR1020130145390 A KR 1020130145390A KR 20130145390 A KR20130145390 A KR 20130145390A KR 101553117 B1 KR101553117 B1 KR 101553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uct
rotation
distribution
chu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5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1691A (ko
Inventor
백영관
박운석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5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3117B1/ko
Publication of KR20150061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16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3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3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12Chutes pivo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1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materials in bulk
    • B65G47/18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송물 분배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송물을 안내하는 상부벨트부가 삽입되고 상부벨트부에서 낙하되는 이송물을 안내하는 슈트부와, 슈트부의 하방에 배치되어 슈트부에서 배출되는 이송물을 안내하고 회전되면서 이송물을 복수의 하부벨트부에 분배하는 분배부와, 분배부에 연결되어 분배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하여, 이송물의 과적이나 종류 변경시 신속하게 이송물의 낙하지점을 변경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송물 분배장치{DISTRIBUTION DEVICE OF MATERIAL}
본 발명은 이송물 분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송물 분배과정에서 이송물의 사행이나 과적 발생시 이송물의 낙하지점을 변경하는 이송물 분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 등과 같이 자동화된 대량생산용 산업설비에서는 다량의 이송물을 손쉽게 이송할 수 있는 벨트 컨베이어 시스템이 사용된다.
벨트 컨베이어 시스템에는 이송물을 안내하는 슈트와, 슈트의 상부에 삽입되어 이송물을 슈트에 투입하는 상부벨트와, 슈트의 하부에 위치되어 슈트에서 낙하되는 이송물을 운반하는 하부벨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2-0037947호(2002.05.23 공개, 발명의 명칭 : 슈트에서의 이송물 균등분배 조절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송물을 복수의 하부벨트에 선택적으로 공급하여, 과적이나 사행 발생시 이송물의 낙하지점을 변경하는 이송물 분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송물 분배장치는: 이송물을 안내하는 상부벨트부가 삽입되고, 상기 상부벨트부에서 낙하되는 이송물을 안내하는 슈트부; 상기 슈트부의 하방에 배치되어 상기 슈트부에서 배출되는 이송물을 안내하고, 회전되면서 이송물을 복수의 하부벨트부에 분배하는 분배부; 및 상기 분배부에 연결되어 상기 분배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배부는: 상기 슈트부에 연통되는 유입덕트부; 상기 유입덕트부를 지지하는 덕트지지부; 상기 유입덕트부에서 분기되어 이송물을 상기 하부벨트부로 안내하는 분배덕트부; 및 상기 분배덕트부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부와 연결되는 덕트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덕트지지부는: 상기 유입덕트부에 결합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하부에 형성되고 길이가 조절되는 조절대; 상기 조절대에 결합되는 바퀴; 상기 바퀴가 안착되어 원주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고정물에 고정되는 고정대; 및 상기 조절대에 장착되고, 상기 바퀴를 탄성 지지하는 조절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부는: 상기 분배덕트부 사이에 배치되는 회전받침부; 상기 회전받침부에 장착되는 회전모터부; 상기 회전모터부에 연결되는 회전축부; 및 상기 회전축부에 장착되고, 상기 덕트연결부에 맞물려 상기 분배덕트부를 회전시키는 회전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부는: 상기 분배덕트부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회전받침부에 타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분배덕트부를 탄성 지지하는 회전완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완충부는: 상기 분배덕트부에 장착되는 상부완충바; 상기 상부완충바에 삽입되는 완충탄성체; 및 상기 상부완충바에 삽입되어 상기 완충탄성체에 지지되고, 상기 회전받침부에 형성되는 원띠 형상의 삽입홈부에 삽입되어 상기 삽입홈부를 따라 이동되는 하부완충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송물 분배장치는 이송물 과적이나 종류 변경시, 회전부의 구동에 의해 분배부가 회전되어 복수의 하부벨트부에 이송물을 선별 낙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송물 분배장치는 덕트지지부의 조절탄성체가 유입덕트부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송물 분배장치는 회전완충부가 분배덕트부의 충격을 흡수하고, 분배덕트부의 가압에 의한 하부벨트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물 분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물 분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분배덕트부가 회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물 분배장치에서 덕트지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물 분배장치에서 회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송물 분배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물 분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물 분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 분배덕트부가 회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물 분배장치(1)는 슈트부(10)와, 분배부(20)와, 회전부(30)를 포함한다.
슈트부(10)의 상부에는 상부벨트부(100)가 삽입되고, 슈트부(10)는 상부벨트부(100)에서 낙하되는 이송물을 안내한다. 이러한 슈트부(10)는 별도의 고정물에 고정 설치된다.
분배부(20)는 슈트부(10)의 하방에 배치되어 슈트부(10)에서 배출되는 이송물을 안내한다. 분배부(20)는 회전되면서 이송물을 복수의 하부벨트부(200)에 분배한다.
일 예로, 분배부(20)가 도 2의 상태일 때, 분배부(20)에서 배출되는 이송물은 제1하부벨트부(201)에 낙하된다.
도 2에서 분배부(20)가 회전되어 도 3의 상태일 때, 분배부(20)에서 배출되는 이송물은 제2하부벨트부(202)에 낙하된다.
회전부(30)는 고정물에 고정 설치되고, 분배부(20)에 연결되어 분배부(20)를 회전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배부(20)는 유입덕트부(21)와, 덕트지지부(22)와, 분배덕트부(23)와, 덕트연결부(24)를 포함한다.
유입덕트부(21)는 슈트부(10)의 하단부와 연통된다. 일 예로, 슈트부(10)의 하단부가 유입덕트부(21)의 상부에 삽입되어 이송물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
덕트지지부(22)는 고정물에 고정 설치되고, 유입덕트부(21)에 결합되어 유입덕트부(21)를 지지한다.
분배덕트부(23)는 유입덕트부(21)에서 분기되어 이송물을 하부벨트부(200)로 안내한다.
일 예로, 분배덕트부(23)는 유입덕트부(21)의 하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양갈래로 분기된 형상을 한다. 분배덕트부(23)에는 댐퍼(231)가 장착되어 양갈래로 분기된 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덕트연결부(24)는 분배덕트부(23)의 외측에 결합되고, 회전부(30)와 연결된다. 덕트연결부(24)는 회전부(30)의 구동력을 분배덕트부(23)에 전달하여 분배덕트부(23)의 회전을 유도한다.
일 예로, 분배덕트부(23)가 양갈래로 분기된 형상을 하면, 덕트연결부(24)는 한 쌍의 분배덕트부(23) 사이에 배치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물 분배장치에서 덕트지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지지부(22)는 지지대(221)와, 조절대(222)와, 바퀴(223)와, 고정대(224)와, 조절탄성체(225)를 포함한다.
지지대(221)는 유입덕트부(21)에 결합되어 측방향으로 돌출된다. 일 예로, 2개의 지지대(221)가 유입덕트부(21)의 외측에 결합된다.
조절대(222)는 지지대(221)의 하부에 형성되고, 길이가 조절된다. 일 예로, 조절대(222)는 지지대(221)의 저면에 결합되는 고정관(251)과, 고정관(251)에 삽입되는 삽입관(252)을 포함한다.
바퀴(223)는 조절대(222)에 장착되고 고정대(224)에 안착된다. 일 예로, 바퀴(223)는 삽입관(252)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고정대(224)는 고정물에 고정 설치되고, 지지대(221)의 하방에 배치된다. 고정대(224)의 상측면에는 바퀴(223)가 안착되고, 분배부(20)가 회전됨에 따라 바퀴(223)는 고정대(224)에서 원주방향으로 이동된다.
일 예로, 고정대(224)는 유입덕트부(21)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을 하며, 별도의 고정물에 고정 설치된다.
조절탄성체(225)는 조절대(222)에 장착되고, 바퀴(223)를 탄성 지지한다. 일 예로, 조절탄성체(225)는 고정관(251)에 삽입되어 바퀴(223)와 결합되는 삽입관(252)을 탄성 지지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물 분배장치에서 회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30)는 회전받침부(31)와, 회전모터부(32)와, 회전축부(33)와, 회전기어부(34)를 포함한다.
회전받침부(31)는 분배덕트부(23) 사이에 배치된다. 일 예로, 회전받침부(31)는 한 쌍으로 분기되는 분배덕트부(23)의 중간지점에 위치되고, 분배덕트부(23)의 회전 영역 외의 위치로 연장되어 고정물에 고정 설치된다.
회전모터부(32)는 회전받침부(31)에 장착되고, 회전축부(33)는 회전모터부(32)에 연결된다. 회전축부(33)는 회전모터부(32)가 구동됨에 따라 회전된다.
회전기어부(34)는 회전축부(33)에 장착되고, 덕트연결부(24)에 맞물려 분배덕트부(23)를 회전시킨다.
일 예로, 덕트연결부(24)는 중앙부가 개구된 형상을 하고, 외주면이 분배덕트부(23)에 결합되며 내주면에 기어치열이 형성된다.
그리고, 회전기어부(34)는 덕트연결부(24)의 중앙부에 삽입되고, 덕트연결부(24)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기어치열과 맞물린다.
회전기어부(34)는 상하 길이방향으로 기어치열이 형성되고, 덕트연결부(24)의 상하 유격이 발생하더라도 설정된 유격안에서 덕트연결부(24)와 맞물린 상태를 유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30)는 회전완충부(35)를 더 포함한다. 회전완충부(35)는 분배덕트부(23)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회전받침부(31)에 타단부가 결합되어 분배덕트부(23)를 탄성 지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완충부(35)는 상부완충바(351)와, 완충탄성체(352)와, 하부완충바(353)를 포함한다.
상부완충바(351)는 분배덕트부(23)에 각각 장착되고, 완충탄성체(352)는 상부완충바(351)에 삽입된다.
하부완충바(353)는 상부완충바(351)에 삽입되어 완충탄성체(352)에 지지되고, 회전받침부(31)에 형성되는 원띠 형상의 삽입홈부(36)에 삽입된다.
일 예로, 하부완충바(353)의 하단부는 삽입홈부(36)에 삽입되어 회전받침부(31)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고, 분배덕트부(23)의 회전시 하부완충바(353)는 삽입홈부(36)를 따라 이동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물 분배장치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부벨트부(100)를 통해 공급되는 이송물이 슈트부(10)와, 유입덕트부(21)와, 한 쌍의 분배덕트부(23)를 순차로 통과하여 제1하부벨트부(201)에 낙하되고, 제1하부벨트부(201)는 낙하된 이송물을 운반한다.
이때, 유입덕트부(21)에 결합되는 지지대(221)에는 조절대(222)가 장착되고, 조절대(222)에는 바퀴(223)가 장착되어 고정대(324)에 안착된다.
그리고, 조절탄성체(225)는 바퀴(223)를 탄성 지지하고, 회전완충부(35)는 각각의 분배덕트부(23)를 탄성 지지하므로, 이송물의 하중에 의한 충격이 완화된다.
또한, 조절탄성체(225)와 회전완충부(35)에 의해 분배덕트부(23)가 상하 이동되므로, 분배덕트부(23)가 하부벨트부(200)에 대한 과도한 가압을 억제하여 제1하부벨트부(201)의 손상을 방지한다(도 2 참조).
상기한 상태에서, 제1하부벨트부(201)의 과적이나 사행이 발생되는 경우, 또는 이송물의 종류가 변경되면, 회전모터부(32)의 구동으로 회전축부(33)가 회전된다.
회전축부(33)에는 회전기어부(34)가 형성되고, 회전기어부(34)가 덕트연결부(24)에 맞물리므로, 회전축부(33)가 회전됨에 따라 분배덕트부(23)가 연동되어 회전된다.
분배덕트부(23)가 회전되어 제2하부벨트부(202)의 상방에 위치되면, 분배덕트부(23)를 통해 배출되는 이송물은 제2하부벨트부(202)를 통해 목적지로 이동된다(도 3 참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물 분배장치(1)는 이송물 과적이나 종류 변경시, 회전부(30)의 구동에 의해 분배부(20)가 회전되어 복수의 하부벨트부(200)에 이송물을 선별 낙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물 분배장치(1)는 덕트지지부(22)의 조절탄성체(225)가 유입덕트부(21)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물 분배장치(1)는 회전완충부(35)가 분배덕트부(23)의 충격을 흡수하고, 분배덕트부(23)의 가압에 의한 하부벨트부(2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슈트부 20 : 분배부
21 : 유입덕트부 22 : 덕트지지부
23 : 분배덕트부 24 : 덕트연결부
30 : 회전부 31 : 회전받침부
32 : 회전모터부 33 : 회전축부
34 : 회전기어부 35 : 회전완충부
36 : 삽입홈부 100 : 상부벨트부
200 : 하부벨트부 201 : 제1하부벨트부
202 : 제2하부벨트부 221 : 지지대
222 : 조절대 223 : 바퀴
224 : 고정대 225 : 조절탄성체
231 : 댐퍼 251 : 고정관
252 : 삽입관 351 : 상부완충바
352 : 완충탄성체 353 : 하부완충바

Claims (6)

  1. 이송물을 안내하는 상부벨트부가 삽입되고, 상기 상부벨트부에서 낙하되는 이송물을 안내하는 슈트부;
    상기 슈트부의 하방에 배치되어 상기 슈트부에서 배출되는 이송물을 안내하고, 회전되면서 이송물을 복수의 하부벨트부에 분배하는 분배부; 및
    상기 분배부에 연결되어 상기 분배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배부는,
    상기 슈트부에 연통되는 유입덕트부;
    상기 유입덕트부를 지지하는 덕트지지부;
    상기 유입덕트부에서 분기되어 이송물을 상기 하부벨트부로 안내하는 분배덕트부; 및
    상기 분배덕트부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부와 연결되는 덕트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는,
    상기 분배덕트부 사이에 배치되는 회전받침부;
    상기 회전받침부에 장착되는 회전모터부;
    상기 회전모터부에 연결되는 회전축부;
    상기 회전축부에 장착되고, 상기 덕트연결부에 맞물려 상기 분배덕트부를 회전시키는 회전기어부; 및
    상기 분배덕트부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회전받침부에 타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분배덕트부를 탄성 지지하는 회전완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물 분배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지지부는
    상기 유입덕트부에 결합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하부에 형성되고 길이가 조절되는 조절대;
    상기 조절대에 결합되는 바퀴;
    상기 바퀴가 안착되어 원주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고정물에 고정되는 고정대; 및
    상기 조절대에 장착되고, 상기 바퀴를 탄성 지지하는 조절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물 분배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완충부는
    상기 분배덕트부에 장착되는 상부완충바;
    상기 상부완충바에 삽입되는 완충탄성체; 및
    상기 상부완충바에 삽입되어 상기 완충탄성체에 지지되고, 상기 회전받침부에 형성되는 원띠 형상의 삽입홈부에 삽입되어 상기 삽입홈부를 따라 이동되는 하부완충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물 분배장치.
KR1020130145390A 2013-11-27 2013-11-27 이송물 분배장치 KR101553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5390A KR101553117B1 (ko) 2013-11-27 2013-11-27 이송물 분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5390A KR101553117B1 (ko) 2013-11-27 2013-11-27 이송물 분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1691A KR20150061691A (ko) 2015-06-05
KR101553117B1 true KR101553117B1 (ko) 2015-09-15

Family

ID=53499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5390A KR101553117B1 (ko) 2013-11-27 2013-11-27 이송물 분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31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33883A (zh) * 2018-10-22 2019-03-29 襄阳凌浩科技有限公司 分料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33883A (zh) * 2018-10-22 2019-03-29 襄阳凌浩科技有限公司 分料装置
CN109533883B (zh) * 2018-10-22 2021-06-25 襄阳凌浩科技有限公司 分料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1691A (ko) 2015-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3117B1 (ko) 이송물 분배장치
US8869668B1 (en) Product cutter
KR20150085933A (ko) 농산물 선별기
CN210823003U (zh) 自动装盒机进料改良装置
CN106379720A (zh) 一种圆锥滚子分选机的理向机构
KR101355517B1 (ko) 트리퍼 장치
KR101357557B1 (ko) 벨트 컨베이어용 부착광 처리장치
KR101411849B1 (ko) 부착광 제거용 슈트
KR101320660B1 (ko) 회전슈트
KR101411848B1 (ko) 이송물 충돌 방지용 슈트
CN104308922B (zh) 一种用于原木加工流水线中的边料收集装置
KR101720247B1 (ko) 벨트 컨베이어 파손방지장치
KR101399884B1 (ko) 벨트컨베이어용 슈트
KR20150061690A (ko) 스태커 리크레이머
TWI554460B (zh) 線材進料量調整裝置
CN207312417U (zh) 一种可调式药板自动下料装置
JP5452094B2 (ja) 払い出し機のシュートダンパ装置
KR20120119675A (ko) 재료 포장 장치
CN210084263U (zh) 一种全自动壁纸印花供料装置
KR101388039B1 (ko) 벨트 컨베이어
KR101320664B1 (ko) 트리퍼
TWM513205U (zh) 理瓶機
KR101369448B1 (ko) 재료 포장 장치
KR20140068375A (ko)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CN205311994U (zh) 管材捆扎套袋机翻料导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8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