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2896B1 - 광대역 증폭기 - Google Patents

광대역 증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2896B1
KR101552896B1 KR1020130118886A KR20130118886A KR101552896B1 KR 101552896 B1 KR101552896 B1 KR 101552896B1 KR 1020130118886 A KR1020130118886 A KR 1020130118886A KR 20130118886 A KR20130118886 A KR 20130118886A KR 101552896 B1 KR101552896 B1 KR 101552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smatch
signal
input
transformer
dif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8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0412A (ko
Inventor
정승환
김상균
Original Assignee
실리콘알엔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실리콘알엔디(주) filed Critical 실리콘알엔디(주)
Priority to KR1020130118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2896B1/ko
Publication of KR20150040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0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2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28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56Modifications of input or output impedan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bstract

본 발명은 광대역 증폭기에 관한 것으로서, 싱글 엔디드 입력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단, 상기 입력단으로부터 상기 싱글 엔디드 입력신호를 전달받아 제1 및 제2 차동신호를 생성하는 차동신호 생성부, 상기 제1 및 제2 차동신호의 크기 및 위상 중 적어도 하나의 부정합을 감소시켜 제1 및 제2 부정합 감소 차동신호를 생성하는 부정합 감소부, 상기 부정합 감소부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부정합 감소 차동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제1 및 제2 출력단, 및 상기 부정합 감소부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부정합 감소 차동신호를 입력받고, 변압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 부정합 감소 차동신호를 커플링하고 상기 커플링된 제1 및 제2 부정합 감소 차동신호를 싱글 엔디드 피드백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입력단으로 상기 싱글 엔디드 피드백 신호를 전달하는 피드백부를 포함하고, 상기 변압기의 상기 제1 부정합 감소 차동신호를 입력받는 제1 입력포트와 제1 출력단 사이에 연결되는 제1 부하저항 및 상기 변압기의 상기 제2 부정합 감소 차동신호를 입력받는 제2 입력포트와 상기 제2 출력단 사이에 각각 연결된 제2 부하저항을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광대역 증폭기{ULTRA WIDEBAND AMPLIFIER}
본 발명은 광대역 증폭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광대역 통신에 이용되는 광대역 저잡음 증폭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수 GHz대의 주파수 대역폭을 활용하는 각종 휴대용 통신기술 즉, 광대역(UWB; Ultra-WideBand) 무선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무선 주파수(RF; Radio Frequency) 소자 및 회로의 개발은 점점 중요해지고 있다. 미국 연방통신위원회 (FCC, Federal Communication Commission)는, 광대역 통신의 주파수 대역은 3.1~10.6GHz인 경우로 제한하였고, 광대역통신의 대역폭은 (중심 주파수의 20%이상) 또는 (500MHz 이상)이라고 정의하였다. 광대역 무선기술은 단거리 구간에서 낮은 전력을 사용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하여, 무선 주파수 수신기의 입력단에는 안테나를 통해 아주 미약한 신호가 수신되면 잡음의 영향을 최대한 줄여 원하는 주파수 대역만을 선별하고 증폭시키기 위한 회로 즉, 저잡음 증폭기(Low Noise Amplifier; LNA)가 구비된다.
여기서, 저잡음 증폭기는 대개의 경우 싱글 엔디드(single ended) 입력을 가진다. 그런데, 싱글 엔디드 입력을 가지는 경우는 공통 모드 잡음에 취약해지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공통 모드 잡음에 취약해지는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싱글 엔디드 입력신호를 차동신호로 변환시켜주는 구조를 만들기 위해 여러 가지 장치가 제안되어왔다. 그런데, 이러한 장치를 이용하는 광대역 증폭기의 경우에는 광대역에 걸쳐 입력 매칭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광대역 입력 매칭을 위한 싱글 엔디드 피드백 신호를 입력단에 전달하기 위하여 차동 신호를 다시 싱글 엔디드 신호로 변화하기 위한 별도의 증폭기가 항상 필요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광대역 증폭기는 광대역 입력 매칭을 위하여 능동 소자를 이용한 별도의 증폭기가 항상 요구되므로 광대역 증폭기의 면적이 증가하고 전류의 소모가 큰 문제가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94206호(2007.09.20.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광대역폭을 사용하는 광대역(UWB: Ultra WideBand) 무선 통신용 광대역 증폭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변압기를 이용하여 광대역 입력 매칭이 가능한 광대역 증폭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변압기를 이용하여, 면적이 줄어든 광대역 증폭기를 제공하는 것이고, 또한 전류 소모량이 적은 광대역 증폭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 증폭기는, 입력단, 차동신호 생성부, 부정합 감소부, 제1 및 제2 출력단, 피드백부, 제1 부하저항 및 제2 부하저항을 포함한다. 입력단은, 싱글 엔디드 입력신호가 입력된다. 차동신호 생성부는, 입력단으로부터 싱글 엔디드 입력신호를 전달받아 제1 및 제2 차동신호를 생성한다. 부정합 감소부는, 차동신호 생성부로부터 제1 및 제2 차동신호를 전달 받아 제1 및 제2 차동신호의 크기 및 위상 중 적어도 하나의 부정합을 감소시켜 제1 및 제2 부정합 감소 차동신호를 생성한다. 제1 및 제2 출력단은 부정합 감소부의 제1 및 제2 부정합 감소 차동신호를 각각 출력한다. 피드백부는, 부정합 감소부로부터 제1 및 제2 부정합 감소 차동신호를 입력받고, 변압기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 부정합 감소 차동신호를 커플링하고 커플링된 제1 및 제2 부정합 감소 차동신호를 싱글 엔디드 피드백 신호로 변환하여, 입력단으로 싱글 엔디드 피드백 신호를 전달한다. 제1 부하저항은 변압기의 제1 부정합 감소 차동신호를 입력받는 제1 입력포트와 제1 출력단 사이에 연결된다. 제2 부하저항은 변압기의 제2 부정합 감소 차동신호를 입력받는 제2 입력포트와 제2 출력단 사이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 증폭기는 싱글 엔디드 입력신호를 차동신호로 변환하기 때문에, 공통 모드 잡음에 강하고 선형성이 증가된다. 나아가, 변압기를 이용한 피드백부가 증폭기에서 출력되는 차동신호를 싱글 엔디드 피드백 신호로 변환하고, 증폭기의 부하로서 동작하므로, 광대역 증폭기의 면적 및 전류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변압기의 제1 및 제2 입력포트에 제1 및 제2 부하저항이 각각 연결되기 때문에, 변압기를 포함하는 피드백부가 광대역 증폭기의 부하로서도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 증폭기는, 변압기의 제1 출력포트는 상기 입력단으로 연결되고, 제2 출력포트는 접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 증폭기는, 변압기의 두 출력포트 중 어느 하나를 접지시키는 것에 의하여, 차동 신호를 싱글 엔디드 신호로 간단하게 변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 증폭기는, 피드백부는, 변압기의 제1 출력포트 및 입력단 사이에 연결되어 싱글 엔디드 피드백 신호를 이용한 전압-전류 피드백 경로를 생성하는 피드백 저항 및 피드백 커패시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 증폭기는, 피드백 저항과 피드백 커패시터를 이용하여 피드백 경로를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피드백 신호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 증폭기는, 상기 변압기의 내부 인덕턴스는 상기 제1 부하저항 및 상기 제2 부하저항과 션트 피킹(shunt peaking) 회로를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 증폭기는, 제1 및 제2 부하저항이 변압기의 내부 인덕터와 함께 션트 피킹(shunt peaking) 회로를 형성하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 따른 증폭기가 광대역 증폭기로서 동작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들은 다음의 장점들을 포함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들이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대역폭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통신용 광대역 증폭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변압기를 이용하여 광대역 입력 매칭이 가능한 광대역 증폭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변압기를 이용하여, 면적이 줄어든 광대역 증폭기를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전류 소모량이 적은 광대역 증폭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증폭기의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증폭기에 이용되는 변압기의 간략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증폭기의 회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증폭기(10)는 입력단(In), 차동신호 생성부(100), 부정합(mismatch) 감소부(200), 제1 및 제2 출력단(Out_N, Out_P), 및 피드백부(300)를 포함한다.
입력단(In)은 입력 매칭부로부터 싱글 엔디드 입력신호를 입력받는다. 일반적으로 안테나(미도시)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입력 매칭부에서 안테나의 임피던스에 ?추어 임피던스가 매칭된다. 보통의 안테나는 50Ω으로 매칭된다. 입력단(In)은 입력 매칭부로부터 임피던스가 매칭된 싱글 엔디드 입력신호를 입력받는다.
차동신호 생성부(100)는 입력단(In)을 통해 싱글 엔디드 입력신호를 전달 받고, 제1 및 제2 차동신호를 생성한다. 차동신호 생성부(100)는 제1 트랜지스터(M1)와 제2 트랜지스터(M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M1, M2)는 소스단이 공통된 공통 소스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M1, M2)는 싱글 엔디드 입력신호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 차동신호를 각각 생성하고, 두 차동신호는 위상이 180도 차이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제1 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단은 증폭기(10)의 입력단(In)이 연결되어 게이트단으로 싱글 엔디드 입력신호가 입력되고, 소스단은 접지되며, 드레인단으로 제1 차동신호를 출력한다. 제1 트랜지스터(M1)의 드레인단으로 출력된 제1 차동신호는 제2 트랜지스터(M2)의 게이트단으로 입력된다. 제2 트랜지스터(M2)의 소스단은 접지되고, 드레인단으로 제2 차동신호를 출력한다. 제1 트랜지스터(M1)의 드레인단과 제2 트랜지스터(M2)의 게이트단 사이에는 제1 차동신호에 포함된 직류 잡음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제1 커패시터(Cs)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제2 차동신호는 제1 트랜지스터(M1)에서 출력된 제1 차동신호를 제2 트랜지스터(M2)가 입력받아 증폭시킨 출력신호이므로 제1 차동신호와 제2 차동신호는 크기 및 위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부정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부정합은 다음에 설명하는 부정합 감소부(200)에서 감소된다. 한편, 실시예에서는 차동신호 생성부(100)가 두 개의 공통 소스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 차동신호를 생성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싱글 엔디드 신호를 입력받아 차동신호를 만들기 위한 회로라면 본 발명의 차동신호 생성부(100)에 해당할 수 있다.
부정합 감소부(200)는 차동신호 생성부(100)로부터 제1 및 제2 차동신호를 전달 받아 차동신호 생성부(100)에서 생성된 제1 및 제2 차동신호의 크기 또는 위상 중 적어도 하나의 부정합을 감소시켜 제1 및 제2 부정합 감소 차동신호를 생성한다. 이를 위해, 부정합 감소부(200)는 커패시티브 크로스 커플(Capacitive Cross Couple)된 제3 및 제4 트랜지스터(M3, M4)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트랜지스터(M3)의 소스단은 제1 트랜지스터의 출력단인 드레인단 및 제1 크로스 커플 커패시터(Cc1)의 일단과 연결되고, 게이트단은 제2 크로스 커플 커패시터(Cc2)의 일단과 연결되고, 드레인단은 제1 출력단에 연결된다. 제4 트랜지스터(M4)의 소스단은 제2 트랜지스터(M2)의 드레인단 및 제2 크로스 커플 커패시터(Cc2)의 타단과 연결되고, 게이트단은 제1 크로스 커플 커패시터(Cc1)의 타단과 연결되고, 드레인단은 제2 출력단에 연결된다. 부정합 감소부(200)는 전술한 커패시티브 크로스 커플 구조를 이용하여 제 1 및 제2 차동신호의 부정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부정합 감소부(200)가 커패시티브 크로스 커플 구조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 차동신호의 부정합을 감소시켰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차동신호 사이의 부정합을 감소시키기 위한 회로라면 본 발명의 부정합 감소부(100)에 해당할 수 있다.
제1 출력단(Out_N)은 제1 부정합 감소 차동신호를 출력하고, 제2 출력단(Out_P)은 제2 부정합 감소 차동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증폭기(10)는 입력단(In)에서 싱글 엔디드 신호를 입력받아, 제1 및 제2 출력단(Out_N, Out_P)에서 한 쌍의 차동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증폭기(10)는 공통 모드 잡음에 취약한 싱글 엔디드 신호를 공통 모드 잡음에 강한 한 쌍의 차동신호로 변환시킬 수 있다. 또한, 차동신호는 싱글 엔디드 신호보다 전압 스윙이 2배가 되므로, 선형성이 보다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피드백부(300)는 부정합 감소부(200)로부터 제1 및 제2 부정합 감소 차동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단(In)에 싱글 엔디드 피드백 신호를 전달한다. 피드백부(300)는 제1 및 제2 부정합 감소 차동신호를 입력받아 두 신호를 커플링하고 커플링된 제1 및 제2 부정합 감소 차동신호를 싱글 엔디드 피드백 신호로 변환하는 변압기(310)를 포함한다. 또한, 피드백부(300)는 변압기(310)로부터 출력된 싱글 엔디드 피드백 신호를 이용하여 전압-전류 피드백 경로를 형성하는 피드백 저항(Rf), 피드백 커패시터(Cf), 및 변압기(310)의 제1 및 제2 입력포트(Port 4, 5)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 부하저항(RL1, RL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부(300)의 구체적인 변압기(310)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변압기(310)에는 제1 내지 제5 포트가(Port 1 내지 Port 5) 구비된다. 변압기(310)의 제1 포트(Port 1)는 전원단(VDD)이 연결되며, 제2 및 제3 포트(Port 2, 3)는 변압기(310)의 제1 및 제2 출력포트이며, 제4 및 제5 포트(Port 4, 5)는 변압기(310)의 제1 및 제2 입력포트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압기(310)는 제1 및 제2 입력포트(Port 4, 5)에서 제1 및 제2 부정합 감소 차동신호를 각각 입력받는다. 즉, 변압기(310)의 제1 및 제2 입력포트(Port 4, 5)는 증폭기(10)의 제1 및 제2 출력단(Out_N, Out_P)에 각각 연결된다. 변압기(310)는 변압기(310) 자체의 내부 인덕턴스와 커플링 팩터(coupling factor)를 이용하여, 입력받은 제1 및 제2 부정합 감소 차동신호를 커플링한다. 커플링된 제1 및 제2 부정합 감소 차동신호는 변압기의 제1 및 제2 출력포트(Port 2, 3)로 출력된다. 변압기(310)의 제1 출력포트(Port 2)에서 출력되는 커플링된 제1 부정합 감소 차동신호는 증폭기(10)의 입력단(In)으로 인가된다. 그리고, 변압기(310)의 제2 출력포트(Port 3) 에서 출력되는 커플링된 제2 부정합 감소 차동신호는 제2 출력포트(Port 3)의 접지 등에 의하여 증폭기(10)의 입력단(In)으로 인가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변압기(310)는 입력된 두 개의 차동신호를 싱글 엔디드 신호로 변환하므로 입력단(In)으로 싱글 엔디드 피드백 신호를 전달하여 입력 매칭이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피드백 저항(Rf)과 피드백 커패시터(Cf)는 변압기(310)의 커플링 팩터와 함께 전압-전류 피드백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입력단(In)에서 증폭기(10)를 바라본 등가 임피던스는 증폭기(10)의 루프 이득(loop gain)으로 나눈 만큼 작게 보이므로, 피드백 저항(Rf)과 피드백 커패시터(Cf)를 이용하여 증폭기(10)가 이용되는 밴드대역에 따라 증폭기(10)의 임피던스를 안테나의 임피던스와 매칭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증폭기는 광대역에서 사용되므로, 소정값 이상의 이득을 갖기 위하여 해당 주파수 대역에 따른 임피던스 매칭값이 달라질 수 있다. 피드백 저항(Rf) 및 피드백 커패시터(Cf)는 광대역 증폭기가 사용되는 밴드대역에 따른 임피던스 매칭값의 변화에 따라 싱글 엔디드 피드백 신호의 크기를 변경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직렬로 연결된 피드백 저항(Rf)과 피드백 커패시터(Rf)가 변압기(310)의 제1 출력포트(Port 3)와 입력단(In) 사이에 연결되었으나, 이러한 회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피드백 저항(Rf) 및 피드백 커패시터(Cf)를 이용하여 전압-전류 피드백 경로를 형성하는 것은 다양한 회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변압기(310)의 제1 및 제2 입력포트(Port 4, 5)에는 제1 및 제2 부하저항(RL1, RL2)이 연결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부하저항(RL1, RL2)은 변압기(310)의 제1 및 제2 입력포트(Port 4, 5)와 증폭기(10)의 제1 및 제2 출력단(Out_N, Out_P) 사이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부하저항(RL1, RL2)는 변압기(310)의 내부 인덕터와 함께 션트 피킹(shunt peaking) 회로를 형성하여 증폭기(10)의 부하로서 동작하므로 일 실시예에 따른 증폭기(10)는 소정의 이득을 갖는 광대역 증폭기로서 동작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광대역 증폭기의 경우, 증폭기의 소정의 이득을 얻기 위하여 증폭기의 출력단에 부하단이 연결되고 부하단에는 션트 피킹 인덕터가 사용되었다. 반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폭기(10)의 피드백부(300)의 경우는, 전술한 션트 피킹 인덕터를 이용한 변압기(310)가 증폭기(10)의 부하로서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증폭기(10)의 변압기(310)는 광대역 입력 매칭을 위한 피드백에도 이용되고, 동시에 광대역 증폭기의 부하로도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능동 소자가 필요한 종래의 광대역 증폭기와 달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증폭기(10)는 피드백부(300)가 부하의 역할도 동시에 하므로, 광대역 증폭기의 면적을 줄일 수 있고, 따라서 광대역 증폭기가 구현되는 칩 면적을 늘리지 않고 광대역 증폭기의 피드백부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집적회로(IC)로 설계되는 수신기 전체의 크기를 줄이고 전류 소모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광대역 밴드(UWB)에서 이용되는 상대적으로 큰 이득과 낮은 잡음 특성을 갖는 광대역 증폭기를 손쉽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피드백부와 부하로서 동시에 이용될 수 있는 변압기를 이용하여 차동 신호를 싱글 엔디드 신호로 변환하여 입력단으로 피드백 시키고, 증폭을 시킴으로써, 광대역 증폭기의 면적과 전류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광대역 증폭기
100: 차동신호 생성부
200: 부정합 감소부
300: 피드백부
310: 변압기

Claims (5)

  1. 싱글 엔디드 입력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단;
    상기 입력단으로부터 상기 싱글 엔디드 입력신호를 전달받아 제1 및 제2 차동신호를 생성하는 차동신호 생성부;
    상기 차동신호 생성부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차동신호를 전달 받아 상기 제1 및 제2 차동신호의 크기 및 위상 중 적어도 하나의 부정합을 감소시켜 제1 및 제2 부정합 감소 차동신호를 생성하는 부정합 감소부;
    상기 부정합 감소부의 상기 제1 및 제2 부정합 감소 차동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제1 및 제2 출력단; 및
    상기 부정합 감소부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부정합 감소 차동신호를 입력받고, 변압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 부정합 감소 차동신호를 커플링하고 상기 커플링된 제1 및 제2 부정합 감소 차동신호를 싱글 엔디드 피드백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입력단으로 상기 싱글 엔디드 피드백 신호를 전달하는 피드백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변압기의 상기 제1 부정합 감소 차동신호를 입력받는 제1 입력포트와 상기 제1 출력단 사이에 연결되는 제1 부하저항; 및
    상기 변압기의 상기 제2 부정합 감소 차동신호를 입력받는 제2 입력포트와 상기 제2 출력단 사이에 연결되는 제2 부하저항; 을 더 포함하는,
    광대역 증폭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압기의 제1 출력포트는 상기 입력단으로 연결되고, 상기 변압기의 제2 출력포트는 접지되는,
    광대역 증폭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부는,
    상기 변압기의 제1 출력포트 및 상기 입력단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싱글 엔디드 피드백 신호를 이용한 전압-전류 피드백 경로를 생성하는 피드백 저항 및 피드백 커패시터를 더 포함하는,
    광대역 증폭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압기의 내부 인덕턴스는 상기 제1 부하저항 및 상기 제2 부하저항과 션트 피킹(shunt peaking)회로를 이루는,
    광대역 증폭기.
KR1020130118886A 2013-10-07 2013-10-07 광대역 증폭기 KR1015528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8886A KR101552896B1 (ko) 2013-10-07 2013-10-07 광대역 증폭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8886A KR101552896B1 (ko) 2013-10-07 2013-10-07 광대역 증폭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0412A KR20150040412A (ko) 2015-04-15
KR101552896B1 true KR101552896B1 (ko) 2015-09-15

Family

ID=53031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8886A KR101552896B1 (ko) 2013-10-07 2013-10-07 광대역 증폭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28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4075B1 (ko) * 2015-11-11 2017-01-06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동 전달 임피던스 증폭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499183A (zh) * 2023-10-31 2024-02-02 广州润芯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信号处理方法、系统及电路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4075B1 (ko) * 2015-11-11 2017-01-06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동 전달 임피던스 증폭기
WO2017082575A1 (ko) * 2015-11-11 2017-05-18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동 전달 임피던스 증폭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0412A (ko) 2015-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52241B2 (en) Variable gain amplifier
US10560055B2 (en) Voltage mode power combiner for radio frequency linear power amplifier
US859458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adio frequency reception with temperature and frequency independent gain
CN103746660A (zh) 一种宽带cmos巴伦低噪声放大器
CN110995310B (zh) 一种射频前端电路及其控制方法
US9209760B2 (en) High-frequency, broadband amplifier circuit
US20120218041A1 (en) Amplifier circuit
CN109257022A (zh) 一种工作频率趋近于fT/2的宽带放大器
KR100789918B1 (ko) 광대역 저잡음 증폭기의 입력 매칭 회로
KR101552896B1 (ko) 광대역 증폭기
CN103281038A (zh) 宽带低噪声放大器
US8279000B2 (en) Radio-frequency amplifier
Raghu et al. High gain and low noise figure single-to-differential CMOS LNA for Ka-band communication system
TWI422146B (zh) 可變的動態範圍放大器
Ninan et al. Design of CMOS based low noise amplifier at 60 GHz and it's gain variability through body biasing
KR101204470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이중 대역을 지원하는 신호 변환 장치 및 수신 장치
US8310311B2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KR101037613B1 (ko) 저잡음 증폭기
Zhao et al. A High Gain, Noise Cancelling 3.1-10.6 GHz CMOS LNA for UWB Application.
Idris et al. Design and analysis of low noise amplifier using cadence
Djugova et al. Inverter-based low-noise amplifier topologies for ultra-wideband applications
KR101060937B1 (ko) 푸쉬-풀 구조의 광대역 파워 증폭기
KR101669507B1 (ko) 무선통신 시스템의 수신기에서의 송신 누설 신호 제거를 위한 전처리 장치 및 방법
Vaithianathan et al. A low power, high gain, low noise amplifier with improved noise figure and input matching for ultra wide band applications
Dakua et al. Study on design and performance analysis of low noise high speed amplif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