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2647B1 - 듀모티에라이트 및 벤토나이트를 포함하는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듀모티에라이트 및 벤토나이트를 포함하는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2647B1
KR101552647B1 KR1020150047672A KR20150047672A KR101552647B1 KR 101552647 B1 KR101552647 B1 KR 101552647B1 KR 1020150047672 A KR1020150047672 A KR 1020150047672A KR 20150047672 A KR20150047672 A KR 20150047672A KR 101552647 B1 KR101552647 B1 KR 101552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extract
cleansing
composition
benton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7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충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우메디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우메디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우메디컬
Priority to KR1020150047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26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2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26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듀모티에라이트 및 벤토나이트를 포함하는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은 클렌징력 및 씻김성이 우수하고 천연 추출물을 사용하여 보다 환경친화적이므로, 종래 클렌징 제품들을 대체하여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듀모티에라이트 및 벤토나이트를 포함하는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Cleansing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dumortierite and bentonite}
본 발명은 듀모티에라이트 및 벤토나이트를 포함하는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cleansing cosmetic composition, cleanser)은 세제 또는 산업용 세정제와 같이 어떤 물질을 세정하는데 사용되는 제품이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클렌징 조성물은 얼굴 보호 제품으로서, 이들은 얼굴 피부로부터 메이크업, 죽은 피부 세포, 오일, 먼지 또는 다른 유형의 오염물질을 제거한다.
최근에는 여성 외에도 화장을 하는 남성들이 늘어나고 있고, 비누보다 클렌징 조성물을 선호하는 추세에 따라 클렌징 조성물에 대한 관심과 매출이 꾸준히 늘고 있다.
관련 기술로서, 국내특허등록 제10-144136호에서는 유상성분으로 디메치콘 또는 사이클로메치콘을 포함하는, 유성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고, 국내공개 제2013-67443호는 승마, 산수유, 혀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으며, 그 외 다양한 문헌들 역시 새로운 성분을 이용한 클렌징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위와 같은 다양한 성분의 이용에도 불구하고, 클렌징 효과는 종래 알려진 제품들에 비해 크게 나아지지 않고 있으며, 세정시 클렌징용 조성물이 잔류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자들은 클렌징 조성물의 효과를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던 중, 듀모티에라이트와 벤토나이트를 포함하는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이 클렌징 력과 세정 후 씻김성이 우수함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국내특허등록 제10-144136호 국내공개 제2013-67443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클렌징력 및 세정 후 씻김성이 우수한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듀모티에라이트 및 벤토나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은 클렌징력 및 씻김성이 우수하고 천연 추출물을 사용하여 보다 환경친화적이므로, 종래 클렌징 제품들을 대체하여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듀모티에라이트 및 벤토나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듀모티에라이트와 벤토나이트를 포함하는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이 이들 각각을 포함하는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에 비해 클렌징력 및 씻김성이 현저히 우수하다는 발견에 기초한다.
듀모티에라이트(dumortierite)는 담청색 또는 녹청색의 규선석군에 소하는 사방정계 광물로서, 유리광택, 철을 포함하기도 하며 주로 편암과 편마암, 페그마타이트에 들어 있다. 명칭은 프랑스의 고생물학자 E.뒤모르티에에서 연유하였다. 듀모티에라이트는 화장료 조성물, 특히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된 바 없다.
벤토나이트는 한국 동해안 경주하서지구인 경북 포항에 분포하고 있는 신비의 광물로서 약3천만 년 전 신생대 제3기에 화산이 폭발할 때 생기는 미세한 화산재가 강력한 폭발의 힘으로 상층 기류에 섞여 바다로 떨어진 것들이 해전에서 염수와 작용하여 점토질광물로 변성된 일종의 변성암이다. 미국 정부에서는 벤토나이트가 인체에 필수적으로 요구된다고 권장하는 66가지 미네랄을 모두 함유하고 있어 피부 및 인체건강에 도움이 된다고 보고되고 있다. 한국에서는 식품의약품안정처가 벤토나이트를 식품첨가물로 인정하고 있으며, 식약전에 화장품원료로 규정되어 있다. 하지만 수입은 못하도록 되어 있어 한국에서는 오직 경북 포항에서만 벤토나이트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그 희소성의 가치가 높다. 벤토나이트를 포함하는 화장품은 일부 출시되었으나, 클렌징용 화장용 조성물에 사용된 예는 알려진 바 없으며, 벤토나이트와 듀모티에라이트의 상승 효과 역시 전혀 알려진 바 없다.
본 발명에 따른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듀모티에라이트는 조성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1 내지 2 중량%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벤토나이트는 조성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2 중량%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컨디셔닝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위치하젤 추출물, 병풀 추출물, 호장근 추출물, 황금 추출물, 녹차 추출물, 감초 추출물, 카모마일 추출물 및 로즈마리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위치하젤 추출물(Witch Hazel leaf extract)은 위치하젤의 잎에서 추출한 것으로, 홍반, 썬번, 피부자극, 타박상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병출 추출물은 말굽풀, 조개풀이라고도 불리는 미나리과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인 병출의 추출물로서, 혈행 촉진 및 소염작용, 진정작용, 여드름 방지 등의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호장근 추출물은 호장의 뿌리에서 추출된 것으로서, 피부 노화의 원인이 되는 활성 산소에 대한 보호 능력을 피부의 산화적 손상을 예방하여 생기 있는 피부로 가꾸는데 도움을 주고, 멜라닌 색소를 생성하는 티로시나아제의 발현 및 활성을 저해하는데 관여하여 피부톤을 환하게 해줄 뿐만 아니라, 산화방지제 기능을 가지고 있어 산화에 의한 화장품의 변질, 부패 등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황금 추출물은 황금의 뿌리에서 추출한 것으로서 피부에서 산화반응을 촉진하는 물질인 라디칼을 저해하는 효과를 가지며, 여드름의 원인 미생물인 P. acne로 인한 염증 반응 억제 및 여러 미생물에 대한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녹차 추출물은 녹차의 잎에서 추출한 것으로서, 산화방지, 피부유연, 피부보습, 피부컨디셔닝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감초 추출물은 감초의 뿌리에서 추출한 것으로서, 피부 면역력을 향상시키고, 피부를 진정시키는데 도움을 주며, 티로시나아제 활성을 막아 멜라닌 색소 합성을 억제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카모마일 추출물은 카모마일의 꽃에서 추출한 것으로서 외부로부터 자극받은 피부를 진정시키고, 건조한 피부에 효과적이고, 항염증 효과, 항산화효과 및 피부재생, 보호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로즈마리는 항균 및 살균작용이 뛰어나며, 피부를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천연 추출물들은 조성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각각 0.02 내지 0.2 중량%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은 전술한 성분 외에 화장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습윤제, 계면활성제, 유화제,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습윤제로는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라이콜,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계면활성제 또는 유화제로는 스테아르산, 미리스트산, 티이에이-코코일글루타메이트, 라우르산,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폴리소르베이트20, 포타슘코코일글리시네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고, pH 조절제로서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피부컨디셔닝제로는 알란토인, 카프릴하이드록사믹애씨드, 1,2-헥산디올, 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 디포타슘글리실제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금속이온봉쇄제로서 디소듐이디티에이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의 하나의 구현예는 듀모티에라이트 1 내지 2 중량%, 글리세린 10 내지 25 중량%, 스테아르산 10 내지 23 중량%, 미리스트산 5 내지 15 중량%, 티이에이-코코일글루타메이트 3 내지 9 중량%, 프로필렌글라이콜 3 내지 9 중량%,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 3 내지 9 중량%, 라우르산 2 내지 7 중량%,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5 내지 2 중량%, 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0.5 내지 2 중량%, 벤토나이트 0.5 내지 2 중량%, 1,2-헥산디올 0.2 내지 1.0 중량%, 폴리소르베이트20 0.2 내지 1.0 중량%, 포타슘코코일글리시네이트 0.1 내지 0.5 중량%, 부틸렌글라이콜 0.1 내지 0.3 중량%, 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 0.05 내지 0.2 중량%, 위치하젤추출물 0.05 내지 0.2 중량%,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0.05 내지 0.2 중량%, 알란토인 0.05 내지 0.2 중량%, 카프릴하이드록사믹산 0.05 내지 0.2 중량%, 병풀 추출물 0.01 내지 0.1 중량%, 호장근 추출물 0.01 내지 0.1 중량%, 황금 추출물 0.01 내지 0.1 중량%, 녹차 추출물 0.01 내지 0.1 중량%, 감초 추출물 0.01 내지 0.1 중량%, 카모마일 추출물 0.01 내지 0.1 중량%, 로즈마리 추출물 0.01 내지 0.1 중량%, 디소듐이디티에이 0.01 내지 0.05 중량%, 디포타슘글리실제이트 0.01 내지 0.05 중량% 및 향료 0.05 내지 0.3 중량%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의 바람직한 구현예는 듀모티에라이트 1.5 중량%, 글리세린 17 중량%, 스테아르산 16 중량%, 미리스트산 10 중량%, 티이에이-코코일글루타메이트 6 중량%, 프로필렌글라이콜 6 중량%,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 6 중량%, 라우르산 5 중량%,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 중량%, 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1 중량%, 벤토나이트 1 중량%, 1,2-헥산디올 0.5 중량%, 폴리소르베이트20 0.5 중량%, 포타슘코코일글리시네이트 0.3 중량%, 부틸렌글라이콜 0.15 중량%, 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 0.1 중량%, 위치하젤추출물 0.1 중량%,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0.1 중량%, 알란토인 0.1 중량%, 카프릴하이드록사믹산 0.1 중량%, 병풀 추출물 0.05 중량%, 호장근 추출물 0.05 중량%, 황금 추출물 0.05 중량%, 녹차 추출물 0.05 중량%, 감초 추출물 0.05 중량%, 카모마일 추출물 0.05 중량%, 로즈마리 추출물 0.05 중량%, 디소듐이디티에이 0.03 중량%, 디포타슘글리실제이트 0.03 중량% 및 향료 0.1 중량%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클렌징용 조성물은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또는 클렌징 워터의 형태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클렌징 폼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듀모티에라이트 및 벤토나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폼 클렌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듀모티에라이트 만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과 같이, 실시예 1에서 벤토나이트를 사용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과정을 반복하여 폼 클렌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벤토나이트만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과 같이, 실시예 1에서 듀모티에라이트를 사용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과정을 반복하여 폼 클렌저를 제조하였다.
함량(%)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듀모티에라이트 1.5 1.5 -
정제수 27.39 28.39 28.89
글리세린 17 17 17
스테아르산 16 16 16
미리스트산 10 10 10
티이에이-코코일글루타메이트 6 6 6
프로필렌글라이콜 6 6 6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 6 6 6
라우르산 5 5 5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 1 1
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1 1 1
벤토나이트 1 - 1
1,2-헥산디올 0.5 0.5 0.5
폴리소르베이트20 0.5 0.5 0.5
포타슘코코일글리시네이트 0.3 0.3 0.3
부틸렌글라이콜 0.15 0.15 0.15
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 0.1 0.1 0.1
위치하젤추출물 0.1 0.1 0.1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0.1 0.1 0.1
알란토인 0.1 0.1 0.1
카프릴하이드록사믹애씨드 0.1 0.1 0.1
디소듐이디티에이 0.03 0.03 0.03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0.03 0.03 0.03
향료 0.1 0.1 0.1
총량 100 100 100
시험예 1: 클렌징력 측정
37세-48세의 여성 피험자 15명을 대상으로 각각 하박(下膊) 내측에 3부분을 지정한 후 실시예 1, 비교예 1 및 2의 클렌징 조성물의 클렌징력을 측정하였다.
시험 최소 한 시간 전에, 피험자들의 시험 부위를 비누 등의 세안제를 사용하지 않고 미온수로 가볍게 세정하게 하였다. 피험자들을 시험 전 15분간 항온항습실(222, 505%)에서 안정을 취하게 한 후, 시험을 개시하였다.
피험자의 하박 내측에 각각 55 cm2 면적으로 3개의 시험 부위를 지정하고 자외선 차단제로서 아네사 페이스 선스크린 BB 내추럴을 50 L(2 mg/cm2)씩 도포하였다.
이후, 실시예 1, 비교예 1 및 2의 클렌징 조성물을 적량을 취하여 손바닥에서 충분히 거품을 낸 후 1개의 시험 부위에 10초간 10회 왕복하여 세정한 후 흐르는 물에 10초간 세정하였다. 세정 완료 후, 모든 시험 부위를 항온항습실(222, 505%)에서 15분 동안 건조시켰다. 그리고 나서,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 모델명: USB4000; Ocean optic, 미국)를 이용한 방식으로 밝기를 측정하였다.
상기 측정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자외선 차단제로 도포된 부위의 면적 세정 전 세정 후
실시예 1 64.28±1.25 19.35±1.33
비교예 1 63.51±1.19 41.25±1.67
비교예 2 64.11±1.34 49.11±1.42
상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클렌징 조성물은 세정 후 자외선 차단제가 도포된 부위가 현저히 줄어든 반면, 비교예 1 및 2의 조성물의 경우 클렌징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예 2: 도포성 씻김성 평가
실시예 1, 비교예 1 및 2의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20명의 전문 패널이 도포성 및 씻김성을 조사하였다. 일반적인 클렌징용 제품의 사용법에 따라 화장한 얼굴에 사용한 다음 각 항목에 대하여 우수하다, 나쁘다 두 항목 중 한 가지를 선택하도록 하였다. 도표에 나타낸 평가 방법은 하기와 같으며, 전문 패널이 제시한 평가를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평가방법>
◎: 20명 중 15명 이상이 우수하다라고 회답.
○: 20명 중 10~14명이 우수하다라고 회답.
△: 20명 중 6~9명이 우수하다라고 회답.
X: 20명 중 5명 이하가 우수하다라고 회답.
상기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도포성
씻김성
상기 표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듀모티에라이트와 벤토나이트 중 하나만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도포성 및 씻김성이 그다지 우수하지 않았으나, 듀모티에라이트와 벤토나이트 모두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도포성과 씻김성이 매우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결과는 듀모티에라이트와 벤토나이트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 클렌징 조성물의 품질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보여준다.
실시예 2: 천연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4의 조성에 따라, 위치하젤 추출물, 병풀 추출물, 호장근 추출물, 황금 추출물, 녹차 추출물, 감초 추출물, 카모마일 추출물 및 로즈마리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폼 클렌저를 제조하였다.
함량(%) 실시예 2
듀모티에라이트 1.5
정제수 27.04
글리세린 17
스테아르산 16
미리스트산 10
티이에이-코코일글루타메이트 6
프로필렌글라이콜 6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 6
라우르산 5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
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1
벤토나이트 1
1,2-헥산디올 0.5
폴리소르베이트20 0.5
포타슘코코일글리시네이트 0.3
부틸렌글라이콜 0.15
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 0.1
위치하젤추출물 0.1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0.1
알란토인 0.1
카프릴하이드록사믹애씨드 0.1
병풀추출물 0.05
호장근추출물 0.05
황금추출물 0.05
녹차추출물 0.05
감초추출물 0.05
캐모마일꽃/잎추출물 0.05
로즈마리추출물 0.05
디소듐이디티에이 0.03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0.03
향료 0.1
총량 100
시험예 3: 클렌징력 측정
실시예 2에서 제조된 클렌징 조성물의 클렌징력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클렌징 조성물과 비교하였다.
클렌징력 측정은 시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상기 시험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자외선 차단제로 도포된 부위의 면적 세정 전 세정 후
실시예 1 65.12±1.09 19.44±1.81
실시예 2 63.49±1.81 12.17±1.34
상기 표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2의 클렌징 조성물은 실시예 1의 클렌징 조성물에 비해 클렌징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결과는, 듀모티에라이트 및 벤토나이트 외에 천연 추출물을 추가로 사용하는 것이 클렌징에 효과적임을 보여준다.

Claims (5)

  1. 듀모티에라이트 및 벤토나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위치하젤 추출물, 병풀 추출물, 호장근 추출물, 황금 추출물, 녹차 추출물, 감초 추출물, 카모마일 추출물 및 로즈마리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조성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1 내지 2 중량%의 듀모티에라이트 및 0.5 내지 2 중량%의 벤토나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듀모티에라이트 1 내지 2 중량%, 글리세린 10 내지 25 중량%, 스테아르산 10 내지 23 중량%, 미리스트산 5 내지 15 중량%, 티이에이-코코일글루타메이트 3 내지 9 중량%, 프로필렌글라이콜 3 내지 9 중량%,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 3 내지 9 중량%, 라우르산 2 내지 7 중량%,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5 내지 2 중량%, 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0.5 내지 2 중량%, 벤토나이트 0.5 내지 2 중량%, 1,2-헥산디올 0.2 내지 1.0 중량%, 폴리소르베이트20 0.2 내지 1.0 중량%, 포타슘코코일글리시네이트 0.1 내지 0.5 중량%, 부틸렌글라이콜 0.1 내지 0.3 중량%, 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 0.05 내지 0.2 중량%, 위치하젤추출물 0.05 내지 0.2 중량%,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0.05 내지 0.2 중량%, 알란토인 0.05 내지 0.2 중량%, 카프릴하이드록사믹산 0.05 내지 0.2 중량%, 병풀 추출물 0.01 내지 0.1 중량%, 호장근 추출물 0.01 내지 0.1 중량%, 황금 추출물 0.01 내지 0.1 중량%, 녹차 추출물 0.01 내지 0.1 중량%, 감초 추출물 0.01 내지 0.1 중량%, 카모마일 추출물 0.01 내지 0.1 중량%, 로즈마리 추출물 0.01 내지 0.1 중량%, 디소듐이디티에이 0.01 내지 0.05 중량%, 디포타슘글리실제이트 0.01 내지 0.05 중량% 및 향료 0.05 내지 0.3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또는 클렌징 워터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150047672A 2015-04-03 2015-04-03 듀모티에라이트 및 벤토나이트를 포함하는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52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7672A KR101552647B1 (ko) 2015-04-03 2015-04-03 듀모티에라이트 및 벤토나이트를 포함하는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7672A KR101552647B1 (ko) 2015-04-03 2015-04-03 듀모티에라이트 및 벤토나이트를 포함하는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2647B1 true KR101552647B1 (ko) 2015-09-11

Family

ID=54248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7672A KR101552647B1 (ko) 2015-04-03 2015-04-03 듀모티에라이트 및 벤토나이트를 포함하는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264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7815A (ja) * 2000-12-20 2002-07-05 Kosho Kk クレンジングパック用組成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7815A (ja) * 2000-12-20 2002-07-05 Kosho Kk クレンジングパック用組成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76912B2 (ja) 保湿性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JP6183849B2 (ja) 皮膚洗浄剤組成物
CN107536748A (zh) 一种二合一滋润保湿沐浴组合物
KR20190028996A (ko) 여주, 감나무잎 및 비단풀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52646B1 (ko) 유디알라이트 및 벤토나이트를 포함하는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JP6283156B2 (ja) ジケトン作用抑制剤
KR20070065926A (ko) 항균 및 소취 효과를 가지는 녹차 추출물 및 브로컬리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884297B1 (ko) 허브추출물을 포함한 클렌징 화장료의 혼합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1770420B1 (ko) 흑삼 추출 발효물을 활성 성분으로 함유하여 발모 촉진, 탈모 예방, 비듬 방지 및 두피 가려움을 해소하는 세정제 조성물
KR101552647B1 (ko) 듀모티에라이트 및 벤토나이트를 포함하는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45513B1 (ko) 머드스톤 함유 마사지 기능, 피부관리기능 및 온천 세정용의 다기능성 클렌징 폼 조성물
KR20110129046A (ko) 기능성 치약조성물
KR20090099164A (ko) 블랙 머드를 함유하는 퍼머넌트 조성물
KR101930409B1 (ko) 아이스플랜트를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 우수한 세정제 조성물
KR20090099163A (ko) 블랙 머드를 함유하는 샴푸 조성물
KR101969475B1 (ko) 엉겅퀴를 포함하는 복합 식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6291151B2 (ja) 口腔用組成物
JP2007137768A (ja) 皮膚若しくは毛髪用化粧料
KR102297560B1 (ko) 메칠하이드로제네이티드로지네이트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094723A (ko) 구강용 조성물
KR102643752B1 (ko) 황산앵초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지 조절 또는 모공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6486590B2 (ja) 抗老化剤
KR102672765B1 (ko) 피부 보습 효과 및 사용감이 우수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94261B1 (ko) 혈압상승이 없는 탈모 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용 세정 조성물
KR101142445B1 (ko) 아르간 오일 함유 치약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