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2334B1 - 슬롯 다이형 함침핀과 이를 포함하는 연속섬유 복합재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슬롯 다이형 함침핀과 이를 포함하는 연속섬유 복합재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2334B1
KR101552334B1 KR1020140034884A KR20140034884A KR101552334B1 KR 101552334 B1 KR101552334 B1 KR 101552334B1 KR 1020140034884 A KR1020140034884 A KR 1020140034884A KR 20140034884 A KR20140034884 A KR 20140034884A KR 101552334 B1 KR101552334 B1 KR 101552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impregnated
less
slit
f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4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상
김황용
김상필
Original Assignee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34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23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2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2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00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 D06B1/04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by pouring or allowing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textile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00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 D06B1/10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treating material
    • D06B1/14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treating material with a roll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0/00Physical 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e.g. ultrasonic, corona discharge, irradiation,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Physical treatment combined with treatment with chemical compounds or el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01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natural macromolecular compounds or derivatives thereof
    • D06M15/03Polysaccharides or derivatives thereof
    • D06M15/05Cellulose or derivatives thereof
    • D06M15/09Cellulose et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 Reinforced Plastic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롯 다이형 함침핀과 이를 포함하는 연속섬유 복합재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함침 다이 내 구성된 슬롯 다이형 함침핀의 슬릿을 통해 연속섬유의 스트랜드 사이에 수지를 지속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시간 경과에 따라 함침핀과 스트랜드 사이에 수지가 점차적으로 없어져 건조해지는 드라티 컨택(Dry contact)을 제어할 수 있어, 연속섬유 스트랜드 내에 함침도가 우수하고 또한 이를 통해 제조된 연속섬유 복합재가 우수한 인장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을 갖는 슬롯 다이형 함침핀과 이를 포함하는 연속섬유 복합재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슬롯 다이형 함침핀과 이를 포함하는 연속섬유 복합재 제조장치{SLOT-DIE TYPE IMPREGNATION PIN AND MANUFACTURING APPARATUS FOR CONTINUOUS FIBER COMPOSITE}
본 발명은 슬롯 다이형 함침핀과 이를 포함하는 연속섬유 복합재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함침 다이 내 구성된 슬롯 다이형 함침핀의 슬릿을 통해 연속섬유의 스트랜드 사이에 수지를 지속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시간 경과에 따라 함침핀과 스트랜드 사이에 수지가 점차적으로 없어져 건조해지는 드라티 컨택(Dry contact)을 제어할 수 있어, 연속섬유 스트랜드 내에 함침도가 우수하고 또한 이를 통해 제조된 연속섬유 복합재가 우수한 인장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을 갖는 슬롯 다이형 함침핀과 이를 포함하는 연속섬유 복합재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탄소섬유나 유리섬유, 아라미드섬유를 강화 섬유로서 이용해서, 이러한 강화 섬유에 에폭시드 수지 등의 매트릭스 수지를 함침하여 시트 상태로 성형한 복합재가 알려져 있다.
또한 에폭시 수지와 같은 열경화성 수지가 아니고, 열가소성 수지를 함침한 복합재도 알려져 있지만, 보통 열경화성 수지에 비해 열가소성 수지는 점도가 높고 그로 인해 함침도가 낮으며 함침 불량이 생기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복합재료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매트릭스 수지 원료를 압출기에서 가소화해 용해시킨 다음, 용해한 수지를 함침 다이에 충전시키는 것과 동시에, 강화 섬유 다발을 함침 다이 안에 통과 시키는 것으로, 강화 섬유 다발에 수지를 함침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한편, 수지는 보통 온도가 높은 만큼 점도는 낮아지는데, 함침이 쉽게 진행되기 위해서 함침 다이 안의 수지 온도가 수지의 열화를 발생시키지 않는 한 높을수록 바람직하다.
나아가, 함침성 향상을 위한 추가적인 방법으로 함침 다이 내 함침핀(함침 롤)을 사용하는 공법이 상업적으로 주로 활용되고 있으나, 시간이 경과 되면서 함침핀과 섬유 스트랜드(Strand) 사이의 수지가 점차적으로 없어지는 드라이 컨택(Dry contact) 현상이 발생하여, 그 결과 함침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간 경과에 따라 함침핀과 스트랜드 사이에 수지가 점차적으로 없어져 건조해지는 드라티 컨택(Dry contact)을 제어할 수 있어, 연속섬유 스트랜드 내에 함침도가 우수하고 또한 이를 통해 제조된 연속섬유 복합재가 우수한 인장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을 갖는 슬롯 다이형 함침핀과 이를 포함하는 연속섬유 복합재 제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과 이점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상기 목적은, 소정의 함침 다이 내에서 연속섬유에 수지를 함침시키는 장치로서, 상기 연속섬유의 스트랜드(Strand)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스트랜드 사이로 수지를 강제 주입하는 적어도 하나의 슬롯 다이(Slot Die)형 함침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섬유 복합재 제조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슬롯 다이형 함침핀은 함침핀 본체와, 상기 함침핀 본체 상부에 구비되되, 상기 연속섬유의 스트랜드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연속섬유의 스트랜드로 수지를 공급하는 슬릿을 구비하는 슬릿 수지 공급부와, 상기 함침핀 본체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슬릿에 수지를 공급하는 수지 공급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릿은 단면이 상기 연속섬유의 스트랜드와 접촉하는 굴곡부(12)와 상기 함침핀 본체에 연결되는 기둥부로 이루어진 한 쌍의 돌출부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굴곡부의 단면은 폭(W)이 1mm 이상 100mm 미만이고, 높이(H2)가 1mm 이상 50mm 미만인 렌티큘러 형상이고, 상기 기둥부의 단면은 폭(W)이 1mm 이상 100mm 미만이고, 높이(H1)가 5mm 이상 50mm 미만인 직사각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속섬유의 진행 방향은 상기 슬롯 다이형 함침핀의 진행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롯 다이형 함침핀에서 공급되는 수지의 공급량은 약 5kg/min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속섬유는 탄소섬유, 유리섬유, 아라미드섬유, 금속섬유 또는 보론섬유 및 이들의 혼합 섬유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지는 열가소성 수지로서, 폴리프로필렌, PMMA, PC, Nylon, Polyester, Polyphenylene Sulfide 및 Polyetherether ketone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은, 상술한 연속섬유 복합재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섬유 복합재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은, 연속섬유의 스트랜드(Strand)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스트랜드 사이 사이로 수지를 공급하는 함침핀으로서, 함침핀 본체와, 상기 함침핀 본체 상부에 구비되되, 상기 연속섬유의 스트랜드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연속섬유의 스트랜드로 수지를 공급하는 슬릿을 구비하는 슬릿 수지 공급부와, 상기 함침핀 본체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슬릿에 수지를 공급하는 수지 공급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롯 다이형 함침핀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슬릿은 그 단면이 상기 연속섬유의 스트랜드와 접촉하는 굴곡부와 상기 함침핀 본체에 연결되는 기둥부로 이루어진 한 쌍의 돌출부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굴곡부의 단면은 폭(W)이 1mm 이상 100mm 미만이고, 높이(H2)가 1mm 이상 50mm 미만인 렌티큘러 형상이고, 상기 기둥부의 단면은 폭(W)이 1mm 이상 100mm 미만이고, 높이(H1)가 5mm 이상 50mm 미만인 직사각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함침 다이 내 구성된 슬롯 다이형 함침핀의 슬릿을 통해 연속섬유의 스트랜드 사이에 수지를 지속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시간 경과에 따라 함침핀과 스트랜드 사이에 수지가 점차적으로 없어져 건조해지는 드라티 컨택(Dry contact)을 제어할 수 있어, 연속섬유 스트랜드 내에 함침도가 우수하고 또한 이를 통해 제조된 연속섬유 복합재가 우수한 인장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을 갖는 등의 효과를 가진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연속섬유 복합재 제조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슬롯 다이형 함침핀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슬롯 다이형 함침핀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슬릿 수지 공급부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5는 슬릿 수지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수지의 진행방향과 연속섬유의 진행방향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상충되는 경우, 정의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가 우선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것과 유사하거나 동등한 방법 및 재료가 본 발명의 실시 또는 시험에 사용될 수 있지만, 적합한 방법 및 재료가 본 명세서에 기재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연속섬유 복합재 제조장치의 개략도인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연속섬유 복합재 제조장치는 강화섬유(2)가 감겨 있는 섬유 크릴(1), 함침에 필요한 수지가 담겨있는 함침 다이(3), 함침 다이에 수지를 공급하는 함침 다이 수지 공급부(4), 연속섬유 스트랜드(Strand)와의 접촉에 의해 수지를 스트랜드 사이 사이에 물리적으로 강제 주입하는 적어도 하나의 슬롯 다이(Slot Die)형 함침핀(5), 함침 다이를 나온 연속섬유 복합재를 일정 두께로 형성시키는 칼렌더 롤(6) 및 완성된 연속섬유 복합재를 감는 권취 롤(7)로 이루어진다.
함침 다이(3) 내에서 연속섬유의 스트랜드로의 수지 함침을 향상시키기 위해 함침 다이(3) 앞에 스프레딩 롤(Spreading Roll) 장치를 더 둘 수 있다. 이러한 장치는 함침 다이(3) 진입 전 강화섬유(혹은 연속섬유)를 충분히 스프레딩(Spreading)시키기 위한 것이다.
강화섬유(2)는 탄소섬유, 유리섬유, 아라미드섬유, 금속섬유 또는 보론섬유 및 이들의 혼합 섬유 등이 사용되며, 이들 섬유가 강화재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인장강도가 200ksi에서 1200ksi 및 탄성율이 10msi에서 100msi인 물성을 가질 것이 요구된다.
함침 진행 시 수지가 담겨 있는 함침 다이(3)를 연속섬유의 스트랜드가 통과하게 되는데, 이 함침 다이(3)의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PMMA, PC, Nylon, Polyester, Polyphenylene Sulfide, Polyetherether ketone 등의 열가소성 수지가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수지는 일반적으로 수지 온도가 상승할수록 수지 점도가 떨어지므로 함침에 유리하게 되는데, 이 때 수지의 열화가 발생하지 않는 최대의 수지 온도 유지가 필요하다. 함침 다이(3)로의 수지 공급은 함침 다이 수지 공급부(4)를 통해 이루어진다. 또한 함침 다이 수지 공급부(4)로의 수지 공급은 일반적으로 압출기(미도시됨)를 통해 이루어진다.
연속섬유의 스트랜드로의 수지 함침은 연속섬유의 스트랜드 표면에 코팅된 수지를 슬롯 다이(Slot Die)형 함침핀(5)과 물리적인 접촉에 의해서 연속섬유의 스트랜드 내부로 수지를 밀어 넣음으로써 이루어지는데, 여기서 물리적인 접촉에 의해 스트랜드의 모노 필라멘트(Mono filament)가 끊어지는 모우 결점이 발생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모우 결정이 발생하면, 보강재의 본래의 물성 구현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함침 다이(3) 내에서의 함침핀과 스트랜드와의 접촉에 의한 함침 공정은 모우가 발생하지 않으면서, 충분히 함침될 수 있도록, 스트랜드의 적절한 장력 조정 및 함침핀의 형상 제어가 필요하다. 스트랜드의 장력은 강화섬유의 모우가 발생하지 않는 최대한의 장력이 필요하며, 함침핀의 형상은 스트랜드와의 접촉 부위를 곡면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슬롯 다이(Slot Die)형 함침핀(5)을 제공한다. 도 2는 도 1의 슬롯 다이형 함침핀(5)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슬롯 다이형 함침핀(5)의 평면도로서 도 2의 식별번호 "14"에서 바라본 슬롯 다이형 함침핀의 도면이며, 도 4는 도 2의 슬릿 수지 공급부(10)의 확대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슬롯 다이형 함침핀은 연속섬유의 스트랜드(Strand)와의 접촉에 의해 스트랜드 사이로 수지를 공급하는 함침핀으로서, 함침핀 본체(11)와, 함침핀 본체(11) 상부에 구비되되, 연속섬유의 스트랜드 방향으로 돌출되고 연속섬유의 스트랜드로 수지를 공급하는 슬릿(8)을 구비하는 슬릿 수지 공급부(10)와, 함침핀 본체(11) 내부에 구비되되, 슬릿(8)에 수지를 공급하는 수지 공급로(9)를 포함한다.
슬릿 수지 공급부(10), 즉 도 2의 파선으로 표시한 부분의 슬릿 수지 공급부(10)의 확대단면도인 도 4로부터, 슬릿(8)은 그 단면이 연속섬유의 스트랜드와 접촉하는 굴곡부(12)와 함침핀 본체(11)에 연결되는 기둥부(13)로 이루어진 한 쌍의 돌출부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릿(8)을 형성하는 한 쌍의 돌출부 단면의 굴곡부(12)와 기둥부(13)의 형상은 아래 범위의 값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굴곡부; 폭(W)1mm이상 100mm미만, 높이(H2)는 1mm이상 50mm미만의 Lenticular형상
기둥부; 폭(W)1mm이상100mm미만, 높이(H1)은 5mm이상 50mm미만의 Rectangular형상
굴곡부(12)와 기둥부(13)의 높이가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에는 수지를 밀어 넣는 힘이 약하여 섬유 스트랜드에 함침되는 수지의 양이 현저하게 줄어들어 함침도가 떨어질 수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에는 함침핀과 섬유 스트랜드의 물리적인 접촉이 발생할 수 있어 스트랜드의 모노 필라멘트(Mono filament)가 끊어지는 모우 결점이 발생하고 결국 보강재의 본래의 물성 구현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기 때문에 위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슬릿 수지 공급부(10) 단면의 말단에 굴곡부(12)를 구비하는 것은 스트랜드와의 부드러운 접촉을 위한 것이다.
수지 함침 시 시간이 경과되면서 함침핀과 섬유 스트랜드 사이의 수지가 점차적으로 없어지는 드라이 컨택(Dry contact) 현상이 발생하고, 그로 인해 함침도가 점진적으로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함침핀에서 수지가 추가적으로 공급되는 다수의 슬롯 다이형 함침핀(5)이 함침 다이 내에 배치되어 있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슬롯 다이형 함침핀(5)의 슬릿 수지 공급부(10)는 함침 다이 내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함침 다이(3) 내부를 통과하는 연속섬유 스트랜드에 수지를 지속적으로 코팅 및 주입함으로써 연속섬유의 함침도를 획기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나아가, 연속섬유의 스트랜드에 직접적으로 수지를 공급하여 함침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스트랜드에 걸리는 장력을 낮출 수 있어 모우 발생 또한 제어될 수 있는 우수한 품질의 복합재료를 제조할 수 있다.
슬롯 다이형 함침핀(5)은 함침핀 본체(11)와 슬릿 수지 공급부(10)로 크게 구성되어 있으며, 슬릿 수지 공급부(10)는 수지를 분출하는 일정 간격의 슬릿(8)과 슬릿에 수지를 공급하는 슬릿 수지 공급로(9)를 포함하고, 슬릿 수지 공급부(10)는 슬릿을 형성하는 굴곡부(12)와 기둥부(13)로 구성되어 있다.
슬릿 수지 공급부(10)에서 공급되는 수지의 진행방향과 스트랜드의 진행방향을 도시한 도면인 도 5로부터, 슬릿 수지 공급부(10)의 슬릿(8)에서 공급되는 수지의 진행방향(16)과 연속섬유의 스트랜드의 진행방향(15)은 화살표와 같이 서로 직각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연속섬유 복합재는 상술한 연속섬유 복합재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1에 도시된 연속섬유 복합재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연속섬유 복합재를 제조하였다. 사용된 강화 섬유 다발로는 탄소섬유를 이용하였고, 매트릭스 수지로는 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하였다. 이용된 탄소섬유는 T700(도레이)이며, 12,000개의 모노 필라멘트가 합사된 스트랜드이다. 수지로서 폴리프로필렌은 롯데케미컬의 MI12(여기서 MI란 230도에서 2.15kg의 하중을 가하였을 때 케필러리 다이에서 10분간 흘러나온 수지의 양을 나타냄)인 H1500을 사용하였다. 함침 다이의 온도는 250℃이며, 스트랜드 진행 속도는 10m/min으로 하였다. 함침 다이 내 수지 공급은 함침 다이 수지 공급부와 슬롯 다이형 함침핀의 슬릿에서 이루어지며, 슬롯 다이형 함침핀에서 공급되는 수지의 공급량은 1kg/min이다.
[실시예 2]
슬롯 다이형 함침핀에서 공급되는 수지의 공급량을 5kg/min로 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연속섬유 복합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슬롯 다이형 함침핀에서 공급되는 수지의 공급량을 10kg/min로 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연속섬유 복합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슬롯 다이형 함침핀에서 수지를 공급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연속섬유 복합재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연속섬유 복합재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예를 통해 물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1. 함침도 측정
측정장비: SEM
측정 방법: 제조된 연속섬유 복합재료의 단면 Cutting 및 SEM 관찰을 통해 확인, CF단면적을 제외한 전체 면적에서 수지 면적이 차지하고 있는 면적 비율 값 계산으로 산출
2. 인장강도 측정
측정장비: 만능시험기
측정 방법: 제조된 연속섬유를 ASTM D3039에 준거 측정 산출
구분 수지 공급량
(30㎜ 의 Die 폭)
함침도(%) 인장강도(MPa)
실시예 1 1kg/min 80 600
실시예 2 5kg/min 99 1500
실시예 3 10kg/min 99 1500
비교예 0 60 500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의 슬롯 다이형 함침핀에서 수지 공급이 있는 연속섬유 복합재는 수지 공급이 없는 비교예의 연속섬유 복합재 대비 함침도 및 인장강도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수지의 공급량이 1kg/min인 실시예 1 대비 공급량을 5배 늘린 실시예2의 연속섬유 복합재가 함침도 24% 및 인장강도 250%의 상승 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는 CF Strand에 지속적으로 충분한 수지의 공급으로 CF Strand와 함침핀 사이의 드라이 컨택이 발생되지 않은 결과로 판단된다.
그러나 실시예 3과 같이 10kg/min의 수지 공급 시, 5kg/min의 실시예 2와의 유의차(함침도, 인장강도)가 보이질 않았는데, 이는 일정 수준의 수지 공급량 이상에서는 스트랜드로의 수지 함침이 더 이상 진행되지 않음을 의미 하는 것으로 본 실험결과에서는 실시예 2의 5kg/min의 수지공급량이 최적의 수준으로 판단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자들이 수행한 다양한 실시예 가운데 몇 개의 예만을 들어 설명하는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 섬유 크릴
2: 섬유
3: 함침 다이
4: 함침 다이 수지 공급부
5: 슬롯 다이형 함침핀
6: 칼렌더 롤
7: 권취 롤
8: 슬릿
9: 슬릿 수지 공급로
10: 슬릿 수지 공급부
11: 함침핀 본체
12: 굴곡부
13: 기둥부
14: 관찰 방향

Claims (12)

  1. 소정의 함침 다이 내에서 연속섬유에 수지를 함침시키는 장치로서,
    상기 연속섬유의 스트랜드(Strand)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스트랜드 사이로 수지를 강제 주입하는 적어도 하나의 슬롯 다이(Slot Die)형 함침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섬유 복합재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 다이형 함침핀은
    함침핀 본체와,
    상기 함침핀 본체 상부에 구비되되, 상기 연속섬유의 스트랜드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연속섬유의 스트랜드로 수지를 공급하는 슬릿을 구비하는 슬릿 수지 공급부와,
    상기 함침핀 본체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슬릿에 수지를 공급하는 수지 공급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섬유 복합재 제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단면이 상기 연속섬유의 스트랜드와 접촉하는 굴곡부(12)와 상기 함침핀 본체에 연결되는 기둥부로 이루어진 한 쌍의 돌출부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섬유 복합재 제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의 단면은 폭(W)이 1mm 이상 100mm 미만이고, 높이(H2)가 1mm 이상 50mm 미만인 렌티큘러 형상이고,
    상기 기둥부의 단면은 폭(W)이 1mm 이상 100mm 미만이고, 높이(H1)가 5mm 이상 50mm 미만인 직사각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섬유 복합재 제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섬유의 진행 방향은 상기 슬롯 다이형 함침핀의 진행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섬유 복합재 제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 다이형 함침핀에서 공급되는 수지의 공급량은 5kg/m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섬유 복합재 제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섬유는 탄소섬유, 유리섬유, 아라미드섬유, 금속섬유 또는 보론섬유 및 이들의 혼합 섬유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섬유 복합재 제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는 열가소성 수지로서, 폴리프로필렌, PMMA, PC, Nylon, Polyester, Polyphenylene Sulfide 및 Polyetherether ketone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섬유 복합재 제조장치.
  9. 삭제
  10. 연속섬유의 스트랜드(Strand)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스트랜드 사이 사이로 수지를 공급하는 함침핀으로서,
    함침핀 본체와,
    상기 함침핀 본체 상부에 구비되되, 상기 연속섬유의 스트랜드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연속섬유의 스트랜드로 수지를 공급하는 슬릿을 구비하는 슬릿 수지 공급부와,
    상기 함침핀 본체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슬릿에 수지를 공급하는 수지 공급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롯 다이형 함침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그 단면이 상기 연속섬유의 스트랜드와 접촉하는 굴곡부와 상기 함침핀 본체에 연결되는 기둥부로 이루어진 한 쌍의 돌출부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롯 다이형 함침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의 단면은 폭(W)이 1mm 이상 100mm 미만이고, 높이(H2)가 1mm 이상 50mm 미만인 렌티큘러 형상이고,
    상기 기둥부의 단면은 폭(W)이 1mm 이상 100mm 미만이고, 높이(H1)가 5mm 이상 50mm 미만인 직사각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롯 다이형 함침핀.
KR1020140034884A 2014-03-25 2014-03-25 슬롯 다이형 함침핀과 이를 포함하는 연속섬유 복합재 제조장치 KR101552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884A KR101552334B1 (ko) 2014-03-25 2014-03-25 슬롯 다이형 함침핀과 이를 포함하는 연속섬유 복합재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884A KR101552334B1 (ko) 2014-03-25 2014-03-25 슬롯 다이형 함침핀과 이를 포함하는 연속섬유 복합재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2334B1 true KR101552334B1 (ko) 2015-09-10

Family

ID=54248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4884A KR101552334B1 (ko) 2014-03-25 2014-03-25 슬롯 다이형 함침핀과 이를 포함하는 연속섬유 복합재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233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1999A (ja) 2004-10-14 2006-04-27 Teijin Techno Products Ltd 繊維状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40037842A1 (en) 2011-04-12 2014-02-06 Ticona Llc Impregnation Section of Die and Method for Impregnating Fiber Roving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1999A (ja) 2004-10-14 2006-04-27 Teijin Techno Products Ltd 繊維状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40037842A1 (en) 2011-04-12 2014-02-06 Ticona Llc Impregnation Section of Die and Method for Impregnating Fiber Roving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40662B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faserverbundwerkstoffs
US10343311B2 (en) Method for producing a reinforcement rod
KR20100130286A (ko) 섬유강화수지 볼트 및 그 제조방법
CN103269845A (zh) 由增强纤维束制成且含单向纤维带的纤维预制件以及复合件
CN106273554B (zh) 用于制造复合增强构件的装置和方法
JP2017007868A (ja) エスカレータ手摺
JP2011073436A (ja) 中間製品および中間製品複合体
EP0000734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täben oder Rohren konstanten Profils aus Faserverbundwerkstoffen
EP3288739B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faserverbundwerkstoffs
WO2016156222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faserverbundwerkstoffs
DE102016210040A1 (d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zumindest bereichsweise profilierten, faserverstärkten Kunststoffprofils, ein profiliertes, faserverstärktes Kunststoffprofil und seine Verwendung
KR20180115452A (ko) 토우 프리프레그 제조 장치 및 방법
DE102011056686B4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aserverbundwerkstoffes, ein nach dem Verfahren hergestellter Faserverbundwerkstoff sowie eine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KR101552334B1 (ko) 슬롯 다이형 함침핀과 이를 포함하는 연속섬유 복합재 제조장치
EP3325267A1 (de) Werkstoff mit mindestens zweischichtiger hülle
JP2019189752A (ja) 炭素繊維強化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KR101108893B1 (ko) 안테나 커버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A3111058C (en) Production line moulding assembly for manufacturing a non-metallic armature, production line and method of forming a rod for use in the manufacture of a composite armature
EP1147269B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aus flachbandlamellen bestehenden winkelförmigen bauteilen
KR20160083647A (ko) 섬유강화 복합재료 제조장치
DE102008049820B4 (de) Linienförmiges Kunststoffprofil mit strukturierter Oberfläch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selben
EP4011604A1 (en) Dipping device and pultrusion equipment comprising the same
KR100582566B1 (ko) 유전가열장치를 적용한 다중 인발방법
KR20180039773A (ko) 복합재료 및 그 제조방법
KR20230014972A (ko) 인발성형용 다이, 이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복합소재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복합소재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