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1849B1 - Knitting Fabric - Google Patents

Knitting Fabric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1849B1
KR101551849B1 KR1020140053537A KR20140053537A KR101551849B1 KR 101551849 B1 KR101551849 B1 KR 101551849B1 KR 1020140053537 A KR1020140053537 A KR 1020140053537A KR 20140053537 A KR20140053537 A KR 20140053537A KR 101551849 B1 KR101551849 B1 KR 101551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ing
pile
yarn
knitted
guid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35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월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림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림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림텍스
Priority to KR1020140053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184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1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18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02Pile fabrics or articles having similar surface featu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06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arp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27/10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nit fabric having a pattern set in a direction crossed with a forming direction of a pile unit and a surfac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knit fabric comprises: a floor unit knitted with a warp and a pile yarn; a pile unit protrudingly knitted by being connected to the floor unit with the pile yarn; and a surface unit stretched to one direction by being connected to the pile unit with the pile yarn and the surface yarn, wherein the pile unit and the surface unit have the pattern set in the direction crossed with the forming direction.

Description

편물지 {Knitting Fabric}{Knitting Fabric}

본 발명은 편물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더블 랏셀 편직기로 편직되고 바닥부에서 돌출되어 편성 방향으로 이어지는 파일부를 형성하는 편물지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nit fabric, and more particularly, to a knit fabric that forms a pile portion that is knitted with a double Raschel knitting machine and protrudes from the bottom portion and continues in the knitting direction.

일반적으로, 더블 랏셀 편직기는 편물지를 합포 조직으로 편직하는 직기이다. 예를 들면, 더블 랏셀 편직기는 스윙동작과 래핑동작으로 원사를 공급하는 6개의 가이드 바아, 가이드 바아의 길이 방향으로 각각 배치되어 전후 방향으로 나란하게 고정되는 1쌍의 트릭 플레이트, 트릭 플레이트의 각 일측에서 승강 작용하는 다수의 편침들, 편침들을 사이에 두고 각 트릭 플레이트를 향하여 수평 방향으로 전진 및 후진 작동하여 편침에 구비된 래치를 폐쇄하는 싱커, 및 편침에 구비된 래치를 개방시키는 래치 개구 와이어를 구비한다.Generally, a double Raschel knitting machine is a loom that knits a knit fabric into a knit fabric. For example, the double Raschel knitting machine includes six guide bars for supplying yarns by a swing operation and a lapping operation, a pair of trick plates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bar and fixed in paralle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inker for horizontally advancing and retracting toward each trick plate with the knitting needles sandwiched therebetween to close the latch provided on the knitting needle, and a latch opening wire for opening the latch provided on the knitting needle Respectively.

따라서 편침들의 승강 작동과 상호 작용하여 가이드 바아 중 전방과 후방에 위치하는 각각 2개의 가이드 바아가 합포 편물지에서 표면부와 바닥부의 기조직을 편성하고, 중앙에 위치하는 2개의 가이드 바아가 표면과 이면을 연결하는 첨모 조직을 편성한다.Therefore, two guide bars, which are located at the front and the rear of the guide bar, respectively, interact with the elevating operation of the knitting needles to knit the base part of the surface part and the bottom part of the joining piece, Organize a facial tissue connecting the back side.

대한민국 공개특허 2003-0086036(2003. 11. 07. 공개)Korean Published Patent Application No. 2003-0086036 (published on November 11, 2003)

대한민국 공개특허 2011-0035702(2011. 04. 66. 공개)Republic of Korea public patent 2011-0035702 (public on April 04, 2011)

공지의 편물지는 표면부와 바닥부 및 표면부와 바닥부를 파일사로 연결하는 파일부로 형성되는 3차원 입체 구조를 가진다. 이 편물지는 양면을 가지는 3차원 구조로 사용될 수도 있으나, 편직 후, 후 처리 공정인 슬리팅 공정을 거쳐서 파일부를 절단하여 표면부와 바닥부에 각각의 파일부를 형성한 후 사용될 수 있다.A known knitted fabric has a three-dimensional three-dimensional structure formed by a surface portion, a bottom portion, and a pile portion connecting the surface portion and the bottom portion to the pile. The knitted fabric may be used in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having both sides, but may be used after forming the pile portions on the surface portion and the bottom portion by cutting the pile portion through the slitting process as a post-processing process after knitting.

이러한 편물지 제조 공정은 파일부의 슬리팅 공정을 포함하므로 편물지의 제조 비용을 상승시키고, 추가 장비를 필요로 한다.Such a slab manufacturing process involves a slitting process of the pile portion, which increases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slab and requires additional equipment.

본 발명의 목적은 편물지의 제조 공정을 단순하게 하여 제조 비용을 줄이는 편물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파일사로 형성되는 파일부의 끝을 표면사로 연결하여 편성 방향으로 이어지는 파일부에 표면부를 형성하는 편물지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nitted fabric which simplifies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knitted fabric and reduces the manufacturing cos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nitted fabric which forms a surface portion on a pile portion extending in the knitting direction by connecting the end of the pile portion formed by the pile yarn to the surface yar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파일부 및 표면부를 편성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에서 설정된 패턴을 가지는 편물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표면부에 다양한 웨이브 모양을 가지는 편물지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nitted fabric having a pattern formed in a direction crossing a pile portion and a surface portion in a knitting direc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nitted fabric having various wave shapes on the surface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물지는, 일 방향으로 가며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 가이드 바아, 제2 가이드 바아 및 제3 가이드 바아와 상기 제1 가이드 바아와 상기 제3 가이드 바아의 하측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제1 편침과 제2 편침을 포함하는 더블 랏셀 편직기로 편직되며, 상기 제1 편침에서 상기 제1 가이드 바아로 공급되는 경사 및 상기 제2 가이드 바아로 공급되는 파일사로 편성되는 바닥부, 상기 제2 편침에서 상기 제2 가이드 바아로 공급되는 상기 파일사로 상기 바닥부에 연결되어 돌출 편성되는 파일부, 및 상기 제2 편침에서 상기 제2 가이드 바아로 공급되는 상기 파일사 및 상기 제3 가이드 바아로 공급되는 표면사로 상기 파일부를 연결하여 편성 방향으로 이어지는 표면부를 포함고, 상기 파일부 및 상기 표면부는 상기 편성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정된 패턴을 가진다.The knitted fabr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guide bar, a second guide bar, and a third guide bar sequentially disposed in a single direction, and a lower portion of the knitting fabric corresponding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guide bar and the third guide bar A bottom portion knitted with a double Lassell knitting machine including a first knitting needle and a second knitting needle to be arranged and knitted into a warp yarn fed from the first knitting needle to the first guide bar and a pile yarn fed to the second guide bar, A pile portion which is connected to the bottom portion by the pile yarn fed from the second knitting needle to the second guide bar and is projected and knitted, and a pile portion which is fed from the second knitting needle to the second guide bar and the third guide bar And the surface portion extending in the knitting direction by connecting the pile portion to the surface yarn supplied to the pile portion, wherein the pile portion and the surface portion cross each other in the knitting direction Direction.

상기 파일부는 상기 패턴의 그룹 내에서 상기 편성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이웃하는 다른 파일부와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표면부는 상기 패턴의 그룹 내에서 상기 편성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이웃하는 다른 표면부와 서로 분리될 수 있다.The pile portion may be separated from other neighboring pile portions along the direction crossing the knitting direction within the group of the patterns. The surface portion may be separated from other neighboring surface portions along a direction crossing the knitting direction within the group of the patterns.

상기 파일부 및 상기 표면부는 상기 패턴의 그룹 내에서 상기 편성 방향을 따라 웨이브를 형성할 수 있다.The pile portion and the surface portion may form a wave along the knitting direction in the group of the pattern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물지는, 경사 및 파일사로 편성되는 바닥부, 상기 파일사로 상기 바닥부에 연결되어 돌출 편성되는 파일부, 및 상기 파일사 및 표면사로 상기 파일부를 연결하여 일 방향으로 이어지는 표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파일부 및 상기 표면부는 상기 편성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정된 패턴을 가질 수 있다.A knitted fabr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ttom portion knitted with warp and pile yarn, a pile portion connected to the bottom portion by the pile yarn and projected and knitted, The pile portion and the surface portion may have a pattern set in a direction crossing the knitting direction.

상기 파일부는 상기 패턴의 그룹 내에서 상기 편성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이웃하는 다른 파일부와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표면부는 상기 패턴의 그룹 내에서 상기 편성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이웃하는 다른 표면부와 서로 분리될 수 있다.The pile portion may be separated from other neighboring pile portions along the direction crossing the knitting direction within the group of the patterns. The surface portion may be separated from other neighboring surface portions along a direction crossing the knitting direction within the group of the patterns.

상기 파일부 및 상기 표면부는 상기 패턴의 그룹 내에서 상기 편성 방향을 따라 웨이브를 형성할 수 있다.The pile portion and the surface portion may form a wave along the knitting direction in the group of the patterns.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바닥부에 파일사로 연결되어 돌출 편성되는 파일부, 및 파일사와 표면사로 파일부의 끝을 연결하여 편성 방향으로 이어지는 표면부를 형성함으로써, 제조 공정을 단순하게 하여 편물지의 제조 비용을 저감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ile portion is connected to the bottom portion by the pile yarn and is projected and knitted, and the pile yarn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pile portion by the surface yarn,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knitted fabric is reduced.

파일부 및 표면부가 편성 방향으로 이어지고 편성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정된 패턴을 가지므로 보다 다양한 구조의 편물지가 편직되는 효과가 있다.Since the pile portion and the surface portion are continuous in the knitting direction and have a pattern set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knitting direction, knitted fabrics of various structures are knitted.

또한, 파일부 및 표면부가 패턴의 그룹 내에서 편성 방향으로 이어지고 편성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서로 분리되므로 인장력을 부여한 열처리 및 나염 처리 중 하나 이상 처리하여 편직 후 편물지의 표면부를 다양하게 변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since the pile portion and the surface portion extend in the knitting direction in the group of the patterns and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long the direction crossing the knitting direction, the surface portion of the knitted fabric can be variously deformed by treating at least one of the heat treatment and the kneading treatmen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물지를 편직하는 더블 랏셀 편직기의 측면도이다.
도2는 도1의 더블 랏셀 편직지로 일 실시예의 편물지를 편직하는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3은 도1의 더블 랏셀 편직기로 일 실시예의 편물지를 편직하는 과정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물지를 편직하는 상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물지에서, 편성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정되는 파일부 및 표면부의 패턴을 나타낸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물지의 표면부 사진이다.
도7은 도6의 좌측면 사진이다.
도8은 도6의 저면 사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물지의 바닥부 사진이다.
1 is a side view of a double Raschel knitting machine for knitting a knitting fabr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showing a process of knitting a knit fabric of the embodiment with the double raschel knitting fabric of FIG. 1. FIG.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a process of knitting a knit fabric of the embodiment with the double Lassell knitting machine of FIG. 1. FIG.
FIG. 4 is a state view showing knitting a knitted fabr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shows a pattern of a pile portion and a surface portion set in a direction crossing a knitting direction in a piece of pa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hotograph of the surface of the knitted fabr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hotograph of the left side of Fig.
8 is a bottom view photograph of Fig.
9 is a photograph of the bottom of the knitted fabr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을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물지를 편직하는 더블 랏셀 편직기의 측면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더블 랏셀 편직기는 원사(예를 들면, 경사, 파일사 및 표면사)를 공급하여 3차원 구조의 편물지를 편직하도록 복수의 가이드 바아를 포함한다.1 is a side view of a double Raschel knitting machine for knitting a knitting fabr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double-Raschel knitting machine of one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guide bars for knitting a three-dimensional knitted fabric by supplying yarns (e.g., warp yarns, filament yarns, and surface yarns).

편의상, 더블 랏셀 편직기는 후방(편의상, 도1의 좌측을 지칭한다)에서 전방(편의상, 도1의 우측을 지칭한다)으로 가면서 배치되는 제1 가이드 바아(11, 12), 제2 가이드 바아(2) 및 제3 가이드 바아(3)를 포함한다. 원사의 개수에 따라 가이드 바아의 개수는 더 증가될 수 있고, 제1 가이드 바아(11, 12)는 2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For convenience, the double Raschel knitting machine comprises first guide bars 11, 12 arranged in front of the rear (for the sake of convenience, the left side of FIG. 1) 2, and a third guide bar 3. The number of the guide bars may be further increas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yarns, and the first guide bars 11 and 12 may be composed of two.

더블 랏셀 편직기는 제1 가이드 바아(11, 12), 제2, 제3 가이드 바아(2, 3)의 하방 양측에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트릭 플레이트(7, 9), 각 트릭 플레이트(7, 9)의 일측에서 승강 작용하는 제1, 제2 편침(101, 102), 그리고 싱커(15, 17)와 래치 개구 와이어(19, 21)를 포함한다.The double Raschel knitting machine has trick plates 7 and 9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both lower sides of the first guide bars 11 and 12 and the second and third guide bars 2 and 3 and trick plates 7 and 9 The first and second knitting needles 101 and 102 and the sinker 15 and 17 and the latching opening wires 19 and 21 which are raised and lowered at one side of the latching wire 19 and 21.

싱커(15, 17)는 제1, 제2 편침(101, 102)을 사이에 두고 트릭 플레이트(7, 9)를 향하여 수평 방향(도1의 좌우 방향)으로 전진 및 후진 작동하여, 제1, 제2 편침(101, 102) 하강 시, 제1, 제2 편침(101, 102)에 구비된 래치를 폐쇄한다.The sinkers 15 and 17 move forward and backwar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left-right direction in FIG. 1) toward the trick plates 7 and 9 with the first and second knitting needles 101 and 102 therebetween, When the second knitting needles 101 and 102 descend, the latches provided on the first and second knitting needles 101 and 102 are closed.

래치 개구 와이어(19, 21)는 수평 방향(도1의 좌우 방향)으로 전진 및 후진 작동하여, 제1, 제2 편침(101, 102) 상승 시, 제1, 제2 편침(101, 102)에 구비된 래치를 개방한다.The latching opening wires 19 and 21 move forward and backwar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shift the first and second knitting needles 101 and 102 when the first and second knitting needles 101 and 102 are lifted, As shown in Fig.

제1 가이드 바아(11, 12), 제2, 제3 가이드 바아(2, 3)는 대략 호(弧) 상태의 프레임(23)을 개재하여 샤프트(25)에 장착된다. 샤프트(25)는 프레임(23)과 일체로 샤프트(25)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 작동될 수 있고, 또한 프레임(23) 상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The first guide bars 11 and 12 and the second and third guide bars 2 and 3 are mounted on the shaft 25 via a frame 23 in a substantially arc state. The shaft 25 can be rotated around the shaft 25 as a rotation center integrally with the frame 23 and can be mov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n the frame 23. [

따라서 제1 가이드 바아(11, 12), 제2, 제3 가이드 바아(2, 3)는 샤프트(25)의 회전 동작에 따라 제1, 제2 경사(41, 42), 파일사(27) 및 표면사(28)를 선택되는 제1, 제2 편침(101, 102)에 전후 방향(도1에서는 좌우)으로 스윙(swing) 동작을 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guide bars 11 and 12 and the second and third guide bars 2 and 3 are rotated by the first and second inclination 41 and 42 and the pile yarn 27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shaft 25, And sweep the surface yarn 28 to the selected first and second knitting needles 101 and 102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left and right in FIG. 1).

또한, 제1 가이드 바아(11, 12), 제2, 제3 가이드 바아(2, 3)는 스윙 동작과 함께, 각각 독립적으로 샤프트(25)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 제2 경사(41, 42), 파일사(27) 및 표면사(28)를 선택되는 제1, 제2 편침(101, 102)의 좌우 방향(도1에서 전후)으로 이동하면서 걸어주는 래핑(lapping) 동작을 할 수 있다(도2 및 도3 참조).The first and second guide bars 11 and 12 and the second and third guide bars 2 and 3 m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aft 25 independently of the swinging motion, A lapping operation for moving the first and second knitting needles 101 and 102 while moving the first and second knitting needles 41 and 42, the filament yarn 27 and the surface yarn 28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See Figs. 2 and 3).

이를 위하여, 제1 가이드 바아(11, 12), 제2, 제3 가이드 바아(2, 3)는 그 선단에 가이드 바아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가이드 블록(11a, 12a), 제2, 제3 가이드 블록(2a, 3a)을 각각 구비한다. The first guide bars 11 and 12 and the second and third guide bars 2 and 3 are provided with first guide blocks 11a and 12a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bar, And third guide blocks 2a and 3a, respectively.

제1 가이드 블록(11a, 12a)의 선단에는 제1, 제2 경사(41, 42)(도4 내지 도9에서 바닥부(32)을 편성함)를 공급하는 제1 가이드(11b, 12b)가 구비된다. 제2 가이드 블록(2a)의 선단에는 파일사(27)(도4, 내지 도8에서 바닥부(32)에 연결되는 파일부(31)를 편성)를 공급하는 제2 가이드(2b)가 구비된다. 제3 가이드 블록(3a)의 선단에는 표면사(28)(도4 내지 도8)에서 파일부(31)에 연결되는 표면부(33)를 편성)를 공급하는 제3 가이드(3b)가 구비된다.First guides 11b and 12b for supplying first and second warp yarns 41 and 42 (knitting the bottom portion 32 in Figs. 4 to 9) are provided at the ends of the first guide blocks 11a and 12a, . A second guide 2b for supplying a pile yarn 27 (knitting a pile portion 31 connected to the bottom portion 32 in Figs. 4 and 8)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second guide block 2a do. A third guide 3b is provided at the tip of the third guide block 3a to supply a surface portion 33 connected to the pile portion 31 in the surface yarn 28 (Figs. 4 to 8) do.

본 실시예는 제1, 제2 경사(41, 42)를 공급하는 2개의 제1 가이드 바아(11, 12)를 예시하고 있으나, 제1 가이드 바아(11, 12) 중 어느 하나 만으로 구성되어 제1, 제2 경사(41, 42) 중 어느 하나를 공급하여 바닥부(32)를 편성할 수도 있다.The present embodiment exemplifies the two first guide bars 11 and 12 for supplying the first and second warp yarns 41 and 42 but may be constructed by only one of the first guide bars 11 and 12, 1 and the second warp yarns 41 and 42 may be supplied to knit the bottom portion 32. [

본 실시예에서, 더블 랏셀 편직기는 후방 측에 위치하는 제1 가이드 바아(11, 12)로 제1, 제2 경사(41, 42)를 공급하고, 중간에 위치하는 제2 가이드 바아(2)로 파일사(27)를 공급하며, 전방 측에 위치하는 제3 가이드 바아(3)로 표면사(28)를 공급하여, 도4 내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은 편물지를 편직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ouble Lassell knitting machine is constituted such that the first and second warp yarns 41 and 42 are supplied to the first guide bars 11 and 12 located on the rear side, the second guide bar 2 positioned in the middle, And the surface yarn 28 is fed to the third guide bar 3 located on the front side to knit the knitted fabric as shown in Figs.

즉 더블 랏셀 편직기는 후방에 위치하는 2개의 제1 가이드 바아(11, 12)로 제1경사(41)와 제2 경사(42)를 공급하여 후방 측 제2 편침(102)과 상호 작용하면서 편물지의 바닥부(32)을 편성하며, 중앙에 위치하는 제2 가이드 바아(2)로 파일사(27)를 공급하여 전후방의 제1, 제2 편침(101, 102)과 번갈아 상호 작용하면서 바닥부(32)에 연결되는 파일부(31)를 편성한다. 또한 더블 랏셀 편직기는 전방에 위치하는 제3 가이드 바아(3)로 표면사(28)를 공급하여 전방 측 제1 편침(101)과 상호 작용하면서 파일부(31)의 끝을 연결하여 편물지의 표면부(33)를 형성하여, 3차원 구조의 편물지를 편직한다.That is, the double Raschel knitting machine supplies the first warp yarn 41 and the second warp yarn 42 to the two first guide bars 11 and 12 located at the rear, The pile yarn 27 is fed to the second guide bar 2 located at the center and the first and second knitting needles 101 and 102 alternately interact with the front and rear knitting needles 101 and 102, And the pile portion 31 connected to the portion 32 is knitted. The double Raschel knitting machine also feeds the surface yarn 28 with the third guide bar 3 located at the front to connect the ends of the pile parts 31 while interacting with the front side first knitting needle 101, The surface portion 33 is formed to knit a knit fabric of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예를 들면, 파일부(31)는 바닥부(32)에서 2mm 내지 200mm 범위의 길이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파일부(31)는 5mm로 형성될 수 있다. 파일부(31)의 길이가 2mm 미만인 경우, 최소로 요구되는 작업 공차로 인하여 편직이 어렵다. 이를 극복하려면 후 가공이 필요하다. For example, the pile portion 31 may protrude from the bottom portion 32 in a length ranging from 2 mm to 200 mm. For example, the pile portion 31 may be formed to be 5 mm. When the length of the pile portion 31 is less than 2 mm, it is difficult to knit due to the minimum required work tolerance. To overcome this, post-processing is necessary.

파일부(31)의 길이가 200mm 초과인 경우, 바닥부(32)를 편직하고 파일사(27)가 파일부(31)를 편직하지 않는 범위를 초과하게 된다. 즉 파일사(27)가 트릭 플레이트(7. 9)의 길이 방향으로 건너뛸 수 있는 한계를 초과한다. 이 한계를 극복하려면 별도의 설비가 필요하다.When the length of the pile portion 31 exceeds 200 mm, the bottom portion 32 is knitted and the pile yarn 27 exceeds the range in which the pile portion 31 is not knitted. I. E. The file yarn 27 exceeds the limit of skipp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ick plate 7.9. To overcome this limitation, separate facilities are required.

후방 측 제2 편침(102)에 의한 바닥부(32)의 편직은 공지의 방법이 적용되고, 싱커(15, 17) 및 래치 개구 와이어(19, 21)는 공지의 방법으로 작동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The knitting of the bottom portion 32 by the rear side second knitting needle 102 is performed by a known method and the sinkers 15 and 17 and the latch opening wires 19 and 21 are operated by a known method. Th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이하에서는 전방 및 후방 측 제1, 제2 편침(101, 102)에 의한 파일부(31)를 형성하는 방법(즉 파일사(27)로 바닥부(32)에 연결되는 루프를 형성하는 방법)과, 제1 편침(101)에 의하여 표면부(33)를 형성하는 방법(즉 표면사(28)로 파일부(31)의 루프를 연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A method of forming the pile portion 31 by the front and rear first and second knitting needles 101 and 102 (a method of forming a loop connected to the bottom portion 32 by the pile yarn 27) And a method of forming the surface portion 33 by the first knitting needle 101 (that is, a method of connecting the loop of the pile portion 31 to the surface yarn 28) will be described.

도2는 도1의 더블 랏셀 편직지로 일 실시예의 편물지를 편직하는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3은 도1의 더블 랏셀 편직기로 일 실시예의 편물지를 편직하는 과정을 도시한 평면도이다.FIG. 2 is a side view showing a process of knitting a knitted fabric of the embodiment with the double raschel knitting fabric of FIG. 1, and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a process of knitting the knitting fabric of one embodiment with the double Raschel knitting machine of FIG.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제1 가이드(11b, 12b)의 스윙 동작 및 래핑 동작에 의하여, 제1경사(41)와 제2 경사(42)가 바닥부(32)를 편성한다. 제2 가이드(2b)의 스윙 동작 및 래핑 동작에 의하여, 파일사(27)가 바닥부(32)에 연결되는 파일부(31)의 루프를 편성한다. 또한. 제3 가이드(3b)의 스윙 동작 및 래핑 동작에 의하여, 표면사(28)가 파일부(31)에 끝을 연결하는 표면부(33)를 편성한다.2 and 3, the first inclined yarn 41 and the second inclined yarn 42 knit the bottom portion 32 by the swinging operation and the lapping operation of the first guides 11b and 12b. The pile yarn 27 knits a loop of the pile portion 31 connected to the bottom portion 32 by the swinging operation and the lapping operation of the second guide 2b. Also. The surface yarn 28 knits the surface portion 33 connecting the ends to the pile portion 31 by the swinging operation and the lapping operation of the third guide 3b.

제2 가이드(2b)는 파일사(27)를 이동시키면서 제1 편침(101)과 상호 작용하게 된다(도2의 (b), (c), 도3의 (a), (c)). 이때, 제3 가이드(3b)는 표면사(28)를 이동시키면서 제1 편침(101)과 상호 작용하게 된다(도2의 (b), (c), 도3의 (a), (c)). The second guide 2b interacts with the first knitting needle 101 while moving the pile yarn 27 (Figs. 2 (b), (c), 3 (a) and 3 (c)). At this time, the third guide 3b interacts with the first knitting needle 101 while moving the surface yarn 28 (Figs. 2 (b), (c), 3 (a) ).

또한 제2 가이드(2b)는 파일사(27)를 이동시키면서 제2 편침(102)과 상호 작용하며, 이때, 제1 가이드(11b, 12b)는 제1경사(41)와 제2 경사(42)를 이동시키면서 제2 편침(102)과 상호 작용하게 된다(도2의 (d), (a), 도3의 (b), (d)).The second guide 2b interacts with the second knitting needle 102 while moving the pile yarn 27 while the first guides 11b and 12b are in contact with the first warp 41 and the second warp 42 (Fig. 2 (d), (a), Fig. 3 (b), and (d)) while moving the second knitting needle 102.

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2의 (a)에서와 같이 후방 측 제2 편침(102)이 트릭 플레이트(9) 아래로 하강하게 되면 전방 측 제1 편침(101)이 상승하고, 이때 제1 가이드(11b, 12b), 제2 가이드(2b)는 언더 래핑 동작과 백 스윙(후방에서 전방으로 이동) 한다(도3의 (d), ④에서 ①로 이동).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2 (a), when the rear side second knitting needle 102 is lowered below the trick plate 9, the front side first knitting needle 101 is raised, The guides 11b and 12b and the second guide 2b underwrap and move backward (move from the rear to the front) ((d) in Fig.

도2의 (b)에서와 같이 전방 측 제1 편침(101)이 상승 완료하게 되면 제2 가이드(2b)와 제3 가이드(3b)는 제1 편침(101)에 파일사(27)와 표면사(28)를 걸어 주는 오버 래핑 동작과 프론트 스윙(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도2의 (b)에서 (c)로 이동).2B, when the front side first knitting needle 101 is completely lifted up, the second guide 2b and the third guide 3b are pushed to the first knitting needle 101 by the pile yarn 27 and the surface And the front swing (moving from the front to the back) (the movement from (b) to (c) in FIG. 2).

도2의 (b), (c)에서와 같이, 제2 가이드(2b)와 제3 가이드(3b)의 오버 래핑 동작과 프론트 스윙으로 파일사(27)와 표면사(28)는 도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측 제1 편침(101)에 급사 완료된다(도3의 (a), ①에서 ②로 이동).As shown in Figs. 2B and 2C, the overlapping operation of the second guide 2b and the third guide 3b and the pile yarn 27 and the surface yarn 28 in the front swing, (Fig. 3 (a) and (1) to (2)) as shown in Fig. 3 (a).

도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버 래핑 동작과 프론트 스윙으로 파일사(27) 및 표면사(28)의 급사가 완료되면, 전방 측 제1 편침(101)은 노크 오버 위치로 하강하고 후방 측 제2 편침(102)은 상승하게 된다.2 (c), when the feeding of the pile yarn 27 and the surface yarn 28 is completed by the overlapping operation and the front swing, the front side first knitting needle 101 is lowered to the knock- And the rear side second knitting needle 102 is raised.

도2의 (d)에서와 같이, 후방 측 제2 편침(102)이 상승하면 동시에 전방 측 제1 편침(101)에서는 노크 오버가 일어난다. 이로써 제1 편침(101)에 급사되었던 파일사(27)에 의하여 하나의 파일부(31)의 루프가 편성되고 동시에 제1 편침(101)에 급사되었던 표면사(28)에 의하여 표면부(33)가 편성된다. 즉 표면사(28)가 파일부(31)의 끝을 편성 방향으로 연결한다.As shown in FIG. 2 (d), when the rear side second knitting needle 102 is raised, a knock over occurs in the front side first knitting needle 101 at the same time. A loop of one pile portion 31 is knitted by the pile yarn 27 fed to the first pile 101 and the surface yarn 28 fed at the same time to the first pile 101 is knitted by the surface portion 33 ). The surface yarn 28 connects the end of the pile portion 31 in the knitting direction.

이때 제1 가이드(11b, 12b), 제2 가이드(2b)는 프론트 스윙(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 위치까지 이동한다(도2 (d), 도3 (b)의 ②). 즉 제1 가이드(11b, 12b), 제2 가이드(2b)는 제2 편침(102)에 제1경사(41) 및 제2 경사(42)와 파일사(27)를 걸어 주는 언더 래핑 동작과 백 스윙(후방에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도3의 (b), ②에서 ③으로 이동).At this time, the first guides 11b and 12b and the second guide 2b move to the front swing (forward to rearward) position (Fig. 2 (d) and Fig. 3 (b)). That is, the first guides 11b and 12b and the second guide 2b are provided with an underlapping operation for hooking the first warp yarn 41 and the second warp yarn 42 and the pile yarn 27 to the second knitting yarn 102 (Backward to forward movement) (move from (b) to (c) in Fig. 3).

도2의 (d), (a)의 언더 래핑 동작과 백 스윙으로 파일사(27)가 제2 편침(102)에 급사 완료되고, 이때, 제1경사(41) 및 제2 경사(42)가 후방 측 제2 편침(102)에 급사 완료된다(도3의 (b) ③).The pile yarn 27 is fed to the second knitting needle 102 by the underlapping operation and the back swing of Figures 2 (d) and 2 (a), and the first warp yarns 41 and the second warp yarns 42, (FIG. 3 (b) (3)).

도2의 (a)에서와 같이, 언더 래핑 동작과 백 스윙으로 파일사(27), 제1, 제2 경산(41, 42)의 급사가 완료되면, 후방 측 제2 편침(102)은 노크 오버 위치로 하강하고 전방 측 제1 편침(101)은 상승하게 된다.2 (a), when the feeding of the pile yarn 27 and the first and second multiplying yarns 41 and 42 is completed by the underlapping operation and the back swing, the rear side second knitting needle 102 is knocked The first knitting needle 101 is lowered to the over position and the front knitting needle 101 is raised.

도2의 (a)에서와 같이, 전방 측 제1 편침(101)이 상승하면 동시에 후방 측 제2 편침(102)에서는 노크 오버가 일어난다. 이로써 제2 편침(102)에 급사되었던 제1, 제2 경사(41, 42) 및 파일사(27)에 의하여 바닥부(32)의 기조직이 편성된다.2 (a), when the front side first knitting needle 101 is raised, a knock over occurs in the rear side second knitting needle 102 at the same time. As a result, the base fabric of the bottom portion 32 is knitted by the first and second warp yarns 41 and 42 and the filament yarn 27 fed to the second knitting needle 102.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의 더블 랏셀 편직기는, 제2 가이드(2b)와 제3 가이드(3b)의 오버 래핑 동작과 프론트 스윙(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a), 제1 가이드(11b, 12b), 제2 가이드(2b)의 언더 래핑 동작과 백 스윙(후방에서 전방으로 이동)(b), 제2 가이드(2b)와 제3 가이드(3b)의 오버 래핑 동작과 프론트 스윙(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c), 및 제1 가이드(11b, 12b), 제2 가이드(2b)의 언더 래핑 동작과 백 스윙(후방에서 전방으로 이동)(d)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바닥부(32)와 파일부(31)의 루프 및 표면부(33)를 편성하여 3차원의 편물지를 편성한다.3, the double Raschel knitt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n overlapping operation of the second guide 2b and the third guide 3b, a front swing (moving from the front to the rear) a, (B), the overlapping operation of the second guide 2b and the third guide 3b, and the operation of overlapping the front swing (backward movement) of the first guide 2b and the second guide 2b, (Moving from the front to the rear) (c), and the under-lapping operation of the first guides 11b, 12b and the second guide 2b and the back swing (moving from the rear to the front) The loops and the surface portion 33 of the bottom portion 32 and the pile portion 31 are knitted to knit a three-dimensional knitted fabric.

도3에서 파일사(27) 및 표면사(28)가 실선으로 도시된 부분의 제1, 제2 편침(101, 102)은 상승 상태이고, 점선으로 도시된 부분의 제1, 제2 편침(101, 102)은 하강 상태이다. ①, ②, ③, ④는 제1 가이드(11b, 12b), 제2 가이드(2b) 및 제3 가이드(3b)의 경로 순서를 나타낸다. 또한 제1경사(41) 및 제2 경사(42)는 파일사(27)와 함께 제2 편침(102)에 공급된다. 그리고 파일사(27)는 표면사(28)와 함께 제1 편침(101)에 공급된다.In Fig. 3, the first and second knitting needles 101 and 102 of the portion shown by the solid line in the pile yarn 27 and the surface yarn 28 are in an elevated state, and the first and second knitting needles 101 and 102 are in the lowered state. (1), (2), (3) and (4) show the path sequence of the first guides 11b and 12b, the second guide 2b and the third guide 3b. The first warp yarn 41 and the second warp yarn 42 are fed to the second knitting yarn 102 together with the pile yarn 27. [ And the pile yarn 27 is supplied to the first knitting yarn 101 together with the surface yarn 28. [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물지를 편직하는 상태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물지에서, 편성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정되는 파일부 및 표면부의 패턴을 나타낸다.FIG. 4 is a state view of knitting a knitted fabr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shows a pattern of a pile portion and a surface portion set in a direction crossing a knitting direction in a knitted fabr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면, 제1 편침(101)은 파일사(27)에 의하여 편성되는 파일부(31)의 루프에 표면사(28)를 이용하여 표면부(33)를 편성한다. 즉 표면사(28)는 파일부(31)의 끝 부분을 편성 방향으로 연결하여 표면부(33)를 형성한다. 이때, 파일부(31) 및 표면부(33)는 편성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정된 패턴을 형성한다(도5의 좌우 방향).2 to 4, the first knitting needle 101 knits the surface portion 33 using the surface yarn 28 in the loop of the pile portion 31 knitted by the pile yarn 27. That is, the surface yarn 28 forms the surface portion 33 by connecting the end portion of the pile portion 31 in the knitting direction. At this time, the pile portion 31 and the surface portion 33 form a pattern set in a direction crossing the knitting direction (left and right direction in Fig. 5).

즉 제2 편침(102)은 제1, 제2 경사(41, 42) 및 파일사(27)로 바닥부(32)를 편성한다. 파일사(27)는 제1, 제2 편침(101, 102)에 의하여 바닥부(32)와 표면부(33)를 번갈아 연결하여 바닥부(32)에서 돌출되어 파일부(31)를 형성한다. 또한 이때 제1 편침(101)은 표면사(28)와 파일사(27)로 표면부(33)를 편성한다.That is, the second knitting needle 102 knits the bottom portion 32 with the first and second warp yarns 41, 42 and pile yarn 27. The pile yarn 27 projects from the bottom portion 32 by alternately connecting the bottom portion 32 and the surface portion 33 by the first and second knitting needles 101 and 102 to form the pile portion 31 . At this time, the first knitting needle 101 knits the surface portion 33 with the surface yarn 28 and the pile yarn 27.

파일부(31) 및 표면부(33)가 편성 방향(도 4의 좌우 방향)으로 이어지고 편성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도5의 좌우 방향)으로 설정된 패턴을 가진다. 일례를 들면, 파일부(31) 및 표면부(33)에 의한 패턴(편의상 파일부를 지칭하여 설명한다)은 3개의 제1, 제2, 제3 패턴(P1, P2, P3)의 그룹을 가질 수 있다.The pile portion 31 and the surface portion 33 are connected in the knitting direction (left and right direction in Fig. 4) and have a pattern set in a direction crossing the knitting direction (lateral direction in Fig. 5). For example, the pattern of the file portion 31 and the surface portion 33 (which will be referred to as a file portion for the sake of convenience) has a group of three first, second, and third patterns P1, P2, and P3 .

제1 패턴(P1)의 그룹은 2개의 파일부(31)와, 파일부가 형성되지 않고 바닥부(32)로만 형성되는 2개의 공백부(E31)로 편성된다. 제2 패턴(P2) 그룹은 제1 패턴(P1) 그룹의 이웃에서 3개의 파일부(31)와, 파일부가 형성되지 않고 바닥부(32)로만 형성되는 3개의 공백부(E31)로 편성된다.The group of the first patterns P1 is knitted into two pile portions 31 and two blank portions E31 formed only on the bottom portion 32 without forming the pile portion. The second pattern P2 group is organized into three pile portions 31 in the neighborhood of the first pattern P1 group and three blank portions E31 formed only in the bottom portion 32 without forming the pile portion .

제3 패턴(P3) 그룹은 제2 패턴(P2) 그룹의 이웃에서, 4개의 파일부(31)와, 파일부가 형성되지 않고 바닥부(32)로만 형성되는 4개의 공백부(E31)로 편성된다. 제1, 제2, 제3 패턴(P1, P2, P3) 그룹은 편성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도5에서 좌우)으로 반복적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일 실시예의 편물지는 다양한 구조로 3차원을 형성할 수 있다.The third pattern P3 group is composed of four pile portions 31 in the neighborhood of the second pattern P2 group and four blank portions E31 formed only on the bottom portion 32 without forming the pile portion. do. The group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patterns P1, P2, and P3 are repeatedly arranged in a direction (left and right in FIG. 5) crossing the knitting direction. Thus, the knitted fabric of one embodiment can form three dimensions in various structures.

한편, 파일부(31)와 표면부(33)를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공백부(E31)가 편성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의 편물지는 제1 패턴(P1) 그룹 내에서, 바닥부(32)와 표면부(33)를 포함하는 파일부(31)와 공백부(E31)를 각각 2개, 2개로 편성하고, 제2 패턴(P2) 그룹 내에서, 바닥부(32)와 표면부(33)를 포함하는 파일부(31)와 공백부(E31)를 각각 3개, 3개로 편성한다. 또한 일 실시예의 편물지는 제3 패턴(P3) 그룹 내에서, 바닥부(32)와 표면부(33)를 포함하는 파일부(31)와 공백부(E31)를 각각 4개, 4개로 편성한다.On the other hand, by not forming the pile portion 31 and the surface portion 33, the blank portion E31 can be knitted. That is, in the knitted fabric of the embodiment, the pile portion 31 and the blank portion E31 including the bottom portion 32 and the surface portion 33 are knitted into two and two, respectively, in the first pattern P1 group The pile portion 31 including the bottom portion 32 and the surface portion 33 and the blank portion E31 are knitted into three and three in the second pattern P2 group. The knitted fabric of one embodiment knits the pile portion 31 and the blank portion E31 including the bottom portion 32 and the surface portion 33 into four and four in the third pattern P3 group .

제2, 제3 가이드 바아(2, 3)에서 공급되는 파일사(27)와 표면사(28)를 제1 편침(101)에 공급하지 않고, 파일사(27)와 제1, 제2 경사(41, 42)를 제2 편침(42)에만 공급함으로써 제2 편침(42)에서 바닥부(32)가 편성된다. 즉 파일부(31)가 없는 공백부(E31)가 제2 편침(42)에서 편성될 수 있다(도2 (d), (a) 및 도3의 (d), (b) 참조).The pile yarn 27 and the surface yarn 28 supplied from the second and third guide bars 2 and 3 are not supplied to the first knitting needle 101, The bottom portion 32 is knitted by the second knitting needle 42 by supplying only the second knitting needles 41 and 42 to the second knitting needle 42. [ The hollow portion E31 without the pile portion 31 can be knitted by the second knitting needle 42 (see Figs. 2 (d), (a) and 3 (d) and 3 (b)).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2, 제3 가이드 바아에서 공급되는 파일사와 표면사를 제1 가이드 바아의 제1, 제2 경사와 같이 제2편침에 공급함으로써 파일사, 표면사 및 제1, 제2 경사는 제2 편침에서 바닥부, 즉 파일부가 없는 공백부를 편성할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pile yarn and the surface yarn supplied from the second and third guide bars are supplied to the second knitting yarn like the first and second warp yarns of the first guide bar, The second knitting yarn may knit a bottom portion, that is, a blank portion without a pile portion.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물지의 표면부 사진이고, 도7은 도6의좌측면 사진이며, 도8은 도6의 저면 사진이고,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물지의 바닥부 사진이다.6 is a photograph of the surface of the knitted fabr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hotograph of the left side of Fig. 6, Fig. 8 is a photograph of the bottom of Fig. 6, Is the photograph of the bottom of the piece of paper.

도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편물지는 제1, 제2 경사(41, 42) 및 파일사(27)로 바닥부(32)를 편성하고, 파일사(27)로 바닥부(32)에 연결되는 파일부(31)를 편성하며, 파일사(27)와 표면사(28)로 파일부(31)의 끝에 표면부(33)를 형성하고 있다.6 to 9, the knitted fabric of one embodiment knits the bottom portion 32 with the first and second warp yarns 41 and 42 and pile yarn 27, And the surface portion 33 is formed at the end of the pile portion 31 by the pile yarn 27 and the surface yarn 28. In this case,

표면부(33)는 표면사(28)로 파일부(31)의 루프를 연결하여, 파일부(31)와 함께 편물지의 편성 방향(도6 및 도7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어진다. 이때, 파일부(31) 및 표면부(33)는 제1 내지 제3 패턴(P1 내지 P3)의 각 그룹 내에서 편물지의 편성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분리된다. 즉 복수의 파일부들(31)은 도6 및 도 8에서 좌우 방향으로 각각 분리된다.The surface portion 33 connects the loop of the pile portion 31 to the surface yarn 28 and extends in the knitting direction of the knitting fabric together with the pile portion 31 (up and down direction in Figs. 6 and 7). At this time, the pile portion 31 and the surface portion 33 are separated in the direction crossing the knitting direction of the knitted fabric in each group of the first to third patterns P1 to P3. That is, the plurality of file portions 31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Figs.

또한, 표면부(33)는 파일부(31)와 함께 편성 방향(도6 및 도7의 상하 방향)을 따라 웨이브를 형성한다. 예를 들면, 바닥부(32)에 파일부(31) 및 표면부(33)를 가지는 3차원 구조의 편물지를 가열하면서 편성 방향에 대하여 설정된 각도 방향으로 인장력을 부여하면서 열처리함으로써, 파일부(31)와 표면부(33)에 웨이브 모양이 형성될 수 있다.The surface portion 33 together with the pile portion 31 forms a wave along the knitting direction (up and down direction in Figs. 6 and 7). For example, by heating the knitted fabric having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having the pile portion 31 and the surface portion 33 in the bottom portion 32 while applying a tensile force in the angular direction set with respect to the knitting direction, And the surface portion 33 may be formed in a wave shape.

편물지에 가해지는 열처리의 온도, 인장력의 방향과 크기 및 지속 시간에 따라 파일부(31)와 표면부(33)는 다양한 모양의 웨이브를 규칙적으로 반복 형성하거나, 불규칙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Depending on the temperature of the heat treatment applied to the knitted fabric, the direction and size of the tensile force, and the duration, the pile portion 31 and the surface portion 33 may be regularly repeatedly formed or irregularly formed.

또한, 일 실시예의 편물지는 파일부(31) 및 표면부(33)에 웨이브를 형성하기 전 또는 후에 표면부(33)를 나염 처리하여, 표면부(33)에 다양한 모양과 색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편물지는 롤러 나염 또는 로터리 스크린 나염기로 나염 처리될 수 있다.The knitted fabric of one embodiment may have various shapes and colors on the surface portion 33 by applying the surface portion 33 before or after forming the wave on the pile portion 31 and the surface portion 33 . For example, the knitted fabric may be printed with a roller brush or a rotary screen knife.

이와 같은 일 실시예의 편물지는 의류, 침구, 신발, 커튼, 차량 시트 및 산업자재로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The knitted fabric of this embodiment can be used variously as clothes, bedding, shoes, curtains, vehicle seats and industrial materials.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An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invention belongs to the scope of the invention.

2, 3: 제2, 제3 가이드 바아 2a, 3a: 제2, 제3 가이드 블록
2b, 3b: 제2, 제3 가이드 7, 9: 트릭 플레이트
11, 12: 제1 가이드 바아 11a, 12a: 제1 가이드 블록
11b, 12b: 제1 가이드 15, 17: 싱커
19, 21: 래치 개구 와이어 23: 프레임
25: 샤프트 27: 파일사
28: 표면사 31: 파일부
32: 바닥부 33: 표면부
41, 42: 제1, 제2경사 101, 102: 제1, 제2 편침
E31: 공백부 P1, P2, P3: 제1, 제2, 제3 패턴
2, 3: second and third guide bars 2a, 3a: second and third guide blocks
2b, 3b: second and third guides 7, 9: trick plates
11, 12: first guide bar 11a, 12a: first guide block
11b, 12b: first guide 15, 17: sinker
19, 21: latch opening wire 23: frame
25: shaft 27:
28: surface yarn 31:
32: bottom part 33: surface part
41, 42: first and second warp yarns 101, 102: first and second knitting yarns
E31: blank part P1, P2, P3: first, second and third patterns

Claims (8)

일 방향으로 가며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 가이드 바아, 제2 가이드 바아 및 제3 가이드 바아와 상기 제1 가이드 바아와 상기 제3 가이드 바아의 하측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제1 편침과 제2 편침을 포함하는 더블 랏셀 편직기로 편직되며,
상기 제1 편침에서 상기 제1 가이드 바아로 공급되는 경사 및 상기 제2 가이드 바아로 공급되는 파일사로 편성되는 바닥부;
상기 제2 편침에서 상기 제2 가이드 바아로 공급되는 상기 파일사로 상기 바닥부에 연결되어 돌출 편성되는 파일부; 및
상기 제2 편침에서 상기 제2 가이드 바아로 공급되는 상기 파일사 및 상기 제3 가이드 바아로 공급되는 표면사로 상기 파일부를 연결하여 편성 방향으로 이어지는 표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일부 및 상기 표면부는,
상기 편성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정된 패턴을 가지는 편물지.
A first guide bar, a second guide bar, and a third guide bar, which are sequentially disposed in one direction, and a first knitting needle and a second knitting needle disposed corresponding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guide bar and the third guide bar Knitted with a double Raschel knitting machine,
A bottom portion knitted from the first knitting needle into a warp yarn fed to the first guide bar and a pile yarn fed to the second guide bar;
A pile portion connected to the bottom portion by the pile yarn fed from the second knitting needle to the second guide bar and projected and knitted; And
And a surface portion connected to the pile yarn fed from the second knitting needle to the second guide bar and to the surface yarn fed to the third guide bar and continuing in the knitting direction,
Wherein the pile portion
Wherein the knitting yarn has a pattern set in a direction crossing the knitting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부는,
상기 패턴의 그룹 내에서 상기 편성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이웃하는 다른 파일부와 서로 분리되는 편물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le unit includes:
And the other pile portion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long the direction crossing the knitting direction in the group of the pattern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부는,
상기 패턴의 그룹 내에서 상기 편성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이웃하는 다른 표면부와 서로 분리되는 편물지.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urface portion
And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with neighboring surface portions along a direction crossing the knitting direction in the group of the pattern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부 및 상기 표면부는
상기 패턴의 그룹 내에서 상기 편성 방향을 따라 웨이브를 형성하는 편물지.
The method of claim 3,
The pile portion and the surface portion
And form a wave in the group of patterns along the knitting direction.
경사 및 파일사로 편성되는 바닥부;
상기 파일사로 상기 바닥부에 연결되어 돌출 편성되는 파일부; 및
상기 파일사 및 표면사로 상기 파일부를 연결하여 일 방향으로 이어지는 표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파일부 및 상기 표면부는,
상기 편성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정된 패턴을 가지는 편물지.
A bottom portion knitted with warp and weft yarn;
A pile portion connected to the bottom portion by the pile yarn and projected and knitted; And
And a surface portion extending in one direction by connecting the pile portion to the pile yarn and the surface yarn,
Wherein the pile portion
Wherein the knitting yarn has a pattern set in a direction crossing the knitting direc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부는,
상기 패턴의 그룹 내에서 상기 편성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이웃하는 다른 파일부와 서로 분리되는 편물지.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ile unit includes:
And the other pile portion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long the direction crossing the knitting direction in the group of the pattern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부는,
상기 패턴의 그룹 내에서 상기 편성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이웃하는 다른 표면부와 서로 분리되는 편물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surface portion
And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with neighboring surface portions along a direction crossing the knitting direction in the group of the pattern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부 및 상기 표면부는,
상기 패턴의 그룹 내에서 상기 편성을 따라 웨이브를 형성하는 편물지.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pile portion
And form a wave along the knitting in the group of patterns.
KR1020140053537A 2014-05-02 2014-05-02 Knitting Fabric KR1015518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3537A KR101551849B1 (en) 2014-05-02 2014-05-02 Knitting Fabric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3537A KR101551849B1 (en) 2014-05-02 2014-05-02 Knitting Fabric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1849B1 true KR101551849B1 (en) 2015-09-09

Family

ID=54247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3537A KR101551849B1 (en) 2014-05-02 2014-05-02 Knitting Fabric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1849B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1066B1 (en) Knitting Fabric
JP5058817B2 (en) Method for knitting a tubular knitted fabric having a border pattern
JP5955197B2 (en) Knitting method of knitted fabric
JP2702100B2 (en) Method for producing patterned knitted fabric and warp knitting machine
KR101523498B1 (en) Method for preventing unraveling of knitting yarn
JP2008280630A (en) Warp knitting machine
TWM572902U (en) Plunger system and multi-function feeder for knitting machines
KR101106728B1 (en) Pile knitting apparatus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
JP5079682B2 (en) Flat knitting machine for tubular knitted fabric and knitting method of tubular knitted fabric
JP2010242244A (en) Flat knitting machine for knitting cylindrical knitted fabric
JPH04241155A (en) Warp knitting machine
US4003222A (en) Warp knitting machine for producing looped cloth
KR101551849B1 (en) Knitting Fabric
ITMI20131983A1 (en) PROCEDURE FOR THE IMPLEMENTATION OF DRAWINGS WITH INLAY WITH A KNITTED KNITWEAR IN THE PLOT AND KNITTED FABRIC IN THE PLOT WITH INLAY DRAWING OBTAINABLE WITH THE PROCEDURE.
GB2511484A (en) Lace manufacturing method
JP2017186681A (en) Knitting method for knitted fabric with fringe
KR101491825B1 (en) Knitting Fabric
EP3702501B1 (en) Method for knitting three-dimensional fabric with variable thickness through a flat knitting machine
JP2009270216A (en) Method for knitting knitted fabric having bag-jacquard texture part
ITMI20132130A1 (en) PROCEDURE FOR THE IMPLEMENTATION OF OPENINGS OR HOLES IN A KNITTED FABRIC IN PLOT WITH A KNITTING MACHINE FOR INLAY WORKINGS, USING ONLY ONE POWER OR FALL.
KR10027235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atterned knitted fabric
US3523430A (en) Heating wire inserting apparatus
KR100451314B1 (en) double raschel knitting machine and the same knitting
US1355196A (en) Feeding and pattern mechanism for warp-knitting machines
US2534184A (en) Knitt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