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1776B1 - 조리용기의 온도 정보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조리용기의 온도 정보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1776B1
KR101551776B1 KR1020140172800A KR20140172800A KR101551776B1 KR 101551776 B1 KR101551776 B1 KR 101551776B1 KR 1020140172800 A KR1020140172800 A KR 1020140172800A KR 20140172800 A KR20140172800 A KR 20140172800A KR 101551776 B1 KR101551776 B1 KR 101551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cooking vessel
cooking
cooking container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2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돈
Original Assignee
한일에스티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에스티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일에스티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2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17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1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1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2Time-controlled igniting mechanisms or alarm devices
    • A47J36/321Time-controlled igniting mechanisms or alarm device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performed over a network, e.g. by means of a handheld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202/00Devices having temperature indicat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2207/00Application of thermometers in household appliances
    • G01K2207/02Application of thermometers in household appliances for measuring food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열수단에 의해 조리용기 내의 음식물이 가열되면서 조리용기의 내부 온도가 일정 온도에 도달하면 이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알려주게 되는 조리용기의 온도 정보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조리용기의 뚜껑 중앙 상측에 설치된 손잡이 기둥에 내장되어 조리용기가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될 때 조리용기 내부의 열기가 유입되는 열유입관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조리용기 내부의 온도를 표시하기 위한 눈금들이 매겨진 온도계 눈금판과, 이 온도계 눈금판의 눈금을 가리키는 지침과, 열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열기에 의해 작동하여 조리용기의 내부 온도에 대응하는 온도만큼 지침을 회전시키는 지침작동수단을 구비하며 손잡이 기둥에 설치되는 온도 측정부를 포함하고 있다. 또, 미리 설정된 조리용기 내부의 임계온도 지점에 설치되어, 조리용기의 내부 온도가 임계온도에 도달하면 온도 측정부의 지침이 접촉하게 되는 접촉센서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접촉센서와 연계되어 지침이 접촉센서에 접촉하면 조리용기 내부의 온도가 임계온도에 도달한 정보를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송신하는 통신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Description

조리용기의 온도 정보 제어 장치{Temperature information control device for cooking vessel}
본 발명은 조리용기의 뚜껑에 설치되는 온도 정보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열수단에 의해 조리용기 내의 음식물이 가열되면서 조리용기의 내부 온도가 일정 온도에 도달하면 이를 감지하여 원격 위치에 있는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 또는 RF신호기나 리모콘 등으로 알려주게 됨과 아울러 더 나아가 조리용기에 대한 가열 여부를 제어하게 되는 조리용기의 온도 정보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식을 조리하는 조리용기에는 냄비, 전기밥솥, 후라이팬 등 다양한 것들이 있는데, 전기밥솥의 경우에는 자체 내장된 제어시스템에 의하여 조리의 시작부터 종료까지 자동 취사가 가능하지만, 일반적인 냄비 등의 경우에는 조리가 끝날 때까지 사용자가 가스레인지와 같은 가열장치를 직접 제어하여야 한다. 따라서, 조리용기를 가열장치로 가열하여 조리를 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다른 일을 한다든지 잠깐 외출을 하는 경우, 조리용기가 과열되어 음식물을 태우거나 심지어 화재가 발생하기까지 하는 문제가 일어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기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 1(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100960호)은 조리온도 검지수단을 구비한 조리용기를 개시하고 있다. 즉, 이 특허문헌 1의 조리용기는 조리용기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 조리용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를 지지부에 배치하고, 과도한 과열로 인해 조리용기의 온도가 일정 온도를 초과하고 있다는 사실을 온도감지센서가 감지하면 이를 점등지시수단과 음향지시수단에 의해 시각 및 청각적으로 전달하게 된다. 그런데, 이 조리용기는 온도감지센서가 조리용기의 손잡이나 손잡이 지지부에 설치가 되기 때문에 조리용기 내부의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가 없다. 따라서, 조리용기 내의 온도가 과열되어 음식물이 타거나 넘친 이후에야 온도감지센서가 과열을 감지하여 점등지시수단과 음향지시수단이 작동하게 되므로, 실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조리용기 근처에 사용자가 위치하고 있어야만 점등지시수단과 음향지시수단에 의한 시각 및 청각적 신호를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격 위치에 있을 경우에는 전혀 실효성이 없다.
또, 특허문헌 2(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11-0096201호)는 자동온도조절이 가능한 조리기를 개시하고 있는데, 이것은 조리구의 온도를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를 구비하고, 이 적외선 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에 따라 열원의 공급을 제어하게 된다. 그런데, 이 조리기의 경우에는 적외선 센서가 조리구의 하부에 장착이 되기 때문에, 조리구 내부의 온도가 아닌 조리구 외부의 온도를 감지하게 되므로 특허문헌 1과 같이 조리기 내부의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가 없다. 게다가 적외선 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에 따라 조리기의 열원 공급이 차단될 뿐, 사용자에게 정보 전달이 이루어지지 않아 조리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한편, 특허문헌 3(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13-0114206호)은 조리용기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전자모듈을 개시하고 있다. 이것은 조리용기의 바닥 온도를 감지하는 바닥센서를 구비하고 있고, 이 바닥센서가 감지한 조리용기의 바닥 온도를 통신장치가 조리대의 제어부 또는 조절부로 신호 전달하여 조리용기 안의 음식물을 조리하는 온도를 효과적으로 조절하고자 한 것이다. 그러나, 이 특허에 있어서도 조리용기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가 조리용기의 바닥 부분에 설치되기 때문에 조리용기 내의 조리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가 없고,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온도를 조절할 수는 있지만 특허문헌 2와 마찬가지로 사용자에게 조리용기의 온도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시스템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조리 상황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100960호(2011.12.20 공고)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11-0096201호(2011.08.30 공개)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13-0114206호(2013.10.16 공개)
전술한 바와 같이, 특허문헌 1∼3에 공개된 것과 같은 종래의 기술들은 조리용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들이 조리용기 내부의 온도를 가장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조리용기 내부의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가 없으며, 이 때문에 조리용기 내의 온도가 과열되어 음식물이 타거나 넘친 이후에 뒤늦게야 과열을 감지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들은 조리용기 내의 조리 온도가 일정 온도에 도달했다는 정보를 원격 위치에 있는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시스템을 구비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다른 일을 한다든지 잠깐 외출을 한 경우에 조리용기의 과열에 따른 후속 조치를 취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조리용기 내의 온도를 정확하게 감지하고, 감지된 조리용기의 내부 온도에 대한 정보를 원격 위치의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조리용기의 온도 정보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감지된 조리용기의 내부 온도 정보에 의거하여 원격 위치의 사용자가 조리용기에 대한 가열 여부를 제어할 수 있게 되는 조리용기의 온도 정보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리용기의 온도 정보 제어 장치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갖는다. 첫째, 조리용기의 뚜껑 중앙 상측에 설치된 손잡이 기둥에 내장되어 조리용기가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될 때 조리용기 내부의 열기가 유입되는 열유입관을 포함하고 있다. 둘째, 조리용기 내부의 온도를 표시하기 위한 눈금들이 매겨진 온도계 눈금판과, 이 온도계 눈금판의 눈금을 가리키는 지침과, 열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열기에 의해 작동하여 조리용기의 내부 온도에 대응하는 온도만큼 지침을 회전시키는 지침작동수단을 구비하며 손잡이 기둥에 설치되는 온도 측정부를 포함하고 있다. 셋째, 미리 설정된 조리용기 내부의 임계온도 지점에 설치되어, 조리용기의 내부 온도가 임계온도에 도달하면 온도 측정부의 지침이 접촉하게 되는 접촉센서를 포함하고 있다. 넷째, 접촉센서와 연계되어 지침이 접촉센서에 접촉하면 조리용기 내부의 온도가 임계온도에 도달한 정보를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송신하는 통신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침작동수단은, 열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조리용기 내부의 열기에 따른 온도 변화에 대응하여 길이가 변화되는 형상기억합금부재와, 이 형상기억합금부재의 길이 변화에 따라 조리용기 내부의 온도에 대응하는 만큼 회전하는 회전 샤프트와, 온도측정부의 지침을 회전 샤프트 상에 연결되는 상태로 지지하여 회전 샤프트의 회전 각도만큼 지침을 회전시키는 지침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형상기억합금부재에는 온도계 눈금판의 눈금에 대응하는 피치로 제1톱니가 형성되고, 회전 샤프트에는 제1톱니에 대응하는 피치로 제2톱니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에 설치되어 이 가열수단에 의한 조리용기의 가열 여부를 제어하는 가열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이 가열 제어부는 조리용기 내부의 온도가 임계온도에 도달하였을 때 상기 통신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조리용기의 가열 여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가열 제어부는 조리용기 내부의 온도가 임계온도에 도달하였을 때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에 의해서도 조리용기의 가열 여부를 제어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조리용기의 온도 정보 제어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조리용기의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측정부가 조리용기의 뚜껑 중앙 상측에 설치되고, 온도 측정부의 지침이 조리용기의 내부 온도를 온도계 눈금판의 눈금에 아날로그 방식으로 정확하게 가리키게 되므로, 조리용기 내부의 온도를 정확하게 감지 및 계측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조리용기의 내부 온도가 임계온도에 도달하는 경우, 해당 온도 정보를 원격 위치에 있는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 또는 RF신호기나 리모콘으로 무선 통신에 의해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다른 일을 한다든지 잠깐 외출을 한 경우에도 조리용기의 과열에 따른 후속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게 되므로, 조리용기의 과열로 인한 음식물의 손상이나 화재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 등을 이용하여 조리용기의 가열수단을 원격 제어함으로써 조리용기에 대한 가열을 중지시킬 수도 있으므로, 조리용기의 과열로 인한 화재 발생 등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증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의 온도 정보 제어 장치가 구비된 조리용기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리용기의 온도 정보 제어 장치를 구성하는 온도 측정부 및 접촉센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난 온도 측정부에서 지침이 접촉센서와 접촉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조리용기의 온도 정보 제어 장치에서 온도 측정부의 기계적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조리용기의 온도 정보 제어 장치와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 및 가열수단 간의 통신 시스템을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의 온도 정보 제어 장치가 구비된 조리용기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조리용기의 온도 정보 제어 장치를 구성하는 온도 측정부 및 접촉센서를 예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에 나타난 온도 측정부에서 지침이 접촉센서와 접촉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조리용기의 온도 정보 제어 장치에서 온도 측정부의 기계적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조리용기의 온도 정보 제어 장치와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 및 가열수단 간의 통신 시스템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의 온도 정보 제어 장치(100)는 조리용기(200)의 뚜껑(210)에 설치가 된다. 여기서, 조리용기(200)는 냄비, 전기밥솥, 후라이팬 등을 포괄하는 명칭이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서는 조리용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가 조리용기의 손잡이나 손잡이 지지부 또는 조리구의 하부라든가 조리용기의 바닥 부분에 설치됨으로 인해 조리용기 내부의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가 없지만, 본 발명의 온도 정보 제어 장치(100)는 조리용기(200)의 뚜껑(210) 중앙 상측에서 조리용기 내부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조리용기(200)의 뚜껑(210) 중앙 상측에 손잡이 기둥(211)이 설치되어 있고, 손잡이 기둥(211)의 상단 둘레에는 손잡이(212)가 구비되어 있다. 이 손잡이 기둥(211)의 내부에는, 온도 정보 제어 장치(100)의 일 구성요소인 열유입관(110)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 열유입관(110)은 조리용기(200)의 내부 중심을 향하게 된다. 그리고, 조리용기(200)가 가열수단(300)에 의해 가열될 때 조리용기(200) 내부의 열기가 이 열유입관(110)으로 유입이 되도록 열유입관(110)은 내부에 호울(110a)이 형성된 파이프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손잡이 기둥(211)에는 온도 측정부(120)가 설치되는데, 이 온도 측정부(120)는 온도계 눈금판(121)과 지침(122) 및 지침작동수단(123)을 포함하고 있다. 도 2와 도 3에 보이는 것처럼 온도계 눈금판(121)에는 조리용기(200) 내부의 온도를 표시하기 위한 눈금들이 매겨져 있는데, 예를 들어 0℃∼120℃에 해당하는 눈금들이 매겨져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지침(122)은 조리용기(200) 내부로부터 온도 측정부(120)로 전달되는 온도에 따라 온도계 눈금판(121)의 눈금을 가리키게 된다. 또, 지침작동수단(123)은 조리용기(200) 내부로부터 열유입관(110)을 통해 유입되는 열기에 의해 작동하여 조리용기(200)의 내부 온도에 대응하는 온도만큼 지침(122)을 회전시키게 된다.
지침작동수단(123)에 대한 실시예가 도 4에 나타나 있는데, 형상기억합금부재(123a)와 회전 샤프트(123b) 및 지침지지부(123c)을 포함하고 있다. 형상기억합금부재(123a)는 지지부재(123d)에 의해 손잡이 기둥(211)의 내부 측벽에 지지되면서 지지부재(123d)와 열유입관(110)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자유롭게 변형이 될 수 있도록 설치가 된다. 형상기억합금부재(123a)는 온도 변화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신장되거나 복원이 되는 형상기억합금(Shape Memory Alloy)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조리용기(200)가 가열수단(300)에 의해 가열되어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발생한 열기가 열유입관(110)의 호울(110a)을 통해 형상기억합금부재(123a)의 일단부 측에 도달하게 되면, 형상기억합금부재(123a)가 신장된다. 즉, 형상기억합금부재(123a)는, 열유입관(110)을 통해 유입된 조리용기(200) 내부의 열기에 따른 온도 변화에 대응하여 규칙적으로 일정하게 길이가 변화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형상기억합금부재(123a)에는 온도계 눈금판(121)의 눈금에 대응하는 피치로 제1톱니(123aa)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예컨대 조리용기(200) 내부의 온도가 1℃ 상승하면 형상기억합금부재(123a)가 제1톱니(123aa)의 한 피치만큼 신장되는 식으로 길이가 변화된다.
그리고, 회전 샤프트(123b)는 손잡이 기둥(211)의 내부 일측에 베이스 부재(123e)를 매개로 지지되면서 형상기억합금부재(123a)의 길이 변화에 따라 조리용기(200) 내부의 온도에 대응하는 만큼 회전하게 된다. 특히, 회전 샤프트(123b)의 외주면에는 형상기억합금부재(123a)의 제1톱니(123aa)에 대응하는 피치로 제2톱니(123ba)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제1톱니(123aa)와 제2톱니(123ba)가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조리용기(200) 내부의 온도 변화에 따라 형상기억합금부재(123a)가 신장되거나 복원될 때 형상기억합금부재(123a)의 제1톱니(123aa)와 회전 샤프트(123b)의 제2톱니(123ba)가 맞물린 상태에서 제2톱니(123ba)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게 된다.
지침지지부(123c)는 회전 샤프트(123b)의 상단 측에 구비되어 지침(122)을 회전 샤프트(123b) 상에 연결하는 상태로 지지함으로써, 회전 샤프트(123b)의 회전 각도만큼 지침(122)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2와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온도계 눈금판(121)의 일지점 상에 접촉센서(130)가 설치되어 있다. 즉, 접촉센서(130)는 미리 설정된 조리용기 내부의 임계온도 지점(예를 들면, 조리용기 내부의 온도가 100℃ 이상인 고온에 해당하는 온도 눈금)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조리용기(200) 내부에 음식물이 담긴 상태에서 가열수단(300)에 의해 가열 조리가 이루어져 조리용기(200) 내부의 온도가 상기 임계온도에 도달하게 되면, 도 3에 보이는 것처럼 온도 측정부(120)의 지침(122)이 해당 임계온도의 눈금에 이르러 접촉센서(130)와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접촉센서(1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제어수단(140)과 연계되어 있다. 즉, 통신제어수단(140)은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400, 예를 들면 스마트폰) 또는 RF신호기나 리모콘 등을 상대로 와이파이(WiFi)나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RF 통신(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등의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는 무선 통신부(142)를 구비하고 있고, 접촉센서(130)와 연계되어 접촉센서(130)로부터 온도 측정부(120)의 지침(122)이 접촉센서(130)와 접촉한 신호를 수신하여 무선 통신부(142)로 하여금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400) 또는 RF신호기나 리모콘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인 MCU(Micro Controller Unit : 141)를 탑재하고 있다. 따라서, 조리용기(200) 내부의 온도가 상기 임계온도에 도달함에 따라 온도 측정부(120)의 지침(122)이 접촉센서(130)와 접촉하게 되면, 그 접촉 신호가 MCU(141)로 전송되고, MCU(141)는 무선 통신부(142)를 제어하여 지침(122)와 접촉센서(130)의 접촉 신호 정보를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400) 또는 RF신호기나 리모콘으로 전송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조리용기(200)를 가열하는 가열수단(300)은 가열수단(300)에 의한 조리용기(200)의 가열 여부를 제어하는 가열 제어부(310)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가열수단(300)에 의해 조리용기(300)가 가열됨에 따라 조리용기(200) 내부의 온도가 임계온도에 도달하게 되면,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온도 측정부(120)의 지침(122)이 접촉센서(130)와 접촉하게 되고, 그 접촉 신호 정보가 통신제어수단(140)에 의해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400, 예를 들면 스마트폰) 또는 RF신호기나 리모콘으로 전송이 되는데, 이동통신단말기(400) 또는 RF신호기나 리모콘에는 가열수단(300)의 가열 제어부(310)를 제어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탑재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기(400) 또는 RF신호기나 리모콘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가열수단(300)의 가열 제어부(310)로 제어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가열 제어부(310)로 하여금 가열수단(300)이 조리용기(200)에 대한 가열을 중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조리용기(200) 내부의 온도가 임계온도에 도달하였을 때, 가열 제어부(310)가 통신제어수단(140)의 제어에 따라 조리용기(200)의 가열 여부를 제어할 수도 있다
<실시예의 작용>
먼저,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이 담긴 조리용기(200)에 본 발명의 온도 정보 제어 장치(100)가 설치된 뚜껑(210)을 덮은 상태에서 가열수단(300)을 이용하여 조리용기(200)를 가열한다. 조리용기(200)가 가열됨에 따라 조리용기(200)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여 조리용기(200) 내의 음식물이 조리되기 시작하고, 그 열기가 조리용기(200)의 뚜껑(210)으로 상승하며 뚜껑(210)의 중앙 상측에 위치한 손잡이 기둥(211)에 설치된 본 발명의 온도 정보 제어 장치(100) 측으로 전달이 된다.
즉, 온도 정보 제어 장치(100)의 열유입관(110)을 통해 조리용기(200) 내부의 열기가 지침작동수단(123)의 형상기억합금부재(123a) 측에 도달하고, 이에 따라 형상기억합금부재(123a)가 길이방향으로 신장 변형이 된다. 그리고, 형상기억합금부재(123a)의 제1톱니(123aa)가 회전 샤프트(123b)의 제2톱니(123ba)와 한 피치씩 맞물려가면서 회전 샤프트(123b)를 회전시킨다.
그러면, 회전 샤프트(123b)의 상단측에 위치한 지침지지부(123c)에 결합되어 있는 지침(122)이 온도계 눈금판(121) 상에서 조리용기(200) 내부의 상승하는 온도만큼씩 눈금을 가리키면서 회전한다.
조리용기(200) 내부의 온도가 임계온도(즉 음식물의 조리가 완성되는 온도로서, 예컨대 100℃ 이상)에 이르면, 온도 측정부(120)의 지침(122)이 접촉센서(130)와 접촉하게 된다.
이렇게 지침(122)이 접촉센서(130)와 접촉하면, 그 접촉 신호가 통신제어수단(140)의 MCU(141)로 전송이 되고, MCU(141)는 조리용기(200) 내부의 온도가 임계온도에 도달하였음을 인지하여 무선 통신부(142)로 하여금 원격 위치에 있는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400) 또는 RF신호기나 리모콘으로 조리용기(200) 내부의 온도가 임계온도에 도달하였다는 신호 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원격 위치의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기(400)로 전송된 신호 정보를 인지함으로써 조리용기(200)에 의해 음식물의 조리 온도가 임계온도에 도달하였음을 확인하고, 이동통신단말기(400) 또는 RF신호기나 리모콘에 탑재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가동하여 가열수단(300)의 가열 제어부(310)로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즉,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가열 제어부(310)로 하여금 가열수단(300)이 조리용기(200)에 대한 가열을 중지하도록 제어함으로써, 더 이상 조리용기(200)가 가열되는 데에 따르는 과열이나 음식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혹은, 조리용기(200) 내부의 온도가 임계온도에 도달하였을 때, 가열수단(300)에 설치된 가열 제어부(310)가 통신제어수단(140)의 제어에 따라 조리용기(200)의 가열 여부를 제어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온도 정보 제어 장치(100)를 구성하는 온도 측정부(120)가 조리용기(200)의 뚜껑(210) 중앙 상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조리용기(200)의 내부 온도에 대응하여 온도 측정부(120)의 지침(122)이 해당 온도를 온도계 눈금판(121)의 눈금을 정확하게 가리키게 되므로, 조리용기(200) 내부의 온도를 정확하게 감지 및 계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조리용기(200)의 내부 온도가 임계 온도에 도달하게 되면, 그 정보를 원격 위치에 있는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400) 또는 RF신호기나 리모콘으로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전송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다른 일을 한다든지 잠깐 외출을 한 경우에도 조리용기(200)의 과열에 따른 후속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400) 또는 RF신호기나 리모콘을 이용하여 조리용기(200)의 가열수단(300)을 원격 제어함으로써 조리용기(200)에 대한 가열을 중지시킬 수도 있으므로, 조리용기(200)의 과열로 인한 화재 발생 등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0 : 온도 정보 제어 장치 110 : 열유입관
110a : 호울 120 : 온도 측정부
121 : 온도계 눈금판 122 : 지침
123 : 지침작동수단 123a : 형상기억합금부재
123aa : 제1톱니 123b : 회전 샤프트
123ba : 제2톱니 123c : 지침지지부
123d : 지지부재 123e : 베이스 부재
130 : 접촉센서 140 : 통신제어수단
141 : MCU 142 : 무선 통신부
200 : 조리용기 210 : 뚜껑
211 : 손잡이 기둥 212 : 손잡이
300 : 가열수단 310 : 가열 제어부
400 : 이동통신단말기

Claims (5)

  1. 조리용기의 뚜껑 중앙 상측에 설치된 손잡이 기둥에 내장되어 상기 조리용기가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될 때 조리용기 내부의 열기가 유입되는 열유입관;
    상기 조리용기 내부의 온도를 표시하기 위한 눈금들이 매겨진 온도계 눈금판과, 이 온도계 눈금판의 눈금을 가리키는 지침과, 상기 열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열기에 의해 작동하여 상기 조리용기의 내부 온도에 대응하는 온도만큼 상기 지침을 회전시키는 지침작동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손잡이 기둥에 설치되는 온도 측정부;
    미리 설정된 조리용기 내부의 임계온도 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조리용기의 내부 온도가 상기 임계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온도 측정부의 지침이 접촉하게 되는 접촉센서;
    상기 접촉센서와 연계되어 상기 지침이 접촉센서에 접촉하면 상기 조리용기 내부의 온도가 임계온도에 도달한 정보를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 또는 RF신호기나 리모콘으로 송신하는 통신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온도 측정부의 상기 지침작동수단은, 상기 열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상기 조리용기 내부의 열기에 따른 온도 변화에 대응하여 길이가 변화되는 형상기억합금부재와, 이 형상기억합금부재의 길이 변화에 따라 상기 조리용기 내부의 온도에 대응하는 만큼 회전하는 회전 샤프트와, 상기 온도측정부의 지침을 상기 회전 샤프트 상에 연결되는 상태로 지지하여 상기 회전 샤프트의 회전 각도만큼 상기 지침을 회전시키는 지침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조리용기의 온도 정보 제어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기억합금부재에는 상기 온도계 눈금판의 눈금에 대응하는 피치로 제1톱니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 샤프트에는 상기 제1톱니에 대응하는 피치로 제2톱니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의 온도 정보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에 설치되어 이 가열수단에 의한 상기 조리용기의 가열 여부를 제어하는 가열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열 제어부는 상기 조리용기 내부의 온도가 임계온도에 도달하였을 때 상기 통신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조리용기의 가열 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의 온도 정보 제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제어부는 상기 조리용기 내부의 온도가 임계온도에 도달하였을 때 상기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에 의해서도 상기 조리용기의 가열 여부를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의 온도 정보 제어 장치.
KR1020140172800A 2014-12-04 2014-12-04 조리용기의 온도 정보 제어 장치 KR101551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2800A KR101551776B1 (ko) 2014-12-04 2014-12-04 조리용기의 온도 정보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2800A KR101551776B1 (ko) 2014-12-04 2014-12-04 조리용기의 온도 정보 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1776B1 true KR101551776B1 (ko) 2015-09-11

Family

ID=54247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2800A KR101551776B1 (ko) 2014-12-04 2014-12-04 조리용기의 온도 정보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17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38590A (zh) * 2019-08-30 2021-03-05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泄压装置、烹饪器具、烹饪方法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0606B1 (ko) * 2000-12-08 2003-07-07 권만현 조리 용기의 조리시간 조절장치
JP2009125286A (ja) * 2007-11-22 2009-06-11 Zojirushi Corp 調理器システム及び調理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0606B1 (ko) * 2000-12-08 2003-07-07 권만현 조리 용기의 조리시간 조절장치
JP2009125286A (ja) * 2007-11-22 2009-06-11 Zojirushi Corp 調理器システム及び調理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38590A (zh) * 2019-08-30 2021-03-05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泄压装置、烹饪器具、烹饪方法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2438590B (zh) * 2019-08-30 2022-02-11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泄压装置、烹饪器具、烹饪方法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25143B1 (en) Hanger-type cooking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KR101959100B1 (ko) 조리 기구를 위한 제어, 조절 및 조작 장치
EP2775212B1 (en) Method of operating a cooking appliance, control unit and cooking applicance
JP6961645B2 (ja) 調理装置及び調理システム
JP2010530261A (ja) 調理容器の動作状態を表示する機器
WO2014006405A1 (en) A water heater
CN113544435B (zh) 用于具有气体燃烧器的灶台器具的温度探头
JP4660623B2 (ja) 誘導加熱調理器
KR20170035852A (ko) 용기받침대
KR101551776B1 (ko) 조리용기의 온도 정보 제어 장치
GB2553906A (en) Induction heated cooking vessel
KR102310276B1 (ko) 정전용량 센서와 열전대를 이용하여 조리용기 감지 및 가열부를 제어하는 전기레인지
GB2552531A (en) Temperature sensor in induction cooker
JP6425608B2 (ja) 温度検知装置および加熱調理器
KR101919960B1 (ko) 중량 측정 기능을 가진 가열 장치
KR200481289Y1 (ko) 가열 조리장치
CN215597356U (zh) 防干烧感温探头、防干烧装置及灶具
CN215597353U (zh) 防干烧感温探头、防干烧装置及灶具
US20230094391A1 (en) Household appliance with acceleration detection and/or measuring means and control un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household appliance
CN215597349U (zh) 防干烧感温探头、防干烧装置及灶具
CN215597354U (zh) 防干烧感温探头、防干烧装置及灶具
KR102252570B1 (ko) 정전용량 센서를 이용하여 조리용기 형상 및 크기를 인식할 수 있는 전기레인지
US20220057272A1 (en) Adjustable wireless cooking probe
JP6509388B2 (ja) 温度検知装置および加熱調理器
EP3402310A1 (en) Detecting system for a dry condition of a vess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