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1570B1 - 척추측만증 교정장치 - Google Patents

척추측만증 교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1570B1
KR101551570B1 KR1020140049576A KR20140049576A KR101551570B1 KR 101551570 B1 KR101551570 B1 KR 101551570B1 KR 1020140049576 A KR1020140049576 A KR 1020140049576A KR 20140049576 A KR20140049576 A KR 20140049576A KR 101551570 B1 KR101551570 B1 KR 101551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supporting
scoliosis
hip
be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9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우진
Original Assignee
최우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우진 filed Critical 최우진
Priority to KR1020140049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15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1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1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61H1/0222Traction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5Moveable platform, e.g. vibrating or oscillating platform for standing, sitting, laying, 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8Apparatus for applying pressure or blows almost perpendicular to the body or limb axis, e.g. chiropractic devices for repositioning vertebrae, correcting deform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61H15/0078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powe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2Be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Abstract

척추측만증 교정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증 교정장치는, 척추측만증 환자의 등 부분을 지지하는 등 지지용 베드; 상기 등 지지용 베드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척추측만증 환자의 엉덩이 부분을 지지하는 엉덩이 지지용 베드; 상기 엉덩이 지지용 베드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척추측만증 환자의 양 다리 부분을 지지하는 한 쌍의 다리 지지용 베드; 상기 등 지지용 베드의 양측에 배치되며, 상기 척추측만증 환자의 양 팔 부분을 지지하는 한 쌍의 팔 지지용 베드; 상기 등 지지용 베드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척추측만증 환자의 머리 부분을 지지하는 머리 지지용 베드; 및 상기 등 지지용 베드, 상기 엉덩이 지지용 베드, 상기 다리 지지용 베드, 상기 팔 지지용 베드 및 상기 머리 지지용 베드 사이에 연결되며, 척추측만증의 교정을 위하여 이웃된 한 쌍의 베드를 상대 회전시키는 자유 회전형 연결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척추측만증 교정장치{Correcting device for scoliosis}
본 발명은, 척추측만증 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전보다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이 월등히 편리하면서도 척추측만증 교정에 탁월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척추측만증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상적인 척추는 도 1의 (a)처럼 정면에서 보았을 때 일직선이며, 옆에서 보았을 때에는 경추와 요추는 앞으로 휘고(전만곡) 흉추와 천추부는 뒤로 휘어(후만곡) 있다.
이에 반해, 척추측만증은 도 1의 (b)처럼 척추가 정면에서 보았을 때 옆으로 휜 것을 지칭하나 실제로는 단순한 2차원적인 기형이 아니라 추체 자체의 회전 변형과 동반되어 옆에서 보았을 때에도 정상적인 만곡 상태가 아닌 3차원적인 기형 상태를 의미한다.
척추측만증을 일으킬 수 있는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85~90%)의 척추측만증은 그 원인을 알 수 없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러한 경우를 특발성 척추측만증이라고 한다.
참고로, 태아 때 척추 생성 과정에서 이상이 생겨 발생한 척추측만증은 선천성 척추측만증이라 하며, 이 외에 중추 신경계나 신경학적 이상으로 발생하는 신경 근육성 척추측만증, 신경 섬유종에 의한 척추측만증과 마르팡(Marfan) 증후군 등 여러 증후군에 동반된 척추측만증 등이 알려지고 있다.
눈으로 봤을 때 서있는 위치에서 양쪽 어깨의 높이가 다르고, 양쪽 유방의 크기가 다르며, 등 뒤에서 보기에 척추가 휘어진 소견과 견갑골이 튀어나오거나, 등이 불균형적으로 튀어나온 소견이 있을 때 척추측만증 환자라 진단할 수 있다.
환자를 똑바로 선 자세에서 등을 90도 정도 앞으로 구부리게 하고 환자의 뒤쪽에서 관찰하면, 등이 휜 것과 견갑골이나 갈비뼈가 한쪽만 튀어나온 모습을 가장 확실하게 볼 수 있으므로, 조기 진단에 큰 도움을 주며 학교 집단 검진이나 가정에서 쉽게 검사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다.
척추 변형에 통증이 동반되는지의 여부는 큰 의미를 갖는다. 소아나 청소년기의 척추 변형은 대개 통증이 동반되지 않는다. 따라서 통증이 같이 있는 경우에는 변형과 통증을 함께 일으킬 수 있는 질병(청소년기 척추후만증, 척추 전방 전위증, 척추 부위의 종양)의 가능성을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한다.
한편, 이러한 척추측만증이 직접적으로 건강을 악화시키지는 않지만, 장기가 방치될 때, 다른 쪽의 골근계를 악화시킬 수 있고, 빠른 노화를 진행시킬 수 있다.
특히, 척추측만증 환자의 경우, 정상적인 자세를 취할 수 없기 때문에 쉽게 피로할 수 있고, 또한 미용적으로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다양한 형태의 척추측만증 교정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알려지고 있는 척추측만증 교정장치의 대다수는 의자의 형태로서, 환자가 앉은 상태에서 교정하는 것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실질적인 실효성이 낮은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으므로 새로운 형태의 척추측만증 교정장치에 대한 연구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2-0077159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9-0110390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2-0029803호
본 발명의 목적은, 종전보다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이 월등히 편리하면서도 척추측만증 교정에 탁월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척추측만증 교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척추측만증 환자의 등 부분을 지지하는 등 지지용 베드; 상기 등 지지용 베드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척추측만증 환자의 엉덩이 부분을 지지하는 엉덩이 지지용 베드; 상기 엉덩이 지지용 베드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척추측만증 환자의 양 다리 부분을 지지하는 한 쌍의 다리 지지용 베드; 상기 등 지지용 베드의 양측에 배치되며, 상기 척추측만증 환자의 양 팔 부분을 지지하는 한 쌍의 팔 지지용 베드; 상기 등 지지용 베드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척추측만증 환자의 머리 부분을 지지하는 머리 지지용 베드; 및 상기 등 지지용 베드, 상기 엉덩이 지지용 베드, 상기 다리 지지용 베드, 상기 팔 지지용 베드 및 상기 머리 지지용 베드 사이에 연결되며, 척추측만증의 교정을 위하여 이웃된 한 쌍의 베드를 상대 회전시키는 자유 회전형 연결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측만증 교정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등 지지용 베드, 상기 엉덩이 지지용 베드, 상기 다리 지지용 베드 및 상기 팔 지지용 베드 중 적어도 어느 한 베드에는 해당 베드에 지지되는 상기 등 부분, 상기 엉덩이 부분, 상기 다리 부분 및 상기 팔 부분에 대한 고정을 위한 착탈식 밴드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자유 회전형 연결모듈은 기계식 구동이 가능한 볼 로테이터일 수 있다.
상기 볼 로테이터는, 이웃된 한 쌍의 베드 중 하나의 베드에 결합되는 자유 회전형 볼; 및 상기 이웃된 한 쌍의 베드 중 나머지 베드에 결합되며, 상기 자유 회전형 볼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볼 소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볼 로테이터는, 상기 볼 소켓 쪽에서 상기 자유 회전형 볼 쪽으로 삽입되어 상기 자유 회전형 볼의 회전을 저지키는 다수의 볼 회전 저지용 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유 회전형 연결모듈은 전자적인 동작이 가능한 로봇아암일 수 있다.
상기 등 지지용 베드, 상기 엉덩이 지지용 베드, 상기 다리 지지용 베드, 상기 팔 지지용 베드 및 상기 머리 지지용 베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해당 베드의 위치를 감지하는 베드 위치 감지기; 및 상기 베드 위치 감지기의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로봇아암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등 지지용 베드, 상기 엉덩이 지지용 베드, 상기 다리 지지용 베드, 상기 팔 지지용 베드 및 상기 머리 지지용 베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베드에 마련되는 다수의 지압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등 지지용 베드, 상기 엉덩이 지지용 베드, 상기 다리 지지용 베드, 상기 팔 지지용 베드 및 상기 머리 지지용 베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베드에 마련되는 안마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리 지지용 베드와 상기 팔 지지용 베드 중 어느 하나는 포켓(pocket) 타입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전보다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이 월등히 편리하면서도 척추측만증 교정에 탁월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척추측만증 교정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정상인과 척추측만증 환자의 차이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증 교정장치의 평면 구조도이다.
도 3은 도 2의 척추측만증 교정장치에 대한 교정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정면 구조도로서 교정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측면 구조도로서 교정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자유 회전형 연결모듈의 설명을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증 교정장치에 적용되는 자유 회전형 연결모듈의 설명을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증 교정장치의 평면 구조도이다.
도 9는 도 8의 척추측만증 교정장치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증 교정장치의 평면 구조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증 교정장치의 평면 구조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증 교정장치의 정면 구조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증 교정장치의 정면 구조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증 교정장치의 평면 구조도, 도 3은 도 2의 척추측만증 교정장치에 대한 교정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의 정면 구조도로서 교정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2의 측면 구조도로서 교정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6은 자유 회전형 연결모듈의 설명을 위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증 교정장치는 종전보다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이 월등히 편리하면서도 척추측만증 교정에 탁월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등 지지용 베드(110), 엉덩이 지지용 베드(120), 한 쌍의 다리 지지용 베드(130), 한 쌍의 팔 지지용 베드(140), 머리 지지용 베드(150), 그리고 다수의 자유 회전형 연결모듈(160)을 포함할 수 있다.
등 지지용 베드(110)는 척추측만증 환자의 등 부분을 지지하는 일종의 쿠션이다. 등 지지용 베드(110)에 등 부분을 비롯하여 목이나 허리 부분도 일부 지지될 수 있다.
엉덩이 지지용 베드(120)는 등 지지용 베드(110)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척추측만증 환자의 엉덩이 부분을 지지하는 일종의 쿠션이다. 엉덩이 지지용 베드(120)에도 허리 부분이 함께 지지될 수 있다.
한 쌍의 다리 지지용 베드(130)는 엉덩이 지지용 베드(120)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척추측만증 환자의 양 다리 부분을 지지한다.
한 쌍의 팔 지지용 베드(140)는 등 지지용 베드(110)의 양측에 배치되며, 척추측만증 환자의 양 팔 부분을 지지한다.
그리고 머리 지지용 베드(150)는 등 지지용 베드(110)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척추측만증 환자의 머리 부분을 지지한다. 머리 지지용 베드(150)에 척추측만증 환자의 목 부분이 함께 지지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등 지지용 베드(110), 엉덩이 지지용 베드(120), 한 쌍의 다리 지지용 베드(130), 한 쌍의 팔 지지용 베드(140), 그리고 머리 지지용 베드(150)는 모두는 독립적으로 마련되는 일종의 쿠션으로서, 각기 해당 위치에서 척추측만증 환자의 등 부분, 엉덩이 부분, 다리 부분, 팔 부분, 머리 부분을 지지한다.
척추측만증의 교정 작업은 천천히 그리고 많은 시간에 걸쳐 진행되기 때문에 등 지지용 베드(110), 엉덩이 지지용 베드(120), 한 쌍의 다리 지지용 베드(130), 한 쌍의 팔 지지용 베드(140), 그리고 머리 지지용 베드(150)는 모두는 환자의 신체에 부담을 주지 않는 편안한 쿠션감을 갖는 것이 좋다.
만약, 등 지지용 베드(110), 엉덩이 지지용 베드(120), 한 쌍의 다리 지지용 베드(130), 한 쌍의 팔 지지용 베드(140), 그리고 머리 지지용 베드(150)가 메모리폼으로 제작될 경우, 환자의 신체에 적응적으로 잘 맞아 척추측만증의 교정 작업이 편안한 상태에서 잘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등 지지용 베드(110), 엉덩이 지지용 베드(120), 한 쌍의 다리 지지용 베드(130), 한 쌍의 팔 지지용 베드(140), 그리고 머리 지지용 베드(150)에 누운 환자가 임으로 움직여서는 아니 되므로 이들에는 착탈식 밴드(170)가 갖춰진다.
머리 지지용 베드(150)에는 착탈식 밴드(170)가 갖춰질 필요가 없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등 지지용 베드(110), 엉덩이 지지용 베드(120), 다리 지지용 베드(130) 및 팔 지지용 베드(140)에 착탈식 밴드(170)가 갖춰져서 해당 위치에서 등 부분, 엉덩이 부분, 다리 부분 및 팔 부분을 고정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척추측만증 환자에 대한 척추측만증 교정 작업은 예컨대, 도 3 내지 도 5처럼 등 지지용 베드(110), 엉덩이 지지용 베드(120), 한 쌍의 다리 지지용 베드(130), 한 쌍의 팔 지지용 베드(140), 그리고 머리 지지용 베드(150)를 통해 척추측만증 환자가 누운 상태에서 등 지지용 베드(110), 엉덩이 지지용 베드(120), 한 쌍의 다리 지지용 베드(130), 한 쌍의 팔 지지용 베드(140), 그리고 머리 지지용 베드(150)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상대 회전시키면서 서서히 진행한다.
즉 도 3 내지 도 5의 실선에서 점선처럼 등 지지용 베드(110), 엉덩이 지지용 베드(120), 한 쌍의 다리 지지용 베드(130), 한 쌍의 팔 지지용 베드(140), 그리고 머리 지지용 베드(150)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상대 회전시키면서 척추측만증의 교정 작업을 진행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다수의 자유 회전형 연결모듈(160)이 갖춰진다.
다수의 자유 회전형 연결모듈(160)은 등 지지용 베드(110), 엉덩이 지지용 베드(120), 다리 지지용 베드(130), 팔 지지용 베드(140) 및 머리 지지용 베드(150) 사이에 연결되며, 척추측만증의 교정을 위하여 이웃된 한 쌍의 베드(110~150)를 상대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6에는 등 지지용 베드(110)와 엉덩이 지지용 베드(120) 사이에 배치되는 자유 회전형 연결모듈(160)의 구조에 대해 도시하고 있는데, 나머지 위치의 자유 회전형 연결모듈(160) 역시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자유 회전형 연결모듈(160)은 기계식 구동이 가능한 볼 로테이터(160)로 적용된다.
이러한 볼 로테이터(16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된 한 쌍의 베드(110,120) 중 하나의 베드(110)에 결합되는 자유 회전형 볼(161)과, 이웃된 한 쌍의 베드(110,120) 중 나머지 베드(120)에 결합되며, 자유 회전형 볼(16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볼 소켓(162)을 포함한다.
볼 소켓(162)이 자유 회전형 볼(161)을 감싸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자유 회전형 볼(161)은 볼 소켓(162) 내에서 자유 회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작용을 통해 각 베드(110~150)들은 이웃된 것에 대해 자유롭게 상대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2차원 평면 구조가 아닌 즉, 3차원 입체 구조로 각 베드(110~150)들을 도 3 내지 도 5처럼 상대 회전시킬 수 있어 척추측만증의 교정 작업을 진행하는 데에 유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척추측만증 교정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척추측만증 환자가 사전에 미리 검사하여 자신의 척추측만증 정도를 알아낸 후, 그에 맞게 각 베드(110~150)들을 도 3 내지 도 5의 점선처럼 변형시켜 둔다. 이때는 볼 로테이터(160)를 이용하여 각 베드(110~150)들을 동작시킬 수 있다.
그런 다음, 변형된 베드(110~150)들 상에 눕는다. 그리고는 착탈식 밴드(170)를 이용하여 신체의 각 부위를 고정시킨다.
준비가 완료되면, 변형된 베드(110~150)들을 원상태로 조금씩 움직여 가면서 척추측만증 교정 작업을 진행하면 된다.
이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종전보다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이 월등히 편리하면서도 척추측만증 교정에 탁월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증 교정장치에 적용되는 자유 회전형 연결모듈의 설명을 위한 도면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증 교정장치에도 도 3 내지 도 5의 실선에서 점선처럼 등 지지용 베드(110), 엉덩이 지지용 베드(120), 한 쌍의 다리 지지용 베드(130), 한 쌍의 팔 지지용 베드(140), 그리고 머리 지지용 베드(150)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상대 회전시키기 위해 다수의 자유 회전형 연결모듈(260)이 마련된다.
이때의 자유 회전형 연결모듈(260) 역시, 기계식 구동이 가능한 볼 로테이터(260)로 적용되며, 볼 로테이터(260)는 이웃된 한 쌍의 베드(110,120) 중 하나의 베드(110)에 결합되는 자유 회전형 볼(261)과, 이웃된 한 쌍의 베드(110,120) 중 나머지 베드(120)에 결합되며, 자유 회전형 볼(26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볼 소켓(262)과, 볼 소켓(262) 쪽에서 상기 자유 회전형 볼(261) 쪽으로 삽입되어 자유 회전형 볼(261)의 회전을 저지키는 다수의 볼 회전 저지용 키(263)를 포함한다.
이처럼 다수의 볼 회전 저지용 키(263)가 적용됨으로써 자유 회전형 볼(261)이 임의로 회전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종전보다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이 월등히 편리하면서도 척추측만증 교정에 탁월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증 교정장치의 평면 구조도이고, 도 9는 도 8의 척추측만증 교정장치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증 교정장치에도 도 3 내지 도 5의 실선에서 점선처럼 등 지지용 베드(110), 엉덩이 지지용 베드(120), 한 쌍의 다리 지지용 베드(130), 한 쌍의 팔 지지용 베드(140), 그리고 머리 지지용 베드(150)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상대 회전시키기 위해 다수의 자유 회전형 연결모듈(360)이 마련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자유 회전형 연결모듈(360)은 전자적인 동작이 가능한 로봇아암(360)으로 적용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로봇아암(360)의 적용을 위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드 위치 감지기(370)와 컨트롤러(380)가 더 적용될 수 있다.
베드 위치 감지기(370)는 등 지지용 베드(110), 엉덩이 지지용 베드(120), 다리 지지용 베드(130), 팔 지지용 베드(140) 및 머리 지지용 베드(1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해당 베드(110~150)의 위치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컨트롤러(380)는 베드 위치 감지기(370)의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로봇아암(360)의 동작을 컨트롤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컨트롤러(380)는 중앙처리장치(381, CPU), 메모리(382, MEMORY), 서포트 회로(38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381)는 본 실시예에서 베드 위치 감지기(370)의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로봇아암(360)의 동작을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38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381)와 연결된다. 메모리(38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이다.
서포트 회로(38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381)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383)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380)는 베드 위치 감지기(370)의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로봇아암(360)의 동작을 컨트롤한다. 이때, 컨트롤러(380)가 베드 위치 감지기(370)의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로봇아암(360)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일련의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38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38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종전보다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이 월등히 편리하면서도 척추측만증 교정에 탁월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증 교정장치의 평면 구조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척추측만증 교정장치 역시, 등 지지용 베드(110), 엉덩이 지지용 베드(120), 한 쌍의 다리 지지용 베드(130), 한 쌍의 팔 지지용 베드(140) 및 머리 지지용 베드(150)와, 이들 베드(110~150)들을 상대 회전시키기 위한 다수의 자유 회전형 연결모듈(160)과, 다수의 착탈식 밴드(17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등 지지용 베드(110), 엉덩이 지지용 베드(120), 다리 지지용 베드(130), 팔 지지용 베드(140) 및 머리 지지용 베드(150)에는 다수의 지압돌기(460)가 마련된다.
척추측만증 교정 작업은 서서히 장기간에 걸쳐 진행되는 것이기 때문에 베드(110~150)들에 오래 누워있기 마련인데, 이때 지압돌기(460)들이 베드(110~150)들에 마련됨으로써 혈액순환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지압돌기(460)들이 베드(110~150)들 모두에 마련되고 있으나 지압돌기(460)들은 베드(110~150)들 중 일부에만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의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종전보다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이 월등히 편리하면서도 척추측만증 교정에 탁월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증 교정장치의 평면 구조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척추측만증 교정장치 역시, 등 지지용 베드(110), 엉덩이 지지용 베드(120), 한 쌍의 다리 지지용 베드(130), 한 쌍의 팔 지지용 베드(140) 및 머리 지지용 베드(150)와, 이들 베드(110~150)들을 상대 회전시키기 위한 다수의 자유 회전형 연결모듈(160)과, 다수의 착탈식 밴드(17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등 지지용 베드(110), 엉덩이 지지용 베드(120), 다리 지지용 베드(130), 팔 지지용 베드(140) 및 머리 지지용 베드(150)에는 다수의 안마롤러(560)가 마련된다.
척추측만증 교정 작업은 서서히 장기간에 걸쳐 진행되는 것이기 때문에 베드(110~150)들에 오래 누워있기 마련인데, 이때 안마롤러(560)들이 베드(110~150)들에 마련됨으로써 신체에 안마효과를 제공하여 근육의 이완 작용뿐만 아니라 혈액순환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안마롤러(560)가 베드(110~150)들 모두에 마련되고 있으나 안마롤러(560)는 베드(110~150)들 중 일부에만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의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종전보다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이 월등히 편리하면서도 척추측만증 교정에 탁월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증 교정장치의 정면 구조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척추측만증 교정장치 역시, 등 지지용 베드(110), 엉덩이 지지용 베드(미도시), 한 쌍의 다리 지지용 베드(미도시), 한 쌍의 팔 지지용 베드(640) 및 머리 지지용 베드(150)와, 이들 베드(110~150)들을 상대 회전시키기 위한 다수의 자유 회전형 연결모듈(160)과, 다수의 착탈식 밴드(17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에서, 팔 지지용 베드(640)는 전술한 실시예에 적용된 것들과 달리 포켓(pocket) 타입으로 적용된다. 물론, 다리 지지용 베드 역시, 포켓(pocket) 타입으로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팔 지지용 베드(640)가 포켓(pocket) 타입으로 적용될 경우, 팔 지지용 베드(640) 내에 팔을 넣고 척추측만증 교정 작업을 진행할 있다. 따라서 팔 지지용 베드(640)에는 착탈식 밴드(170)가 필요치 않다.
만약, 팔 지지용 베드(640)에 온열 기능 등을 부가한다면 척추측만증 교정 작업의 진행 중 팔에 대한 찜질 기능을 부가할 수 있어 혈액순환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의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종전보다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이 월등히 편리하면서도 척추측만증 교정에 탁월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증 교정장치의 정면 구조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척추측만증 교정장치 역시, 등 지지용 베드(710), 엉덩이 지지용 베드(720), 한 쌍의 다리 지지용 베드(130), 한 쌍의 팔 지지용 베드(140) 및 머리 지지용 베드(150)와, 이들 베드(110~150)들을 상대 회전시키기 위한 다수의 자유 회전형 연결모듈(160)과, 다수의 착탈식 밴드(17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등 지지용 베드(710)와 엉덩이 지지용 베드(720)는 그 폭이 가변 가능하게 마련된다. 다시 말해, 등 지지용 베드(710)와 엉덩이 지지용 베드(720)는 화살표처럼 그 사이즈(폭)가 조절될 수 있다.
이처럼 등 지지용 베드(710)와 엉덩이 지지용 베드(720)의 사이즈(폭)를 조절할 경우, 신체의 사이즈가 다른 남녀노소 모두에 적용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사이즈(폭) 조절 방식은 예컨대, 등 지지용 베드(710)와 엉덩이 지지용 베드(720)를 각각 2개 내지 3개의 단위베드로 만들어 이들이 서로 포개지거나 펼쳐지도록 함으로써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종전보다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이 월등히 편리하면서도 척추측만증 교정에 탁월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0 : 등 지지용 베드 120 : 엉덩이 지지용 베드
130 : 다리 지지용 베드 140 : 팔 지지용 베드
150 : 머리 지지용 베드 160 : 볼 로테이터
161 : 자유 회전형 볼 162 : 볼 소켓
170 : 착탈식 밴드

Claims (10)

  1. 척추측만증 환자의 등 부분을 지지하는 등 지지용 베드;
    상기 등 지지용 베드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척추측만증 환자의 엉덩이 부분을 지지하는 엉덩이 지지용 베드;
    상기 엉덩이 지지용 베드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척추측만증 환자의 양다리 부분을 지지하는 한 쌍의 다리 지지용 베드;
    상기 등 지지용 베드의 양측에 배치되며, 상기 척추측만증 환자의 양 팔 부분을 지지하는 한 쌍의 팔 지지용 베드;
    상기 등 지지용 베드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척추측만증 환자의 머리 부분을 지지하는 머리 지지용 베드; 및
    상기 등 지지용 베드, 상기 엉덩이 지지용 베드, 상기 다리 지지용 베드, 상기 팔 지지용 베드 및 상기 머리 지지용 베드 사이에 연결되며, 척추측만증의 교정을 위하여 이웃된 한 쌍의 베드를 상대 회전시키는 자유 회전형 연결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자유 회전형 연결모듈은 기계식 구동이 가능한 볼 로테이터이며,
    상기 볼 로테이터는,
    이웃된 한 쌍의 베드 중 하나의 베드에 결합되는 자유 회전형 볼;
    상기 이웃된 한 쌍의 베드 중 나머지 베드에 결합되며, 상기 자유 회전형 볼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볼 소켓; 및
    상기 볼 소켓 쪽에서 상기 자유 회전형 볼 쪽으로 삽입되어 상기 자유 회전형 볼의 회전을 저지키는 다수의 볼 회전 저지용 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측만증 교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 지지용 베드, 상기 엉덩이 지지용 베드, 상기 다리 지지용 베드 및 상기 팔 지지용 베드 중 적어도 어느 한 베드에는 해당 베드에 지지되는 상기 등 부분, 상기 엉덩이 부분, 상기 다리 부분 및 상기 팔 부분에 대한 고정을 위한 착탈식 밴드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측만증 교정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 회전형 연결모듈은 로봇아암을 적용하여 상기 등 지지용 베드, 상기 엉덩이 지지용 베드, 상기 다리 지지용 베드, 상기 팔 지지용 베드 및 상기 머리 지지용 베드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상대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측만증 교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등 지지용 베드, 상기 엉덩이 지지용 베드, 상기 다리 지지용 베드, 상기 팔 지지용 베드 및 상기 머리 지지용 베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해당 베드의 위치를 감지하는 베드 위치 감지기; 및
    상기 베드 위치 감지기의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로봇아암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측만증 교정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 지지용 베드, 상기 엉덩이 지지용 베드, 상기 다리 지지용 베드, 상기 팔 지지용 베드 및 상기 머리 지지용 베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베드에 마련되는 다수의 지압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측만증 교정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 지지용 베드, 상기 엉덩이 지지용 베드, 상기 다리 지지용 베드, 상기 팔 지지용 베드 및 상기 머리 지지용 베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베드에 마련되는 안마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측만증 교정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 지지용 베드와 상기 팔 지지용 베드 중 어느 하나는 포켓(pocket)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측만증 교정장치.
KR1020140049576A 2014-04-24 2014-04-24 척추측만증 교정장치 KR101551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9576A KR101551570B1 (ko) 2014-04-24 2014-04-24 척추측만증 교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9576A KR101551570B1 (ko) 2014-04-24 2014-04-24 척추측만증 교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1570B1 true KR101551570B1 (ko) 2015-09-08

Family

ID=54247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9576A KR101551570B1 (ko) 2014-04-24 2014-04-24 척추측만증 교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15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424747A1 (pl) * 2018-03-02 2019-09-09 Marek Stanisław Kluszczyński Neuro-grawitacyjny system korekcji kręgosłupa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9211B1 (ko) * 2000-11-22 2003-04-11 한헌경 척추 교정 테이블
KR200377861Y1 (ko) * 2004-12-15 2005-03-11 김용선 드롭 교정기
KR200410953Y1 (ko) * 2005-12-19 2006-03-10 김점수 스트레칭 베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9211B1 (ko) * 2000-11-22 2003-04-11 한헌경 척추 교정 테이블
KR200377861Y1 (ko) * 2004-12-15 2005-03-11 김용선 드롭 교정기
KR200410953Y1 (ko) * 2005-12-19 2006-03-10 김점수 스트레칭 베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424747A1 (pl) * 2018-03-02 2019-09-09 Marek Stanisław Kluszczyński Neuro-grawitacyjny system korekcji kręgosłup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0384B1 (ko) 척추 교정용 휠백장치
KR101173164B1 (ko) 경추 견인치료기
Kotwicki et al. Biomechanical action of a corrective brace on thoracic idiopathic scoliosis: Cheneau 2000 orthosis
KR101918256B1 (ko) 척추 측만증 보조기 관리 시스템
KR20160093231A (ko) 3d 스캐너와 3d 프린터를 이용한 척추 교정기구
KR100945059B1 (ko) 마사지 장치
CN204467522U (zh) 一种坐姿矫正椅
CN104172783B (zh) 一种坐姿矫正椅
KR101551570B1 (ko) 척추측만증 교정장치
EP2869731B1 (en) Orthopedic pillow for treatment and prevention of lumbar and thoracic spine diseases
KR101625518B1 (ko) 정형용 교정장치
KR20140112855A (ko) 삼중 곡면 구조의 등받이형 척추 교정장치
JP2005046553A (ja) 健康枕
CN204542487U (zh) 一种脊椎调整装置
CN106726052A (zh) 一种脊柱侧凸矫正和腰椎曲度调节同步实施装置
Sanders Casting for infantile idiopathic scoliosis
CN206745498U (zh) 一种脊柱侧凸矫正和腰椎曲度调节同步实施装置
US20120226311A1 (en) Configurable back orthosis
KR101687312B1 (ko) 온열 고주파 조사 밴드를 갖는 척추 재활 치료 장치
KR200474245Y1 (ko) 척추 교정과 허리 통증 완화용 받침대
Eric Jaszewski et al. Improvement in a child with scoliosis, migraines, attention deficit disorder and vertebral subluxations utilizing the pierce chiropractic technique
KR20100127429A (ko) 목 교정 받침
KR20180059305A (ko) 개인 맞춤형 척추 교정치료기
KR101126325B1 (ko) 목 교정구
CN103445900B (zh) 回归颈椎生理弧度的颈椎牵引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