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8256B1 - 척추 측만증 보조기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척추 측만증 보조기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8256B1
KR101918256B1 KR1020180053616A KR20180053616A KR101918256B1 KR 101918256 B1 KR101918256 B1 KR 101918256B1 KR 1020180053616 A KR1020180053616 A KR 1020180053616A KR 20180053616 A KR20180053616 A KR 20180053616A KR 101918256 B1 KR101918256 B1 KR 1019182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oliosis
data
patient
orthosis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3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상철
Original Assignee
원남메디칼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남메디칼 (주) filed Critical 원남메디칼 (주)
Priority to KR1020180053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82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8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82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6Back straightening devices with shoulder braces to force back the shoulder to obtain a correct curvature of the spin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rs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척추 측만증 보조기에 부착한 압력센서와, 온도센서를 통해 온도 및 압력을 측정하여 척추 측만증 환자가 척추 측만증 보조기를 착용 유무를 확인함과 아울러 측정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척추 측만증 치료에 적용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척추 측만증 보조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척추 측만증 보조기 관리 시스템은, 척추 측만증 보조기(200)와, 상기 척추 측만증 보조기(200)를 척추 측만증 환자(10)가 착용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환자 분석 서버(3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척추 측만증 보조기 관리 시스템{MANAGEMENT SYSTEM OF SCOLIOSIS BRACE}
본 발명은 척추 측만증 보조기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척추 측만증 환자가 척추 측만증 보조기를 착용하고 있는지의 여부와, 척추 측만증의 교정이 이루어지는지의 여부를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척추 측만증 보조기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척추(脊椎, spine)는 사람에 있어 목과 등, 허리, 엉덩이, 꼬리 부분에 이르기까지 주요 골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뼈를 말한다.
척추는 구체적으로 7개의 목뼈(경추), 12개의 가슴뼈(흉추), 5개의 허리뼈(요추), 5개의 엉치뼈(천추), 4개의 꼬리뼈(미추)로 구분된다.
한편, 척추 안에는 뇌에서 나온 신경다발로 척수(脊髓, spinal cord)가 존재하며, 이는 중추신경계인 뇌와 말초 신경계인 말초기관들을 잇는 역할을 한다.
위와 같이 척추는 신체의 매우 주요한 부위로써 척추 질환을 앓는 경우 일상 생활에 많은 장애를 주고 있다.
정상적인 척추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일직선이며 측면에서 보았을 때 경추와 요추는 앞으로 휘어지고(전만곡), 흉추와 천추부는 뒤로 휘어진다(후만곡). 척추 측만증은 척추가 정면에서 보았을 때 옆으로 휜 것을 지칭하나, 실제로는 단순한 2차원적인 기형이 아니라 척추체 자체의 회전 변형과 동반되어 옆에서 보았을 때에도 정상적인 만곡 상태가 아닌 3차원적인 기형 상태이다.
대표적인 척추 질환으로는 경추척추사이 원반탈출증, 척추 측만증, 요통증후군 및 척추사이 원반 탈출증 등이 있다.
특히, 척추 측만증(scoliosis)은 대표적인 척추 변형의 하나로 사람의 척추에는 '휘어져 있는 상태' 또는 '굽은 상태'를 뜻하는 '만곡'(curve)이 있는데 척추의 만곡은 정상인에게 나타나는 정상적인 만곡과 정상인에서는 볼 수 없는 비정상적인 만곡이 있다.
이와 같은 척추 측만증은 전체 척추 측만증 환자의 절반가량이 10대 청소년일 정도로 성장기에 많이 발생하고 있다.
척추 측만증을 일으킬 수 있는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대부분(85~90%)의 척추 측만증은 그 원인을 알 수 없으며, 이러한 경우를 특발성 척추 측만증이라 한다. 가장 흔한 청소년기 특발성 척추 측만증 환자는 통상 아무 증상 없이 척추의 기형만을 호소하나, 드물게 증상이 있는 경우 요통이 가장 흔한 증상이다. 측만증 환자의 요통은 정확한 빈도를 알기 어려우며 척추가 휜 부위나 휜 정도, 그리고, 척추의 퇴행성 관절염의 정도와는 관계가 없다고 알려져 있다.
특발성 척추 측만증의 치료 목적은 정도가 크지 않은 측만은 더 이상 측만이 진행되지 않도록 하고, 중등도 이상의 측만인 경우 변형을 교정 및 유지하여 신체의 균형을 얻게함으로써 신체 기능 및 신체 미용을 호전시키려는 것이다. 치료 방법의 선택은 전문적인 많은 경험과 지식을 필요로 하며 일반적인 원칙이 있으나, 환자 개개인의 정확한 평가와 분석 위에서 개별화된 방법을 취해야 한다. 운동체조요법, 척추 교정술(카이로프랙티스), 침술 요법, 전기 자극 요법 등은 뚜렷한 효과가 없다.
측만의 정도에 따라 다른 조치를 취해야 하나, 병증을 인지하지 못하거나 단순 관찰조치만 취하는 경우가 많아서 악화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척추 측만증의 치료의 목적은 경도의 만곡이 더이상 진행되지 않도록 하고, 중등도 이상의 만곡은 기형을 교정하고 그 교정을 유지시켜 신체의 균형을 획득함으로써, 신체 기능 및 신체 미용을 호전시키는 것이다.
척추 측만증을 조기에 발견한 경우 적절한 보조기 착용 등의 보존적인 방법으로도 심한 만곡으로의 진행을 막을 수 있다.
보조기 치료는 측만이 유연하여 쉽게 교정되고, 측만 각도가 20도 ~ 40도이며, 성장이 적어도 2년 이상 남아있는 환자에게 효과적이다. 특히 초경 이전 혹은 초경 후 1년 이내인 환자에게 척추의 측만이 점차 진행한다고 판단될 경우, 보조기 치료를 시행하게 된다.
보조기 착용 목적은 척추의 성장을 허용하면서 만곡을 교정하고, 환자의 성장이 완료될 때까지 교정을 유지하여 만곡의 진행을 막아 주는 것이다. 주로 사용되는 보조기는 밀워키 보조기와 흉요천추 보조기이다. 밀워키 보조기는 측만이 주로 흉추에 있을 때 사용되며 측만이 요추에 있는 경우에는 겨드랑이 밑으로 착용할 수 있는 흉요추부 보조기를 사용한다. 보조기 착용 후 4개월 ~ 6개월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치료 효과를 관찰해야 한다.
보조기 치료에도 불구하고 만곡이 진행할 확률은 10% ~ 15% 정도로 알려져 있으며, 치료의 성패 여부는 적절한 보조기의 처방 및 환자의 순응도(의사 지시대로 잘 착용하는지의 여부)에 있다. 따라서, 보조기의 착용유무와 착용시간을 확인하수 있다면 의사가 환자를 치료하는데 많은 도움이 된다.
하지만, 이러한 척추 측만증의 휨각도 증가를 방지함과 아울러 휨각도의 감소 효과를 기대하는 보조기를 환자가 항상 착용하고 있는지를 관리하는데 문제점이 있다.
즉, 환자가 보조기를 착용하고 있는지의 유무를 확인할 필요가 있으며, 보조기의 착용을 인지함으로 척추 측만을 교정하는데 많은 도움을 받을 수가 있고, 이를 관리할 시스템을 개발하면 병원에서 의사가 환자를 관리하고 치료하는데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요구를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척추 측만증 보조기에 부착한 압력센서와, 온도센서를 통해 온도 및 압력을 측정하여 척추 측만증 환자가 척추 측만증 보조기를 착용 유무를 확인함과 아울러 측정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척추 측만증 치료에 적용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척추 측만증 보조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척추 측만증 보조기 관리 시스템은, 척추 측만증 보조기(200)와, 상기 척추 측만증 보조기(200)를 척추 측만증 환자(10)가 착용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환자 분석 서버(3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척추 측만증 보조기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척추 측만증 환자(10)가 상기 척추 측만증 보조기(200)를 착용시, 상기 척추 측만증 보조기(200)는, 상기 척추 측만증 환자(10)와 상기 척추 측만증 보조기(200) 사이에 발생하는 압력을 센싱하는 압력 센서(211)와, 상기 척추 측만증 환자(10)가 상기 척추 측만증 보조기(200)를 착용시 발생하는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 센서(212)와, 상기 척추 측만증 환자(10)가 상기 척추 측만증 보조기(200)를 조임시 발생하는 인장력을 센싱하는 인장 센서(213)를 포함하는 데이터 수집부(11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척추 측만증 보조기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환자 분석 서버(300)는, 상기 데이터 수집부(210)로부터 수집된 온도 데이터와, 압력 데이터와, 인장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입력부(310)와, 상기 데이터 입력부(310)를 통해 입력된 상기 온도 데이터와, 상기 압력 데이터와, 상기 인장 데이터를 분석하는 데이터 분석부(320)와, 상기 데이터 분석부(320)에 의해 분석된 상기 온도 데이터와, 상기 압력 데이터와, 상기 인장 데이터를 축적하는 데이터 축적부(330)와, 상기 데이터 분석부(320)에 의해 분석된 상기 온도 데이터와, 상기 압력 데이터와, 상기 인장 데이터를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부(35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척추 측만증 보조기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데이터 분석부(320)는 상기 온도 센서(212)가 측정한 온도 데이터와 초기 설정된 온도 데이터를 비교하여, 척추 측만증 환자(10)가 척추 측만증 보조기를 착용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분석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척추 측만증 보조기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데이터 분석부(320)는 상기 온도 센서(212)가 측정한 온도 데이터가 초기 설정된 온도 데이터보다 높아질 경우, 척추 측만증 환자(10)가 척추 측만증 보조기를 착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척추 측만증 보조기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데이터 분석부(320)는 상기 압력 센서(211)가 측정한 압력 데이터와 초기 설정된 압력 데이터를 비교하여, 척추 측만증 환자(10)의 척추 측만증 교정 진행 현황을 분석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척추 측만증 보조기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데이터 분석부(320)는 척추 측만증 환자(10)가 척추 측만증 보조기를 착용하고 있음을 상기 온도 센서(212)가 센싱 중에 상기 압력 센서(211)가 측정한 압력 데이터가 초기 설정된 압력 데이터와 비교하여, 압력 강도가 일정하면 척추 측만증 환자(10)의 척추 측만증을 교정중인 것으로 분석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척추 측만증 보조기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데이터 분석부(320)는 척추 측만증 환자(10)가 척추 측만증 보조기를 착용하고 있음을 상기 온도 센서(212)가 센싱 중에 상기 압력 센서(211)가 측정한 압력 데이터가 초기 설정된 압력 데이터와 비교하여, 압력 강도가 약해지면 척추 측만증 환자(10)의 척추 측만증 교정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분석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척추 측만증 보조기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데이터 분석부(320)는 상기 인장 센서(213)가 측정한 인장 데이터와 초기 설정된 인장 데이터를 비교하여, 척추 측만증 환자(10)가 척추 측만증 보조기(200)를 스스로 벗는지의 여부를 분석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척추 측만증 보조기에 부착한 압력센서와, 온도센서를 통해 온도 및 압력을 측정하여 척추 측만증 환자가 척추 측만증 보조기를 착용 유무를 확인함과 아울러 측정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척추 측만증 치료에 적용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척추 측만증 환자가 척추 측만증 보조기를 착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척추 측만증 보조기를 제작하기 위한 시트용 척추 측만증 체형 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 3은 척추 측만증 체형 장치에서 척추 교정수단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측만증 보조기 관리 시스템에서, 척추 측만증 보조기와, 환자 분석 서버가 연결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측만증 보조기 관리 시스템에서 환자 분석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관련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척추 측만증 환자가 척추 측만증 보조기를 착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척추 측만증 환자(10)가 척추 측만증 보조기(200)를 착용하고 있는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치료의 대상인 척추 측만증 환자(10)가 제대로 된 치료를 받지 않을 경우, 그 측만이 어떤 경과를 보이는지는 쉽게 예측할 수 없다. 예를 들면, 어떤 환자는 측만 각도가 전혀 진행하지 않기도 하고, 다른 환자는 단시간에 급격히 측만 각도가 증가하기도 한다. 대부분의 척추 측만증은 그 측만의 정도가 심하지 않아 주기적인 관찰이 필요하다. 측만 각도가 작은 척추 측만증 환자(10)는 대략 6 ~ 8개월마다(예를 들면, 방학 때마다) 검사를 하게 되고, 측만 각도가 큰 척추 측만증 환자(10)는 3 ~ 4개월마다 단순 방사선 검사를 하게 된다. 측만 각도의 증가와 관계가 있다고 보고된 여러 인자 중 가장 널리 인정되는 인자는 나이, 즉 잔여 성장 여부와, 현재 측만의 정도이다. 따라서, 성장이 끝나지 않은 척추 측만증 환자(10)의 경우는 측만의 증가를 세밀하게 관찰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신체의 성장이 완료되면, 측만의 진행도 멈추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측만 각도가 클 경우에도 성장 완료후 미세하게 계속적인 측만 증가가 있는 것으로 학계에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척추 측만증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은 아직까지 알려지지 않았으며, 조기 발견이 가장 중요하다. 또한, 척추 측만증이 있다고 해서 운동을 제한하거나 생활 습관을 바꿀 필요는 없으며, 측만의 정도가 작은 경우는 정상인처럼 생활할 수 있다. 다만 성장이 끝날 때까지 몇 개월에 한번씩 방사선 촬영을 시행하고, 의사의 지시를 잘 따르는 것이 중요하다.
많은 환자들이 요통을 경험하고 있으며, 척추 측만증 환자(10)의 경우에는 허리가 휜 것에 의해 척추 측만증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는 경향이 있다. 지속적인 압력과 온도가 척추 측만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연구하고 관찰하여 병세의 악화로 고통받지 않도록 하며 원인이 밝혀지지 않고 현재 증가 추세에 있는 척추 측만증을 치료하기 위해, 환부의 상처발생과, 착용감, 치료 연구에도 영향을 주는 척추 측만증 보조기(200)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척추 측만증 보조기를 제작하기 위한 시트용 척추 측만증 체형 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3은 척추 측만증 체형 장치에서 척추 교정수단의 분해사시도이다.
일반적으로, 척추 측만증 보조기(200)는, 3D 스캐닝과 X-ray 진단 데이터를 활용하여 맞춤형으로 척추 측만증 보조기(200)를 제작하게 된다. 즉, 3D 스캐너 장비에 의해 척추 측만증 환자(10)의 상체 부위를 3D 스캐닝하여 신체표면정보를 생성한다. 이러한 3D 스캐너 장비는 척추 측만증 환자(10)를 치료하기 위한 병원이나 척추 교정시술원 등에 설치되거나 별도의 장소에 설치되어 척추 측만증 환자(10)의 상체부위 신체표면을 3차원으로 스캔하여 신체표면정보를 생성한다. 이와 같은 3D 스캐너 장비는 사물이나 특정 제품 등을 3D 컴퓨터 그래픽으로 모델링하는 것이 아니라 스캐너를 활용하여 물체의 외곽선의 좌표값을 추출하여, 넙스 또는 폴리곤, 패치 형식으로 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이 될 수 있다. 따라서, 3D 스캐너 장비를 통해 출력되는 신체표면정보는 척추 측만증 환자(10)의 상체부위의 신체표면으로 이루어진 정보가 된다.
또한, X-ray 촬영 장비는 X선을 인체에 투과하여 인체의 내부 구조물을 촬영하는 영상의학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는 수단으로 척추 측만증 환자(10)의 상체 부위를 X-ray 방식으로 촬영하여 척추 이미지 정보를 생성한다. 이와 같은 X-ray 촬영 장비는 X선을 이용하여 신체의 내부를 촬영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이 될 수 있고, 척추 측만증 환자(10)를 치료하기 위한 병원이나 척추 교정 시술원 등에 설치되거나 별도의 장소에 설치되어 척추 측만증 환자(10)의 상체부위를 촬영하여 척추 이미지 정보를 생성한다.
이와 같이, 척추 측만증 환자(10)의 기본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할 수 있고, 3D 스캐너 장비를 통해 생성된 신체표면정보 및 Xray 촬영 장비를 통해 생성된 척추이미지정보를 포함하는 척추 측만증 환자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이러한 환자정보는 기본정보와 신체표면정보 및 척추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후, 척추 측만증 환자정보를 기초로 척추 측만 형태와 체형을 분석하고 척추 측만에 따른 증상 및 비대칭 정도를 분석하여 분석결과 데이터를 생성한다. 즉, 3D 스캐너 장비를 통해 생성된 신체표면정보 및 X-ray 촬영 장비를 통해 생성된 척추이미지정보를 통해 척추 측만 형태를 분석할 수 있는 척추분석 프로그램에 의해 신체표면정보와 척추이미지정보 등을 통해 척추 측만증 환자(10)의 척추 상태를 분석한다. 이러한 척추분석 프로그램은 척추 측만증 환자(10)의 척추 측만 상태 내지 만곡 진행 과정 등에 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척추 측만증 환자정보를 분석하여 척추 측만증 환자(10)의 척추상태를 파악한다. 예를 들면, 상기 분석결과 데이터는 상기 척추 측만증 환자정보에서 견골기울기, 골반기울기 및 체중밸런스 등을 추출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척추 측만증 보조기(200) 제작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결과 데이터를 입력받고, 분석결과 데이터에 따른 척추 측만증 환자(10)의 신체치수와 척추 측만증 정도에 따른 척추 측만증 보조기(200)의 제작 프로그램에 의해 척추 측만증 보조기(200) 제작에 필요한 척추 측만증 보조기(200)의 제작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러한 척추 측만증 보조기(200)의 제작 데이터는 척추 측만증 환자정보에 포함된 신체치수에 맞는 의복형태의 패턴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척추 측만증 보조기(200)가 의복형태를 함에 따라 척추 측만증 환자정보에 포함된 신체치수에 맞는 의복형태의 패턴 정보로 하여 척추 측만증 보조기(200)를 제작하는 측에서는 이러한 패턴 정보에 따라 척추 측만증 환자(10)의 개인별 맞춤형 척추 측만증 보조기(200)를 바로 제작하게 된다. 여기서, 척추 측만증 보조기(200)의 제작 데이터는 척추 측만증 환자정보에 포함된 신체치수에 따라 신장과 몸무게를 기준으로 신체의 표준 치수 별로 표준 치수 정보를 설정한 테이블에서 표준 치수를 매칭하고, 분석결과 데이터에 따라 흉추 우측만곡, 요추 우측만곡, 흉요추 우측이중만곡, 흉추 좌측만곡, 요추 좌측만곡 및 흉요추 좌측이중만곡으로 설정한 테이블에서 척추상태를 매칭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척추 측만증 보조기(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3D 스캐닝과 X-ray 진단 데이터를 활용하여 맞춤형으로 척추 측만증 보조기(200)를 제작하지만, 척추 측만증 보조기(200)를 착용한 척추 측만증 환자(10)에게 척추 측만증 보조기(200)의 압력이 가해질 때 척추 측만증 환자(10)의 신체 상/하반신이 비틀어지지 않도록 하반신을 고정해주도록 척추 측만증 보조기(200)를 제작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척추 측만증 보조기(200)를 제작하기 위한 시트용 척추 측만증 체형 장치는, 베이스부(110)와, 고정틀(120)과, 견인부(130)와, 척추 교정수단(140), 및 시트부(160)로 구성되며, 이하에서는 상기 순서에 따라 설명하한다.
먼저, 베이스부(110)에 대해 설명하면, 베이스부(110)의 하단에는 체형 장치의 장소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수개의 구동바퀴(111)가 결합되어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위치를 이동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부(110)의 형상은 사각형상이 바람직하지만, 예컨대 삼각형상이나 원형의 형상 등의 다른 형상이라도 무방하다.
고정틀(120)은 베이스부(110)의 상단에 고정결합되는 수직결합대(121)와, 수직결합대(121)를 상호 연결하여 틀을 형성하는 수평결합대(122)로 이루어진다. 즉, 베이스부(110)의 상단에 수개의 수직결합대(121)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결합되어 외형을 형성하며, 수직결합대(121)의 상부에 수평결합대(122)와 수직결합대(121)를 연결하는 결합브래킷(124)에 의해 수평결합대(122)가 결합되어 고정틀(120)을 이룬다.
견인부(130)는 고정틀(120)을 형성하는 수평결합대(122)에 연장 결합되는 상부지지대(123)에 로프(131)를 통해 연결되어 상하 이동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하술할 척추 교정수단(140) 및 시트부(160)와 더불어 경부(頸部)를 견인하여 신체의 수직자세를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척추 교정수단(140)은 고정틀(120)을 형성하는 수직결합대(121)에 결합되어 상하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조절브래킷(140a)과, 조절나사부재(140b), 및 실린더결합부(150)로 구성된다. 이러한 척추 교정수단(140)은 3점압 원리(Jordan 원리)에 의해 신체부위에 압력을 가하여 척추를 바로 잡아주는 역할을 하는 장치로, 좌/우측면에 실린더결합부(150)가 각 3개씩 형성되어 있으며, 척추 교정자의 허리뒷부분 및 복부 부위를 받쳐주기 위한 받침대(170)가 전후측 수직결합대(121)에 결합되어 있다.
조절브래킷(140a)은 수직결합대(121)에 결합되어, 여기에 결합하는 후술할 실린더결합부(150)의 상하 슬라이딩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즉, 조절브래킷(140a)의 내면에 형성되는 결합공(미도시)에 수직결합대(121)가 내삽되어, 하술할 조절나사부재(140b)의 조절에 따라 상하 이동이 자유로운 구조이다.
또한, 조절나사부재(140b)는 상기 조절브래킷(140a)의 측면에 나사결합되며, 조절브래킷(140a)의 상하 슬라이딩 이동시 조여주고 풀어주는 멈춤기능을 하면서 조절브래킷(140a)의 위치(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실린더결합부(150)는 외관케이스(151a) 내부에 구비되어 구동동력인 공기압에 의해 작동하는 피스톤(미도시) 및 피스톤(미도시)의 구동에 의해 좌우 신축운동을 하는 구동로드(151b)를 포함하는 공압식실린더(151), 외관케이스(151a) 및 조절브래킷(140a)을 결합하여 주는 실린더지지대(153), 및 구동로드(151b)의 끝단에 결합되어 신체부위에 압박을 가하는 압박패드(152a)가 결합된 패드부재(152)로 구성된다.
여기서, 공압식실린더(151)는 실린더지지대(153)에 나사결합되며, 압박패드(152a)는 압박이 가해진 신체부위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부드러운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압식실린더(151)의 양단에는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전/후진용공기주입구(151c,151d)가 각각 형성되어 있어, 공기주입에 따른 압력이 형성됨에 따라 피스톤이 구동한다. 즉, 전진용공기주입구(151c)를 통해 공기가 삽입되어 공기압이 형성되면 피스톤이 전진을 하게 되면서 이에 따라 패드부재(152)가 신체에 압박을 가하게 되고, 반대로 후진용공기주입구(151d)를 통해 공기가 삽입되어 공기압이 형성되면 피스톤이 후진을 하게되면서 이에 따라 상기 패드부재(152)가 신체에 가해진 압박을 풀게 된다.
시트부(160)는 베이스부(110)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대(161), 및 지지대(161)의 상부에 결합되어 척추 교정자의 둔부를 안착/지지해주는 탄력부재(162)로 구성된다. 여기서, 지지대(161)의 상하 높낮이 조절은 수동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공압식실린더(미도시)의 구동에 의해서도 제어될 수도 있다.
보통 척추 측만증 환자(10)의 척추 교정시, 척추 교정수단(140)가 압력을 가하면서 척추 측만증 환자(10)의 신체부위를 누를 때 척추 교정수단(140)의 압박에 의해 척추 측만증 환자(10)의 상/하반신이 비틀어지게 되고, 이 경우 체형 장치에 의한 척추 교정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시트부(160)위에 척추 측만증 환자(10)가 착석을 하여 하반신을 고정한 상태에서 척추 교정수단(140)의 압박이 가해지게 되면, 신체가 일직선이 된 상태를 유지하게 해주어 올바른 교정자세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척추 측만증 환자(10)의 앉는 키 크기에 따라 지지대(161)의 높낮이 조절을 하여 척추 측만증 환자(10)를 더욱 편안하게 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시트용 척추 측만증 체형 장치의 작동상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척추 측만증 환자(10)가 체형 장치의 탄력부재(162)에 앉은 상태에서 지지대(161)의 높낮이를 조절하며, 견인부(130)를 통해 척추 측만증 환자(10)의 경부(頸部)를 고정하고, 척추 교정수단(140)의 높이를 조절하여 조절나사부재(140b)를 조여서 조절브래킷(140a)을 고정시킨다.
다음, 척추 측만증 환자(10)의 가압신체부위에 패드부재(152)가 가압할 수 있도록 공압식실린더(151)를 작동시켜 구동로드(151b)를 전진시켜 척추 교정을 하게 된다. 이때, 패드부재(152)는 3점압 원리(Jordan 원리)를 이용하여 신체의 좌/우 세 부분에 각각 사용되며, 척추 교정자의 허리뒷부분 및 복부부위를 받쳐주기 위한 받침대(170)가 전후측 수직결합대(121)에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체형의 올바른 자세가 이루어지면, 패드부재(152)의 이동과 압력의 조절로 척추의 교정이 이루어진 올바른 자세의 체형을 측정하게 되고, 패드부재(152) 위에 석고 등으로 교정된 체형에 맞는 모형을 몰딩 후, 패드부재(152)를 분리시키고, 이를 바탕으로 석고 본을 만들어 내어 척추 측만증 보조기(200)를 만들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측만증 보조기 관리 시스템에서, 척추 측만증 보조기와, 환자 분석 서버가 연결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측만증 보조기 관리 시스템(1000)은 척추 측만증 보조기(200)와, 환자 분석 서버(300)를 포함한다.
또한, 환자 분석 서버(300)는 척추 측만증 보조기(200)를 척추 측만증 환자(10)가 올바르게 착용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환자 분석 서버(300)에 대해서는 도 5를 통해 좀더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척추 측만증 보조기(200)는 데이터 수집부(210)를 포함한다.
여기서, 데이터 수집부(210)는 압력 센서(211)와, 온도 센서(212)와, 인장 센서(213)를 포함한다.
즉, 척추 측만증 환자(10)가 척추 측만증 보조기(200)를 착용시, 척추 측만증 보조기(200)의 압력 센서(211)는 척추 측만증 환자(10)와 척추 측만증 보조기(200) 사이에 발생하는 압력을 센싱하고, 온도 센서(212)는 척추 측만증 환자(10)가 척추 측만증 보조기(200)를 착용시 발생하는 온도를 센싱하며, 척추 측만증 환자(10)가 척추 측만증 보조기(200)를 조임시 발생하는 인장력을 센싱하는 인장 센서(213)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척추 측만증 보조기 관리 시스템(1000)은, 척추 측만증 보조기(200)의 착용 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압력 센서(211)와, 온도 센서(212)와, 인장 센서(213)를 척추 측만증 보조기(200)에 부착하여 척추 측만증을 치료 및 교정하게 된다.
한편, 척추 측만증 보조기(200)를 착용하게 되면 장시간, 장기간 동안 착용하기 때문에, 오랜시간 착용하게 되면 피부에 트라블이 발생하게 되고 여름에는 땀에 의해 균의 증식과, 냄세가 발생하게 되어 착용을 회피하게 되며, 이로 인해 치료 효과는 반감된다.
따라서, 척추 측만증 보조기(200)의 외부에 항균성 금속 이온이 교환된 세리사이트를 이용한 항균제를 코팅시킴으로써, 항균력과 탈취력을 부여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측만증 보조기 관리 시스템에서 환자 분석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척추 측만증 보조기 관리 시스템(1000)에서, 환자 분석 서버(300)는, 데이터 입력부(310)와, 데이터 분석부(320)와, 데이터 축적부(330)와, 제어부(340)와, 데이터 출력부(350)를 포함한다.
데이터 입력부(310)는 데이터 수집부(210)로부터 수집된 온도 데이터와, 압력 데이터와, 인장력 데이터를 수신한다. 여기서, 온도 데이터는 척추 측만증 환자(10)가 척추 측만증 보조기(200)를 착용시 발생하는 온도에 관한 데이터이다. 또한, 압력 데이터는 척추 측만증 환자(10)가 척추 측만증 보조기(200)를 착용시, 척추 측만증 환자(10)와 척추 측만증 보조기(200) 사이에 발생하는 압력에 관한 데이터이다. 한편, 인장력 데이터는 척추 측만증 환자(10)가 척추 측만증 보조기(200)를 조임시 발생하는 인장력에 관한 데이터이다.
데이터 분석부(320)는 데이터 입력부(310)를 통해 입력된 온도 데이터와, 압력 데이터와, 인장 데이터를 분석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척추 측만증 보조기 관리 시스템(1000)에서, 데이터 분석부(320)는 온도 센서(212)가 측정한 온도 데이터와, 초기 설정된 온도 데이터를 비교하여, 척추 측만증 환자(10)가 척추 측만증 보조기(200)를 착용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분석한다.
데이터 분석부(320)는 온도 센서(212)에 의해 측정된 온도 데이터가 초기 설정된 온도 데이터보다 높아질 경우, 척추 측만증 환자(10)가 척추 측만증 보조기(200)를 착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한다. 예를 들면, 초기 온도 데이터를 36℃로 미리 설정한다. 이후, 척추 측만증 환자(10)가 척추 측만증 보조기(200)를 착용하고 있으면, 척추 측만증 보조기(200)가 척추 측만증 환자(10)를 강하게 압박함으로써 척추 측만증 환자(10)와 척추 측만증 보조기(200) 사이에 발생한 온도가 올라간다. 이때, 온도 센서(212)는 척추 측만증 환자(10)와 척추 측만증 보조기(200) 사이에 발생한 온도를 측정하게 되며, 온도 센서(212)에 의해 측정된 온도 데이터가 초기 설정된 온도 데이터보다 높아질 경우, 척추 측만증 환자(10)가 척추 측만증 보조기(200)를 착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하게 된다.
또한, 데이터 분석부(320)는 압력 센서(211)가 측정한 압력 데이터와, 초기 설정된 압력 데이터를 비교하여, 척추 측만증 환자(10)의 척추 측만증 교정 진행 현황을 분석한다.
즉, 척추 측만증 환자(10)가 척추 측만증 보조기(200)를 착용시, 척추 측만증 보조기(200)는 척추 측만증 환자(10)를 강하게 압박하게 되는데, 이때 압력 센서(211)는 척추 측만증 보조기(200)가 척추 측만증 환자(10)를 압박하는 압력을 측정하며, 이와 같이 측정된 압력 데이터와, 초기 설정된 압력 데이터를 비교하면서, 척추 측만증 환자(10)의 척추 측만증 교정 진행 상황을 분석하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척추 측만증 보조기 관리 시스템에서, 데이터 분석부(320)는 척추 측만증 환자(10)가 척추 측만증 보조기(200)를 착용하고 있음을 온도 센서(212)가 센싱 중 압력 센서(211)가 측정한 압력 데이터가 초기 설정된 압력 데이터와 비교하여, 압력 강도가 일정하면 척추 측만증 환자(10)의 척추 측만증을 교정중인 것으로 분석한다. 즉, 척추 측만증 환자(10)의 척추 측만증을 교정시에는 척추 측만증 보조기(200)가 척추 측만증 환자(10)를 지속적으로 압박해야 하며, 척추 측만증 보조기(200)가 느슨하게 풀려서는 안된다. 따라서, 데이터 분석부(320)는 압력 센서(211)에 의해 측정된 압력 데이터가 초기 설정된 압력 데이터와 비교하여, 압력 강도가 일정하면 척추 측만증 환자(10)의 척추 측만증을 교정중인 것으로 분석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데이터 분석부(320)는 척추 측만증 환자(10)가 척추 측만증 보조기(200)를 착용하고 있음을 온도 센서(212)가 센싱 중 압력 센서(211)가 측정한 압력 데이터가 초기 설정된 압력 데이터와 비교하여, 압력 강도가 약해지면 척추 측만증 환자(10)의 척추 측만증 교정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분석한다. 즉, 척추 측만증 환자(10)가 척추 측만증 보조기(200)를 올바르게 착용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척추 측만증 보조기(200)가 척추 측만증 환자(10)를 일정한 압력으로 압박해야 하는데, 척추 측만증 보조기(200)의 척추 측만증 환자(10)에 대한 압박이 약해질 경우는 2가지 경우로 분석된다. 첫째는 척추 측만증 환자(10)가 척추 측만증 보조기(200)를 올바르게 착용하지 않을 경우이며, 둘째는 척추 측만증 환자(10)의 척추 측만증이 교정되고 있을 경우이다. 따라서, 데이터 분석부(320)는 척추 측만증 환자(10)가 척추 측만증 보조기(200)를 올바르게 착용했음을 온도 센서(212)가 센싱 중에 척추 측만증 보조기(200)에 의한 척추 측만증 환자(10)의 압박을 압력 센서(211)가 센싱하게 되며, 이때, 압력 센서(211)가 측정한 압력 데이터가 초기 설정된 압력 데이터와 비교하여, 압력 강도가 약해지면 척추 측만증 환자(10)의 척추 측만증 교정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분석하게 된다. 이에 의해, 척추 측만증 환자(10)의 척추 측만증 교정 현황을 확인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각각의 센서가 측정한 측정 데이터를 활용하여 척추 측만증 치료에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척추 측만증 환자(10)가 스스로 척추 측만증 보조기(200)를 풀어서 압력 강도를 약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본 발명에 따른 척추 측만증 보조기 관리 시스템의 데이터 분석부(320)는 인장 센서(213)가 측정한 인장 데이터와 초기 설정된 인장 데이터를 비교하여, 척추 측만증 환자(10)가 척추 측만증 보조기(200)를 스스로 벗는지의 여부를 분석한다.
즉, 인장 센서(213)는 척추 측만증 환자(10)가 척추 측만증 보조기(200)를 인장력을 이용하여 일정하게 조이고 있는지를 센싱하게 된다. 여기서, 인장 데이터가 초기 설정된 인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인장 센서(213)가 센싱할 경우에는 척추 측만증 환자(10)가 척추 측만증 보조기(200)를 스스로 풀지 않고 착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한다. 또한, 인장 데이터가 초기 설정된 인장력을 유지하지 못하고 감소할 경우에는 척추 측만증 환자(10)가 척추 측만증 보조기(200)를 스스로 풀어버린 것으로 분석한다.
한편, 데이터 축적부(330)는 데이터 분석부(320)에 의해 분석된 온도 데이터와, 압력 데이터와, 인장력 데이터를 각각 축적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환자 분석 서버(300)에 포함되어 있는 메모리가 데이터 축적부(330)의 역할을 수행한다.
제어부(340)는 데이터 분석부(320)와, 데이터 축적부(330)의 기능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데이터 출력부(350)는 데이터 분석부(320)에 의해 분석된 온도 데이터와, 압력 데이터와, 인장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데이터 출력부(350)에 의해 출력된 데이터는 태블릿 PC나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통신단말(410)이나, PC와 같은 전자 기기(400)에 제공되며, 이와 같이 제공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의사와 같은 치료진은 척추 측만증 치료를 위한 효율성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이동통신단말(410)이나, 전자 기기(400)는 분포 도출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분포 도출부에 의해 압력 데이터와, 온도 데이터와, 인장 데이터가 그래프화되어 치료진들에게 제공된다. 따라서, 치료진들은 좀더 용이하게 척추 측만증을 교정중인 척추 측만증 환자(10)에 대한 정보를 확보하여 척추 측만증 치료를 위한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한편, 데이터 축적부(330)에 축적되어 있는 데이터들은 DB(360)를 통해 백업됨으로써, 안정적으로 척추 측만증 환자(10)에 대한 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환자
200 : 척추 측만증 보조기
210 : 데이터 수집부
211 : 압력 센서
212 : 온도 센서
300 : 환자 분석 서버
310 : 데이터 입력부
320 : 데이터 분석부
330 : 데이터 축적부
340 : 제어부
350 : 데이터 출력부
360 : 데이터베이스
400 : 전자 기기
410 : 이동통신단말

Claims (9)

  1. 척추 측만증 보조기(200)와,
    상기 척추 측만증 보조기(200)를 척추 측만증 환자(10)가 착용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환자 분석 서버(300)를 포함하고,
    상기 척추 측만증 환자(10)가 상기 척추 측만증 보조기(200)를 착용시, 상기 척추 측만증 보조기(200)는,
    상기 척추 측만증 환자(10)와 상기 척추 측만증 보조기(200) 사이에 발생하는 압력을 센싱하는 압력 센서(211)와,
    상기 척추 측만증 환자(10)가 상기 척추 측만증 보조기(200)를 착용시 발생하는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 센서(212)와,
    상기 척추 측만증 환자(10)가 상기 척추 측만증 보조기(200)를 조임시 발생하는 인장력을 센싱하는 인장 센서(213)를 포함하는 데이터 수집부(210)를 포함하며,
    상기 환자 분석 서버(300)는,
    상기 데이터 수집부(210)로부터 수집된 온도 데이터와, 압력 데이터와, 인장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입력부(310)와,
    상기 데이터 입력부(310)를 통해 입력된 상기 온도 데이터와, 상기 압력 데이터와, 상기 인장 데이터를 분석하는 데이터 분석부(320)와,
    상기 데이터 분석부(320)에 의해 분석된 상기 온도 데이터와, 상기 압력 데이터와, 상기 인장 데이터를 축적하는 데이터 축적부(330)와,
    상기 데이터 분석부(320)에 의해 분석된 상기 온도 데이터와, 상기 압력 데이터와, 상기 인장 데이터를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부(350)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분석부(320)는 척추 측만증 환자(10)가 척추 측만증 보조기를 착용하고 있음을 상기 온도 센서(212)가 센싱 중에 상기 압력 센서(211)가 측정한 압력 데이터가 초기 설정된 압력 데이터와 비교하여, 압력 강도가 일정하면 척추 측만증 환자(10)의 척추 측만증을 교정중인 것으로 분석하고, 압력 강도가 약해지면 척추 측만증 환자(10)의 척추 측만증 교정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분석함과 아울러 상기 인장 센서(213)가 측정한 인장 데이터와 초기 설정된 인장 데이터를 비교하여, 척추 측만증 환자(10)가 척추 측만증 보조기(200)를 스스로 벗는지의 여부를 분석하는 척추 측만증 보조기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분석부(320)는 상기 온도 센서(212)가 측정한 온도 데이터와 초기 설정된 온도 데이터를 비교하여, 척추 측만증 환자(10)가 척추 측만증 보조기를 착용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분석하는 척추 측만증 보조기 관리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분석부(320)는 상기 온도 센서(212)가 측정한 온도 데이터가 초기 설정된 온도 데이터보다 높아질 경우, 척추 측만증 환자(10)가 척추 측만증 보조기를 착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하는 척추 측만증 보조기 관리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분석부(320)는 상기 압력 센서(211)가 측정한 압력 데이터와 초기 설정된 압력 데이터를 비교하여, 척추 측만증 환자(10)의 척추 측만증 교정 진행 현황을 분석하는 척추 측만증 보조기 관리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80053616A 2018-05-10 2018-05-10 척추 측만증 보조기 관리 시스템 KR1019182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616A KR101918256B1 (ko) 2018-05-10 2018-05-10 척추 측만증 보조기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616A KR101918256B1 (ko) 2018-05-10 2018-05-10 척추 측만증 보조기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8256B1 true KR101918256B1 (ko) 2018-11-13

Family

ID=64397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3616A KR101918256B1 (ko) 2018-05-10 2018-05-10 척추 측만증 보조기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825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42814A (zh) * 2019-11-28 2020-03-31 上海正雅齿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壳状牙齿矫治器佩戴信息的统计方法及统计系统
CN110970111A (zh) * 2019-11-28 2020-04-07 上海正雅齿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壳状牙齿矫治器的矫治信息统计方法及系统
KR20200062572A (ko) * 2018-11-27 2020-06-04 오르텍주식회사 교정 압력의 실시간 전송이 가능한 척추 측만증 보정 조끼
WO2020138578A1 (ko) * 2018-12-29 2020-07-02 가야대학교 산학협력단 요부 전방전위증 환자 평가용 압력 밴드
KR102182229B1 (ko) * 2020-06-17 2020-11-25 조신현 압력 센서를 구비한 압박복 어셈블리
CN116092630A (zh) * 2023-03-02 2023-05-09 北京积水潭医院 一种针对青少年脊柱侧弯疾病的治疗方法、系统和介质
KR102627718B1 (ko) 2023-09-26 2024-01-23 주식회사 바디렉스 스마트 척추측만증 교정 관리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1305B1 (ko) * 2005-11-09 2006-12-27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척추 측만증 교정기용 감시장치의 절전형 감지회로
US20070149359A1 (en) * 2001-10-01 2007-06-28 Tarig Rahman Brace compliance moni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49359A1 (en) * 2001-10-01 2007-06-28 Tarig Rahman Brace compliance monitor
KR100661305B1 (ko) * 2005-11-09 2006-12-27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척추 측만증 교정기용 감시장치의 절전형 감지회로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2572A (ko) * 2018-11-27 2020-06-04 오르텍주식회사 교정 압력의 실시간 전송이 가능한 척추 측만증 보정 조끼
KR102141811B1 (ko) 2018-11-27 2020-08-06 오르텍주식회사 교정 압력의 실시간 전송이 가능한 척추 측만증 보정 조끼
WO2020138578A1 (ko) * 2018-12-29 2020-07-02 가야대학교 산학협력단 요부 전방전위증 환자 평가용 압력 밴드
CN110942814A (zh) * 2019-11-28 2020-03-31 上海正雅齿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壳状牙齿矫治器佩戴信息的统计方法及统计系统
CN110970111A (zh) * 2019-11-28 2020-04-07 上海正雅齿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壳状牙齿矫治器的矫治信息统计方法及系统
CN110970111B (zh) * 2019-11-28 2023-10-27 正雅齿科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壳状牙齿矫治器的矫治信息统计方法及系统
CN110942814B (zh) * 2019-11-28 2023-10-27 正雅齿科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壳状牙齿矫治器佩戴信息的统计方法及统计系统
KR102182229B1 (ko) * 2020-06-17 2020-11-25 조신현 압력 센서를 구비한 압박복 어셈블리
CN116092630A (zh) * 2023-03-02 2023-05-09 北京积水潭医院 一种针对青少年脊柱侧弯疾病的治疗方法、系统和介质
CN116092630B (zh) * 2023-03-02 2023-10-20 北京积水潭医院 一种针对青少年脊柱侧弯疾病的治疗方法、系统和介质
KR102627718B1 (ko) 2023-09-26 2024-01-23 주식회사 바디렉스 스마트 척추측만증 교정 관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8256B1 (ko) 척추 측만증 보조기 관리 시스템
US1157672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pinal correction surgical planning
US20180133046A1 (en) Custom spinal orthosis, methodology and wear compliance
US10624579B2 (en) Biofeedback system with body mapping clothing for patients with adolescent idiopathic scoliosis
KR20160093231A (ko) 3d 스캐너와 3d 프린터를 이용한 척추 교정기구
CN113143563A (zh) 一种脊柱矫形器的自动矫形方法
Ahn et al. Asymmetrical change in the pelvis and the spine during cross-legged sitting postures
CN113081211A (zh) 一种脊柱侧凸畸形的体外三维矫正结构定制系统
KR102007620B1 (ko) 척추측만증 교정을 위한 방법 및 이러한 방법에 따라 제조된 교정기구
KR101173026B1 (ko) 의료용 영상진단장치 및 신체교정용 장치
KR101801020B1 (ko) 3D 스캐닝과 X-ray 진단 데이터를 활용한 개인 맞춤형 척추보조기구 제작 시스템
Dennis et al. Alleviation of neck pain by the non-surgical rehabilitation of a pathologic cervical kyphosis to a normal lordosis: a CBP® case report
US20120226311A1 (en) Configurable back orthosis
KR101687312B1 (ko) 온열 고주파 조사 밴드를 갖는 척추 재활 치료 장치
RU2816046C1 (ru) Способ реабилитации после операции на тазобедренный сустав
RU124147U1 (ru) Интерактивный корсет для грудного отдела позвоночника
CZ373297A3 (cs) Zařízení pro zjišťování stavu zakřivení oblastí lidského těla
ALIAA et al. Correlation between forward head posture and spinal sagittal balance
KR100791845B1 (ko) 일대일 맞춤형 척추체형교정기 및 그 성형방법
KR20080103389A (ko) 일대일 맞춤형 척추체형교정기 및 그 성형방법
Diab et al. Spinopelvic alignment with SpineCor brace use in adolescent idiopathic scoliosis: an assessment
RU143681U1 (ru) Интерактивный корсет для поясничного отдела позвоночника
Zhu et al. Biomechanical Analysis of Scoliosis Orthopedic Force Loading with Human Avoidance Effect
Adria An Analytical Approach for Assisting Scoliosis Brace Casting
Brenner et al. The Modernization of Preoperative Scoliosis Curvature Correction Methods for Pediatric Pati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