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1538B1 - 폐비닐세척장치 - Google Patents

폐비닐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1538B1
KR101551538B1 KR1020130123261A KR20130123261A KR101551538B1 KR 101551538 B1 KR101551538 B1 KR 101551538B1 KR 1020130123261 A KR1020130123261 A KR 1020130123261A KR 20130123261 A KR20130123261 A KR 20130123261A KR 101551538 B1 KR101551538 B1 KR 101551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waste vinyl
vinyl
cleaning
screw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3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4191A (ko
Inventor
박태완
Original Assignee
박태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태완 filed Critical 박태완
Priority to KR1020130123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1538B1/ko
Publication of KR20150044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41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1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1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6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using perforated drums in which the article or material is plac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1/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 F26B11/1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stationary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with moving stir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29B2017/0213Specific separating techniques
    • B29B2017/0286Cleaning means used for separation
    • B29B2017/0289Washing the materials in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7/00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L2007/008Wide strips, e.g. films, web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폐비닐세척장치는, 프레임에서 약간 경사진 경사각을 갖게 설치되며 내부에 이송스크류가 경사지게 배치되고 물이 탈수되는 경사탈수본체부내에 설치된 이송스크류의 날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폐비닐의 세척속도를 빠르게 또는 느리게 수행할 수가 있게 되어 입고되는 폐비닐의 수량에 맞게 작업속도를 조절할 수가 있으며, 수거된 이러한 폐비닐을 다시 재활용하기 위하여 폐비닐을 세척하는 것을 기계적으로 수행하게 되어 24시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능률적이며, 폐비닐의 세척공간이 획기적으로 줄어들게 되어 공간활용도가 월등하게 제고되는 것이 가능하고 사용인력이 대폭적으로 절감되어 세척비용이 저렴하게 된다.

Description

폐비닐세척장치{ A vinyl waste washing plant }
본 발명은 폐비닐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비닐하우스나 밭과 같은 농작물을 기르는 장소에서 사용되고 버려지게 되어 그 표면에 흙이나 모래 또는 거름과 같은 이물질이 부착된 폐비닐을 수거하고, 수거된 이러한 폐비닐을 다시 재활용하기 위하여 폐비닐을 세척하는 것을 기계적으로 수행하게 되어 24시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능률적이며, 이러한 폐비닐의 기계적인 세척시에 회전되는 이송스크류의 날의 각도를 변경하여 폐비닐의 세척속도를 임의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은 물론이고 폐비닐의 세척공간이 획기적으로 줄어들게 되어 공간활용도가 월등하게 제고되는 것이 가능하고 사용인력이 대폭적으로 절감되어 세척비용이 저렴하게 되는 것이 가능한 폐비닐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닐하우스나 밭과 같은 농토에서 농작물을 기르다가 계절이 지나거나 비닐하우수의 훼손으로 수거되는 폐비닐은 흙이나 모래와 같은 오염물이 묻어 있는 것은 물론이고 심지어는 나사와 같은 커다란 볼트가 있거나 커다란 시멘트블록이 같이 붙어 있어 이러한 폐비닐을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폐비닐을 세척하기 위한 폐비닐의 세척장이 필요하였으므로, 이러한 폐비닐을 세척시키는 작업장에서는 폐비닐을 세척하는 대단히 넓은 세척수조가 필요하였으므로 넓은 장소가 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이러한 세척수조에서 폐비닐을 흔들게 교반시키면서 하루나 이틀을 불리면서 폐비닐에 붙어 있던 이물질들을 털어내고, 다시 폐비닐의 표면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깨끗이 씻어내기 위하여 고압의 세척수로 세척시키게 되므로 대단히 넓은 장소가 필요하게 되며 세척시에는 많은 사용인력이 필요하고 따라서 재활용 비용이 높아지게 되고 세척된 폐비닐을 건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건조장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폐비닐의 세척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사람들이 동원되어 동일한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세척비용이 고가로 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표면에 흙이나 모래 또는 거름과 같은 이물질이 부착된 폐비닐을 수거하고, 수거된 이러한 폐비닐을 다시 재활용하기 위하여 폐비닐을 세척하는 것을 기계적으로 수행하게 되어 24시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능률적이며, 이러한 폐비닐의 기계적인 세척시에 회전되는 이송스크류의 날의 각도를 변경하여 폐비닐의 세척속도를 임의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은 물론이고 폐비닐의 세척공간이 획기적으로 줄어들게 되어 공간활용도가 월등하게 제고되는 것이 가능하고 사용인력이 대폭적으로 절감되어 세척비용이 저렴하게 되는 것이 가능한 폐비닐세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은, 지면에 배치된 바닥에 설치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서 약간 경사진 경사각을 갖게 설치되며 내부에 이송스크류가 경사지게 배치되고 물이 탈수되는 경사탈수본체부와, 상기 경사탈수본체부내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폐비닐내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폐비닐내에 존재하는 물을 탈수시키는 이송스크류와, 상기 경사탈수본체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폐비닐이 투입되는 투입호퍼와, 이송스크류의 선단부에 하방으로 개방된 비닐토출구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폐비닐세척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폐비닐세척장치는, 프레임에서 약간 경사진 경사각을 갖게 설치되며 내부에 이송스크류가 경사지게 배치되고 물이 탈수되는 경사탈수본체부내에 설치된 이송스크류의 날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폐비닐의 세척속도를 빠르게 또는 느리게 수행할 수가 있게 되어 입고되는 폐비닐의 수량에 맞게 작업속도를 조절할 수가 있으며, 수거된 이러한 폐비닐을 다시 재활용하기 위하여 폐비닐을 세척하는 것을 기계적으로 수행하게 되어 24시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능률적이며, 폐비닐의 세척공간이 획기적으로 줄어들게 되어 공간활용도가 월등하게 제고되는 것이 가능하고 사용인력이 대폭적으로 절감되어 세척비용이 저렴하게 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폐비닐세척장치가 설치된 폐비닐세척작업의 공정을 도시한 도면
도 2a,2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폐비닐세척장치의 정면도 및 측면덮개가 제거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폐비닐세척장치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폐비닐세척장치의 이송스크류의 정면도
도 5는 도 4의 이송스크류의 제2스크류날의 경사각도가 도시된 측단면도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폐비닐세척장치(A)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배치된 바닥에 설치된 프레임(1)과, 상기 프레임(1)에서 약간 경사진 경사각을 갖게 설치되며 내부에 이송스크류가 경사지게 배치되고 물이 탈수되는 경사탈수본체부(2)와, 상기 경사탈수본체부(2)내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폐비닐내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폐비닐내에 존재하는 물을 탈수시키는 이송스크류와(3), 상기 경사탈수본체부(2)의 상부에 설치되어 폐비닐이 투입되는 투입호퍼(4)와, 이송스크류(3)의 선단부에 하방으로 개방된 비닐토출구(5)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경사탈수본체부(2)의 경사각은 수평면에 대하여 5도의 각도로 경사져 있으나 작업의 용이성의 정도에 따라 경사각을 줄이거나 늘릴 수가 있을 것이다.
상기 경사탈수본체부(2)는 그 내측에 세척수가 공급되는 세척수공급관(21)과 세척수공급관(21)에서 분기되어 세척수가 분사되는 세척수분사관(22)이 타공관(23)의 상부와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이송스크류(3)는 상기 타공관(23)의 내부에 타공관을 따라서 설치된다.
상기 이송스크류(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표면상에 형성된 서로 다른 형태와 각도를 갖는 다수의 스크류날(31)이 형성된다. 초기에 형성된 경사각이 크게 형성된 제1스크류날(31a)은 투입된 폐비닐을 이송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1스크류날(31a)에 이어진 경사각이 완만하게 이어진 제2스크류날(31b)은 폐비닐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청소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2스크류날(31b)에 이어진 수평으로 형성된 제3스크류날(31c)은 청소된 폐비닐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토출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이송스크류(3)는 서로 각도와 형태가 다른 제1스크류날(31a), 제2스크류날(31b)와, 제3스크류날(31c)로 이루어져 효과적인 폐비닐의 이송과 청소와 배출을 수행하게 되며, 특히 제2스크류날(31b)의 경사각도의 차이에 따라서 폐비닐의 청소하는 속도가 빠르게 되거나 늦어지게 되어 폐비닐의 청소속도를 조절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제2스크류날(31b)의 시작점에서 제2스크류날의 종착점까지의 각도가 60도의 각도로 연장되게 형성되었으나, 이러한 제2스크류날(31b)의 시작점에서 제2스크류날의 종착점까지의 각도를 60도 이상으로 형성하여, 예를 들면, 90도로 형성할 경우에는, 세척속도가 2배로 빠르게 진행되어 신속하게 작업량을 늘일 수가 있게 되며(이 경우에는 세척정도는 떨어짐), 이러한 제2스크류날(31b)의 시작점에서 제2스크류날의 종착점까지의 각도를 60도 이하로 형성하여, 예를 들면, 45도로 형성할 경우에는, 세척속도가 느리게 진행되어 천천히 작업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이 경우에는 세척정도는 더욱 깨끗하게 진행되는 것임), 이와 같이 제2스크류날의 경사를 달리하여 작업량을 조절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이송스크류(3)는 경사탈수본체부(2)의 경사진 상하의 양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특히 하부의 단부에는 방수를 위하여 기밀링(33)과 기밀판(34)이 부착된 지지베어링(32)이 설치되어 경사진 부분으로 물이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이송스크류(3)의 모터(37)와 연결되는 고정축(3a)상에는 구동풀리(35)가 설치되어, 상기 이송스크류(3)를 회전구동시킨다.
상기 투입호퍼(4)는 경사탈수본체부(2)의 상부의 상기 이송스크류(3)의 제1스크류날(31a)에 근접하고 상기 제1스크류날(31a)에 연통되게 설치되어, 폐비닐이 세척되게 경사탈수본체부(2)로 투입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비닐토출구(5)는 상기 이송스크류(3)의 제3스크류날(31c)에 하방으로 연통되게 설치되어 이송스크류(3)에 의하여 세척된 폐비닐을 하방으로 토출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폐비닐세척장치(A)의 작동에 대하여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폐비닐을 세척하여 플라스틱 플레이크(Plastic Flake)를 제조하는 공장의 설비의 정면도로서, 폐비닐세척장치(A)가 2대가 세척전처리탱크(B)의 전후에 배치되어 있어, 제1폐비닐세척장치(A)로 폐비닐이 투입되고 세척된 폐비닐이 세척전처리탱크(B)로 유입되어 다시 불려지거나 걸러지게 하여 전처리되고 제2 폐비닐세척장치(A)로 폐비닐이 깨끗하게 세척되고, 탈수장치(C)를 거쳐서 압축기(D)로 이송되어 플라스틱 플레이크가 제조되어 필요한 장소로 이송되게 되는 공정을 갖는다.
우선,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폐비닐세척장치(A)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면, 15cm 이하로 파쇄된 비닐이 폐비닐세척장치(A)내로 투입호퍼(4)를 통하여 투입되게 되고, 이 과정에 앞서서, 경사탈수본체부(2)의 세척수공급관(21)에서 세척수를 공급하고 상기 세척수공급관(21)에서 분기되어 세척수가 분사되는 세척수분사관(22)이 타공관(23)의 내부에 세척수를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투입된 폐비닐은 이송스크류(3)의 제1스크류날(31a)로 투입되어 제2스크류날(31b)로 이송되게 되고, 제2스크류날(31b)이 회전되면서 투입된 세척수에 의하여 천천히 세척되게 되고, 이와 같은 세척과정을 통하여 폐비닐에서 분리된 흙과 같은 이물질은 타공관(23)을 통하여 하부로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폐비닐의 세척시에 본 실시예에서는 제2스크류날(31b)의 시작점에서 제2스크류날의 종착점까지의 각도가 60도의 각도로 연장되게 형성되었으나, 이러한 제2스크류날(31b)의 시작점에서 제2스크류날의 종착점까지의 각도를 60도 이상으로 형성하여, 폐비닐의 세척속도를 빠르게 진행되게 하여 신속하게 작업량을 늘일 수가 있게 되며, 이러한 제2스크류날(31b)의 각도를 60도 이하로 형성하여, 세척속도가 느리게 진행되어 천천히 작업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제2스크류날의 경사각도를 달리하여 필요에 따라 이송스크류(3)의 교환에 의하여 폐비닐의 세척에 대한 작업량을 조절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세척된 폐비닐은 제3스크류날(31c)로 이송되면 제3스크류날(31c)에 의하여 하방으로 이송되면서 비닐토출구(5)로 배출되게 되면서 1차적인 세척이 완료되며, 이와 같은 세척작업이 연이어 설치된 다른 폐비닐세척장치에 의하여 다시 수행되게 되면 폐비닐은 완벽하게 세척이 이루어 지게 되면서 탈수되고 압축되어 플라스틱 플레이크가 제조되어 필요한 장소로 이송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폐비닐세척장치는, 프레임에서 약간 경사진 경사각을 갖게 설치되며 내부에 이송스크류가 경사지게 배치되고 물이 탈수되는 경사탈수본체부내에 설치된 이송스크류의 날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폐비닐의 세척속도를 빠르게 또는 느리게 수행할 수가 있게 되어 입고되는 폐비닐의 수량에 맞게 작업속도를 조절할 수가 있으며, 수거된 이러한 폐비닐을 다시 재활용하기 위하여 폐비닐을 세척하는 것을 기계적으로 수행하게 되어 24시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능률적이며, 폐비닐의 세척공간이 획기적으로 줄어들게 되어 공간활용도가 월등하게 제고되는 것이 가능하고 사용인력이 대폭적으로 절감되어 세척비용이 저렴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폐비닐세척장치는, 일반적인 기계산업에서 동일한 제품을 반복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할 것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라고 할 것이다.
1. 프레임 2. 경사탈수본체부 3. 이송스크류
4. 투입호퍼 5. 비닐토출구

Claims (3)

  1. 폐비닐세척장치(A)에 있어서,
    상기 폐비닐세척장치(A)는, 지면에 배치된 바닥에 설치된 프레임(1)과,
    상기 프레임(1)에서 약간 경사진 경사각을 갖게 설치되며 내부에 이송스크류가 경사지게 배치되고 물이 탈수되는 경사탈수본체부(2)와,
    상기 경사탈수본체부(2)내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폐비닐내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폐비닐내에 존재하는 물을 탈수시키는 이송스크류(3)와,
    상기 경사탈수본체부(2)의 상부에 설치되어 폐비닐이 투입되는 투입호퍼(4)와,
    이송스크류(3)의 선단부에 하방으로 개방된 비닐토출구(5)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스크류(3)는, 그 외표면상에 형성된 서로 다른 형태와 각도를 갖는 다수의 스크류날(31)이 형성되어, 상기 스크류날(31)의 초기에 형성된 경사각이 크게 형성된 제1스크류날(31a)은 투입된 폐비닐을 이송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제1스크류날(31a)에 이어진 경사각이 완만하게 이어진 제2스크류날(31b)은 폐비닐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청소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제2스크류날(31b)에 이어진 수평으로 형성된 제3스크류날(31c)은 청소된 폐비닐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토출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제2스크류날(31b)의 경사각도의 차이에 따라서 폐비닐의 청소하는 속도가 빠르게 되거나 늦어지게 되어 폐비닐의 세척속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스크류(3)는 상이한 경사각도를 가지는 상기 제2스크류날(31b)의 착탈이 가능하게 되어 상기 제2스크류날(31b)이 교환이 가능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비닐세척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스크류(3)는 경사탈수본체부(2)의 경사진 상하의 양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이송스크류(3)의 하부의 단부에는 방수를 위하여 기밀링(33)과 기밀판(34)이 부착된 지지베어링(32)이 설치되어 경사진 부분으로 물이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고,
    상기 이송스크류(3)의 모터(37)와 연결되는 고정축(3a)상에는 구동풀리(35)가 설치되어, 상기 이송스크류(3)를 회전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비닐세척장치
KR1020130123261A 2013-10-16 2013-10-16 폐비닐세척장치 KR101551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3261A KR101551538B1 (ko) 2013-10-16 2013-10-16 폐비닐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3261A KR101551538B1 (ko) 2013-10-16 2013-10-16 폐비닐세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4191A KR20150044191A (ko) 2015-04-24
KR101551538B1 true KR101551538B1 (ko) 2015-09-08

Family

ID=53036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3261A KR101551538B1 (ko) 2013-10-16 2013-10-16 폐비닐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15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7963B1 (ko) * 2020-01-23 2020-07-27 박기홍 탈수 성능이 향상된 원심력을 이용한 폐비닐 탈수장치
KR102251029B1 (ko) * 2020-10-30 2021-05-13 주식회사 성원리사이클 파쇄된 폐비닐의 세척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68635A (ja) * 2004-09-02 2006-03-16 Yasuo Fujii 洗浄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68635A (ja) * 2004-09-02 2006-03-16 Yasuo Fujii 洗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4191A (ko) 2015-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8631B1 (ko) 폐플라스틱 파쇄 및 세척 시스템
CN207952097U (zh) 方解石清污除杂及筛分系统
KR101551538B1 (ko) 폐비닐세척장치
CN111085286A (zh) 一种大米加工的预处理装置
CN101077890A (zh) 车载式马铃薯淀粉加工系统及方法
CN205687199U (zh) 一种筛选机送料装置
CN108722561B (zh) 一种用于农业生产的玉米粉碎装置
CN207973662U (zh) 一种压滤机进泥均匀分布装置
CN103816956B (zh) 分级清洗洗麦机
CN104590856B (zh) 粉尘泥浆环保清理回收装置
JP5100452B2 (ja) 廃棄樹脂ペレット製造装置
KR101609446B1 (ko) 처리 능력이 향상된 백사장 청소기
CN207887502U (zh) 一种塑料米的筛选装置
CN216459123U (zh) 一种石英石加工用矿石破碎筛分装置
CN112047655B (zh) 一种高强度绿色再生混凝土制备方法
CN104759306A (zh) 一种小型混合水洗洗麦机
CN207143071U (zh) 一种淤泥固化筛选收集机
JPS59189946A (ja) 再生原料用廃フイルムの粉砕洗浄処理装置
CN203525820U (zh) 一种具有干燥功能的自动粉碎机
CN205868781U (zh) 一种油菜籽除杂上料装置
CN205398621U (zh) 沼气池用干湿分离风干一体机
CN104841506A (zh) 一种节水洗麦机
CN213529858U (zh) 一种石料颗粒收集装置
CN220411893U (zh) 一种砂石生产带废料收集装置
CN202506624U (zh) 烟草废料清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