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1154B1 - 하이패스 단말기용 카드 소켓의 접점단자 및 그 장착방법 - Google Patents

하이패스 단말기용 카드 소켓의 접점단자 및 그 장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1154B1
KR101551154B1 KR1020150091440A KR20150091440A KR101551154B1 KR 101551154 B1 KR101551154 B1 KR 101551154B1 KR 1020150091440 A KR1020150091440 A KR 1020150091440A KR 20150091440 A KR20150091440 A KR 20150091440A KR 101551154 B1 KR101551154 B1 KR 101551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tact
contact terminal
support frame
card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1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제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덱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덱스
Priority to KR1020150091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11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1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11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for reading/sensing record carriers having surface conta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for reading/sensing record carriers having surface contacts
    • G06K7/0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for reading/sensing record carriers having surface contacts means for pressing the connector contacts in the direction of the card contacts to assure trustworthy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card and connecto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6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패스 단말기의 카드 소켓에 구비되는 접점단자를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생산성을 높이고 접점단자의 변형을 방지하여 접속신뢰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하이패스 단말기용 카드 소켓의 접점단자 및 그 장착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소켓하우징 내부의 지지프레임에 접점단자가 구비되는 하이패스 단말기용 카드 소켓의 접점단자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에 형성시킨 단자장착부의 관통구멍에 복수개의 접점단자를 끼워 끼움 방향으로 탄성 절곡된 접점부가 관통되어 돌출되게 하되 접점단자의 탄성 절곡된 접점부를 기준으로 길이가 긴 제1탄성지지면의 끝단 내측은 지지프레임(20)의 제1걸림단턱에 받쳐지고, 그 반대편의 길이가 짧은 제2탄성지지면의 끝단은 제2걸림단턱에 받쳐지며, 상기 접점단자의 제1탄성지지면 끝단 내측은 지지프레임에 초음파 융착되는 고정부재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 접점단자가 장착되는 하이패스 단말기용 카드 소켓의 접점단자 및 그 장착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하이패스 단말기용 카드 소켓의 접점단자 및 그 장착방법 {Contact terminal of the card socket for hipass terminal and moun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하이패스 단말기용 카드 소켓의 접점단자 및 그 장착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하이패스 단말기의 카드 소켓에 구비되는 접점단자를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생산성을 높이고 접점단자의 변형을 방지하여 접속신뢰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하이패스 단말기용 카드 소켓의 접점단자 및 그 장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이패스 단말기는 고속도로 톨게이트에서 통행료 지불을 위해 정차하지 않고 주행 중인 상태에서 빠르고 안전하게 통행료를 지불하는 전자요금 징수시스템인 하이패스 시스템에 사용되는 차량용 통행료 정산 단말기를 나타낸다.
하이패스 단말기는, 도로 통행료 결제를 위한 지능형 IC칩이 내장된 전자카드(이하, ‘스마트카드’라고 함)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카드 소켓, 상기 스마트카드를 읽고 상기 스마트카드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하이패스 시스템과 상호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송수신 및 상기 각각의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며, 무선 송수신된 정보로부터 정상적인 요금 결제가 수행되면, 표시부를 작동시켜 요금이 정상 결제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회로로 이루어진 회로기판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의 카드 소켓의 구조는,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제어될 수 있도록 하는 회로기판이 설치되는 소켓하우징과, 상기 소켓하우징의 일면에 형성되고 스마트카드를 장착하기 위한 카드삽입구, 상기 소켓하우징 내의 지지프레임에 구비되어 삽입되는 스마트카드의 접속단자에 상호 대응하여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접점단자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카드 소켓에서는 스마트카드가 삽입되면 지지프레임에 복수개로 장착된 접점단자의 탄성 절곡된 접점부에 각각 접촉되도록 되어 있는바, 이러한 접점부는 지속적인 접촉 압력을 받기 때문에 접촉 압력을 최소화하면서 접속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접점단자가 변형되지 않고 일정한 탄성력으로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종래에는 접점단자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도전성 금속 박판으로 된 접점단자를 구비한 다음 이를 합성수지로 된 지지프레임에 소폭으로 형성된 측부 삽입홈부에 지지프레임을 길이방향으로 직접 강제 끼워넣는 형태로 장착하되 지지프레임의 삽입홈부는 복수개로 배열될 수 있는 소폭의 삽입홈부에 복수개의 접점단자를 길이방향으로 밀어내어 끼움 결합하는 형태로 접점단자가 장착 배열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상기와 같이 지지프레임의 소폭의 좁은 삽입홈부에 금속박판으로 된 접점단자를 끼우는 끼움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작업 집중도와 숙련된 기술인력을 필요로 하고 작업시간도 많이 걸리기 때문에 작업 생산성이 떨어져서 제조원가의 상승을 초래할뿐만 아니라 측부 형성된 좁은 삽입홈부에 점점단자를 길이방향으로 강제 끼움 과정에서 박판으로 된 접점단자가 변형되어 탄성력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접속불량으로 인한 제품의 오작동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등의 문제점도 제기되고 있다.
(특허공개문헌 0001) KR 제10-2011-0039074호 (특허공개문헌 0002) KR 제10-2010-0000211호 (실용등록문헌 0003) KR 제20-0446046호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제어될 수 있도록 하는 회로기판이 설치되는 소켓하우징의 일면에 스마트카드를 장착하기 위한 카드삽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소켓하우징 내의 지지프레임에 장착되는 하이패스 단말기용 카드 소켓의 접점단자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에 형성된 단자장착부에 복수개의 접점단자를 맞대는 형태로 끼워지고 접점단자의 탄성 절곡된 접점부가 돌출되는 반대편 끝단에 고정부재가 지지프레임에 초음파 융착되어 접점부재가 지지 장착되는 구성으로 접점단자가 변형되지 않고 간편하게 장착되면서 지속적으로 일정한 탄성력을 갖도록 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하이패스 단말기용 카드 소켓의 접점단자를 제공함에 있다.
또, 본 발명은 관통구멍과 걸림단턱과 접속돌부로 된 단자장착부가 구비된 지지프레임의 성형단계; 및 상기 지지프레임에 도전성 금속박판에 복수개의 접점단자가 구비되고 일측단에 각 접점단자를 연결하는 지지부가 구비되어 하나의 단일부재로 된 접점단자의 성형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에 접점단자를 맞대는 형태로 끼움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접속돌부에 접속하고 지지부 내측의 접점단자를 밀착되게 고정부재를 초음파 융착시키는 고정단계와; 상기 복수개로 배열된 접점단자를 상호 연결하는 지지부를 분리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하이패스 단말기용 카드 소켓 접점단자의 장착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소켓하우징 내부의 지지프레임에 접점단자가 구비되는 하이패스 단말기용 카드 소켓의 접점단자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에 형성시킨 단자장착부의 관통구멍에 복수개의 접점단자를 끼워 끼움 방향으로 탄성 절곡된 접점부가 관통되어 돌출되게 하되 접점단자의 탄성 절곡된 접점부를 기준으로 길이가 긴 제1탄성지지면의 끝단 내측은 지지프레임(20)의 제1걸림단턱에 받쳐지고, 그 반대편의 길이가 짧은 제2탄성지지면의 끝단은 제2걸림단턱에 받쳐지며, 상기 접점단자의 제1탄성지지면 끝단 내측은 지지프레임에 초음파 융착되는 고정부재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 접점단자가 장착되는 하이패스 단말기용 카드 소켓의 접점단자를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프레임의 단자장착부는, 장방형으로 구비된 복수개의 관통구멍과, 상기 관통구멍의 양측에 구비된 복수개의 제1,2걸림단턱과, 상기 제1걸림단턱의 내측에 형성된 접속돌부와, 상기 관통구멍과 직교로 형성되고 제1걸림단턱의 상하 위치에 형성되는 안착홈으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통구멍은 접점단자의 탄성 절곡된 접점부가 관통되어 돌출되고 접점단자의 제1,2탄성지지면의 일부가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걸림단턱은 제1탄성지지면의 끝단 내측이 받쳐지고, 제2걸림단턱은 제2탄성지지면의 끝단이 받쳐지되 상기 제1걸림단턱에 복수개의 접속돌부가 구비되어 접점단자의 접속구멍 및 고정부재의 고정구멍이 끼워질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점단자는 도전성 금속박판으로 구비되되 삽입되는 스마트카드의 접속단자와 대응하는 갯수로 서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고, 제1탄성지지면의 내측에 접속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장방형으로 구비된 복수개의 관통구멍, 상기 관통구멍의 양측에 구비된 복수개의 제1,2걸림단턱, 상기 제1걸림단턱의 내측에 형성된 접속돌부, 상기 관통구멍과 직교로 형성되고 제1걸림단턱의 상하 위치에 형성된 안착홈을 가진 단자장착부가 구비되는 지지프레임의 성형단계; 및
복수개의 접점단자를 구비하되 탄성 절곡된 접점부를 기준으로 길이가 긴 제1탄성지지면과 그 반대편의 길이가 짧은 제2탄성지지면이 구비되고 제1탄성지지면의 끝단은 지지부가 연결되어 하나의 단일부재로 형성되면서 끝단 내측에 접속구멍이 형성되는 접점단자의 성형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에 접점단자를 맞대는 형태로 끼움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접속돌부에 접속하면서 접점단자의 제1탄성지지면 내측에 밀착되게 고정부재를 안착홈에 안착시켜 초음파 융착시키는 고정단계와;
상기 복수개로 배열된 접점단자를 상호 연결하는 지지부를 분리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하이패스 단말기용 카드 소켓 접점단자의 장착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이패스 단말기의 카드 소켓에 구비되는 접점단자를 지지프레임에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생산성을 높이고 접점단자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접점단자의 접점부 탄성력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되어 하이패스 단말기의 접속신뢰도를 크게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하이패스 단말기용 카드 소켓의 접점단자에 적용되는 카드 소켓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하이패스 단말기용 카드 소켓에서 소켓하우징이 분리되고 접점단자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하이패스 단말기용 카드 소켓에서 지지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낸 저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하이패스 단말기용 카드 소켓에서 지지프레임에 접점단자를 맞대어 접속하는 것을 나타낸 저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하이패스 단말기용 카드 소켓에서 지지프레임에 고정부재를 체결하여 접점단자를 고정하는 것을 나타낸 저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하이패스 단말기용 카드 소켓에서 접점단자 및 고정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하이패스 단말기용 카드 소켓에서 접점단자 일측에 연결된 지지부를 절취하여 분리하는 것을 나타낸 저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하이패스 단말기용 카드 소켓에서 접점단자의 성형단계를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하이패스 단말기용 카드 소켓에서 지지프레임의 성형단계를 나타낸 저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하이패스 단말기요 카드 소켓에서 지지프레임에 접점단자를 맞대어 끼움 접속하는 단계를 나타낸 저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하이패스 단말기요 카드 소켓에서 고정부재를 안착홈에 안착시켜 초음파 융착시키는 고정단계를 나타낸 저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하이패스 단말기용 카드 소켓에서 접점단자를 상호 연결하는 일측 지지부를 분리시키는 단계를 나타낸 저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하이패스 단말기의 카드 소켓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제어될 수 있도록 하는 회로기판(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되는 소켓하우징(10)과, 상기 소켓하우징(10)의 일면에 형성되고 스마트카드를 장착하기 위한 카드삽입구(12), 상기 소켓하우징(10)내의 지지프레임(20)에 구비되어 삽입되는 스마트카드의 접속단자에 상호 대응하여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접점단자(30)와, 상기 지지프레임(20)에 접점단자(30)를 장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카드 소켓(A)은, 종래의 일반적인 하이패스 단말기와 마찬가지로 소켓하우징(10)의 내부에 스마트카드(B)를 읽고 상기 스마트카드(B)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하이패스 시스템과 상호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송수신 및 상기 각각의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며, 무선 송수신된 정보로부터 정상적인 요금 결제가 수행되면, 표시부를 작동시켜 요금이 정상 결제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회로로 이루어진 회로기판이 설치될 수 있는 기판장착부(21)가 구비되어 접점단자(30)와 연결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소켓하우징(10)에는 스마트카드(B)를 장착하기 위한 카드삽입구(12)가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소켓하우징(10)의 측면에 노출된 형태로 위치하게 된다.
소켓하우징(10)의 내부에는 합성수지로 된 지지프레임(20)에 삽입되는 스마트카드(B)의 접속단자(도시되지 않음)와 접속되어 전기적으로 회로기판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접점단자(30)와, 상기 회로기판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기판장착부(21)가 구비되어 있는 지지프레임(20)이 마련된다.
본 발명의 카드 소켓(A)에서는 지지프레임(20)에 형성된 단자장착부(22)의 관통구멍(23)에 복수개의 접점단자(30)를 끼워 끼움 방향으로 탄성 절곡된 접점부(32)가 관통되어 돌출되게 하되 접점단자(30)의 탄성 절곡된 접점부(32)를 기준으로 길이가 긴 제1탄성지지면(34)의 끝단 내측은 제1걸림단턱(24)에 받쳐지고 그 반대편의 길이가 짧은 제2탄성지지면(36)의 끝단은 제2걸림단턱(25)에 받쳐지며, 접점단자(30)의 제1탄성지지면(34) 끝단 내측은 지지프레임(20)에 초음파 융착되는 고정부재(40)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 접점단자(30)의 접점부(32)가 일정한 탄성력을 지속적으로 발휘하면서 장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20)의 단자장착부(22)는, 장방형으로 구비된 복수개의 관통구멍(23)과, 상기 관통구멍(23)의 양측에 구비된 복수개의 제1,2걸림단턱(24)(25)과, 상기 제1걸림단턱(24)의 내측에 형성된 접속돌부(26)와, 상기 관통구멍(23)과 직교로 형성되고 제1걸림단턱(24)의 상하 위치에 형성되는 안착홈(27)으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 관통구멍(23)에는 접점단자(30)의 탄성 절곡된 접점부(32)가 관통되어 돌출될 수 있도록 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접점단자(30)의 제1,2탄성지지면(34)(36)은 일부가 노출되어 접점부(32)의 탄성작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1걸림단턱(24)은 제1탄성지지면(34)의 끝단 내측이 받쳐지고, 제2걸림단턱(25)은 제2탄성지지면(36)의 끝단이 받쳐지도록 하되 상기 제1,2걸림단턱(24)(25)은 지지프레임(20)의 이면에 형성되어 접점단자(30)를 지지프레임(20)의 이면에 맞대어 지지프레임(20)의 전면(스마트카드의 접속단자와 접속되는 면)에 접점부(32)가 돌출되는 구성이다.
그리고 관통구멍(23)과 직교되는 위치의 제1걸림단턱(24) 상하에 안착홈(27)이 형성되어 고정부재(40)가 안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접점단자(30)는 도전성 금속박판으로 구비되어 있고 삽입되는 스마트카드(B)의 접속단자와 대응하는 갯수와 대응하는 접점단자(30)와 서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인접한 단자들과 서로 쇼트되지 않도록 되어 있고, 제1탄성지지면(34)의 내측에 접속구멍(35)이 형성되어 단자장착부(22)의 접속돌부(26)에 접속 지지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도면에서 접점단자(30)의 구성은 3개의 접점단자(30)가 양측에 마주보는 형태로 배열되어 있고, 각 접점단자(30)는 탄성 절곡된 접점부(32)를 기준으로 길이가 긴 제1탄성지지면(34)과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은 제2탄성지지면(36)으로 구비되되 양측 3개의 접점단자(30)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근접되고 양측 제1탄성지지면(34)은 고정부재(40)에 의해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도면에서는 상기 3개로 배열로 접점단자(3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접점단자(30 접속되는 지지프레임(20)의 단자장착부(22)에는 4개의 관통구멍(23)이 구비되어 3개의 접점단자(30)가 배열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나머지 하나의 관통구멍(23)은 4개의 접점단자(30)를 사용시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예비적인 구성으로 되어 있고, 고정부재(40)의 구성에서도 4개의 접점단자(30)에 대응하여 장착할 수 있는 구성으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에서 접점단자(30)는 접점단자(30)의 탄성 절곡된 접점부(32)를 기준으로 길이가 긴 제1탄성지지면(34)와 그 반대편의 길이가 짧은 제2탄성지지면(36)으로 이루어지되 탄성 절곡된 접점부(32)가 접하는 부분에서 접점부(32)의 돌출된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될 수 갖도록 절곡되어 스마트카드(B)의 접속단자와 접촉되는 접점단자(30)의 접점부(32)가 변형되지 않고 일정한 탄성력을 갖도록 하여 장기간 사용시에도 정확한 작동으로 신뢰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즉, 스마트카드(B)가 삽입되어 접점단자(30)의 접점부(32)에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탄성 절곡된 접점부(32)는 일정한 탄성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접점부(32) 부분이 아래로 처지는 등의 변형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의 하이패스 단말기용 카드 소켓의 접점단자를 장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장방형으로 구비된 복수개의 관통구멍(23), 상기 관통구멍(23)의 양측에 구비된 복수개의 제1,2걸림단턱(24)(25), 상기 제1걸림단턱(24)의 내측에 형성된 접속돌부(26), 상기 관통구멍(23)과 직교로 형성되고 제1걸림단턱(24)의 상하 위치에 형성된 안착홈(27)을 가진 단자장착부(22)가 구비되는 지지프레임(20)의 성형단계; 및 복수개의 접점단자(30)를 구비하되 탄성 절곡된 접점부(32)를 기준으로 길이가 긴 제1탄성지지면(34)과 그 반대편의 길이가 짧은 제2탄성지지면(36)이 구비되고 제1탄성지지면(34)의 끝단은 지지부(38)가 연결되어 하나의 단일부재로 형성되면서 끝단 내측에 접속구멍(35)이 형성되는 접점단자(30)의 성형단계;로 이루어진다.
이어서 상기 성형된 지지프레임(20)에 접점단자(30)를 맞대는 형태로 끼움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접속돌부(26)에 접속하면서 접점단자(30)의 제1탄성지지면(34) 내측에 밀착되게 고정부재(40)를 안착홈(27)에 안착시켜 초음파 융착시키는 고정단계와; 상기 복수개로 배열된 접점단자(30)를 상호 연결하는 지지부(38)를 분리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전성 금속박판에 복수개의 접점단자(30)가 등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접점단자(30)의 일측단은 절취홈(38a)이 형성된 지지부(38)가 구비되어 하나의 단일부재로 구성되는 접점단자(30)를 성형한다.
접점단자(30)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탄성 절곡된 접점부(32)를 기준으로 길이가 긴 제1탄성지지면(34)과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은 제2탄성지지면(36)으로 구비되며, 접점단자(30)의 제1탄성지지면(34)과 접점부(32)가 접하는 탄성 절곡된 부분은 외측으로 벌어진 형태로 되어 있고, 접점단자(30)의 일측단에 연결된 지지부(38)는 복수개로 등간격 배열된 접점단자(30)의 배열된 간격이 변형되지 않고 일체로 성형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지지부(38)는 후공정의 절취홈(38a)을 절취하여 분리가 용이한 위치에 해당되는 길이가 긴 제1탄성지지면(34)의 끝단부에 연결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프레임(20)에 접점단자(30)를 맞대는 형태로 끼움 접속할 때, 지지프레임(20)의 제1걸림단턱(24)에 접점단자(30)의 제1탄성지지면(34) 끝단 내측이 받쳐지고, 제2걸림단턱(25)에 제2탄성지지면(36) 끝단이 받쳐지도록 하면서 제1탄성지지면(34)의 접속구멍(35)은 제1걸림단턱(24) 부분에 형성된 접속돌부(26)에 끼워지도록 한다.
그리고 고정부재(40)는 복수개의 고정구멍(42)이 배치되고, 상기 고정구멍(42)의 양측에 받침돌부(44)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상기 고정구멍(42)은 제1탄성지지면(34)의 접속돌부(26)가 끼워져서 지지되고, 상기 받침돌부(44)는 제1탄성지지면(34)을 밀착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고정부재(40)를 안착홈(27)에 안착시켜 지지프레임(20)에 초음파 융착하는 방법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어서, 그리고 상기 복수개로 등간격 배열되는 접점단자를 연결하는 양측 지지부(38)를 분리시키되 양측 지지부(38)의 절취홈(38a)을 따라 절취하여 각 접점단자(30)에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하이패스 단말기의 카드 소켓에 구비되는 접점단자를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생산성을 높이고 접점단자의 변형을 방지하고 접점부의 탄성력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접속신뢰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A : 카드 소켓 B : 스마트카드
10 : 소켓하우징 12 : 카드삽입구
20 : 지지프레임 21 : 기판장착부
22 : 단자장착부 23 : 관통구멍
24 : 제1걸림단턱 25 : 제2걸림단턱
26 : 접속돌부 27 : 안착홈
30 : 접점단자 32 : 접점부
34 : 제1탄성지지면 35 : 접속구멍
36 : 제2탄성지지면 38 : 지지부
38a : 절취홈 40 : 고정부재
42 : 고정구멍 44 : 받침돌부

Claims (6)

  1. 소켓하우징(10) 내부의 지지프레임(20)에 접점단자(30)가 구비되는 하이패스 단말기용 카드 소켓의 접점단자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20)에 형성시킨 단자장착부(22)의 관통구멍(23)에 복수개의 접점단자(30)를 끼워 끼움 방향으로 탄성 절곡된 접점부(32)가 관통되어 돌출되게 하되 접점단자(30)의 탄성 절곡된 접점부(32)를 기준으로 길이가 긴 제1탄성지지면(34)의 끝단 내측은 지지프레임(20)의 제1걸림단턱(24)에 받쳐지고, 그 반대편의 길이가 짧은 제2탄성지지면(36)의 끝단은 제2걸림단턱(25)에 받쳐지며, 상기 접점단자(30)의 제1탄성지지면(34) 끝단 내측은 지지프레임(20)에 초음파 융착되는 고정부재(40)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 접점단자가 장착된 것을 포함하며,
    상기 접점단자(30)는 도전성 금속박판으로 구비되되 삽입되는 스마트카드(B)의 접속단자와 대응하는 갯수로 서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고, 제1탄성지지면(34)의 내측에 접속구멍(3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패스 단말기용 카드 소켓의 접점단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20)의 단자장착부(22)는,
    장방형으로 구비된 복수개의 관통구멍(23)과, 상기 관통구멍(23)의 양측에 구비된 복수개의 제1,2걸림단턱(24)(25)과, 상기 제1걸림단턱(24)의 내측에 형성된 접속돌부(26)와, 상기 관통구멍(23)과 직교로 형성되고 제1걸림단턱(24)의 상하 위치에 형성되는 안착홈(27)으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패스 단말기용 카드 소켓의 접점단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23)은 접점단자(30)의 탄성 절곡된 접점부(32)가 관통되어 돌출되고 접점단자(30)의 제1,2탄성지지면(34)(36)의 일부가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패스 단말기용 카드 소켓의 접점단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걸림단턱(24)은 제1탄성지지면(34)의 끝단 내측이 받쳐지고, 제2걸림단턱(25)은 제2탄성지지면(36)의 끝단이 받쳐지되 상기 제1걸림단턱(24)에 복수개의 접속돌부(26)가 구비되어 접점단자(30)의 접속구멍(35) 및 고정부재(40)의 고정구멍(42)에 끼워질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패스 단말기용 카드 소켓의 접점단자.
  5. 삭제
  6. 장방형으로 구비된 복수개의 관통구멍(23), 상기 관통구멍(23)의 양측에 구비된 복수개의 제1,2걸림단턱(24)(25), 상기 제1걸림단턱(24)의 내측에 형성된 접속돌부(26), 상기 관통구멍(23)과 직교로 형성되고 제1걸림단턱(24)의 상하 위치에 형성된 안착홈(27)을 가진 단자장착부(22)가 구비되는 지지프레임(20)의 성형단계; 및
    복수개의 접점단자(30)를 구비하되 탄성 절곡된 접점부(32)를 기준으로 길이가 긴 제1탄성지지면(34)과 그 반대편의 길이가 짧은 제2탄성지지면(36)이 구비되고 제1탄성지지면(34)의 끝단은 지지부(38)가 연결되어 하나의 단일부재로 형성되면서 끝단 내측에 접속구멍(35)이 형성되는 접점단자(30)의 성형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프레임(20)에 접점단자(30)를 맞대는 형태로 끼움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접속돌부(26)에 접속하면서 접점단자(30)의 제1탄성지지면(34) 내측에 밀착되게 고정부재(40)를 안착홈(27)에 안착시켜 초음파 융착시키는 고정단계와;
    상기 복수개로 배열된 접점단자(30)를 상호 연결하는 지지부(38)를 분리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패스 단말기용 카드 소켓 접점단자의 장착방법.

KR1020150091440A 2015-06-26 2015-06-26 하이패스 단말기용 카드 소켓의 접점단자 및 그 장착방법 KR101551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1440A KR101551154B1 (ko) 2015-06-26 2015-06-26 하이패스 단말기용 카드 소켓의 접점단자 및 그 장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1440A KR101551154B1 (ko) 2015-06-26 2015-06-26 하이패스 단말기용 카드 소켓의 접점단자 및 그 장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1154B1 true KR101551154B1 (ko) 2015-09-08

Family

ID=54247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1440A KR101551154B1 (ko) 2015-06-26 2015-06-26 하이패스 단말기용 카드 소켓의 접점단자 및 그 장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115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704U (ko) * 2016-08-30 2018-03-08 청씨 리 카드 접촉핀과 접촉에 사용하는 연결 장치 및 카드 리더기.
KR20180000706U (ko) * 2016-08-30 2018-03-08 청씨 리 카드리더에 쓰는 덮개 판자 및 카드리더기.
KR101847783B1 (ko) * 2017-08-30 2018-04-10 김재건 용이하게 조립되고 사용이 편리하면서 안전하게 통행요금이 징수되는 하이패스 단말기.
KR101881327B1 (ko) * 2017-07-27 2018-07-24 주식회사 올테크코리아 양면형 스마트 카드 소켓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3289Y1 (ko) * 2001-03-12 2001-10-06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심카드 소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3289Y1 (ko) * 2001-03-12 2001-10-06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심카드 소켓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704U (ko) * 2016-08-30 2018-03-08 청씨 리 카드 접촉핀과 접촉에 사용하는 연결 장치 및 카드 리더기.
KR20180000706U (ko) * 2016-08-30 2018-03-08 청씨 리 카드리더에 쓰는 덮개 판자 및 카드리더기.
KR200489636Y1 (ko) * 2016-08-30 2019-07-15 김재건 카드 접촉핀과 접촉에 사용하는 연결 장치 및 카드 리더기.
KR200489637Y1 (ko) * 2016-08-30 2019-07-15 김재건 카드리더에 쓰는 덮개 판자 및 카드리더기.
KR101881327B1 (ko) * 2017-07-27 2018-07-24 주식회사 올테크코리아 양면형 스마트 카드 소켓
WO2019022286A1 (ko) * 2017-07-27 2019-01-31 주식회사 올테크코리아 양면형 스마트 카드 소켓
KR101847783B1 (ko) * 2017-08-30 2018-04-10 김재건 용이하게 조립되고 사용이 편리하면서 안전하게 통행요금이 징수되는 하이패스 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1154B1 (ko) 하이패스 단말기용 카드 소켓의 접점단자 및 그 장착방법
US8672718B2 (en) Board connecting terminal and holding structure of circuit board
US7416452B1 (en) Electrical connector
CN102144338B (zh) 板对板连接器
JPH10189079A (ja) コネクタモジュール
US9825382B2 (en) Low profile connector and assembly of the same
US6638105B1 (en) Self-retaining board lock for electrical connector
EP1684387A1 (en) Earth terminal fitting and electric connector having the same
KR20010053402A (ko) 스마트 카드 접속용 전기 커넥터
WO2008130469A1 (en) Interconnect detection system
JP3804925B2 (ja) スピーカのコネクタ
US7874857B2 (en) Card connector
CN111656623B (zh) 插塞连接器装置
CN214754283U (zh) 具有弹簧叉的接触装置
KR101551153B1 (ko) 하이패스 단말기용 카드 소켓의 접점단자
US20170062959A1 (en) Circuit board passage terminal
JPH0567482A (ja) 電気的な平形差込み結合装置
CN111180926A (zh) 电连接器、电连接器组件以及电气组件
US7530860B2 (en) Contact terminal for electrical connector
JP6543020B2 (ja) 電気回路端子装置
KR20170037566A (ko) 커넥터 어셈블리, 카드 트레이 및 카드 커넥터
KR100303412B1 (ko) 프린트기판용커넥터
KR101458112B1 (ko) 컨택핀 및 이를 포함하는 모듈소켓
JP3191030U (ja) Usbコネクタプラグ
JP2005108781A (ja) Icチップ用ソケットコネクタ及び該コネクタに使用する抜去治具、icチップの挿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2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