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0818B1 - 차량의 주행 차간거리 확보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주행 차간거리 확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0818B1
KR101550818B1 KR1020140070360A KR20140070360A KR101550818B1 KR 101550818 B1 KR101550818 B1 KR 101550818B1 KR 1020140070360 A KR1020140070360 A KR 1020140070360A KR 20140070360 A KR20140070360 A KR 20140070360A KR 101550818 B1 KR101550818 B1 KR 101550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istance
output means
laser output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0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동
Priority to KR1020140070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08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0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08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4Adaptive cruise control
    • B60W30/16Control of distance between vehicles, e.g. keeping a distance to preceding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 G01S17/06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7/08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for measuring distance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3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8Radar; Laser, e.g. lid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4/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bjects
    • B60W2554/80Spatial relation or speed relative to objects
    • B60W2554/802Longitudinal di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5/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exterior conditions, not covered by groups B60W2552/00, B60W2554/00
    • B60W2555/20Ambient conditions, e.g. wind or ra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4Cruise control
    • B60Y2300/16Control of distance between vehicles, e.g. keeping a distance to preceding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Optical Radar Systems And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 차간거리 확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주행하는 차량의 현재 위치에 대한 기상 정보를 수신하는 기상정보 수신부와, 차체에 설치되고, 상기 기상정보 수신부에 의하여 기설정된 주행시야 거리보다 작은 주행시야를 가진다고 판단될 경우 레이저 빔을 차량의 주행 전방 지면 및 후방 지면 중 어느 하나로 소정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조사시키는 레이저 출력수단을 포함함으로써, 주행 차량을 기준으로 전방 주행 차량 및 후방 주행 차량에 대한 안전거리 확보가 용이하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주행 차간거리 확보장치{Apparatus for getting safty driving distance between front vehicle and rea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 차간거리 확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로 하여금 차선에 대한 이탈 여부를 용이하게 감지함은 물론, 전방 차량과의 관계 및 후방 차량과의 관계에서 보다 안전한 주행 거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의 주행 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차량의 주행 차간거리 확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주행 중 사고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국내의 도로교통법규는 전방 차량과 후방 차량 간의 안전거리를 확보하도록 권고하고 있고, 안전거리를 확보하지 않은 상태에서 사고가 발생될 경우 안전거리 미확보에 따른 교통사고로 처리하여 보상 및 피해 수습에 있어서 불이익을 주고 있는 형편이다.
한편, 최근 차량은 편안함과 안락함을 증대시키기 위해 차폭이 증가되는 추세인데, 상대적으로 단일 차량이 주행할 수 있는 차선폭은 한정되어 있다.
특히, 이와 같은 상태에서, 짙은 안개 또는 폭우나 폭설 등의 기상상태가 좋지 않은 악천후의 경우, 운전자가 전방과 후방에서 주행하는 차량 사이의 차간거리 확보는 물론 자신의 탑승 차량의 차폭을 쉽게 인지하지 못하여 전방 차량 및 후방 차량은 물론 측방의 차량과의 접촉 사고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방 차량과의 사이에 차간거리 확보 또는 후방 차량 운전자에게 차간 거리를 확보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함은 물론, 차량 운전자가 탑승한 차량의 차폭을 쉽게 인식하여 주행 차선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의 주행 차간거리 확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주행 차간거리 확보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주행하는 차량의 현재 위치에 대한 기상 정보를 수신하는 기상정보 수신부와, 차체에 설치되고, 상기 기상정보 수신부에 의하여 기설정된 주행시야 거리보다 작은 주행시야를 가진다고 판단될 경우 레이저 빔을 차량의 주행 전방 지면 및 후방 지면 중 어느 하나로 소정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조사시키는 레이저 출력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기상정보 수신부는, 차량의 주행 전방 또는 주행 후방의 주행 환경을 촬영하도록 상기 차체에 설치된 실시간 촬영 카메라로부터 상기 촬영된 이미지의 해상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상정보 수신부는, 이동통신망 또는 네트워크 통신을 이용하여 기상청으로부터 해당 주행 지역의 기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이저 출력수단은, 상기 차체의 전방 좌우 램프장치 및 후방 좌우 램프장치에 각각 위치되도록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레이저 출력수단은, 차체의 폭만큼 상호 이격되게 전방으로 출력하거나 후방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가 운전석에 탑승하여 지면에 보이는 상기 레이저 빔의 포인트를 관찰할 수 있는 전방 지면과 상기 운전자 사이의 거리를 설정 거리라 할 때, 상기 레이저 출력수단은, 차량의 주행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상기 레이저 빔을 출력하되, 적어도 상기 설정 거리보다 먼 곳의 지면에서 상기 운전자로부터 인지될 수 있도록 설정 각도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정 거리가 커질수록 상기 설정 각도는 작아질 수 있다.
또한, 후방에 배치된 차량과의 간격(차간거리)을 감지하는 차간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 출력수단 중 차체의 후방에 배치된 레이저 출력수단은, 상기 차간 감지부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차간거리가 설정 차간거리 이상일 경우, 후방에 배치된 상기 차량의 운전자를 기준으로 상기 설정 거리보다 먼 곳의 지면에 상기 레이저 빔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주행 차간거리 확보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운전자의 자기 탑승 차량의 차폭을 전방 지면에 표시된 레이저 빔 포인트를 통하여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으므로 차선 이탈의 간접적인 방지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음은 물론, 전방 차량과의 안전한 주행 차간거리를 확보하고, 후방 차량의 운전자로 하여금 동일하게 안전한 주행 차간거리 확보를 위한 단서를 제공함으로써 주행 중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주행 차간거리 확보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주행 차간거리 확보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주행 차간거리 확보장치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주행 차간거리 확보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및 측면도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주행 차간거리 확보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도 1 및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주행하는 차량의 현재 위치에 대한 기상 정보를 수신하는 기상정보 수신부(미도시)와, 차체에 설치되고, 상기 기상정보 수신부에 의하여 수신된 기상 정보를 토대로 기설정된 주행시야 거리보다 작은 주행시야를 가진다고 판단될 경우 레이저 빔을 차량의 주행 전방 지면(G) 및 후방 지면(G) 중 어느 하나로 소정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조사시키는 레이저 출력수단(10A,10B)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기상정보 수신부는, 차량의 주행 전방 또는 주행 후방의 주행 환경을 촬영하도록 상기 차체에 설치된 실시간 촬영 카메라(이하, '카메라'로 약칭한다)(미도시)로부터 상기 촬영된 이미지의 해상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상기 촬영된 이미지의 해상도 정보는 현재 차량 주변의 주행시야(또는 시계)를 가늠케 하기 위한 보조적인 것으로서, 해상도가 낮으면 이미지가 선명하지 못하게 촬영된 것으로서 악천후시와 같이 주행시야가 짧은 것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해상도가 높으면 이미지가 선명하게 촬영된 것으로서 맑은 날씨와 같이 주행시야가 긴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는 이미지의 "해상도"라는 용어를 "주행시야"와 관련지어 설명하고 있으나, 주행시야를 설명할 수 있는 가장 적당한 파라미터가 존재하는 한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해상도를 대체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기상정보 수신부는, 이동통신망 또는 네트워크 통신을 이용하여 기상청으로부터 해당 주행 지역의 실시간 기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신된 상기 기상 정보를 토대로 상기 레이저 출력수단(10A,10B)의 작동 여부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결정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레이저 출력수단(10A,10B)은, 상기 차체의 전방 좌우 램프장치에 각각 위치되도록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상기 차체의 전방 좌우 램프장치에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차량의 주행 방향 전방으로 상기 레이저 빔을 출력할 수 있는 위치라면 상기 차체의 어느 부위에라도 위치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복수개의 레이저 출력수단(10A,10B)은, 상기 차체의 폭(CW, Car Width)만큼 상호 이격되게 구비되고, 각각 전방으로 직진되게 출력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복수개의 레이저 출력수단(10A,10B), 구체적으로는, 상기 차체의 전방 좌우 양측에 구비된 한 쌍의 레이저 출력수단(10A,10B)에 의하여 출력된 레이저 빔(15A,15B)에 의하여 지면(G)에 형성된 포인트(20A,20B)를 시각적으로 관찰하여 운전자가 자기 차량의 차폭(CW)을 가늠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운전자가 미리 자기 차량의 차폭(CW)을 가늠할 수 있는 상황에서, 도로의 지면(G)에 형성된 자기 주행차선(L)을 이탈할 우려를 줄일 수 있다.
한편, 도 1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이저 출력수단(10A,10B)은 적어도 다음과 같이 전방으로 레이저 빔(15',15")을 출력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운전자가 운전석에 탑승하여 전방 윈드쉴드(5)를 통하여 가장 근접되게 보이는 지면(G)과 운전자 사이의 거리를 설정 거리라 가정하면, 상기 레이저 출력수단(10A,10B)은, 차량의 주행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상기 레이저 빔(15',15")을 출력하되, 적어도 상기 설정 거리보다 먼 곳의 지면(G)에서 상기 운전자로부터 인지될 수 있도록 설정 각도로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운전석의 높낮이 및 상기 운전석에 착석한 운전자의 앉은키 등 운전자의 눈높이에 따라 상기 설정 거리가 달라질 수 있으며, 상기 설정 거리가 커질수록 상기 설정 각도는 작아지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레이저 출력수단(10A,10B)에 의하여 상기 설정 각도로 레이저 빔(15')이 출력되면, 도 1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포인트(20A)가 바람직한 영역(Resonable Part, 이하, "RP"라 함) 내에 형성되고, 상기 레이저 출력수단(10A,10B)에 의하여 상기 설정 각도 이하로 레이저 빔(15")이 출력되면, 도 1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포인트(20B)가 바람직하지 않은 영역(Bad Part, 이하, "BP"라 함)으로 조사됨으로써 실질적으로 차량의 전방 차체에 의하여 운전자에 의하여 관찰되지 않게 된다.
상기 운전자의 눈높이는 다양한 방식으로 감지 가능하다. 예컨대,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운전자의 안구를 감지하는 별도의 안구 감지부가 구비될 수 있고, 이 안구 감지부에 의해서 현재 상기 운전석에 착석한 운전자의 눈높이를 측정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안구 감지부가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차실 내부에 상기 레이저 출력수단(10A,10B)의 출력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미도시의 각도 조정수단이 구비되고, 운전자가 상기 운전석에 앉은 상태에서 상기 레이저 출력수단(10A,10B)을 작동시킨 후 자신의 체형에 맞게 상기 설정 거리를 설정할 수 있도록 상기 레이저 빔의 포인트(20A,20B)를 도로의 지면(G)에 형성함으로써 조절 가능하다.
한편, 상기 설정 거리는, 현재 운전자가 주행하고 있는 자기 차량의 전방에서 같은 방향으로 주행 중인 선행하는 차량(전방 주행 차량(FC, Front driving Car))과 자기 차량 사이를 도로교통법상 권장하는 안전거리(SD, Safty Distance)로서 소정의 주행 차간거리가 확보될 수 있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하여, 운전자는 상기 레이저 출력수단(10A,10B)에 의하여 출력된 상기 레이저 빔(15A,15B)의 포인트(20A,20B)를 안전거리의 지표로 삼아, 상기 레이저 빔(15A,15B)의 포인트(20A,20B)가 전방 주행 차량(FC)에 근접할 경우에는 속도를 줄임으로써 안전거리(SD)를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예컨대, 도 1에 참조된 바와 같이, 운전자는, 전방 주행 차량(FC)과의 관계에서 상기 레이저 출력수단(10A,10B)에 의하여 적어도 안전거리(SD) 이상이고, 설정 각도로 조사된 상기 레이저 빔(15A,15B)의 포인트(20A)는 SD를 유지할 경우 안전거리 확보로 간주할 수 있으며, SD보다 짧은 차간거리일 때에는 전방 주행 차량(FC)의 후단 앞 부분에 상기 포인트(20B)가 형성됨으로써 안전거리가 확보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주행 차간거리 확보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차체의 전방으로부터 대향되도록 주행하는 차량(즉, 반대방향의 차선으로 주행하는 차량)으로부터 제공되는 라이트 빔의 조도를 측정하는 대향차 조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대향차 조도 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조도가 설정 조도를 초과하면, 상기 레이저 출력수단(10A,10B)에 의한 상기 레이저 빔의 출력을 설정 조건 하에서 중단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대향 차량이 있을 경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레이저 출력수단(10A,10B)에 의하여 출력되는 상기 레이저 빔(15A,15B)이 도로의 지면(G)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출력되는 것이지만, 레이저 빔(15A,15B)이 직접 인체의 눈에 들어오는 경우 대향차 운전자의 주행을 방해하여 안전사고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예방 수단을 마련한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상기 대향차 조도 센서를 통하여 대향차의 존부를 감지하도록 구성하고 있지만, 반드시 대향차 조도 센서만에 의하여 대향차의 존부를 감지하는 것은 아니고, 대향차의 존부를 감지할 수 있는 여하한 구성이라도 상술한 대향차 조도 센서를 대체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도록 구현되는 것은 아님에 주의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주행 차간거리 확보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주행 차간거리 확보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술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행 차간거리 확보장치가 전방 주행 차량(FC)과의 관계에서 차간거리 확보를 위한 것임에 반하여, 운전자의 주행 차량의 후미에서 동일 방향으로 주행하는 후방 주행 차량(RC, Rear driving Car)의 운전자가 차간거리를 확보하도록 돕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레이저 출력수단(30A,30B)이 후방 지면(G) 중 어느 하나로 소정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조사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차량의 전방에 배치된 레이저 출력수단(10A,10B)과의 관계에서 이해의 혼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술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개시하고 있고, 차량의 전방에 배치된 레이저 출력수단은 '전방 레이저 출력수단(10A,10B)'이라고 칭하고, 후술하는 다른 실시예에서 개시하고 있고, 차량의 후방에 배치된 레이저 출력수단은 '후방 레이저 출력수단(30A,30B)'이라고 칭하기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행 차간거리 확보장치의 상기 후방 레이저 출력수단(30A,30B)은, 차체의 후방 좌우 램프장치에 각각 위치되도록 한 쌍이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후방 레이저 출력수단(30A,30B)이 후방의 주행 차량과의 사이에 해당하는 도로의 지면(G)에 하향 경사지게 출력하는 경사 각도는 후방 주행 차량의 운전자에게 레이저 빔에 의한 주행이 방해받지 않는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출력됨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방 레이저 출력수단(30A,30B)은, 차체의 전방에 구비된 상술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의 상기 전방 레이저 출력수단(10A,10B)에 의하여 조사되는 설정각도보다 더 하향 경사지도록 설정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주행 차간거리 확보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후방에 배치된 차량(후방 주행 차량(RC))과의 간격(차간거리)을 감지하는 차간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 출력수단(10,30) 중 운전자 탑승 차량(MC, Middle driving Car)의 후방에 배치된 상기 후방 레이저 출력수단(30A,30B)은, 상기 차간 감지부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차간거리가 설정 차간거리 이상일 경우, 후방에 배치된 상기 차량의 운전자를 기준으로 상기 설정 거리보다 먼 곳의 지면(G)에 상기 레이저 빔(15A,15B)을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후방 주행 차량(RC)에 조사되는 상기 레이저 빔(35A,35B)은 후방 주행 차량의 운전자로 하여금 상기 레이저 빔에 의한 포인트를 관찰할 수 있는 것이면 족하므로,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자기 탑승 차량의 직후방 지면(G)에 포인트가 형성되도록 조사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주행 차간거리 확보장치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는, 후방 주행 차량의 운전자를 마치 상술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적용하고 있는 전방 차량의 운전자로 이해하여 해석하면, 상기 레이저 출력수단(30A,30B)에 의하여 상기 레이저 빔(35)을 출력하는 주체만 상이할 뿐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주행 차간거리 확보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
G: 지면 5: 윈드쉴드
10A,10B: 전방 레이저 출력수단 15A,15B: 레이저 빔
20A,20B: 포인트 30A,30B: 후방 레이저 출력수단
35: 레이저 빔 40A,40B: 포인트

Claims (9)

  1. 주행하는 차량의 현재 위치에 대한 기상 정보를 수신하는 기상정보 수신부와;
    차체에 설치되고, 상기 기상정보 수신부에 의하여 기설정된 주행시야 거리보다 작은 주행시야를 가진다고 판단될 경우 레이저 빔을 차량의 주행 전방 지면 및 후방 지면 중 어느 하나로 소정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조사시키는 레이저 출력수단과;
    후방에 배치된 차량과의 간격(차간거리)을 감지하는 차간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 출력수단은,
    운전자가 운전석에 탑승하여 지면에 보이는 상기 레이저 빔의 포인트를 관찰할 수 있는 전방 지면과 상기 운전자 사이의 거리를 설정 거리라 할 때, 상기 레이저 출력수단은, 차량의 주행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상기 레이저 빔을 출력하되, 적어도 상기 설정 거리보다 먼 곳의 지면에서 상기 운전자로부터 인지될 수 있도록 설정 각도로 출력하며,
    상기 레이저 출력수단 중 차체의 후방에 배치된 레이저 출력수단은,
    상기 차간 감지부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차간거리가 설정 차간거리 이상일 경우, 후방에 배치된 상기 차량의 운전자를 기준으로 상기 설정 거리보다 먼 곳의 지면에 상기 레이저 빔을 출력하는 차량의 주행 차간거리 확보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상정보 수신부는,
    차량의 주행 전방 또는 주행 후방의 주행 환경을 촬영하도록 상기 차체에 설치된 실시간 촬영 카메라로부터 상기 촬영된 이미지의 해상도 정보를 수신하는 차량의 주행 차간거리 확보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상정보 수신부는,
    이동통신망 또는 네트워크 통신을 이용하여 기상청으로부터 해당 주행 지역의 기상 정보를 수신하는 차량의 주행 차간거리 확보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출력수단은,
    상기 차체의 전방 좌우 램프장치 및 후방 좌우 램프장치에 각각 위치되도록 복수개가 구비되는 차량의 주행 차간거리 확보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레이저 출력수단은,
    차체의 폭만큼 상호 이격되게 전방으로 출력하거나 후방으로 출력하는 차량의 주행 차간거리 확보장치.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설정 거리가 커질수록 상기 설정 각도는 작아지는 차량의 주행 차간거리 확보장치.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차체의 전방으로부터 대향되도록 주행하는 차량으로부터 제공되는 라이트 빔의 조도를 측정하는 대향차 조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대향차 조도 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조도가 설정 조도를 초과하면, 상기 레이저 출력수단에 의한 상기 레이저 빔의 출력을 설정 조건 하에서 중단시키는 차량의 주행 차간거리 확보장치.
KR1020140070360A 2014-06-10 2014-06-10 차량의 주행 차간거리 확보장치 KR101550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360A KR101550818B1 (ko) 2014-06-10 2014-06-10 차량의 주행 차간거리 확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360A KR101550818B1 (ko) 2014-06-10 2014-06-10 차량의 주행 차간거리 확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0818B1 true KR101550818B1 (ko) 2015-09-07

Family

ID=54247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0360A KR101550818B1 (ko) 2014-06-10 2014-06-10 차량의 주행 차간거리 확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08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595Y1 (ko) * 2022-10-27 2023-03-15 주 흥 고 레이저 포인터를 이용한 차량 간격 유지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74318A (ja) * 2006-09-22 2008-04-03 Sky Kk 車間距離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74318A (ja) * 2006-09-22 2008-04-03 Sky Kk 車間距離処理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595Y1 (ko) * 2022-10-27 2023-03-15 주 흥 고 레이저 포인터를 이용한 차량 간격 유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70855A1 (en) Vehicular control system
US7287884B2 (en) Vehicle operation supporting device and vehicle operation supporting system
EP2600329B1 (en) External environment recognition device for vehicle, and light distribution control system using same
JP4791262B2 (ja) 運転支援装置
EP1683668B1 (en) Variable transmissivity window system
US10467489B2 (en) Distracted driving determination apparatus, distracted driving determin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having program for distracted driving determination
EP2923912A1 (en) Driver intention estimation arrangement
KR20170000363A (ko) 차량, 특히 상용 차량을 위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EP2537709A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light distribution control method
KR101030211B1 (ko) 노면감지와 장애물감지를 위한 감지시스템 및 감지방법
JP2017185946A (ja) 車両の自動運転システム
JP2017033542A (ja) 情報表示装置
KR102600202B1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2372566B1 (ko) 차량용 조명 장치 및 차량
WO201711537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voiding vehicular accidents
KR102452474B1 (ko) 가상차선 유지 장치 및 그 방법
JP4337130B2 (ja) 運転装置の制御装置
KR101739519B1 (ko) Hud 정보가 최적의 위치에 표시되도록 하는 장치
KR20120041583A (ko) 곡선로 카메라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101550818B1 (ko) 차량의 주행 차간거리 확보장치
TW201501972A (zh) 具有方向定向導航系統之視覺定位
KR20110118882A (ko) 차량의 사이드미러를 대체하는 측방충돌방지 경보시스템
WO2017088963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ducing a brightness of an object perceivable by a passenger of a vehicle
KR20130096431A (ko) 차선 변경 안내 장치
JP2009067214A (ja) 障害物検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