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0398B1 - the improved construction method of road boundary stone based on rain drainage - Google Patents

the improved construction method of road boundary stone based on rain drain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0398B1
KR101550398B1 KR1020150028211A KR20150028211A KR101550398B1 KR 101550398 B1 KR101550398 B1 KR 101550398B1 KR 1020150028211 A KR1020150028211 A KR 1020150028211A KR 20150028211 A KR20150028211 A KR 20150028211A KR 101550398 B1 KR101550398 B1 KR 101550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al
installing
boundary
boundary ston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82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덕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컨스이엔지
이덕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컨스이엔지, 이덕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컨스이엔지
Priority to KR1020150028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039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0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0398B1/en
Priority to PCT/KR2016/001785 priority patent/WO2016137218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01C11/223Kerb-and-gutter structures; Kerbs with drainage openings channel or conduits, e.g. with out- or inlets, with integral gutter or with channel formed into the kerb ; Kerbs adapted to house cables or pipes, or to form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7Gutters; Channels ; Roof drainage discharge ducts set in sidewal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50Removable forms or shutterings for road-building purposes; Devices or arrangements for forming individual paving elements, e.g. kerbs,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50Removable forms or shutterings for road-building purposes; Devices or arrangements for forming individual paving elements, e.g. kerbs, in situ
    • E01C19/502Removable forms or shutterings, e.g. side forms; Removable supporting or anchoring means therefor, e.g. stakes
    • E01C19/506Removable forms or shutterings, e.g. side forms; Removable supporting or anchoring means therefor, e.g. stakes for kerbs, gutters or similar structures, e.g. raised portions, median b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respectively installing rain drainage (80) and a boundary stone (160) on the drilling ground (G) and a sub-base (G1) of a wayside. Provided is an improved construction method for a road boundary stone based on rain drainage, which comprises the following steps of: (1) installing a support and holding rain drainage; (2) pulling a sub-base; (3) determining a height of a boundary stone; (4) installing a boundary stone support and a T-shaped plate; (5) installing a boundary stone; (6) installing a side gutter mold; (7) depositing side gutter concrete; and (8) disassembling the side gutter mold.

Description

우수받이를 기반으로 한 개량형 도로 경계석 시공방법{the improved construction method of road boundary stone based on rain drainag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structing an improved road boundary stone

본 발명은 도로변에 설치되는 우수받이 및 도로 경계석을 시공하기 위한 것으로, 모든 부재를 사전제작하여 모듈화 시키고 시공현장에서 미숙련공도 계측된 표에 의해 기계적으로 정확한 품질로 시공할 수 있어 시공성 및 경제성이 향상되며, 특히 곡선구간에서 정확한 곡선으로 시공되어 미관이 우수한 우수받이를 기반으로 한 개량형 도로 경계석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structing modularized preformed and prefabricated roads installed on the roadside, which can be mechanically precisely constructed by using the measured tables to improve the workability and economy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constructing an improved road boundary stone based on an excellent receiving surface which is constructed with an accurate curve in a curve section.

도 1은 종래의 우수받이 및 경계석의 시공상태를 도시한 도로 및 인도의 단면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일반적으로 우수받이는 도로의 우수를 집수하여 우수관으로 배수하는 시설이며, 사람이 보행하는 인도는 경계석과 L형 측구(이하, ‘측구’라 한다.)로 구성된다.Generally, a wellhead is a facility that collects stormwater stormwater and discharges it to a stormwater gutter. The man-made walker is composed of a boundary stone and an L-shaped gaug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gauge").

상기 경계석은 차량운행으로 인한 보행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부분이고, 경계석을 지지하는 측구는 우천시 우수를 집수하여 우수받이로 배수하는 시설이다. The barrier seat is a part for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of a pedestrian due to vehicle operation, and a supporting part for the barrier seats is a facility for collecting rainwater and discharging it to a rainwater receiver.

종래의 경우 우수받이는,In the conventional case,

(1) PC(precast concrete)로 제작하는 단계;(1) fabricating a precast concrete (PC);

(2) 경계석 선형을 측량하여 우수받이의 위치와 높이를 확정하는 단계;(2) measuring the boundary line shape to determine the position and height of the superior receiving line;

(3) 우수받이를 측량에 맞추어 설치하는 단계;(3) installing the leveling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surveying;

(4) 경계석 선형 및 높이를 측량하여 보조기층을 포크레인으로 포설하여 1톤로러로 다지는 단계;(4) Surveying the boundary line shape and height, laying the auxiliary layer on the forklays and consolidating them into 1 tonne roller;

(5) 경계석을 놓기 위한 경계석 선형 및 높이를 측량하는 단계;(5) measuring the boundary line shape and height to place the boundary;

(6) 합판거푸집과 말뚝을 이용하여 경계석 후면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6) installing a barrier post form using a plywood form and a pile;

(7) 포크레인을 이용하여 경계석을 배열하는 단계;(7) arranging the boundary stones using a forklane;

(8) 1차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8) casting the primary concrete;

(9) 경계석을 놓기위한 콘크리트를 양생하는 단계;(9) curing the concrete for placing the boundary stones;

(10) 경계석을 설치하는 단계;(10) installing a boundary stones;

(11) 합판거푸집과 포크레인을 이용하여 경계석 전면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11) installing a front face form using a plywood form and a fork-lift;

(12) L형측구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및,(12) Placing the L-type side concrete; And

(13) 포크레인을 이용하여 거푸집을 해체하고 완성하는 단계;(13) disassembling and completing the form using a forklift;

순으로 진행된다.
.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공법은 시공시 대체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method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as a whole in construction.

상기 종래 공법으로 우수받이를 정확한 위치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우수받이 1개소당 2개의 점을 정확히 선형에 위치하여야 한다. 그러나 PC로 제작된 우수받이는 무거운 자중으로 인하여 설치시 지반교란과 측량시 선형 및 높이의 오차로 인한 위치변형과 우수받이 설치후 되메우고 다짐정도에 따른 위치변형 그리고 곡선구간 위치한 우수받이의 설치시 위치 변형 등이 발생한다.
In order to install the superior receiver in the correct position by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method, two points should be accurately positioned linearly in one superior receiver. However, due to the heavy weight of the PC, it is difficult to measure the position disturbance due to heavy self weight, position deformation due to linearity and height error during measurement, positional deformation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mpaction after installing the excellent receiver, Position distortion occurs.

상기 문제점으로 인하여 우수받이 설치후 경계석 선형 측량을 할 때 변형된 우수받이에 대하여 재시공이 불가피하여 비용 증가와 공기가 길어지며, Due to the abov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rework a deformed well when performing boundary line linear survey after installation of a superior receiver,

설계시 경계석 지반인 보조기층을 포설할 시 포장장비인 그레이더와 럴러로 포설 및 다짐을 하게 되어있으나, 보조기층 포설시 지장물인 우수받이(20m당 1개소)로 인하여 현장에서는 포크레인과 1톤 롤러 그리고 인력의 조합으로 보조기층을 포설하여 추가로 공사비용이 발생된다.In the design, it is required to install and compose with the grader and the lorer as the packing equipment when laying the auxiliary layer which is the ground of the boundary stones. However, due to the excellent receiver (one per 20 m) Construction costs are incurred by laying down the auxiliary floor with a combination of manpower.

이후 경계석 선형 측량하여 1측점 당 철근 2개를 설치하여 위치를 정한 다음 경계석의 높이를 측량하여 가로철근을 높이에 맞추어 결속선으로 고정한 후 경계석 위치를 정하여 결속선으로 위치를 고정하고 이어서 실을 연결하여 경계석 선형을 맞추며, Thereafter, two reinforcement bars were installed per 1 point, and the height of the barrage was measured. The bar reinforcement was fixed to the height by fixing the barrage, and then the position of the barrage was determined and the position was fixed by the binding wire. The boundary line is aligned,

곡선구간은 1측점 당(20m) 철근을 15개 이상 설치하여 철근절단 및 철근 설치에 많은 인력과 재료가 소모되어 공기연장 및 비용증가의 원인이 된다. In the curved section, more than 15 reinforcing bars (20m) per point are installed, which causes a lot of manpower and materials to be used for rebar cutting and rebar installation, which causes air extension and cost increase.

경계석 설치시 철근과 거푸집을 이용하여 후면거푸집을 설치하고 그 앞에 경계석을 배열하여 후면거푸집과 경계석 사이에 1차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데, 후면거푸집 설치와 경계석배열과 콘크리트 타설후 경계석을 설치하기 위한 양생과정(2~3시간)으로 인하여 비용 및 공기가 길어지며 이후 전면거푸집 설치 및 측구 콘크리트 타설에도 인력과 포크레인이 이용되고 거푸집 해체후 완성에도 포크레인이 필요하다.In the installation of the boundary stone, the reinforcement and the formwork are used to form the rear formwork, and the frontal concrete is laid out in front of it, so that the primary concrete is laid between the back formwork and the cauldron. The curing for installing the rear formwork, Due to the process (2 ~ 3 hours), the cost and air are lengthened. Then, manpower and forklrage are used for front formwork installation and side concrete pouring.

상술한 바와 같이, As described above,

종래의 공법은 우수받이를 이용한 경계석 설치시 1싸이클을 살펴보면,In the conventional method, when one cycle is observed at the time of installation of the boundary stone using the superior receiving member,

우수받이 시공후 경계석선형측량단계 1일, 보조기층 높이측량과 보조기층 포설 다짐단계 1일, 경계석 선형측량단계 1일, 철근 말뚝박기 및 경계석 높이측량단계 1일, 후면거푸집설치/경계석배열/측구콘크리트타설/경계석설치 단계 1일, 전면거푸집설치와 측구 콘크리트타설단계 1일, 익일 거푸집해체 후 완성단계 1일 등 총 7일로 소요되어 비효율적이며 이로 인한 많은 비용과 공기가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Boundary Linear Surveying Phase 1, Boundary Line Layout Phase 1, Boundary Layer Height Survey and Boundary Layer Layout Phase 1, Boundary Linear Phase 1 Day, Rebar Piling and Boundary Height Phase 1 Day, Rear Formwork Installation / It takes a total of 7 days including 1 day of installation of concrete, installation of front formwork, 1 day of installation of side wall concrete, 1 day of completion after demolishing of next day formwork, which is inefficient.

특히 현장에 배치되는 기능공의 숙련도에 따라 품질의 차이가 많이 발생하여 소정의 품질을 확보하기 어려운 단점이 지적되어 왔다.
In particular,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it is difficult to secure a predetermined quality due to a large difference in quality depending on the skill level of skilled workers placed on the field.

[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132880호 ‘단지 토목, 조경, 도로, 공원용 한 쌍의 경계석 및 경계석 받침을 동시에 설치할 수 있는 콘크리트 레벨링 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단지 토목, 조경, 도로, 공원용 한 쌍의 경계석 및 경계석 받침을 동시에 설치할 수 있는 콘크리트 레벨링 시공 방법’, 2011.12.09.[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1-0132880 'A concrete leveling construction apparatus capable of simultaneously installing a pair of boundary stones and a boundary stone support for civil engineering, landscaping, roads, parks and complex civil engineering, Concrete leveling construction method that can install a pair of park seats and a barrier seats simultaneously ', 2011.12.09. [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04145호 ‘일체형 경계석과 측구 또는 경계석 받침 또는 경계석 받침과 측구 일체형 구조물 시공을 위한 통돌이형 시공 장치 및 방법’, 2010.12.27.[Patent Document 2]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004145 entitled " Device and Method for Construction of Integrated Boundary Stone and Side or Perimeter Base, or Entire Borehole Type Construction &

본 발명은 도로변에 설치되는 우수받이 및 도로 경계석을 시공하기 위한 것으로, 모든 부재를 사전제작하여 모듈화 시키고 시공현장에서 미숙련공도 계측된 표에 의해 기계적으로 정확한 품질로 시공할 수 있어 시공성 및 경제성이 향상되며, 특히 곡선구간에서 정확한 곡선으로 시공되어 미관이 우수한 우수받이를 기반으로 한 개량형 도로 경계석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structing modularized preformed and prefabricated roads installed on the roadside, which can be mechanically precisely constructed by using the measured tables to improve the workability and economy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constructing an improved road boundary stone based on an excellent trail having excellent curvature and excellent aesthetic appearance in a curved section.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도로변의 굴착지반(G)과 보조기층(G1)에 각각 우수받이(80) 및 경계석(160)을 설치하기 위한 방법으로,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installing the superior receiving unit 80 and the boundary staking unit 160 on the excavation ground G and the auxiliary equipment layer G1, respectively,

(1) 상기 우수받이(80)가 설치될 레벨로 지반을 굴착하여 상기 굴착지반(G)을 형성하고 상기 굴착지반(G)에 받침대(100)를 거치한 후 상기 우수받이(80)를 양중하여 상기 받침대(100) 상부에 계측된 위치에 거치하는 받침대설치및우수받이거치단계;(1) The excavation ground G is formed by excavating the ground to a level at which the leveler 80 is to be installed, the pedestal 100 is mounted on the excavation ground G, A pedestal installed at a position measured on the pedestal (100) and a pedestal receiving step;

(2) 상기 우수받이(80) 상부에 임시뚜껑(70)을 설치하고 상기 뚜껑(70)을 덮도록 보조기층(G1)을 포설하는 보조기층포설단계;(2) an auxiliary layer laying step of installing a provisional lid 70 above the leveler 80 and installing an auxiliary layer G1 to cover the lid 70;

(3) 상기 우수받이(80) 상단에서 상부로 상기 경계석(160)이 설치될 높이를 결정하는 경계석높이결정단계;(3) determining a height of a barrier seat (160) to be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uperior receiving portion (80);

(4) 상기 경계석(160)을 하부에서 지지할 다수개의 경계석받침대(150)와 상기 다수개의 경계석받침대(150) 상호간을 연결하는 다수개의 T형판(140)을 상기 보조기층(G1) 상부에 설치하는 경계석받침대및T형판설치단계;(4) A plurality of boundary stone pedestals 150 for supporting the boundary stone 160 from below and a plurality of T-shaped plates 140 for connecting the plurality of boundary stone pedestals 150 are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auxiliary layer G1 And a T-plate;

(5) 상기 경계석받침대(150) 상부에 상기 경계석(160)을 다수개 양중하여 거치하는 경계석설치단계;(5) installing a barrier seat 160 in which a plurality of barrier stones 160 are packed and placed on the perimeter seat pedestal 150;

(6) 사람이 보행하는 인도의 하부로써 우수를 집수하여 상기 우수받이(80)로 배수할 측구(180)를 형성하기 위하여 측구공간(176)을 수용하도록 다수개의 거푸집지지대(170) 및 다수개의 거푸집본체(175)를 설치하는 측구거푸집설치단계;(6) a plurality of die supports (170) and a plurality of die supports (176) for receiving the sidewall space (176) to form a sidewall (180) Installing a formwork main body (175);

(7) 상기 측구공간(176)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상기 측구(180)를 형성하는 측구콘크리트타설단계; 및,(7) a concrete concrete pouring step in which the concrete is poured and cured in the pore space 176 to form the pore 180; And

(8) 상기 거푸집지지대(170) 및 상기 거푸집본체(175)를 해체하는 측구거푸집해체단계;(8) disassembling the formwork support (170) and the mold body (175);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받이를 기반으로 한 개량형 도로 경계석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of constructing an improved road boundary stone based on a well-known structure.

본 발명은 도로변에 설치되는 우수받이 및 도로 경계석을 시공하기 위한 것으로, 모든 부재를 사전제작하여 모듈화 시키고 시공현장에서 미숙련공도 계측된 표에 의해 기계적으로 정확한 품질로 시공할 수 있어 시공성 및 경제성이 향상되며, 특히 곡선구간에서 정확한 곡선으로 시공되어 미관이 우수한 우수받이를 기반으로 한 개량형 도로 경계석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structing modularized preformed and prefabricated roads installed on the roadside, which can be mechanically precisely constructed by using the measured tables to improve the workability and economy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constructing an improved road boundary stone based on a superior plane having excellent curvature and excellent aesthetic appearance in a curved section.

도 1은 종래의 우수받이 및 경계석의 시공상태를 도시한 도로 및 인도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우수받이를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GPS수신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프리즘반사경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우수받이 및 받침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받침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지지봉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지지봉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서 (1) 받침대설치및우수받이거치단계; 중 받침대 설치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서 (1) 받침대설치및우수받이거치단계; 중 우수받이 설치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도 14에서 프리즘반사경을 설치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현장야장으로 측량성과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7 내지 20은 도 16을 얻기 위한 캐드도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서 (1) 받침대설치및우수받이거치단계;의 우수받이 하부의 가변다리를 조절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서 (1) 받침대설치및우수받이거치단계;의 받침대를 제거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23 및 24는 본 발명에서 (1) 받침대설치및우수받이거치단계;의 베이스콘크리트거푸집을 설치하고 베이스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25는 본 발명에서 (2) 보조기층포설단계;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6 및 27은 본 발명에서 (3) 경계석높이결정단계;의 측량봉 설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28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T형판 및 경계석받침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9는 도 28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30 및 31은 본 발명에서 (4) 경계석받침대및T형판설치단계;에 사용되는 곡선구간계산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2는 캐드도면 상에서 곡선구간을 경계석 길이로 구획하고 접선방향으로 표기한 것이다.
도 33은 도 32에 의거하여 경계석받침대와 T형판을 배치한 개념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에서 (5) 경계석설치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5는 도 34에서 지지봉을 이용하여 높이를 조절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36은 본 발명에서 (6) 측구거푸집설치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7은 본 발명에서 (7) 측구콘크리트타설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8은 본 발명에서 (8) 측구거푸집해체단계; 후에 최종 완성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old for making a base for use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GPS receive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rism reflecto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FIG. 6.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tand and a pedestal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edestal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Fig.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 rod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support rod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steps of (1) installing a pedestal and mounting a pedestal; Which is a conceptual view of the installation of the pedestal.
FIG. 1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steps of (1) installing a pedestal and mounting a pedestal; Which is a conceptual illustration.
FIG. 15 illustrates a process of installing a prism reflector in FIG.
Fig. 16 shows a survey chart of the field field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17 to 20 show a CAD diagram for obtaining Figure 16.
FIG. 21 is a view showing the process of (1) adjusting the variable legs of the lower part of the superior receiving part of the pedestal installation and the superior receiving part.
22 shows a process of removing the pedestal of (1) a pedestal and a pedestal stage in the present invention.
23 and 24 illustrate (1) a process of installing a base concrete form of a pedestal and a pedestal receiving step and installing a base concrete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25 conceptually illustrates (2) a step of installing an assistant layer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s. 26 and 27 illustrate the installation of the measuring rods in (3) the step of determining the height of the barrier seats in the present invention.
2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plate and an observer pedestal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29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Fig.
FIGS. 30 and 31 illustrate a curved section calculation table used in (4) installing a boundary stone pedestal and a T-shaped plate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32 is a diagram showing the curved section on the CAD diagram divided by the curb length and indicated in the tangential direction.
Fig. 33 is a conceptual diagram in which a boundary stone pedestal and a T-shaped plate are arranged according to Fig.
FIG. 34 shows a step (5) of installing a boundary stone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35 shows a process of adjusting the height by using a support bar in FIG.
FIG. 36 illustrates the step (6) of installing the lateral formwork in the present invention.
37 shows (7) the concrete concrete pouring step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3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the final completed state later.

이하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개념이 바람직하게 구현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리고 설명에 앞서서 본 발명에는 본 발명의 출원인이 기존에 출원한 출원번호 10-2014-0068624, 10-2014-0068626, 10-2014-0068627, 10-2014-0072946 등 총 4건의 내용을 전부 포함함을 명확히 밝힌다.
Prior to the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encompasses all four contents, including application numbers 10-2014-0068624, 10-2014-0068626, 10-2014-0068627, 10-2014-0072946 filed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본 발명의 우수받이를 기반으로 한 개량형 도로 경계석 시공방법은,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structing an improved road boundary stone,

도로변의 굴착지반(G)과 보조기층(G1)에 각각 우수받이(80) 및 경계석(160)을 설치하기 위한 방법으로,As a method for installing the superior receiving unit 80 and the boundary unit 160 on the excavation ground G and the auxiliary equipment layer G1 on the road side,

(1) 상기 우수받이(80)가 설치될 레벨로 지반을 굴착하여 상기 굴착지반(G)을 형성하고 상기 굴착지반(G)에 받침대(100)를 거치한 후 상기 우수받이(80)를 양중하여 상기 받침대(100) 상부에 계측된 위치에 거치하는 받침대설치및우수받이거치단계;(1) The excavation ground G is formed by excavating the ground to a level at which the leveler 80 is to be installed, the pedestal 100 is mounted on the excavation ground G, A pedestal installed at a position measured on the pedestal (100) and a pedestal receiving step;

(2) 상기 우수받이(80) 상부에 임시뚜껑(70)을 설치하고 상기 뚜껑(70)을 덮도록 보조기층(G1)을 포설하는 보조기층포설단계;(2) an auxiliary layer laying step of installing a provisional lid 70 above the leveler 80 and installing an auxiliary layer G1 to cover the lid 70;

(3) 상기 우수받이(80) 상단에서 상부로 상기 경계석(160)이 설치될 높이를 결정하는 경계석높이결정단계;(3) determining a height of a barrier seat (160) to be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uperior receiving portion (80);

(4) 상기 경계석(160)을 하부에서 지지할 다수개의 경계석받침대(150)와 상기 다수개의 경계석받침대(150) 상호간을 연결하는 다수개의 T형판(140)을 상기 보조기층(G1) 상부에 설치하는 경계석받침대및T형판설치단계;(4) A plurality of boundary stone pedestals 150 for supporting the boundary stone 160 from below and a plurality of T-shaped plates 140 for connecting the plurality of boundary stone pedestals 150 are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auxiliary layer G1 And a T-plate;

(5) 상기 경계석받침대(150) 상부에 상기 경계석(160)을 다수개 양중하여 거치하는 경계석설치단계;(5) installing a barrier seat 160 in which a plurality of barrier stones 160 are packed and placed on the perimeter seat pedestal 150;

(6) 사람이 보행하는 인도의 하부로써 우수를 집수하여 상기 우수받이(80)로 배수할 측구(180)를 형성하기 위하여 측구공간(176)을 수용하도록 다수개의 거푸집지지대(170) 및 다수개의 거푸집본체(175)를 설치하는 측구거푸집설치단계;(6) a plurality of die supports (170) and a plurality of die supports (176) for receiving the sidewall space (176) to form a sidewall (180) Installing a formwork main body (175);

(7) 상기 측구공간(176)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상기 측구(180)를 형성하는 측구콘크리트타설단계; 및,(7) a concrete concrete pouring step in which the concrete is poured and cured in the pore space 176 to form the pore 180; And

(8) 상기 거푸집지지대(170) 및 상기 거푸집본체(175)를 해체하는 측구거푸집해체단계;(8) disassembling the formwork support (170) and the mold body (175);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control unit.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우수받이를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결합사시도이다.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ormwork for making a base for use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FIG.

본 발명에 사용되는 우수받이(80)는 PC로 사전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It is preferable that the superior receiver 80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abricated with a PC,

사전제작시 내부거푸집(30)과 외부거푸집(40)을 이용한다.
The inner mold 30 and the outer mold 40 are used in advance.

상기 내부거푸집(30)은 다수개의 거푸집판(31)이 상호 결합된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거푸집판(31) 상단에는 측량구형성핀(33)이 삽입될 구멍이 형성된 측량구형성핀거치대(32)가 설치된다.
The inner mold 30 is formed by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the mold plates 31. The upper end of the mold plate 31 is provided with a measuring hole forming pin holder 32 are installed.

상기 외부거푸집(40)은 받침판(45)과 상기 받침판(45)의 단부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전면판(41), 후면판(41`) 그리고 2개의 측면판(41``)으로 구성된다.The outer die 40 is composed of a support plate 45 and a front plate 41, a rear plate 41 and two side plates 41 which are vertically coupled to the end of the support plate 45.

상기 측면판(41``)에는 상기 우수받이(80)에 관통홀(82)이 형성될 수 있도록 관통홀삽입구(43)가 설치되며, 상기 받침판(45) 상부에는 상기 우수받이(80) 하부에 가변다리(90) 상단이 삽입되는 가변다리삽입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가변다리삽입부형성구(48)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판(45) 하부에는 상기 받침판(45)을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는 다리부(46)가 형성된다.A through hole insertion opening 43 is formed in the side plate 41 so that the through hole 82 can be formed in the bottom plate 80. The bottom plate 45 is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A variable leg inserting portion 48 is provided so that a variable leg inserting portion into which an upper end of the variable leg 90 is inserted can be formed. A foot 46 is formed under the foot plate 45 to separate the foot plate 45 from the floor.

그리고 상기 전면판(41), 후면판(41`), 측면판(41``) 및 받침판(45) 상호간은 연결부(42) 또는 폼타이(FT) 등으로 연결되어 분리가능하도록 체결된다.
The front plate 41, the rear plate 41 ', the side plate 41' and the support plate 45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on part 42 or a foam tie.

도 8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우수받이 및 받침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받침대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9의 결합사시도이다.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edestal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FIG. 9. FIG.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edestal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사용되는 우수받이(80)는 관통홀(82)에 연결핀(74)을 끼워 행거(75)를 설치하여 크레인으로 양중한다. 상기 우수받이(80)의 하부에는 상부대(91)와 하부대(92) 그리고 소켓(9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변다리(90)가 결합되어 상기 상부대(91)와 하부대(92)의 회전을 통한 레벨링이 가능하다.
The supporting base 80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hanger 75 with a connecting pin 74 sandwiched between the through holes 82 and a crane. A variable leg 90 including a top bag 91 and a bottom bag 92 and a socket 94 is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bottom 80 to connect the top bag 91 and the bottom bag 92, It is possible to perform leveling by rotation of the motor.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받침대(100)는 상부에 롤러(102)가 설치되고 계측자(103)가 표기된 프레임(105)과 상기 롤러(102) 위에 거치되어 전후좌후 이동할 수 있는 구멍(106)이 형성된 상부판(107)이 거치되며, 후에 상기 상부판(107) 상부에 상기 우수받이(80)가 임시거치되게 된다.The pedestal 100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rame 105 on which a roller 102 is installed and on which a meter 103 is marked and a hole 106 on which a front and rear left and right movable holes 106 are formed, The plate 107 is mounted on the top plate 107, and then the base plate 80 is temporarily mounted on the top plate 107.

상기 받침대(100) 하부에는 상술한 가변다리(90)가 결합되어 레벨링이 가능하게 한다.The above-described variable legs 90 are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pedestal 100 to enable leveling.

그리고 상기 구멍(106)에 상기 받침대(100)에 형성된 구멍(101)으로 볼트(104)가 체결되어 받침대(100)의 운반시 상기 상부판(107)이 이탈되지 않게 하며, 상기 우수받이(80)가 상기 상부판(107) 위에 거치된 후 상기 볼트(104)를 풀고 상기 계측자(103)에 맞추어 상기 상부판(107)을 이동시키면 된다.
The bolt 104 is fastened to the hole 106 formed in the pedestal 100 so that the upper plate 107 is not released when the pedestal 100 is transported, The bolts 104 may be loosened and the upper plate 107 may be moved in alignment with the measuring instrument 103 after the bolts 104 are mounted on the upper plate 107.

도 13은 본 발명에서 (1) 받침대설치및우수받이거치단계; 중 받침대 설치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14는 본 발명에서 (1) 받침대설치및우수받이거치단계; 중 우수받이 설치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FIG.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steps of (1) installing a pedestal and mounting a pedestal; FIG. 1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stallation of the middle pedestal, and FIG. 1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steps of (1) installing a pedestal and receiving a pedestal; Which is a conceptual illustration.

상기 (1) 받침대설치및우수받이거치단계;는 상기 우수받이(80)가 설치될 레벨로 지반을 굴착하여 상기 굴착지반(G)을 형성하고 상기 굴착지반(G)에 받침대(100)를 거치한 후 상기 우수받이(80)를 양중하여 상기 받침대(100) 상부에 계측된 위치에 거치하는 단계를 말한다.(1) The pedestal is installed and the pedestal receiving step is performed by excavating the ground to a level where the leveler 80 is to be installed to form the excavating ground G and mounting the pedestal 100 on the excavating ground G And then mounting the superior receiver 80 on the pedestal 100 in a measured position.

구체적으로 도 13과 같이, 규준대(90)에 실을 띄워 위치를 선정하고 상기 가변다리(90)를 레벨링하며 상기 받침대(100)를 설치하고, 도 14와 같이 크레인을 이용하여 우수받이(80)를 양중한다.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3, the pedestal 100 is installed by leveling the variable legs 90 by placing a thread on the pedestal 90, placing the pedestal 100 on the pedestal 80 ).

도 16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현장야장으로 측량성과표를 나타낸 것이고, 도 17 내지 20은 도 16을 얻기 위한 캐드도면을 도시한 것이다.FIG. 16 shows a survey chart of the site field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7 to 20 show a CAD diagram for obtaining FIG.

그리고 도 21은 본 발명에서 (1) 받침대설치및우수받이거치단계;의 우수받이 하부의 가변다리를 조절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And FIG. 21 is a view showing the process of (1) adjusting the variable legs of the lower part of the superior receiving part of the pedestal installation and excellent receiving step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1) 받침대설치및우수받이거치단계;는,The above (1) pedestal installation and excellent pedestal mounting step,

사전에 캐드를 이용하여 상기 우수받이(80)의 설치높이와 설치위치가 표기된 측량성과표를 작성하여, 상기 측량성과표에 맞추어 상기 받침대(100)의 프레임(105) 하부에 설치된 가변다리(90)로 높이를 조정하고, 상기 우수받이(80)를 양중하여 상기 받침대(100) 상부에 거치한 후 상기 우수받이(80) 상단에 형성된 측량구(81)에 GPS수신기(50) 또는 프리즘반사경(60)을 설치하여 상기 우수받이(80)의 정확한 설치높이와 설치위치를 조절하되 상기 프레임(105) 상부에 설치된 상부판(107)이 상기 프레임(105) 상부에 설치된 롤러(102)를 활주하여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measuring scale table indicating the installation height and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uperior receiving unit 80 is prepared using CAD in advance and the variable leg 90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frame 105 of the pedestal 100 A GPS receiver 50 or a prism reflector 60 is attached to a measuring port 81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receiving pan 80 after the height of the receiving pan 80 is adjusted to a height, And an upper plate 107 provided on the frame 105 is adjusted by sliding the roller 102 installed on the frame 105 by adjusting the height and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uperior receiver 80, .

도 15는 도 14에서 프리즘반사경을 설치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FIG. 15 illustrates a process of installing a prism reflector in FIG.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GPS수신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프리즘반사경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결합사시도이다.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GPS receive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FIG. 4,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rism reflecto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FIG. .

상기 GPS수신기(50)는 수신부(51) 하부에 선단이 테이퍼형상으로 형성된 지지봉(52)이 부착되며, 상기 지지봉(52)이 슬롯(58)이 형성된 지지판(57)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봉(52) 선단을 상기 우수받이(80)의 측량구(81)에 일치시킨다. 상기 슬롯(58)에는 돌출봉(53)이 지지봉(52)으로 끼워져 상기 지지봉(52)의 상기 지지판(57)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슬롯(58) 상에서 상하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The GPS receiver 50 is attached with a support rod 52 having a tapered tip at the bottom of the receiver 51. The support rod 52 penetrates the support plate 57 with the slot 58 formed therein, ) To be aligned with the metering port (81) of the supporter (80). The protruding bar 53 is inserted into the slot 58 by the support bar 52 to prevent the support bar 52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upport plate 57 and to move up and down in the slot 58.

상기 수신부(51) 또는 상기 지지판(57)에는 수준기(54)를 부착하며, 상기 지지판(57)에는 3개의 위치조절구(55)가 설치되어 상기 수준기(54)에 맞추어 레벨링이 가능하게 한다. 우수받이(80) 상부면이 불규칙할 경우를 대비하여 받침판(56)을 추가로 구성할 수 있다.
A leveling unit 54 is attached to the receiving unit 51 or the supporting plate 57 and three position adjusting members 55 are provided on the supporting plate 57 to enable leveling of the leveling unit 54 with respect to the leveling unit 54. The support plate 56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in case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superior receiver 80 is irregular.

상기 프리즘반사경(60)은 상기 GPS수신기(50)와 거의 같은 기능과 부재로 구성되며, 구체적으로 수준기(61), 본체(62), 지지봉(63), 돌출봉(64), 지지판(66), 슬롯(67) 및 위치조절구(65) 등으로 구성된다.
The prism reflector 60 is composed of the same functions and members as those of the GPS receiver 50 and specifically includes a leveler 61, a main body 62, a support rod 63, a protruding rod 64, a support plate 66, A slot 67, a position adjuster 65, and the like.

도 22는 본 발명에서 (1) 받침대설치및우수받이거치단계;의 받침대를 제거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며, 도 23 및 24는 본 발명에서 (1) 받침대설치및우수받이거치단계;의 베이스콘크리트거푸집(F)을 설치하고 베이스콘크리트(BC)를 타설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23 and 24 illustrate a process of removing the pedestal of the pedestal and the pedestal of the pedestal of the base concrete of the present invention; (F) is installed and a base concrete (BC) is laid.

도 25는 본 발명에서 (2) 보조기층포설단계;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6 및 27은 본 발명에서 (2) 경계석높이결정단계;의 측량봉 설치를 도시한 것이다.
FIG. 25 conceptually illustrates (2) a step of installing an assistant layer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6 and 27 illustrate the installation of a measuring rod in (2) the step of determining a barrier height in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2) 보조기층포설단계;는 상기 우수받이(80) 상부에 임시뚜껑(70)을 설치하고 상기 뚜껑(70)을 덮도록 보조기층(G1)을 포설하는 단계를 말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조기층(G1)보다 7cm 낮은 임시뚜껑(70)의 손잡이에 리본을 결속선에 결합하여 7cm로 결속선을 구부린 후 모든 임시뚜껑(70) 손잡이에 고정시키고 이를 기준으로 보조기층면을 그레이더와 롤러로 포설 및 다짐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tep (2) of installing the auxiliary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ep of installing a provisional lid 70 above the leveler 80 and installing an auxiliary layer G1 to cover the lid 70. Specifically, the ribbon is bound to the binding wire of the temporary lid 70, which is 7 cm lower than the auxiliary layer G1, to the bundling line, and the bundling line is bent to 7 cm. Then, the bundling line is fixed to the grips of all the temporary lids 70, And rollers and rollers.

본 발명의 (3) 경계석높이결정단계;는 상기 우수받이(80) 상단에서 상부로 상기 경계석(160)이 설치될 높이를 결정하는 단계를 말한다.The step (3) of determining the height of the barrier sea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 step of determining the height at which the barrier seals 160 are installed from the upper end to the upper end of the superior receiver 80.

상기 (3) 경계석높이결정단계;는, 상기 임시뚜껑(70)을 제거하고 상기 우수받이(80) 상단에 형성된 측량구(81)에 측량봉(130)을 설치하며, 상기 보조기층(G1) 상부로 노출된 상기 측량봉(130) 상단에 상기 경계석(160)의 설치높이를 리본 등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보조기층(G1)을 완료한 후 임시뚜껑(70)을 제거하고 경계석 선형에 맞추어진 측량구(81) 1개소에 측량봉(130)을 고정하여 우수받이(80) 상면에서 일률적으로 42cm 높이에 리본을 결합한 후 실로 연결하여 경계석높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3) 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height of the barrier stones, the provisional lid 70 is removed and the leveling rod 130 is installed in the measuring port 81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leveler 80,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observer 160 is indicated by a ribbon or the like on the upper end of the measurement rod 130 exposed upward. Specifically, after the auxiliary layer G1 is completed, the temporary lid 70 is removed and the measuring rod 130 is fixed to one of the measuring ports 81 aligned with the boundary streak line type to uniformly measure 42 cm The height of the barrier is determined by connecting the ribbon to the height and then connecting the ribbon to the yarn.

도 28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T형판 및 경계석받침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9는 도 28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30 및 31은 본 발명에서 (4) 경계석받침대및T형판설치단계;에 사용되는 곡선구간계산표를 도시한 것이다.FIG. 2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plate and a cobblestone suppor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29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FIG. 28, and FIGS. 30 and 31 illustrate (4) And a curve section calculation table.

그리고 도 32는 캐드도면 상에서 곡선구간을 경계석 길이로 구획하고 접선방향으로 표기한 것이고, 도 33은 도 32에 의거하여 경계석받침대와 T형판을 배치한 개념도이다.
FIG. 32 is a diagram showing a curved section on the CAD drawing in which the curb section is divided by the boundary stone length and is expressed in the tangential direction, and FIG. 33 is a conceptual diagram in which the boundary stone pedestal and the T-shaped plate are arranged according to FIG.

본 발명의 (4) 경계석받침대및T형판설치단계;는 상기 경계석(160)을 하부에서 지지할 다수개의 경계석받침대(150)와 상기 다수개의 경계석받침대(150) 상호간을 연결하는 다수개의 T형판(140)을 상기 보조기층(G1) 상부에 설치하는 단계를 말한다.(4) the step of installing the observer's seat and the T-shaped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observer's pedestals 150 for supporting the observer's 160 from below and a plurality of T-shaped plates 140 is installed on the auxiliary layer G1.

상기 (4) 경계석받침대및T형판설치단계;는,(4) installing the boundary stone pedestal and the T-shaped plate;

사전에 캐드를 이용하여 산출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측량봉(130)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하여 상기 경계석받침대(150)와 상기 T형판(140)을 설치하되,The observer's pedestal 150 and the T-shaped plate 140 ar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measuring rod 130 by using a result calculated using CAD in advance,

곡선구간의 경우,In the case of the curve section,

사전에 캐드를 이용하여 산출된 곡선구간계산표에 의거하여 일단이 상기 경계석받침대(150)에 설치된 상기 T형판(140)의 타단을 접선방향에서 소정거리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경계석받침대(150)를 T형판(140)에 결합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설치하며, 곡선구간계산표에 의하여 보조기구와 휴대용 자를 이용하여 손쉽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other end of the T-shaped plate 140 installed at the boundary stone pedestal 150 is spaced apart from the tangential directio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based on the curve section calculation table calculated using CAD in advance. Specifically, the boundary stone pedestal 150 is connected to the T-shaped plate 140 and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nd can be easily installed using an auxiliary device and a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a curve section calculation table.

도 28 및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s. 28 and 29,

상기 T형판(140)은 장변부(141)와 상기 장변부(141) 타단에 직교하는 단변부(142)로 구성되되, 상기 장변부(143) 일단과 상기 단변부(142) 양단에는 지지봉(120)의 상단이 삽입되는 돌출부삽입구멍(143)이 형성된다.The T-shaped plate 140 is composed of a long side portion 141 and a short side portion 142 that is perpendicular to the other side of the long side portion 141, 120 are formed in the protruded portion insertion hole 143. As shown in Fig.

상기 경계석받침대(150)는 삼각형의 지지판(155)과 상기 지지판(155)의 단부에 결합되는 3개의 지지봉(120)으로 구성된다.
The observer pedestal 150 includes a triangular support plate 155 and three support rods 120 coupled to the end of the support plate 155.

도 11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지지봉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지지봉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Fig.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 rod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support rod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 11,

상기 지지봉(120)은 돌기관통홀(121`)이 형성된 조정너트(121), 돌출부(123`)가 형성된 조정봉(123), 상부나선(125`)과 하부나선(125``)이 형성된 지지봉본체(125), 나사(SB) 및 와서(W), 캡너트(127), 패드(128) 및 나사결합부(129`)가 형성된 소켓(129) 등으로 구성된다.The support bar 120 includes an adjustment nut 121 having a protrusion through hole 121 formed therein, an adjustment bar 123 formed with a protrusion 123 ', a support bar 123 having an upper spiral 125' and a lower spiral 125 ' And a socket 129 formed with a main body 125, a screw SB and a worm W, a cap nut 127, a pad 128 and a threaded portion 129 '.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Also, as shown in FIG. 12,

상기 조정봉(123)과 상기 조정너트(121)를 일체로 형성한 개념인 상부조절체(122)를 구성할 수 있다.
The upper adjuster 122 can be configured as a concept that the adjustment rod 123 and the adjustment nut 121 are integrally formed.

도 34는 본 발명에서 (5) 경계석설치단계;를 도시한 것이고, 도 35는 도 34에서 지지봉을 이용하여 높이를 조절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FIG. 34 shows a step (5) for installing a barrier seam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5 shows a process for adjusting a height using a support rod in FIG.

본 발명의 (5) 경계석설치단계;는 상기 경계석받침대(150) 상부에 상기 경계석(160)을 다수개 양중하여 거치하는 단계를 말한다.(5) Boundary stone installation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the step of loading and storing a plurality of the boundary stones 160 on the barycenter base 150.

상기 (5) 경계석설치단계;에서,In the step (5)

상기 경계석받침대(150)는 삼각형의 지지판(120)과 상기 지지판(120)의 코너에 설치되는 3개의 지지봉(120)으로 구성되되,The observer's pedestal 150 is composed of a triangular support plate 120 and three support bars 120 installed at the corners of the support plate 120,

상기 지지봉(120)의 회전운동으로 높이를 조절하고 구면운동이 가능한 캡너트(127)와 소켓(129)으로 불규칙한 보조기층(G1)의 표면에 대응하되 상기 경계석(160)이 거치되면 상기 캡너트(127)와 상기 소켓(129) 사이의 패드(128)에 마찰력이 발생하여 움직임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ap nut 127 and the socket 129 which are adjustable in height by the rotation of the support rod 120 to correspond to the surface of the irregular auxiliary layer G1, A frictional force is generated in the pad 128 between the socket 127 and the socket 129, and there is no movement.

도 36은 본 발명에서 (6) 측구거푸집설치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FIG. 36 illustrates the step (6) of installing the lateral formwork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6) 측구거푸집설치단계;는 사람이 보행하는 인도의 하부로써 우수를 집수하여 상기 우수받이(80)로 배수할 측구(180)를 형성하기 위하여 측구공간(176)을 수용하도록 다수개의 거푸집지지대(170) 및 다수개의 거푸집본체(175)를 설치하는 단계를 말한다.The step 6) is a step of installing a plurality of dies (not shown) to receive the dowel space 176 to form a dowel 180 for collecting rainwater and discharging it to the dowel 80, And a plurality of the formwork bodies 175 are installed.

상기 거푸집지지대(170)는 고정나사(171), 조절수단(172), 지지프레임(173) 등으로 구성되고, 마주보는 거푸집지지대(170) 상호간에는 프레타이(190)로 연결되며, The die support 170 is composed of a fixing screw 171, an adjusting means 172 and a support frame 173 and is connected to the opposite die supports 170 by a pry tie 190,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출원인이 출원중인 출원번호 10-2014-0068626 ‘도로 경계석 시공을 위한 거푸집 기구’ 및 출원번호 10-2014-0068627 ‘도로 경계석 시공방법’으로 갈음한다.
The detailed description is replaced with Application No. 10-2014-0068626 filed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work for construction of roadway seats' and Application No. 10-2014-0068627 'Method for constructing roadway seaways'.

도 37은 본 발명에서 (7) 측구콘크리트타설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37 shows (7) the concrete concrete pouring step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7) 측구콘크리트타설단계;는 상기 측구공간(176)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상기 측구(180)를 형성하는 단계를 말한다.
The step (7) is a step of pouring concrete and curing the concrete in the space (176) to form the pipe (180).

도 38은 본 발명에서 (8) 측구거푸집해체단계; 후에 최종 완성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FIG. 3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the final completed state later.

상기 (8) 측구거푸집해체단계는 상기 거푸집지지대(170) 및 상기 거푸집본체(175)를 해체하는 단계를 말한다.
The step (8) is a step of disassembling the form support 170 and the mold body 175.

결론으로,In conclusion,

본 발명은 도로변에 설치되는 우수받이 및 도로 경계석을 시공하기 위한 것으로, 모든 부재를 사전제작하여 모듈화 시키고 시공현장에서 미숙련공도 계측된 표에 의해 기계적으로 정확한 품질로 시공할 수 있어 시공성 및 경제성이 향상되며, 특히 곡선구간에서 정확한 곡선으로 시공되어 미관이 우수한 우수받이를 기반으로 한 개량형 도로 경계석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structing modularized preformed and prefabricated roads installed on the roadside, which can be mechanically precisely constructed by using the measured tables to improve the workability and economy In particular, there is an advantage of providing a method of constructing an improved road boundary stone on the basis of an excellent receiving surface, which is constructed with an accurate curve in a curved section and having excellent aesthetic appearance.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가능하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건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It is therefore intended that the appended claims cover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s fall within the true scope of the invention.

BC: 베이스콘크리트
G: 굴착지반
G1: 보조기층
F: 베이스콘크리트거푸집
FT: 폼타이
SB: 나사
W: 와셔
11: 규준대
20: 성토층
30: 내부거푸집
31: 거푸집판
32: 측량구형성핀거치대
33: 측량구형성핀
40: 외부거푸집
41: 전면판
41`: 후면판
41``: 측면판
42, 47: 연결부
43: 관통홀삽입구
46: 다리부
48: 가변다리삽입부형성구
50: GPS수신기
51: 수신부
52: 지지봉
53: 돌출봉
54: 수준기
55: 위치조절구
56: 받침판
57: 지지판
58: 슬롯
60: 프리즘반사경
61: 수신부
62: 본체
63: 지지봉
64: 돌출봉
65: 위치조절구
66: 받침판
67: 슬롯
70: 임시뚜껑
73: 손잡이
74: 연결핀
75: 행거
80: 우수받이
81: 측량구
82: 관통홀
90: 가변다리
91: 상부대
92: 하부대
93: 수나산부
94: 소켓
100: 받침대
101: 구멍
102: 롤러
103: 계측자
104: 볼트
105: 프레임
106: 구멍
107: 상부판
120: 지지봉
121: 조정너트
121`: 돌기관통홀
122: 상부조절체
123: 조정봉
123`: 돌출부
125: 지지봉본체
125`: 상부나선
125``: 하부나선
127: 캡너트
128: 패드
129: 소켓
129`: 나사결합부
130: 측량봉
140: T형판
141: 장변부
142: 단변부
143: 돌출부삽입구멍
150: 경계석받침대
155: 지지판
160: 경계석
170: 거푸집지지대
171: 고정나사
172: 조절수단
173: 지지프레임
175: 거푸집본체
176: 측구공간
180: 측구
190: 프레타이
BC: Base concrete
G: Excavation ground
G1: Supporting layer
F: Base Concrete Formwork
FT: Form Tie
SB: Screw
W: Washer
11: Schematic
20: buried layer
30: inner mold
31: Die plate
32: Measuring pin forming cradle
33:
40: outer die
41: front plate
41`: rear plate
41``: side plate
42, 47:
43: Through hole insertion hole
46:
48: Variable leg insertion part
50: GPS receiver
51: Receiver
52:
53:
54: Level
55: Position adjuster
56:
57: Support plate
58: Slot
60: prism reflector
61:
62:
63: support rod
64:
65: Position adjuster
66:
67: Slot
70: Temporary lid
73: Handle
74: connecting pin
75: Hanger
80: Excellent
81: Surveyor
82: Through hole
90: variable leg
91: The upper unit
92: Lower bag
93: Male or female
94: Socket
100: Base
101: hole
102: roller
103: Measurer
104: Bolt
105: frame
106: hole
107:
120:
121: Adjusting nut
121`: Through-hole
122: upper regulator
123: Tune rod
123`:
125:
125`: Upper spiral
125``: Lower spiral
127: cap nut
128: Pad
129: Socket
129`:
130:
140: T plate
141: long side
142: short side
143: protrusion insertion hole
150: Brace Stand
155:
160:
170: die support
171: Set screw
172: adjusting means
173: Support frame
175: Formwork body
176:
180:
190: Pretty

Claims (5)

도로변의 굴착지반(G)과 보조기층(G1)에 각각 우수받이(80) 및 경계석(160)을 설치하기 위한 방법으로,
(1) 상기 우수받이(80)가 설치될 레벨로 지반을 굴착하여 상기 굴착지반(G)을 형성하고 상기 굴착지반(G)에 받침대(100)를 거치한 후 상기 우수받이(80)를 양중하여 상기 받침대(100) 상부에 계측된 위치에 거치하는 받침대설치및우수받이거치단계;
(2) 상기 우수받이(80) 상부에 임시뚜껑(70)을 설치하고 상기 뚜껑(70)을 덮도록 보조기층(G1)을 포설하는 보조기층포설단계;
(3) 상기 우수받이(80) 상단에서 상부로 상기 경계석(160)이 설치될 높이를 결정하는 경계석높이결정단계;
(4) 상기 경계석(160)을 하부에서 지지할 다수개의 경계석받침대(150)와 상기 다수개의 경계석받침대(150) 상호간을 연결하는 다수개의 T형판(140)을 상기 보조기층(G1) 상부에 설치하는 경계석받침대및T형판설치단계;
(5) 상기 경계석받침대(150) 상부에 상기 경계석(160)을 다수개 양중하여 거치하는 경계석설치단계;
(6) 사람이 보행하는 인도의 하부로써 우수를 집수하여 상기 우수받이(80)로 배수할 측구(180)를 형성하기 위하여 측구공간(176)을 수용하도록 다수개의 거푸집지지대(170) 및 다수개의 거푸집본체(175)를 설치하는 측구거푸집설치단계;
(7) 상기 측구공간(176)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상기 측구(180)를 형성하는 측구콘크리트타설단계; 및,
(8) 상기 거푸집지지대(170) 및 상기 거푸집본체(175)를 해체하는 측구거푸집해체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받이를 기반으로 한 개량형 도로 경계석 시공방법.
As a method for installing the superior receiving unit 80 and the boundary unit 160 on the excavation ground G and the auxiliary equipment layer G1 on the road side,
(1) The excavation ground G is formed by excavating the ground to a level at which the leveler 80 is to be installed, the pedestal 100 is mounted on the excavation ground G, A pedestal installed at a position measured on the pedestal (100) and a pedestal receiving step;
(2) an auxiliary layer laying step of installing a provisional lid 70 above the leveler 80 and installing an auxiliary layer G1 to cover the lid 70;
(3) determining a height of a barrier seat (160) to be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uperior receiving portion (80);
(4) A plurality of boundary stone pedestals 150 for supporting the boundary stone 160 from below and a plurality of T-shaped plates 140 for connecting the plurality of boundary stone pedestals 150 are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auxiliary layer G1 And a T-plate;
(5) installing a barrier seat 160 in which a plurality of barrier stones 160 are packed and placed on the perimeter seat pedestal 150;
(6) a plurality of die supports (170) and a plurality of die supports (176) for receiving the sidewall space (176) to form a sidewall (180) Installing a formwork main body (175);
(7) a concrete concrete pouring step in which the concrete is poured and cured in the pore space 176 to form the pore 180; And
(8) disassembling the formwork support (170) and the mold body (175);
Wherein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제1항에서,
상기 (1) 받침대설치및우수받이거치단계;는,
사전에 캐드를 이용하여 상기 우수받이(80)의 설치높이와 설치위치가 표기된 측량성과표를 작성하여,
상기 측량성과표에 맞추어 상기 받침대(100)의 프레임(105) 하부에 설치된 가변다리(90)로 높이를 조정하고,
상기 우수받이(80)를 양중하여 상기 받침대(100) 상부에 거치한 후 상기 우수받이(80) 상단에 형성된 측량구(81)에 GPS수신기(50) 또는 프리즘반사경(60)을 설치하여 상기 우수받이(80)의 정확한 설치높이와 설치위치를 조절하되 상기 프레임(105) 상부에 설치된 상부판(107)이 상기 프레임(105) 상부에 설치된 롤러(102)를 활주하여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받이를 기반으로 한 개량형 도로 경계석 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above (1) pedestal installation and excellent pedestal mounting step,
A surveying scorecard showing the installation height and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uperior receiving unit 80 is prepared by using CAD in advance,
The height is adjusted by the variable legs 90 provided under the frame 105 of the pedestal 100 in accordance with the survey schedules,
A GPS receiver 50 or a prism reflector 60 is installed on a measurement port 81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leveler 80 after mounting the leveler 8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edestal 100, Wherein an upper plate (107) provided on the frame (105) is adjusted by sliding the roller (102) provided on the frame (105) A method of constructing an improved roadway boundary based on a track.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3) 경계석높이결정단계;는,
상기 임시뚜껑(70)을 제거하고 상기 우수받이(80) 상단에 형성된 측량구(81)에 측량봉(130)을 설치하며, 상기 보조기층(G1) 상부로 노출된 상기 측량봉(130) 상단에 상기 경계석(160)의 설치높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받이를 기반으로 한 개량형 도로 경계석 시공방법.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step (3)
The provisional lid 70 is removed and the measuring rod 130 is installed in the measuring port 81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receiving pan 80. The upper end of the measuring rod 130 exposed above the auxiliary layer G1, Wherein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boundary slab (160) is displayed on the surface of the boundary slab (160).
제3항에서,
상기 (4) 경계석받침대및T형판설치단계;는,
사전에 캐드를 이용하여 산출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측량봉(130)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하여 상기 경계석받침대(150)와 상기 T형판(140)을 설치하되,
곡선구간의 경우,
사전에 캐드를 이용하여 산출된 곡선구간계산표에 의거하여 일단이 상기 경계석받침대(150)에 설치된 상기 T형판(140)의 타단을 접선방향에서 소정거리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받이를 기반으로 한 개량형 도로 경계석 시공방법.
4. The method of claim 3,
(4) installing the boundary stone pedestal and the T-shaped plate;
The observer's pedestal 150 and the T-shaped plate 140 ar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measuring rod 130 by using a result calculated using CAD in advance,
In the case of the curve section,
Based on a curved section calculation table calculated using CAD in advance, the other end of the T-shaped plate (140) provided at the boundary stone pedestal (150) is spaced apart from the tangential directio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method of constructing an improved road boundary.
제4항에서,
상기 (5) 경계석설치단계;에서,
상기 경계석받침대(150)는 삼각형의 지지판(120)과 상기 지지판(120)의 코너에 설치되는 3개의 지지봉(120)으로 구성되되,
상기 지지봉(120)의 회전운동으로 높이를 조절하고 구면운동이 가능한 캡너트(127)와 소켓(129)으로 불규칙한 보조기층(G1)의 표면에 대응하되 상기 경계석(160)이 거치되면 상기 캡너트(127)와 상기 소켓(129) 사이의 패드(128)에 마찰력이 발생하여 움직임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받이를 기반으로 한 개량형 도로 경계석 시공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In the step (5)
The observer's pedestal 150 is composed of a triangular support plate 120 and three support bars 120 installed at the corners of the support plate 120,
The cap nut 127 and the socket 129 which are adjustable in height by the rotation of the support rod 120 to correspond to the surface of the irregular auxiliary layer G1, Wherein a frictional force is generated in the pad (128) between the socket (127) and the socket (129) and there is no movement.

KR1020150028211A 2015-02-27 2015-02-27 the improved construction method of road boundary stone based on rain drainage KR1015503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8211A KR101550398B1 (en) 2015-02-27 2015-02-27 the improved construction method of road boundary stone based on rain drainage
PCT/KR2016/001785 WO2016137218A1 (en) 2015-02-27 2016-02-24 Improved method for constructing curb on basis of rain drain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8211A KR101550398B1 (en) 2015-02-27 2015-02-27 the improved construction method of road boundary stone based on rain drain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0398B1 true KR101550398B1 (en) 2015-09-08

Family

ID=54247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8211A KR101550398B1 (en) 2015-02-27 2015-02-27 the improved construction method of road boundary stone based on rain drainag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50398B1 (en)
WO (1) WO2016137218A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5093B1 (en) * 2016-06-21 2017-03-22 주식회사 디컨스이엔지 the improved method for installing the rainwater drainage on a road
KR101723132B1 (en) * 2016-07-01 2017-04-05 주식회사 디컨스이엔지 the improved construction method of road boundary stone using the supporting 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36017B2 (en) 2016-10-26 2022-12-27 Envirokeeper, LLC Modular precast concrete water storage device and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355Y1 (en) 2012-05-25 2012-07-12 최낙훈 boundary stone support
KR200462716Y1 (en) 2012-07-02 2012-09-26 이학재 Curbstone constructing equipment
KR101318957B1 (en) 2010-08-25 2013-10-16 주식회사 정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Sump Pi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3652A (en) * 2003-07-02 2005-01-27 Mitsubishi Plastics Ind Ltd Housing drainage basin
KR101301038B1 (en) * 2013-03-18 2013-08-28 (주)아록이엔지 Roads boundary stone for drainage and easy combination other road boundary sto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8957B1 (en) 2010-08-25 2013-10-16 주식회사 정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Sump Pit
KR200461355Y1 (en) 2012-05-25 2012-07-12 최낙훈 boundary stone support
KR200462716Y1 (en) 2012-07-02 2012-09-26 이학재 Curbstone constructing equipmen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5093B1 (en) * 2016-06-21 2017-03-22 주식회사 디컨스이엔지 the improved method for installing the rainwater drainage on a road
KR101723132B1 (en) * 2016-07-01 2017-04-05 주식회사 디컨스이엔지 the improved construction method of road boundary stone using the supporting 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37218A1 (en) 2016-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7471B1 (en) Precast buit-up pier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CN111910679B (en) Construction method of overlong and ultrahigh-weight retaining wall under complex terrain
KR101550398B1 (en) the improved construction method of road boundary stone based on rain drainage
US8920068B1 (en) Process for slip forming reinforced bridge coping with exposed rebars
CN113152262A (en) Bridge single-column pier reinforcement construction method
CN106988339B (en) Sandy gravel stratum piping lane construction technology
JP6420734B2 (en) Road auxiliary equipment construction method and moving direction instruction program
US4976088A (en) Method for construction of an in-ground swimming pool
JP2001059343A (en) Concrete placement method for forming slab, and support tool for guide rail used therefor
KR101401057B1 (en) Method to build underground structures using the pillars and the stigma and steel beam and slab structures are formed
CN108222046A (en) A kind of method of construction of prefabricated isolated footing
CN111042594B (en) Construction process of elevator foundation at post-cast strip position of garage top plate settlement
CN205421321U (en) Precast reinforced concrete base
US20100272509A1 (en) Traffic barrier section
CN110453592B (en) Bearing platform construction process method in prefabricated stand column range
CN106677558A (en) Construction method for deep foundation pit assembling type stairway used for people
JP5954835B2 (en)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CN211006750U (en) Measurement observation platform
KR20090002046U (en) Depth measurement device of manhole
KR101591802B1 (en) the roa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improved manhole structure
CN110565694B (en) Mounting structure of inspection we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JP3585567B2 (en) Concrete product construction method, concrete product and embedded insert
CN113021602A (en) Construction method for prefabricated bridge steel sleeve stand column
CN213538625U (en) Template construction structure for concrete laying of township road
KR101723132B1 (en) the improved construction method of road boundary stone using the supporting 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