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8957B1 - Sump Pit - Google Patents

Sump P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8957B1
KR101318957B1 KR1020110029472A KR20110029472A KR101318957B1 KR 101318957 B1 KR101318957 B1 KR 101318957B1 KR 1020110029472 A KR1020110029472 A KR 1020110029472A KR 20110029472 A KR20110029472 A KR 20110029472A KR 101318957 B1 KR101318957 B1 KR 101318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strength
side wall
sump
concret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94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19358A (en
Inventor
이필훈
정우철
엄기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디엠이엔씨(주)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디엠이엔씨(주),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Publication of KR20120019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935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8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895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집수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강도 보강을 위한 강도보강부가 집수부의 측벽에 형성되도록 하여, 대량 생산이 가능하면서도, 집수정의 강성 및 지지강도를 용이하게 보강할 수 있는 집수정 구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층 내에 집수정이 설치됨에 있어서, 콘크리트층을 활용하여, 내부 강도를 높임은 물론, 고정력을 높이도록 하는 집수정의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강도보강부가 집수정에 형성되어, 집수정의 지지 강도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두껍고 무거운 콘크리트 구조의 집수정을 사용하지 않고, 간단하게 설치,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높은 자중을 갖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집수정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의 타설을 이용하여, 집수정을 1차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집수정의 내부에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자중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간단한 구조이면서도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한 집수정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collecting well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more particularly, the strength reinforcing part for strength reinforcement is formed on the side wall of the water collecting part, thereby enabling mass production, and easily reinforcing the rigidity and supporting strength of the water collecting well. It is about the sump structure which can be don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installing a sump well in which the sump is installed in the concrete layer, utilizing the concrete layer to increase the internal strength as well as the fixing forc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ength reinforcing portion is formed in the water collecting well, and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support strength performance of the water collecting well.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water collecting well and its construction method to be firmly fixed with high self-weight while allowing a simple installation and coupling without using a thick and heavy concrete water collecting well.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able to fix the water collecting well primarily by placing concrete, and to place the concrete inside the water collecting well to ensure its own weight, the water collecting well and the simple structure can be easily installed It has the effect of providing the construction method.

Description

강도 보강형 집수정 및 집수정 설치 방법 {Sump Pit}Strength Reinforced Sump and Sump Installation Method {Sump Pit}

본 발명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집수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강도 보강을 위한 강도보강부가 집수부의 측벽에 형성되도록 하여, 대량 생산이 가능하면서도, 집수정의 강성 및 지지강도를 용이하게 보강할 수 있는 집수정 구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층 내에 집수정이 설치됨에 있어서, 콘크리트층을 활용하여, 내부 강도를 높임은 물론, 고정력을 높이도록 하는 집수정의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collecting well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more particularly, the strength reinforcing part for strength reinforcement is formed on the side wall of the water collecting part, thereby enabling mass production, and easily reinforcing the rigidity and supporting strength of the water collecting well. It is about the sump structure which can be don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installing a sump well in which the sump is installed in the concrete layer, utilizing the concrete layer to increase the internal strength as well as the fixing force.

일반적으로 건축물 지하에 설치되는 금속재의 일체형 집수정은 지하수에 의한 강한 상방부력과 지내력을 지탱하기 위해서 집수정의 두께를 매우 두껍게 하거나 외측 또는 내측에 보강용 리브를 용접하여 설치함으로써 집수정의 강성을 보강한다.In general, the integrated sump of the metal material installed in the basement of the building has a very high thickness of the sump in order to support strong up buoyancy and bearing strength by the groundwater, or by installing a reinforcing rib on the outside or the inside to weld the stiffness of the sump. Reinforce.

이러한 집수정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집수부 내에 리브가 일체로 용접결합되고 외부에 플랜지가 일체로 용접결합되는 것을 사용하였다. 집수부에는 내측에 바닥과 측벽을 상호 연결하여 용접하는 리브가 용접되어 결합되고, 집수부의 외측에는 외주면을 따라 판 형태의 플랜지가 용접되어 결합된다.In order to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sump well, a rib is welded integrally in the sump and a flange is integrally welded outward. A rib is welded and coupled to the collection part by interconnecting the bottom and the side wall to the inside, and a flange in the form of a plate is welded to the outside of the collection part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이러한 리브와 플랜지는 집수부의 측벽 및 바닥의 두께를 최소화하면서도 집수부가 구조적인 강성, 지지강도를 갖도록 하는 것이다. 다만, 이러한 종래의 리브와 플랜지는 집수부의 측벽과 바닥에, 날카로운 단부가 단순히 돌출되는 방식으로 용접하여 리브와 플랜지를 형성하는 것이다 보니, 내부 작업이 불편하고, 외관이 좋지 못한 단점이 있으며, 또한 측벽과 바닥에 일체화되는 부분이 제한적이어서, 강도 보강 효과도 어느 정도 수준에 머무르는 단점이 있다.These ribs and flanges allow the collector to have structural rigidity and support strength while minimizing the thickness of the sidewalls and bottom of the collector. 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ribs and flanges are welded to the side walls and the bottom of the water collecting portion in such a manner that the sharp ends are simply protruded to form the ribs and the flanges, the internal work is inconvenient and the appearance is not good. In addition, since the parts integrated on the side walls and the floor are limited, the strength reinforcing effect also remains a certain level.

또한 다수의 리브를 가지는 강재 구조의 집수정은, 강도를 보강하고 자중을 확보하기 위해 수직 판재 형의 리브가 다수 결합됨으로써 크기가 대형화되고, 구조물의 무게가 증대되어, 제작 및 운반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그렇다고 해서 거푸집을 통한 콘크리트 구조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난해한 철근 콘크리트 작업으로 인해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공사 기간이 증대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강재 구조의 집수정의 경우, 하중이 작아서 상방수압에 약한 단점에 따라 요구되는 복잡한 구조의 철근 연결을 대체하기 위한 설치 공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In addition, the water collecting well of the steel structure having a large number of ribs has a disadvantage that the size of the ribs is increas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ribs of vertical plate type in order to reinforce the strength and secure the own weight, and the weight of the structure is increased, making it difficult to manufacture and transport. . However, in the case of forming the concrete structure through the formwork,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st is high due to the difficult reinforced concrete work, the construction period is increased.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steel collection basin, the necessity of the installation method to replace the reinforcing bar connection of the complex structure is required according to the weakness of the upper pressure due to the small loa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집수정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강도보강부를 집수정의 측벽에 형성하여, 강도를 향상시킨 집수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collecting well having improved strength by forming a strength reinforcing portion on the sidewall of the water collecting well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water collecting well. .

본 발명은 두껍고 무거운 콘크리트 구조의 집수정을 사용하지 않고, 간단하게 설치,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높은 자중을 갖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집수정 및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 collecting well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which can be easily installed and combined with high self-weight, without the use of a thick and heavy concrete water collecting well. .

본 발명은 콘크리트의 타설을 이용하여, 집수정을 1차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집수정의 내부에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자중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집수정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collecting well and a construction method that can be fixed to the water collecting well primarily by placing the concrete, and to ensure the self weight by placing concrete in the inside of the water collecting well. do.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바닥 저면을 형성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테두리를 따라 일정 높이를 갖도록 상기 바닥부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결합되어 형성되는 측벽부; 상기 측벽부는: 수직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히 구비되는 강도보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 보강형 집수정을 제공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bottom portion to form a bottom bottom; A sidewall part integrally formed with or coupled to the bottom part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along an edge of the bottom part; The side wall portion: provides a strength reinforcement-type collecting wel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rength reinforcement provided side by side along the vertical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상측으로 개방된 개구부; 상기 개구부의 측방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하중지지부; 상기 개구부와 상기 하중지지부의 하방에 바닥부와 측벽을 갖도록 형성되는 내부 수용공간부; 및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를 따라 일정 높이를 갖도록 상기 하중지지부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결합되어 형성되는 측벽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측벽부는: 수직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히 구비되는 강도보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 보강형 집수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opening which is open upward; A load supporting part provided to extend laterally of the opening; An inner accommodating space portion formed to have a bottom portion and a side wall under the opening portion and the load supporting portion; And a side wall portion integrally formed with or coupled to the load supporting portion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along an edge of the opening portion, wherein the side wall portion includes: an intensity reinforcing portion provided side by side in a vertical longitudinal direction; It provides a strength reinforcement catchment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상기 강도보강부는: 상기 측벽부의 평면으로부터 어느 일측 방향으로 향하고, 상하방향의 장형으로 형성되는 2 이상의 보강면이 구비되도록 접합 또는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rength reinforcing por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joined or bent so as to be provided in at least one direction from the plane of the side wall portion is provided with two or more reinforcing surfaces formed in the vertical shape of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하중지지부는: 상기 내부 수용공간부의 상면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개구부의 외측과 상기 내부 수용공간부의 측벽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oad supporting part may be provided between an outer side of the opening and a side wall of the inner receiving space part so as to form a part of an upper surface of the inner receiving space part.

상기 측벽부는: 상단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결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ide wall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portion is formed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top.

상기 결합부에는: 바닥층에 구비되는 철근이 끼워지기 위한 제1결합홀; 또는 측벽이 결합되기 위한 제2결합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upling portion includes: a first coupling hole for fitting the reinforcing bar provided in the bottom layer; Alternatively, a second coupling hole for coupling the side wall may be formed.

상기 측벽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차수결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ide wall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rder coupling portion is formed to extend to protrude to the outside.

상기 차수결합부에는: 바닥층에 구비되는 철근이 끼워지기 위한 결합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rder coupling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hole for fitting the reinforcing bar provided in the bottom layer is formed.

상기 측벽부의 상단에는 내측으로 연장되는 상단폐쇄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단 폐쇄부의 내측에는 상단개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upper end closing part extending inward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side wall part, and an upper opening part is formed at an inner side of the upper closing part.

상기 바닥부 상으로 콘크리트층이 더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바닥부 상에 철근이 구비되고 상기 철근과 함께 콘크리트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concrete layer is further formed on the bottom portion, or reinforcing bars are provided on the bottom portion, and the concrete layer is further formed together with the reinforcing bars.

상기 바닥부의 하부에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바닥부가 바닥면에 접촉되지 않고 이격되도록 하는 이격 지지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formed to have a height at the bottom of the bottom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paced apart support portion to be spaced apart without contacting the bottom surface.

상기 이격 지지부는:상기 바닥부의 하측에 구비되는 지지부재; 또는 상기 바닥부의 하측에 구비되는 철근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격 지지부에는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콘크리트층 내에 위치된 상태로 경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paced apart support portion: a support member provided below the bottom portion; Or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reinforcing bar provided on the bottom side, the spaced apart support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crete is hardened in the state placed in the concrete layer.

상기 측벽부는: 상기 강도보강부를 포함하는 2 이상의 측벽분체가 결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강도보강부는: 상기 측벽분체의 평면으로부터 어느 일측 방향으로 향하고, 상하방향의 장형으로 형성되는 2 이상의 보강면이 구비되도록 접합 또는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ide wall portion is formed by combining two or more side wall powder including the strength reinforcing portion, the strength reinforcing portion: in one direction from the plane of the side wall powder, is provided with two or more reinforcing surface formed in a long vertical shap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be bonded or bent.

한편, 집수정의 설치를 위해 바닥면을 굴토하는 단계; 바닥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1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제1콘크리트 타설 단계; 상기 제1콘크리트층 상에 집수정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1콘크리트층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2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제2콘크리트 타설 단계; 상기 제2콘크리트 타설 단계 이전 또는 동시 또는 이후에, 상기 집수정의 내측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내부 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하중콘크리트 타설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 설치 방법을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the step of excavating the bottom surface for the installation of the sump; Placing concrete on the bottom surface, the first concrete placing step of forming a first concrete layer; Disposing a water collecting well on the first concrete layer; A second concrete placing step of placing concrete on the first concrete layer to form a second concrete layer; Before or at the same time or after the second concrete placing step, by placing concrete into the inside of the sump, load concrete placing step of forming an inner concrete layer; providing a collecting well installation method comprising a do.

또한, 집수정의 설치를 위해 바닥면을 굴토하는 단계; 바닥면에 집수정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집수정의 측부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1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제1콘크리트 타설 단계; 상기 제1콘크리트층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2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제2콘크리트 타설 단계; 상기 제1콘크리트 타설 단계 이전 또는 동시 또는 이후에, 상기 집수정의 내측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내부 콘크리트층을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제2콘크리트 타설 단계 이전 또는 동시 또는 이후에, 상기 집수정의 내측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내부 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하중콘크리트 타설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 설치 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step of excavating the bottom surface for the installation of the sump; Arranging the sump on the bottom surface; Pouring concrete to the side of the sump to form a first concrete layer to form a first concrete layer; A second concrete placing step of placing concrete on the first concrete layer to form a second concrete layer; Before or simultaneously with or after the first concrete pouring step, concrete is poured into the sump to form an inner concrete layer, or before or simultaneously or after the second concrete pouring step, inside the sump By pouring concrete into, load concrete placing step of forming an internal concrete layer; provides a water collecting well installation method comprising the.

또한, 집수정의 설치를 위해 바닥면을 굴토하는 단계; 바닥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1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제1콘크리트 타설 단계; 상기 제1콘크리트층 상에, 바닥부가 바닥면에 접촉되지 않고 이격되도록 하는 이격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집수정을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콘크리트층 위 및 상기 이격 지지부측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이격 지지부와 함께 일체로 경화시켜 제2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제2콘크리트 타설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 설치 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step of excavating the bottom surface for the installation of the sump; Placing concrete on the bottom surface, the first concrete placing step of forming a first concrete layer; Disposing a water collecting well including a spaced apart support portion on the first concrete layer so as to be spaced apart without contacting a bottom surface thereof; And a second concrete placing step of placing concrete on the first concrete layer and toward the spaced apart support part to harden integrally with the spaced support part to form a second concrete layer. Provide the installation method.

또한, 집수정의 설치를 위해 바닥면을 굴토하는 단계; 바닥부가 바닥면에 접촉되지 않고 이격되도록 하는 이격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집수정을 배치하는 단계; 바닥면 및 상기 이격 지지부측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이격 지지부와 함께 일체로 경화시켜 제1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제1콘크리트 타설 단계; 및 상기 제1콘크리트층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2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제2콘크리트 타설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 설치 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step of excavating the bottom surface for the installation of the sump; Arranging a sump comprising a spaced apart support for allowing the bottom to be spaced apart without contacting the bottom surface; Placing concrete to the bottom surface and the spaced apart support portion, the first concrete placing step of forming a first concrete layer by hardening integrally with the spaced support; And a second concrete placing step of placing concrete on the first concrete layer to form a second concrete layer.

상기 집수정의 내측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내부 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하중콘크리트 타설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placing concrete to the inside of the sump, load concrete placing step of forming an inner concrete layer.

또한, 집수정의 설치를 위해 바닥면을 굴토하는 단계; 개방된 개구부; 상기 개구부의 측방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하중지지부; 상기 개구부와 상기 하중지지부의 하방에 바닥부와 측벽을 갖도록 형성되는 내부 수용공간부; 및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를 따라 일정 높이를 갖도록 상기 하중지지부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결합되어 형성되는 측벽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집수정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집수정의 외측으로 타설되는 콘크리트층이 상기 하중지지부의 상방까지 형성되도록 하는 콘크리트 타설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 설치방법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step of excavating the bottom surface for the installation of the sump; Open openings; A load supporting part provided to extend laterally of the opening; An inner accommodating space portion formed to have a bottom portion and a side wall under the opening portion and the load supporting portion; And a side wall part integrally formed with or coupled to the load supporting part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along the edge of the opening; Provides a collecting well installation method comprising a; concrete placing step to be formed up to the upper side of the load supporting portion of the concrete layer to be poured out of the sump.

본 발명은 강도보강부가 집수정에 형성되어, 집수정의 지지 강도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ength reinforcing portion is formed in the water collecting well, and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support strength performance of the water collecting well.

본 발명은 두껍고 무거운 콘크리트 구조의 집수정을 사용하지 않고, 간단하게 설치,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높은 자중을 갖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집수정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water collecting well and its construction method to be firmly fixed with high self-weight while allowing a simple installation and coupling without using a thick and heavy concrete water collecting well.

본 발명은 콘크리트의 타설을 이용하여, 집수정을 1차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집수정의 내부에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자중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간단한 구조이면서도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한 집수정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able to fix the water collecting well primarily by placing concrete, and to place the concrete inside the water collecting well to ensure its own weight, the water collecting well and the simple structure can be easily installed It has the effect of providing the construction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집수정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집수정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집수정 단면을 측방에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집수정 단면을 측방에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집수정이 설치, 시공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집수정 단면을 측방에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내부 수용공간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수정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수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수정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수정의 측방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수정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water collecting well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water collecting well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cross section of the water collecting well of this invention from the side.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cross section of a water collecting well of the other Example of this invention from the side.
5 and 6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ater collecting wel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nd constructed.
7 and 8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water collecting well cross section of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the inner receiving spac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to 1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mp is dispos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and 14 illustrate a water collecting we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ump well is dispos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view showing a lateral cross section of the water collecting we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and 18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mp is dispos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나타난 실시예들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In order to explain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집수정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집수정은 상방이 개방된 박스형태의 구성으로서, 측벽부(20)는 측벽(22)과 강도보강부(24)를 구비한다. 강도보강부(24)는 측벽(22)이 내측이나 외측으로 수직 방향을 따라 여러 번 절곡된 형태의 면을 갖는 형상으로서, 이러한 강도보강부(24)는 실제로 평판을 절곡하여 형성하거나, 또는 장형의 판재를 상호 용접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1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water collecting well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water collecting well is a box-shaped configuration having an open upper side, and the side wall portion 20 includes a side wall 22 and a strength reinforcing portion 24. The strength reinforcing portion 24 is a shape having a surface in which the side wall 22 is bent several times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inward or outward, and the strength reinforcing portion 24 is actually formed by bending a flat plate or a long shape.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plate by welding mutually.

강도보강부(24)의 단면을 확대하여 보면, 원 안의 그림과 같이, 측벽(22)에서 절곡되는 형상으로 보강면(24a)과 보강면(24b)이 외측으로 향한 상태로 만나면서, 돌출된 공간을 형성한다. 이러한 강도보강부(24)의 단면 형상은 V 형 외에도, 보강면의 수나 형상를 변경하여, ㄷ형, U형, 다각형 등으로 다양하게 구상할 수 있으며, 수직방향의 절곡된 형상의 외관을 갖추면 족하다.When the cross section of the strength reinforcing portion 24 is enlarged, as shown in the circle, the space protruding while the reinforcing surface 24a and the reinforcing surface 24b meet in an outwardly facing shape in a shape that is bent from the side wall 22. To form.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trength reinforcing portion 24, in addition to the V-shaped, by changing the number or shape of the reinforcing surface, can be variously envisaged in the c-shaped, U-shaped, polygonal, etc., it is sufficient to have the appearance of the bent shape in the vertical direction.

측벽부(20)는 수직으로 형성된 벽면으로서, 측벽(22)과 그 상단부에 수평하게 연장 형성되는 결합부(26)를 구비한다. 결합부(26)에는 측벽부(20)의 상측으로 추가적인 측벽(또는 유로폼, 거푸집 등; B, 도 5)이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홀(28)을 형성하여, 볼트, 너트, 키 등의 결합부재로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결합부(26)의 외측으로는 철근 결합홀(27)을 형성하고, 철근 결합홀(27)에는 콘크리트층 내에 배치되는 철근이 끼워지며 상호 결합,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ide wall portion 20 is a vertically formed wall surface, and has a side wall 22 and a coupling portion 26 extending horizontally to an upper end thereof. The coupling part 26 forms a coupling hole 28 so that an additional side wall (or flow form, formwork, and the like; B, FIG. 5) can be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side wall part 20, such as bolts, nuts, and keys. It is preferable to combine with a coupling member. In addition, the outer side of the coupling portion 26 to form a reinforcing bar coupling hole 27, the reinforcing bar coupling hole 27 is preferably inserted into the reinforcing bar arranged in the concrete layer to be mutually coupled, support.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집수정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1의 집수정의 측벽부(20) 하단에, 내부 수용공간부(10)를 더 구비한다. 내부 수용공간부(10)는 직육면체 형상에 유사하게 형성되며, 상방에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를 따라 사방 테두리에는 측벽부(20)가 구비되는데, 용접 방식 등으로 일체로 형성되거나, 볼트, 너트 또는 키와 같은 별도의 구성을 통해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water collecting well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an inner accommodating space 10 is further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side wall portion 20 of the water collecting well of FIG. 1. The inner accommodating space 10 is formed similarly to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an opening is formed above. The side edge portion 20 is provided at the four edges along the opening, and may be integrally formed by welding or the like, or may be coupled through a separate configuration such as a bolt, a nut, or a key.

내부 수용공간부(10)는 바닥부(12; 도 9에 표시), 측벽(14) 및 하중지지부(16)와 개구를 구비한다. 하중지지부(16)는 내부 수용공간부(10)의 직육면체 중 상면 부분에 해당하는 구성으로서, 개구의 측방에 형성되며, 수평면 또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중지지부(16)는 후술할 버림 또는 바닥콘크리트에 의해 하방으로 고정되기 위해, 눌려지는 역할을 하게 된다.
The inner receiving space portion 10 has a bottom portion 12 (shown in FIG. 9), a side wall 14, a load supporting portion 16 and an opening. The load supporting portion 16 is a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of the inner accommodating space 10, and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opening and may be formed in a horizontal plane or an inclined plane. The load supporting portion 16 serves to be pressed in order to be fixed downward by a cast or bottom concret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도 3은 본 발명의 집수정 단면을 측방에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집수정 단면을 측방에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측벽부(20)는 측벽(22)에서 강도보강부(24)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구성된다. 하측의 바닥부(21)는 한 겹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도 4와 같이, 이중의 바닥부(21a, 21b)로 구성하고, 내측에 보강부(25)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중의 바닥부를 구비하는 경우, 하측에 별도 결합되는 바닥부(21a) 쪽의 측방에는 강도보강부(24)가 형성되지 않거나, 별도로 형성되어 접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Fig. 3 is a view showing a water collecting well cross s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side, and Fig. 4 is a view showing a water collecting well cross sec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side. Referring to FIG. 3, the side wall portion 20 is configured to have a shape in which the strength reinforcing portion 24 protrudes outward from the side wall 22. The bottom part 21 of the lower side may be formed in one layer, or it may consist of double bottom parts 21a and 21b as shown in FIG. 4, and may form the reinforcement part 25 inside. In the case of having a double bottom portion, the strength reinforcing portion 24 is not formed on the side of the bottom portion 21a which is separately coupled to the lower side, or may be separately formed and joined.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집수정이 설치, 시공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집수정이 설치될 장소를 굴토하여, 공간을 마련한 후, 내부 수용공간부(10)를 배치한다. 이 때 측벽부(20)는 내부 수용공간부(10)를 설치한 후에 결합시키거나, 또는 내부 수용공간부(10)의 설치 전에 결합시킨 후에 함께 배치하거나, 또는 처음부터 내부 수용공간부(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후 거푸집(B) 등을 측벽부(20)의 상단에 결합시키고, 철근(A)을 철근 결합홀(27)에 끼워 결합시킨다.5 and 6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ater collecting wel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nd constructed. Referring to Figure 5, first to excavate the place where the water collecting well is to be installed, to prepare a space, and then to place the inner receiving space 10. At this time, the side wall portion 20 is coupled after installing the inner accommodating space 10, or placed together after being combined before installation of the inner accommodating space 10, or the inner accommodating space 10 from the beginning. It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After that, the form (B)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portion 20, and the reinforcing bar (A) is fitted into the reinforcing bar coupling hole (27).

집수정이 배치된 위치에는, 버림콘크리트, 바닥콘크리트를 순차적으로 타설하게 되는데, 청구범위에서는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순서에 따라 제1콘크리트, 제2콘크리트라 지칭한다. 집수정이 배치된 후에, 그 외측으로 버림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버림콘크리트층(1)을 형성한다. 버림콘크리트층(1)은 내부 수용공간부(10)의 높이보다 높도록 하여, 하중지지부(16)의 상측에도 형성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버림콘크리트층(1)이 경화되면서, 내부 수용공간부(10)의 하중지지부(16)를 누르면서 지지하게 된다.At the position where the sump is disposed, cast concrete and floor concrete are sequentially placed. In the claims, the first concrete and the second concrete are referred to according to the order of the concrete to be poured. After the sump is disposed, the discarded concrete is poured outward to form the discarded concrete layer 1. The discarded concrete layer 1 is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inner accommodating space 10, so that it is also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ad supporting part 16. As a result, the discarded concrete layer 1 is cured, and the inner accommodating space part ( It is supported while pressing the load supporting portion 16 of 10).

한편, 도면 상에는 버림콘크리트층(1)이 내부 수용공간부(10)보다 높은 높이에서, 개구측벽부(20)에 못미치도록 형성되나, 버림콘크리트층(1)이 측벽(B)의 높이까지 높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측벽(B)은 버림콘크리트층(1)의 타설 후에 결합하도록 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drawing, the discarded concrete layer 1 is formed at a height higher than that of the inner accommodating space 10, and falls short of the opening side wall portion 20, but the discarded concrete layer 1 is formed up to the height of the sidewall B. It may be formed high. In addition, the side wall (B) may be bonded after the casting of the discarded concrete layer (1).

측벽부(20)의 측벽(22) 상단에 구비된 결합부(26)에는 측벽(B)이 결합부재에 의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측벽(B)은 통상의 거푸집, 측벽용 패널, 유로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시공 후에 제거되거나, 또는 일체화된 상태로 벽체로서 영구적 사용을 할 수도 있다.The side wall B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coupling part 26 provided at the upper side of the side wall 22 of the side wall part 20 by the coupling member. The side wall (B) can use a conventional formwork, a panel for side walls, a flow path, or the like, and may be removed after construction or permanently used as a wall in an integrated state.

버림콘크리트의 타설 후에는, 거푸집(B)의 외측으로 바닥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바닥콘크리트층(2)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 때 내부 수용공간부(10)의 개구를 통해, 그 내측으로 일정 높이까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내부 수용공간부(10) 내에서 경화되도록 할 수 있다.After the casting of the discarded concrete, the bottom concrete is poured out of the form B to form the bottom concrete layer 2, at which time, through the opening of the inner accommodating space 10, to a predetermined height therein. By pouring concrete, it can be hardened in the inner receiving space 10.

즉, 내부 수용공간부(10)의 내부를 바닥콘크리트 타설시에 같이 채워 넣도록 하여, 내부 수용공간부(10)가 자중을 갖는 상태에서 자중콘크리트가 경화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단순히 금속으로 구성된 내부 수용공간부(10), 측벽부(20)가 상대적으로 낮은 하중 및 강도를 가질 수밖에 없는 단점을 보완하여, 사후적으로 높은 하중 및 강도를 갖도록 보충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버림콘크리트층(1)의 형성시에, 내부 수용공간부(10)에 버림콘크리트를 부어 자중콘크리트를 형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과정은 내부 수용공간부(10) 없이, 측벽부와 바닥부로만 구성되는 집수정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That is, the inside of the inner receiving space 10 may be filled together at the time of floor concrete pouring, so that the own weight concrete is cured in the state where the inner receiving space 10 has its own weight. Through this, the inner accommodating space portion 10 and the side wall portion 20, which are simply made of metal, compensate for the disadvantage of having a relatively low load and strength, so as to supplement the post load to have a high load and strength. do. In some cases, when the discarded concrete layer 1 is formed, the discarded concrete may be poured into the inner accommodating space 10 to form the self-weighted concrete. This process can be equally applied to the sump consisting of only the side wall and the bottom without the inner accommodating space 10.

도 6을 참조하면, 버림콘크리트층(1)을 먼저 형성하고, 그 위에 내부 수용공간부(10)를 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자중콘크리트는 바닥콘크리트 타설시에 같이(이전, 동시 또는 이후) 채워 넣도록 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the discarded concrete layer 1 may be formed first, and the inner accommodating space 10 may be disposed thereon. In this case, the self-weight concrete can be filled together (before, simultaneously or after) when placing concrete.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집수정 단면을 측방에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바닥부(21) 및 측벽(22)으로 구성된 집수정에 있어서, 하측에는 상기한 자중 콘크리트(1)가 버림콘크리트의 타설시에 타설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 때 하부에는 종, 횡으로 철근(40)을 배치할 수 있는데, 철근(40)은 2 이상의 층으로, 상측, 하측에 배치할 수 있으며, 내측으로 콘크리트가 유입될 때, 일체되며 경화되면서 충분한 강도를 갖도록 한다. 또한, 도 8과 같이, 철근(40) 또는 자중 콘크리트는 내부 수용공간부(10) 내에 배치,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7 and 8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water collecting well cross section of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7, in the water collecting well composed of the bottom portion 21 and the side wall 22, the lower weight shows the state in which the above-mentioned self-weighted concrete 1 is poured during the casting of the discarded concrete. At this time, the reinforcing bar 40 can be arranged in the bottom, longitudinally and horizontally, the reinforcing bar 40 can be arranged in two or more layers, the upper side, the lower side, and when the concrete is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it is integrated and hardened enough Have strength. 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the reinforcing bar 40 or the self-weight concrete may be arranged and formed in the inner receiving space 10.

도 9는 본 발명의 내부 수용공간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내부 수용공간부(10)는 바닥부(12) 및 측벽(14)과 그 상부에 위치하는 하중지지부(16)를 구비하며, 하중지지부(16)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개구부의 테두리에는 결합구(17)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구(17)는 측벽부(20)가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 통공으로서, 볼트, 너트, 키 등을 통해 결합이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하며, 측벽부(20)가 일체로 내부 수용공간부(10)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생략 가능한 구성이다.
9 is a view showing the inner receiving spa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9, the inner receiving space 10 includes a bottom portion 12, a side wall 14, and a load supporting portion 16 position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n opening formed inward of the load supporting portion 16. Coupler 17 may be formed on the edge of the. The coupling hole 17 is a through hole formed to allow the side wall portion 20 to be coupled, and serves to enable coupling through a bolt, a nut, a key, and the like, and the side wall portion 20 is integrally provided with an inner receiving space portion ( In the case of 10), the configuration can be omitted.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수정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바닥부(21)의 하측에는 기본철근(211), 연결철근(213) 및 이격철근(212)을 구비하고, 기본철근(211) 및 이격철근(212)은 연결철근(213)을 통해 바닥부(12)에 결합된다. 이러한 구조는 통상의 데크플레이트 구성을 응용한 것이다.10 to 1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mp is dispos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0, the bottom of the bottom portion 21 includes a basic reinforcing bar 211, a connecting reinforcing bar 213, and a spaced apart reinforcing bar 212, and the basic reinforcing bar 211 and the spaced apart reinforcing bar 212 are connected reinforcing bars ( 213 is coupled to the bottom portion 12. This structure applies a conventional deck plate configuration.

바닥(21)부의 하측에 하방으로 상기 데크플레이트 구성을 사용하여, 바닥(21)이 연결철근(213) 등에 의해 일정 높이 이격되도록 이격 지지부를 형성한다. 이 경우 이격 지지부가 형성하는 하부 공간으로 버림콘크리트나 바닥콘크리트가 유입되면서, 기본철근(211), 이격철근(212), 연결철근(213) 등으로 구성된 이격 지지부와 함께 경화되면서 하중 지지가 가능하도록 한다.Using the deck plate configuration below the bottom portion 21, the spaced support portion is formed so that the bottom 21 is spaced by a predetermined height by 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s 213 and the like. In this case, as the discarded concrete or the bottom concrete flows into the lower space formed by the spaced apart support part, the load is supported while being hardened together with the spaced support part composed of the basic reinforcing bars 211, the spaced reinforcing bars 212, the connecting bars 213, and the like. do.

도 11을 참조하면, 지지부재(23)를 통해 바닥부(21)를 이격시키도록 이격 지지부를 구성하고, 지지부재(23)에는 철근(40)이 관통 또는 연결 형성되도록 함께 구성한다. 이격 지지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버림콘크리트나 바닥콘크리트가 유입되면서, 함께 경화되어 하중 지지가 가능하도록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버림콘크리트를 타설한 후에 집수정의 이격 지지부를 그 상부에 위치되도록 시공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11, a spaced support portion is configured to space the bottom portion 21 through the support member 23, and the support member 23 is configured so that the reinforcing bar 40 is formed through or connected to the support member 23. As described above, as the above-mentioned waste concrete or bottom concrete is introduced, the spaced apart support is hardened together to allow load support. In some cases, after pouring concrete, it may be constructed so that the spaced apart support of the sump is positioned on the upper portion thereof.

도 12를 참조하면, 측벽(22)이 바닥부(21)의 내측에 배치되면서, 단부측으로 하중지지부(16)가 형성되며, 콘크리트층이 이 부분을 누르도록 할 수도 있다. 아울러 측벽(22)에 지지부재(23)가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바닥부(21) 하부에 철근(40)을 다수 배치할 수도 있다. 바닥부(21) 하부의 지지부재(23), 철근(40)은 이격지지부가 된다.
Referring to FIG. 12, while the side wall 22 is disposed inside the bottom portion 21, the load supporting portion 16 is formed at the end side, and the concrete layer may press the portion. In addition, the side wall 22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supporting member 23 is formed, and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40 may be disposed below the bottom portion 21. The support member 23 and the reinforcing bar 40 at the bottom of the bottom 2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수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수정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측벽부(20)에는 상단이 아닌 상부측에 측방을 향해 연장되도록, 둘레를 따라 판형의 차수결합부(30)가 구비된다.13 and 14 are views illustrating a water collecting we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5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water collecting we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13 and 14, the side wall portion 20 is provided with a plate-shaped order coupling portion 30 along the circumference so as to extend laterally on the upper side rather than the top.

차수결합부(30)에는 결합홀(32)이 형성되어 있어, 콘크리트층 내의 철근이 연결되기 쉽도록 하고, 운반시에 로프나 고리를 연결할 때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며, 동시에 측벽부(20)의 외측을 따라 지하층 내에서 상하로 흐르는 물을 차단하는 차수키 역할도 가능하게 된다.Coupling holes 30 are formed in the order coupling portion 30, so that the reinforcing bar in the concrete layer is easily connected, and can be utilized when connecting a rope or a ring during transportation, and at the same time of the side wall portion 20 It is also possible to serve as a key to block the water flowing up and down in the basement layer along the outside.

측벽부(20)의 상단은, 내측으로 연장되는 판형의 상단폐쇄부(44)가 구비되고, 그 중앙에는 개방된 상단개방부(42)가 형성되어 있다. 개방된 공간의 테두리에는 상방으로 개구연장부(4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단개방부(42)는 개구연장부(40)에 삽입되는 뚜껑(미도시)으로 개폐가능하게 폐쇄된다. 상단폐쇄부(44)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그 상측으로는 콘크리트층이 덮게 된다.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part 20 is provided with the plate-shaped upper end closed part 44 extended inward, and the open upper end part 42 is formed in the center. It is preferable that the opening extension part 40 is formed in the edge of the open space upwards, and the upper opening part 42 is closed by the lid (not shown) inserted in the opening extension part 40 so that opening and closing is possible. The upper closed portion 44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concrete layer is covered on the upper side thereof.

도 15을 참조하면, 내부 수용공간부(10)의 상부는 버림콘크리트층(1)(또는 바닥콘크리트층도 가능)이 배치되면서, 하방으로 가압하여 지지하고, 그 상측에는 바닥콘크리트층(2)이 철근(A)이 결합홀(32)에 끼워지며, 형성되고, 그 상측에는 자중콘크리트층(3)이 상단폐쇄부(44)의 상방으로 배치되며 화살표와 같이 하방으로 가압하며 지지해준다. 이 부분 역시 바닥콘크리트층(2)을 연장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Referring to FIG. 15, while the discarded concrete layer 1 (or the bottom concrete layer is disposed)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accommodating space 10, it is pressed downward to support the bottom concrete layer 2. The reinforcement (A) is fitted into the coupling hole 32, is formed, the upper side of the self-weight concrete layer 3 is disposed above the upper closed portion 44 and presses and supports downward as shown by the arrow. This part can also be formed by extending the bottom concrete layer 2.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수정의 측방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측벽부(20)에는 측벽(22)과 상기 측벽(22)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강도보강부(24)가 구비된다. 강도보강부(24)는 단일 길이당 절곡된 형상의 더 많은 벽면이 존재하도록 하여, 강도가 더 증대되도록 하는 기능을 하며, (a)와 같이 2개의 보강면(24a, 24b)가 접합되어 형성되거나, (b)와 같이 3개의 보강면(24c, 24d, 24c)이 ㄷ자 형으로 접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각 보강면들은 용접되어 형성되거나, 평판을 절곡하여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16 is a view showing a lateral cross section of the water collecting we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6, the side wall part 20 includes a side wall 22 and an intensity reinforcing part 24 extending from the side wall 22. The strength reinforcing portion 24 has a function of causing more wall surfaces having a bent shape per single length to further increase the strength, and is formed by joining two reinforcing surfaces 24a and 24b as shown in (a). Alternatively, as shown in (b), three reinforcing surfaces 24c, 24d, and 24c may be formed by joining in a U shape. Each of the reinforcing surfaces may be formed by welding or by bending a flat plate.

(c)를 참조하면, 측벽부(20)는 다수의 측벽분체들이 상호 결합되면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측벽(22a)들은 서로 나뉘어져 있으며, 상호 접합되어 결합되고, 22b, 22c와 같이 겹쳐지며 접합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Referring to (c), the side wall portion 20 may be formed while a plurality of side wall powder is coupled to each other. That is, the sidewalls 22a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re bonded to each other, and may be overlapped and bonded to each other, such as 22b and 22c.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수정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지지부재(23)를 통해 바닥부(21)를 이격시키도록 이격 지지부를 구성하고, 지지부재(23)에는 철근(40)이 관통 또는 연결 형성되도록 함께 구성한다. 이격 지지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버림콘크리트나 바닥콘크리트가 유입되면서, 함께 경화되어 하중 지지가 가능하도록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버림콘크리트를 타설한 후에 집수정의 이격 지지부를 그 상부에 위치되도록 시공할 수도 있다. 이 때 도 12의 실시례와 달리 하중지지부(16)가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8을 참조하면, 측벽(22)이 하측으로 연장되며 이격 지지부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바닥부(21) 하부의 지지부(22a), 철근(40)은 이격지지부가 된다.
17 and 18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mp is dispos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7, a spaced support portion is configured to space the bottom portion 21 through the support member 23, and the support member 23 is configured so that the reinforcing bar 40 is formed therethrough or connected. As described above, as the above-mentioned waste concrete or bottom concrete is introduced, the spaced apart support is hardened together to allow load support. In some cases, after pouring concrete, it may be constructed so that the spaced apart support of the sump is positioned on the upper portion thereof. In this case, unlike the embodiment of FIG. 12,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oad supporting part 16 from being formed. Referring to FIG. 18, the side wall 22 may extend downward to form a spaced support. The support part 22a and the reinforcing bar 40 below the bottom part 21 become spaced apart support parts.

이러한 집수정의 설치,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다.The installation and construction method of such a sump is as follows.

집수정이 설치될 위치를 굴토하여 형성하고, 집수정을 설치한다. 집수정이 설치된 후에는, 버림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버림콘크리트층을 형성하고, 그 상부로 바닥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바닥콘크리트층을 형성한다. 이 때 버림콘크리트층은 집수정의 하중지지부보다 높은 위치까지 형성되어, 집수정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도록 한다. 또한 버림콘크리트층의 상부로 바닥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집수정의 내부로 일정 높이까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자중콘크리트층이 집수정 내에서 경화되도록 한다.Form by collecting the location where the sump is to be installed, and install the sump. After the sump is installed, the cast concrete is poured to form a cast concrete layer, and the bottom concrete is poured on the top to form the bottom concrete layer. At this time, the discarded concrete layer is formed to a position higher than the load supporting portion of the sump, and serves to fix the sump. In addition, when placing the bottom concrete to the top of the discarded concrete layer, by pouring concrete to a certain height into the interior of the sump, the self-weight concrete layer is cured in the sump.

한편, 집수정은 버림콘크리트 타설 전에 설치하여야 하나, 경우에 따라서는 버림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그 상측에 집수정을 설치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바닥콘크리트를 통해 집수정의 하중지지부를 누르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water collecting well should be installed before casting concrete, but in some cases, after pouring concrete, the water collecting well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ide.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press the load supporting part of the water collecting well through the floor concrete. have.

집수정의 내부에 형성되는 자중콘크리트층은, 바닥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내부 수용공간부로도 콘크리트를 일정량 부어 형성하나, 경우에 따라서는 버림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형성될 수도 있다.The self-weighted concrete layer formed inside the sump is formed by pouring a certain amount of concrete into the inner accommodating space part when placing the bottom concrete, but in some cases, may be formed when casting the discarded concrete.

또한, 내부 수용공간부로 콘크리트를 유입시키는 대신에, 집수정의 하부에 이격지지부를 형성하고, 그 하측으로 유입되어 경화되는 버림콘크리트 또는 바닥콘크리트를 통해 함께 경화되면서, 하중 지지가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내부 수용공간부로도 콘크리트를 유입시킬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버림콘크리트 타설시 또는 바닥콘크리트 타설시에 유입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stead of introducing concrete into the inner accommodating space portion, it is possible to form a spaced apart support portion at the bottom of the sump, and to harden together through the discarded concrete or the bottom concrete that flows into the lower portion and hardens, thereby enabling load support. . Even in this case, the concrete may be introduced into the inner accommodating space, and as described above, the concrete may be introduced at the time of cast concrete or floor concrete.

또한 이격지지부에 의해 형성되는 하부 공간으로는, 버림콘크리트가 유입되거나, 바닥콘크리트도 유입되면서 일체, 경화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격지지부가 버림콘크리트층의 위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바닥콘크리트가 유입되면서 일체, 경화될 수 있다.
In addition, as the lower space formed by the spaced apart support part, the discarded concrete may be introduced or the bottom concrete may also be integrally and hardened while the bottom concrete is also introduced. In the case where the spaced support part is disposed on the discarded concrete layer, the bottom concrete is integrally introduced with the bottom concrete. , Can be cured.

10 : 내부 수용공간부 12 : 바닥부
14 : 측벽 16 : 하중지지부
17 : 결합구 20 : 측벽부
21 : 바닥부 22 : 측벽
23 : 지지부재 24 : 강도보강부
25 : 보강부 26 : 결합부
27 : 철근 결합홀 28 : 결합홀
40 : 철근
10: interior accommodation space 12: bottom
14 side wall 16 load supporting part
17: coupler 20: side wall portion
21: bottom 22: side wall
23: support member 24: strength reinforcement
25: reinforcement portion 26: coupling portion
27: reinforcing bar coupling hole 28: coupling hole
40: rebar

Claims (19)

바닥 저면을 형성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테두리를 따라 일정 높이를 갖도록 상기 바닥부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결합되어 형성되는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부는:
수직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히 구비되는 강도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부의 상단에는 내측으로 연장되는 상단폐쇄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단 폐쇄부의 내측에는 상단개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 보강형 집수정.
A bottom portion forming a bottom bottom;
And a side wall portion integrally formed with or coupled to the bottom portion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along the edge of the bottom portion.
The side wall portion:
Including a strength reinforcement provided side by side along the vertical longitudinal direction,
An upper end closing part extending inward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side wall part,
Strength-enhanced water collecting well,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opening is formed inside the upper closure.
바닥 저면을 형성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테두리를 따라 일정 높이를 갖도록 상기 바닥부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결합되어 형성되는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부는:
수직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히 구비되는 강도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부는:
상기 강도보강부를 포함하는 2 이상의 측벽분체가 결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강도보강부는:
상기 측벽분체의 평면으로부터 어느 일측 방향으로 향하고,
상하방향의 장형으로 형성되는 2 이상의 보강면이 구비되도록 접합 또는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 보강형 집수정.
A bottom portion forming a bottom bottom;
And a side wall portion integrally formed with or coupled to the bottom portion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along the edge of the bottom portion.
The side wall portion:
Including a strength reinforcement provided side by side along the vertical longitudinal direction,
The side wall portion:
Two or more sidewall powders including the strength reinforcing portions are formed to be combined;
The strength reinforcing part:
Facing in one direction from the plane of the sidewall powder,
Strength-reinforced collection wells, characterized in that the bonding or bending is formed so that at least two reinforcing surfaces are formed in a long vertical shape.
상측으로 개방된 개구부;
상기 개구부의 측방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하중지지부;
상기 개구부와 상기 하중지지부의 하방에 바닥부와 측벽을 갖도록 형성되는 내부 수용공간부; 및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를 따라 일정 높이를 갖도록 상기 하중지지부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결합되어 형성되는 측벽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측벽부는: 수직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히 구비되는 강도보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 보강형 집수정.
An opening opened upwardly;
A load supporting part provided to extend laterally of the opening;
An inner accommodating space portion formed to have a bottom portion and a side wall under the opening portion and the load supporting portion; And
And a side wall portion integrally formed with or coupled to the load supporting portion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along the edge of the opening portion.
Wherein the side wall portion: Strength-reinforced water collection wel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rength reinforcement provided side by side along the vertical longitudinal direction.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 있어서,
상기 강도보강부는:
상기 측벽부의 평면으로부터 어느 일측 방향으로 향하고,
상하방향의 장형으로 형성되는 2 이상의 보강면이 구비되도록 접합 또는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 보강형 집수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strength reinforcing part:
Facing in one direction from a plane of the side wall portion,
Strength-reinforced collection wells, characterized in that the bonding or bending is formed so that at least two reinforcing surfaces are formed in a long vertical shap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지지부는:
상기 내부 수용공간부의 상면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개구부의 외측과 상기 내부 수용공간부의 측벽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 보강형 집수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load supporting portion:
To form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receiving space,
Strength-reinforced collection wells provided between the outer side of the opening and the side wall of the inner receiving spac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는:
상단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결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 보강형 집수정.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side wall portion:
Strength-enhanced collection well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end is provided with a coupling portion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에는:
바닥층에 구비되는 철근이 끼워지기 위한 제1결합홀; 또는
측벽이 결합되기 위한 제2결합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 보강형 집수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coupling portion:
A first coupling hole for fitting the reinforcing bar provided on the bottom layer; or
Strength-reinforced collection well,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coupling hole for the side wall is formed.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 있어서,
상기 측벽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차수결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 보강형 집수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Strength-reinforced collection well,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 wall portion is provided with an order coupling portion extending to protrude to the outsid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차수결합부에는:
바닥층에 구비되는 철근이 끼워지기 위한 결합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 보강형 집수정.
The method of claim 8,
The order coupling unit includes:
Strength-reinforced collection well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holes for fitting the reinforcing bar provided in the bottom layer is formed.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의 상단에는 내측으로 연장되는 상단폐쇄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단 폐쇄부의 내측에는 상단개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 보강형 집수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An upper end closing part extending inward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side wall part,
Strength-enhanced water collecting well,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opening is formed inside the upper closure.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 있어서,
상기 바닥부 상으로 콘크리트층이 더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바닥부 상에 철근이 구비되고 상기 철근과 함께 콘크리트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 보강형 집수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 concrete layer is further formed on the bottom, or
Reinforcing steel collection basi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inforcing bar is provided on the bottom portion and a concrete layer is formed together with the reinforcing bar.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 있어서,
상기 바닥부의 하부에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바닥부가 바닥면에 접촉되지 않고 이격되도록 하는 이격 지지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 보강형 집수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It is formed to have a height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ottom portion is reinforced reinforced collection basi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paced apart support portion to be spaced apart without contacting the bottom surfac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 지지부는:
상기 바닥부의 하측에 구비되는 지지부재; 또는
상기 바닥부의 하측에 구비되는 철근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격 지지부에는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콘크리트층 내에 위치된 상태로 경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 보강형 집수정.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spacing support is:
A support member provided below the bottom portion; or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reinforcing bar provided on the bottom side of the,
Strength-reinforced collection wells, characterized in that the spaced apart support portion is hardened in a state where the concrete is placed in the concrete layer.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는:
상기 강도보강부를 포함하는 2 이상의 측벽분체가 결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강도보강부는:
상기 측벽분체의 평면으로부터 어느 일측 방향으로 향하고,
상하방향의 장형으로 형성되는 2 이상의 보강면이 구비되도록 접합 또는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 보강형 집수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The side wall portion:
Two or more sidewall powders including the strength reinforcing portions are formed to be combined;
The strength reinforcing part:
Facing in one direction from the plane of the sidewall powder,
Strength-reinforced collection wells, characterized in that the bonding or bending is formed so that at least two reinforcing surfaces are formed in a long vertical shape.
집수정의 설치를 위해 바닥면을 굴토하는 단계;
바닥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1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제1콘크리트 타설 단계;
상기 제1콘크리트층 상에 집수정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1콘크리트층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2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제2콘크리트 타설 단계;
상기 제2콘크리트 타설 단계 이전 또는 동시 또는 이후에, 상기 집수정의 내측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내부 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하중콘크리트 타설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 설치 방법.
Excavating the bottom surface for installation of the sump;
Placing concrete on the bottom surface, the first concrete placing step of forming a first concrete layer;
Disposing a water collecting well on the first concrete layer;
A second concrete placing step of placing concrete on the first concrete layer to form a second concrete layer;
Before or at the same time or after the second concrete placing step, placing concrete into the inside of the sump, load concrete placing step of forming an inner concrete layer; comprising a collecting basin.
집수정의 설치를 위해 바닥면을 굴토하는 단계;
바닥면에 집수정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집수정의 측부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1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제1콘크리트 타설 단계;
상기 제1콘크리트층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2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제2콘크리트 타설 단계;
상기 제1콘크리트 타설 단계 이전 또는 동시 또는 이후에, 상기 집수정의 내측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내부 콘크리트층을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제2콘크리트 타설 단계 이전 또는 동시 또는 이후에, 상기 집수정의 내측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내부 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하중콘크리트 타설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 설치 방법.
Excavating the bottom surface for installation of the sump;
Arranging the sump on the bottom surface;
Pouring concrete to the side of the sump to form a first concrete layer to form a first concrete layer;
A second concrete placing step of placing concrete on the first concrete layer to form a second concrete layer;
Before or simultaneously with or after the first concrete pouring step, concrete is poured into the sump to form an inner concrete layer, or before or simultaneously or after the second concrete pouring step, inside the sump Sprinkling concrete to the install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concrete load placing step of forming an internal concrete layer.
집수정의 설치를 위해 바닥면을 굴토하는 단계;
바닥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1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제1콘크리트 타설 단계;
상기 제1콘크리트층 상에, 바닥부가 바닥면에 접촉되지 않고 이격되도록 하는 이격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집수정을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콘크리트층 위 및 상기 이격 지지부측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이격 지지부와 함께 일체로 경화시켜 제2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제2콘크리트 타설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집수정의 내측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내부 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하중콘크리트 타설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 설치 방법.
Excavating the bottom surface for installation of the sump;
Placing concrete on the bottom surface, the first concrete placing step of forming a first concrete layer;
Disposing a water collecting well including a spaced apart support portion on the first concrete layer so as to be spaced apart without contacting a bottom surface thereof; And
And placing concrete on the first concrete layer and toward the spaced apart support part, and hardening integrally with the spaced support part to form a second concrete layer.
Sprinkling install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placing concrete to the inside of the sump, load concrete placing step of forming an internal concrete layer.
집수정의 설치를 위해 바닥면을 굴토하는 단계;
바닥부가 바닥면에 접촉되지 않고 이격되도록 하는 이격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집수정을 배치하는 단계;
바닥면 및 상기 이격 지지부측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이격 지지부와 함께 일체로 경화시켜 제1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제1콘크리트 타설 단계; 및
상기 제1콘크리트층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2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제2콘크리트 타설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집수정의 내측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내부 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하중콘크리트 타설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 설치 방법.
Excavating the bottom surface for installation of the sump;
Arranging a sump comprising a spaced apart support for allowing the bottom to be spaced apart without contacting the bottom surface;
Placing concrete to the bottom surface and the spaced apart support portion, the first concrete placing step of forming a first concrete layer by hardening integrally with the spaced support; And
A second concrete placing step of placing concrete on the first concrete layer to form a second concrete layer;
Sprinkling install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placing concrete to the inside of the sump, load concrete placing step of forming an internal concrete layer.
집수정의 설치를 위해 바닥면을 굴토하는 단계;
개방된 개구부; 상기 개구부의 측방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하중지지부; 상기 개구부와 상기 하중지지부의 하방에 바닥부와 측벽을 갖도록 형성되는 내부 수용공간부; 및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를 따라 일정 높이를 갖도록 상기 하중지지부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결합되어 형성되는 측벽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집수정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집수정의 외측으로 타설되는 콘크리트층이 상기 하중지지부의 상방까지 형성되도록 하는 콘크리트 타설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 설치방법.
Excavating the bottom surface for installation of the sump;
Open openings; A load supporting part provided to extend laterally of the opening; An inner accommodating space portion formed to have a bottom portion and a side wall under the opening portion and the load supporting portion; And a side wall part integrally formed with or coupled to the load supporting part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along the edge of the opening;
And a concrete pouring step of allowing the concrete layer to be poured out of the sump to be formed to the upper side of the load supporting part.
KR1020110029472A 2010-08-25 2011-03-31 Sump Pit KR10131895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2502 2010-08-25
KR20100082502 2010-08-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9358A KR20120019358A (en) 2012-03-06
KR101318957B1 true KR101318957B1 (en) 2013-10-16

Family

ID=46128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9472A KR101318957B1 (en) 2010-08-25 2011-03-31 Sump P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8957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8898B1 (en) * 2014-10-17 2015-04-08 아이앤티엔지니어링(주) A sump or elevator pit under structure
KR101550398B1 (en) 2015-02-27 2015-09-08 주식회사 디컨스이엔지 the improved construction method of road boundary stone based on rain drainage
KR102300618B1 (en) 2021-07-05 2021-09-08 박진수 Drainage well
KR102411161B1 (en) 2021-08-27 2022-06-22 (주)제이엔와이종합건설 Sump pit construction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6511B1 (en) * 2014-06-05 2016-07-05 주식회사 씨엠파트너스건축사사무소 Sump for building
KR101716379B1 (en) * 2016-07-11 2017-03-27 남순우 Base-inserting steel sump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047B1 (en) * 2006-07-25 2007-07-06 박옥교 Sump system and the setting method
KR100821742B1 (en) 2006-11-20 2008-04-14 박옥교 Vertical reinforcement sump system
KR100883798B1 (en) 2008-04-04 2009-02-19 에스에이치공사 A sump
KR20090043745A (en) * 2007-10-30 2009-05-07 엄기형 Combination structure of strength reinforced sump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047B1 (en) * 2006-07-25 2007-07-06 박옥교 Sump system and the setting method
KR100821742B1 (en) 2006-11-20 2008-04-14 박옥교 Vertical reinforcement sump system
KR20090043745A (en) * 2007-10-30 2009-05-07 엄기형 Combination structure of strength reinforced sump
KR100883798B1 (en) 2008-04-04 2009-02-19 에스에이치공사 A sump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8898B1 (en) * 2014-10-17 2015-04-08 아이앤티엔지니어링(주) A sump or elevator pit under structure
KR101550398B1 (en) 2015-02-27 2015-09-08 주식회사 디컨스이엔지 the improved construction method of road boundary stone based on rain drainage
WO2016137218A1 (en) * 2015-02-27 2016-09-01 주식회사 디컨스이엔지 Improved method for constructing curb on basis of rain drainage
KR102300618B1 (en) 2021-07-05 2021-09-08 박진수 Drainage well
KR102411161B1 (en) 2021-08-27 2022-06-22 (주)제이엔와이종합건설 Sump pit construction method
KR20230031770A (en) 2021-08-27 2023-03-07 (주)제이엔와이종합건설 Sump pit constructio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9358A (en) 2012-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8957B1 (en) Sump Pit
KR101203318B1 (en) Elevator pit
KR100744693B1 (en) Concrete-steel house and pile foundation foot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of
KR101301076B1 (en) Wall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precast front wall panel and precast back wall panel
KR101024827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box type steel-concrete composite girder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reof
KR100905432B1 (en) Connecting structure of sump
JP4347846B2 (en) Bridge pier reinforcement method
KR101098998B1 (en) Recyclable hybrid type connecting device for steel beam to concrete wall and method thereof
KR101708218B1 (en) Hybrid underground pit structures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1167495B1 (en) Rahmen type corrugated steel plate structures
KR100973237B1 (en) Assembly structure of elevator pit easy to install elevator
KR100489336B1 (en) Metal elevator pit
KR100973235B1 (en) Elevator pit structure
KR20090089040A (en) Elevator pit structure
KR100973236B1 (en) Elevator Pit Structure
KR100727683B1 (en) Precast Girder System Having Steel Girders and Concrete Plates
KR20160120154A (en) Elevator Pit Structure
KR20100070975A (en) Assembly cross beam structure for multigirder concrete bridge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KR20090043745A (en) Combination structure of strength reinforced sump
KR100766850B1 (en) Sump system setting method
KR100909385B1 (en) Elevator feet bottom structure
KR20170006294A (en) Elevator Pit Structure
KR20110005145A (en) Steel plate weir for one united manufacturing concrete
KR100821742B1 (en) Vertical reinforcement sump system
KR20130071763A (en) Sump p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