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6294A - Elevator Pit Structure - Google Patents

Elevator Pit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6294A
KR20170006294A KR1020160106349A KR20160106349A KR20170006294A KR 20170006294 A KR20170006294 A KR 20170006294A KR 1020160106349 A KR1020160106349 A KR 1020160106349A KR 20160106349 A KR20160106349 A KR 20160106349A KR 20170006294 A KR20170006294 A KR 201700062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support
frame
vertical protrusion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63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엄재현
Original Assignee
엄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재현 filed Critical 엄재현
Priority to KR1020160106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6294A/en
Publication of KR20170006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629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05Constructional features of hoist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ength reinforcing elevator pit and its combination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rength reinforcing type elevator pit which can more reinforce strength by placing a reinforcing frame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bottom part of an elevator pit, and its combination structure. The combination structure comprises a bottom part, a sidewall part, and a frame.

Description

강도 보강형 엘리베이터 피트 결합 구조물{Elevator Pit Structure}[0001] Elevator Pit Structure [0002]

본 발명은 강도 보강형 엘리베이터 피트 및 그 결합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피트의 바닥부의 수용 공간부 내에 보강 프레임을 배치시켜 콘크리트 타설함으로써, 더욱더 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강도 보강형 엘리베이터 피트 및 그 결합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ength reinforcing elevator pit and its coupling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rength reinforcing elevator pit capable of further reinforcing strength by placing a reinforcing frame in a receiving space of a bottom portion of an elevator pit, And a coupling structure thereof.

엘리베이터 피트는 하측에서 엘리베이터를 점검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최하층의 바닥보다 약 2미터 내외의 공간을 갖도록 하단에 구성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는 건물의 하중을 벽체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되며, 이러한 벽체의 하중은 하단부의 하단 구조를 통해 지반으로 전달된다. 이를 위해서는 엘리베이터 피트의 하단에 이를 지지하기 위한 기초 구조가 형성되어야 하고, 동시에 엘리베이터 점검을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The elevator pit should be provided with a space for checking the elevator from the lower side, and it is formed at the lower end to have a space of about 2 meters from the floor of the lowest floor. The elevator pit structure is designed to support the load of the building by the wall, and the load of the wall is transmitted to the ground through the bottom structure of the lower end. To this end, a foundation structure for supporting the elevator pit at the lower end thereof should be formed, and at the same time, a space for elevator inspection should be secured.

이러한 구조를 제공하기 위해, 종래에 다수의 리브를 가지는 강재 구조의 피트 하부 구조가 제공되었으나, 이 구조에는 강도를 보강하고 자중을 확보하기 위해 수직 판재 형의 리브가 다수 결합됨으로써 크기가 대형화되고, 구조물의 무게가 증대되어, 제작 및 운반이 난해하다는 단점이 있다. 그렇다고 해서 거푸집을 통한 콘크리트 구조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난해한 철근 콘크리트 작업으로 인해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공사 기간이 증대된다는 문제가 있다.In order to provide such a structure, a pit bottom structure of a steel structure having a plurality of ribs has been conventionally provided. In this structure, however, a plurality of vertical plate-shaped ribs are secured to reinforce strength and secure its own weight, And the manufacturing and transportation are complicated. However, in the case of forming the concrete structure through the form, the cost is increased due to the difficult reinforcing concrete work, and the construction period is increased.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979138 호 (2010년 08월 25일 등록)Korean Patent No. 10-0979138 (registered on Aug. 25, 2010)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있도록 하는 @를 제공하도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강도 보강형 엘리베이터 피트 및 그 결합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proved strength- Type elevator pit and its coupling structur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측벽부의 지지 강도를 높일 수 있는 강도 보강형 엘리베이터 피트 및 그 결합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rength reinforcing type elevator pit and a coupling structure thereof capable of increasing the supporting strength of the side wall por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측벽부 상단부에 형틀을 다양 종류의 방법으로 지지할 수 있는 강도 보강형 엘리베이터 피트 및 그 결합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rength reinforcing elevator pit and its coupling structure capable of supporting the mold frame in various ways at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portion.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축물 지하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피트로서,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수용 공간부가 형성되는 바닥부; 상하부가 개방되어 상기 수용 공간부와 연통되며, 상기 바닥부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측벽부; 및 상기 수용 공간부 내에 배치되는 보강 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vator pit installed in a basement of a building, A sidewall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accommodation space portion with an upper and a lower portion opened to be protrud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ottom portion; And a reinforcing frame dispos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또한, 상기 바닥부는 육면체 형상으로서, 그 상측 테두리를 따라 상기 측벽부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하중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bottom portion has a hexahedron shape and has a load supporting portion protruding outwardly of the side wall portion along an upper edge thereof.

또한, 상기 하중 지지부는 사각 링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load supporting portion has a rectangular ring shape.

또한, 상기 측벽부는 그 상단부에 수평하게 연장 형성되는 지지대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대에는 다수의 결합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ide wall portion may have a support extending horizontally at an upper end thereof, and a plurality of engagement holes may be formed in the support.

또한, 상기 측벽부는 사각통 형상으로서, 네 변의 외측으로 평면상 "S"자 형상의 다수의 절곡부가 연이어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ide wall portion is formed in a rectangular tube shape, and a plurality of bent portions having a flat "S" shape on the outside of the four sides are formed successively in the lateral direction.

또한, 상기 측벽부의 네 모서리에는 평면상 "L" 자 또는 역 "L" 자 형상의 돌기부가 형성되되, 상기 돌기부는 상기 돌기부와 인접하는 상기 "S"자 형상의 다수의 절곡부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our corners of the side wall are provided with protrusions of a flat L or L shape, and the protrusions ar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bent portions of the "S" shape adjacent to the protrusions desirable.

또한, 상기 보강 프레임은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다수의 "U"자형 프레임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reinforcement frame has a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U" -shaped frames are continuously formed in a transverse direction or a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상기 보강 프레임은: 평판상의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면에 복수 개가 상호 이격된 상태로 길게 형성되되, 그 단면은 "ㄱ" 자 또는 역(逆) "ㄱ" 자로 형성되는 수직 절곡 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einforcing frame may include: a flat support frame; And a vertical bending frame formed in a shape of a letter "A" or a letter "A" in a cross-section.

또한, 상기 바닥부는 육면체 형상으로서, 그 상측 테두리를 따라 상기 측벽부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하중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절곡 프레임의 하측은 상기 바닥부에 접촉되고, 상기 수직 절곡 프레임의 상측은 상기 하중 지지부에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ottom portion may have a hexahedron shape and include a load supporting portion protruding outwardly of the side wall portion along an upper edge thereof. The lower side of the vertical bending frame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portion, It is preferable to contact the load supporting portion.

또한, 상기 평판상의 지지 프레임의 최외측에는 상기 역(逆) "ㄱ" 자 또는 "ㄱ" 자 형상의 다수의 수직 절곡 프레임과 대칭적인 형상을 이루는 마감 프레임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finishing frame which is symmetrical with the plurality of vertical bending frames of the inverted "" or" A " shape on the outermost side of the flat support frame.

또한, 상기 보강 프레임의 상부에는 탄성을 갖는 완충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reinforcing frame is provided with a buffering portion having elasticity on the upper portion thereof.

또한, 상기 바닥부의 상기 수용 공간부 내에 배치된 상기 보강 프레임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내측 콘크리트층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n inner concrete layer is further formed by pouring concrete into the reinforcing frame dispos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part of the bottom part.

또한, 상기 내측 콘크리트층의 상면에는 탄성을 갖는 완충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buffer portion having elasticity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concrete layer.

또한, 상기 보강 프레임의 상부에 플레이트 형상의 보강 플레이트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a plate-like reinforcing plate is disposed on the reinforcing frame.

또한, 상기 보강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탄성을 갖는 완충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buffering portion having elasticity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plate.

또한, 상기 내측 콘크리트층 상에 추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추가 콘크리트층을 더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additional concrete is further laid on the inner concrete layer to further form an additional concrete layer.

또한, 상기 바닥부의 상기 수용 공간부의 일측에는 집수정이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a windscreen is furth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receiving space portion of the bottom portion.

또한, 상기 집수정의 외측에는 평면상 "S"자 형상의 다수의 절곡부가 연이어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planar "S" -shaped bent portions are formed in the lateral direction on the outside of the collector.

또한, 건축물 지하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피트 결합 구조물로서,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수용 공간부 내에 보강 프레임이 배치되는 바닥부; 상하부가 개방되어 상기 수용 공간부와 연통되며, 상기 바닥부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측벽부; 상기 측벽부의 상단부에 지지되어 중앙측이 개방된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형틀; 및 상기 측벽부 및 상기 형틀 외측으로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의해 벽체를 이루도록 하는 콘크리트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n elevator pit coupling structure installed in a basement of a building, the elevator pit coupling structure comprising: a bottom portion having an upper portion opened and a reinforcing frame disposed therein; A sidewall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accommodation space portion with an upper and a lower portion opened to be protrud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ottom portion; A mold supported by an upper end of the side wall to form a space having a central opening; And a concrete layer for forming a wall by the sidewall portion and the concrete placed outside the mold.

또한, 상기 보강 프레임의 상부에는 탄성을 갖는 완충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reinforcing frame is provided with a buffering portion having elasticity on the upper portion thereof.

또한, 상기 보강 프레임의 상부에 플레이트 형상의 보강 플레이트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a plate-like reinforcing plate is disposed on the reinforcing frame.

또한, 상기 보강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탄성을 갖는 완충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buffering portion having elasticity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plate.

또한, 상기 콘크리트층은: 상기 바닥부의 외측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되는 일차 콘크리트층; 및 상기 일차 콘크리트층 상측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측벽부 및 상기 형틀의 외측으로 형성되는 이차 콘크리트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crete layer may include: a primary concrete layer formed by pouring concrete to the outside of the bottom portion; And a secondary concrete layer formed on the side wall portion and the outside of the mold frame by pouring concrete on the primary concrete layer.

또한, 상기 바닥부의 수용 공간부 내에 배치된 상기 보강 프레임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내측 콘크리트층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also preferable that an inner concrete layer is further formed by pouring concrete into the reinforcing frame dispos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portion of the bottom portion.

또한, 상기 내측 콘크리트층의 상면에는 탄성을 갖는 완충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buffer portion having elasticity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concrete layer.

또한, 상기 내측 콘크리트층 상에 추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추가 콘크리트층을 더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additional concrete is further laid on the inner concrete layer to further form an additional concrete layer.

또한 상기 보강 프레임은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다수의 "U"자형 프레임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reinforcing frame has a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U" -shaped frames are continuously form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r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상기 보강 프레임은: 평판상의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면에 복수 개가 상호 이격된 상태로 길게 형성되되, 그 단면은 "ㄱ" 자 또는 역(逆) "ㄱ" 자로 형성되는 수직 절곡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ㄱ" 자 또는 역(逆) "ㄱ" 자 형상의 다수의 수직 절곡 프레임 내부에 내측 콘크리트층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The reinforcing frame may include: a flat support frame; And a vertical bending frame formed in a shape of a letter "A" or a reverse letter "A", the plurality of letters "A" or "B" It is preferable to form an inner concrete layer inside a plurality of vertical bending frames of a reverse "? &Quot; shape.

또한, 상기 바닥부는 육면체 형상으로서, 그 상측 테두리를 따라 상기 측벽부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하중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절곡 프레임의 하측은 상기 바닥부에 접촉되고, 상기 수직 절곡 프레임의 상측은 상기 하중 지지부에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ottom portion may have a hexahedron shape and include a load supporting portion protruding outwardly of the side wall portion along an upper edge thereof. The lower side of the vertical bending frame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portion, It is preferable to contact the load supporting portion.

또한 상기 보강 프레임에는 다수의 격자 홀을 구비한 철판, 메쉬형 철망 또는 다수의 철판 조각이 배치됨이 바람직하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an iron plate, a mesh-type wire mesh or a plurality of pieces of iron plate having a plurality of grid holes are arranged in the reinforcing frame.

또한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강도 보강형 엘리베이터 피트 결합 구조물은, 건축물 지하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피트 결합 구조물로서,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수용 공간부를 구비한 바닥부; 상하부가 개방되어 상기 수용 공간부와 연통되고, 상기 바닥부의 상부로 돌출되되 그 상단부에 지지대가 형성되는 측벽부; 및 상기 측벽부의 상단부에 지지되어 중앙측이 개방된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형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형틀은 상기 지지대를 통해 상기 측벽부의 상단부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vator pit coupling structure installed in a building underground, the elevator pit coupling structure including: a bottom portion having an upper portion opened and a receiving space portion inside; A sidewall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accommodation space portion by open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nd protrud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ttom portion and having a support at an upper end thereof; And a mold supported by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to form a space having an open center, wherein the mold is supported by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through the support.

또한 상기 지지대에는 상기 형틀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부가 위치됨이 바람직하다.Further, the support base preferably has an insertion groove portion into which the lower end of the mold frame is inserted.

또한 상기 삽입홈부는 "L" 자 또는 "U" 자 형태의 앵글이 상기 측벽부 내측 또는 상단에 결합되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insertion groove portion has an "L" -shaped or "U" -shaped angle joined to the inside or the top of the side wall portion.

또한 상기 삽입홈부는 상기 지지대를 프레싱하여 일체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insertion groove portion is integrally formed by pressing the support.

또한 상기 삽입홈부는 상기 지지대 상에 별도로 체결 수단을 통해 체결형성됨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insertion groove portion is formed on the support member through a fastening means.

또한 "L" 자 및 역(逆) "L" 자 형태의 두 개의 앵글이 마주보며 상기 지지대에 각각 체결 수단을 통해 체결되어 그 사이 공간이 상기 삽입홈부 영역으로 됨이 바람직하다.It is also preferable that two angles in the form of an "L" character and a reverse "L" character are opposed to each other and are fastened to the support through fastening means, respectively, so that the space between them is the insertion groove area.

또한 상기 측벽부의 상단에는 상기 지지대 상측 방향으로 수직되게 수직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 돌출부로부터 수평으로 이격된 상기 지지대 상에 "L" 자 또는 역(逆) "L" 자 형태의 앵글이 체결 수단을 통해 체결되어 상기 수직 돌출부와 상기 앵글 사이 공간이 상기 삽입홈부 영역으로 됨이 바람직하다.An upper end of the side wall portion is formed with a vertical protrusion perpendicular to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er. An angle of 'L' character or reverse 'L' character is formed on the supporter horizontally spaced from the vertical protrusion, And the space between the vertical protrusion and the angle is the insertion groove region.

또한 상기 측벽부의 상단에는 상기 지지대 상측 방향으로 수직되게 수직 돌출부가 형성되고, "L" 자 또는 역(逆) "L" 자 형태의 앵글의 하부 지지대가 상기 수직 돌출부 쪽으로 형성하여 상기 지지대 상에 체결 수단을 통해 체결되어 상기 수직 돌출부와 상기 "L" 자 또는 역(逆) "L" 자 형태의 앵글의 사이 공간이 상기 삽입홈부 영역으로 됨이 바람직하다.A vertical protrusion is formed perpendicularly to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wall at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and a lower support of an L-shaped or L-shaped angle is formed toward the vertical protrusion, And the space between the vertical protrusion and the angle of the "L" character or the reverse "L" character shape is the insertion groove area.

또한 상기 체결 수단은 볼트, 핀, 바인딩 수단, 또는 용접 수단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fastening means may be a bolt, a pin, a binding means, or a welding means.

또한 상기 측벽부의 상단에는 상기 지지대 상측 방향으로 수직되게 수직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 돌출부로부터 수평으로 이격되어 상기 지지대 단부가 상측으로 절곡된 수직 절곡부가 형성되어 상기 수직 돌출부와 상기 수직 절곡부 사이 공간이 상기 삽입홈부 영역으로 됨이 바람직하다.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part is formed with a vertical protrusion perpendicular to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er, a vertical bend part horizontally spaced from the vertical protrusion and bent at the end of the supporter is formed, Is preferably an area of the insertion groove portion.

또한 상기 측벽부의 상단에는 상기 지지대 상측 방향으로 수직되게 수직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 돌출부의 일측벽이 상기 형틀의 일측벽에 밀착 지지되고 상기 형틀의 하단부는 상기 지지대에 바인딩 수단에 의해 결속됨이 바람직하다.A vertical protrusion is formed perpendicularly to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frame, one side wall of the vertical protrusion is closely attached to one side wall of the mold, and the lower end of the mold is bound to the support by the binding means. desirable.

또한 상기 지지대는 다수의 앵글이 단부에서 일체 덧대어 연결되거나 또는 일면이 서로 포개어져 결합되는 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 rods are formed such that a plurality of angles are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e ends, or one side is overlapped with each other.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강도 보강형 엘리베이터 피트 및 그 결합 구조물에 의하면, 엘리베이터 피트의 바닥부의 수용 공간부 내에 보강 프레임을 배치시켜 콘크리트 타설함으로써, 더욱더 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trength reinforcing elevator pit and the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effect of reinforcing the strength by placing the reinforcing frame in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bottom portion of the elevator pit to pour the concrete.

또한, 마감 프레임 또는 수직 절곡 프레임의 상측이 하중 지지부를 지지하게 되므로, 하중 지지부는 그 하부로 휘어지지 않아, 그 지지 강도가 보강되며, 이에 따라 콘크리트층의 하중에 의한 하방 압력이 하중 지지부로 인가된다 하더라도, 하중 지지부는 상기 하방 압력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Further, since the upper portion of the closed frame or the vertical bent frame supports the load supporting portion, the load supporting portion is not bent to the lower portion thereof so that the supporting strength is reinforced. Accordingly, the downward pressure due to the load of the concrete layer is applied to the load supporting portion The load supporting portion is capable of firmly supporting the downward pressure.

또한 측벽부의 외측면에 횡방향으로 외측으로 돌출 및 내입되는 평면상 대략 "S"자 형상의 다수의 절곡부를 형성하여 측벽부의 지지 강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Also,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upporting strength of the side wall part can be increased by forming a plurality of planar "S" -shaped bent parts protruding and inwardly outward in the lateral direction on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side wall part.

또한 측벽부 상단부에 형틀을 단순 배치 방식 또는 끼움 방식, 철사 등을 이용한 바인딩 방식, 볼트 또는 핀 등을 이용한 결합 방식, 또는 용접 결합 방식 등 다양 종류의 방법으로 지지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There is also an advantage that the mold frame can be supported by various methods such as a simple arrangement method or a fitting method, a binding method using a wire or the like, a coupling method using a bolt or a pin, or a welding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의 보강 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의 보강 프레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의 보강 프레임의 지지대를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의 측벽부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의 측방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의 다른 예시를 도시한 측방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가 설치, 시공된 엘리베이터 피터 구조물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의 보강 프레임 상에 다수의 격자 홀을 구비한 철판이 형성된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0 내지 도 19는 도 8에서 형틀이 측벽부 상단부에 지지되는 "D" 부분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들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vator pit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of Fig.
3A and 3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sectional view, respectively, of a reinforcing frame of an elevator p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C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reinforcing frame of an elevator p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lan view of a reinforcing frame of an elevator p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support is removed.
5 is a side view of a side wall portion of an elevator pit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vator pit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n elevator p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levator pillar structure in which an elevator pit is installed and construct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n iron plate having a plurality of grid holes is formed on a reinforcing frame of an elevator p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10 to 19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D" portion in Fig. 8 in which the mold frame is supported at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portion.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its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Accordingl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merely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having",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as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의 보강 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vator p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of FIG. 1, FIGS. 3a and 3b are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inforcing frame of an elevator p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ctional view.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1)는, 건축물 지하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피트로서,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수용 공간부(11)가 형성되는 바닥부(10); 상하부가 개방되어 상기 수용 공간부(11)와 연통되며, 상기 바닥부(10) 상측으로 일정 높이 돌출되는 측벽부(20) 및 상기 수용 공간부(11) 내에 배치되는 보강 프레임(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the drawings, an elevator pit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levator pit installed in a basement of a building. The elevator pit 1 includes a floor 10 having an upper portion opened and a receiving space 11 formed therein. A side wall portion 20 which is open at the upper and lower ends and communicates with the accommodation space portion 11 and protrudes at a predetermined height above the bottom portion 10 and a reinforcing frame 30 dispos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portion 11 .

상기 바닥부(10)는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서 후술하는 콘크리트의 타설시에 일차 콘크리트층(2; 도 8의 (a) 참조)에 의해 측방으로 고정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bottom portion 10 has a substantially hexahedral shape and serves to be laterally fixed by the primary concrete layer 2 (see FIG. 8 (a)) at the time of pouring concrete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육면체 형상의 바닥부(10)는 상방에 개구(도면 번호 미부여)가 형성되어 상측으로 개방되며, 그 내부에는 수용 공간부(11)가 형성되어 보강 프레임(30)이 배치될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콘크리트의 타설시에 내측 콘크리트층(4: 도 8의 (a) 참조)에 의해 내부에서 경화될 수 있도록 되어있다.The hexahedron shaped bottom portion 10 is formed with an opening (not numbered) on the upper side and is opened to the upper side. In addition, the accommodating space portion 11 is formed therein to arrange the reinforcing frame 30, It can be cured inward by the inner concrete layer 4 (see Fig. 8 (a)) at the time of pouring concrete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육면체 형상의 바닥부(10)의 상측 테두리를 따라 측벽부(2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하중 지지부(12)를 포함한다. 하중 지지부(12)는 사각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후술하는 일차 콘크리트층(2)에 의해 하방으로 고정되기 위해 눌려지는 역할을 하게 된다.And a load supporting portion 12 protruding outwardly of the side wall portion 20 along the upper edge of the hexahedral bottom portion 10. The load supporting part 12 is formed in a square ring shape and is pressed to be fixed downward by the primary concrete layer 2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측벽부(20)는 상하가 개방된 대략 육각통 형상으로서, 상기 육면체 형상의 바닥부(10)의 개구(도면 번호 미부여)를 따라 사방 테두리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바닥부(10)의 상기 수용 공간부(11)와 연통된 구조를 갖는다.The side wall portion 2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hexagonal tube shape having an open top and a bottom and is protruded from the four sides along the opening of the hexahedral bottom portion 10 And has a structure communicated with the accommodation space part 11. [

여기서, 상기 측벽부(20)는 상기 육면체 형상의 바닥부(10) 상에 일체로 구비함이 바람직하나, 볼트 또는 너트 등과 같은 별도의 체결 수단을 통해 결합될 수도 있다.The sidewall 20 may be integrally formed on the hexahedron bottom 10, but it may be coupled through a separate fastening means such as a bolt or a nut.

상기 측벽부(20)는 그 상단부에 수평하게 연장 형성되는 지지대(21)를 구비한다. The side wall part 20 has a support 21 extending horizontally at an upper end thereof.

상기 지지대(21)에는 측벽부(20)의 상측으로 추가적인 형틀(A, 도 5 참조)이 결합될 수 있도록 형틀 결합홀(22)을 형성하여, 볼트, 너트, 키 등의 체결부재(B; 도 6의 (a) 참조)로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대(21)의 외측으로는 철근 결합홀(23)을 형성하여 후술하는 이차 콘크리트층(3: 도 8의 (a) 참조) 내에 배치되는 철근(C)이 끼워지며 상호 결합,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mold engagement hole 22 is formed in the supporter 21 so that an additional mold A can be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side wall 20 so as to be coupled to the fixing member B such as a bolt, (See Fig. 6 (a)). A reinforcing bar coupling hole 23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support frame 21 so that a reinforcing bar C disposed in a secondary concrete layer 3 (see FIG. 8 (a) .

또한, 상기 측벽부(20)의 외측면에는 횡방향으로 연이어서 외측으로 돌출 및 내입되는 평면상 대략 "S"자 형상의 다수의 절곡부(24)를 형성하여 측벽부(20)의 지지 강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A plurality of substantially S-shaped bent portions 24 are formed on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side wall portion 20 so as to protrude and inwardly protrude outwardly in the lateral direction, so that the supporting strength of the side wall portion 20 .

여기서, 상기 바닥부(10) 및 측벽부(20)는 현장 조건에 따라 철판, 강판, 도금판 및 스테인리스판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에 있어 그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bottom portion 10 and the side wall portion 20 are preferably formed of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iron plate, a steel plate, a plated plate, and a stainless steel plate according to the field conditions. However, no.

상기 보강 프레임(30)은 상기 바닥부(10)의 수용 공간부(11) 내에 거의 밀착되는 형태로 배치되어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reinforcement frame 30 is disposed in a close contact with the accommodation space portion 11 of the bottom portion 10 to reinforce the strength.

상기 보강 프레임(30)은,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상의 지지 프레임(31) 및 상기 지지 프레임(31) 상에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이격하여 길게 설치되는 역(逆) "ㄱ" 자 또는 "ㄱ" 자 형상의 다수의 수직 절곡 프레임(3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3A and 3B, the reinforcing frame 30 may include a flat support frame 31 and a support frame 31 which is long and inwardly spaced apart in the lateral or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vertical bending frames 32 in the form of "a" or "b ".

상기 다수의 역(逆) "ㄱ" 자 또는 "ㄱ" 자 형상의 다수의 수직 절곡 프레임(32) 사이사이는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개방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후술하는 내측 콘크리트(4)의 타설시에 내측 콘크리트(4)가 수용되어 경화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vertical bending frames 32 having a plurality of the inverted "" or" A "shapes is open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r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inner concrete 4 can be received and cured.

상기 평판상의 지지 프레임(31)의 최외측(도면에서 우측)에는 상기 역(逆) "ㄱ" 자 또는 "ㄱ" 자 형상의 다수의 수직 절곡 프레임(32)과 대칭적인 형상을 이루는 마감 프레임(33)을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A plurality of vertical bending frames 32 having a shape of a reversed "a" or "a" shape and a finishing frame (for example, 33).

상기 보강 프레임(30)은 다수의 역(逆) "ㄱ" 자 또는 "ㄱ" 자 형상의 다수의 수직 절곡 프레임(32)이 일체로 연결된 형태일 수 있으나, 분리된 형태로 제작되어 수용 공간부(11) 내에 배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reinforcing frame 30 may have a plurality of vertical bending frames 32 having a plurality of inverted "" or" A "shapes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Not shown).

한편, 상기 바닥부(10)의 수용 공간부(11)의 일측에는 집수정(40)이 별도로 설치되어 수용 공간부(11) 내로 유입되는 유수를 집수정(40)을 통해 집수(集水)하여 외부로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on the one 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part 11 of the bottom part 10, the water collecting part 40 is installed separately to collect the water flowing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part 11 through the water collecting part 40,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물론, 상기 집수정(40)이 형성되는 부분에는 보강 프레임(30)이 배치되지 않는다. Of course, the reinforcing frame 30 is not disposed at the portion where the collecting cores 40 are formed.

도 3c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의 보강 프레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3C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reinforcing frame of an elevator p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 프레임은,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다수의 "U"자형 프레임(34)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형태를 이룬다.As shown in Fig. 3C, the reinforcing frame has a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U" shaped frames 34 are continuously formed in the transverse or longitudinal direction.

즉, 도 3a 및 도 3b에서와 역(逆) "ㄱ" 자 또는 "ㄱ" 자 형상의 다수의 수직 절곡 프레임(32)의 상측이 절곡된 형태와 달리 단순히 "U"자형태의 프레임(34)만이 형성되어 보강 구조를 갖게 된다.In other words, unlike the form in which the upper sides of the plurality of vertical bending frames 32 in the shape of "A" or "A" contrary to those in FIGS. 3A and 3B are bent, ) Is formed to have a reinforcing structur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의 보강 프레임의 지지대를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의 측벽부의 측면도이다.FIG. 4 is a plan view of a reinforcing frame of an elevator p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support frame is removed, and FIG. 5 is a side view of a side wall of an elevator p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가 개방된 사각통 형상의 측벽부(20)의 네 변의 외측으로는 대략 "S"자 형상의 다수의 절곡부(24)가 연이어 횡방향으로 형성되고, 측벽부(20)의 네 모서리에는 평면상 "L" 자 또는 역 "L" 자 기둥 형상의 돌기부(25)가 인접하는 상기 "S"자 형상의 다수의 절곡부(24)와 연결형성되어 상하가 개방된 사각 통형상의 측벽부(20)의 네 변 및 네 모서리를 에워싸는 형태로 되어 측벽부(20)의 지지 강도를 높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a plurality of substantially "S" -shaped bent portions 24 are formed in the lateral direction on the outer side of the four sides of the rectangular tube-shaped side wall portion 20 wit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pened, and the side wall portions 20 Shaped projecting portions 25 ar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bent portions 24 of the "S" shape adjacent to the planar "L" The four side edges and the four corners of the cylindrical side wall portion 20 are surrounded and the supporting strength of the side wall portion 20 can be increased.

이와 같이 연이어 형성되는 "S"자 형상의 다수의 절곡부(24)는 측벽부(20)에만 형성될 수도 있지만, 집수정(40)의 외주면에도 "S"자 형상의 다수의 절곡부(41)가 연이어 형성되어 지지 강도를 더욱 높일 수도 있다.The plurality of "S" -shaped bent portions 24 formed in this manner may be formed only in the side wall portion 20, but als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llecting core 40 may have a plurality of "S" May be formed in succession to further increase the supporting strength.

또한, 보강 프레임(30)은 집수정(40)이 형성되는 부분을 제외한 바닥부(10)의 수용 공간부(11) 내에 밀착되는 형태로 배치되어진다.The reinforcing frame 30 is disposed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accommodation space portion 11 of the bottom portion 10 excluding the portion where the collecting cores 40 are formed.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의 측방 단면도이다.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vator pit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역(逆) "ㄱ" 자 또는 "ㄱ" 자 형상의 수직 절곡 프레임(32)에 의해 상측으로 개방된 보강 프레임(30)은 집수정(40)이 형성되는 부분을 제외한 바닥부(10)의 수용 공간부(11) 내에 밀착되는 형태로 배치되어 다수의 역(逆) "ㄱ" 자 형상의 수직 절곡 프레임(32)의 내측으로 내측 콘크리트(4)가 유입될 때, 일체로 경화되면서 충분한 강도를 갖도록 한다. As shown in Fig. 6 (a), the reinforcing frame 30 opened upward by the plurality of inverted "" or" Shaped vertical folding frame 32 disposed in such a manner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accommodating space portion 11 of the bottom portion 10 excluding the portion where the vertical reinforcing ribs 40 are formed, (4) is introduced, it is hardened integrally so as to have sufficient strength.

형틀(A)은 측벽부(20)의 상단에 구비된 지지대(21)에 볼트 또는 핀 등과 같은 체결부재(B)에 의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The mold A may be fixedly coupled to a support 21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20 by a fastening member B such as a bolt or a pin.

즉, 지지대(21)의 형틀 결합홀(22)을 통해 형틀(A)과 측벽부(20)를 결합고정하여 형틀(A), 측벽부(20) 및 바닥부(10)의 중앙측이 개방된 공간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형틀(A)은 통상의 거푸집, 측벽용 패널, 유로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시공 후에 제거되거나, 또는 일체화된 상태로 벽체로서 영구적 사용을 할 수도 있다.That is, the mold A and the side wall portion 20 are fixedly engaged with each other through the mold engagement hole 22 of the support base 21 so that the center sides of the mold A, the side wall portion 20 and the bottom portion 10 are opened Thereby forming a space. The mold A may be a conventional formwork, a side wall panel, a euro foam or the like, and may be removed after construction or permanently used as a wall in an integrated state.

이어서, 도 6의 (b)를 참조하면, 마감 프레임(33') 및 수직 절곡 프레임(32')의 상측은 하중 지지부(12)와 맞닿도록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마감 프레임(33') 및 수직 절곡 프레임(32')의 상측은 하중 지지부(12)와 볼트 등의 결합부(미도시)에 의하여 결합되거나, 용접 결합되거나, 상호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중 지지부(12)와 대향되지 않도록 위치된 수직 절곡 프레임(32')의 상측은 하중 지지부(12)와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그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6 (b), the upper side of the closed frame 33 'and the vertical bent frame 32' may be form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load supporting portion 12. Here, the upper side of the closing frame 33 'and the vertical bending frame 32'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by a coupling portion (not shown) such as a bolt with the load supporting portion 12, welded, or integrally formed with each other. The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bending frame 32 'positioned so as not to face the load supporting portion 12 may protrude above the load supporting portion 12 so as to be in line with the load supporting portion 12.

이처럼 마감 프레임(33') 및 수직 절곡 프레임(32')의 상측이 하중 지지부(12)를 지지하게 되므로, 하중 지지부(12)는 그 하부로 휘어지지 않아, 그 지지 강도가 보강된다. 이에 따라 일차 콘크리트층(2: 도 8의 (a) 도시)의 하중에 의한 하방 압력이 하중 지지부(12)로 인가된다 하더라도, 하중 지지부(12)는 상기 하방 압력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Since the upper side of the closed frame 33 'and the vertical bent frame 32' support the load supporting portion 12, the load supporting portion 12 is not bent to the lower portion, and the supporting strength is reinforced. Accordingly, even if the downward pressure due to the load of the primary concrete layer 2 (shown in FIG. 8 (a)) is applied to the load supporting portion 12, the load supporting portion 12 can firmly support the downward pressure It is effective.

또한, 마감 프레임(33') 및 수직 절곡 프레임(32')의 하측이 바닥부(10)를 지지하게 되므로, 바닥부(10)로 전해지는 지하수 등에 의한 상방 압력을 바닥부(10)가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lower side of the closed frame 33 'and the vertical bent frame 32' support the bottom 10, the upward pressure by the ground water or the like, So that it can be supported.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의 다른 예시를 도시한 측방 단면도이다.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n elevator p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의 (a)을 참조하면, 수직 절곡 프레임(32')의 상측에는 보강 플레이트(60)와 완충부(6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보강 플레이트(60)는 견고한 철판 재질 등으로 형성되며, 평평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직 절곡 프레임(32')의 상측에 일체로 배치된다. 완충부(65)는 엘리베이터 피트(1: 도 1 도시)의 상부에서 상하운동하는 엘리베이터가 사고나 점검 등으로 인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의 하면이 바닥부(10) 방향으로 낙하될 때, 충격 강도를 최대한 완충시키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면, 통상적인 스프링, 완충기 등으로 형성되고, 보강 플레이트(60)의 상면에 다수 개가 위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A, a reinforcing plate 60 and a buffer 65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vertical bending frame 32 '. The reinforcing plate 60 is formed of a rigid iron plate or the like, and is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and is integrally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vertical bending frame 32 '. The buffering portion 65 is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elevator pit 1 (shown in Fig. 1) so that when the elevator moves up and down in the direction of the bottom portion 10 due to accident or inspection, For example, a conventional spring, a shock absorber, or the like, and a plurality of the reinforcing plates 60 may be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plate 60.

도 7의 (b)를 참조하면, 완충부(65)는 보강 플레이트(60) 없이, 수직 절곡 프레임(32')의 상측 또는 내측 콘크리트층(4)의 상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 내측 콘크리트층(4)은 바닥부(10)의 수용 공간부(11) 내부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경화되는 것으로, 상기 콘크리트가 수직 절곡 프레임(32') 등과 함께 경화되므로, 견고한 구조를 갖게 된다. 또한, 엘리베이터가 사고나 점검 등으로 인하여 바닥부(10) 방향으로 낙하될 때, 상기 엘리베이터가 수직 절곡 프레임(32')의 상측 또는 내측 콘크리트층(4)의 상면에 가하는 충격 강도가 완충부(65)에 의하여 상당 부분 완충되는 효과가 있다.7 (b), the buffer part 65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vertical bending frame 32 'o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concrete layer 4 without the reinforcing plate 60. The inner concrete layer 4 is hardened by placing concrete into the receiving space portion 11 of the bottom portion 10 and the concrete is hardened together with the vertical bending frame 32 ' When the elevator falls down toward the bottom 10 due to an accident or inspection, the impact strength applied by the elevato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or inner concrete layer 4 of the vertical bending frame 32 ' 65).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가 설치, 시공된 엘리베이터 피터 구조물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8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levator pillar structure in which an elevator pit is installed and construct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엘리베이터 피트가 설치될 장소를 굴토하여, 공간을 마련한 후, 육면체 형상의 바닥부(10)를 배치한다. As shown in Fig. 8 (a), first, the floor where the elevator pit is to be installed is squeezed to prepare a space, and then the hexahedron bottom portion 10 is arranged.

이때 사각통 형상의 측벽부(20)는 바닥부(10)를 설치한 후에 결합시키거나, 또는 바닥부(10)의 설치 전에 결합시킨 후에 함께 배치하거나, 또는 처음부터 바닥부(10)와 측벽부(20)를 일체로 형성하여 배치시킬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rectangular tube-shaped side wall portions 20 may be joined together after the bottom portion 10 is installed, or may be placed together after the bottom portion 10 is joined before the installation of the bottom portion 10, (20) may be integrally formed and disposed.

이후 거푸집, 측벽용 패널, 유로폼 등과 같은 형틀(A)은 볼트 또는 핀 등과 같은 체결부재(B)를 통해 측벽부(20)의 상단인 지지대(21)의 형틀 결합홀(22)에 결합시키고, 철근(C)은 철근 결합홀(23)에 끼워 결합시킨다.The mold A such as a mold, a side wall panel or a Euroform is then coupled to a mold engagement hole 22 of a support 21 which is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20 through a fastening member B such as a bolt or a pin, The reinforcing bar (C) is fitted into the reinforcing bar (23).

한편, 엘리베이터 피트가 배치된 위치에는 콘크리트를 일차적으로 타설하여 일차 콘크리트층(2)을 형성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imary concrete layer 2 is formed by firstly pouring concrete at the position where the elevator pit is disposed.

즉, 엘리베이터 피트(1)가 배치된 후에, 그 외측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일차 콘크리트층(2)을 형성한다. 상기 일차 콘크리트층(2)은 바닥부(10)의 높이보다 높도록 하여, 하중 지지부(12)의 상측에도 형성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일차 콘크리트층(2)이 경화되면서, 바닥부(10)의 하중 지지부(12)를 누르면서 지지하게 된다.That is, after the elevator pit 1 is disposed, concrete is poured on the outside of the elevator pit 1 to form the primary concrete layer 2. [ The primary concrete layer 2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ad supporting portion 12 so as to be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bottom portion 10 and the primary concrete layer 2 is hardened, The load supporting portion 12 is pressed and supported.

도시된 예에서는 일차 콘크리트층(2)이 바닥부(10)보다 높은 높이에서, 측벽부(20)에 못 미치도록 형성되나, 일차 콘크리트층(2)이 형틀(A)의 높이까지 높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형틀(A)은 일차 콘크리트층(2)의 타설 후에 결합하도록 할 수도 있다.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primary concrete layer 2 is formed at a height higher than the bottom portion 10 but less than the side wall portion 20, but the primary concrete layer 2 is formed as high as the height of the mold A It is possible. Also, the mold A may be engaged after the primary concrete layer 2 is poured.

상기 일차 콘크리트층(2)의 타설 후에는, 이차적으로 형틀(A)의 외측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이차 콘크리트층(3)을 형성하여 엘리베이터 피터 구조물의 벽체를 형성하게 된다.After the primary concrete layer 2 is laid, the secondary concrete layer 3 is formed by pouring concrete to the outside of the mold A secondarily to form a wall of the elevator pillar structure.

여기서, 도시된 예에서는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일차 및 이차 콘크리트층(2, 3)이 별도의 공정으로 형성된 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엘리베이터 피터 구조물 형성의 임의의 시점에 동시에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Here,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primary and secondary concrete layers 2 and 3 are formed as separate processes by concrete pouring, but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y may be formed at any time of forming the elevator pillar structure.

이때, 바닥부(10)의 수용 공간부(11) 내에 배치된 보강 프레임(30)에는 콘크리트가 상부로 개방된 역(逆) "ㄱ" 자 또는 "ㄱ" 자 형상의 수직 절곡 프레임(32) 및 마감 프레임(33)의 내부로 유입되어 경화되어 내측 콘크리트층(4)을 형성한다.At this time, a reinforcing frame 30 dispos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portion 11 of the bottom portion 10 is provided with a vertical bending frame 32 having a reverse "" or " And the finishing frame 33 and is hardened to form the inner concrete layer 4. [

즉, 바닥부(10)의 수용 공간부(11) 내에 배치된 보강 프레임(30)의 내부를 콘크리트의 타설시에 같이 채워 넣도록 하여 보강 프레임(30)과 함께 콘크리트가 경화되어 내측 콘크리트층(4)을 형성하여 더욱 높은 하중 및 강도를 갖게 된다.That is, the inside of the reinforcing frame 30 disposed in the receiving space 11 of the bottom part 10 is filled with the reinforcing frame 30 when the concrete is poured, so that the concrete is cured to form the inner concrete layer 4) are formed to have higher load and strength.

또한, 상기 바닥부(10)의 수용 공간부(11) 내에 배치된 보강 프레임(30)의 내측 콘크리트층(4)의 형성 후에, 그 상측에 추가적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추가 콘크리트층(5)을 형성하여 추가적으로 강도를 더욱 높이도록 할 수도 있다. 물론, 내측 및 추가 콘크리트층(4, 5)은 엘리베이터 피터 구조물 형성의 임의의 시점에 동시에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After the formation of the inner concrete layer 4 of the reinforcing frame 30 dispos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1 of the bottom part 10, concrete is additionally placed on the upper side thereof to form an additional concrete layer 5 Thereby further increasing the strength. Of course, the inner and further concrete layers 4, 5 may also be formed at any time in the elevator pillar structure formation at the same time.

아울러,도시된 예에서는 내측 콘크리트층(4) 및 추가 콘크리트층(5)이 바닥부(10)의 수용 공간부(11) 내에 배치된 보강 프레임(30)에 설치된 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이러한 내측 콘크리트층(4) 및 추가 콘크리트층(5)의 형성은 필수적 사항이 아닌 선택적 사항임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inner concrete layer 4 and the additional concrete layer 5 are provided on the reinforcing frame 30 dispos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portion 11 of the bottom portion 10,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formation of the layer 4 and the additional concrete layer 5 is optional, but not required.

한편, 도 8의 (b)를 참조하면, 일차 콘크리트층(2)과 이차 콘크리트층(3)이 타설된 후, 바닥부(10)의 수용 공간부(11) 내에 배치된 보강 프레임(30)의 수직 절곡 프레임(32') 및 마감 프레임(33')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내측 콘크리트층(4)이 형성될 때, 수직 절곡 프레임(32') 및 마감 프레임(33')의 상측은 상기 도 6의 (b)와 같이, 하중 지지부(12)와 맞닿도록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중 지지부(12)와 대향되지 않도록 위치된 수직 절곡 프레임(32')의 상측은 하중 지지부(12)와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그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내측 콘크리트층(4)의 형성 후에, 그 상측에 추가적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추가 콘크리트층(5)을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8 (b), after the primary concrete layer 2 and the secondary concrete layer 3 are laid, the reinforcing frame 30 dispos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portion 11 of the bottom portion 10, The upper side of the vertical bending frame 32 'and the finishing frame 33' is formed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bending frame 32 'and the lowering frame 33' 6 (a) and 6 (b). The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bending frame 32 'positioned so as not to face the load supporting portion 12 may protrude above the load supporting portion 12 so as to be in line with the load supporting portion 12. Further, after forming the inner concrete layer 4, it is of course possible to form an additional concrete layer 5 by placing additional concrete on the upper side thereof.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의 보강 프레임 상에 다수의 격자 홀을 구비한 철판이 형성된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9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n iron plate having a plurality of grid holes is formed on a reinforcing frame of an elevator p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10)의 수용 공간부(11) 내에 배치된 보강 프레임(30) 상측에 다수의 격자 홀(70a)을 구비한 철판(70)을 배치하여 강도를 더욱 더 배가하도록 하고 있다.An iron plate 70 having a plurality of grid holes 70a is disposed above the reinforcing frame 30 dispos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portion 11 of the bottom portion 10 so as to increase the strength I have to get more doubled.

물론, 다수의 격자 홀(70a)을 통해서는 콘크리트가 투입되어 내측 콘크리트층(4; 도 8의 (a) 참조)을 형성하고, 또 그 상측에 추가적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추가 콘크리트층(5; 도 8의 (a) 참조)을 형성할 수도 있다.Of course, the concrete is injected through the plurality of grid holes 70a to form the inner concrete layer 4 (see FIG. 8 (a)), and the concrete is additionally placed on the upper side thereof to form the additional concrete layer 5 8 (a)) may be formed.

또한, 도시된 예에서는 다수의 격자 홀(70a)을 구비한 철판(70)의 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메쉬형 철망이나 다수의 철판 조각을 배치시킬 수도 있다.In the illustrated example, an iron plate 70 having a plurality of grid holes 70a is shown, but a mesh-type wire mesh or a plurality of iron plate pieces may be disposed.

도 10은 도 8에서 형틀이 측벽부 상단부에 지지되는 "D" 부분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Fig. 10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portion "D" where the mold frame is supported at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side wall portion in Fig.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부(20)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다수의 형틀 결합홀(22)이 형성된 지지대(21) 대신에 일측에 형틀 삽입홈(122)이 형성된 지지대(121)가 형성된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하다.10, a support base 121 having a mold insert groove 122 formed on one side thereof is formed in place of a support base 21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20 and formed with a plurality of die coupling holes 22 Which is different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즉, 상기 형틀(A)은 상기 측벽부(20)의 상단부와 상기 형틀(20)의 하단부 사이에 개재되는 지지대(121)를 통해 상기 측벽부(20)의 상단에 지지되어지되, 상기 지지대(121)에는 상기 형틀(A)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안착 지지되는 삽입홈부(122)가 구비된다.That is, the mold A is supported at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part 20 through a support base 121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part 20 and the lower end of the mold frame 20, 121 are provided with insertion grooves 122 through which the lower end of the mold A is inserted and supported.

상기 삽입홈부(122)는 상기 지지대(121)를 프레싱하여 일체형성함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에 있어 그 형성 방법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insertion groove 122 may be formed by pressing the support 121 to form a single body,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11은 도 8에서 형틀이 측벽부 상단부에 지지되는 "D" 부분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Fig. 11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portion "D" where the mold frame is supported at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side wall portion in Fig.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홈부(122A)가 지지대(121) 상에 별도로 체결 수단(50)을 통해 체결형성되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0의 실시예와 동일하다.11, except that the insertion groove portion 122A is formed on the support base 121 through a fastening means 50, as shown in Fig.

여기서, 상기 체결수단(50)의 종류로는 볼트 또는 핀 등과 같은 결합수단이나, 철사 등과 같은 결속을 위한 바인딩 수단 또는 용접에 의한 결합 수단도 가능하며 본 발명에 있어 그 체결수단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As for the type of the fastening means 50, it is also possible to use coupling means such as bolts or pins, binding means such as wire or binding means by welding or the lik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도 12는 도 8에서 형틀이 측벽부 상단부에 지지되는 "D" 부분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12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showing still another example of a portion "D" in which the mold frame is supported at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side wall portion in Fig.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L" 자 및 역(逆) "L" 자 형태의 두 개의 앵글(60, 61)이 마주보며 지지대(121)에 각각 체결 수단(50)을 통해 체결되어 그 사이 공간이 삽입홈부(122B) 영역으로 되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0의 실시예와 동일하다.As shown in Fig. 12, two angles 60 and 61, which are in the form of an L character and a reverse L character, are fastened to the support 121 through fastening means 50, Is the same as that of the embodiment of Fig. 10 except that the space between the slots is an insertion groove portion 122B region.

여기서, 상기 "L" 자 및 역(逆) "L" 자 형태의 두 개의 앵글(60, 61)의 바닥부(도면 번호 미부여)를 지지대(121)에 체결하는 체결수단(50)의 종류로는 볼트 또는 핀 등과 같은 체결수단이나, 철사 등과 같은 바인딩 수단일 수도 있으며, 용접에 의한 결합 수단도 가능하며 본 발명에 있어 그 체결수단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Here, the type of the fastening means 50 for fastening the bottom portion (unassembled) of the two angles 60 and 61 of the "L" character and the inverted "L" character to the support base 121 A fastening means such as a bolt or a pin, a binding means such as a wire or the like, or a coupling means by welding may be used, and the type of the fastening means is not limit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도 8에서 형틀이 측벽부 상단부에 지지되는 "D" 부분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13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showing still another example of a portion "D" in which the mold frame is supported at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side wall portion in Fig.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부(20)의 상단에는 지지대(121) 상측 방향으로 수직되게 수직 돌출부(26)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 돌출부(26)로부터 수평으로 이격된 지지대(121) 상에 역(逆) "L" 자 형태의 앵글(62)이 체결 수단(50)을 통해 체결되어 상기 수직 돌출부(26)와 상기 역(逆) "L" 자 형태의 앵글(62) 사이 공간이 삽입홈부(122C) 영역으로 되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0의 실시예와 동일하다.13, a vertical protrusion 26 is formed perpendicularly to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121 at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20, and a vertical protrusion 26 is horizontally spaced from the vertical protrusion 26 An inverted "L" shaped angle 62 is fastened through the fastening means 50 so that the space between the vertical protrusion 26 and the opposite angle "L" And is the same as the embodiment of FIG. 10 except that it is the region of the insertion groove 122C.

상기 체결수단(50)은 볼트 또는 핀 등과 같은 체결수단이나, 철사 등과 같은 바인딩 수단일 수도 있으며, 용접에 의한 결합 수단도 가능하며 본 발명에 있어 그 체결수단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fastening means 50 may be a fastening means such as a bolt or a pin, a binding means such as a wire or the like, or a fastening means by welding may be used, and the fastening means is not limit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4은 도 8에서 형틀이 측벽부 상단부에 지지되는 "D" 부분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Fig. 14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portion "D" where the mold frame is supported at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side wall portion in Fig.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L" 자 형태의 앵글(63)의 하부 지지대(63-1)가 수직 돌출부(26) 쪽으로 형성하여 지지대(121) 상에 체결 수단(50)을 통해 체결되어 상기 수직 돌출부(26)와 상기 "L" 자 형태의 앵글(63) 사이 공간이 삽입홈부(122d) 영역으로 되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0의 실시예와 동일하다.14, the lower support 63-1 of the "L" -shaped angle 63 is formed toward the vertical protrusion 26 and is fastened to the support 121 through the fastening means 50 Except that a space between the vertical protrusion 26 and the angle "L" -shaped angle 63 is an area of the insertion groove 122d.

도 15는 도 8에서 형틀이 측벽부 상단부에 지지되는 "D" 부분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Fig. 15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showing still another example of the portion "D" where the mold frame is supported at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side wall portion in Fig.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부(20)의 상단에는 지지대(121) 상측 방향으로 수직되게 수직 돌출부(26)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 돌출부(26)로부터 수평으로 이격되어 지지대(121) 단부가 상측으로 절곡된 수직 절곡부(121-1)가 형성되어 상기 수직 돌출부(26)와 상기 수직 절곡부(121-1) 사이 공간이 삽입홈부(122e) 영역으로 되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0의 실시예와 동일하다.15, a vertical protrusion 26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20 to be perpendicular to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121 and is horizontally spaced apart from the vertical protrusion 26, A vertical bending portion 121-1 bent upward is formed and a space between the vertical bending portion 121 and the vertical bending portion 121-1 is a region of the insertion groove 122e. .

도 16는 도 8에서 형틀이 측벽부 상단부에 지지되는 "D" 부분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Fig. 16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portion "D" where the mold frame is supported at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side wall portion in Fig.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부(20)의 상단에는 지지대(121) 상측 방향으로 수직되게 수직 돌출부(26)가 형성되어 수직 돌출부(26)의 일측벽이 형틀(A)의 일측벽에 밀착 지지되고 형틀(A)의 하단부는 철사 등과 같은 바인딩 수단(51)에 의해 결속되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0의 실시예와 동일하다.16, a vertical protrusion 26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20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121 so that one side wall of the vertical protrusion 26 is connected to one side wall of the mold A 10 except that the lower end of the mold frame A is tightly supported and bound by a binding means 51 such as a wire or the like.

도 17은 도 8에서 형틀이 측벽부 상단부에 지지되는 "D" 부분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Fig. 17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portion "D" where the mold frame is supported at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side wall portion in Fig.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121)는 다수의 앵글(121a, 121b, 121c)이 단부에서 일체 덧대어 연결되거나 또는 일면이 서로 포개어져 결합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두 개의 앵글(121a, 121b) 사이에 삽입홈부(122f) 영역이 형성되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0의 실시예와 동일하다.As shown in FIG. 17, the support 121 is formed such that a plurality of angles 121a, 121b, and 121c are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t an end thereof, or one side of the support 120 is overlapped with each other to form two angles 121a and 121b 10A, except that an insertion groove portion 122f region is formed between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또한, 상기 지지대(121)의 하측에 형성된 앵글(121c)의 하단부는 측벽부(20)와 핀 또는 볼트 등과 같은 체결 수단(50)을 통해 체결되는 형태일 수도 있으나, 일체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lower end of the angle 121c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er 121 may be fastened to the side wall 20 through a fastening means 50 such as a pin or a bolt, Of course.

도 18은 도 8에서 형틀이 측벽부 상단부에 지지되는 "D" 부분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Fig. 18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portion "D" where the mold frame is supported at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side wall portion in Fig.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L" 자 형태의 앵글(64)의 하부 지지대(63-1)의 단부가 측벽부(20)에 용접되어 상기 측벽부(20)와 상기 "L" 자 형태의 앵글(64) 사이 공간이 삽입홈부(122g) 영역으로 되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0의 실시예와 동일하다.18, the end of the lower support 63-1 of the "L" -shaped angle 64 is welded to the side wall 20 to form the "L" 10 is the same as the embodiment of Fig. 10, except that the space between the angles 64 of the protrusions is an area of the insertion groove 122g.

여기서, 체결수단이 용접의 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볼트 또는 핀 등과 같은 체결수단이나, 철사 등과 같은 바인딩 수단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Here, although the fastening means shows an example of welding, it may be a fastening means such as a bolt or a pin, or a binding means such as a wire.

또한, 도시된 예에서는 "L" 자 형태의 앵글(64)이 측벽부(20)의 내측에 결합된 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측벽부(20)의 상단 측 또는 수직 돌출부(26; 도 15 참조))의 내측에 용접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5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L" -shaped angle 64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side wall portion 20, but the upper side or the vertical projection 26 (see FIG. 15) of the side wall portion 20, It can be welded to the inner side of the inner tube.

도 19는 도 8에서 형틀이 측벽부 상단부에 지지되는 "D" 부분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Fig. 19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showing still another example of the "D" portion in Fig. 8 where the mold frame is supported at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side wall portion.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U" 자형 앵글(65)의 하단부가 지지대(121) 상에 용접에 의해 체결형성되어 "U" 자형 앵글(65) 자체가 삽입홈부(122h) 영역으로 되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1의 실시예와 동일하다.As shown in Fig. 19, the lower end of the "U" -shaped angle 65 is welded on the support base 121, so that the "U" -shaped angle 65 itself becomes the region of the insertion groove 122h Is the same as the embodiment of Fig.

여기서, 도시된 예에서는 용접에 의해 체결형성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볼트 또는 핀 등과 같은 결합수단도 사용가능하며, 본 발명에 있어 그 체결수단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Here, in the illustrated example, although an example of fastening by welding is shown, coupling means such as bolts or pins can be used, and the type of the fastening means is not limited in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시된 예에서는 "U" 자형 앵글(65)의 하단부가 지지대(121) 상에 결합된 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상기 측벽부(20)의 내측 또는 상단에 용접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lower end of the U-shaped angle 65 is coupled to the support 121, bu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U-shaped angle 65 may be welded to the inner side or the upper side of the side wall 20.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

1: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피트
2: 일차 콘크리트층 3: 이차 콘크리트층
A: 형틀 B: 체결부재
10: 바닥부 11: 수용 공간부
12: 하중 지지부
20: 측벽부 21, 121: 지지대
22: 형틀 결합홀 23: 철근 결합홀
24, 41: 절곡부
25: "L" 자 또는 역 "L" 자 형상의 돌기부
30: 보강 프레임 31: 평판상의 지지 프레임
32, 32': 수직 절곡 프레임 33, 33': 마감 프레임
40: 집수정
1: elevator fo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primary concrete layer 3: secondary concrete layer
A: mold frame B: fastening member
10: bottom part 11: accommodation space part
12:
20: side wall portion 21, 121: support
22: a mold coupling hole 23: a reinforcing bar coupling hole
24, 41:
25: "L" letter or inverted letter "L"
30: reinforcing frame 31: flat support frame
32, 32 ': vertical bending frame 33, 33': closing frame
40: Edit the house

Claims (12)

건축물 지하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피트 결합 구조물로서,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수용 공간부를 구비한 바닥부;
상하부가 개방되어 상기 수용 공간부와 연통되고, 상기 바닥부의 상부로 돌출되되 그 상단부에 지지대가 형성되는 측벽부; 및
상기 측벽부의 상단부에 지지되어 중앙측이 개방된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형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형틀은 상기 지지대를 통해 상기 측벽부의 상단부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 보강형 엘리베이터 피트 결합 구조물.
As an elevator fitting structure installed in a building underground,
A bottom having an open top and a housing space inside;
A sidewall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accommodation space portion by open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nd protrud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ttom portion and having a support at an upper end thereof; And
And a mold supported by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to form a space having an open center,
Wherein the mold is supported at an upper end portion of the side wall portion through the support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에는 상기 형틀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부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 보강형 엘리베이터 피트 결합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 base is provided with an insertion groove portion into which the lower end of the mold frame is inserte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부는 "L" 자 또는 "U" 자 형태의 앵글이 상기 측벽부 내측 또는 상단에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 보강형 엘리베이터 피트 결합 구조물.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insertion groove portion has an " L "or" U "-shaped angle joined to the inside or the top of the side wall por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부는 상기 지지대를 프레싱하여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 보강형 엘리베이터 피트 결합 구조물.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insertion groove portion is integrally formed by pressing the support member. ≪ RTI ID = 0.0 > 11. < / RTI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부는 상기 지지대 상에 별도로 체결 수단을 통해 체결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 보강형 엘리베이터 피트 결합 구조물.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insertion groove portion is formed on the support frame by being separately fastened through fastening means.
제 2 항에 있어서,
"L" 자 및 역(逆) "L" 자 형태의 두 개의 앵글이 마주보며 상기 지지대에 각각 체결 수단을 통해 체결되어 그 사이 공간이 상기 삽입홈부 영역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 보강형 엘리베이터 피트 결합 구조물.
3. The method of claim 2,
Reinforced type elevator foot (10)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wo angles in the form of an "L" character and an inverted "L" character face each other and are fastened to the support frame through fastening means, Bond structur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의 상단에는 상기 지지대 상측 방향으로 수직되게 수직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 돌출부로부터 수평으로 이격된 상기 지지대 상에 "L" 자 또는 역(逆) "L" 자 형태의 앵글이 체결 수단을 통해 체결되어 상기 수직 돌출부와 상기 앵글 사이 공간이 상기 삽입홈부 영역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 보강형 엘리베이터 피트 결합 구조물.
3. The method of claim 2,
An upper end of the side wall portion is formed with a vertical protrusion perpendicular to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er, and an angle of 'L' character or inverted 'L' character is formed on the supporter horizontally spaced from the vertical protrusion, And the space between the vertical protrusion and the angle becomes the insertion groove reg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의 상단에는 상기 지지대 상측 방향으로 수직되게 수직 돌출부가 형성되고, "L" 자 또는 역(逆) "L" 자 형태의 앵글의 하부 지지대가 상기 수직 돌출부 쪽으로 형성하여 상기 지지대 상에 체결 수단을 통해 체결되어 상기 수직 돌출부와 상기 "L" 자 또는 역(逆) "L" 자 형태의 앵글의 사이 공간이 상기 삽입홈부 영역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 보강형 엘리베이터 피트 결합 구조물.
3. The method of claim 2,
A vertical protrusion is formed perpendicularly to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wall at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and a lower support of an 'L' or an inverted 'L' shape is formed toward the vertical protrusion, Wherein a space between the vertical protrusion and the angle of the "L" character or the inverted "L" character is the insertion groove area.
제 5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수단은 볼트, 핀, 바인딩 수단, 또는 용접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 보강형 엘리베이터 피트 결합 구조물.
9.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to 8,
Wherein the fastening means is a bolt, a pin, a binding means, or a welding mean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의 상단에는 상기 지지대 상측 방향으로 수직되게 수직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 돌출부로부터 수평으로 이격되어 상기 지지대 단부가 상측으로 절곡된 수직 절곡부가 형성되어 상기 수직 돌출부와 상기 수직 절곡부 사이 공간이 상기 삽입홈부 영역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 보강형 엘리베이터 피트 결합 구조물.
3. The method of claim 2,
A vertical protrusion is formed perpendicularly to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wall at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part and a vertical bend part horizontally spaced from the vertical protrusion and the end of the supporter is bent to form a space between the vertical protrusion and the vertical bend, Wherein the reinforcing structure is an insertion groove portion reg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의 상단에는 상기 지지대 상측 방향으로 수직되게 수직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 돌출부의 일측벽이 상기 형틀의 일측벽에 밀착 지지되고 상기 형틀의 하단부는 상기 지지대에 바인딩 수단에 의해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 보강형 엘리베이터 피트 결합 구조물.
3. The method of claim 2,
A vertical protrusion is formed perpendicularly to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frame at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part and a side wall of the vertical protrusion is closely attached to one side wall of the mold and the lower end of the mold is bound to the support by the binding means Reinforced elevator fitting structur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다수의 앵글이 단부에서 일체 덧대어 연결되거나 또는 일면이 서로 포개어져 결합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 보강형 엘리베이터 피트 결합 구조물.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upport frame is formed such that a plurality of angles are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e ends thereof, or one side of the supports is overlapped with each other.
KR1020160106349A 2016-08-22 2016-08-22 Elevator Pit Structure KR2017000629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349A KR20170006294A (en) 2016-08-22 2016-08-22 Elevator Pit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349A KR20170006294A (en) 2016-08-22 2016-08-22 Elevator Pit Structur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6714A Division KR20160120155A (en) 2015-04-07 2015-07-07 Elevator Pit and Structure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6294A true KR20170006294A (en) 2017-01-17

Family

ID=57990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6349A KR20170006294A (en) 2016-08-22 2016-08-22 Elevator Pit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6294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8414B1 (en) * 2018-10-29 2019-08-08 우광티엔씨(주) Steel elevator pit, lower structure of hoist way with steel elevator pit and construcion method thereof
KR102562464B1 (en) * 2022-09-23 2023-08-02 주식회사 제이테크이엔씨 Elevator pit structure with high corrosion resistance that can save raw materials and shorten construc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9138B1 (en) 2008-02-18 2010-08-31 엄기형 Elevator pit structur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9138B1 (en) 2008-02-18 2010-08-31 엄기형 Elevator pit structur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8414B1 (en) * 2018-10-29 2019-08-08 우광티엔씨(주) Steel elevator pit, lower structure of hoist way with steel elevator pit and construcion method thereof
KR102562464B1 (en) * 2022-09-23 2023-08-02 주식회사 제이테크이엔씨 Elevator pit structure with high corrosion resistance that can save raw materials and shorten construction
KR102568180B1 (en) * 2022-09-23 2023-08-18 강태관 Elevator pit structure having a multipurpose coupling par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5538B1 (en) Double wall and double wall structure produced by using double wall
KR101683641B1 (en) Prefabricated column structure with concrete form
KR101213439B1 (en) A clamp for the euro-form, and a support system of a beam form using the same
US20140096476A1 (en) Large Scale Concrete Girder Using UHPC Member as Form and Structural Elemen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1301076B1 (en) Wall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precast front wall panel and precast back wall panel
KR101203318B1 (en) Elevator pit
KR102056406B1 (en) Half pc slab and producing method thereof
KR101238031B1 (en) Reinforcement Frame Assembly for water tank
KR100818733B1 (en) Concrete device for covering opened road
KR101747097B1 (en) Steeel reinforcement truss deck plate with transverse steel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60120155A (en) Elevator Pit and Structure thereof
KR101279811B1 (en) Panel supporting assembly
KR101318957B1 (en) Sump Pit
KR20170006294A (en) Elevator Pit Structure
KR101677668B1 (en) Formed steel beam having bolt connection with lattice reinforcement and composite beam using the same
CN107313507B (en) Construction method for node structure of fabricated concrete frame overhead core column
KR101106699B1 (en) Structure of reinforced deck plate for roof
KR101071364B1 (en) Assembly structure of building block
KR101753744B1 (en) Structure and Constructing Method of Integrated Pier-Base
CN210976064U (en) Main beam and secondary beam connecting assembly and frame structure system
KR101621770B1 (en) Light weight body module for deck-plate slab with truss girger
KR20170053050A (en) Structure for pig farm
KR100973237B1 (en) Assembly structure of elevator pit easy to install elevator
KR200361653Y1 (en) Structure thing for water pipe
KR101109244B1 (en) Structural Wall having Fiber Concrete Reinforcing Part for Plastic Hin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