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1742B1 - Vertical reinforcement sump system - Google Patents
Vertical reinforcement sump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21742B1 KR100821742B1 KR1020060114409A KR20060114409A KR100821742B1 KR 100821742 B1 KR100821742 B1 KR 100821742B1 KR 1020060114409 A KR1020060114409 A KR 1020060114409A KR 20060114409 A KR20060114409 A KR 20060114409A KR 100821742 B1 KR100821742 B1 KR 10082174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rtical
- reinforcement
- reinforcing member
- water collecting
- concre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0—Tunnels or galleries specially adapted to house conduits, e.g. oil pipe-lines, sewer pipes ; Making conduits in situ, e.g. of concrete ; Casings, i.e. manhole shafts, access or inspection chambers or coverings of boreholes or narrow well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11/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 E03B11/1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of underground tank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집수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general water well.
도 2는 본 발명의 수직 보강형 집수정 구조체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vertically reinforced water collecting wel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수직 보강형 집수정 구조체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vertically reinforced water collecting wel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수직 보강형 집수정 구조체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vertically reinforced water collecting wel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수직 보강부재에 결합, 형성되는 돌출구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protrusion formed by coupling to the vertical reinforc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수직 보강부재에 형성된 돌출구와 콘크리트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otrusion and the concrete formed on the vertical reinforc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집수정 구조체가 다양한 루트의 배수로와 연결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mp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drainage of various routes.
도 8은 본 발명의 집수정 구조체를 평면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the sump crysta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plane.
도 9는 본 발명의 볼트 보강형 집수정 구조체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9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bolt-reinforced sump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0 : 집수부 20 : 수직 보강부재10: collecting part 20: vertical reinforcing member
21 : 수평돌출구 22 : 캡부21: horizontal projection 22: cap
23 : 직각돌출구 24 : 홀23: right angle exit 24: hole
25 : 볼트 26 : 마개25: bolt 26: stopper
27 : 십자형돌출구 29 : 철근27: cross protrusion 29: rebar
30 : 수용면 32 : 수직부30: receiving surface 32: vertical part
40 : 리브 50 : 배수구40: rib 50: drain
52 : 마개 54 : 와이어망52: plug 54: wire mesh
60 : 형틀 70 : 볼트60: mold 70: bolt
본 발명은 집수정 구조체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하수를 수용하기 위한 집수정의 내부 구조 강도를 확보하는 것은 물론, 지하층 내에 견고하게 고정되기 위한 고정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집수정 외측에 수직형 보강부재를 형성하여 강도를 향상시킨 집수정 구조체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mp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in order to secure the internal structural strength of the sump for accommodating groundwater, as well as to secure a fixed strength to be firmly fixed in the basement, perpendicular to the outside of the sump. It is about a sump crystal structure to improve the strength by forming a type reinforcing member.
집수정은 건물지하층 하부의 지하수 또는 빗물을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최근 건축되는 거의 모든 건물에는 집수정이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집수정은 공사가 진행 중일 경우에는 공사현장의 빗물과 지하수를 모아 양수를 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공사가 끝난 후에는 모여진 물을 펌프로 배출하기 전까지 수용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Sump is to treat the groundwater or rainwater below the basement of the building, and almost all of the buildings that are being constructed recently are installed. Such a water collecting well is used to collect and collect rainwater and groundwater at the construction site when the construction is in progress, and after the construction is completed, it functions to accommodate the collected water until the pump is discharged.
집수정은 건물의 최하층 슬래브보다 낮아야 하므로, 집수정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터파기 및 집수정 구조 형성을 위한 철근콘크리트 작업이 필요하게 되어 별도의 공기가 소요된다. 아울러 물로부터 구조물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일반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 소요되는 것보다 더 큰 노력과 비용이 소요된다.Since the sump should be lower than the bottom slab of the building, the installation of the sump requires reinforcement concrete work to separate the trench and form the sump structure, which requires separate air. In addition, to secure the stability of the structure from water, it takes more effort and cost than that of ordinary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종래의 집수정은 바닥면의 일부로서 지내력을 만족시켜야 하는 구조적인 목적과 지하수 또는 빗물을 모아 외부로 배출시키는 집수정이라는 기능상의 목적을 만족해야 하므로, 설계시에 집수정을 바닥콘크리트층 두께와 동일한 두께의 철근콘크리트 구조로 형성하고 있다.Conventional water wells should meet the structural purpose of satisfying the bearing capacity as part of the floor surface and the functional purpose of water well to collect groundwater or rainwater and discharge them to the outside. It is formed of a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of the same thickness.
이러한 형상의 집수정은 기능상의 목적을 달성하는 일과 시공을 수행하는데 많은 어려운 점이 있는데, 집수정이 설치되는 부분은 가장 깊은 위치가 되어야 하다 보니, 이 부분에 지하수가 많이 모이게 되어 이 부분에서 철근콘크리트 작업을 수행하기가 매우 난해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시간이 과도하게 소요될 뿐만 아니라, 시공 품질이 좋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집수정과 연결되기 위한 기타 복잡한 구성들이 두꺼운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내에 설치하기 어렵고, 그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 사후 보정이 어려운 문제 등이 있었다.This shape of the sump has many difficulties in achieving the purpose and construction of the functional purpose. The area where the sump is installed should be the deepest location, so the groundwater is collected in this area, which is reinforced concrete. The task becomes very difficult to accomplish.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not only takes excessive time, but also poor construction quality. In addition, other complex configurations to be connected to the sump is difficult to install in the thick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its performance is degraded, post-correction problems are difficult.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금속재의 일체형 집수정이 안출되었다. 도 1은 종래의 집수정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체형 집수정(110)은 상측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서, 굴토마감면을 터파기하고, 지하 마감층 바닥에 매설, 고정되어, 그 내부로 지하수, 빗물 등이 배수되어 수용하도록 하는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integrated sump of metal was devised. 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water collecting section. Referring to FIG. 1, the integrated
이러한 금속재 집수정(110)은 일체로 구성되어 있고, 사전에 일체로 제작이 가능하므로, 종래와 같이 다량의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현장에서 제작하거나, 정밀한 터파기 및 설계가 필요 없다는 장점이 있다.Since the metal collection well 110 is integrally formed and can be manufactured integrally in advanc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manufactured in the field using a large amount of concrete as in the prior art, or there is no need for precise digging and designing.
그러나 금속으로 해당 집수정을 구성하는데 있어, 바닥 외부의 콘크리트층으로부터 내측을 향하는 압력이 가해지므로 이를 지탱하기 위한 적절한 구조 강도를 갖고 있어야 한다. 금속재 집수정은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집수정을 형성한 것에 비해 강도가 약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높은 상향수압이나, 상방, 측방 가압력에 의해 집수정이 외부 힘을 버티지 못해 변형되거나 파손될 수도 있게 된다. However, in constructing the sump from metal, inward pressure is applied from the concrete layer on the outside of the floor, so it must have adequate structural strength to support it. Since the metal sump is inevitably weak compared to the case of using the concrete to form the sump, the sump may be deformed or damaged due to high upward pressure, upward or side pressure, and the sump may not be able to withstand external forces.
그러나 이러한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집수정 구성 재료의 두께를 과도히 두껍게 하는 경우, 재료비, 제작비 및 운반, 시공비의 비용이 급격히 증가하게 되므로 무작정 두께를 늘리는 것만이 능사는 아니다. 이에 도면과 같이 수평의 보(120)를 집수정(110) 외부에 설치하여 강도를 확보하도록 하는 것이 있는데, 이러한 구조의 경우 보(110)가 집수정(110)의 외부 테두리에 맞게 곡선으로 형성되어야 하므로, 제작성이나 결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평 방향의 힘에 대해서는 장점이 있으나, 상하방향의 힘에 대해서는 제대로 지탱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 다.However, if the thickness of the sump constituent material is excessively thick in order to secure such strength, the cost of material, fabrication and transportation, and construction costs will increase rapidly, so it is not only a matter of increasing the thickness. Accordingly, as shown in the figure, there is a
따라서 간단하고, 손쉬운 제작 방법을 통해 집수정에 수직 방향으로 가해지는 압력을 효과적으로 지탱하도록 강도가 향상되면서도, 제조 비용이 저렴한 집수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Therefore, while the strength is improved to effectively support the pressure appli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sump through a simple, easy manufacturing method, the need for a low-cost sump is emerging.
본 발명은 수직형의 보강부재를 집수정 외측에 설치하여 외부로부터, 특히 상하방향의 압력을 지탱할 수 있는 집수정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collecting structure that can support pressure from the outside, in particular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installing a vertical reinforcing member on the outside of the water collecting well.
또한 본 발명은 보강부재에 돌출구를 형성하여, 수직형 보강부재가 콘크리트층 내부에 보다 견고히 고정되고 강한 지지력을 갖도록 할 수 있는 집수정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collecting structure that can form a protrusion in the reinforcing member, the vertical reinforcing member can be more firmly fixed in the concrete layer and have a strong supporting force.
또한 본 발명은 보강부재의 사이사이에 콘크리트가 유입, 경화되도록 하여 보강부재와 콘크리트가 일체화되면서 강한 지지력과 강도를 갖도록 하는 집수정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collecting structure that has a strong support and strength while the concrete is introduced and hardened between the reinforcing member to integrate the reinforcing member and the concret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건축물의 지하에 설치되는 집수정 구조체에 있어서, 일정량의 지하수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측벽을 포함하는 집수부; 상기 집수부의 하부를 형성하며, 내부 공간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바닥; 및 상기 측벽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수직 보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보강부재는 상기 측벽의 외측에만 측방으로 하나 이상 일체 형성되고, 상기 수직 보강부재에는 돌출형성되는 돌출구가 형성되어 합성보를 형성하고, 상기 바닥의 하측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보강부재가 더 형성되고, 상기 보강부재의 하단부에는 수용면이 구비되어, 상기 바닥 하부면과 상기 수용면 사이의 공간에 시멘트혼합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ater collecting structure installed in a basement of a building, including: a water collecting part including sidewalls to form an inner space capable of accommodat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groundwater; A bottom which forms a lower part of the water collecting part and supports an inner space from a lower side thereof; And a vertical reinforcement member protruding in an outward direction of the side wall, wherein the vertical reinforcement member is integrally formed with at least one side only on the outer side of the side wall, and the vertical reinforcement member is formed with a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And a reinforcing member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lower side of the bottom, and a receiving surface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reinforcing member, and the cement mixture may be introduced into a space between the bottom and the receiving surfac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건축물의 지하에 설치되는 집수정 구조체에 있어서, 일정량의 지하수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측벽을 포함하는 집수부; 상기 집수부의 하부를 형성하며, 내부 공간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바닥; 및 상기 측벽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볼트부재; 또는 L 자형 또는 X 자형 또는 T자형 또는 ㄷ 자형의 돌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의 하측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보강부재가 더 형성되고, 상기 보강부재의 하단부에는 수용면이 구비되어, 상기 바닥 하부면과 상기 수용면 사이의 공간에 시멘트혼합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water collecting well structure installed in the basement of a building, the water collecting well comprising: a water collecting part including sidewalls to form an inner space capable of accommodat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groundwater; A bottom which forms a lower part of the water collecting part and supports an inner space from a lower side thereof; And a bolt member coupled to protrude in an outward direction of the side wall. Or an L-shaped or X-shaped or T-shaped or c-shaped protruding member, wherein the bottom side of the bottom further includes a reinforcing member protruding downward, and a lower end of the reinforcing member is provided with the receiving surfa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ement mixture to be introduc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bottom lower surface and the receiving surfa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기 수용면의 외곽부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수직부가 더 형성되어, 상기 바닥 하부면과 상기 수용면 사이의 공간에 유입된 시멘트혼합물이 다시 바깥으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수용하는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vertical portion protruding upward is further formed on the outer portion of the receiving surface, and serves to accommodate the cement mixture introduc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bottom lower surface and the receiving surface so as not to escape again.
상기 집수부의 내측 공간에는 상기 측벽과 상기 바닥에 걸쳐 내측으로 연장되는 판 형태로 형성되는 리브가 형성되어, 강도를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Ribs are formed in the inner space of the water collecting portion in the form of a plate extending inwardly over the side wall and the bottom to reinforce the strength.
상기 측벽 또는 바닥에는 배수구가 형성되며, 상기 배수구를 통해 지하수 등의 물이 상기 집수부 내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drainage hole is formed in the side wall or the bottom, and water such as groundwater flows into the water collecting part through the drainage hole.
상기 배수구에는 와이어망이 구비되어, 상기 배수구를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rain is provided with a wire net, it characterized in that to block the inflow of foreign matter through the drain.
상기 집수부 측벽의 상부에는 형틀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ld is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side wall of the collecting part.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 구성의 일 실시례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Hereinafter, a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수직 보강형 집수정 구조체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수직 보강형 집수정 구조체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집수부(10)의 측벽 외측에는 일정 간격으로 측방 돌출되는 판형태의 수직 보강부재(20)가 형성된다. 수직 보강부재(20)는 측벽 외부에 수직으로 일체 결합되며 측벽의 강도를 보강해 주는 동시에 후술할 콘크리트층 내에 매설되어 경화되어, 견고하게 일체화 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2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vertically reinforced watertigh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the vertically reinforced watertigh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a plate-shaped vertical reinforcing
수직 보강부재(20)는 집수부(10)의 주위를 둘러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 설치되며, 도 3의 좌측과 같이 측방에만 형성되도록 하거나, 우측과 같이 바닥 하부(B) 위치까지 연장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A plurality of vertical reinforcing
집수부(10)의 상방에는 캡부(22)가 씌워지면서, 상부를 커버하게 되는데, 캡부(22)에는 수직개구와 이를 덮는 마개(26)가 구비되며, 측방에 형성된 홀(24)을 통해서는 지하실 내부에서 유입되는 지하수가 흘러들어갈 수 있도록 한다. 홀(24)은 펌프(미도시)를 통해 집수부(10) 내의 물을 빼내는데 사용되기도 한다.The
수직 보강부재(20)는 집수부(10)의 상단부터 하단에 이르도록 일체로 연장형성되며, 상향수압 또는 건축물의 무게 등에 의해 상방 또는 하방으로부터 전해지는 압력을 수직방향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vertical reinforcing
도 4는 본 발명의 수직 보강형 집수정 구조체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집수부(10)의 바닥 하부(B)에는 일정 간격으로 하방 돌출되는 판형태의 하방 보강부재가 더 형성되도록 하거나, 수직 보강부재(20)가 하방까지 연장형성된다. 하방 보강부재는 하부에 수직으로 일체 결합되며 바닥의 강도를 보강해 주는 동시에 후술할 시멘트혼합물과 함께 타설, 경화되어, 견고하게 일체화 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시멘트혼합물은 시멘트풀, 모르타르, 콘크리트 등을 총칭하는 것으로서, 주로 사용되는 것은 콘크리트이다(이하 콘크리트를 예로 들어 설 명하도록 한다).4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vertically reinforced water collecting wel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a bottom reinforcing member having a plate shape protruding downwar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s further formed at the bottom bottom B of the collecting
바닥 하부와 보강부재의 사이사이에는 집수정 제작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경화시킨다. 콘크리트가 집수부 하방에서 고정, 경화되기 위해서는 집수부(10)를 엎어 놓고 바닥이 상방을 향하도록 한 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거나, 별도의 형틀(거푸집, 미도시)을 사용하여 타설된 콘크리트를 경화시킨 후, 형틀을 제거하는 방식을 사용하기도 한다. 또는 별도의 수용면(30)을 구비하여 자체적으로 형틀의 작용을 도모하도록 할 수도 있다.Between the bottom of the floor and the reinforcing member, the concrete is poured and hardened when manufacturing the sump. In order for the concrete to be fixed and hardened under the collecting part, the collecting
보강부재의 하방에는 수용면(30)이 더 형성되어, 보강부재의 하면을 커버한다. 즉, 수용면(30)이 형틀의 역할을 하게 되므로, 별도의 형틀을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측방 개방공간을 통해 콘크리트를 화살표 방향으로 유입시키기만 하면 족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측방으로의 유출을 막기 위해 측방을 커버하는 별도의 형틀(미도시)을 필요로 하기도 하며, 또는 이를 수용면(30)의 외곽에 일체로 형성하여 수직부(32)를 형성하기도 한다. A receiving
수직부(32)를 구비한 수용면(30)은 그 내부에 콘크리트가 유입되면, 별도의 형틀이 없더라도 내부에 콘크리트가 수용된 상태에서 콘크리트와 보강부재가 일체화 되면서 경화된다. 이렇게 경화된 콘크리트는 하방에만 채워지므로 무게가 많이 나가지 않으면서도 집수정의 하방 강도를 향상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The receiving
하방에 형성된 배수구(50)로는 지하의 굴토된 하방에 고인 지하수가 유입되도록 하며, 와이어망(54)을 덧대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아울러 하방으로부터 버림콘크리트가 차오르면서, 콘크리트가 집수부(10) 내로 유입되지 않고 차단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버림콘크리트가 하방으로부터 차오르는 경우 하방에 고인 지하수는 콘크리트에 의해 밀려 배수구(50)를 통해 집수부(10) 내로 유입된다. 설치가 완료되면 마개(52)로 배수구(50)를 차단할 수 있다.Drainage (50) formed in the lower portion to allow the groundwater to be accumulated in the crypted downwards of the basement, and pad the wire net 54 to block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In addition, as the discarded concrete rises from the bottom, the concrete serves to block the inflow into the collecting section (10). When the discarded concrete is filled from the bottom, the groundwater accumulated below is pushed by the concrete and introduced into the
도 5는 본 발명의 수직 보강부재에 결합, 형성되는 돌출구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수직 보강부재에 형성된 돌출구와 콘크리트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수직 보강부재(20)에는 측방으로 돌출되는 돌출구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구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는데, 수평으로 돌출된 판형의 수평돌출구(21), L자로 꺾인 판형의 직각돌출구(24), 장형의 볼트(25), 교차되는 판형상의 십자형돌출구(27), 관통되는 형태의 철근(29) 등을 사용할 수 있다.5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protrusion formed by coupling to the vertical reinforcement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otrusion and concrete is formed in the vertical reinforcement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the vertical reinforcing
이러한 돌출구들은 수직 보강부재(20)가 콘크리트층 내에 묻히게 될 때, 콘크리트층의 사이사이에 침투하면서 일체화되므로, 구조적으로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는 역할을 하고,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돌출구의 형태는 수직 보강부재(20)로부터 돌출되는 형태의 것이면, 형상을 한정하지 않는다.These protrusions are integrated when the vertical reinforcing
이러한 돌출구는 수직 보강부재(20)가 아닌 측벽 자체에 직접 결합되어, 강도 보강 및 결합력 보강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These protrusions may be directly coupled to the side wall itself rather than the vertical reinforcing
도 6을 참조하면, 상측은 콘크리트층 내에 집수정을 묻기 전에 수직 보강부재(20)의 외면에 콘크리트를 입힌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고, 하측은 콘크리트층 내에 수직 보강부재(20)가 묻힌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Referring to FIG. 6, the upper side represents a form in which concrete is co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 reinforcing
상측 부분을 참조하면, 돌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콘크리트가 보다 두텁게 수직 보강부재(20)의 외면에 점착됨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콘크리트층을 입힌 집수정은 강도가 보다 높아진 상태에서 지하층의 콘크리트층 부분에 밀접하게 접촉된다.Referring to the upper portion, since the protrusion is formed, it can be seen that the concrete adheres to the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 reinforcing
하측 부분을 참조하면, 돌출구가 콘크리트층 내에 돌출되어 있으므로, 콘크리트층 내에서의 접촉면적이 커지면서, 결합력을 보다 상승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Referring to the lower portion, since the protrusions protrude in the concrete layer, the contact area in the concrete layer increases, and serves to increase the bonding force.
도 7은 본 발명의 집수정 구조체가 다양한 루트의 배수로와 연결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집수정 구조체는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드레인보드, 유공관, 무공관, 다발관 등의 배수재가 집수부(10)의 측방에서 마감층(2)의 상면 버림콘크리트(4)층 내에서 (a)와 같이 연결되거나, 트렌치(3)의 자갈층 내에 (b)와 같이 연결되거나, 일정 높이를 상승시키며 (c)와 같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하방에 자갈, 잡석 등을 이용한 투수층(6)을 형성하여, 투수층(6)에 고인 물이 하방의 배수구(50)를 통해 유입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측에는 형틀(60)이 결합되도록 하여, 바닥콘크리트층(5)의 두께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mp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drainage of various routes. Referring to Figure 7, the water collect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in various ways. Drain boards, such as drain boards, perforated pipes, non-perforated pipes, bundle pipes, etc., are connected in the upper-side discarded concrete (4) layer of the finishing layer (2) to the side of the collecting portion (10), or as shown in (a) of the trench (3). The gravel layer may be connected as shown in (b), or may be connected as shown in (c) while raising a predetermined height. In addition, by forming a water
도 8은 본 발명의 집수정 구조체를 평면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집수부(10)의 내측으로는 리브(40)가 형성되어 강도를 지지하고, 외측으로 는 수직 보강부재(20)가 형성되어 강도를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수직 보강부재(20)에는 다양한 형상의 돌출구(21,25,27,29)가 형성되어, 콘크리트층 내에서 보다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8 is a view showing the sump crysta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plane. Referring to FIG. 8,
한편, 수직 보강부재(20) 대신에, 볼트(70)를 측벽에 다수 결합시키는 것으로도 보강 및 결합력을 높일 수 있게 되는데, 이는 도 9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instead of the vertical reinforcing
도 9는 본 발명의 볼트 보강형 집수정 구조체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집수부(10)의 측벽에 다수의 볼트(70)를 결합시킨다. 스터드볼트 등의 볼트(70)는 단부에 다소 두꺼운 머리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콘크리트층 내에서 콘크리트가 경화되면서, 볼트(70) 부분이 콘크리트층 내에서 보다 강하고 견고하게 결합되는 특징을 갖는다.9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bolt-reinforced sump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9, a plurality of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집수정 구조체는 집수부 측방에서 수직 결합부재가 상하방향의 강도를 보강해주는 역할을 하며, 별도의 돌출구를 통해 합성보를 형성하며, 결합력을 향상시켜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콘크리트층이 일부로 경화되도록 하여, 집수정의 두께를 키우지 않더라도 원하는 강도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The water collecting wel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erves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vertical coupling member on the side of the water collecting portion, to form a composite beam through a separate protrusion, and serves to enhance the strength by improving the bonding force . In addition, the concrete layer is to be partially hardened, so that the desired strength can be easily secured even without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sump.
본 발명은 집수정의 외부에 수직 보강부재를 구비하여 상하방향의 압력을 강하게 지탱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having a vertical reinforcing member on the outside of the sump well to strongly support the pressure in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본 발명은 보강부재에 돌출구를 형성하여, 수직형 보강부재가 콘크리트층 내부에 보다 견고히 고정되고 강한 지지력을 갖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forming a protrusion in the reinforcing member, the vertical reinforcing member is more firmly fixed in the concrete layer and have a strong supporting force.
또한 본 발명은 보강부재의 사이사이에 콘크리트가 유입, 경화되도록 하여 보강부재와 콘크리트가 일체화되면서 강한 지지력과 강도를 갖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concrete is introduced between the reinforcing member, the hardened to ensure that the reinforcing member and the concrete while having a strong support and strength.
Claims (1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14409A KR100821742B1 (en) | 2006-11-20 | 2006-11-20 | Vertical reinforcement sump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14409A KR100821742B1 (en) | 2006-11-20 | 2006-11-20 | Vertical reinforcement sump syste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21742B1 true KR100821742B1 (en) | 2008-04-14 |
Family
ID=39534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114409A KR100821742B1 (en) | 2006-11-20 | 2006-11-20 | Vertical reinforcement sump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21742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53495Y1 (en) * | 2008-07-31 | 2011-05-17 | 덕창시스템 주식회사 | Steel sump |
KR101318957B1 (en) | 2010-08-25 | 2013-10-16 | 주식회사 정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 Sump Pit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331295A (en) | 1965-10-20 | 1967-07-18 | Foundry Products And Methods I | Cover assembly |
US4143988A (en) | 1978-07-28 | 1979-03-13 | Aggregates Equipment, Inc. | Manhole riser |
JPS56176249U (en) * | 1980-05-28 | 1981-12-25 | ||
KR0132116Y1 (en) * | 1995-09-01 | 1998-12-15 | 서정원 | A manhole |
KR200251430Y1 (en) * | 2001-07-18 | 2001-11-17 | 주식회사 건설기술네트워크 | Rib-Reinforced Metal Sump |
KR200291960Y1 (en) * | 2002-07-22 | 2002-10-11 | 주식회사 건설기술네트워크 | Metal Sump |
KR200371618Y1 (en) * | 2004-09-30 | 2005-01-03 | 박무용 | Structure of joint the column of Concrete Filled steel Tube and girder of Reinforced Concrete |
KR200433220Y1 (en) | 2006-07-25 | 2006-12-08 | 박옥교 | Sump system |
-
2006
- 2006-11-20 KR KR1020060114409A patent/KR100821742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331295A (en) | 1965-10-20 | 1967-07-18 | Foundry Products And Methods I | Cover assembly |
US4143988A (en) | 1978-07-28 | 1979-03-13 | Aggregates Equipment, Inc. | Manhole riser |
JPS56176249U (en) * | 1980-05-28 | 1981-12-25 | ||
KR0132116Y1 (en) * | 1995-09-01 | 1998-12-15 | 서정원 | A manhole |
KR200251430Y1 (en) * | 2001-07-18 | 2001-11-17 | 주식회사 건설기술네트워크 | Rib-Reinforced Metal Sump |
KR200291960Y1 (en) * | 2002-07-22 | 2002-10-11 | 주식회사 건설기술네트워크 | Metal Sump |
KR200371618Y1 (en) * | 2004-09-30 | 2005-01-03 | 박무용 | Structure of joint the column of Concrete Filled steel Tube and girder of Reinforced Concrete |
KR200433220Y1 (en) | 2006-07-25 | 2006-12-08 | 박옥교 | Sump system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53495Y1 (en) * | 2008-07-31 | 2011-05-17 | 덕창시스템 주식회사 | Steel sump |
KR101318957B1 (en) | 2010-08-25 | 2013-10-16 | 주식회사 정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 Sump Pi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05432B1 (en) | Connecting structure of sump | |
KR101203318B1 (en) | Elevator pit | |
KR100734047B1 (en) | Sump system and the setting method | |
KR200433220Y1 (en) | Sump system | |
KR101087644B1 (en) | The water-storage tank of assembly typ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reof | |
KR100821742B1 (en) | Vertical reinforcement sump system | |
KR200431560Y1 (en) | Drain Board With A Basement Floor Construction | |
KR100679480B1 (en) | Drain board | |
KR200432040Y1 (en) | Sump system | |
KR200291960Y1 (en) | Metal Sump | |
KR100979138B1 (en) | Elevator pit structure | |
KR101808833B1 (en) | Floor structure of underground floor with reduced floor height using shear reinforcement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20140139217A (en) | Concrete protection wall with linear drainage function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1761779B1 (en) | Method for constructing base-inserting steel sump | |
KR100489336B1 (en) | Metal elevator pit | |
KR20090043745A (en) | Combination structure of strength reinforced sump | |
KR20160120154A (en) | Elevator Pit Structure | |
JP5271720B2 (en) | Structure of the earthing part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100823033B1 (en) | Strengthened sump system | |
KR20080074057A (en) | Double wall type sump system | |
KR200436480Y1 (en) | Drain Board With A Basement Floor Construction | |
KR101162152B1 (en) | Sump and method for construction thereof | |
KR100766850B1 (en) | Sump system setting method | |
KR20080005134U (en) | Precast panel for construction of retaining wall | |
KR200436636Y1 (en) | Drain Board Construction With Wire Mash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